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3546B1 - 금속벨트용 엘리먼트, 금속벨트 및 금속벨트의 조립부착방법 - Google Patents

금속벨트용 엘리먼트, 금속벨트 및 금속벨트의 조립부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3546B1
KR100393546B1 KR10-2001-7004271A KR20017004271A KR100393546B1 KR 100393546 B1 KR100393546 B1 KR 100393546B1 KR 20017004271 A KR20017004271 A KR 20017004271A KR 100393546 B1 KR100393546 B1 KR 100393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metal belt
metal
pulley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4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9984A (ko
Inventor
다까기시게마사
다까기유타까
Original Assignee
후꾸주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꾸주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후꾸주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79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9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5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5/0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 F16G5/16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consisting of several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금속벨트는 구동 풀리(12)와 피동 풀리(15)사이에 괘장되는 금속제 밴드(18)와, 그 밴드의 연장방향으로 적층하여 배치된 다수의 엘리먼트(l9)를 구비하고 있다. 각 엘리먼트는 선재에 의하여 구성되고, 풀리에 접촉하는 보디부(31)와, 상기 보디부의 양측에서 각각 일어서는 입설부(32)와, 상기 입설부로부터 연출하고, 또한,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갈고리상부(33)를 구비하고 있다. 밴드(18)는 각 엘리먼트의 개구부(34)에 삽통되고, 개구부내에는 밴드(18)와 중합시켜 탈락방지체(20)가 배치된다.

Description

금속벨트용 엘리먼트, 금속벨트 및 금속벨트의 조립 부착방법 {METAL BELT ELEMENT, METAL BELT,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METAL BELT}
예를 들면, 자동차의 무단변속기에 사용되는 금속 벨트로서는, 무단대상을 이루는 금속제의 밴드에, 금속판을 타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다수의 평판상을 이루는 엘리먼트를 벨트의 세로방향으로 상대 활주 가능하도록 적층하여 배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경우, 엘리먼트에 각이 서있으면 , 그 각과 밴드와의 접촉에 의해 밴드에 상처가 생겨, 밴드의 파단 등의 원인이 된다.
그런데, 금속벨트의 엘리먼트는 아주 작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엘리먼트는 전체가 1장의 판재에 의해 타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밴드와 접촉하는 코너부에 면제거 등의 가공을 실시하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
더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엘리먼트가 1장의 판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먼트를 경량화 할 수 없다. 엘리먼트는 무단변속기의 풀리상에 있어서는, 원궤도상을 주회(周回)하게 되지만, 엘리먼트의 질량이 크면, 엘리먼트에는 그 자중에 의해 큰 원심력이 작용한다. 또한, 차량의 가감속 시에는, 큰 관성(inertia)이 작용한다. 이들의 과대한 원심력 및 관성은 응답성의 악화에 직결되며, 무단변속기의 원활한 동작의 장해가 된다. 따라서, 엘리먼트의 중량이 크면, 이들의 문제가 현재(顯在)화한다.
더욱이, 엘리먼트가 1장의 판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풀리와의 접촉에 의해 엘리먼트에 과대한 부하나 힘이 작용한 경우에는, 엘리먼트가 변형하는 일은 거의 없다. 따라서, 그 부하나 힘을 빠져 나가게 할 수 없어, 엘리먼트나 풀리의 손상 또는 이상 마모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엘리먼트 및 밴드나 풀리의 손상 및 이상 마모를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동력전달에 있어서 원활히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한 금속벨트용 엘리먼트, 금속벨트 및 금속벨트의 조립 부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구동 풀리와 피동 풀리와의 사이에 괘장(괘장)되는 무단대상(無端帶狀)의 금속벨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그 금속벨트를 구성하는 엘리먼트 및 금속벨트의 조립 부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형태1의 금속벨트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금속벨트를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
도 3은 금속벨트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엘리먼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5(a)는 엘리먼트의 평면도,
도 5(b)는 엘리먼트의 측면도.
도 6은 선재의 단면도.
도 7은 탈락방지체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금속 엘리먼트를 밴드에 조립 부착하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금속 엘리먼트의 조립 부착 도중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금속 엘리먼트의 조립 부착 도중의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1은 금속 엘리먼트의 밴드에 대한 조립 부착을 종료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금속 엘리먼트의 조립 부착이 종료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3은 실시 형태 2의 변속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14는 실시 형태 2의 금속벨트를 도시한 부분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금속벨트의 엘리먼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16은 도 14의 금속벨트의 엘리먼트를 도시한 측면도.
도 17은 선재의 단면도.
도 18은 실시 형태 3의 엘리먼트의 측면도.
도 19는 실시 형태 3의 엘리먼트의 정면도.
도 20은 도 19의 엘리먼트의 평면도.
도 21은 실시 형태 4의 엘리먼트의 정면도.
도 22는 도 21의 엘리먼트의 평면도.
도 23은 도 21의 엘리먼트의 측면도.
도 24는 종래의 엘리먼트의 정면도.
도 25는 종래의 엘리먼트의 정면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태양에서는, 구동 풀리와 피동 풀리와의 사이에 괘장되는 무단대상을 이루는 금속제의 밴드로 지지되고, 또한, 밴드의 연장방향으로 적층하여 배치되는 금속 벨트용 엘리먼트에 있어서, 엘리먼트의 윤곽을 형성하는 외주부를 선재에 의하여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으로서는, 구동 풀리와 피동 풀리와의 사이에 괘장되는 무단대상을 이루는 금속제의 밴드를 구비하고, 그 밴드의 연장방향으로 다수의 엘리먼트를 적층하여 배치한 금속벨트가 제공된다. 그 금속벨트에 있어서, 엘리먼트의 윤곽을 형성하는 외주부가 선재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엘리먼트는 풀리에 접촉하는 보디부와, 상기 보디부의 양측에서 각각 일어서는 입설부와, 상기 입설부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연출(延出)하고, 또한,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갈고리상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보디부와 양 갈고리상부와에 의하여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내에 배치된 밴드로부터 엘리먼트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내에는 탈락방지체가 밴드와 겹쳐져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의하면, 금속벨트의 적합한 조립 부착방법이 제공된다. 그 조립 부착방법에 의하면, 우선, 밴드에 무단대상을 이루는 탈락방지체가 겹쳐진다. 다음에, 그 탈락방지체를 그 폭방향으로 요곡(撓曲)시켜, 그 상태로 금속벨트용 엘리먼트의 개구부내에 밴드가 배치된다. 계속해서, 탈락방지체를 통상의 평판상태로 복원시켜, 그 탈락방지체에 개구부의 양측 내연을 계합시키는 것에 의해, 엘리먼트가 밴드에 부착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자동차의 무단변속기에 있어서 구체화한 복수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형태1)
실시 형태1을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1에 있어서 상하란 도 2 또는 도 4에 있어서의 도면의 상하방향을 말하고, 좌우란 상기 도면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전후란 상기 도면의 지면에서 보아 앞방향과 내측방향을 각각 말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축(11)에는 구동 풀리(12)가 부착되고, 그 외주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 V 자상의 환상홈(13)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축(11)과 대응하는 피동축(14)에는 피동 풀리(15)가 부착되고, 그 외주에는 약 V 자상의 환상홈(16)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 풀리(12) 및 피동 풀리(15)의 각 환상홈(13, 16)사이에는 무단상을 이루는 금속벨트(17)가 괘장되고, 구동 풀리(12)의 회전이 금속벨트(17)를 통하여 피동 풀리(15)에 전달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금속벨트(17)는 무단상의 금속제의 밴드(18)와, 다수의 금속제의 엘리먼트(19)와, 밴드(18)보다 약간 폭이 넓고, 또한 무단대상을 이루는 금속제의 탈락방지체(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엘리먼트(19)는 밴드(18)가 그 내부를 지나도록, 그것들의 길이 방향으로 상대 활주 가능하도록적층하여 배치된다. 밴드(18)는 복수의 금속 얇은 판자를 판두께 방향으로 적층하여 구성되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양면 또는 어느 한쪽의 면에는, 샌드 블라스터 또는 숏 피닝에 의해 표면 프로파일링이 형성되어 있다. 이 표면 프로파일링에는 윤활유가 유지되어, 밴드(18)와 각 엘리먼트(19)와의 사이의 마찰저항이 경감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엘리먼트(19)는 인발 성형에 의해 형성된 단면 원형의 금속선재(19a)를 소정길이로 절단하고, 그것을 엘리먼트(19)의 형상으로 만곡시킨 후, 프레스한 것으로,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갖는다. 도 4 및 도 5(a)에 도시한 2점쇄선은 프레스성형전의 형상을 도시한다. 더욱이, 엘리먼트(19)의 외주면 전체에는 밴드(18)와 마찬가지로, 샌드 블라스트 또는 숏 피닝에 의해 표면 프로파일링이 형성되고, 이 표면 프로파일링에 윤활유를 유지하여, 각 엘리먼트(19) 사이의 마찰저항이 경감된다. 엘리먼트(19)의 보디부(31)에는 그 양측 상단부에서 윗쪽으로 연장되는 갈고리상의 필러부 즉 입설부(32)가 돌출되어 있고, 그것들의 사이에 상기 밴드(18) 및 탈락방지체(20)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 즉 오목부(30)가 형성되어 있다. 필러부(32)의 각 선단은 내측으로 절곡되고, 계합돌기(33)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양 계합돌기(33) 사이에 밴드(18) 보다 약간 폭이 넓고, 또한 탈락방지체(20) 보다 약간 폭이 좁은 개구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엘리먼트(19)는 오목부(30)에 있어서 밴드(18)에 지지되어 있다.
밴드(18)가 재치되는 보디부(31)의 견부(35)는 완만하게 윗쪽으로 부풀어지듯이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밴드(18)가 좌우로 사행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또한, 보디부(31)에 윗쪽으로부터 과대한 가중이 걸린 경우에는 견부(35)는 보다 완만한 곡율이 되도록(즉, 직선에 가깝도록) 휘어져 응력을 경감할 수 있다.
상기 엘리먼트(19)의 보디부(31)의 일측면에는 도 4 및 도 5(b)의 아래쪽으로 향하여 판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하는 제 l경사부(36)가 연마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 1경사부(36)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먼트(19)의 열이 풀리(12, 15)의 부분으로 풀리(12, 15)의 외주에 따라 만곡하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보디부(31)의 양측단에는 도 4의 아래쪽을 향하여 수속하는 제 2경사부(37)가 연마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경사부(37)는 상기 양 풀리(12, 15)의 환상홈(13, 16)의 내측면에 계합한다.
보디부(31)의 중앙에는 프레스가공에 의해 돌기(38)가 형성되어 있다. 그 돌기(38)의 이면측에 있어서, 보디부(31)에는 오목부(3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접하는 각 엘리먼트(19)의 돌기(38)와 오목부(39)와는 서로 감합하고, 따라서, 각 엘리먼트(19)가 정렬하여 연결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락방지체(20)에는 복수의 긴 구멍(長孔)(40)이 투설(透設)되고, 그것들의 긴 구멍(40)과 인접하여 작은 구멍(小孔)(40a)이 투설되어 있다. 긴 구멍(40)은 탈락방지체(20)에 등간격을 두고 쌍을 이루도록 마련되어 있지만, 탈락방지체(20)의 전둘레에 연속하여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탈락방지체(20)의 양면 또는 어느 한쪽의 면에는, 샌드 블라스터 또는 숏 피닝에 의해 표면 프로파일링이 형성되고, 그것에 의하여 윤활유를 유지하여,탈락방지체(20)와 최외층의 밴드(18) 및 각 엘리먼트(19)와의 사이의 마찰저항이 경감된다.
탈락방지체(20)는 도 11, 12에 도시한 폭이 넓은 보통 상태와, 도 8, 10에 도시한 폭이 좁은 만곡 상태로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탈락방지체(20)를 밴드(18)의 외주에 감합하고, 도 7에 도시한 폭이 넓은 보통 상태로부터, 상기 작은 구멍(40a)에 공구(미도시)를 설치하여, 그 공구에 의해 폭을 좁힘으로서, 탈락방지체(20)를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폭이 좁은 요곡상태로 한다. 탈락방지체(20)는, 그 요곡상태로 엘리먼트(19)의 개구부(34)의 폭보다 약간 폭이 좁게 되어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먼트(19)의 개구부(34)를 통해서 엘리먼트(19)를 밴드(18)로 지지하여, 차례차례로 엘리먼트(19)를 폭이 넓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보내고, 전부의 엘리먼트(19)를 통과시킨 후, 공구를 뗀다. 그러면,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락방지체(20)는 폭이 넓은 평판의 상태로 되돌아가고, 탈락방지체(20)의 측단부가 계합돌기(33)에 계합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엘리먼트(19)의 밴드(18)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여 발휘되는 효과에 관해서 설명한다.
(1-1)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엘리먼트(19)에는, 밴드(18)의 폭에 대응한 개구부(34)가 마련되기 때문에, 엘리먼트(19)의 경량화가 실현되고, 금속벨트(17)전체가 경량이 된다. 실제로는, 금속벨트 전체에서 20 내지 30%의 경량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것 때문에, 관성이 작게 되고, 가감속등에 따른 응답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더구나, 엘리먼트(19)는 인발된 선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저렴하다. 추가로, 엘리먼트(19)는 단면원형을 이루는 선재가 프레스 성형된 것이기 때문에, 판재를 타발한 것과는 다르고, 각부(角部)에 엣지가 서지 않는다. 이 때문에, 밴드(18)나 탈락방지체(20)에 데미지를 거의 주지 않고, 금속벨트(17)로서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엘리먼트(19)는 그 양측에 필러부(32)를 갖고 있기 때문에, 견고하여, 파손의 염려는 거의 없다.
(1-2)엘리먼트를 밴드에 지지한 상태에서, 엘리먼트가 탈락하지 않도록 탈락방지의 수단을 강구할 필요가 있고, 그를 위한 구성으로서, 종래 몇 개의 수단이 제안되어 있다. 즉, 일본국 특개소 55-100443호 공보에는, 도 24에 도시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도 24에 도시한 구성에 있어서는, 밴드(300)에 계합하는 엘리먼트(301)의 하나의 오목부(302)가 가로방향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도 24에 도시한 구성에 있어서는, 한 쌍의 오목부(302)가 가로방향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소 62-35136호 공보에 있어서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먼트(301)의 오목부(302)에 밴드(300)를 수용한 후에, 오목부(302)의 개방부에 횡재(304)를 가설하도록 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24의 구성에 있어서는, 엘리먼트(301)가 오목부(302)의 측단의 개방부에서 탈락할 염려가 있다. 도 25의 구성에 있어서는, 엘리먼트(301)를 밴드(300)에 조립한 후에, 다수의 엘리먼트(301)에 대하여 횡재(304)를 용접 등에 의해 가설할 필요가 있고, 엘리먼트(301)가 그다지 크지 않은 점 등에 의하여, 작업에 애로가 많았다. 더구나, 각 엘리먼트(301)에 대하여 횡재(304)를 준비할 필요가 있고, 부품 가지수가 불어나 구성이 복잡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1에서는 엘리먼트(19)의 계합돌기(33)와 탈락방지체(20)의 계합에 의해 엘리먼트(19)의 탈락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엘리먼트(19)의 탈락방지를 위해, 1장의 탈락방지체(20)가 마련되어 있을 뿐이므로, 예를 들면 상기 도 25와 같은 엘리먼트마다에 탈락방지용의 횡재(304)를 마련한 종래 구성과는 달리,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일이 없다.
(1-3) 탈락방지체(20)의 요곡변형을 이용하여, 밴드(18)에 엘리먼트(19)를 지지하기 때문에, 부착이 극히 용이하다.
(1-4) 탈락방지체(20)에 그것을 요곡변형시키기 위한 긴 구멍(40) 및 작은 구멍(40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금속벨트전체의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실시 형태2)
실시 형태2를 도 13 내지 도 17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2에 있어서 상하란 도 15에 있어서의 도면의 상하방향을 말하고, 좌우란 상기 도면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전후란 상기 도면의 지면에서 보아 앞방향과 안방향을 각각 말하는 것으로 한다.
도 13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축(111)에는 구동 풀리(112)가 부착되고, 그 외주에는 거의 V 자상의 환상홈(112a)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축(111)과 대응하는 피동축(113)에는 피동 풀리(114)가 부착되고, 그 외주에는 거의 V 자상의 환상홈(114a)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 풀리(112) 및 피동 풀리(114)의 환상홈(112a, 114a) 사이에는 무단상의 금속 벨트115가 괘장되고, 구동축(111)의 회전이 구동 풀리(112), 금속벨트(115) 및 피동 풀리(114)를 통하여 피동축(113)에 전달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금속 벨트(115)는, 금속제의 한 쌍의 밴드(l16)와, 양 밴드(116)사이에서 그들의 길이 방향으로 상대활주 가능하게 적층하여 배치된 다수개의 금속제의 엘리먼트(117)로 구성되어 있다.
각 밴드(116)는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무단대상체(118)를 판두께 방향으로 적층하여 구성되고, 각 무단대상체(118)의 양면 또는 어느 한쪽의 한 면에는, 표면 프로파일링(118a)이 실시되어 있다. 표면 프로파일링(118a)은 예를 들면 복수의 롤러를 통하여 박판상의 무단대상체(118)를 압연성형 할 때에, 어느 하나의 롤러의 둘레면에 마련된 프로파일링, 즉, 요철상의 모양에 의하여 형성된다. 또한, 그 밖의 방법으로서는, 소정 판두께로 압연된 무단대상체(118)에, 샌드 블라스터 또는 숏 피닝하여, 미소한 단면, 거의 원호상을 이루는 다수의 오목부를 부여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이 표면 프로파일링(118a)의 형성에 의하여, 밴드(116)의 각 무단대상체(118)간, 및 밴드(116)와 각 엘리먼트(117)와의 사이의 접촉 면적이 작아짐과 함께, 표면 프로파일링(118a)의 오목부에 윤활유가 유지된다. 이것 때문에, 밴드(116)의 각 무단대상체(118)간, 및 밴드(116)와 각 엘리먼트(117) 간의 마찰저항이 경감된다.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엘리먼트(117)는 단면이 거의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소정길이의 선재(124)를, 엘리먼트(117)의 전체의 윤곽이 구성되도록 굴곡 가공함으로서 형성되고,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갖고 있다. 엘리먼트(117)는 선재(124)를 소정길이로 절단함과 동시에, 그것을 굴곡 가공하여 얻어진다. 이 경우, 도 15에 2점쇄선의 원(150)으로 도시한 맞댄 부분은, 용접에 의해고착된다. 따라서, 선재(124)의 내측에는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선재(124)로서는, 예를 들면 경강 선재 등의 철계금속이 이용되고 있다. 엘리먼트(117)의 외주면 전체에는, 샌드 블라스트 또는 숏 피닝에 의해 표면 프로파일링(117a)이 형성되고, 그것에 의하여, 윤활유를 유지하여, 각 엘리먼트(117)간, 및 밴드(116)와 각 엘리먼트(117) 사이의 마찰저항이 경감된다.
그리고, 엘리먼트(117)에는, 보디부(119) 및 헤드부(120)가 그것들의 중앙의 필러부(121)을 개재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헤드부(120)는 보디부(119)로부터 필러부(121)를 개재하여 연장되어 있다. 필러부(121)의 양측에는 상기 밴드(116)를 각각 통과시키기 위한 한 쌍의 슬릿(125)이 형성되어 있다. 양 슬릿(125)내를 상기 밴드(116)가 통하고, 헤드부(120)는 밴드(116)의 둘레를 방지한다.
슬릿(125)의 하부에 위치하고, 밴드(116)를 재치하기 위한 보디부(l19)의 견부(127)는 완만하게 부풀은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밴드(116)가 좌우로 사행하는 것을 방지한다. 슬릿(125)의 상부에 위치하는 헤드부(120)의 선단부(128)는 상방으로 원호상으로 달아나게 하고 있고, 그 선단부(128)가 밴드(116)의 표면에 접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엘리먼트(117)의 보디부(119)의 일측면에는, 도 16의 하방을 향하여 판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하는 제1경사부(119a)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엘리먼트(117)의 보디부(119)의 양 측단에는 하방을 향하여 연출되는 제2경사부(119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2경사부(119b)는 상기 양 풀리(112, 114)의 환상홈(112a, 114a)의 내면에 계합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 풀리(112)의 회전에 따라, 금속벨트(115)가 주회 이동되어, 피동 풀리(114)에 회전이 전달된다. 또한, 구동측 또는 피동측의 토크 변동에 의한 일방 또는 쌍방의 풀리(112, 114)의 환상홈(112a, 114a)의 폭이 변경된 경우에는, 그것에 따라 엘리먼트(117)가 풀리(112, 114)의 반경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보디부(119)의 중앙에는, 볼록부, 즉 돌기(130)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130)의 양측에는 보디(119)의 상단 부분에서 가장 폭이 넓어져, 하방을 향하여 테이퍼 상으로 좁아지고, 보디(119)의 하단부분에서 가장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면(130a)이 형성되어 있다. 돌기(130)의 이면측에는 상기 돌기(130)의 형상에 대응한 오목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돌기(130) 및 오목부(131)의 횡폭은 풀리(112, 114)의 환상홈(112a, 114a)의 내측벽을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고, 홈의 밑바닥부에서 개구부를 향하여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인접하는 각 엘리먼트(117)의 돌기(130)와 오목부(131)는 서로 감합하고, 엘리먼트(117)의 정렬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재(124)는 그 네 구석의 각부(123)가 원호상으로 면제거 가공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엘리먼트(117)의 외주에 각이 서는 일이 없고, 잘려져 선 각에 의해 밴드(116)의 표면이나 풀리(112, 114)의 환상홈(112a, 114a)의 내면이 손상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엘리먼트(117)는 도 17에 도시한 단면형상의 선재(124)를 소정길이로 절단함과 동시에, 그것을 굴곡 가공하여 얻을 수 있다. 선재(124)의 양단부는 필러부(121)에서 맞대어진다. 이 맞댐부는 단순한 맞댐이라도 좋고, 또한 용접에의해 고정하여도 좋다. 상기 선재(124)는 압출 가공, 즉 냉간 압연에 의하여 얻어진다. 따라서, 각 각부(123)의 원호상 면제거는, 압출시에 동시 형성됨과 동시에, 선재(124)의 전 외주면이 경면과 같은 성형면이 된다.
상기의 실시 형태2에 의하여 기대할 수 있는 효과에 관해서, 이하에 기재한다.
(2-1) 본 실시형태의 엘리먼트(117)는 그 윤곽이 선재(12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선재(124)의 각부(123)에 대하여 압출 성형과 동시에 면제거 가공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너부(123)가 원호상으로 면제거 가공되어 있기 때문에, 밴드(116)나 풀리(112, 114)에 상처가 나거나 하는 것 같은 것을 저지할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2-2) 엘리먼트(117)는 그 윤축만이 선재(124)로 구성되고, 내부에는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엘리먼트(117) 자체, 나아가서는 금속벨트(115) 전체의 경량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금속 벨트의 풀리(112, 114)의 주회 부분에 있어서의 원심력이나, 가감속에 따른 관성을 저감할 수 있고, 양호한 응답성과 동력전달에 있어서 원활한 동작을 얻을 수 있다.
(2-3) 엘리먼트(117)는 그 외주윤곽이 선재(124)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먼트(117)에 과대한 부하나 힘이 작용한 경우, 예를 들면, 풀리(112, 114)에 의해 엘리먼트(117)의 제2경사부(119b)에 대하여 내측으로 압력이 가해진 경우, 엘리먼트(117)는 그것에따라서 내측으로 조금 휘어진다. 이 때문에, 그 부하나 힘을 놓쳐, 풀리(112, 114)나 엘리먼트(117)자체의 손상 및 이상 마모를 방지할 수있고, 내구성이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다.
(2-4) 선재(124)로서 단면이 거의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것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각 엘리먼트(117)는 선재(124)의 상호의 면접촉에 의해 밴드(116)의 길이 방향에 따라 정연히 적층되고, 진동이나 소음을 억제하고, 동력전달의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2-5) 엘리먼트(117)는 그 외주면 전체가 절단에 의하여 형성된 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고, 냉간 압연에 의하여 형성된 면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예를 들어, 엘리먼트(117)에 대하여 샌드 블라스터 등의 가공을 실시하여도, 플랫인 면에 오목부가 형성될 뿐이고, 절단면의 경우와는 달리, 표면의 플랫성은 손상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각 엘리먼트(117)간의 면접촉을 확보할 수 있고, 효율적인 동력전달에 기여할 수 있다.
(2-6) 견부(127)가 원호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밴드(116)가 사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밴드(116)나 엘리먼트(117)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2-7) 헤드부(120)의 선단이 원호상으로 달아나고 있기 때문에, 그 헤드부(120)의 선단(128)이나 밴드(116)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3)
실시 형태3을 도 18 내지 도 2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3은 실시 형태2의 변형예이다. 실시 형태3에 있어서의 헤드부(120)의 선단부(128)는 전방을 향하여 만곡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3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엘리먼트(117)간의 선단부(128)가 중첩에 의하여, 엘리먼트(117)의 정렬을 유지할수 있다.
(실시 형태4)
실시 형태4를 도 21 내지 도 2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4는 실시 형태1의 변형예이다. 실시 형태4에 있어서의 좌우의 돌기(55)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돌기(55)는 보디부(31)의 양단에, 엘리먼트(19)의 주회면을 포함하는 평면Q를 경계로 거울상의 관계가 되도록 대향하여 사상(斜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기(55)는 일정한 폭을 가지고, 그 이면측에는 오목부5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디부(31)에 상방으로부터 과대한 가중이 걸린 경우, 견부(35)는 보다 완만한 곡율이 되도록(즉 직선에 가깝도록) 휘어져 응력을 경감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 형태)
예를 들면, 실시 형태1의 엘리먼트(19)의 형상을 여러가지로 변경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경량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보디부(31)에 관통공을 형성하여도 좋다.
실시 형태1의 탈락방지체(20)에는 그 경량화를 위한 긴 구멍(40) 등이 형성되어 있지만, 그 형상은 도 7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단순한 사각형상, 마름모형 등, 각종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실시 형태1에 있어서 보디부(31)에 형성되는 돌기(38)는 인접하는 엘리먼트(19)끼리가 탈락하지 않고 연결되어, 금속벨트(17)로서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으면, 그 형상이나 크기를 묻지 않고, 예를 들면, 단면 사각형의 돌기이어도좋다. 또, 그 경우, 오목부(39)는 돌기(38)의 형상에 대응한 오목부 형상으로 변경된다.
실시 형태1에 있어서 돌기(38) 및 오목부(39)는 보디부(31)에 형성되어 있었다. 이것은, 인접하는 엘리먼트(19)끼리가 탈락하지 않고 연결되어, 금속벨트(17)로서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으면, 돌기(38) 및 오목부39의 형성위치를 묻지 않고, 필러부(32)에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인접하는 엘리먼트(19)끼리의 연결은 돌기(38)와 오목부(39)의 감합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보디부(31)의 하단부나 계합돌기(33)의 선단부를, 엘리먼트(19)끼리의 연결방향에 따라서 뒤로 젖혀, 그것들의 계합으로 행하여도 좋다.
실시 형태1에 있어서 탈락방지체(20)를 요곡시켜, 엘리먼트(19)를 밴드(18)에 지지시켰지만, 엘리먼트(19)를 탈락방지체(20)에 대하여 비스듬히 배치하여, 탈락방지체(20)의 일측연을 오목부(30)내에 위치시키고, 이어서, 그 탈락방지체(20)의 일측연을 중심으로 엘리먼트(19)를 회전시키도록 하여 오목부(30) 내에 밴드(18)를 수용하여도 좋다.
각 엘리먼트(117)에 있어서, 상기 각 실시 형태는 다른 위치에서 선재(124)의 인접부분을 용접하여도 좋다.
실시 형태3에 있어서, 헤드부(120)의 선단부(128)를 도 20에 있어서 역방향, 즉 후방으로 만곡시켜도 좋다.
선재(124)의 코너부(123)의 면제거를 원호상이 아니라 직선을 따라 행하여도 좋다.
선재(31, 124)에 의해 구성한 엘리먼트의 공간S 내에, 진동흡수, 흡음 등을 목적으로 한 합성 수지재를 충전하여도 좋다.
엘리먼트(19, 117)로서 2종이상의 다른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준비하여, 이종재료의 것을 인접시키도록 순차로 적층 배치하여 구성하는 것. 이와 같이 구성하면, 인접하는 엘리먼트(19, 117)의 고유 진동수가 다르기 때문에, 진동이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엘리먼트(19, 117)로서 상기 실시 형태와는 다른 재질의 것, 예를 들면 경강재 이외의 철계 금속, 스테인레스 스틸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엘리먼트(19, 117)의 보디부(31, 119)의 견부(35, 127)나 제2 경사부(37, 119b)상에, 표면경화처리를 실시할 것.
엘리먼트(19, 117)의 보디부(3l, 119)의 견부(35, 127)나 제2 경사부(37, 119b)상에, 초경도의 금속분말을 살포함과 함께 가열에 의하여 용융 응고시켜, 초경도 합금층을 형성하 도록 구성할 것.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서는 엘리먼트를 선재에 의해 구성하였다. 이 때문에, 밴드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1장의 판재로 구성된 경우와는 달리, 경량화가 가능하다. 또한, 엘리먼트에 과대한 부하나 힘이 작용한 경우, 엘리먼트는 그것에 따라 조금 휠 수 있고, 그 부하나 힘을 달아나게 하여, 풀리나 엘리먼트의 손상 및이상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6)

  1. 구동풀리와 피동풀리와의 사이에 괘장되는 무단대상을 이루는 금속제의 밴드로 지지되고, 또한, 밴드의 연장 방향으로 적층하여 배치되는 금속벨트용 엘리먼트에 있어서,
    각부를 호상으로 면제거한 직사각형 단면형상 또는 원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단일의 선재를 절곡함으로써 상기 엘리멘트를 구성하고,
    그 엘리먼트는 상기 밴드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를 구획하는 절곡부를 구비하고, 그 절곡부의 형상은 밴드를 오목부에 삽통한 후에 있어서도, 삽통전의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벨트용 엘리먼트.
  2. (삭제)
  3. (삭제)
  4. (보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는 환상홈을 구비하고, 상기 엘리먼트는,
    상기 풀리의 환상홈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보디부와,
    상기 보디부에 연속하는 필러부와,
    그 필러부를 개재하여 일체로 성형된 헤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필러부의 양측에는 밴드를 삽통하기 위한 슬릿을 마련하고, 상기 보디부의 인접하는 선재사이에는 상기 선재의 절곡에 따른 미소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벨트용 엘리먼트.
  5. (삭제)
  6. (보정)
    제 4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연장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엘리먼트끼리를 계합시키기 위하여, 선재의 굴곡에 의한 볼록부 및 오목부를 보디부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벨트용 엘리먼트.
  7. (삭제)
  8. (보정)
    구동 풀리와 피동 풀리와의 사이에 괘장되는 무단대상을 이루는 금속제의 밴드를 구비하고, 그 밴드의 연장방향으로 다수의 엘리먼트를 적층하여 배치한 금속벨트에 있어서,
    상기 엘리먼트를 단일의 선재에 의하여 구성하고,
    상기 엘리먼트는 상기 풀리에 접촉하는 보디부와, 상기 보디부의 양측에서 각각 일어서는 입설부와, 상기 입설부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연출하고, 또한,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갈고리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디부와 양 갈고리상부에 의하여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디부의 인접하는 선재 사이에는 상기 선재의 절곡에 따라 잘록한 곳이 형성되고,
    그 개구부내에 배치된 상기 밴드로부터 엘리먼트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내에 있어서, 밴드와 중합시켜 배치되는 탈락방지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벨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입설부는 외측을 향하여 확개(擴開)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벨트.
  10. 제 8 또는 9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연장방향을 따라 엘리먼트끼리를 계합시키기 위하여, 볼록부 및 오목부를 상기 엘리먼트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벨트.
  11. (삭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및 오목부는 상기 보디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벨트.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및 오목부는 상기 엘리먼트의 주회면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하여 사상(斜狀)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벨트.
  14. (보정)
    제 8 내지 1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락방지체는 박판으로 형성됨과 함께 투공(透孔)을 가지고, 그 들 투공(透孔)은, 탈락방지체의 폭의 축소시에 사용되는 도구를 삽입하기 위하여, 탈락방지체의 대향하는 둘레 모서리를 따라 쌍을 이루도록 배치된 작은 구멍을 포함함과 함께, 탈락방지체의 요곡성의 증가 및 경량화를 위해 형성된 이형의 투공(透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벨트.
  15. (보정)
    제 1, 4, 6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금속벨트용 엘리먼트를 밴드에 계합한 상태로 밴드의 길이 방향으로 적층하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벨트.
  16. (삭제)
KR10-2001-7004271A 1998-11-05 1999-11-04 금속벨트용 엘리먼트, 금속벨트 및 금속벨트의 조립부착방법 KR1003935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515698 1998-11-05
JP37390798 1998-12-28
JP14118299 1999-05-21
JP15889299 1999-06-07
JP11-306964 1999-10-28
JP10-315156 1999-10-28
JP11-141182 1999-10-28
JP30696499 1999-10-28
JP10-373907 1999-10-28
JP11-158892 1999-10-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9984A KR20010079984A (ko) 2001-08-22
KR100393546B1 true KR100393546B1 (ko) 2003-08-02

Family

ID=27527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4271A KR100393546B1 (ko) 1998-11-05 1999-11-04 금속벨트용 엘리먼트, 금속벨트 및 금속벨트의 조립부착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79798B1 (ko)
EP (1) EP1132649B1 (ko)
KR (1) KR100393546B1 (ko)
DE (1) DE69923585T2 (ko)
WO (1) WO20000282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4690A (ja) * 2000-08-07 2002-02-20 Honda Motor Co Ltd 無段変速機用ベルト
WO2002053938A1 (en) * 2000-12-28 2002-07-11 Van Doorne's Transmissie B.V. Belt
WO2002053935A1 (en) * 2000-12-28 2002-07-11 Van Doorne's Transmissie B.V. Belt
WO2002053936A1 (en) * 2000-12-28 2002-07-11 Van Doorne's Transmissie B.V. Belt
JP3780237B2 (ja) * 2002-08-19 2006-05-31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高負荷伝動用vベルト
NL1022022C2 (nl) * 2002-11-28 2004-06-02 Doornes Transmissie Bv Metalen drijfriem.
WO2005019684A1 (ja) * 2003-08-26 2005-03-03 Fukuju Kogyo Kabushiki Kaisha 金属ベルト及びそれに使用する押しゴマ
US20070134468A1 (en) * 2004-07-14 2007-06-14 Buehler Jane E Enhanced friction reducing surfa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687112B2 (en) * 2004-07-14 2010-03-30 Kinetitec Corporation Surface for reduced friction and wea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EP1831588B1 (en) * 2004-12-24 2012-12-12 Robert Bosch GmbH Method for manufacturing push belts of distinguishable type and a composition of push belt types
US8025144B2 (en) * 2005-02-11 2011-09-27 Advanced Flexible Composites, Inc. Conveyor belts with thin film sensor-activating coating
JP4419998B2 (ja) * 2006-08-28 2010-0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伝動ベルトおよびその組み付け方法
JP4371131B2 (ja) * 2006-08-28 2009-11-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伝動ベルトおよびその組付装置ならびにその組付方法
JP4685732B2 (ja) * 2006-08-28 2011-05-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伝動ベルト
JP4875950B2 (ja) * 2006-08-28 2012-02-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伝動ベルトおよびその組み付け方法
CN102906452B (zh) * 2011-05-27 2015-05-2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传动带以及传动带的组装方法
WO2014006744A1 (ja) * 2012-07-06 2014-01-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金属ベルト用エレメント
WO2014184945A1 (ja) * 2013-05-17 2014-1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無段変速機
US20190154114A1 (en) * 2016-02-12 2019-05-23 Aisin Aw Co., Ltd. Power transfer belt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WO2017138217A1 (ja) * 2016-02-12 2018-08-16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伝動ベルト
WO2017138528A1 (ja) * 2016-02-12 2017-08-17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伝達ベルト
AT517952B1 (de) * 2016-02-23 2017-06-15 Berndorf Band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ndloser Metallbänder beliebiger Breite
EP3431810A4 (en) * 2016-05-18 2019-05-01 Aisin Aw Co., Ltd. TRANSMISSION BELT
JP6809368B2 (ja) * 2017-05-16 2021-01-06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無段変速機および伝動ベルト
EP3404288B1 (en) * 2017-05-19 2020-07-08 Jatco Ltd Transverse segment for a drive belt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a drive belt and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provided therewith
CN110651138B (zh) 2017-06-02 2021-06-15 爱信艾达株式会社 传动带用单体及传动带
JP6610636B2 (ja) * 2017-09-29 2019-11-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伝動ベルト
NL1043518B1 (en) * 2019-12-23 2021-09-02 Bosch Gmbh Robert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ransverse segment for a drive belt and a drive belt including the thus manufactured transverse segment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75264A (en) * 1944-03-20 1949-07-05 Sk Wellman Co Flexible belt
FR1475005A (fr) * 1966-02-18 1967-03-31 Procédé de fabrication de fils métalliques et fils métalliques obtenus selon ce procédé
IT1114615B (it) * 1977-05-04 1986-01-27 Pirelli Conghia di trasmissione trapezoidale
NL7900435A (nl) * 1979-01-19 1980-07-22 Doornes Transmissie Bv Samengestelde drijfriem met dwarselementen voorzien van onderlinge koppelingsmiddelen.
US4386921A (en) * 1980-04-28 1983-06-07 Borg-Warner Corporation Metal power transmission belt
US4342561A (en) * 1980-06-02 1982-08-03 Borg-Warner Corporation Power transmission belt
US4422231A (en) * 1980-07-09 1983-12-27 Borg-Warner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a block for a metal belt
JPS57190946A (en) 1981-05-20 1982-11-24 Ricoh Co Ltd Heat development type diazo copying material
JPS592344Y2 (ja) * 1981-05-30 1984-01-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無段変速機用駆動ベルトのベルトブロック構造
JPS5954838A (ja) 1982-09-22 1984-03-29 Honda Motor Co Ltd Vベルト伝動装置
JPS59131052A (ja) 1983-01-13 1984-07-27 Nippon Denso Co Ltd 伝動ベルト
US4581002A (en) * 1984-05-29 1986-04-08 General Motors Corporation V-belt structure
JPH063245B2 (ja) 1985-08-06 1994-01-12 日本発条株式会社 Vベルト用ブロツク
SE462573B (sv) 1985-08-06 1990-07-16 Skf Nova Ab Kilrem
JPH0758548B2 (ja) 1985-12-13 1995-06-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トラツキング制御装置
JP2733104B2 (ja) 1989-08-12 1998-03-30 松下電工株式会社 壁の構造
JPH0723643Y2 (ja) * 1989-11-16 1995-05-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金属vベルト
JPH0733003Y2 (ja) * 1990-07-11 1995-07-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伝動用vベルト
NO179282C (no) 1991-01-18 1996-09-11 Rhone Poulenc Agrochimie Nye 1-(2-pyridyl)pyrazolforbindelser til kontroll av skadeinsekter
JPH053693A (ja) 1991-06-25 1993-01-08 Victor Co Of Japan Ltd 可動体の速度制御装置
JPH0586054U (ja) * 1991-06-28 1993-11-19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高負荷伝動用ベルト
JPH053693U (ja) * 1991-07-02 1993-01-19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高負荷伝動ベル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23585T2 (de) 2006-03-23
WO2000028237A1 (fr) 2000-05-18
DE69923585D1 (de) 2005-03-10
EP1132649A1 (en) 2001-09-12
EP1132649B1 (en) 2005-02-02
KR20010079984A (ko) 2001-08-22
EP1132649A4 (en) 2002-04-03
US6679798B1 (en) 2004-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3546B1 (ko) 금속벨트용 엘리먼트, 금속벨트 및 금속벨트의 조립부착방법
EP0918962B1 (en) Sprocket
JPWO2005019684A1 (ja) 金属ベルト及びそれに使用する押しゴマ
US4571224A (en) Belt drive system
JP4229532B2 (ja) 無段変速機用ベルト
JPH07127646A (ja) ころ軸受用保持器
CN211314975U (zh) 传动带
JP4502578B2 (ja) ベルト
EP2053270B1 (en) Power transmission chain and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JP5278560B2 (ja) 無段変速機用ベルトのエレメ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111186B1 (ja) 金属ベルト用エレメント及び金属ベルト
JP3461790B2 (ja) 金属ベルト用エレメント、金属ベルト及び金属ベルトの組付方法
EP0510990B1 (en) Driving belt for stepless speed variation
JP2005518513A (ja) 連続的に変化可能な変速機のためのプッシュベルトのための連結要素を形成する工程
EP1167812B1 (en) Driving belt and transverse element for a driving belt
JP2003269547A (ja) 無段変速機用ベルト
EP1642042B1 (en) Metal drive belt
JPH0729331Y2 (ja) 高負荷伝動用vベルト
JP5678588B2 (ja) 無段変速機用ベルト
CN101198807B (zh) 用于无级变速器的传动带以及制造用于这种传动带的横向元件的方法
JP3550334B2 (ja) 金属ベルト用エレメント及び金属ベルト
JP6204449B2 (ja) 無段変速機用金属エレメントの製造方法および無段変速機用金属エレメント
JPS6357942A (ja) 無段変速機用ベルト
JP7026503B2 (ja) 無段変速機に用いられる駆動ベルトのための横断部材の製造方法
JP3707393B2 (ja) 無段変速機用vベ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