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2190B1 - 데이터통신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2190B1
KR100402190B1 KR1019960033867A KR19960033867A KR100402190B1 KR 100402190 B1 KR100402190 B1 KR 100402190B1 KR 1019960033867 A KR1019960033867 A KR 1019960033867A KR 19960033867 A KR19960033867 A KR 19960033867A KR 100402190 B1 KR100402190 B1 KR 100402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idi
interface
signal
digital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3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3917A (ko
Inventor
요시오 오사카베
히사토 시마
마코토 사토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13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3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1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0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audio data, e.g. different tracks for different langu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41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 coded form
    • G10H1/0058Transmission between separate instruments or between individual components of a musical system
    • G10H1/0066Transmission between separate instruments or between individual components of a musical system using a MIDI interfa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2Synchronisation of signals having the same nominal but fluctuating bit rates, e.g. using buffers
    • H04J3/0632Synchronisation of packets and cells, e.g. transmission of voice via a packet network, circuit emulation service [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58Isochronou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71Packet processing; Packet forma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117Interconnection of audio or video/imag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81Protocol or standard connector for transmission of analog or digital data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 G10H2240/315Firewire, i.e. transmission according to IEEE1394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11B2220/2529Mini-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11B2220/91Helical scan format, wherein tracks are slightly tilted with respect to tape direction, e.g. VHS, DAT, DVC, AIT or exabyte
    • G11B2220/913Digital audio tape [DAT] form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오디오 신호 및 음악/악기 신호와 같은 실시간 디지털 신호을 입력 또는 출력하기 위한 장비에서의 단자수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제1 변환기 및 제2 변환기는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신호 포맷과 IEEE-1394의 신호 포맷간의 상호 변환 기능이 제공된다. 예를 들면, 제1 CD 플레이어로부터 제1 변환기로 출력된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신호를 전송하여, 이 신호를 여기서 IEEE-1394 등시성 전송 포맷으로 변환하고 이를 제2 변환기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리고 패킷을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로 복귀시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MD 레코더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미디 신호 포맷과 IEEE-1394 신호 포맷간 상호 변환 기능을 갖는 변환기가 제공될 때, 복수의 미디 악기들간에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Description

데이터 통신 방법
본 발명은 디지털 오디오 신호 및 음악/악기 신호와 같은 실시간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신호를 입력 또는 출력하기 위한 장치 내 단자 수를 줄이며 디지털 오디오 신호 및 음악/악기 신호를 공통의 포맷으로 전송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오디오 장치 및 전자 악기를 디지털 신호 라인으로 서로 접속하여, 디지털 신호의 전송을 수행하는 것이 최근에 일반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IEC 958 문서에 규정된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이하 간단히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라 함)는 공안이나 사무용의 디지털 오디오 장비에서 사용된다.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전송 예를 도25에 도시하였다. 도25에서, 출력 인터페이스(81)는 예를 들면 콤팩트 디스크(CD) 플레이어 내에 장치되며, 입력 인터페이스(89)는 예를 들면 미니디스크(MD) 레코더 내에 장치된다. 더욱이, 출력 인터페이스(81)의 레지스터(82)에 기입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이 레지스터로부터 판독되어 패리티 비트 부가 회로(83) 내의 에러 정정 코드가 부가되고, 이어서 신호는 바이페이즈(biphase) 변조/동기 패턴 부가 회로(84)에서 동기 패턴의 바이페이즈 마크 변조(biphase mark modulation) 및 부가 처리되고,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맞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형성되어, 예를 들면, CD 플레이어의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된다. 이어서, 신호는 예를 들면 MD 레코더의 입력 단자로부터 동축 케이블(85) 또는 광섬유 케이블(87)을 통해 입력 인터페이스(89)로 입력된다. 여기서, 광섬유 케이블(87)을 통한 전송에서,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맞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예를 들면 CD 플레이어에 제공된 전송 모듈(86)에 의해서 광학 신호로 변환되며, 광학 신호는 예를 들면 MD 레코더에 제공된 수신 모듈(88)에 의해서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맞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된다.
입력 인터페이스(89)에서,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동기 패턴 검출/바이페이즈 복조 회로(90)에 의한 동기 패턴의 검출 및 바이페이즈 마크 복조 처리되며, 패리티 비트 체크 회로(91)에서 에러 정정 처리되고, 레지스터(92)를 통해 원래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복귀되어, 예를 들면 MD 레코더의 디지털 사운드 기록 회로(도시없음)로 보내진다.
더구나, MD 레코더로부터 다른 MD 레코더로 또는 디지털 오디오 테이프(DAT) 레코더로 디지털 사운드 기록을 행할 때, 그리고 DA 변환기가 구비된 디지털 전치 증폭기에 MD 레코더를 접속하여 직접적으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도록 할 때, MD 레코더에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도26은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서브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더욱이, 도27은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서브프레임, 프레임 및 블록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프로토콜에서, 서브프레임은 스테레오 신호의 채널 1(좌측 채널) 또는 채널 2(우측 채널) 및 4개 채널 스테레오 신호의 채널 1, 2, 3, 및 4를 전송한다. 더욱이, 서브프레임은 다음과 같이 총 32 비트 부분들로 구성된다.
1. 동기, 프리앰블(preamble) ... b0부터 b3까지 4비트 부분
2. AUX(보조 비트) ... b4부터 b7까지 4비트 부분
3. 오디오 데이터 ... b8부터 b27까지 20비트 부분
4. 유효 플래그 ... b28인 1비트 부분
5. 사용자 데이터 ... b29인 1비트 부분
6. 채널 상태 ... b30인 1비트 부분
7. 패리티 비트 ... b31인 1비트 부분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은 서브프레임의 2배인 64비트 부분의 길이를 얻는다. CD에서, 샘플링 주파수는 44.1kHz이며, 16비트를 갖는 2채널 스테레오 신호가 기록된다. CD 신호가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의해서 전송될 때, 16비트 CD 데이터의 MSB는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서브프레임의 b27에 배치되고, 그 이후 LSB까지 b12에 배치된다. 또한, 서브프레임의 b11 내지 b8의 4개의 비트에 02가 배치되고, b7 내지 b4에는 AUX가 배치된다. 따라서, CD 신호의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전송 속도는 44.1kHz x 64비트 = 2.8224 Mbps가 된다. 더욱이,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에서, 샘플링 주파수는 44.1kHz 이외의 48kHz 및 32kHz에 대응한다.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채널 코딩에서, 비트 주기가 T라고 가정할 때 논리 "0"이 T/2의 주기를 갖는 두 개의 비트 002또는 112로 표현되고, 논리 "1"은 T/2의 012또는 102로 표현되는 바이페이즈 마크 변조가 수행된다. 바이페이즈 마크 변조의 최대 반전 간격은 비트 주기 T이며, 이의 최소 반전 간격은 T/2이다.
바이페이즈 마크 변조의 규칙에 반하는 3T/2를 포함하는 고유 심볼(unique symbol)은 동기 및 프리앰블용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심볼은 3개의 형태, 즉 블록의 시작 및 채널 1의 시작 B, 채널 1의 시작 M, 및 채널 2, 3 또는 4의 시작 W를 포함하며,
이 사용된다.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블록은 192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B의 프리앰블은 블록의 시작에 배치된다. 더욱이, 하나의 블록 부분의 192 비트의 테이블 내에 채널 상태를 형성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장비의 제어 신호 및 장비의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어떠한 데이터도 이 테이블 내에 규정되어 있지 않다.
어떠한 어드레스 정보도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부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점 대 점(point-to-point)간 통신, 즉, 케이블로 접속된 장치들간에만 데이터 전송이 수행된다. 따라서, 비디오 장치 및 증폭기의 텔레비전 세트(TV) 및 오디오 시스템의 수신기와 같이 신호 접속의 중심이 되는 장치에서,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신호 라인들은 복수의 디지털 오디오 장비로부터 트리 형상으로 집중하여 접속된다.
도28은 복수의 오디오 장비 및 비디오 장비가 디지털 증폭기에 집중하여 접속된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예에서, 디지털 사운드 튜너(101), 스피커(103), CD 플레이어(104 및 105), MD 레코더(106), DAT 레코더(107) 및 디지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이하, DVCR이라 함)(108)가 DA 변환기가 제공된 디지털 증폭기(102)에 집중하여 접속된다.
더욱이, 각각의 장치는 상술한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신호 라인(동축 케이블 및 광섬유)에 의해서 단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서로 접속된다.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단방향 전송만을 할 수 있기 때문에, 2개의 신호 라인이 양방향으로 접속된 장치간에(MD 레코더(106), DAT 레코더(107), DVCR(108) 및 디지털 증폭기(102)의 각각의 장치간에) 제공된다.
도28에 도시한 시스템에서, 조력 없이 또는 자동으로 예를 들면 CD 플레이어(104)로부터 MD 레코더(106) 내에 사운드 기록 등을 행하기 위해서는 이들 장치 간에 상기한 것에 대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어떠한 방법도 앞에서 기술한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 내에 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어를 위한 또 다른 인터페이스를 결합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디지털 증폭기102)가 제어 버스에 의해서 각각의 장치에 접속된다. 제어에 대해 이러한 인터페이스에 여러 가지 기준이 있다.
더욱이, 최근에, 수행 정보, 제어 정보, 동기 정보 등은 악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미디: MIDI) 표준(이하 간단히 미디 악기라 함)에 의해 규정된 인터페이스에 의해서 서로 접속된 전자 악기간에 전송된다.
미디 표준은 미디 인(IN) 단자(이하 인이라 함), 미디 아웃(OUT) 단자(이하 아웃이라 함), 및 미디 쓰루(THRU) 단자(이하 쓰루라 함)와 같은 3가지 형태의 단자를 포함하며, 미디 악기에는 통상 인 및 아웃이 장치되며, 쓰루 또한 많은 악기에 제공되어 있다. 쓰루는 있는 그대로 인으로부터 입력된 미디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 단자이다.
미디 악기(마스터)(110)의 아웃이 미디 전용 케이블(이후, 미디 케이블이라 함)에 의해 미디 악기(슬레이브)(111)에 접속되고 미디 악기(110)의 키보드를 연주할 때, 미디 악기(111)가 함께 실행된다. 마스터가 되는 것은 전자 악기와 같은 미디 및 키보드를 갖는 시퀀서의 데이터를 발생하는 장비이며, 미디 제어기라 불리운다. 슬레이브로서, 키보드가 없는 음원만을 갖는 음원 모듈이 접속될 수 있다.
미디 악기(112)의 아웃을 또 다른 미디 악기(113)의 인에 접속하는 것이 하능하고, 또한 쓰루을 또다른 미디 악기(114)의 인에 종속 형태로 접속할 수 있고, 더욱이 쓰루를 또 다른 미디 악기(115)의 인에 도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속 형태로 접속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서 동시의 복수의 미디 악기를 연주하게 할 수 있다. 미디 신호가 쓰루를 통과할 때마다 열화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3 내지 4세트들이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은 쓰루에 의해 종속 접속으로 제한된다.
그러므로, 복수의 미디 악기를 서로 접속하기 위해서, 도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디 악기(116)의 아웃이 패러박스(parabox ; 쓰루 박스라고도 함)(117)에 입력되고, 쓰루 박스의 출력이 복수의 미디 악기(118 내지 121)의 인에 접속되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많은 수의 미디 악기가 접속될 때, 미디 케이블이 쓰루 박스 등에 집중되는 문제가 있다.
통상의 미디 통신에서, 전송(마스터)측에서 수신(슬레이브)측이 올바르게 수신하고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개루프(open loop)로 전송이 수행된다. 그러나, 나중에 설명되는 샘플링 데이터의 전송으로서 미디 신호 중 데이터양이 클 때, 데이터는 패킷 전송을 실행하기 위해 분할된다. 이 때, 데이터가 올바르게 보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에러 체크가 행해지는 기능이 제공되어 있으며, 데이터가 올바르게 보내지지 않은 경우 재전송이 요구된다. 이것을 핸드쉐이크(handshake)에 의한전송으로 불리운다. 핸드쉐이크가 행해질 때는 도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디 케이블로 미디 슬레이브(123)의 아웃에 미디 마스터(122)의 인을 접속하는 것이 요구된다.
미디 악기에는 인 및 아웃 단자가 구비되어 있으나, 마스터 및 슬레이브의 관점이 고정된 단방향 통신이 수행되며 양방향 통신에 대한 어떠한 통신도 행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슬레이브로 설정된 미디 악기의 키보드가 한번이라도 연주될 때라도 마스터의 미디 악기는 소리를 낼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도30에 도시한 종속 접속된 시스템에서, 또한 도31에 도시한 쓰루 박스를 사용한 시스템에서, 마스터로서 사용된 장비가 미리 결정되고, 연주를 위해 미디 악기의 접속 순서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결국, 악기가 제거될 때, 재 설정한다는 것은 불편한 것이며, 이에 따라, 한번 설정된 악기의 구조는 변경 등을 행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야기된다.
미디 악기 간에 전송된 메시지는 미디 메시지라 불린다. 미디 메시지는 한 바이트 이상의 바이트열로 표현된다. 도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디 메시지의 바이트열은 상태 바이트 및 데이터 바이트로 분할된다. 상태 바이트는 미디 메시지의 형태를 표현하며, MSB 비트 7은 "1"이다. 상태 바이트는 통상 한정된 수의 데이터 바이트에 의해서 달성된다. 그러나, 어떤 메시지들은 데이터 바이트에 의해 달성되지 않는다. 데이터 바이트의 MSB 비트 7은 "0"이다.
도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디 메시지는 두 개, 즉 채널 메시지 및 시스템 메시지로 분류된다. 채널 메시지는 개개의 악기를 제어하기 위한 수행 정보이며,시스템 메시지는 전체 미디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 동기 정보 등이다. 악기 등 간의 접속에 관계된 제어 명령은 미디 메시지에 할당되지 않기 때문에, 시스템 설정, 구조 변경 등은 미디 표준을 통해 수행될 수 없다.
시스템 메시지는 시스템 전용 메시지, 시스템 공통 메시지 및 시스템 실시간 메시지로 분류된다. 채널 메시지는 채널 음성 메시지(이하 음성 메시지라 함) 및 채널 모드 메시지(이하 모드 메시지라 함)를 포함한다.
미디 메시지에서, 데이터 바이트의 수는 시스템 전용 메시지를 제외한 2 바이트 이하, 즉, 상태 바이트를 포함하는 3 바이트 이하가 된다. 도34에서, 상태 바이트를 16진수로 표현하는 소문자 n은 미디 채널을 지정하는 데 사용된다.
미디 채널을 지정하는 방법이 도35에 도시된다. 복수의 미디 악기가 도30 또는 도31의 미디 케이블에 의해 미디 제어기에 접속될 때, 미디 채널을 지정함으로서 개별적으로 개개의 미디 악기를 연주할 수 있다. 미디 채널은 4비트를 가지며, 최대 16 채널을 지정할 수 있다.
도36은 미디 채널을 사용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미디 제어기(124)에는 3 세트의 미디 악기(125, 126, 127)가 접속된다. 미디 악기(125)는 색소폰의 음색을 설정하고, 미디 악기(126)는 피아노 음색을 설정하며, 미디 악기(127)는 전기 베이스의 음색을 설정한다. 더욱이, 각각의 부분에 대한 연주 데이터가 미디 제어기(124)로부터 보내질 때, 각각의 악기는 각 부분에 대한 소리를 발생시킨다.
기술한 바와 같이, 수신측(슬레이브)에 복수의 미디 악기 중 특정 미디 악기를 지정하여 미디 채널에 의해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미디 표준에서 가능하다.그러나, 상태 바이트의 하위 부분의 4비트는 미디 채널의 지정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16 이상의 수로 미디 채널을 증가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도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은 미디 표준의 31.25kps(±1%) 전송 속도로 비동기 직렬 전송으로 수행된다. 전송은 시작 비트, 비트 0, ..., 비트 7 및 정지 비트(모두 10비트) 순서로 이루어지고, 시작 비트는 논리 "0"이며 정지 비트는 논리 "1"이다. 한 바이트를 전송하는데 10 x (1/31.25kHz) = 320μs가 필요하다. 미디 시스템에서 한 사운드를 생성하는 노트-온(note-on) 메시지용으로 3바이트가 필요하기 때문에, 미디로 한 사운드를 생성하는 데에는 320μs x 3 = 대략 1ms가 걸린다.
샘플링 기능이 제공된 미디 악기를 샘플러라 한다. 샘플링은 사용자가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악기의 생 음색을 생성하여 메모리 등에 이들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재생시, 디지털 데이터는 사운드를 생성하기 위해 언제라도 메모리로부터 취해진다. 일반적인 시스템 전용 메시지 중 하나인 샘플 덤프(sample dump)는 샘플러로부터 취해진 샘플링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인 시스템 전용 메시지에 의해서, 다른 제조자에 의해 제조된 미디 악기간에 데이터를 전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샘플 덤프는 샘플러의 샘플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공통 포맷이다.
도37은 3 개의 미디 메시지, 즉 샘플 덤프 요청, 덤프 헤더 및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포맷을 도시한 것이다. (1)에서 덤프 요청이 미디 악기에 의해 출력될 때, (2)에서 덤프 헤더가 전송되고 이어서 (3)에서 데이터 패킷이 전송된다. 데이터 패킷은 127 바이트의 고정된 길이를 가지며, 데이터 길이는 최대 120 바이트이다.
통상, 샘플된 파형 데이터는 수십 K바이트이며, 많은 수의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데 필요로 된다. 이러한 많은 양의 데이터가 동시에 전송될 때, 미디의 전송 및 수신의 처리를 위해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동시에 채널 메시지와 같은 수행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통상 미디 입력/출력 기능에는 시스템 전용 메시지가 전혀 수신되지 않도록 턴 오프하기 위한 스위치가 제공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 기준에는 아래의 (1) 및 (2)에 설명한 문제가 있었다.
(1) 2개의 전송 라인은 양방향 전송을 행하기 위해 필요하게 되며, 입력 및 출력의 2개의 단자는 장치측에서 필요로 한다.
(2) 전송 라인은 시스템의 중심이 되는 장치에서 증가하며, 복수의 입력 및 출력 단자가 집중된다. 또 다른 인터페이스가 제어하는 데 필요로 될 때, 장치에 입력하기 위한 단자수 및 이 장치로부터 출력하기 위한 단자수가 증가한다.
더욱이, 종래의 미디 표준에 따른 메시지의 전송에는 아래 (3) 내지 (7)에 설명한 문제가 있었다.
(3) 미디 악기 내에 인 및 아웃 단자가 구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방향 통신만이 규정되어 있고, 이에 따라 양방향 통신에 적용할 수 없다.
(4) 시스템의 마스터가 되는 미디 악기는 고정되어 있어, 이에 따라 유연한 미디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5) 복수의 악기가 접속될 때, 케이블이 쓰루 박스에 집중된다.
(6) 전송 속도가 느려, 대량의 데이터를 전송하기가 곤란하다.
(7) 시스템의 접속 정보 및 접속을 위한 제어 명령이 준비되어 있지 않다.
더욱이, CD 플레이어와 같이 이전에 기술된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장비에 의해 재생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에 전자 악기의 수행 정보의 다중 합성을 수행하고, 또는 MD 레코더에 의해 기록/재생된 음성에 전자 악기의 수행 정보의 다중 합성을 수행하는 것이 예상되나, 미디 표준의 데이터 포맷 및 데이터 전송 속도, 및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디지털 형식으로 전자 악기와 디지털 오디오 장비를 접속하기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제적인 환경 면에서 행해진 것으로, 입력/출력 단자 수를 감소시키는 데이터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며, 특히 시스템의 중심이 되는 장치의 신호 및 제어에 요구되는 케이블 및 단자 수는 단방향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종래의 시스템과 비교하여 또한 감소된다.
더욱이, 본 발명이 목적은 전자 악기의 기능을 개선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양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1의 변환기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1에 도시한 시스템에서 등시성 및 비동기 데이터 전송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IEEE-1394의 등시성 패킷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IEEE-1394 등시성 데이터 전송 모드에서 CIP 헤더의 일반적인 명세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디지털 오디오, 음악/악기 등의 포맷 지정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서 CIP 헤더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는 본 발명에서 SYT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서 데이터 포맷 지정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서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샘플링 주파수가 44.1kHz일 때의 변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서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샘플링 주파가 48kHz일 때 변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서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샘플링 주파가 32kHz일 때 변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서 등시패킷(isopacket)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양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14에 도시한 변환기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IEEE-1394 비동기 데이터 전송 모드에서 데이터 블록 패킷에 대한 기록 요청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IEEE-1394 비동기 데이터 전송 모드에서 데이터 쿼들렛 패킷(data quadlet packet)에 대한 기입 요청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IEEE-1394 직렬 버스의 비동기 데이터 전송 모드에서 FCP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CTS=00002일 때, FCP 프레임 내의 미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FCP 프레임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CIP 헤더의 EMP=0001002의 음악/악기에 관한 포맷의 DATAF의 비트 할당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등시성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미디 악기의 블록도.
도 23은 IEEE-1394 직렬 버스의 등시성 전송 모드에서 시스템 전용 메시지를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양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25는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7은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서브프레임, 프레임 및 블록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8은 디지털 증폭기에 집중하여 복수의 오디오 장비 및 비디오 장비가 접속된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9는 미디 표준에 따른 전자 악기의 접속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0은 종속 형태(cascade form)로 미디 악기를 접속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1은 쓰루(THRU)를 통해 트리 형태로 미디 악기를 접속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2는 미디 악기에서 핸드쉐이크들(handshakes)이 전송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3은 미디 메시지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34는 미디 메시지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35는 미디 채널을 지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36은 미디 채널을 사용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7은 3개의 미디 메시지로서, 샘플 덤프 요청, 덤프 헤더 및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포맷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4, 35, 104, 105 CD : 플레이어
2, 107 DAT : 레코더
3, 36, 106 MD : 레코더
5, 108 : 디지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6, 7, 37-40 : 변환기
23, 54 : CPU
41 : 개인용 컴퓨터
42 : 하드 디스크 유닛
51, 52 : 버퍼
53 : UART
60 : 음색 합성부
61 : 스위치
62 : 키보드
63 : D/A 변환기
64 : 증폭기
65 : 스피커
81 : 출력 인터페이스
82, 89 : 레지스터
85 : 동축 케이블
87 : 광섬유 케이블
89 : 입력 인터페이스
91 : 패리티 비트 체크 회로
101 : 디지털 사운드 프로그램 튜너
102 : 디지털 증폭기
103 : 스피커
124 : 미디 제어기
31-34, 110, 124, 126, 127 : 미디 악기
상기 언급된 요지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은 디지털 데이터를 단방향으로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포맷이 양방향으로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등시성(isochronous) 전송 포맷 또는 비동기 전송 포맷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디지털 신호는, 예를 들면, 디지털 오디오 신호 또는 음악/악기 신호이다.
본 발명에서, 단방향으로 음악/악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포맷이 디지털 데이터의 양방향 전송에서 비동기 전송 포맷으로 변환될 때, 상기 음악/악기 전용의 포맷으로 전송하고 상기 오디오/비디오 장비용의 전송 포맷으로 전송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더욱이, 단방향으로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또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된 장치에 접속된된 또다른 인터페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어 신호는 양방향으로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비동기 전송 포맷으로 변환될 수도 있으며 등시성 전송 포맷의 디지털 데이터와 함께 전송될 수도 있다.
더욱이, 등시성 전송 포맷의 패킷에 속하는 헤더는, 복수 형태의 디지털 데이터(이를테면. 선형 디지털 오디오, 비선형 디지털 오디오 및 음악/악기 신호)에 공통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등시성 전송 사이클에 동기하여 전송하는 모드 및 복수 형태의 디지털 데이터로 그와 함께 비동기로 전송하는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코드가 헤더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형태의 디지털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코드를 등시성 전송 포맷의 데이터에 부가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더욱이, 단방향으로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동기 신호를 비트 압축하고 양방향으로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등시성 전송의 헤더로 동기 신호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단방향으로서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샘플링 주파수에 관계없이, 양방향으로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등시성 전송 포맷 내의 데이터 블록의 크기를 서로 공통이 되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양방향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전자 악기 모두는 전송측 상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의 2개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IEEE-1394 고성능 직렬 버스(이하, IEEE-1394 직렬 버스라 함)에 적용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이 적용된 양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는 예를 들면,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디지털 오디오 장비로서, CD 플레이어(1), DAT 레코더(2), MD 레코더(3) 및 CD 플레이어(4)가 구비되어 있다. 이들 각각의 디지털 오디오 장비에는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구비되어 있다. 더욱이, CD 플레이어(1) 및 DAT 레코더(2)는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신호 라인 및 제어 버스에 의해서 IEC958/IEEE-1394 변환기(이하 간단히 변환기라 함)(6)에 접속된다. 더욱이, MD 레코더(3) 및 CD 플레이어(4)는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신호 라인 및 제어 버스에 의해서변환기(7)에 접속된다. 더구나, 변환기(6), 변환기(7) 및 DVCR(디지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5)는 IEEE-1394 직렬 버스의 케이블에 의해서 서로 접속된다. DVCR(5)은 IEEE-1394 직렬 버스에 대한 디지털 인터페이스가 구비되어 있어, 변환기를 통하지 않고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전송/수신할 수 있다.
게다가, IEEE-1394 직렬 버스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속-접속된 버스형 토폴로지(bus type topology) 이외의 트리형 토폴로지(tree type topology)를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변환기(6) 및 변환기(7)는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프로토콜 및 IEEE-1394의 프로토콜을 서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경우에,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맞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IEEE-1394 등시성 모드에서 전송된다. 등시성 모드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내의 사이클 마스터가 되며, 동적 이미지 신호, 디지털 오디오 신호 및 음악/악기 신호와 같은 실시간 신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에 의해서 발생된 8kHz(125μs)의 등시성 사이클에 동기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변환기(6) 및 변환기(7)는 제어 버스의 프로토콜과 IEEE-1394의 프로토콜을 서로 변환하는 기능이 또한 구비되어 있다. 이 경우, 제어 버스의 제어 명령은 IEEE-1394 비동기 모드에서 전송된다. 비동기 모드는 실시간이 아닌 모드에서 하드 디스크 구동 유닛과 같은 저장 디바이스에 기록을 데이터를 기록하고 데이터를 판독하는데 사용되고, 장치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2는 변환기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변환기(20)에는 IEEE-1394 직렬버스용 물리 계층 블록(PHY)(21), 링크 계층 블록(LINC)(22), CPU(23) 및 디지털 오디오 I/O(24)가 제공된다.
물리 계층 블록(21)은 IEEE-1394 직렬 버스의 중재(arbitration), 통신 데이터의 인코드/디코드, 및 바이어스 전압의 공급과 같은 물리 계층 제어를 수행한다. 더욱이, 링크 계층 블록(22)에는 비동기 데이터 처리 부분(25) 및 등시성 데이터 처리 부분(26)이 제공되어, 패킷의 발생/검출 및 헤더 CRC 및 데이터 CRC의 발생/검출과 같은 링크 계층 제어를 수행한다. 더욱이, CPU(23)은 응용 계층의 제어를 수행한다. 더욱이, 디지털 오디오 I/O(24)는 링크 계층 블록의 등시성 데이터 처리 부분(26)과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통신하며, CPU(23)와 제어 신호를 통신한다. 더욱이, 디지털 오디오 I/O(24)는 이들 신호의 버퍼링을 수행한다.
앞에서 기술한 도1에 도시한 시스템에서, 예컨대, CD 플레이어(1)에서 재생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맞는 신호로 형성되어 변환기(6)로 전송된다. 변환기(6)에서, 디지털 오디오 I/O(24)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링크 계층 블록(22)의 등시성 데이터 처리 부분(26)으로 보내지며, IEEE-1394의 등시성 데이터 블록 패킷(이하, 등시패킷(isopacket)이라 함)이 여기서 발생되어 물리 계층 블록(21)으로부터 IEEE-1394 직렬 버스로 내보내진다. 변환기(7)에서, 물리 계층 블록(21)으로부터 입력된 등시패킷은 등시성 데이터 처리 부분(26)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I/O(24)로 보내지고, 여기서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맞는 신호로 복귀되어 MD 레코더(3)로 보내져,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여기에 기록된다.
유사하게, CD 플레이어(4)에서 재생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DAT 레코더(2)에 디지털 형식으로 기록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또한, DVCR(5)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기록 영역에서 신호를 디지털 형식으로 기록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제어 명령이 도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전송될 때, CD 플레이어(1)로부터 출력된 제어 명령은 제어 버스를 통해 변환기(6)에 전송된다. 변환기(6)에서, 디지털 오디오 I/O(24)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은 CPU(23)로부터 링크 계층 블록(22)의 비동기 데이터 처리 부분(25)으로 보내지며, IEEE-1394의 비동기 데이터 블록 패킷(이하 비동기 패킷이라 함)이 여기서 발생되어 물리 계층 블록(21)으로부터 IEEE-1394 직렬 버스로 내보내진다. 변환기(7)에서, 물리 계층 블록(21)으로부터 입력된 비동기 패킷은 비동기 데이터 처리 부분(25) 및 CPU(23)를 통해 디지털 오디오 I/O(24)로 보내진다. 이어서, 제어 버스 상의 명령로 복귀되어 MD 레코더(3)로 보내져, 이에 의해서 이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도3은 디지털 오디오 신호 및 제어 명령이 CD 플레이어(1)로부터 MD 레코더(3)로 전송되고, 디지털 오디오 신호 및 제어 명령은 또한 DAT 레코더(2)에서 DVCR(5)로 전송될 때의 타이밍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신호 스트림(A)은 CD 플레이어(1)에서 MD 레코더(3)로 전송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이며, 신호 스트림(B)은 DAT 레코더(2)에서 DVCR(5)로 전송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이다. 이들 신호 스트림(A 및 B)은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변환기(6)에 입력된다.
더욱이, 명령 A의 11A 및 11B는 CD 플레이어(1) 및 MD 레코더(3)에 의해 상호 교환된 제어 명령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더욱이, 명령 B의 12A 및 12B는 DAT 레코더(2) 및 DVCR(5)에 의해 상호 교환된 제어 명령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들 중 일부는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의해 변환기(6)에 입력되었다.
신호 스트림(A 및 B)은 변환기(6)에서 등시패킷으로 변환된 후 125μs의 등시사이클 내에 IEEE-1394 직렬 버스를 통해 전송된다. 이러한 경우 데이터 전송 속도는 100Mbps, 200Mbps 또는 400Mbps 중 어떤 것으로 설정된다. 도3에서, 신호 스트림(A)은 등시패킷(13A 내지 13F)으로 변환되었으며, 신호 스트림(B)은 등시패킷(14A 내지 14F)으로 변환되었다.
더욱이, 명령(11A 및 11B)은 비동기 패킷(15A 및 15B)으로 변환되었으며, 명령(12A 및 12B)은 비동기 패킷(16A 및 16B)으로 변환되었다.
더욱이, 이들 등시패킷 및 비동기 패킷은 IEEE-1394 직렬 버스에서 시분할 멀티플렉스되어 전송된다. 이 때, 등시패킷(13A 내지 13F) 및 (14A 내지 14F)은 다른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IEEE-1394 상의 장비는 등시패킷의 헤더 상에 기입된 채널 번호(이에 대한 상세한 것은 나중에 설명함)를 보고 필요한 등시패킷을 취한다. 더욱이, 비동기 패킷(15A 및 15B) 및 비동기 패킷(16A 및 16B)은 발신지 장비 어드레스 및 목적지 장비 어드레스를 갖는다. 게다가, 그러한 IEEE-1394 직렬 버스 상의 데이터 전송 제어에 대한 상세는 IEEE-1394의 명세가 일반에게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서 설명은 하지 않는다.
IEEE-1394 직렬 버스를 통해 전송된 등시패킷 및 비동기 패킷은 변환기(7)에 입력된다. 등시패킷(13A 내지 13F)은 원래의 신호 스트림(A)으로 복귀되어, 디지털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MD 레코더(3)로 보내진다. 더욱이, 비동기 패킷(15A 및 15B)은 또한 원래의 명령(11A 및 11B)으로 복귀되어 제어 버스를 통해 MD 레코더(3)로 보내진다.
한편, 등기패킷(14A 내지 14F)은 이들이 IEEE-1394 직렬 버스를 통하여 이에 취해질 때 DVCR(5)로 보내진다. 유사하게, 비동기 패킷(16A 및 16B)은 또한 이들이 IEEE-1394 직렬 버스를 통하여 이에 취해질 때 DVCR(5)로 보내진다.
다음에,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맞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IEEE-1394의 등시패킷 상에 배치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4는 IEEE-1394의 등시패킷을 도시한 것이다. IEEE-1394의 데이터 블록패킷은 32비트의 단위로 표현된다(이하 쿼들렛(quadlet)이라 함). 제1 쿼들렛 내에 배치된 채널은 비동기 채널 번호를 나타낸다. 등시채널(isochannel)은 6비트 64 채널에 의해서 식별된다. 태그 필드(tag field)의 2비트가 012일 때, 그러한 2개의 쿼들렛의 공통 등시 패킷 헤더(이하 CIP 헤더라 함)가 데이터 필드의 헤더에 삽입된다. 디지털 비디오 장비, 디지털 오디오 장비 등의 디지털 오디오 비디오 신호의 실시간 데이터를 처리할 목적으로, 태그의 값은 012로 설정된다. 본 실시예의 구성은 태그=012인 경우에 관한 것이다. 게다가, 태그=002일 때, CIP 헤더를 삽입할 필요는 없다.
도5는 태그값이 012로 설정될 때 CIP 헤더를 도시한 것이다. CIP 헤더의 제1 쿼들렛에서, 비트 할당은 포맷에 따라 변경되지 않고 유지된다. 소스 노드(ID)(이하 SID라 함)는 등시패킷을 전송하는 장비의 IEEE-1394 직렬 버스 상의 노드 ID를 나타낸다. 데이터 블록 크기(이하 DBS라 함)는 쿼들렛을 갖는 데이터 블록의 길이를 나타내는 수이다. 분할 수(fraction number)(이하 FN이라 함)는 소스 패킷이 분할되는 데이터 블록의 수이다. 쿼들렛 패딩 카운트(quadlet padding count)(이하 QPC라 함)는 FN이 002이외의 값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소스 패킷 헤더(이하 SPH라 함)는 소스 패킷이 원래의 소스 헤더를 가질 때 12로 설정된다. 데이터 블록 카운터(이하 DBC라 함)는 8비트의 연속 카운터이며 소스 패킷의 전송 차단(transmission off)을 검출하는데 사용된다. CIP 헤더의 제2 쿼들렛 내의 포맷 ID 필드(이하 FMT라 함)는 IEEE-1394 직렬 버스에 의해 전송된 포맷의 식별에 사용된다. 포맷 의존 필드(이하 FDF라 함)의 상세는 FMT에 의해서 결정된다.
도6은 FMT의 할당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DVCR 신호 전송 및 MPEG 신호 전송의 포맷들은 각각 FMT=0000002및 0000012에서 각각 지정된다. 더욱이, 전송 포맷은 비압축 디지털 오디오(이하 선형 오디오라 함)에 대해서 FMT=0000102로 지정되며, 비트 압축된 디지털 오디오(이하 비선형 오디오라 함)에 대해서 0000112로 지정되며, 음악/악기에 대해서는 0001002로 지정된다. FMT=1111102일 때, 제조자에 의한 명세는 CIP 헤더의 규정된 범위 내에서 인정된다. 더욱이, FMT=1111112일 때, 각각의 필드 DBS, FN, QPC, SPH, 및 DBC의 규정은 취소된다.
도7은 선형 오디오, 비선형 오디오 및 음악/악기에 공통인 CIP 헤더를 도시한 것이다. 이 헤더의 포맷은 도5에 도시한 FDF를 데이터 포맷 필드(이하 DATAF라 함) 및 동기 시간(이하 SYT라 함)으로 분할함으로써 형성된다. FTM에 의해 할당된 디지털 오디오의 데이터 전송 포맷 및 음악/악기의 데이터 전송 포맷을 서로 공통이 되게 함으로써, IEEE-1394 직렬 버스 상의 공통 전송이 보다 쉽게 된다.
도8은 SYT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시간 스탬프 값(time stamp value)이 주어질 때, SYT의 16비트는 사이클 카운트의 4비트 및 사이클 오프셋의 12비트로 분할된다. 이 사이클 카운트에서, IEEE-1394 직렬 버스의 사이클 마스터에 제공된 사이클 시간 레지스터의 사이클 카운트의 13비트의 하위 4비트의 값이 사용된다. 사이클 오프셋의 12비트에 대해서, 사이클 시간 레지스터의 사이클 오프셋의 12비트 값이 그 자체로 사용된다.
도9는 선형 오디오의 DATAF의 비트 할당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9에서, 비동기 모드는 등시 모드(isochronous mode)에서 125μs의 사이클과 동기하지 않고 SYT의 시간 스탬프를 이용하는 전송 모드이다. 이 모드는 일반적으로 소비자용 CD 플레이어와 같은 외부 클럭과 동기하지 않는 장비의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 신호를 IEEE-1394 포맷으로 변환하는 데 사용된다.
동기 모드는 125μs의 등시성 사이클에 동기하는 전송 모드이며, CD 플레이어 및 사업 목적용의 레코더의 외부 클럭과 동기할 수 있는 장비에 사용된다.
미가공 오디오(raw audio)의 명세는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I/O 단자가 전혀 없는 장비가 IEEE-1394 직렬 데이터 버스 상의 포맷에 무관한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된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신호 스트림은 소스 패킷을 얻기 위해서 블록 단위로 분할되고, 이것은 이에 부착된 헤더와 함께 전송된다.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에서, 3가지 형태의 샘플링 주파수(이하 Fs라 함) 48kHz, 44,1 kHz 및 32kHz가 명시된다.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한 블록은 192프레임으로 구성되므로, 각각의 Fs 내의 한 블록의 길이는 다음과 같다.
따라서, 가장 큰 한 블록 내에 포함된 각 Fs 내의 등시패킷의 수는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 데이터를 포함하는 등시패킷의 수는 Fs의 값에 상관없이 한 블록 내에 24로 설정된다. 더욱이, 다른 등시패킷에 관하여, 단지 소스 패킷을 갖지 않는 헤더를 구비한 패킷(이하 더미 패킷이라 함)이 전송된다.
한 블록 내의 데이터의 비트수는 64비트 x 192 = 12,288비트이기 때문에, 유효 패킷 내의 데이터의 비트수는 12,288비트 ÷ 24 =512비트이다. 이 숫자가 쿼들렛으로 변환될 때, 16 쿼들렛이 얻어지며, DBC=16=000100002가 얻어진다. 16 쿼들렛은 16 서브프레임 부분, 즉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8 프레임 부분에 대응한다.
도10은 이들 8 프레임을 갖는 등시패킷을 한 단위로서 전송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변환기 내의 버퍼에 저장될 8 프레임의 데이터에 대해 필요한 시간이 각각의 Fs에 관해 계산될 때, 다음이 얻어진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Fs = 44.1kHz인 경우, 한 블록의 전송 동안 대략 35-24=11 더미 패킷이 있고, 하나의 더미 패킷은 거의 2개의 유효 패킷이 전송된 후에 전송된다.
더욱이, Fs가 48kHz일 때,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블록이 전송될 동안 32-24=8 더미 패킷이 있으며, 하나의 더미 패킷은 대략 3개의 유효 패킷이 전송된 후에 전송된다.
유사하게, Fs가 32kHz일 때,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블록이 전송될 동안 48-24=24 더미 패킷이 전송되며, 거의 유효 패킷들 및 더미 패킷들이 교대로 전송된다.
도13은 등시패킷이 포맷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서브프레임 32비트의 콘텐츠(contents)는 등시패킷 있는 등시 패킷에 그대로 전송된다. 그러나, 동기 및 프리앰블의 4비트 부분은
으로 변환된다.
여기서, 002는 통상 **으로 삽입된다. 20비트의 오디오 데이터, 4비트의 보조 데이터, 및 **을 합산하여, 이에 의해 26비트의 오디오 데이터로서 이들을 사용한다.
도13 및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 하나의 등시패킷의 데이터 부분은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신호의 전송시 8프레임 단위로 전송된다.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부분의 제1 쿼들렛은 B 또는 M이며, 데이터 부분은 결코 W로부터 시작하지 않는다. 더욱이, B는 데이터 부분의 제1 쿼들렛에 위치하며, 결코 데이터 부분의 중간에 위치하지 않을 것이다. 비록 오디오 데이터가 처음에 LSB로부터 시작하여 전송될지라도, 처음에 MSB 시작하여 전송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이 적용된 양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도14에 도시하였다. 이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 미디 악기(31 내지 34), CD 플레이어(35), MD 레코더(36), 미디/IEEE-1394 변환기(이하 간단히 변환기라 함)(37 내지 40), 개인용 컴퓨터(41) 및 하드 디스크 유닛(42)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미디 악기(31 내지 34)의 아웃은 각각 미디 케이블에 의해서 변환기(37 내지 40)의 인에 접속되며, 미디 악기(31 내지 34)의 인은 각각 미디 케이블에 의해서 변환기(37 내지 40)의 아웃에 접속된다.
더욱이, 변환기(37 내지 40), CD 플레이어(35), MD 레코더(36), 개인용 컴퓨터(41) 및 하드 디스크 유닛(42)은 IEEE-1394 직렬 버스에 의해 서로 공통으로 접속된다. 요컨데, 이들 장비는 IEEE-1394 직렬 버스 상의 노드(ID)를 갖는다.
변환기(37 내지 40)는 미디 신호와 IEEE-직렬 버스의 프로토콜간 상호 변환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미디 악기(31)의 아웃으로부터 변환기(37)의 인으로 입력된 미디 신호는 변환기(37)에서 IEEE-1394 등시패킷 또는 비동기 패킷으로 변환되어 IEEE-1394 직렬 버스로 전송된다. 역으로, 또 다른 변환기를 통해 또 다른 미디 악기로부터 IEEE-1394 직렬 버스로 전송되어, 변환기(37)에 의해서 수신된 패킷은 여기서 미디 신호로 변환되어 미디 악기(31)의 아웃으로부터 인으로 전송진다.
CD 플레이어(35) 및 MD 레코더(36)에는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 및 도2에 도시된, 내부의 프로토콜간 상호 변환을 할 수 있는 IEC958/IEEE-1394 변환기가 제공된다. 따라서, IEEE-1394 직렬 버스에 관하여 직접적으로 등시패킷 및 비동기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 게다가, 도1과 마찬가지로, IEC958/ IEEE-1394 변환기는 CD 플레이어(35) 및 MD 레코더(36)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개인용 컴퓨터(41) 및 하드 디스크 유닛(42)에는 IEEE-1394 직렬 버스에 대한 디지털 인터페이스(도2에 도시한 물리 계층 블록 및 링크 계층 블록)가 구비되어 있어, IEEE-1394 직렬 버스에 관하여 직접적으로 등시패킷 및 비동기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양방향 통신 시스템에 따라, 미디 악기(31)로부터 출력된 미디 악기(32 내지 34)의 수행 정보는 변환기(37)에 의해서 IEEE-1394 직렬 버스의 프로토콜로 변환되어 IEEE-1394 직렬 버스로 전송된다. 그 후에, 수행 정보는 변환기(38 내지 40)내의 미디 악기(32 내지 34)의 수행 정보로 변환되어 각각의 미디 악기(32 내지 34)의 인에 입력된다. 이것에 의해서, 동시에 미디 악기(31 내지 34)를 연주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미디 악기의 수행 정보, 제어 정보 등은 하드 디스크 유닛(42)에 기록/재생될 수 있다. 더욱이, 개인용 컴퓨터(41)의 디스플레이 상에 온-스크린 디스플레이(on-screen display)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미디 악기에 의해 출력된 수행 정보 및 CD 플레이어의 재생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합성하여 이를 MD 레코더(36) 또는 하드 디스크 유닛(42)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4에서, 변환기(37 내지 40)는 IEEE-1394 직렬 버스에 대한 ID들을 갖고 있어, 비동기 패킷의 소스 ID에 대한 ID 번호(나중에 설명되는 도16 및 도17)를 사용하여 어느 미디 악기가 미디 메시지를 전송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14에 도시한 구조에서, 임의의 미디 악기는 마스터로서 동작될 수 있고, 도30 또는 도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을 고정하는 것이 요구되지 않고, 다른 미디 악기들이 임의의 키보드로 연주될 수 있다.
도15는 미디 표준과 IEEE-1394 직렬 버스 포맷간의 변환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변환기는 대략 미디 메시지의 전송기-수신기 부분, IEEE-1394 직렬 버스에 대한 디지털 인터페이스 및 CPU(54)로 구성된다.
미디 메시지의 전송기/수신기 부분은 미디 아웃 단자로 출력된 미디 메시지의 버퍼(51), 미디 인 단자로부터 입력된 미디 메시지의 버퍼(52), 및 유니버설 비동기 수신기/전송기(UART; 53)로 구성된다.
IEEE-1394 직렬 버스에 대한 디지털 인터페이스는 링크 계층 블록(55) 및 물리 계층 블록(56)으로 구성된다. 이들 블록들은 도2에 대응하는 블록과 유사하게 구성된다.
CPU(54)로부터 출력된 미디 메시지는 UART(53)에서 비동기 직렬 데이터로 변환되어, 버퍼(51)를 통해 미디 아웃으로부터 미디 케이블로 출력된다. 더욱이, 미디 인으로부터 입력된 미디 메시지는 버퍼(52)를 통해 UART(53)에서 병렬 데이터로 변환되어 CPU(54)로 입력된다.
미디 메시지가 비동기 패킷 상에 로드되어 전송되고 있을 때, CPU(54)로부터 출력된 미디 메시지는 비동기 데이터 처리부(57)로 보내지고, 그로부터 IEEE-1394 직렬 버스로 물리 계층 블록(56)을 통해 보내진다. 이어서, 미디 메시지가 등시패킷 상에 로드되어 전송될 때, CPU(54)로부터 출력된 미디 메시지는 등시성 데이터 처리부(58)로 보내져, 그로부터 IEEE-1394 직렬 버스로 물리 계층 블록(56)을 통해 내보내진다
다음에, IEEE-1394 직렬 버스의 비동기 패킷 상에, 미디 표준에 맞는 음악/악기 신호를 로드하는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음악/악기 신호는 IEEE-1394의 기능 제어 프로토콜(이하 FCP라 함)을 사용하여 여기서 전송된다. FCP는 IEEE-1394 직렬 버스에 접속된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며, 제어 명령 및 비동기 패킷에 의한 응답을 전송한다.
도16은 IEEE-1394의 비동기 데이터 전송 모드에서 데이터 블록 패킷에 대한 기입 요청을 도시한 것이며, 도17은 데이터 쿼들렛 패킷에 대한 기입 요청을 도시한 것이다. 이들 2개의 패킷의 유효부(payload)는 FCP 프레임으로 불리운다. FCP 프레임의 길이가 4바이트(=1 쿼들렛)일 때, "데이터 쿼들렛에 대한 기입 요청"이 사용된다. 발신지 ID 및 목적지 ID는 비동기 패킷의 발신지 어드레스 및 목적지 어드레스이다.
도18은 IEEE-1394 직렬 버스의 비동기 데이터 전송 모드에서 FCP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FCP 프레임 헤드의 4비트는 명령 처리 세트(이하 CTS라 함)를 형성하며, 오디오/비디오 장비(이하 AC 장비라 함)를 제어하기 위해 CTS=00002가 할당된다. CTS 다음에는 4비트의 명령 형태/응답 코드(이하 CT/RC라 함), 8비트의 헤더 어드레스(이하 HA라 함), 8비트의 OPC, 8비트의 OPR 1, 8비트의 OPR 2 등이 후속한다.
도19는 CTS =00002일 때, FCP 프레임 내의 미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CT/RC의 4비트는 명령 및 응답의 형태를 나타낸다. 4비트의 MSB가 "0"일 때, 그 프레임은 명령 프레임이며, "1"일 경우에는 응답프레임이다. 이 CR/RC의 상세는 AV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상세에 대응하게 적용한다.
예를 들면, IEC 공보 1030(이하 IEC-1030이라 함)에 규정된 서브디바이스의 형태 코드 및 서브디바이스 번호는 HA의 8비트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MSB 5비트는 서브디바이스 형태를 나타내며 LSB 3비트는 서브디바이스 번호를 나타낸다. 서브디바이스 형태에 관해서, 비디오 모니터, 오디오 증폭기 등이 AV 장비용으로 할당된다. 음악/악기로서, 예를 들면, 오디오 효과 유닛(101002)의 서브디바이스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서브디바이스 번호는 복수의 동일한 서브디바이스가, 예를 들면, 더블-카세트 데크와 같은 한 세트의 장비에 제공될 때 2개의 데트간 구별을 위해 사용된다.
미디 메시지의 상태 바이트는 OPC의 8비트에 배치되고, 제1 미디 메시지의 데이터 바이트는 OPR 1의 비트들에 배치되며, 제2 데이터 바이트는 OPR 2의 8비트에 배치된다. IEC-1030에서, OPC의 MSB는 "1"이며 OPR의 MSB는 "0"이며, 따라서 상태 바이트와 미디 메시지의 데이터 바이트간의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송은 미디 메시지의 시스템 전용 메시지를 제외하고 비동기 데이터 전송 모드에서 행해진다.
도20은 FCP 프레임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음악/악기(이를테면 00012)에 대한 전용의 코드가 CTS에 할당된다. CT/RC의 명세는 CTS=00002인 경우에 대응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음악/악기 메시지들이 CTS에서 지정되기 때문에,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HA에서 서브디바이스를 지정할 필요는 없다. 그러므로, 상태 바이트는 HA의 위치에 배치되며, 그 다음에 최대 2바이트의 데이터 바이트가 동반된다. 메시지가 시스템 전용 메시지를 제외하고 4바이트 내에서 유지되기 때문에, "데이터 쿼들렛에 대한 기입 요청" 패킷 내에서 전송된다. 앞의 예와 유사하게 등시성 데이터 전송 모드에서 시스템 전용 메시지를 전송하고 데이터 블록 패킷에 대한 기입 요청에 의해 비동기 데이터 전송 모드에서 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6 및 도17에 도시한 목적지 ID는 통신 시스템 내의 악기의 수가 적을 때 특정의 악기에 접속된 변환기의 ID를 지정할 수 있다. 한편, IEEE-1394 직렬 버스에 직접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장비의 수는 63유닛이며, 동일 콘텐츠를 갖는 미디 메시지가 복수의 미디 악기에 전송될 때, 방송 ID가 목적지 ID에 지정된다.
도19 및 도20을 포함하는 비동기 패킷을 수신한 변환기는 패킷을 미디 메시지로 변환하여, 이를 미디 악기로 보낸다. 미디 악기는 도35에 도시한 상태 바이트의 하위 4비트로부터 지정된 채널을 확인하여, 채널이 지정될 때 사운드를 발생한다.
현재의 상태에서 미디 신호가 저속 및 패킷 전송이라는 사실에 기인하여, IEEE-1394 직렬 버스의 비동기 전송은 미디 메시지의 전송용으로 적합하다. 그러나, 비동기 데이터 전송은 미디 표준의 고속 및 IEEE-1394 직렬 버스 상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 전송이 달성되도록 동시에 존재할 때, 현재의 상태에서 미디 메시지 중 시스템 전용 메시지에 대해 더욱 적합하다. 따라서, IEEE-1394 직렬 버스의 등시성 패킷에 미디 표준에 맞는 음악/악기 신호의 로드 방법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비동기 패킷의 포맷에 대해 도4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미디 메시지의 미디 채널을 등시성 전송의 채널로 변환함으로써 등시성 전송에 대해 16개의 상이한 채널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미디 표준이 앞으로 또는 보다 고속의 음악/악기 데이터 전송 포맷으로 확장될 때 64개의 등시성 패킷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21은 CIP 헤더의 FMT = 0001002에서 음악/악기에 관련한 포맷의 DATAF의 비트 할당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서 등시성 전송은 아웃 단자로부터 디지털 신호 데이터의 슬레이브 및 피드백이 되는 미디 악기의 샘플링 데이터의 전송예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22는 등시성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미디 악기의 블록도이다. 이 미디 악기의 미디 인 단자 및 미디 아웃 단자는 도14에 도시한 변환기의 I/O 단자에 접속된 것으로 추정된다.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미디 악기에는 음색 합성부(tone synthesis portion ; 60), 스위치(61), 키보드(62), D/A 변환기(63), 증폭기(64) 및 스피커(65)가 구비되어 있다.
키보드(62)로부터의 키 데이터 및 터치 데이터는 스위치(61)를 통해 음성 합성부(60)로 보내진다. 음색 합성부(60)는 키 데이터 및 터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지털 음색 파형 신호를 합성한다. 또한, 미디 메시지는 스위치(61)를 통해 인단자로부터 키 데이터 및 터치 데이터로 변환되어 음색 합성부로 입력된다. 따라서, 키보드(62)가 연주되지 않을 때라도, 인으로부터의 미디 메시지에 의해 연주가 행해질 수 있다.
음색 합성 시스템 내에서는 FM 시스템 및 PCM 시스템이 있다. PCM 시스템에서, 실제의 소리가 디지털 형식으로 저장되며 재생시 키보드 또는 미디 메시지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메모리로부터 판독된다.
음색 합성부(6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는 D/A 변환기(63)에 의해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증폭기(64)를 통해 스피커(65)로부터 음악 사운드를 발생한다. 더욱이 음색 합성부(60)로부터 스위치(61)를 통해 미디 신호 출력의 아웃으로부터 변환기로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입력하여, 이를 IEEE-1394 직렬 버스의 등시성 데이터 전송의 포맷으로 변환하고 이를 버스 상의 장비로 피드백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디지털 신호가 피드백될 때, IEEE-1394 직렬 버스 전송의 포맷이, 예를 들면, IEC-958에 규정된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포맷에 대응하여 적용할 수 있다.
더욱이, 이 미디 악기는 샘플링 기능을 갖는다. 샘플링은 디지털 데이터를 사용자 스스로가 기록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데이터는 음색 합성부(60)의 메모리 내에 저장된다.
디지털 신호 출력과 유사하게 스위치(61)를 통해 미디 신호 출력의 아웃으로부터 변환기 내의 음색 합성부(60)로부터 출력된 샘플링 데이터를 입력하여, 이를 IEEE-1394 직렬 버스의 등시성 데이터 전송의 포맷으로 변환하고 이를 버스 상의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23은 IEEE-1394 직렬 버스의 등시성 전송 모드에서 시스템 전용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데이터 패킷은 127바이트로 고정된 데이터량을 가지며, 이 패킷이 미디 신호로서 전송될 때, 가장 짧게는 320μs X 127 = 4.064ms가 걸린다. 그 동안의 등시성 패킷의 수는 4.064ms ÷ 125μs = 325.12가 된다. 데이터는 IEEE-1394 직렬 버스에서 쿼들렛 =4 바이트의 단위로 전송되기 때문에, 128 바이트(=32 쿼들렛)는 하나의 바이트의 더미 바이트에 127 바이트의 데이터 패킷을 더함으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한 등시성 패킷으로 1, 2, 4, 8, 16 및 32 쿼들렛을 전송하는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다.
32 쿼들렛을 전송하는 방법에서, 대략 325개의 등시성 패킷 중에서 324개의 패킷은 데이터를 전송하지 못하는 더미 패킷이 된다. 클럭 주파수가 100MHz일 때, 유효 패킷의 길이는 (32 + 5) X 32 ÷ 100 MHz = 대략 12μs가 된다.
한 등시성 패킷으로 하나의 쿼들렛을 전송하는 방법에서, 10개의 패킷 중 약 9개가 또한 더미 패킷으로 된다. 한 쿼들렛의 데이터가 하나의 등시성 패킷으로 전송될 때 유효 패킷의 길이는 (1+5) X 32 ÷ 100MHz =대략 2μ가 된다.
6가지 형태의 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된다.
32 쿼들렛이 하나의 등시성 패킷으로 전송될 때, 125μs에서 12μs의 대역이 점유된다. 그러나, 복수의 디지털 샘플러로부터 데이터가 덤프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대략 매 4ms마다 미디 메시지의 데이터 패킷을 등시성 패킷으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 등시성 패킷 내의 쿼들렛의 수는 상기 언급된 임의의 6가지 형태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도2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양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14에 도시한 변환기는 본 시스템에서 전자 악기(75, 76, 80) 내에 설치되므로, 프로토콜의 상호 변환이 내부에서 행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 전자 악기는 IEEE-1394 직렬 버스 상에 노드 ID를 가지며, IEEE-1394 직렬 버스의 프로토콜에 의해 메시지를 통신할 수 있다. 더욱이, CD 플레이어(73) 및 MD 레코더(74)에는 도14와 유사하게 IEC958/IEEE 1394 변환기가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통신은 IEEE-1394 직렬 버스의 프로토콜로 행해질 수 있다. 더욱이, DVCR(70),디지털 TV(71), DVD 플레이어(72), 셋톱 박스(77), 개인용 컴퓨터(78) 및 하드 디스크 유닛(79)은 IEEE-1394 직렬 버스용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IEEE-1394 직렬 버스의 프로토콜로 메시지를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정신에 기초하여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제공되지 않고, 단지 IEEE-1394 직렬 버스용 디지털 인터페이스만이 도24의 CD 플레이어와 같은 디지털 오디오 장비내에 제공되어,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IEEE-1394의 프로토콜로 처리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유사하게, 미디가 제공되지 않고, IEEE-1394 직렬 버스용 디지털 인터페이스만이 도24에 도시한 전자 악기에 제공되어 음악/악기 신호가 IEEE-1394의 프로토콜로 처리되도록 또한 구성될 수도 있다.
IEEE-1394 직렬 버스가 보급되고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 및 미디가 앞으로 필요하지 않게 될 때, 이러한 방법이 유효하다. 그러나,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바꾸어 말하면, 도1에 도시한 IEEE-1394 직렬 버스의 프로토콜은 IEEE-1394 직렬 버스용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사용된 프로토콜용으로 채택되고, 이에 의해서 현재에서 앞으로 확장하는 구조 변화를 최소화하게 된다. 동일한 것이 미디에도 채택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단방향으로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포맷이 양방향으로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등시성 전송 포맷으로 변환된다"고 하는 말은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선형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동기 전송, 비선형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동기화, 비동기 전송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은 이들 신호와 함께 제어 명령의 양방향 전송에 또한 적용할 수도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음악/악기 및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고속 인터페이스 이외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전송 포맷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단방향으로 점 대 점(point-to-point) 또는 트리 형태로 신호 전송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의 포맷을 양방향으로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등시성 전송 포맷 또는 비동기 전송 포맷으로 변환함으로써 장비의 I/O 단자 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아날로그 장비를 포함하는 TV 및 오디오 유닛의 증폭기 및 수신기와 같은 시스템의 중심이 되는 장비에서, 신호 케이블은 트리 형태로 접속되었지만,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단지 한 라인의 케이블을 접속함으로써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양방향 전송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미디 악기에서, 미디 케이블은 복수의 악기를 접속하기 위한 패러박스(parabox)에 집중적으로 결선되었지만,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단지 한 라인의 케이블을 접속함으로써 음악/악기 신호의 수행 정보 및 제어 정보의 양방향 전송을 수행이 가능하게 되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라서, 제어 명령의 전송 포맷은 양방향으로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비동기 전송 포맷으로 변환되고, 상기 기술된 비동기 전송 패킷으로 시분할 멀티플렉스후 전송되어, 시스템의 장비로부터 제어 명령 전송용 인터페이스의 케이블 및 단자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라서,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 및 비선형 디지털 오디오를 사용한 선형 디지털 오디오와 음악/악기 신호의 신호 전송을 양방향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공통이 되는 포맷으로 변환함으로써, 상호 전송 및 정보 신호의 제어는 TV 및 DVCR와 같은 비디오 장비, 개인용 컴퓨터 및 다양한 디지털 오디오 장비 및 전자 악기가 동일한 양방향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시스템에서 용이하게 된다.
더욱이, 단방향 음악/악기 신호의 전송 포맷을 디지털 데이터의 양방향 전송용 인터페이스의 비동기 전송 모드로 변환함으로써, 음악/악기 및 AV 장비간의 신호 및 제어 명령을 상호 통신하기가 쉬워지므로, 이에 의해서 AV 장비에 대한 제어 명령의 전송 포맷과 일치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단방향 음악/악기 신호의 전송 포맷과 속도를 높인 상기 신호의 포맷을 디지털 데이터의 양방향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등시성 전송 포맷으로 변환하여 대량의 데이터를 짧은 시간 기간 내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0)

  1.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데이터를 단방향으로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포맷이 양방향으로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등시성(isochronous) 전송 포맷 또는 비동기 전송 포맷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디지털 데이터는 음악/악기 신호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악기 신호는 오디오/비디오 장비들을 위한 비동기 전송 포맷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단방향으로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인터페이스가 제공된 장치에 접속된 또 다른 인터페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제어 신호는 양방향으로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비동기 전송 포맷으로 변환되어, 등시성 전송 포맷의 디지털 데이터와 함께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디지털 데이터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등시성 전송 포맷의 패킷에 속하는 헤더는 복수 형태의 디지털 데이터에 공통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헤더에는 복수 형태의 디지털 데이터에 대해 등시성 전송 사이클에 동기하여 전송하는 모드와 상기 등시성 전송 사이클에 비동기로 전송하는 모드를 식별하는 식별 코드가 갖추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디지털 데이터의 형태(type)를 식별하는 식별 코드가 등시성 전송 포맷의 데이터에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단방향으로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동기 신호는 비트압축되어 양방향으로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등시성 전송의 헤더에 상기 신호를 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양방향으로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등시성 전송 포맷 내의 데이터 블록의 크기는 단방향으로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샘플링 주파수와 무관하게 공통으로 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KR1019960033867A 1995-08-12 1996-08-12 데이터통신방법 KR1004021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27407 1995-08-12
JP22740795 1995-08-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917A KR970013917A (ko) 1997-03-29
KR100402190B1 true KR100402190B1 (ko) 2004-03-30

Family

ID=16860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3867A KR100402190B1 (ko) 1995-08-12 1996-08-12 데이터통신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33430A (ko)
EP (1) EP0762684B1 (ko)
KR (1) KR100402190B1 (ko)
CN (2) CN1115021C (ko)
DE (1) DE6963489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5718A (ja) * 1996-08-23 1998-03-06 Sony Corp データ伝送方法及び装置
DE69636099T2 (de) * 1996-09-06 2006-1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won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Umwandlung von Datentransferraten für digitale Audio- und Videodaten
JPH10145784A (ja) * 1996-09-10 1998-05-29 Sony Corp データデコードシステム、データデコード方法、伝送方法、伝送装置、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JPH10154373A (ja) * 1996-09-27 1998-06-09 Sony Corp データデコード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デコード方法、伝送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受信装置および方法
JPH10106142A (ja) * 1996-09-27 1998-04-24 Sony Corp データデコード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デコード方法、伝送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受信装置および方法
JP3783363B2 (ja) 1996-10-03 2006-06-07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通信方法、電子機器、及び物理層集積回路
JPH10117324A (ja) 1996-10-09 1998-05-06 Toshiba Corp 携帯型情報処理装置
US6763037B1 (en) * 1996-10-22 2004-07-13 Sony Corporation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US6243395B1 (en) * 1996-11-06 2001-06-05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TM cells via 1394-serial data bus
JP3907254B2 (ja) * 1996-12-27 2007-04-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画像記録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の記録媒体
DE69710569T2 (de) * 1996-12-27 2002-10-31 Yamaha Corp Echtzeitsübertragung von Musiktoninformation
JPH10224424A (ja) * 1997-02-12 1998-08-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及び媒体
EP0859326A3 (en) * 1997-02-14 1999-05-12 Canon Kabushiki Kaisha Data transmiss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SG101460A1 (en) 1997-02-14 2004-01-30 Canon Kk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DE69840972D1 (de) 1997-02-14 2009-08-27 Canon Kk Vorrichtung, System und Verfahren zur Datenübertragung und Vorrichtung zur Bildverarbeitung
EP0859324B1 (en) * 1997-02-14 2007-01-03 Canon Kabushiki Kaisha Data transmiss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DE69837356T2 (de) * 1997-02-14 2007-11-29 Canon K.K. Vorrichtung, System und Verfahren zur Datenübertragung und Vorrichtung zur Bildverarbeitung
KR100230281B1 (ko) * 1997-04-14 1999-11-15 윤종용 프로그램 번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과 프로그램 번호 전송 및 수신방법
KR100230282B1 (ko) 1997-04-14 1999-11-15 윤종용 단일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 전송장치 및 그 방법
US5938752C1 (en) 1997-05-20 2002-02-05 Microsoft Corp System and method for encapsulating legacy data transport protocols for ieee 1394 serial bus
US6233253B1 (en) 1997-05-23 2001-05-15 Thomson Licensing S.A. System for digital data format conversion and bit stream generation
JP3785747B2 (ja) * 1997-06-20 2006-06-14 ソニー株式会社 シリアルインタフェース回路およびその信号処理方法
US6711343B1 (en) * 1997-07-17 2004-03-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recording/reproducing device, file managing method, file information generating method, file managing method, management information generating device, management information analyzing device, and medium
US6618396B1 (en) * 1997-07-29 2003-09-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ata transmitting device, data receiving device, and data recording device
JPH1155485A (ja) * 1997-07-29 1999-02-26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が読み出し可能な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4019481B2 (ja) 1998-01-23 2007-12-1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提供媒体
JPH11215143A (ja) * 1998-01-27 1999-08-06 Canon Inc データ通信装置及び方法
JP3671738B2 (ja) * 1999-05-12 2005-07-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伝送管理方法
US6418150B1 (en) * 1998-02-20 2002-07-09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an IEEE-1394 cycle master
US6680944B1 (en) * 1998-03-09 2004-01-20 Sony Corporatio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redictive time stamping of isochronous data packets transmitted over an IEEE 1394-1995 serial bus network
JP4536167B2 (ja) * 1998-04-03 2010-09-01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データ受信方法
US6405275B1 (en) * 1998-06-15 2002-06-1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EEE1394 common isochronous packet (CIP) enhancements for host controllers
US6496862B1 (en) 1998-08-25 2002-12-17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devices connected to an IEEE 1394 bus via a gateway device
US6505255B1 (en) 1999-04-29 2003-01-07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Technology Center America, Inc. (Ita) Method for formatting and routing data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n internal network
KR20010024599A (ko) * 1998-09-10 2001-03-26 이데이 노부유끼 전자기기, 신호 처리방법, 입력신호 전환방법 및 다운로드시스템
US6516361B2 (en) 1998-09-17 2003-02-04 Sony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apturing and processing continuous media-based data streams transmitted over an IEEE 1394 serial bus
US6728210B1 (en) 1998-12-21 2004-04-27 Nec America, Inc. Multi-logical access for a serial data link
JP2000196611A (ja) 1998-12-25 2000-07-14 Sony Corp 情報受信装置、及び情報送受信システム
JP2000215598A (ja) * 1999-01-27 2000-08-04 Sony Corp デジタル信号伝送方法、デジタル信号伝送システム、デジタル信号伝送装置及び記録媒体
US6687260B1 (en) * 1999-02-12 2004-02-03 Conexant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flow control of non-isochronous data
JP2000253091A (ja) * 1999-02-25 2000-09-14 Sony Corp サンプルデータの送信方法、受信方法、伝送方法、及びその送信装置、受信装置、伝送装置
US6397269B1 (en) * 1999-03-11 2002-05-28 Ericsson Inc. Multiplexing pins of a PC card for providing audio communication between the PC card and host computer
US6731347B1 (en) 1999-04-09 2004-05-04 Sony Corporation Method for switching signal input based on device capability
US6976267B1 (en) 1999-04-09 2005-12-13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nections between devices
US6757025B1 (en) 1999-04-09 2004-06-29 Sony Corporation Method for switching input terminals based on incoming signal format
US6826776B1 (en) 1999-04-09 2004-11-30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ignal path
WO2000062462A2 (en) * 1999-04-09 2000-10-19 Sony Electronics, Inc. Method for switching signal input based on device capability
US6466549B1 (en) * 1999-04-12 2002-10-15 Intel Corporation Broadcast discovery in a network having one or more 1394 buses
JP3529665B2 (ja) 1999-04-16 2004-05-2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変換方法及び情報変換装置並びに情報再生装置
WO2000065571A1 (en) 1999-04-26 2000-11-02 Gibson Guitar Corp. Universal audio communications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US6686530B2 (en) * 1999-04-26 2004-02-03 Gibson Guitar Corp. Universal digital media communications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US6633547B1 (en) 1999-04-29 2003-10-14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Command and control transfer
US6378000B1 (en) 1999-04-29 2002-04-23 Mitsubish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Address mapping in home entertainment network
US6523064B1 (en) 1999-04-29 2003-02-18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Network gateway for collecting geographic data information
EP1104966A4 (en) * 1999-05-25 2008-03-12 Sony Corp METHOD, DEVICE AND TRANSMISSION SYSTEM
US6462264B1 (en) * 1999-07-26 2002-10-08 Carl Elam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 broadcast of enhanced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MIDI) data formats for control of a sound generator to create music, lyrics, and speech
DE19943323B4 (de) * 1999-09-10 2009-07-23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r digitalen Datenübertragung
US7130315B1 (en) 1999-09-10 2006-10-31 Sony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utilizing extended AV/C command and response frames including transaction label and common result/error code
JP2001086139A (ja) * 1999-09-14 2001-03-30 Sony Corp 伝送方法及び伝送装置
EP1087557A3 (en) * 1999-09-22 2005-01-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igital audio data and receiving apparatus for receiving the digital audio data
JP4337198B2 (ja) * 1999-12-07 2009-09-30 ソニー株式会社 伝送方法及び伝送装置
JP2001203727A (ja) * 2000-01-18 2001-07-27 Sony Corp 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JP3582444B2 (ja) * 2000-01-28 2004-10-27 ヤマハ株式会社 音楽情報データ通信方法、音楽情報データ送信装置、音楽情報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記憶媒体
JP3957251B2 (ja) * 2000-03-02 2007-08-1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オーディオ情報再生システム、オーディオ情報再生装置及びオーディオ情報再生方法
US20020073169A1 (en) * 2000-04-12 2002-06-13 Yoshiyuki Takaku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01308955A (ja) 2000-04-20 2001-11-02 Sharp Corp 伝送方法
US7206272B2 (en) 2000-04-20 2007-04-17 Yamaha Corporation Method for recording asynchronously produced digital data codes, recording unit used for the method, method for reproducing the digital data codes, playback unit used for the method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6647448B1 (en) 2000-06-29 2003-11-11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esource schedules in a peer to peer distributed networking environment
US6901444B1 (en) * 2000-06-30 2005-05-31 Sony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data structures between devices in a networking environment
JP4586268B2 (ja) 2000-12-25 2010-11-24 ヤマハ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データ送受信管理方法及び同データ送受信管理装置
US7181555B2 (en) * 2001-03-08 2007-02-20 Yamaha Corporation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JP3603875B2 (ja) * 2001-04-25 2004-12-22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通信装置およびデータ通信方法
FR2829655B1 (fr) * 2001-09-10 2003-12-26 Digigram Systeme de transmission de donnees audio, entre un module maitre et des modules esclaves, par l'intermediaire d'un reseau de communication numerique
US7003604B2 (en) * 2001-10-04 2006-02-21 Sony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ancelling a pending AV/C notify command
US6944704B2 (en) * 2001-10-04 2005-09-13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extended AV/C command frames including status inquiry, notify inquiry and control inquiry command types
US7853341B2 (en) 2002-01-25 2010-12-14 Ksc Industries, Inc. Wired, wireless, infrared, and powerline audio entertainment systems
US8103009B2 (en) 2002-01-25 2012-01-24 Ksc Industries, Inc. Wired, wireless, infrared, and powerline audio entertainment systems
DE10209787B4 (de) * 2002-02-27 2005-10-13 Technische Universität Dresden Verfahren zur verlustfreien Übertragung von Nachrichten in einem geswitchten Übertragungsnetzwerk
US7055085B2 (en) * 2002-03-07 2006-05-30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header information using dedicated CRC
US7295766B2 (en) * 2002-03-08 2007-11-13 Shining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direct recording of audio, video and/or images for easy access and editing
US7164691B2 (en) * 2002-06-26 2007-01-16 Standard Microsystems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nding isochronous streaming data across a synchronous network within a frame segment using a coding violation to signify invalid or empty bytes within the frame segment
US7283564B2 (en) * 2002-06-26 2007-10-16 Standard Microsystems Corp.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nding asynchronous data and/or isochronous streaming data across a synchronous network within a frame segment using a coding violation to signify at least the beginning of a data transfer
US7327742B2 (en) * 2002-06-26 2008-02-05 Standard Microsystems Corp.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nding isochronous streaming data within a frame segment using a signaling byte
JP2005017992A (ja) * 2003-06-30 2005-01-20 Yamaha Corp 演奏データ送信装置及び演奏システム並びに演奏方法
JP3944908B2 (ja) * 2003-07-18 2007-07-18 ソニー株式会社 メディアコンバーター
US7483538B2 (en) * 2004-03-02 2009-01-27 Ksc Industries, Inc. Wireless and wired speaker hub for a home theater system
US8554045B2 (en) * 2004-11-12 2013-10-08 Ksc Industries Incorporated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entertainment devices
US20090010283A1 (en) * 2007-07-03 2009-01-08 Arcadyan Technology Corporation Synchronization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es
DE102009003851A1 (de) 2009-04-30 2010-11-11 Lear Corporation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Wiedergabe von digitalen Audiosignalen
US8782237B2 (en) * 2010-01-28 2014-07-15 Intel Corporation Audio/video streaming in a topology of devices
DE102010061076B8 (de) 2010-09-30 2012-07-19 Lear Corporation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sendung von digitalen Audiosignalen
CN105156100A (zh) * 2015-08-31 2015-12-16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无线数据交互司钻系统及交互方法
WO2021049181A1 (ja) * 2019-09-10 2021-03-18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CN112700797B (zh) * 2019-10-22 2022-08-16 西安诺瓦星云科技股份有限公司 播放清单编辑方法、装置及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656388A (zh) * 2020-06-17 2021-04-16 杭州星迈科技有限公司 监测数据的处理方法、系统和可穿戴设备
CN113518015B (zh) * 2021-04-08 2023-03-14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基于车机can网络信号测试的自动化实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5219A (en) * 1983-09-22 1990-02-27 Aetna Life Insurance Company Three level distributed control for networking I/O devices
US5150363A (en) * 1989-08-11 1992-09-22 Digital Audio Disc Corporation Serial input/output multiplexing apparatus
DE4105468C2 (de) * 1991-02-21 1994-07-28 Siemens Ag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m Übertragen von asynchronen Datensignalen über eine 2-Draht-Übertragungsleitung
US5258999A (en) * 1991-10-03 1993-11-02 Motorola, Inc. Circuit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control and status information
US5469547A (en) * 1992-07-17 1995-11-21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Asynchronous bus interface for generating individual handshake signal for each data transfer based on associated propagation delay within a transaction
EP0957610B1 (en) * 1994-03-09 2001-07-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JP3458469B2 (ja) * 1994-07-15 2003-10-20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受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3203978B2 (ja) * 1994-07-25 2001-09-04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送受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及びデータ送信装置
KR0151021B1 (ko) * 1995-02-16 1998-10-15 김광호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비트스트림 배치/복원방법 및 그에 적합한 데이타압축장치 및 복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917A (ko) 1997-03-29
EP0762684B1 (en) 2005-06-29
CN1149796A (zh) 1997-05-14
CN1433184A (zh) 2003-07-30
CN1201520C (zh) 2005-05-11
US5933430A (en) 1999-08-03
EP0762684A2 (en) 1997-03-12
DE69634891D1 (de) 2005-08-04
DE69634891T2 (de) 2006-04-27
EP0762684A3 (en) 2001-11-21
CN1115021C (zh) 200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2190B1 (ko) 데이터통신방법
US7646793B2 (en) Transmission method,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system
US5487067A (en) Audio data communications
KR100387330B1 (ko) 오디오 송신장치 및 오디오 수신장치
US20060239302A1 (en) Transmission system
JP3572768B2 (ja) データ通信方法
JP2001236148A (ja) 電子機器システム、電子機器
JP2001236149A (ja) 電子機器システム、電子機器、及び電源連動制御方法
JP4337198B2 (ja) 伝送方法及び伝送装置
JP2001251325A (ja) 情報通信装置、及び情報通信方法
US6754226B1 (en) Communication system in audio and music data transmission
JP3695346B2 (ja)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データ送信方法、データ受信方法、伝送システム
JP4281144B2 (ja) 伝送方法および伝送装置
KR20020097288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전송 장치
KR20050012133A (ko) 수신장치 및 수신방법
JP2002232426A (ja)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データ送信方法、データ受信方法、伝送システム
JP2002033751A (ja) 電子機器、電子機器管理方法
JP2001236772A (ja) 電子機器システム、電子機器
MXPA01000911A (en) Transmission method, transmission device, and transmission system
JP2000151738A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伝送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2001250370A (ja) 電子機器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