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1909A - 리어 액슬의 댐퍼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리어 액슬의 댐퍼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1909A
KR20060091909A KR1020050012678A KR20050012678A KR20060091909A KR 20060091909 A KR20060091909 A KR 20060091909A KR 1020050012678 A KR1020050012678 A KR 1020050012678A KR 20050012678 A KR20050012678 A KR 20050012678A KR 20060091909 A KR20060091909 A KR 20060091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axle
damper
nut
bush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2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주석
Original Assignee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2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1909A/ko
Publication of KR20060091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19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01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 B60G13/005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axle or suspension arm of the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1Joinin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댐퍼의 부시를 관통하여 너트로 체결된 볼트를 직접 리어 액슬에 용접한 리어 액슬의 댐퍼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댐퍼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부시의 관통공에 볼트를 관통하게 하고 그 일측의 나사 형성부를 너트로 체결 고정하며 용접부를 통해 그 타측을 리어 액슬에 용접하여 고정함으로써, 별도의 브라켓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제조비용의 저감과 동시에 작업성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댐퍼, 리어 액슬, 부시, 볼트, 너트, 직접 용접

Description

리어 액슬의 댐퍼 장착구조{A fitting structure of a damper to a rear axle}
도 1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 액슬의 댐퍼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어 액슬의 댐퍼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어 액슬의 댐퍼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댐퍼            1a : 부시
2 : 브라켓          2a : 브라켓 연장부
3 : 리어 액슬       4, 4’: 볼트             
5 : 너트             6 : 용접부   
본 발명은 리어 액슬의 댐퍼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댐퍼의 부시를 관통하여 너트로 체결된 볼트를 직접 리어 액슬에 용접한 리어 액슬의 댐퍼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쇽업쇼버(또는 댐퍼)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고 주행중 노면에서 받는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여 탑승자의 승차감과 자동차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장치로써, 자동차가 주행할 때 노면의 상태에 따라 스프링이 받는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고유진동을 흡수하여 스프링의 진동을 빨리 감쇠시켜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프링의 상·하운동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시켜주는 장치이다.
더 자세하게는 차량이 노면을 따라 운행할 때 노면의 굴곡 여하에 따라 차체로 전달되는 고유진동은 스프링의 상·하운동으로 흡수되고, 이때 발생하는 스프링의 고유진동은 쇽업소버 또는 댐퍼가 흡수하여 신속하게 초기상태로 되돌아오게 하는 것이다.
또한 액슬(axle)은 타이어를 올바른 위치에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의 중량과 노면으로부터의 충격하중에 대하여 바디(body)를 지탱해 주는 부품이다. 액슬에 는 프론트 액슬과 리어 액슬이 있는데, 특히 리어 액슬은 일반적으로 구동계의 일부로서 동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차량의 후부 축중을 받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 액슬의 댐퍼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발명은 댐퍼(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부시(1a)의 하부를 감싸도록 브라켓(2)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볼트(4)를 브라켓의 양단에 형성된 구멍과 상기 부시(1a)를 관통하게 하고 이를 너트(5)로 체결 고정하며, 브라켓(2)의 일측 상부로 연장된 브라켓 연장부(2a)를 리어 액슬(3)에 용접부(6)를 통해 용접하여 고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발명에 있어서는 리어 액슬(3)에 댐퍼(1)를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브라켓(2)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제조시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발명에 있어서는 댐퍼(1)의 하단에 형성된 부시(1a)를 브라켓(2)에 설치할 때 부시(1a)의 관통공과 브라켓(2)의 체결공 간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볼드(4)를 부시(1a)의 관통공과 브라켓(2)의 체결공 사이에 끼워 체결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작업성이 저하되는 결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별도의 브라켓을 사용할 필요 없이 댐퍼의 부시를 관통하여 너트로 체결된 볼트를 직접 리어 액슬에 용접한 리어 액슬의 댐퍼 장착구조를 제공하여 제품의 단가를 저감함과 동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리어 액슬의 댐퍼 장착 구조는댐퍼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부시의 관통공에 볼트를 관통하게 하고 그 일측의 나사 형성부를 너트로 체결 고정하며 용접부를 통해 그 타측을 리어 액슬에 용접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어 액슬의 댐퍼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어 액슬의 댐퍼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리어 액슬(3)과, 부시(1a)를 가지는 댐퍼(1)와, 볼트(4’)와, 너트(5)로 구성된다.
상기 리어 액슬(3)의 하단에는 볼트(4’)의 일측이 위치하여 용접부(6)를 통해 용접되어 있다. 볼트(4’)의 타측은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 형성부를 가지고 있는데, 이 나사 형성부를 가지는 볼트(4’)의 타측이 댐퍼(1)에 일체로 형성된 부시(1a)의 관통공(도면부호 미부여)에 삽입되며, 완전 삽입되었을 경우 나사 형성부는 부시(1a)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되고 이 돌출된 나사 형성부에 너트(5)가 체결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리어 액슬의 댐퍼 장착구조에 의하면, 댐퍼(1)의 부시(1a)를 관통하여 너트(5)로 체결된 볼트(4’)를 직접 리어 액슬(3)에 용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리어 액슬의 댐퍼 장착구조는 별도의 브라켓을 사용할 필요 없이 댐퍼의 부시를 관통하여 너트로 체결된 볼트를 직접 리어 액슬에 용접할 수 있게 되어 제조비용의 저감을 달성함과 동시에 작업성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리어 액슬의 댐퍼 장착 구조에 있어서,
    댐퍼(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부시(1a)의 관통공에 볼트(4’를 관통하게 하고 그 일측의 나사 형성부를 너트(5)로 체결 고정하며 용접부(6)를 통해 그 타측을 리어 액슬(3)에 용접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액슬의 댐퍼 장착구조.
KR1020050012678A 2005-02-16 2005-02-16 리어 액슬의 댐퍼 장착구조 KR200600919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678A KR20060091909A (ko) 2005-02-16 2005-02-16 리어 액슬의 댐퍼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678A KR20060091909A (ko) 2005-02-16 2005-02-16 리어 액슬의 댐퍼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909A true KR20060091909A (ko) 2006-08-22

Family

ID=37593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678A KR20060091909A (ko) 2005-02-16 2005-02-16 리어 액슬의 댐퍼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19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958B1 (ko) * 2013-10-16 2014-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어 액슬 댐핑 장치
CN108773250A (zh) * 2018-06-08 2018-11-09 浙江零跑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车双衬套拉杆悬挂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958B1 (ko) * 2013-10-16 2014-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어 액슬 댐핑 장치
CN108773250A (zh) * 2018-06-08 2018-11-09 浙江零跑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车双衬套拉杆悬挂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0421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取り付け構造
JP2005170377A (ja) マルチリンクリア懸架装置
KR20060091909A (ko) 리어 액슬의 댐퍼 장착구조
KR20120007608U (ko) 보조쇽업소버 장착을 위한 보조브래킷
KR102383248B1 (ko)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
KR200362004Y1 (ko) 대형차량의 서스펜션장치
KR100353941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JPH07137523A (ja) 自動車のスタビライザバー取付構造
KR20100058967A (ko) 차량용 현가장치
JP2000177346A (ja) リーフサスペンション
KR200270375Y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KR101125301B1 (ko) 스트럿 가변 인슐레이터
JP2023089643A (ja) 車両構造
KR0125067Y1 (ko) 자동차용 전륜 현가장치의 하중분리구조
KR20090064666A (ko) 차량의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KR100793902B1 (ko)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KR100737011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20020051760A (ko) 이중완충기능을 갖는 컴파운드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
KR0139695Y1 (ko) 상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KR100534342B1 (ko) 자동차의 리어 서스펜션 마운팅구조
KR200274548Y1 (ko) 자동차 전륜 현가장치의 로워아암
KR19980021950U (ko) 자동차의 쿼터패널 보강구조
KR980007137U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레터럴링크 보강 브라켓
KR19990019857A (ko) 자동차의 리어액슬과 쇽 업소버 결합구조
KR20030035821A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