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2328B1 - 가공성 및 용접성이 우수한 내황산노점부식성을 가진 강판 - Google Patents

가공성 및 용접성이 우수한 내황산노점부식성을 가진 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2328B1
KR100392328B1 KR10-2000-0072905A KR20000072905A KR100392328B1 KR 100392328 B1 KR100392328 B1 KR 100392328B1 KR 20000072905 A KR20000072905 A KR 20000072905A KR 100392328 B1 KR100392328 B1 KR 100392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uric acid
steel sheet
workability
acid dew
corrosion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2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2109A (ko
Inventor
니시무라사토시
Original Assignee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62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3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4Very low carbon steels, i.e. having a carbon content of less than 0,01%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폐기물 소각설비, 발전소 설비의 보일러 등에 중유를 연료로 하는 형태의 설비에 이용된 내황산노점부식(耐黃酸露点腐食) 강판에 있어서, 가공성, 용접부 인성 및 용접부 연마 손질성을 큰 폭으로 개선시킨 강판을 제공하는 것으로, 질량 %로, C ≤ 0.07%(바람직하게는 ≤ 0.0030%), Si ≤ 1.0%, Mn : 0.2 ∼ 1.5%, P ≤ 0.03%, S ≤ 0.03%, Cu ≤ 0.6%, Sb : 0.01 ∼ 0.15% 및 Ni ≤ 1.0% 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황산노점부식 강판.

Description

가공성 및 용접성이 우수한 내황산노점부식성을 가진 강판{STEEL SHEET WITH SULFURIC ACID DEW-POINT CORROSION RESISTANCE EXCELLENT IN WORKABILITY AND WELDABILITY}
본 발명은 폐기물 소각설비, 발전소 설비의 보일러 등에 중유를 연료로 하는 형태의 설비에 이용된 내황산노점부식(耐黃酸露点腐食) 강판에 있어서, 가공성, 용접부 인성 및 용접부 연마 손질성을 큰 폭으로 개선시킨 강판에 관한 것이다.
폐기물 소각설비, 발전소 설비의 보일러 등 중유를 연료로 하는 형태의 설비에는 중유에 함유된 유황분이 연소에 의하여 아황산 가스로 되고, 이 아황산 가스는 접촉 산화 또는 직접적으로 화합하여 SO3로 되고, 물과 화합하여 황산으로 된다.
보일러 등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부식은 황산 농도가 40∼50%에서 부식이 심해지기 때문에, 특공소43-14585호 공보에 나타난 바와 같은 Cu와 Sb를 첨가한 재료가 유효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지만, 종래 재료에서는 C의 함유량을 0.08∼ 0.15%의 범위로 하여 제조하고 있고, 내황산노점부식성을 얻기 위해서 합금의 첨가를 실시함에 의해 재료의 항복점 및 강도가 상승하여 연신이 충분하지 않고, 현재 높은 프레스 가공도형의 프레스 가공 공정의 단축화를 진행하는 데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수준의 C 함유량의 강판에서는 용접부의 인성이 낮고, 용접부가 경화되기 쉽기 때문에 연마 손질성이 나쁘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방법으로는 얻을 수 없는 복잡한 형상의 부품으로 가공이 가능하고 또한 내식성이 양호한 강판을 얻기 위한 것이며, 종래의 중탄소계의 성분으로부터 그 이하, 바람직하게는 극저탄소계로 변경함으로써 가공성과 용접성(용접 손질성)이 큰 폭으로 개선된 재료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주요 요지는 아래에 기술되었다.
(1) 질량 %로,
C ≤ 0.07%, Si ≤ 1.0%
Mn : 0.2 ∼ 1.5%, P ≤ 0.03%
S ≤ 0.03% Cu ≤ 0.6%
Sb : 0.01 ∼ 0.15% Ni ≤ 1.0%
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황산노점부식 강판.
(2) 질량 %로,
C ≤ 0.0030%, Si ≤ 1.0%
Mn : 0.2 ∼ 1.5%, P ≤ 0.03%
S ≤ 0.03% Cu ≤ 0.6%
Sb : 0.01 ∼ 0.15% Ni ≤ 1.0%
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황산노점부식 강판.
도 1은 C 량과 인장강도, 항복강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C 량과 연신율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황산-수(水)계의 기액평형상태에서 황산 침지 시험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가공성, 양호한 용접성 내황산노점부식 강은 내황산노점부식 성능이 우수하고, 또한 가공성이 우수하여 폐기물 소각설비, 발전소 설비의 보일러 등에 관계된 부재의 가공시 성형성과 용접부 인성에 대한 큰 폭의 향상과 용접부 손질시 작업성을 크게 개선한 강판이다.
본 발명의 한정 요건은 상술한 바와 같이, C를 저감함으로써 강재의 연질화를 도모하고, 항복점과 강도를 낮춤으로써 높은 연성을 얻는다.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탄소화의 효과는 현저하고, 특히 0.0030% 이하로 극저로 함으로써 현저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C를 저감하여 용접부 인성 및 용접부의 소입 경화를 경감함으로써, 내황산노점부식성을 갖추고, 우수한 용접성과 용접부 인성 및 용접부 가공경화가 낮은 내황산노점부식강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해서, 합금 원소 함유량을 상기 범위로 한정한 이유를 설명한다.
C는 강재로서 필요 강도를 얻는 저렴한 원소이다. 폐기물 소각설비, 발전소 설비의 보일러 등에 필요한 가공을, 프레스 가공공정을 종래보다 단축하는 방법으로 1회당 프레스 가공량을 크게 하여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질량 %로 0.07% 이하로 규정한다. 상기 효과를 보다 현저하게 얻기 위해서는 0.0030%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강에 있어서 탈탄 능력을 고려하면, 0.000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는 내식성을 증가시키지만, 1.0%를 초과하여 첨가하는 것은 가공성을 열화시키므로 1.0% 이하로 하였다.
Mn은 탈산 작용을 가지고 동시에 가공성을 양호하게 하고, 강도를 높이는 원소로서 0.2% 미만에서는 효과가 불충분하여 하한을 0.2%로 하였고, 상한은 내식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1.5%로 하였다.S는 일반적으로 강내에 불순물로 포함되지만, 다량으로 존재하면 부식 저항성을 감소시키는 황화물을 형성하므로, 0.03%를 상한으로 하였다.
P는 Cu와 공존하여 내후성을 증가시키고, 강도도 향상시키지만, 다량으로 첨가하면 취화 및 내황산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0.03% 이하로 하였다.
Cu는 Sb와 공존하여 내황산노점부식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지만, 0.6% 이상으로 첨가되어도 내황산노점부식성을 향상시키지 않고, 열간 가공성을 열화시키므로 0.6% 이하로 하였다.
Ni의 첨가는 강의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내후성을 향상시키고, 열간 가공성을 개선하지만, 1.0%를 초과하여 첨가하는 것은 고가로 되고, 내황산노점부식성을 저하시키므로 1.0% 이하로 하였다.
Sb는 상기의 Cu와 공존하면 첨가량과 함께 내황산노점부식성이 향상되며, 0.01% 이하에서는 내황산노점부식성의 효과가 작고, 0.15% 이상 첨가하면 효과가 포화하게 되어 0.01 ∼ 0.15%로 규정하였다.
일례 1
아래에 본 발명의 효과를 실시예를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나타내었다.
표 1의 화학성분(강 1∼7)을 가진 연속 주조 슬라브를 열간압연하여 판 두께 4.5mm의 강판으로 제조하여 가공성, 용접성 및 내식성을 조사하였다. 가공성은 JIS 5호 인장 시험편으로 항복강도, 인장강도, 연신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용접 인성은 피복 아크 용접에 의해 용접부를 만들어 HAZ부의 경도를 측정하여 인성과 용접 손질성(연화정도의 파악에 의한다)을 판정하였다. 내식성은 표면을 600 에머리 (emery) 연마 후 부식 시험편을 만들어, 60℃에서 40% 황산 중에 4시간 침지한 후 및 30℃에서 20% 염산 중에 25시간 침지한 후 부식량을 측정하여 구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로부터 명확하듯이, 본 발명의 극저탄소강에서는 항복점 강도, 인장강도가 낮고 연신율이 SS400 수준으로 양호하였다.
또한, 극저탄소강에서는 용접부 인성 및 용접 손질성의 지표인 경도 값이 큰 폭으로 저하하였다.
(질량 %)
시 료번 호 C Si Mn P S Cu Ni Sb 비 고
1234 0.08 0.74 0.87 0.011 0.006 0.32 0.20 0.130.10 0.04 0.48 0.009 0.008 0.58 0.21 0.120.12 0.56 0.54 0.022 0.011 0.15 0.18 0.120.21 0.03 0.80 0.012 0.015 0.03 - - 비교예비교예비교예비교예SS400
567 0.07 0.35 0.39 0.016 0.005 0.28 0.20 0.090.03 0.30 0.48 0.009 0.008 0.58 0.21 0.120.002 0.33 0.54 0.022 0.011 0.15 0.22 0.12 본발명예본발명예본발명예
시료번호 항복강도 인장강도 연신율 용접부경도 부식감량*1 부식감량*2(N/mm2) (N/mm2) (%) (Hv) (mg/cm2/hr) (mg/cm2/hr)
1*2*3*4* 317 437 36 236 12.1 12.8320 438 35 236 10.5 13.5321 438 37 236 11.2 12.2288 429 41 230 45.0 72.2
5**6**7** 295 395 41 210 10.1 11.1277 391 42 203 10.5 11.5256 283 43 188 11.0 11.7
*1 : 60℃에서 40% H2SO4중에서 6시간 침지
*2 : 30℃에서 20% H2SO4중에서 25시간 침지
** : 본발명예 * : 비교예
일례 2
연속주조 슬라브를 열간압연하여 판 두께 4.5mm의 강판으로 제작하여 표 3에 나타난 본발명예 5∼7의 열연강판과, 시판되고 있는 동일 판두께의 표 3에 나타낸 SS400, SUS316, SUS304 및 SUS430의 비교예로부터, 표면을 600 에머리 연마 후 부식 시험편을 제작하였고, 각각 황산-수계의 기·액평형으로부터 계산된 황산 온도와 농도의 관계로부터 각 온도, 농도의 황산 중에서 침지 시험을 행하여 부식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으로부터 명확하듯이, 본 발명 재료의 효과는 현저하고, 가장 심한 40%, 60℃ ∼ 50%, 80℃의 범위에서도 내식성은 양호하였다.
(질량 %)
시 료번 호 C Si Mn P S Cu Ni Cr Sb 비 고
567 0.07 0.35 0.39 0.016 0.005 0.28 0.20 - 0.130.03 0.30 0.48 0.009 0.008 0.58 0.21 - 0.120.002 0.33 0.54 0.022 0.011 0.15 0.22 - 0.12 본발명예본발명예본발명예
891012 0.07 0.50 0.33 0.030 0.006 0.10 0.25 17.35 -0.06 0.50 1.71 0.030 0.011 0.11 9.80 18.20 -0.08 0.68 1.65 0.030 0.007 0.25 11.80 17.11 -0.08 0.01 0.35 0.010 0.011 - - - - SUS430SUS304SUS316SS400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강은 내황산노점부식성능 및 가공성에서 우수하였고, 폐기물 소각설비, 발전소설비의 보일러 등에 관계된 부재의 가공시 성형성과 용접부 인성의 큰 폭의 향상과 용접부 손질시 작업성을 큰 폭으로 개선할 수 있고, 제조설비의 제작 공정 단순화, 용접부 손질 작업성 개선을 바탕으로 큰 폭으로 제작 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Claims (2)

  1. 질량 %로,
    C ≤ 0.07%, Si ≤ 1.0%
    Mn : 0.2 ∼ 1.5%, P ≤ 0.03%
    S ≤ 0.03% Cu ≤ 0.6%
    Sb : 0.01 ∼ 0.15% Ni ≤ 1.0%
    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황산노점부식 강판.
  2. 질량 %로,
    C ≤ 0.0030%, Si ≤ 1.0%
    Mn : 0.2 ∼ 1.5%, P ≤ 0.03%
    S ≤ 0.03% Cu ≤ 0.6%
    Sb : 0.01 ∼ 0.15% Ni ≤ 1.0%
    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황산노점부식 강판.
KR10-2000-0072905A 1999-12-06 2000-12-04 가공성 및 용접성이 우수한 내황산노점부식성을 가진 강판 KR1003923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690199A JP3530439B2 (ja) 1999-12-06 1999-12-06 高加工性・良溶接性耐硫酸露点腐食鋼板
JP346901/1999 1999-1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109A KR20010062109A (ko) 2001-07-07
KR100392328B1 true KR100392328B1 (ko) 2003-07-23

Family

ID=18386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2905A KR100392328B1 (ko) 1999-12-06 2000-12-04 가공성 및 용접성이 우수한 내황산노점부식성을 가진 강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530439B2 (ko)
KR (1) KR100392328B1 (ko)
MY (1) MY1384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507B1 (ko) * 2001-12-10 2006-01-24 주식회사 포스코 내황산 부식특성이 우수한 열연강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52597B2 (ja) * 2000-08-03 2009-10-2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耐候性鋼材
JP4690598B2 (ja) * 2001-08-20 2011-06-0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耐食性に優れた硫酸タンク
WO2009084747A1 (en) * 2007-12-27 2009-07-09 Posco Steel having excellent resistance to corrosion by hydrochloric acid and sulfuric aci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64581B1 (ko) * 2012-03-19 2019-04-03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내산노점부식 강 및 배기 가스 유로 구성 부재
JP7014042B2 (ja) * 2018-05-11 2022-02-01 日本製鉄株式会社 鋼材
CN112522643B (zh) * 2019-09-19 2022-06-24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薄带连铸生产耐硫酸露点腐蚀用热轧钢板/带的方法
WO2021095183A1 (ja) 2019-11-13 2021-05-20 日本製鉄株式会社 鋼材
JP6813128B1 (ja) 2019-11-13 2021-01-13 日本製鉄株式会社 鋼材
CN114599808B (zh) 2019-11-13 2023-07-21 日本制铁株式会社 钢材
CN114599804B (zh) 2019-11-13 2024-03-29 日本制铁株式会社 钢材
WO2021095185A1 (ja) 2019-11-13 2021-05-20 日本製鉄株式会社 熱間圧延鋼材
JP7298777B2 (ja) * 2020-10-30 2023-06-2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507B1 (ko) * 2001-12-10 2006-01-24 주식회사 포스코 내황산 부식특성이 우수한 열연강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30439B2 (ja) 2004-05-24
KR20010062109A (ko) 2001-07-07
JP2001164335A (ja) 2001-06-19
MY138468A (en) 2009-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71262B2 (ja) 耐食性にすぐれた二相ステンレス鋼
US8465604B2 (en) Ferritic stainless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392328B1 (ko) 가공성 및 용접성이 우수한 내황산노점부식성을 가진 강판
JP5109233B2 (ja) 溶接部耐食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5252959B2 (ja) 自動車排熱回収装置
KR100784888B1 (ko) 자동차용 스테인리스강 연료탱크
KR20120118067A (ko) 자동차 배기계 부재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JP4494245B2 (ja) 耐候性に優れた低Ni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材
KR100318529B1 (ko) 내황산부식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JP4190993B2 (ja) 耐隙間腐食性を改善し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KR960014949B1 (ko) 내기후성, 내녹성이 우수한 고 Cr, P첨가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JP4604917B2 (ja) 780MPa級高張力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37072B2 (ja) 耐食性と加工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JPH0841599A (ja) 溶接部の耐食性が優れた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2007247013A (ja) 耐酸化性、加工性および高温強度に優れる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4465066B2 (ja) フェライト・オーステナイト二相系ステンレス鋼用溶接材料
JP4823534B2 (ja) 耐応力腐食割れ性に優れた低Ni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材
JP2021075758A (ja) 耐食性に優れたFe−Ni−Cr−Mo−Cu合金
KR100503548B1 (ko) 초기 녹발생 방지성, 가공성 및 용접성이 우수한 철-크롬합금
JP4297631B2 (ja) 溶接部の耐粒界腐食性および低温靭性に優れたクロム含有鋼
JP2956430B2 (ja) 大入熱溶接時の熱影響部耐割れ性に優れた建築ボックス柱用鋼板
JP3132728B2 (ja) 成形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H04120241A (ja) 耐サワー電縫鋼管用鋼
JP3294282B2 (ja) 耐硫酸腐食性と加工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3501882B2 (ja) 排ガス伝熱部材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管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