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608U - 보조쇽업소버 장착을 위한 보조브래킷 - Google Patents
보조쇽업소버 장착을 위한 보조브래킷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07608U KR20120007608U KR2020110003587U KR20110003587U KR20120007608U KR 20120007608 U KR20120007608 U KR 20120007608U KR 2020110003587 U KR2020110003587 U KR 2020110003587U KR 20110003587 U KR20110003587 U KR 20110003587U KR 20120007608 U KR20120007608 U KR 2012000760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rtical
- shock absorber
- bracket
- panel
- auxilia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01—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 B60G13/003—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damper uni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1—Joining by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전륜 코일쇽업소버의 완충기능을 보완하는 보조쇽업소버의 장착을 위한 보조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보조쇽업소버의 일단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멍을 구비하는 직사각형의 수평패널과, 상기 수평패널의 길이방향 양측부의 일측부에서 연장되는 제1 수직패널 및 타측부에서 연장되는 제2 수직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직패널의 후방수직변은 상기 차량의 사이드 프레임과의 용접을 위한 제1 후방단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수직패널의 전방수직변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장착되는 코일쇽업소버 브래킷과의 용접을 위한 제1 전방단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전방단차부의 수평부와 수직부가 접하는 부분에 상기 코일쇽업소버 브래킷의 리브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수직패널의 후방수직변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의 용접을 위한 제2 후방단차부를 구비하는 상측브래킷; 및 사각형의 수평패널과, 상기 사각형 수평패널의 양측부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사각형 수평패널은 상기 차량 현가장치의 로워암에 용접으로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수직패널 각각의 중앙부에는 상기 보조쇽업소버의 타단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멍이 형성되는 하측브래킷을 포함하는 보조브래킷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보조쇽업소버의 장착을 위한 보조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륜 코일쇽업소버의 완충기능을 보조하는 보조쇽업소버의 장착을 위한 보조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가장치란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차량이 주행할 때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하여 차체의 손상을 방지하고 화물의 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며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현가장치에 포함된 코일쇽업소버는 특히 차체의 상하방향의 진동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진동을 억제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차량이 노면이 고르지 않은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차체의 롤링이 심하여 승차감이 나빠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오프로드용 차량의 경우에는 코일쇽업소버의 완충기능을 보조하는 보조쇽업소버를 장착하는 차량이 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보조쇽업소버의 장착을 위한 보조브래킷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전륜 코일쇽업소버의 완충기능을 보조하는 보조쇽업소버 장착을 위한 보조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차량의 사이드 프레임의 형상을 변형함이 없이 탈부착이 가능한 보조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용접방식으로 차량의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되는 상측브래킷과 로워암(또는 서스펜션암)에 결합되는 하측브래킷으로 이루어지는 보조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보조쇽업소버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사이드 프레임과 코일쇽업소버 브래킷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상측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차량의 전륜 코일쇽업소버의 완충기능을 보완하는 보조쇽업소버의 장착을 위한 보조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보조쇽업소버의 일단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멍을 구비하는 직사각형의 수평패널과, 상기 수평패널의 길이방향 양측부의 일측부에서 연장되는 제1 수직패널 및 타측부에서 연장되는 제2 수직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직패널의 후방수직변은 상기 차량의 사이드 프레임과의 용접을 위한 제1 후방단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수직패널의 전방수직변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장착되는 코일쇽업소버 브래킷과의 용접을 위한 제1 전방단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전방단차부의 수평부와 수직부가 접하는 부분에 상기 코일쇽업소버 브래킷의 리브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수직패널의 후방수직변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의 용접을 위한 제2 후방단차부를 구비하는 상측브래킷; 및 사각형의 수평패널과, 상기 사각형 수평패널의 양측부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사각형 수평패널은 상기 차량의 하측 서스펜션암에 용접으로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수직패널 각각의 중앙부에는 상기 보조쇽업소버의 타단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멍이 형성되는 하측브래킷을 포함하는 보조브래킷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상측브래킷의 제2 수직패널의 후방수직변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의 용접을 위한 이중단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브래킷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조쇽업소버 장착을 위한 보조브래킷을 통해 전륜 코일쇽업소버의 완충기능을 보조하는 보조쇽업소버를 차량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보조브래킷을 이용하면 차량의 사이드 프레임 등 다른 구조물을 변형하지 않고도 보조쇽업소버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 및 코일쇽업소버 브래킷에 용접방식으로 결합되기에 적합한 구조를 갖는 상측브래킷을 통해 보조쇽업소버가 견고하게 지지된다.
도 1은 조수석 측에 장착된 코일쇽업소버를 나타낸다.
도 2(a) 및 (b)는 보조쇽업소버 장착을 위한 상측브래킷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2(b)의 상측브래킷이 차량의 사이드 프레임 및 코일쇽업소버 브래킷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보조쇽업소버 장착을 위한 하측브래킷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하측브래킷이 로워암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상측브래킷과 하측브래킷에 보조쇽업소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a) 및 (b)는 보조쇽업소버 장착을 위한 상측브래킷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2(b)의 상측브래킷이 차량의 사이드 프레임 및 코일쇽업소버 브래킷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보조쇽업소버 장착을 위한 하측브래킷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하측브래킷이 로워암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상측브래킷과 하측브래킷에 보조쇽업소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조수석 측에 장착된 코일쇽업소버를 나타낸다. 도 2(a) 및 (b)는 보조쇽업소버 장착을 위한 상측브래킷을 나타내고, 도 3은 도 2(b)의 상측브래킷이 차량의 사이드 프레임 및 코일쇽업소버 브래킷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보조쇽업소버 장착을 위한 하측브래킷을 나타내고, 도 5는 도 4의 하측브래킷이 로워암(또는 하측 서스펜션암)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상측브래킷과 하측브래킷에 보조쇽업소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코일쇽업소버(110)의 상단은 차량의 사이드 프레임(120)에 설치된 코일쇽업소버 브래킷(130)에 결합되고, 하단은 로워암(또는 하측 서스펜션암, 140)의 중앙부에 결합된다. 코일쇽업소버(110)의 전방에는 드라이브 샤프트(150)가 위치하고 드라이브 샤프트(150)의 전방에는 스테빌라이저(160)가 위치한다.
사이드 프레임(120)과 로워암(140) 사이에 설치된 코일쇽업소버(110)는 차량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을 완화하는 역할을 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킨다. 하지만 차량이 비포장도로와 같이 노면이 고르지 않은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코일쇽업소버(110)가 노면에서 받는 진동을 충분히 완화할 수 없어 승차감이 나빠지게 된다. 따라서 코일쇽업소버(110)의 완충기능을 보조하는 보조쇽업소버(610)를 장착한다.
도 2(a)는 보조쇽업소버(610)의 장착을 위한 보조브래킷 중 상측브래킷의 제1 실시례를 나타낸다. 도2(a)를 참조하면, 상측브래킷은 보조쇽업소버(610)의 상단이 결합되는 체결구멍(215)을 구비하는 직사각형의 수평패널(210), 수평패널(210)의 길이방향 양측부에서 연장되는 제1 수직패널(220) 및 제2 수직패널(250)로 구성된다. 제1 수직패널(220)의 후방수직변(230)은 사각기둥 형상을 갖는 사이드 프레임(120)의 모서리 부분에 용접으로 결합되기 위한 제1 후방단차부(235)를 구비하고, 제1 수직패널(220)의 전방수직변(240)은 사이드 프레임(120)에 결합된 코일쇽업소버 브래킷(130)과의 용접을 위한 제1 전방단차부(245)를 구비한다. 제1 전방단차부(245)의 수평부(246)와 수직부(247)가 접하는 부분에는 코일쇽업소버 브래킷(130)의 리브(135)가 삽입되는 홈(248)이 형성된다. 제2 수직패널(250)의 후방수직변(260)은 사이드 프레임(120)의 상부 모서리 부분에 용접으로 결합되기 위한 제2 후방단차부(265)를 갖는다.
도 2(b)는 보조쇽업소버(610)의 장착을 위한 보조브래킷 중 상측브래킷의 제2 실시례를 나타낸다. 도 2(b)의 상측브래킷은 도 2(a)의 제1 실시례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차이점은 제2 수직패널(250)의 후방수직변(260)이 사이드 프레임(120)의 상부 모서리 부분에 용접으로 결합되기 위한 제2 후방단차부(265) 외에 코일쇽업소버 브래킷(130)의 리브(135) 끝부분(137)에 걸치기 위한, 또는 끝부분(137)의 용접 등으로 인하여 사이드 프레임(120)에 돌출된 부분의 방해를 받지 않기 위한 제2 보조단차부(270)를 구비한다. 부연하면, 제2 수직패널(250)의 후방수직변(260)은 제2 후방단차부(265)와 제2 보조단차부(270)로 이루어지는 이중단차부를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도 2(b)의 제2 실시예인 상측브래킷이 사이드 프레임(120) 및 코일쇽업소버 브래킷(130)의 리브(135)에 용접으로 결합된 상태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수직패널(220)은 하측 일부가 리브(135)와 사이드 프레임(12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고, 제1 수직패널(220)의 제1 후방단차부(235)는 사이드 프레임(120)의 모서리 부분에 용접으로 결합되며, 제1 전방단차부(245)의 홈(248)에 리브(135)의 일부가 삽입되고 제1 전방단차부(245)는 리브(135)에 용접으로 결합된다. 이 경우 리브(135)가 제1 수직패널(220)의 제1 전방단차부(245)를 지지하기 때문에 상측브래킷이 보조쇽업소버(610)로부터 받는 충격이 리브(135) 및 사이드 프레임(120)에 분산된다. 따라서 상측브래킷은 더욱 견고하게 보조쇽업소버(610)를 지지하게 된다.
제2 수직패널(250)의 제2 후방단차부(265)는 사이드 프레임(120)의 모서리 부분에 용접으로 결합되고, 제2 보조단차부(270)는 리브(135)의 끝부분(137)에 걸치거나 리브(135)의 끝부분(137)에 인접하여 사이드 프레임(120)에 용접으로 결합된다. 제2 보조단차부(270)가 리브(135)의 끝부분(137)에 걸쳐 용접으로 결합되는 경우에는 리브(135)가 제2 보조단차부(270)를 지지하기 때문에 상측브래킷은 더욱 견고하게 사이드 프레임(120)에 결합된다.
제2 수직패널(250)의 후방수직변(260)이 리브(135)의 끝부분(137)에서 걸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후방수직변(260)의 제2 보조단차부(270)가 필요 없기 때문에 후방수직변(260)은 도 2(a)에서와 같이 제2 후방단차부(265)만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후방수직변(260)이 리브(135)의 끝부분(137)에 인접하지 않는다면, 끝부분(137)과 사이드 프레임(120)의 용접으로 인해 돌출된 부분의 방해를 받지 않기 때문에 제2 보조단차부(270)가 필요 없어 후방수직변(260)은 도 2(a)에서와 같이 제2 후방단차부(265)만을 갖는다.
하측브래킷을 나타내는 도 4를 참조하면, 하측브래킷은 사각형의 수평패널(410)과, 사각형 수평패널(410)의 양측부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패널(420, 430)을 포함한다. 그리고 한 쌍의 수직패널(420, 430) 각각의 중앙부에는 보조쇽업소버(610)의 타단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멍(425, 435)이 형성된다. 도 5에서와 같이 수평패널(410)이 로워암(140)의 중앙부에 용접됨으로써 하측브래킷이 로워암(140)에 고정된다.
보조쇽업소버(610)의 상단과 하단 각각이 상측브래킷과 하측브래킷 각각에 결합된 상태를 도 6(a)와 6(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보조쇽업소버(610)의 상측결합수단(620)은 상측브래킷의 체결구멍(215)을 통해 상측브래킷과 결합되고, 하측결합수단(630)은 하측브래킷의 체결구멍(425, 435)을 통해 하측브래킷과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측브래킷 및 하측브래킷을 이용하여 전륜 코일쇽업소버(110)의 완충기능을 보완하는 보조쇽업소버(610)를 사이드 프레임(120)과 로워암(140)에 사이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쇽업소버(610)는 코일쇽업소버(110)의 완충기능을 보완함으로써, 차량이 노면이 고르지 않은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에도 운전자에게 보다 나은 승차감을 주고, 차량의 롤링을 방지함으로써 운전자의 운전조작을 용이하게 하여 안전운행을 도모한다.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10 : 코일쇽업소버 120 : 사이드 프레임
130 : 코일쇽업소버 브래킷 140 : 로워암
210 : 수평패널 220 : 제1 수직패널
248 : 홈 250 : 제2 수직패널
410 : 수평패널 420 : 수직패널
430 : 수직패널 610 : 보조쇽업소버
130 : 코일쇽업소버 브래킷 140 : 로워암
210 : 수평패널 220 : 제1 수직패널
248 : 홈 250 : 제2 수직패널
410 : 수평패널 420 : 수직패널
430 : 수직패널 610 : 보조쇽업소버
Claims (2)
- 차량의 전륜 코일쇽업소버의 완충기능을 보완하는 보조쇽업소버의 장착을 위한 보조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보조쇽업소버의 일단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멍을 구비하는 직사각형의 수평패널과, 상기 수평패널의 길이방향 양측부의 일측부에서 연장되는 제1 수직패널 및 타측부에서 연장되는 제2 수직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직패널의 후방수직변은 상기 차량의 사이드 프레임과의 용접을 위한 제1 후방단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수직패널의 전방수직변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장착되는 코일쇽업소버 브래킷과의 용접을 위한 제1 전방단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전방단차부의 수평부와 수직부가 접하는 부분에 상기 코일쇽업소버 브래킷의 리브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수직패널의 후방수직변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의 용접을 위한 제2 후방단차부를 구비하는 상측브래킷; 및
사각형의 수평패널과, 상기 사각형 수평패널의 양측부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사각형 수평패널은 상기 차량 현가장치의 로워암에 용접으로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수직패널 각각의 중앙부에는 상기 보조쇽업소버의 타단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멍이 형성되는 하측브래킷을 포함하는 보조브래킷.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측브래킷의 제2 수직패널의 후방수직변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의 용접을 위한 이중단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브래킷.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3587U KR20120007608U (ko) | 2011-04-27 | 2011-04-27 | 보조쇽업소버 장착을 위한 보조브래킷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3587U KR20120007608U (ko) | 2011-04-27 | 2011-04-27 | 보조쇽업소버 장착을 위한 보조브래킷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7608U true KR20120007608U (ko) | 2012-11-06 |
Family
ID=47510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3587U KR20120007608U (ko) | 2011-04-27 | 2011-04-27 | 보조쇽업소버 장착을 위한 보조브래킷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07608U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112329A (zh) * | 2013-01-31 | 2013-05-22 | 中国重汽集团成都王牌商用车有限公司 | 一种中重型车的减震器装置 |
WO2016068502A1 (ko) * | 2014-10-28 | 2016-05-06 | 주식회사 포스코 | 어퍼암 및 쇽업소버 장착 브래킷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레임 |
CN111806176A (zh) * | 2020-07-20 | 2020-10-23 | 深圳思博航空科技有限公司 | 一种悬挂系统和车辆 |
KR20230035792A (ko) * | 2021-09-06 | 2023-03-14 | 김광석 | 탈부착 가능한 전륜 완충장치 |
-
2011
- 2011-04-27 KR KR2020110003587U patent/KR20120007608U/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112329A (zh) * | 2013-01-31 | 2013-05-22 | 中国重汽集团成都王牌商用车有限公司 | 一种中重型车的减震器装置 |
WO2016068502A1 (ko) * | 2014-10-28 | 2016-05-06 | 주식회사 포스코 | 어퍼암 및 쇽업소버 장착 브래킷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레임 |
US10315699B2 (en) | 2014-10-28 | 2019-06-11 | Posco | Upper arm and shock absorber mounting bracket and vehicle frame including same |
CN111806176A (zh) * | 2020-07-20 | 2020-10-23 | 深圳思博航空科技有限公司 | 一种悬挂系统和车辆 |
CN111806176B (zh) * | 2020-07-20 | 2021-12-10 | 深圳云台映象科技有限公司 | 一种悬挂系统和车辆 |
KR20230035792A (ko) * | 2021-09-06 | 2023-03-14 | 김광석 | 탈부착 가능한 전륜 완충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55461B1 (ko) | 전방 차체 구조 | |
CN203864796U (zh) | 前副车架总成 | |
KR100974554B1 (ko) | 차량의 언더바디 프레임 | |
KR101526411B1 (ko) | 후방 차체 보강구조 | |
KR101315489B1 (ko) |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구조 | |
KR101201895B1 (ko) | 그린카용 섀시프레임 | |
JP2018075894A (ja) | 車体後部構造 | |
KR20120007608U (ko) | 보조쇽업소버 장착을 위한 보조브래킷 | |
CN102923202B (zh) | 重型载重汽车驾驶室悬挂装置 | |
KR101484221B1 (ko) | 차량용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 |
CN203996502U (zh) | 多功能驾驶室悬置系统 | |
KR101230215B1 (ko) | 자동차용 리어 쇼크업소버 지지대 | |
KR102383248B1 (ko) |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 | |
KR101637260B1 (ko) | 차량의 프론트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 |
WO2015189909A1 (ja) | サスペンション装置 | |
KR102429001B1 (ko) | 차량용 서브 프레임 보강유닛 | |
JP2010195257A (ja) | 車両の後部車体構造 | |
KR20120081413A (ko) | 그린카의 프런트 서스펜션 구조 | |
KR100901578B1 (ko) | 차량의 트레일링아암 장착구조 | |
KR101509688B1 (ko) | 차량의 프론트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 |
JP6204159B2 (ja) | 車体後部構造 | |
JP5649129B2 (ja) | 車両の車体フレーム構造 | |
KR20110028481A (ko) | 대형트럭 캡의 좌우 흔들림 방지방법 | |
JP6106005B2 (ja) | 車体下部構造 | |
KR101916050B1 (ko) | 차량용 쇽 업소버 보강유닛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