KR100566126B1 - 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126B1
KR100566126B1 KR1020030076642A KR20030076642A KR100566126B1 KR 100566126 B1 KR100566126 B1 KR 100566126B1 KR 1020030076642 A KR1020030076642 A KR 1020030076642A KR 20030076642 A KR20030076642 A KR 20030076642A KR 100566126 B1 KR100566126 B1 KR 100566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reatment
tank
electrolytic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6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8866A (ko
Inventor
요시히로 이나모토
타츠야 히로타
무네아키 스기모토
요조 카와무라
미노루 키시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8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4Curr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45Fluid flow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빌딩 등의 급수설비에 있어서 급수구에서부터 공급하는 물을 급수탱크의 밀폐성을 유지하면서 가스의 저류의 문제를 방지하면서 전해처리에 의해서 효율적으로 멸균해서 수질을 유지하기 위한 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급수탱크 2 에 접속한 처리수로 100 의, 전해처리수단 11 보다 하류측에, 전해처리에 의해서 발생하는 가스를 처리수로 100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자동가스배출밸브 13 을 접속함과 동시에, 운전 중에 일시정지 시키는 것에 의해서, 가스의 자동가스배출밸브 13 으로의 유입을 촉진시키는 기능을 부여한 수처리장치이다.
전해처리에 의해서 발생하는 가스를, 장치의 일시정지시에 자신의 부력에 의해서 자동가스배출밸브 13 에 모아서 처리수로 100 밖으로 배출하기 위해, 급수탱크 2 의 밀폐성을 유지하면서 해당 급수탱크 2 의 가스가 저장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었다.

Description

수처리장치{WATER TREATMENT APPARATUS}
도 1 은 이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수처리장치를 빌딩이나 맨션의 옥상 등에 설치한 음료수용 급수탱크에 접속해서 물의 멸균, 및 급수탱크내의 정화에 사용하기 위한 구조를 간략화 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도1 의 수처리장치 1 의 실체배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 은 상기 예의 수처리장치 중 여과기의 내부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는 동도 (b) (c) 는, 상기예의 수처리장치 중 가스 배출밸브의 내부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는 상기 예의 수처리장치의 전기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 은 상기 예의 수처리장치의 통상운전시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 은 동도 (a)∼(c) 는 도 6 의 플로차트의 서브루틴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8 은 상기 예의 수처리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외장 커버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은 동도 (a)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수처리장치를 풀이나 욕조 등의 물탱크에 멸균작용을 가지는 물을 멸균처리제로서 공급하는 공급원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동도(b)는 상기예의 수처리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10 은 상기예의 수처리장치 중 전해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 은 동도 (a) (b)는 상기예의 수처리장치 중 제 2 의 공간에 있어서 펌프의 설치위치와 급수배관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 은 제 1 의 스페이스의 직상에 전해탱크로 공급하는 희석수를 저장하기 위한 희석수탱크를 배설한 변형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수처리장치 11 전해처리수단
12 여과기 13 자동 가스배출 밸브
14 전해탱크 15 틀체
15a 제 1 의 공간 15b 제 2 의 공간
30 제어수단 100 처리수로
104 급수배관 P1 순환펌프
P2 펌프 2 급수탱크
w1, w2 , w3 물
이 발명은 예를 들어 빌딩의 옥상 등에 설치한 급수탱크나 혹은 풀(pool), 욕조 등 여러 종류의 물탱크에 저장한 물을 감균처리하기 위한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오피스빌딩이나 맨션 등 빌딩에 있어서 각층에 설치한 여러 급수구 (급수전이나 급탕기로의 급수부 등)에 급수하기 위한 급수설비로서는 수도관에서 채워 넣은 물을 빌딩의 옥상 등에 설치한 급수탱크에 일단 저장한 후에 이 급수탱크로부터 각 급수구에 급수하는 급수로를 구비한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급수설비에 있어서는 종래, 그 수질을 유지하기 위해서 정수장에서 수도물에 넣은 염소의 멸균력에 의존하고 있었다.
그러나 급수탱크의 내부를 정기적으로 청소하는 등 정비를 소홀히 해, 균종류나 조류(藻類) 등의 증식에 의한 수질 악화를 일으키는 사례가 다발했기 때문에 수질의 보전이 의무화 되었다.
그래서 급수탱크 내에 저장한 물에 그 잔류 염소농도에 따라서 염소공급장치로부터 하이포아염소산 소다수용액 등의 염소제를 공급해서 멸균처리하는 방법과, 그것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가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1 참조).
그러나 상기 공보에 기재된 방법 및 장치에서는 하이포아염소산 소다수용액 등 자극성이 있는 염소제를 염소공급장치에 정기적으로 보충할 필요가 있고 시간이 드는데다가 운전비용이 비싸게 든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발명자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등에 개시된 물에 통전해서 멸균처리하기 위한 수처리장치를 이들의 설비에 끼워넣는 것을 검토했다.
상기의 수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수돗물 등의 염소를 포함한 물, 또는 필요에 따라 식염 등을 넣은 물에 전해처리수단에 있어서 직류전류를 통전하면 하기의 전기화학반응을 일으킨다.
(양극 쪽)
4 H 2 -4 e?? 4 H 0 2 ↑ + 2 H 2 0
2 C l - → C l 2 + 2 e -
H 2 O + C l 2 ?? H C l O + H + C l -
(음극 쪽)
4 H 2 O + 4 e - → 2 H 2 ↑ + 4 O H -
(양극 쪽 + 음극 쪽)
H + O H -→ H 2 O
그리고 상기 반응의 과정에서 생성하는 하이포아염소산 또는 그 이온 (H C l O , C l O -)나 염소 ( C l 2 ) 혹은 반응 중, 극히 단시간만 존재하는 활성산소 등의 멸균작용에 의해서 물을 살균처리 할 수 있다.
[특허문헌]
일본 특개평 5-7897 호 공보 (제 0016 란∼제 0020 란, 도 1)
[특허문헌2]
일본 특개 2001-170638 호 공보 (제 0025 란, 제 0027 란∼제 0028 란)
급수탱크식의 급수설비에 수처리장치를 편입시키는 경우는 급수탱크로부터 물을 넣어서 처리후에 급수탱크에 환류하기 위한 처리수로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처리수로의 도중에 물을 처리수로를 통해서 수조에 연속적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펌프와 처리수로를 흐르는 물에 통전해서 연속적으로 전해처리하기 위한 전해처리수단을 설치한 구성으로서, 이러한 수처리장치를 사용해서 연속적으로 혹은 단속적으로 급수탱크 내의 물을 멸균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반응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소가스나 산소가스가 급수탱크내에 저류되지 않도록, 급수탱크의 일부를 개방하는 필요가 있다.
그러나 통상은 완전 밀폐형인 급수탱크의 일부를 개방하는 것은 안전위생상 바람직 하지 않을뿐더러 수도법의 규제에도 적합하지 않다.
또 개방부를 보호했다고 하여도 어느 정도의 이물과 먼지, 쓰레기 등의 진입을 막을 수 있는 것이 아닌 이상, 보호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배기성능이 저하하거나 비용이 들기도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 급수탱크식의 급수설비는 많은 경우, 상기와 같은 빌딩의 옥상 등의, 사람이 그다지 출입하지 않은 장소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같은 장소에 설치된 수처리장치의 예를 들어 배관이나 혹은 수여과를 위한 필터 등에 막힘이 발생하는 등, 장치내부에 물이 체류했을 때 그 발견이 늦어지면, 물에 혼입한 균종류 등이 장치내부에 증식해서 그것이 급수탱크에 유입해서 수질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될 우려가 있다.
또 마찬가지로 수처리장치의 배관의 접속부 등에서 누수가 발생하거나 혹은 전해처리수단이 사용하는 전극이 열화하거나 했을 때 그 발견이 늦어지면 빌딩 내에 침수나 처리효율의 저하에 의해 수질의 악화 등의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또 특히 빌딩의 옥상 등의 옥외에 설치된 수처리장치는 비바람이나 먼지, 쓰레기 등에 휩쓸려 고장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또, 예를 들어 풀, 공중목욕탕의 욕조 등의 비교적 용량이 큰 물탱크에 수처리장치를 편입시킬 경우는 포화농도나 혹은 그것에 가까운 고농도의 식염수를 희석수로 임의의 농도로 희석해서 전해탱크에 저장한 상태에서 전해처리한 후 혹은 전해처리후의 물을 전해탱크와 일체로 형성한 저수탱크에 일단 저장한 후, 이러한 멸균작용을 가지는 물을 멸균처리제로서 펌프를 이용해서 물탱크에 공급하는 구성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종래 다양한 설치장소의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서 전해탱크와 펌프를 따로 놓고 있었으나, 이 경우는 전해탱크의 설치장소와 펌프의 설치장소가 필요해져 오히려 설치장소의 상태에 충분히 대응할 수 없다는 문 제가 있다.
또, 예를 들면 복수의 풀을 갖춘 유희시설이나, 복수의 욕조를 갖춘 목욕탕 시설 등에 있어서, 한 개의 풀이나 욕조마다 한 대의 장치를 설치하였던 것은 각 장치의 제어가 번잡하게 되기 때문에 초기비용이나, 운전비용이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또 상기 수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원료수의 수질에도 따르나 전해탱크 내에 수용한 전극 중에 음극측의 전극의 표면에 수중에 포함되는 칼슘이나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분이 스케일로서 석출하고, 그것이 전극의 표면에서 탈락해서 펌프를 막히게 하거나 물탱크 안에 흘러 들어가서 물을 흐리게 하거나 하는 우려도 있다.
또 상기 수처리장치에 있어서 공기물림이 발생하면, 펌프가 고장나거나 물탱크에 공급하는 물이 뿌옇게 되거나 하는 우려도 있다.
더욱이 희석수를 예를 들어 수도관이나 우물, 혹은 유닛 외에 설치한 물받는 탱크 등의 급수원으로부터 전해탱크에 직접 공급하는 경우는 유닛과 급수원과의 위치관계나 급수원의 수압 등에 의해서 희석수의 수량이 안정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전해탱크에 급수하는 배관의 도중에 감압밸브를 설치해 두고 장치의 설치시에는 물이 급수원으로부터 일정 수량으로 전해탱크에 공급 되도록 이 감압밸브를 조정하는 것이 생각되어지나 감압밸브는 설치시에 조정하는 것만으로 다음은 고정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설비의 낭비인데다, 조정작업이 더해지는 만큼 설치작업이 번잡화 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여러가지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없는 신규 한 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물탱크에 접속해서 사용하는 수처리장치로서 물탱크로부터 물을 넣어 처리 후에 물탱크에 환류하기 위한 처리수로를 설치해서 이 처리수로의 도중에,
물을, 처리수로를 통해서 수조에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와,
처리수로를 흐르는 물에 통전해서 전해처리하기 위한 전해처리수단과,
전해처리수단에서 전해처리 했을 때에 발생하는 가스의 배출구를 가지고 가스를 해당 배출구를 통해서 자동적으로 처리수로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자동 가스 배출밸브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각부를 동작시켜서 장치를 운전하고 또 장치의 운전 중에 전해처리수단에 의한 전해처리와 순환펌프에 의한 물의 순환을 일시정지 시키는 것에 의해 가스의 자동가스 배출밸브의 유입을 촉진시키기 위한 가스 배출 촉진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수단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이다.
청구항 1 의 구성에 의하면 급수탱크내의 물을 처리수로를 통해서 급수탱크에 순환시키면서 처리수로의 도중에 설치한 전해처리수단에 의해 전해처리 하는 것으로 효율적으로 멸균처리하고 그 수질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어수단의 가스배출 촉진제어부의 기능에 의해서 수처리장치를 일시정지 시켰을 때에 통상은 전해처리수단보다 하류 측의 처리수로의 높은 곳에 배치된 자 동 가스배출 밸브에 전해처리 했을 때에 발생하는 가스를 자신의 부력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게다가 효율적으로 모을 수 있다. 그리고 모은 가스를 배출구를 통해서 처리수로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 1 구성에 의하면 급수탱크의 밀폐성을 유지하면서 해당 급수탱크에 가스가 저류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도 있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처리수로의 적어도 자동가스 배출밸브보다 하류측의 부분을 해당 자동가스 배출밸브보다 연직방향 하방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수처리장치이다.
청구항 2 의 구성에서는 처리수로의 자동가스 배출밸브보다 하류측에 흘러 들어간 가스를 수처리장치를 일시정지 시켰을 때에 자신의 부력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자동가스 배출밸브까지 돌려주고, 가스의 배출구를 통해서 처리수로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 2 의 구성에 의하면 급수탱크에 가스가 저류되는 것을 더욱이 확실하게 방지 할 수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처리수로의 자동가스 배출밸브보다 하류측의 연직방향 하방에 설치된 부분의 도중에 물은 통과시키나 가스의 작은 기포는 통과시키지 않는 필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 기재의 수처리장치이다.
청구항 3 의 구성에 의하면 필터의 기능에 의해서 가스의 작은 기포가 그것보다 하류측에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급수탱크에 가스가 저류되는 것을 보다 한층 확실히 방지 할 수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수처리수로의 도중에 해당 처리수로를 흐르는 물의 유량을 검지하기 위한 유량센서와, 처리수로를 닫기 위한 개폐벨브를 설치함과 동시에
제어수단으로 유량센서로 검지한 물의 유량이 소정치 이하일 때, 전해처리수단에 의한 전해처리와 순환펌프에 의한 물의 순환을 정지함과 동시에 개폐밸브를 닫아 처리수로내의 물이 물탱크에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이상통보를 행하기 위한 수류이상 제어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수처리장치이다.
청구항 4 의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배관이나 물여과를 위한 필터 등에 막힘이 발생하거나 해서, 장치내부에 물이 체류했을 때에 이것을 조기에 발견해서 장치의 운전을 정지함과 동시에 개폐밸브를 닫는 것에 의해 장치내부의 물이 급수탱크에 유입하는 것을 방지 할 수가 있다.
또 장치의 오퍼레이터 등에 이상을 통보해서, 수류 이상의 원인이 된 막힘 등의 지장을 조기에 해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장치 내에서 증식한 균종류 등이 급수탱크에 유입해서 수질을 악화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은, 전해처리수단에, 물로의 통전의 전류치를 측정하기 위한 전류센서를 설치하고, 또 처리수로의 도중에, 해당처리수로를 닫기 위한 개폐 밸브를 설치함과 동시에, 제어수단으로 전류센서에 의해서 특정한 전류치가 일정치 이하일 때, 전해처리수단에 의한 전해처리와, 순환펌프에 의한 물의 순환을 정지함 과 동시에 개폐 밸브를 닫고, 물탱크의 물이 처리수로 내에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 이상통보를 행하기 위한 전류이상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수처리장치이다.
청구항 5 의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배관의 접속부 등에서 누수가 발생하거나 혹은 전해처리수단에 사용되는 전극이 열화하거나 했을 때에 이것을 조기에 발견해서 장치의 운전을 정지함과 동시에 개폐 밸브를 잠그는 것에 의해 급수탱크의 물이 장치내부에 유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장치의 운전을 정지함과 동시에 장치의 오퍼레이터 등에 이상을 통보해서 전류이상의 원인이 된 고장을 조기에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를 정지해도 배관의 누수부 등에서 급수탱크 내의 물이 계속 유출하여 빌딩 내에 침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전극의 열화에 수반하는 처리효율의 저하에 의한 수질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후술하는 DSA 전극에서는 열화가 극단으로 진행해 티타늄제의 기재가 노출하면, 티타늄이온이 수중에 용출하는 우려가 있으나, 청구항 5 의 구성에서는 이러한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도 있다.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은, 물탱크에 접속해서 사용하는 수처리장치로서,
물에 통전해서 전해처리하기 위한 전해탱크와,
전해탱크에서 전해처리한 물을 물탱크에 공급하기 위한 펌프와,
전해탱크에서 펌프로의 급수배관과,
이것들의 부재를 수용해서 유닛화하기 위한 틀체를 구비함과 동시에,
틀체내를 제1의 공간과 그 직하의 제 2 의 공간으로 분할해서,
제1의 공간에 전해탱크를 수용하고, 또한 제 2 의 공간에 펌프와 급수배관을 수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이다.
청구항 6 의 구성에 의하면 전해탱크와 펌프를 상하로 쌓아올려서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유닛으로서의 틀체의 설치면적을 지금까지보다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작업 등을 간략화 해서 설치장소의 상태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은, 제 2 의 스페이스에 펌프의 방향과 위치를 다르게 하여 설치하기 위한 펌프의 설치 위치를 여러 곳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6 기재의 수처리장치이다.
청구항 7 의 구성에 의하면 펌프의 설치위치를 변경함으로서, 유닛으로서의 틀체의 방향이나 설치위치를 변경하는 일 없이 펌프로부터 물탱크로의 배관의 방향이나 위치를 임으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장소의 상태로 더욱이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청구항 8 기재의 발명은, 급수배관에 복수펌프의 설치위치에 대응하는 복수의 배관 접속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7 기재의 수처리장치이다.
청구항 8 의 구성에 의하면, 1대의 수처리장치를 사용해서 복수의 물탱크에 멸균작용을 가지는 물을 멸균처리제로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복수의 풀을 구비한 유희시설이나 복수의 욕조를 구비한 욕장시설 등에 있어서 수처리장치의 제어를 간략화 할 수 있는데다가, 초기비용이나 운전비용을 저감할 수도 있다.
청구항 9 기재의 발명은, 전해탱크에 전해처리한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수탱크를 설치함과 동시에 급수배관의 물의 입구를 저수탱크의 저면에서 연직방향 상방에 돌출시킨 상태에서 급수배관을 저수탱크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6 기재의 수처리장치이다.
청구항 9 의 구성에 의하면, 전극에서 탈락한 스케일은 저수탱크의 밑에 고이기 때문에, 그 위의 스케일을 포함하지 않은 물을 급수배관의 물의 입구에서 거두어 들여서 펌프로 보낼 수 있다.
따라서 스케일이 펌프를 막히게 하거나 물탱크 내에 흘러 들어가서 물을 탁하게 하거나 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0 기재의 발명은 저수탱크의 수위가 미리 설정한 만수위 또는 갈수위에 달하는 것을 검지하기 위한 수위센서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갈수위를 급수배관의 물의 입구보다 연직방향 상방에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9 기재의 수처리장치이다.
청구항 10 구성에 의하면, 펌프를 정지해서 저수탱크로부터 송수를 정지하는 기준이 되는 갈수위를 급수배관의 물의 입구보다 연직방향 상방에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공기물림이 발생해서 펌프가 고장나거나 물탱크에 공급하는 물이 뿌옇게 되거나 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1 기재의 발명은, 제 1 의 공간 바로 위 전해탱크에 공급하는 희석수를 저장하기 위한 희석수탱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6 기재의 수처리장치이다.
청구항 11 의 구성에 의하면 급수원으로부터의 물을 일단 희석수탱크에 저장한 후, 전해탱크에 공급하고 있기 때문에, 감압벨브 등을 설치하는 일 없이 희석수의 수량을 항상 안정시킬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도 1 은 이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수처리장치 1을 빌딩이나 맨션의 옥상 등에 설치한 음료수용의 급수탱크 2 에 접속해서 물의 멸균 및 급수탱크 2 내의 정화에 사용하기 위한 구조를 간략화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2는, 상기 수처리장치 1의 실체배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해서, 이 예의 수처리장치 1 은 급수탱크 2에서 물 w1 을 넣어서 전해처리수단 11 에 의해서 전해처리 한 후에 다시 급수탱크 2 에 환류시키기 위한 처리수로 100 을 가진다.
도 1 에 있어서 부호 21 은, 수도관 등의 급수원으로부터 급수탱크 2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배관 22 는 급수탱크 2로부터 빌딩이나 맨션의 각 실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배관이다. 또 배관 21의 급수탱크 2로의 접속부에는 해당 급수탱크 2의 수위의 상하에 따른 플로트 24의 상하운동에 수반해서 개폐되고, 그것에 의해 급수탱크 2 의 수위를 일정범위로 유지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플로트 밸브를 설치하고 있다.
또 부호 23 은 상기 플로트 밸브가 고장나는 등 해서 급수탱크 2 의 수위가 미리 설정한 상한치를 뛰어넘을 때에 잉여의 물을 배수구 D 1 에 흘러보내기 위한 오버플로배관이다.
전해처리수단 11 은 , 도 2 에 나타나듯이, 처리수로 100 을 형성하는 배관 100a 의 도중에 삽입한 해당 배관 100a 보다 지름이 큰 통형상의 광주리 형상 몸체 11a 와, 이 광주리 형상 몸체 11a 내에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한 상태로 배치한 도면에서는 바로 앞의 1 장 밖에 나타내지 않았으나 실제로는 복수장의 전극 11b 를 구비한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1c 는 각 전극 11b 로부터 각각 광주리 형상 몸체 11a 의 밖까지 연설한 단자부로서, 전극 11b 에 배선을 접속하기 위한 단자로서의 기능과 광주리 형상 몸체11a 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절연체 등을 통해서 고정하는 것으로 전극 11b 를 광주리 형상 몸체 11a 안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 고정부로서 기능을 겸해서 구비하고 있다. 때문에 위치의 결정과 고정을 보다 확실하게 해야 하며, 도면의 예에서는 단자부 11c 를 각전극 11b 에 각각 두 개씩 설치하고 있다.
전극 11b 중의 양극측의 전극으로서는 상술한 전기화학반응에 의해서 하이포아염소산 등을 생성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전극 (DSA전극)을 사용한다.
이러한 DSA전극으로서는 예를 들어, 금 (Au) , 백금 (Pt) , 파라듐 (Pd) , 백금-파라듐 (Pt-Pd) , 백금-이리듐 (Pt-Ir) 등의 전기화학반응시에 촉매로서 기능을 하는 귀금속의 박막을 티타늄 (Ti)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판의 표면전면에 도금이나 소성처리 등에 의해서 코팅한 것을 들 수가 있다.
또 음극측의 전극으로서는 상기 티타늄제 기판 등을 그대로 사용할 수가 있다.
또 특히 양극측의 전극의 급속한 열화나 음극측의 전극으로의 스케일의 부착 등을 억제해서 두 전극을 장수명화(長壽命化)하기 위해, 두 전극의 극성을 정기적으로 역전시켜서 전해처리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 경우 양쪽의 전극을 DSA전극으로 하면 좋다.
또 이 예에서는, 도2의 실선의 화살표에서 나타내듯이 처리수로 100을 형성을 하는 배관 100a를 전해처리수단 11에 대해서 물이 연직방향 하방에서 유입해서 연직방향 상방으로 유출하도록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수소나 산소 등의 가스를 전해처리수단 11 의 광주리 형상 몸체 11a 안에 체류시키는 일 없이 수류에 의해 원활히 하류측에 유출시킬 수 있다.
도 1 , 2 를 참조해서 처리수로 100 의 전해처리수단 11보다 상류측에는, 수처리장치 1 이나 급수탱크 2 를 유지, 보수할 때 등에 닫혀져, 양자간을 차단하기 위한 밸브 V1 과, 도시하지 않은 제어수단으로부터 제어신호에 의해서 개폐되는 전자밸브 (개폐밸브) V2 와 물 w1 을 처리수로 100 내에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 P1 을 이 순서로 설치하고 있다.
또 처리수로 100 의 전해처리수단 11 보다 하류측에는 전해처리한 물에 미네랄분을 보급하기 위한 미네랄 보급부 M1 과 수여과를 위한 여과기 12 와 처리수로 100 안을 흐르는 물의 유량을 검지하기 위한 유량센서 S1 로서의 플로스위치와 특히 배관 100a 의 접속부 등에서 누수가 발생해서 수처리장치 1 의 운전을 정지함과 동시에 전자밸브 V2를 잠그었을 때, 급수탱크 2로부터 하류측의 배관 100a 안에 물이 계속 유입해서 누수부로부터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지밸브 V3 과 수처 리장치 1 이나 급수탱크 2 를 유지, 보수할 때 등에 잠구어 양자간을 차단하기 위한 밸브 V4를 이 순서로 설치한다.
또 처리수로 100 에는, 미네랄 보급부 M1 과 여과기 12 와의 사이에 분기점 J1 부터 분기시켜, 도 2 에 나타나듯이 연직방향 상방으로 향해서 분기수로 101을 연설하고 있고 그 상단에 자동가스 배출밸브 13을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 처리수로 100 의 자동가스 배출밸브 13 의 전후의 부분, 구체적으로는 미네랄 보급부 M1 에서 여과기 12 까지의 부분을 해당 자동가스 배출밸브 13 보다 연직방향 하방에 설치하여 처리수로 100 안을 흐르는 가스를 자신의 부력에 의해 자동가스 배출밸브 13에 자동적으로 모을 수 있다.
상기 각부 중에 미네랄 보급부 M1 은 도 2 에 나타낸 탱크 M1a 내에 예를 들어 입상(粒狀)의 맥반석, 산호사 등의 천연물이나 혹은 세라믹스 등의 인공물 등의 미네랄분의 공급원이 되는 물질을 물과 접촉 가능한 칼럼모양 등으로 해서 수용한 것이다. 그리고 처리수로 100 을 통해서 탱크 M1a 안에 물을 공급해서 이것들의 물질과 접촉시키면, 수중에 미네랄분이 용출해서 보급된 후, 처리수로 100 의 하류 측에 송출된다.
여과기 12 는, 도 3 에 나타나듯이 상하를 닫은 통형상의 광주리 형상 몸체 12a와 이 광주리 형상 몸체 12a 내에 설치한 통형상의 필터 12b 를 갖는다. 또, 광주리 형상 몸체 12a에는 그 상부에, 처리수로 100을 형성하는 배관 100a 를 접속하고 있다.
또, 필터 12b 의 통의 하단은, 광주리 형상 몸체 12a 에 의해 닫혀 있음과 동시에, 상단은 광주리 형상 몸체 12a 의 꼭대기면에 형성한 칸막이 12e, 12f 와 접속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광주리 형상 몸체 12a 안을 처리수로 100 의 상류측 (도에 있어서 좌측, 및 필터 12b 의 통의 외측) 과, 하류측 (도에 있어서 우측, 및 필터 12b 의 통의 내측) 에 칸막이 되어있다.
필터 12b 는 천연 혹은 화학섬유제의 부직포 등의 다공질체, 특히 전해수에 대해서 내성을 가지는 폴리염화비닐이나 폴리오레핀 (폴리에티렌)제의 다공질체로 형성하고 있음과 동시에 그 개구직경을 순환펌프 P1 을 작동시키는 것으로 처리수로 100 에 발생하는, 미리 설정된 수압이 통의 외측에 가해졌을 때에 물은 통의 내측에 통과시키지만, 수중에 혼입한 가스의 작은 기포나 미네랄 보급부 M1 에서 이탈한 맥반석, 산호사 등의 파편, 혹은 급수탱크 2에서 넣은 물 w1 에 혼입해 있었던 작은 고형물 등은 통과시키지 않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여과기 12 에 있어서는 도면중에 실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듯이, 처리수로 100 의 상류측에서 전해처리한 물이 공급되면, 해당 물이 먼저 광주리 형상 몸체 12a 내의 필터 12b 에 의해서 칸막이 된 통의 외측의 영역에 유입한 후, 필터 12b를 통해서 통의 내측에 유입한다.
그런데 물에 침입한 가스의 작은 기포나 고형물은, 상술한 필터 12b 의 기능에 의해 통의 외측에 유치된다.
이 때문에 처리수로 100 의 여과기 12 보다 하류측에는 가스의 작은 기포나 고형물이 제거된 뽀얗게 흐린 것이 없는 깨끗한 물이 송출된다.
자동가스 누출밸브 13 은 도 4 (a) (b) 에 나타나듯이 분기수로 101 의 꼭지부를 닫은 상판 101a 에 설치한 개구 101b 를 통해서 분기수로 101 내와 연결된 위를 닫은 통형상의 광주리 형상 몸체 13a 와 이 광주리 형상 몸체 13a 안에서 상하동 자유롭게 설치된 플로트 13b 와 광주리 형상 몸체 13a 의 꼭지부에 형성한 가스의 배출구 13c 와 플로트 13b 의 상하동에 따라서 배출구 13c 를 닫고 [도4(a)], 또는 열기 [도4(b)] 위한 링크기구 13d가 부착된 뚜껑체 13e 를 구비한다.
전해처리수단 11 에 의한 전해반응을 행했을 때에 발생한 가스의 작은 기포의 일부는 분기점 J1 에서 주류로부터 떨어져 분기수로 101 을 상승해서 직접적으로 개구 101b 에 도착한다. 그리고 이 개구 101b 의 부근이나 혹은 개구 101b 를 통과한 자동가스 배출밸브 13 의 광주리 형상 몸체 13a 안 등에서 다수가 하나가 되는 것으로 물로부터 분리되어 가스의 큰 덩어리가 된다.
또 기포의 잔부는, 상기와 같이 처리수로 100 의 분기점 J1 보다 하류측에 흘러 들어가서 필터 12b 에서 통과를 방해받는 것으로, 필터 12b 의 통의 외측에 유치된다. 그리고 유치된 기포는 다수가 하나가 되는 것으로 물에서 분리해서 보다 더 큰 가스의 덩어리로서 광주리 형상 몸체 12a 의 꼭지면 부근이나 그것에 연결하는 상류측의 배관 100a 내에 체류하나, 특히 가스배출 촉진을 위한 일시정지시, 미처 체류하지 못한 잉여가스가 처리수로 200 을 거꾸로 돌아가, 자신의 부력에 의해 분기수로 101 을 상승해서 개구 101b 에 도착해서 해당 개구 101d 를 통해서 자동가스 배출밸브 13 안에 유입한다.
그리고 이들 가스 g 의 덩어리나 혹은 아직 이 시점에서 가스 g 의 덩어리와 접촉하지 않고 남아 있는 작은 기포는 광주리 형상 몸체 13a 와 플로트 13b와의 틈새를 통과해서 해당 광주리 형상 몸체 13a 안의 플로트 13b 보다 위의 영역에 이동한다.
도 4(a)에 나타나듯이 플로트 13b가 상승위치에 있고 뚜껑체 13e 가 배출구 13c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가스 g 의 유입, 이동이 계속되면, 해당 광주리 형상 몸체 13a 안의 플로트 13b 보다 위의 영역에서 가스 g 가 서서히 축적되어 그 내압이 서서히 상승하고 그것에 수반하여 플로트 13b 가 서서히 하강을 개시한다. 이 하강은 특히 수처리장치 1 의 일시정지에 의해서 수압이 저하한 상태에서 급속히 진행한다.
그리고 플로트 13b 가 도 4(b) 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하강하면 링크 기구 13d 에 의해서 뚜껑체 13e 가 회동하고 배출구 13c 가 열려서 열린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수처리장치 1 의 일시정지를 해제하고, 운전을 개시하면 이번에는 물 w1의 수압에 의해서 플로트 13b가 서서히 상승을 개시하고, 그것에 수반해서 광주리 형상 몸체 13a 내의 플로트 13b 보다 위의 영역에서 축적된 가스 g 가 배출구 13c를 통해서 계통외에 배출된다.
그리고 가스 g 의 배출이 진행되어, 플로트 13b 가 도 (b) 에 나타난 위치까지 상승하면 링크 기구 13d 에 의해서 뚜껑체 13e 가 회동해서 배출구 13c 를 닫기 때문에 다시 닫힌 상태가 되어 가스 g 의 축척이 개시된다.
자동가스 배출밸브 13 은 이상의 동작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가스 g 를 자동적으로 계통외에 배출하는 움직임을 한다.
다시 도 1, 2 를 참조해서, 처리수로 100 에는 순환펌프 P1 과 전해처리수단 11과의 사이의 분기점 J2 에서 분기해서 밸브 V5 를 거쳐 배수구 D1 에 이르는 배수로 102 와 분기점 J1 과 여과기 12 와의 사이의 분기점 J3 에서 분기해서 밸브 V6 을 거쳐 상기 배수로 102 와 밸브 V6 보다 하류측의 합류점 J4 에서 합류하는 배수로 103을 접속하고 있다. 밸브 V5, V6 은 수처리장치 1의 운전시에는 닫아두고 유지, 보수할 때 등에 열어서 수처리장치 1 안의 물을 빼기 위한 것이다.
또 도2에서는 처리수로 100 중에 밸브 V1 보다 하류측에서 또 밸브 V4보다 상류측의 부분만 기재되어 있고, 밸브 V1, V4 는 기재하고 있지 않다. 또 배수로 102 도 배수구 D1 에 이르는 도중의 부분까지 밖에 기재하고 있지 않다. 이것은 도시한 부분을 후술하는 외장커버 안에서 수영해서 유닛화 하고 있기 때문이다.
밸브 V1, V4 는 이 유닛과는 따로 미리 급수탱크 2 에 부착해 둔다. 그리고 유닛의 설치시에 도면의 유닛의 처리수로 100 의 기단 100b 를 밸브 V1 에 잇는 배관과 접속함과 동시에, 말단 100c 를 밸브 V4 에 잇는 배관과 접속해서, 더욱이 배수로 102 의 말단 102a 에 배수구 D1 에 달하는 배관을 접속해서 수처리장치 1 을 구성한다.
그렇게 하면 수처리장치 1 의 운전시에는 급수탱크 2 에서 물이 도면 중에 화살표로 나타나듯이 기단 100b 를 통해서 처리수로 100 에 유입해서 상기의 각부를 통과해서 처리된 후, 마찬가지로 화살표로 나타내듯이 말단 100c 를 지나서 급수탱크 2 에 환류된다. 또 유지, 보수할 때에 밸브 V1, V4 를 닫아서 V5, V6 을 열면 수처리장치 1 내의 물이 배수로 102, 103 을 경유해서 도면 중에 흑색표시 화살표에서 나타나듯이 말단 102a 를 통해서 배수구 D1 에 배수된다.
도 5 는 도 1 의 수처리장치 1 의 전기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수처리장치 1 은 전해처리수단 11 의 전극 11b 에 통전제어하면서 상기 각부를 작동시키는 제어수단 30 을 구비하고 있다.
유량센서 S1 과 상기 각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던 전해처리수단 11 에 의한 물로의 통전의 전류치를 측정하기 위한 전류센서 S2 의 출력은 제어수단 30 에 주어진다. 제어수단 30 안에는 각종 동작의 타이밍을 규정하기 위한 타이머 31 과 각종동작의 기준이 되는 초기치 등을 등록 한 메모리 32 를 설치하고 있다.
제어수단 30 은 양 센서 S1 , S2 의 출력 타이머 31 에 의해 규정한 타이밍 및 메모리 32 에 기록한 초기치 등에 기초하여 여러 종류의 연산을 행하고 그것에 기초하여 제어신호 드라이브 33 으로 준다. 그리고 드라이버 33 은 받은 신호에 기초하여 전극 11b 로의 통전제어를 행하고, 또 순환펌프 P1 의 구동제어를 행함과 동시에 전자밸브 V2 의 개폐제어를 행한다.
제어수단 30 에 의한 수처리장치 1 의 운전시의 제어의 일례를 도 6 에 나타낸다.
먼저 스텝 SP1 에 있어서 오퍼레이터 등이 수처리장치 1 의 운동개시를 지시하면 제어수단 30 은, 스텝 SP2 에 있어서 미리 메모리 32 에 기록한 동작의 기준이 되는 초기치를 읽어낸다.
이러한 초기치로서는 예를 들어,
· 수처리장치 1 의 운전개시 후, 유량센서 S1 에 의한 유량검지와, 전류센서 S2 에 의한 전류치측정을 개시할 때까지의 기다리는 시간 T1,
· 수처리장치 1을 그 운전 중에 가스배출 촉진을 위해서 일시정지 시키는 간격을 규정하기 위한 시간 T2,
· 상기 일시정지의 길이를 규정하기 위한 시간 T3,
· 전류센서 S2에 의해서 측정한 전류치 C 로부터 배관의 누수나 전극 11b 의 열화의 유무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하는 토대치 C1
등을 들 수가 있다.
이 중 기다리는 시간 T1 를 규정하고 있는 것은 순환펌프 P1 을 동작시키고 나서 처리수로 100 내의 수류가 안정 할 때까지, 또 전극 11b 에 통전해서부터 상술한 전기화학반응이 안정할 때까지의 다소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제어수단 30 은 스텝 SP3 에 있어서 전자밸브 V2 가 닫혀 있는 경우에는 이것을 열고, 또 순환펌프 P1 을 구동해서 처리수로 100 내에 물을 순환시킴과 동시에 전극 11b 에 통전해서 전기화학반응을 개시시킴으로서 수처리장치 1 의 운전을 개시한다. 또 그것과 함께 타이머 31 을 리셋 (T=0) 해서 계시를 개시한다.
그리고 스텝 SP4 에 있어서 타이머 31 에 의한 계시시간 T 가 상술한 기다리는 시간 T1 에 달하는 (T = T1) 까지 대기한 후 스텝 SP5 로 진행해 유량센서 S1 에 의한 처리수로 100 을 흐르는 물의 유량의 검지를 개시한다.
또한 이 예에서는, 유량센서 S1 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유량이 미리 설정한 소정치 이상 (스위치 ON) 이거나 소정치 미만 (스위치 OFF) 인지를 검지하는 플로스위치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유량의 검지는 이러한 플로스위치가 ON 인지 OFF 인지의 검지이다.
≥ 처리수로 100 의 배관 100a 이나 필터 12b 등에 막힘이 발생하지 않은 정상상태에서는 플로스위치는 ON 이 된다. 이 때문에 제어수단 30 은 다음에 스텝 SP6 으로 진행해 전류센서 S2 를 사용한 전해처리수단 11 에 의한 물로의 통전 전류치 C 의 측정을 개시한다.
배관 100a 의 누수나 전극 11b 의 열화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상태에서는 전류치 C 는 상술한 토대치 C1 이상 (C ≥ C1) 의 값을 나타낸다. 이 때문에 제어수단 30 은 다음으로 스텝 SP7 로 진행해서 타이머 31 에 의한 계시시간 T 가, 상술한 수처리장치 1 을 일시정지 시키는 간격을 규정하기 위한 시간 T2 에 달하는가 그렇지 않은가를 판정해서, 달하지 않은 경우 ( T < T2 ) 에는 스텝 SP8 로 진행하여 오퍼레이터 등에 의해서 수처리장치 1 의 운전종료가 선택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운전종료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P4 로 돌아가 스텝 SP4 ∼ SP8을 반복하면서 수처리장치 1의 운전을 계속한다.
한편 배관 100a 나 필터 12b 등에 막힘이 발생해서 처리수로 100을 흐르는 물의 유량이 저하하고 유량센서 S1로서 플로스위치가 OFF가 되면 제어수단 30 은 스텝 SP5에 있어서 이것을 검지해서 도 7(a) 의 서브루틴 스텝 SP10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SP10 에 있어서 순환펌프 P1 을 정지함과 동시에 전극 11b 로의 통전을 정지해서 수처리장치 1 의 운전을 정지하고 계속해서 스텝 SP11 에 있어서 전자밸브 V2 를 잠그고, 수처리장치 1 과 급수탱크 2 와의 사이의 자유로운 물의 유통을 방지한다. 즉 순환펌프 P1 을 정지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급수탱크 2 내의 물에 증감 등에 따라서 처리수로 100 내에 수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문에 오퍼레이터 등이 수처리장치 1 의 설치장소에 와서 밸브 V1, V4 를 닫을 때까지 사이에 비록 수처리장치 1 안에 균류가 증식해도 그것이 상기의 수류를 타고 급수 탱크 2 에 유입해서 수질을 악화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텝 SP12 에서 제어수단 30 은 제어판 등에 설치한 이상통보수단 (경보 램프, 경보 부자 등) 을 작동시켜서 오퍼레이터 등으로의 이상통지를 개시하고 그것에 깨달은 오퍼레이터 등이 운전정지를 지시할 때까지, 스텝 SP13 에 있어서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계속 대기한다.
그리고 스텝 SP13 에서 유지, 보수를 하기 위해서 운전정지가 지시되면 제어수단 30은 스텝 SP14 에 진행해서 수처리장치 1 의 모든 운전을 정지한다.
또 도 6 에 메인루틴에 있어서 배관 100a 의 누수나 전극 100b 의 열화가 발생해서 전류센서 S2 에 의해서 측정한 전류치 C 가 토대치C1 미만 (C<C1) 이 되면 제어수단 30은 스텝 SP6 에 있어서 이것을 검지해서 도 7(b) 의 서브루틴의 스텝 SP15 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SP15 에 있어서 순환펌프 P1 을 정지함과 동시에 전극 11b 로의 통전을 정지해서 수처리장치 1 의 운전을 정지하고 계속해서 스텝 SP16 에 있어서 전자밸브 V2 를 잠근다.
그렇게 하면 특히 누수가 발생하고 있을 경우에는 해당 전자밸브 V2 와 역지 밸브 V3 이 오퍼레이터 등이 수처리장치 1 의 설치장소에 와서 밸브 V1, V4 를 잠글 때까지의 사이 상술했듯이 급수 탱크 2 로부터 배관 100a 내에 물을 유입해서 누수부로부터 계속 유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비록 수처리장치 1 내에서 균종류 등이 증식해도 그것이 상술한 수류를 타고 급수탱크 2 에 유입해서 수질을 악화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스텝 SP17 에서, 제어수단 30 은 이상통지수단을 작동시켜서 오퍼레이터 등에게 이상통보를 개시하고 그것을 깨달은 오퍼레이터 등이 운전정지를 지시할 할 때까지 스텝 SP18 에 있어서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대기를 계속한다.
그리고 스텝 SP18 에서 유지, 보수를 행하기 위해서 운전정지가 지시되면, 제어수단 30 은 스텝 SP19 로 진행해서 수처리장치 1 의 모든 운전을 정지한다.
또 도 6 의 메인루틴 중 스텝 SP5 및 SP6 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이상이 검지되지 않고 정상적인 운전을 계속 해 가면 결국에는 타이머 31 에 의한 계시시간 T 가 상술한 시간 T2 에 달한다 (T = T2).
그러면 제어수단 30 은, 스텝 SP7 에 있어서 이것을 검지해서 도 7(c) 의 서브루틴의 스텝 SP20 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SP20 에 있어서 순환펌프 P1 을 정지함과 동시에 전극 11b 로의 통전을 정지해서 수처리장치1 의 운전을 일시적으로 정지하고, 또한 타이머 31 을 리셋해서 일시정지의 시간 계시를 개시한다.
다음으로 스텝 SP21 에 있어서 타이머 31 에 의한 계시시간 T 가 상술한 일시정지의 길이를 측정하는 시간 T3 에 달할 때까지 일시정지상태를 계속 한 후, 스텝 SP22 에 진행해서 순환펌프 P1 를 구동해서 처리수로 100 내에 물을 순환시킴과 동시에, 전극 11b 에 통전해서 전기화학반응을 개시시키는 것으로 수처리장치 1 의 운전을 재개한다. 또 그것과 함께 타이머 31 을 리셋 (T=0) 하고 계시를 개시해서 도 6 의 메인루틴의 스텝 SP4 로 돌아가, 처리수로 100 내의 수류가 안정되고, 또 전극 11b 로 통전하고부터 전기화학반응이 안정할 때까지 스텝 SP4 에서 대기 한 후, 스텝 SP4∼SP8 을 반복해서 통상운전을 계속한다.
그리고 스텝 SP8 에 있어서, 오퍼레이터 등에 의해서 수처리장치 1 의 운전정지가 지시되면, 제어수단 30 은 스텝 SP9 로 진행하고, 순환펌프 P1 을 정지함과 동시에 전극 11b 로의 통전을 정지해서 수처리장치 1 의 운전을 종료한다.
이상의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처리수로 100 의 막힘이나 누수, 전극 11b 의 열화 등의 발생을 감시하면서 급수탱크 2 내의 물을 멸균처리 할 수 있다.
도 8 은 상기 예의 수처리장치 1 중 도 2 에 나타난 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 외장커버 4 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의 외장커버 4 는 직방체현상을 이루고 그 중 저판 40 위에 도 2 의 유닛이 설치된다. 부호 41 은 상기저판 40 과 일체로 형성한 배판이다. 또 부호 42 는 상기저판 및 배판 41 의 2 면을 제외한 직방체 4 면을 구성하고 또 저판 40 에 대해서 도중에 흑색 화살표 및 백색 화살표로 나타내듯이 전후로 슬라이드 해서 개폐 되는 커버 본체이다.
커버본체 42 는 도면의 반개상태에서 흑색 화살표로 나타내듯이 안에 슬라이드 시켜서 완전히 닫은 상태로 나사 N 에 의해서 저판 40 및 배판 41 로 고정된다. 또 이 고정상태에 있어서 서로 겹쳐지는 배판 41 의 구멍 41a 와 커버 본체 42 의 구멍 42a에 자물쇠를 채워서 잠글 수도 있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 오퍼레이터 이외의 열쇠를 가지지 않은 제 3 자가 수처리장치 1 을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향상 할 수 있다.
도 9(a) 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수처리장치 1 을 풀이나 욕조 등의 물탱크에, 멸균작용을 가지는 물을 멸균처리제로서 공급하는 공급원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9(b) 는 상기 수처리장치 1 의 좌측면도이다.
이들 그림으로 보듯이 이 예의 수처리장치 1 은 물에 통전해서 전해처리하기 위한 전해탱크 14 와 전해탱크 14 에서 전해처리한 물을 도시하지 않은 물탱크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 P2 와 전해탱크 14 로부터 펌프 P2 로의 급수배관 104 를 틀체 15 내에 수용해서 유닛화 한 것이다.
틀체 15 는 전해탱크 14를 수용한 제 1의 공간 15a 와, 그 직하의 펌프 P2 와, 급수 배관 104 를 수용한 제 2의 공간 15b 로 분할하여 계층화하고 있다. 이 때문에 틀체 15 의 설치 면적을 지금까지보다도 작게 하여, 설치장소의 상태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가 있다.
전해 탱크는, 이 예의 경우 도 10 에 나타내듯이, 상부에 개구를 갖는 광주리 형상 몸체 14a 와 상기 개구를 덮는 뚜껑체 14b 를 갖음과 동시에, 광주리 형상 몸체 14a 내를 칸막이판 14c 에서 2 개로 칸막이하여, 그 중 한 쪽을 도면에서는 바로 앞 쪽의 1 장밖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복수매의 전극 16 을 수용한 전해탱크영역 14d 로 하고, 또한 다른 쪽을 전해탱크영역 14d 에서 전해처리한 물 w3 을 저장하기 위한 저수탱크영역 14e 로 하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6a 는 각 전극 16 으로부터 각각 뚜껑체 14b 의 위까지 연장한 단자부로서 도시하지 않은 전원으로부터의 배선을 접속한다. 또 부호 105 는 전해탱크 영역 14d 로 희석수와 식염수를 소정의 농도로 혼합한 물 w2 를 공급하기 위한 배관이다.
배관 105 로부터 연속적으로 또는 단속적으로 전해탱크 영역 14d 로 물 w2 를 공급하면서 전극 16 으로 통전하면 물 w2 는 해당 전해탱크 영역 14d 에서 전해처리되어 멸균작용을 가지는 물 w3 이 된 후 칸막이판 14c 부분에서 넘쳐나와서 인접하는 저수탱크 영역 14e 에 공급되어 저장된다.
저수탱크 영역 14e 의 저부에는 배수배관 104 의 물의 입구 104a 를 해당 저수탱크영역 14e 의 저면에서 연직방향 상방으로 치수 h1 만 돌출시킨 상태로 접속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극 16 으로부터 스케일이 탈락해도 저수탱크영역 14e 의 바닥으로 멈추게 할 수 있고 게다가 스케일을 포함하지 않는 물 w3 을 급수배관 104 의 물의 입구 104a 로부터 거두어들여 펌프 p2 로 보낼 수 있다. 따라서 스케일이 펌프 P2 를 막히게 하거나 물탱크 내에서 흘러 들어가서 물을 탁하게 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부호 S3 은 저수탱크 영역 14e 안에서 저장한 물 w3 의 수위를 검지하기 위한 수위 센서이다.
수위 센서 S3 은 뚜껑체 14b 의 하면에서 저수탱크 영역 14e 의 저면으로 향해서 연장한 세 개의 전극 S3a∼S3c 를 가진다.
이 중 공통전극 S3a 는 그 선단을 저수탱크 영역 14e 의 저면근방의 급수배관 104의 물의 입구 104a 보다 밑 즉 항상 물 w3 이 존재하는 높이까지 연장하고 있다. 또 갈수위전극 S3b 는 그 선단을 미리 설정한 저수탱크영역 14e 의 갈수위의 높이까지 연장하고 있고, 만수위전극 S3c 는 그 선단을 미리 설정한 저수탱크 영역 14e 의 만수위의 높이까지 연장하고 있다.
수위센서 S3은, 저수탱크 영역 14e 의 수위가 하강해서, 갈수위 전극 S3b 의 선단의 물로부터 떨어져서 해당 갈수위 전극 S3b 와 공통전극 S3a 와의 도통이 차단되는 것으로 갈수위를 검지하고 거꾸로 수위가 상승하고 만수위 전극 S3c 의 선단이 물과 접촉해서 해당 만수위 전극 S3c 와 공통전극 S3a 가 도통하는 것으로 만수위를 검지한다.
그리고 이 검지결과를 기초로해서 펌프 P2 나 후술하는 희석수탱크의 펌프, 식염수탱크의 펌프 등을 구동제어해서 저수탱크영역 14e 의 수위를 상기 갈수위와 만수위의 사이에서 조정하기 위해 기능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펌프 P2 는 기본적으로 풀 등의 물탱크의 잔류염소농도의 측정결과 등에 기초해서 구동제어되지만 수위센서 S3 으로 갈수위를 검지 했을 때에는 상기의 구동제어에도 불구하고 강제적으로 정지된다. 또 희석수탱크의 펌프나 식염수탱크의 펌프는 수위센서 S3 으로 갈수위를 검지했을 때에 구동되어 만수위를 검지 했을 때에 정지된다.
이 때문에 저수탱크영역 14e 의 수위는 통상상태에서는 갈수위와 만수위와의 사이에서 조정되어 그것 이상으로도 이하로 되는 일이 없다. 게다가 갈수위 전극 S3b의 선단의 높이에 의해서 규정된 갈수위는 급수배관 104 의 물의 입구 104a 로부터 치수 h2 만 연직방향 상방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물의 입구 104a 가 수면의 위로 나와서 급수배관 104 안으로 공기가 침입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공기물림이 발생해서 펌프 P2 가 고장나거나 물탱크로 공급하는 물이 뿌옇게 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부호 106 은 급수배관 104 가 막히거나 펌프 P2 가 고장나거나 하여 저수탱크 영역 14e 의 수위가 만수위를 넘었을 때에 잉여의 물 w3 을 탱크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배관이다.
도 9 및 도 11(a)를 참조해서 급수배관 104 는 전해탱크 14 의 저부부터 연직방향 하방으로 연장되고, 틀체 15 중, 제2의 공간 15b 를 구성하는 저판 15c 의 근방까지 도달하는 종관 104b 와 두 개의 엘보관 104c, 104d 와 직사각형상인 상기 저판 15c 의 일방의 긴 변의 근방에 설치한 횡관 104e 를 이 순서로 접속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 중 종관 104b 의 상단이 상술한 물의 입구 104a 이다.
또 횡관 104e 의 측면에는 도 9(a) 중에 두점 쇄선으로 나타내듯이 펌프 p2 의 배관을 접속하기 위한 복수 (도면에서는 4개) 의 배관 접속부 104f 를 설치하고 있고 배관을 접속하지 않은 분의 배관 접속부 104f 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떼어낼 수 있는 지수전(止水栓)에 의해서 잠겨 있다.
또 횡관 104e 의 말단에는 엘보관 104g 를 통하여 연직방향 상방에 이어지는 종관 104h 를 접속하고 있고, 이러한 종관 104h 의 상단은, 상기 배수배관 106 에 접속하고 있다.
종관 104h 는, 급수배관 104 내에 혼입한 공기나 혹은 상기 가스등의 작은 기포를 배수배관 106 으로 보내어 급수배관 104a 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 설치하고 있다.
또 부호 V7, V8 은 수처리장치 1 의 유지, 보수시 등에 종관 104b, 104h 를 닫아서 전해탱크 14 와 급수배관 104 를 차단하기 위한 밸브이다.
이러한 급수배관 104 는 엘보관 104c, 104d, 104g 및 횡관 104e 의 방향을 바꾸는 것으로 도 11(b) 에 나타나듯이 횡관 104e 를 도 11(a) 와는 반대측의 저판 15c 의 긴 변의 근방에 다시 설치 할 수 있다.
또 저판 15c에는 횡관 104e 를 도 11(a) 의 위치에 배설했을 때 펌프 P2 를 설치 할 수 있는 설치위치 A1 을 배관 접속부 104f 와 동수의 4 곳, 설치함과 동시에 횡관 104e 를 도 11(b) 의 위치에 설치했을 때 펌프 P2 를 설치 할 수 있는 설치위치를 A2 를 역시 배관 접속부 104f 와 같은 4곳에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1 대의 펌프 P2 를, 8 곳의 설치위치 A1, A2 중 어느 쪽에도 설치해서 물탱크로의 배관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유닛으로서 틀체의 방향이나 설치 위치를 변경하는 것 없이 펌프로부터 물탱크로의 배관의 방향이나 위치를 임의로 변경 할 수 있는 설치장소의 상태에 더욱 유연하게 대응 할 수 있다.
또 2 대 이상의 복수대의 펌프 P2 를 복수의 설치위치 A1, A2 로 설치해서 복수의 물탱크에 물 w3 을 공급할 수도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복수의 풀을 구비한 유희시설이나 복수의 욕조를 구비한 욕장시설 등에 있어서 수처리장치의 제어를 간략화 할 수 있는데다가 초기비용이나 운전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부호 107 은 수처리장치 1 의 유지, 보수시 등에 전해탱크 14 중 상기 전해탱크 영역 14d 의 물을 빼기 위한 배수관으로, 통상은 도중에 설치한 밸브 V9 를 잠그고 폐쇄하고 있다. 또 부호 108 은, 마찬가지로 저수탱크 영역 14e 의 물을 빼기 위한 배수관으로 통상은 도중에 설치한 밸브 V10 을 잠궈서 폐쇄하고 있다.
이들 배수관 107, 108 은 도시하지 않은 배수관 106 과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배수관 106, 배수관 107, 108 의 배수는 이것도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상기 배수관 106 의 말단 106a 에 접속한 배수구 입구에 달하는 배관을 통하여 배수된다.
도 12 는, 상기 각부에서 이루어지는 수처리장치 1 의 유닛 중 제 1 의 공간 15a 의 직상에 전해탱크 14 에 공급하는 희석수를 저류하기 위한 희석수탱크 17 을 설치한 변형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다.
부호 109 는 수도관 등의 급수원으로부터 희석수탱크 17 에 희석수 w4 를 공급하기 위한 배관 105a 는 희석수탱크 17 로부터 펌프 P3 에 의해서 희석수 w4 를 전해탱크 14 로 공급하기 위한 배관 105b 는 도시하지 않은 식염수탱크로부터 포화농도나 혹은 그것에 가까운 고농도의 식염수를 전해탱크 14 에 공급하기 위한 배관 이다. 앞의 도 10 의 예에서는 이 두 개의 배관 105a, 105b 를 하나로 묶어서 전해탱크 14 에 접속하고 있었으나 이 예와 같이 따로 접속해도 좋다.
또 배관 109 의 희석수탱크 17 로의 접속부에는 해당 희석수탱크 17 의 수위의 상하에 따른 플로트 17a 의 상하동에 수반하여 개폐되어 그것에 의해 희석수탱크 17 의 수위를 일정범위로 유지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플로트 밸브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전해탱크 14 위에 희석수탱크 17 을 설치해서 희석수 w4 를 해당 희석수탱크 17 에 일단 저장한 후, 펌프 P3 에 의해서 전해탱크 14 로 공급한 경우에는 유닛과 급수원과의 위치관계나 급수원의 수압 등에 관계없이 희석수 w4 의 수량을 항상 안정시킬 수 있다.
이 발명은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 청구항 기재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본원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물탱크에 저장한 물을 전해처리 수단에 의해 전해처리하여, 멸균처리함으로서, 수질을 유지할 수가 있다. 또한 제어수단에 의해, 그리고 필터의 기능에 의해 가스를 가스 배출구를 통하여 처리수로 밖으로 배출시킬 수가 있으므로 급수탱크에 가스가 저류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수류 이상 제어부에 의해 장치 내에서 증식한 균 종류 등이 급수탱크에 유입하여 수질을 악화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1)

  1. 물탱크에 접속해서 사용하는 수처리장치로서,
    물탱크로부터 물을 넣어서, 처리 후에 물탱크로 환류하기 위한 처리수로를 설치하고, 이 처리수로의 도중에,
    물을 처리수로를 통해서 물탱크에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펌프와,
    처리수로를 흐르는 물에 통전하여 전해처리하기 위한 전해처리수단과,
    전해처리수단으로 전해처리 했을 때에 발생하는 가스의 배출구를 가지고 가스를 해당 배출구를 통해 자동적으로 처리수로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자동가스배출밸브와,
    처리수로의 적어도 자동가스배출밸브보다 하류측의 부분을 해당 자동가스배출밸브보다 연직방향 하방으로 설치하고, 해당 자동가스배출밸브보다 연직방향 하방으로 설치한 처리수로의 부분의 도중에 물은 통과시키지만 가스의 작은 기포는 통과시키지 않는 필터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각부를 동작시켜 장치를 운전하고, 또 장치의 운전 중에 전해처리수단에 의한 전해처리와, 순환펌프에 의한 물의 순환을 일시 정지시키는 것에 의해 가스의 자동가스 배출밸브로의 유입을 촉진시키기 위한 가스배출촉진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수단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처리수로의 도중에, 해당 처리수로를 흐르는 물의 유량을 검지하기 위한 유량센서와 처리수로를 닫기 위한 개폐밸브를 설치함과 동시에,
    제어수단으로 유량센서로 검지한 물의 유량이 소정치 이하일 때, 전해처리수단에 의한 전해처리와, 순환펌프에 의한 물의 순환을 정지함과 동시에, 개폐밸브를 잠그고 처리수로내의 물이 물탱크에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이상통보를 행하기 위한 수류이상 제어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전해처리수단에 물로의 통전의 전류치를 측정하기 위한 전류센서를 설치하고, 또 처리수로 도중에 해당 처리수로를 잠그기 위한 개폐밸브을 설치함과 동시에 제어수단으로 전류센서에 의해서 측정한 전류치가 일정치 이하일 때, 전해처리수단 에 의한 전해처리와, 순환펌프에 의한 물의 순환을 정지함과 동시에 개폐밸브를 닫아서 물탱크의 물이 처리수로 내에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이상통보를 행하기 위한 전류이상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30076642A 2002-10-31 2003-10-31 수처리장치 KR1005661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18899A JP4259850B2 (ja) 2002-10-31 2002-10-31 水処理装置
JPJP-P-2002-00318899 2002-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866A KR20040038866A (ko) 2004-05-08
KR100566126B1 true KR100566126B1 (ko) 2006-03-30

Family

ID=32461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6642A KR100566126B1 (ko) 2002-10-31 2003-10-31 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259850B2 (ko)
KR (1) KR100566126B1 (ko)
CN (1) CN1254438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45524A (zh) * 2016-01-12 2016-06-08 波鹰(厦门)科技有限公司 一种采油废水生化后残余cod和色度的处理装置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27710B2 (ja) * 2008-09-19 2013-07-03 三洋電機株式会社 電解水生成装置、及び、除菌システム
JP4697294B2 (ja) * 2008-12-05 2011-06-0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解水生成装置
JP4678052B2 (ja) * 2008-12-05 2011-04-27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解水生成装置
JP5135385B2 (ja) * 2010-06-11 2013-02-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解水生成装置
JP5690942B2 (ja) 2011-08-24 2015-03-25 森永乳業株式会社 電解水製造装置
CN103048822B (zh) * 2013-01-11 2015-08-26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基板涂布机的管路排泡方法、装置及相应的涂布机
JP6280007B2 (ja) * 2014-09-10 2018-02-14 ビクトリージャパン株式会社 飲料水供給装置
KR101642662B1 (ko) * 2015-07-14 2016-07-26 (주)미라클인 전해기능을 가지는 급수펌프
JP2017056397A (ja) * 2015-09-15 2017-03-23 株式会社東芝 電解水供給システム
JP6506730B2 (ja) * 2016-11-01 2019-04-24 株式会社日本トリム 電解水サーバー
AU2018395014B2 (en) * 2017-12-28 2021-10-21 Kyungdong Navien Co., Ltd. Hot water mat and sterilization module
KR102509559B1 (ko) * 2021-06-22 2023-03-14 주용현 다지점 수질 연속 측정 시스템
KR102549468B1 (ko) * 2021-12-01 2023-06-29 서재원 전해수 생성장치
CN114477555B (zh) * 2022-03-01 2023-03-10 安徽医科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重症手术清洗用废水处理机构及智能清洗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45524A (zh) * 2016-01-12 2016-06-08 波鹰(厦门)科技有限公司 一种采油废水生化后残余cod和色度的处理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866A (ko) 2004-05-08
JP2004148266A (ja) 2004-05-27
JP4259850B2 (ja) 2009-04-30
CN1498855A (zh) 2004-05-26
CN1254438C (zh)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6126B1 (ko) 수처리장치
KR100404949B1 (ko) 용수처리장치
US7008529B2 (en) Water treating device
KR100404948B1 (ko) 용수처리장치
JP4289848B2 (ja) 水処理装置
AU595145B2 (en) Electrolytic pool chlorinator
US4693806A (en) Chlorine generator device
AU2015268102A1 (en) Improved chemical management for swimming pools
AU2017225104A1 (en) Device for manufacturing sodium hypochlorite or hypochlorous acid and water treatment system in general
JPS6213080B2 (ko)
JPS6320496A (ja) 自動化塩素発生装置
JP4693886B2 (ja) 水処理装置
JP3326096B2 (ja) 貯留式給水装置
JP3495680B2 (ja) 水処理装置
JP3437911B2 (ja) 水質維持装置
JP4039869B2 (ja) 水処理装置
JP3999967B2 (ja) 水処理装置
RU2135417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воды ионами серебра
JP3505457B2 (ja) 水処理装置
JP2657944B2 (ja) 流水形水電解式消毒器
JP3398103B2 (ja) 水処理装置
JP2001293476A (ja) 水処理装置
JP4693881B2 (ja) 水処理装置
JP3643243B2 (ja) 供給水の貯留方法
JPH0994577A (ja) 飲料用水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