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1598B1 - 차량용 엔진룸의 주행 안정성 강화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엔진룸의 주행 안정성 강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1598B1
KR100391598B1 KR10-2000-0064580A KR20000064580A KR100391598B1 KR 100391598 B1 KR100391598 B1 KR 100391598B1 KR 20000064580 A KR20000064580 A KR 20000064580A KR 100391598 B1 KR100391598 B1 KR 100391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rame
coupling means
side member
front side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4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4365A (ko
Inventor
김기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4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1598B1/ko
Publication of KR20020034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4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5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8Details of structures as upper supports for springs or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20Reducing vibrations in the drive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엔진룸의 주행 안정성 강화 구조에 관한 것으로, 주행 중 급정지하거나 고속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험로를 주행할 때 엔진에 가해지는 전·후 방향의 진동을 충분히 흡수시켜 마운트부쉬의 내구성과 주행 안전성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차체 하부 골격을 이루는 서브프레임(1)의 상부에 위치된 프론트사이드멤버(2)부위에는 그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엔진을 고정하여 상·하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는 결합수단(10)이 체결되는 한편, 상기 서브프레임(1)과 프론트사이드멤버(2)부위의 전·후 방향으로는 전·후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는 서브결합수단(20)이 체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엔진룸의 주행 안정성 강화 구조{An automotive engine room for strengthening driving stability}
본 발명은 차량용 엔진룸의 주행 안정성 강화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 중 발생되는 진동과 충격을 상·하 방향으로 흡수함은 물론 전·후 방향으로도 흡수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엔진룸의 주행 안정성 강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주행 중 불규칙한 노면이나 선회 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과 진동 및 쏠림등을 발생하므로 이러한 외력에 대해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차량의 엔진룸에 장착되는 엔진은 이와 같은 외력에 대해 충분한 내구성을 가져야 만 되므로 차체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차체 하부 골격을 이루는 서브프레임(1)과 차체의 상부 골격의 프론트사이드멤버(2)부위를 통해 결합수단(10)을 매개로 엔진이 결합 고정된다.
즉, 상기 결합수단(10)은 서브프레임(1)의 상부로 위치되는 상기 프론트사이드멤버(2)의 하부로 이어진 가셋트(6)를 매개로 엔진이 결합고정 되도록 상기 프론트사이드멤버(2)의 하부를 관통하는 롱볼트(11)와, 이 롱볼트(11)가 관통되면서 상기 프론트사이드멤버(2)와 가셋트(6)사이에 놓여져 완충기능을 하는 마운트부쉬(12) 및 상기 가셋트(6)로 돌출된 롱볼트(11)와 체결되어 고정되는 웰드너트(1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웰드너트(13)의 하부에는 보강브라케트(14)가 구비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사이드멤버(2)의 전방으로는 상기 가셋트(6)의 전방 끝 부위에 용접 고정되면서 전조등을 장착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로워인너·아우터멤버(7,8)가 구비됨과 더불어 프론트범퍼(5)가 장착되도록 상기 프론트사이드멤버(2)의 전방을 감싸도록 용접 고정된 프론트익스텐션멤버(3)가 구비되어 진다.
이에 따라, 차량의 주행 중 불규칙한 노면이나 선회 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과 진동 및 쏠림등의 외력이 엔진에 가해지면, 상기 결합수단(10)이 체결된 서브프레임(1)과 프론트사이드멤버(2)부위가 상·하 및 전·후로 이동되면서 외력을 흡수하게 됨은 물론이다.
그러나, 통상 주행 중인 차량의 경우 도 4,5,6에서와 같이 주행 중 급정지하거나 고속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험로를 주행하는 경우 표시된 화살표의 방향으로 매우 큰 외력이 가해지고 이로 인해, 상기 결합수단(10)의 상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 보다 수평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이 더 크게 작용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수단(10)이 서브프레임(1)과 프론트사이드멤버(2)부위의 상 방향으로 체결되는 구조에서는 외력에 의한 상·하 방향의 진동에 대해 내구성이 강하게 확보되나, 전술한 경우와 같은 경우에는 외력이 전·후 방향으로 보다 크게 작용하여 상기 결합수단(10)을 통해서는 전·후방향의 진동에 대한 내구성이 상·하 방향에 비해 크게 약해 주행 안정성이 저하됨은 물론, 상기 결합수단(10)의마운트부쉬(12)의 내구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차량에 가해지는 상·하 방향의 진동은 물론 주행 중 급정지하거나 고속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험로를 주행할 때 엔진에 가해지는 전·후 방향의 진동을 충분히 흡수시켜 마운트부쉬의 내구성과 주행 안전성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차체 하부 골격을 이루는 서브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된 프론트사이드멤버부위에는 그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엔진을 고정하여 상·하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는 결합수단이 체결되는 한편, 상기 서브프레임과 프론트사이드멤버부위의 전·후 방향으로는 전·후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는 서브결합수단이 체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차량용 엔진룸을 이루는 결합구조의 측면 구성도
도 2는 종래에 따라 주행 중 급정지할 때 가해지는 힘의 작용도
도 3은 종래에 따라 고속 회전 시 가해지는 힘의 작용도
도 4는 종래에 따라 험로 주행 시 가해지는 힘의 작용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행 안정성 강화 구조에 의한 엔진룸을 이루는 결합구조의 측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서브프레임 2 : 프론트사이드멤버
3 : 프론트익스텐션멤버 4 : 헤드램프서포트패널
5 : 프론트범퍼 6 : 거셋트
6a,7a,8a : 연장단
7 : 로워인너멤버 8 : 로워아우터멤버
10 : 결합수단 11 : 롱볼트
12,22 : 마운트부쉬 13,23 : 웰드너트
14 : 보강브라케트
20 : 보조결합수단 21 : 가이드볼트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행 안정성 강화 구조에 의한 엔진룸을 이루는 결합구조의 측면 구성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은 차량의 차체 하부 골격을 이루는 서브프레임(1)의 상부에 위치된 프론트사이드멤버(2)부위에는 그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엔진을 고정하여 상·하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는 결합수단(10)이 체결되는 한편, 상기 서브프레임(1)과 프론트사이드멤버(2)부위의 전·후 방향으로는 전·후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는 서브결합수단(20)이 체결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사이드멤버(2)의 전방으로는 상기 가셋트(6)의 전방 끝 부위에 용접 고정되면서 전조등을 장착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로워인너·아우터멤버(7,8)가 구비됨과 더불어 프론트범퍼(5)가 장착되도록 상기 프론트사이드멤버(2)의 전방을 감싸도록 용접 고정된 프론트익스텐션멤버(3)가 구비되되, 상기 가셋트(6)와 로워인너·아우터멤버(7,8)는 하방으로 돌출 되도록 형성된 연장단(6a,7a,8a)이 각각 형성되어 용접 고정되어진다.
한편, 상기 결합수단(10)은 전술한 종래의 경우와 같이 서브프레임(1)의 상부로 위치되는 상기 프론트사이드멤버(2)의 하부로 이어진 가셋트(6)를 매개로 엔진이 결합고정 되도록 상기 프론트사이드멤버(2)의 하부를 관통하는 롱볼트(11)와, 이 롱볼트(11)가 관통되면서 상기 프론트사이드멤버(2)와 가셋트(6)사이에 놓여져 완충기능을 하는 마운트부쉬(12) 및 상기 가셋트(6)로 돌출된 롱볼트(11)와 체결되어 고정되는 웰드너트(13)로 이루어진다.또한, 상기 웰드너트(13)의 하부에는 보강브라케트(14)가 구비되어진다.
또한, 상기 서브결합수단(20)은 서브프레임(1)의 끝단 측면에서 상기 가셋트(6)와 로워인너·아우터멤버(7,8)의 연장단(6a,7a,8a)을 관통하는 가이드볼트(21)와, 이 가이드볼트(21)에 끼워져 서브프레임(1)의 끝단 측면과 연장단(6a,7a,8a)사이에 구비된 마운트부쉬(22) 및 상기 연장단(6a,7a,8a)으로 돌출된 가이드볼트(21)에 체결되는 웰드너트(2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서브결합수단(20)의 가이드볼트(21)는 그 머리부위가 상기 서브프레임(1)의 끝단 측면에 용접이나 또는 기구적 결합관계에 의해 고정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브프레임(1)의 끝단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진다.
이에 따라, 차량의 주행 중 가해지는 충격과 진동 및 쏠림등의 외력이 엔진에 가해지면, 서브프레임(1)과 프론트사이드멤버(2)부위에 상·하 방향으로 체결된 상기 결합수단(10)이 상·하로 이동되면서 가해진 외력을 흡수하게 됨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도2,3,4에서와 같이 주행 중 급정지하거나 고속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험로를 주행할 때 상기 결합수단(10)의 상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보다 수평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이 더 크게 작용되는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1)과 프론트사이드멤버(2)부위의 전·후 방향으로는 체결된 서브결합수단(20)이 전·후로 이동되면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프레임(1)과 프론트사이드멤버(2)부위의 상·하 부위와 전·후 부위로 체결된 결합수단(10)과 서브결합수단(20)에 의해 상·하 및 전·후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수단(10)과 서브결합수단(20)에 구비된 마운트부시(12,22)는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진동을 상쇄시키는 댐퍼기능을 하도록 고무재질로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서브프레임과 프론트사이드멤버부위의 상·하 부위와 전·후 부위로 체결된 결합수단과 서브결합수단에 의해 상·하 및 전·후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므로, 차량에 가해지는 상·하 방향의 진동은 물론 주행 중 급정지하거나 고속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험로를 주행할 때 엔진에 가해지는 전·후 방향의 진동을 충분히 흡수시켜 마운트부쉬의 내구성과 주행 안전성을 저하시키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5)

  1. 차량의 차체 하부 골격을 이루는 서브프레임(1)의 상부에 위치된 프론트사이드멤버(2)와 서브프레임(1)의 끝단 측면에서 프론트사이드멤버(2)의 하부에 덧대어진 가셋트(6)부위에는 그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엔진을 고정하여 상·하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도록 서로 결합되는 롱볼트(11)와 마운트부쉬(12) 및 상기 가셋트(6)부위에 구비된 보강브라케트(14)에 밀착된 웰드너트(13)로 이루어진 결합수단(10)이 체결되는 한편, 상기 서브프레임(1)과 프론트사이드멤버(2)부위의 전·후 방향으로는 전·후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는 서브결합수단(20)이 체결되어진 차량용 엔진룸의 주행 안정성 강화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결합수단(20)은 서브프레임(1)의 끝단 측면에서 프론트사이드멤버(2)의 하부에 덧대어진 가셋트(6)의 전방 끝 부위에 용접 고정되면서 전조등을 장착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로워인너·아우터멤버(7,8)의 하방으로 돌출 되도록 형성된 연장단(6a,7a,8a)을 통해 체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룸의 주행 안정성 강화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결합수단(20)은 상기 가셋트(6)와 로워인너·아우터멤버(7,8)의 연장단(6a,7a,8a)을 관통하는 가이드볼트(21)와, 이 가이드볼트(21)에 끼워져 서브프레임(1)의 끝단 측면과 연장단(6a,7a,8a)사이에 구비된 마운트부쉬(22) 및 상기 연장단(6a,7a,8a)으로 돌출된 가이드볼트(21)에 체결되는 웰드너트(23)로 이루어진 차량용 엔진룸의 주행 안정성 강화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볼트(21)는 그 머리부위가 상기 서브프레임(1)의 끝단 측면에 용접등을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룸의 주행 안정성 강화 구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볼트(21)는 서브프레임(1)의 끝단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룸의 주행 안정성 강화 구조.
KR10-2000-0064580A 2000-11-01 2000-11-01 차량용 엔진룸의 주행 안정성 강화 구조 KR100391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580A KR100391598B1 (ko) 2000-11-01 2000-11-01 차량용 엔진룸의 주행 안정성 강화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580A KR100391598B1 (ko) 2000-11-01 2000-11-01 차량용 엔진룸의 주행 안정성 강화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365A KR20020034365A (ko) 2002-05-09
KR100391598B1 true KR100391598B1 (ko) 2003-07-16

Family

ID=19696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4580A KR100391598B1 (ko) 2000-11-01 2000-11-01 차량용 엔진룸의 주행 안정성 강화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159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4247U (ko) * 1981-06-23 1982-12-25
JPS60176978U (ja) * 1984-05-04 1985-11-25 アラコ株式会社 車両用ボデ−の組付構造
JPS62178277U (ko) * 1986-05-02 1987-11-12
JPH0492770A (ja) * 1990-08-09 1992-03-25 Toyota Motor Corp 車体のフロントサブフレーム取付構造
JPH07267135A (ja) * 1994-03-29 1995-10-17 Daihatsu Motor Co Ltd 車体の補強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4247U (ko) * 1981-06-23 1982-12-25
JPS60176978U (ja) * 1984-05-04 1985-11-25 アラコ株式会社 車両用ボデ−の組付構造
JPS62178277U (ko) * 1986-05-02 1987-11-12
JPH0492770A (ja) * 1990-08-09 1992-03-25 Toyota Motor Corp 車体のフロントサブフレーム取付構造
JPH07267135A (ja) * 1994-03-29 1995-10-17 Daihatsu Motor Co Ltd 車体の補強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365A (ko) 200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1598B1 (ko) 차량용 엔진룸의 주행 안정성 강화 구조
JP3697614B2 (ja) 自動車エンジンのマウンティング構造
KR101230215B1 (ko) 자동차용 리어 쇼크업소버 지지대
JP3039094B2 (ja)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の取付部構造
JPH0986192A (ja) 自動車車体へのパワーユニット取付け構造
KR100569338B1 (ko) 로워 스트러트바 일체형 차량의 서브프레임
KR200156543Y1 (ko) 대형트럭의 샤시프레임 체결구조
KR20090130599A (ko) 스토퍼 일체형 부시 앗세이
JPH11245639A (ja) トーションバによる衝撃エネルギー吸収構造
KR100369126B1 (ko) 차량의 프론트 로워암 장착 어셈블리
KR100814621B1 (ko) 트랙터의 진동방지 구조
KR100488598B1 (ko) 텐션로드를 구비한 차량의 서스펜션
KR200229855Y1 (ko) 쇽업소버의마운팅구조
KR100348045B1 (ko) 자동차용 섀시리어크로스멤버의 보강구조
KR100362078B1 (ko) 차량의 리어 서브 프레임 결합구조
KR100362401B1 (ko) 엔진 마운팅 부재 보강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 차체
KR0134097Y1 (ko) 자동차 토션빔 엑슬에의 스핀들 취부구조
KR20060091909A (ko) 리어 액슬의 댐퍼 장착구조
JPH10166824A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ドライブアクスルマウンティング構造
KR0139695Y1 (ko) 상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KR100423308B1 (ko) 자동차의 현가아암 장착구조
KR100350799B1 (ko) 서브 프레임 마운팅 리어부 강성증대 구조
KR20210155082A (ko) 차량용 프론트 서브프레임 장착 구조
KR100667429B1 (ko) 자동차용 스트럿바
KR19980021950U (ko) 자동차의 쿼터패널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