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8951B1 - 수세(水洗)식 변기 - Google Patents

수세(水洗)식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8951B1
KR100388951B1 KR10-1999-7003363A KR19997003363A KR100388951B1 KR 100388951 B1 KR100388951 B1 KR 100388951B1 KR 19997003363 A KR19997003363 A KR 19997003363A KR 100388951 B1 KR100388951 B1 KR 100388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water
bowl
flush toilet
race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3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9255A (ko
Inventor
나카무라캐니치
요내다토시푸미
Original Assignee
토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토토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00049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9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9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8Bowls with means producing a flushing water swir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1Shape or selection of material for flushing cister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30Water injection in siphon for enhancing flu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40Devices for distribution of flush water inside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 제조시, 오물받이면과 림과의 경계 부분에 유약을 확실하게 도포할 수 있고, 또한 통상의 변기 청소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수세식 변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보울부의 오물받이면과, 상기 보울부의 상기 개구 둘레에 형성한 림부 내측 벽면을 연속시켜 완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림부 내측 벽면을 세정수의 보울부 도수로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이 수세식 변기는 오물받이면과 림의 경계가 위쪽에서 볼 때 사각지대인 홈(움푹 패인 곳)이 되지 않아, 변기 제조시, 이 경계 부분에 유약을 확실하게 도포할 수 있고 통상의 변기 청소도 보다 용이해진다.

Description

수세(水洗)식 변기 {Flush Toilet}
종래 양식의 수세식 변기 본체로서는 도 27(a), 도 2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울(bowl)부(100)의 후부에 급/배수부(200)를 배치한 구조의 것이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도 27(a), 도 2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울부(100)에는 오물받이면(110)이 형성되어 있는데, 유수부(溜水部, 물을 담아두는 곳, 이하 '유수부'라 칭한다; 120)의 수면 아래에 위치하는 유수면(溜水面, 111)과, 상기 유수면(111)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수면 상에 위치하는 건조면(112)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보울부(100)의 상부 개구 둘레에는 일정 폭의 림(rim)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림부(130)는 내측 둘레벽(131), 림 통수로(通水路, 140), 도시하지 않은 급수원과 연통되는 급수 구멍(210), 상기 급수 구멍(210) 및 상기 림 통수로(140)와 연통되는 도수로(導水路: head-race, 220), 배수구(300) 및 연통하는 배수로(1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세식 변기 본체의 세정유로(洗淨流路) 구조를 설명하면, 도 27(a)에 나타낸 구조의 변기(X1)에서는 상기 림 통수로(140)의 하측면부에, 오물받이면(110)을 향해 토수공(吐水孔, 160)을 다수 형성하고 있으며, 세정수는 급수 구멍(210) 도수로(220) 림통수로(140)로 흐른 후, 도 2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토수공(吐水孔, 160)으로부터 오물받이면(110)에 토출되어 상기 오물받이면(110)을 세정하고, 배수로(150)를 통해 상기 배수구(300)로부터 배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도 28(a)에 나타낸 구조의 변기(X2)에서는 림 통수로(140)의 일부를 분기(分岐)시켜 제트 도수로(140)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술한 흐름에 추가로, 도 2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정수를 림 통수로(140)로부터 제트 도수로(400)를 통과시키고, 제트 토수공(410)을 통해 배수로(150)로 토출도록 하고 있다. 180은 배수로 입구이다. 또한, 림 통수로(140)의 하측면부에 다수 형성한 상기 토수공(160, 도 29) 대신에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림부(130)의 하측면에,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되는 슬릿 형상의 토수로(170)를 형성한 것도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변기 본체는 도기(陶器)로 되어 있으며, 그 표면은 거친 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미량이지만 물을 흡수한다. 때문에, 도기 표면에 글래스질의 유약을 도포하고 표면 다듬질을 함으로써 흡수성(吸水性)을 제거하여 위생성을 확보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변기 X1, X2는 아직 다음과 같은 문제가 남아 있다. 즉, 상기 세정유로 구조에서는 변기 X1, X2 중 어느 쪽이든, 세정수를 오물받이면(110)을 향해 흐르게 하기 때문에, 림부(130)의 하측면이 보울부(100) 내쪽으로 비쭉 나온 복잡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따라서, 림부(130)의 하측면 등에는 상기 유약을 도포하기 어려우므로 잡균이나 오물이 부착되기 쉽게 되어 있으며, 게다가 사용자로부터 사각(死角)지대인 홈이 되기 때문에 청소하기가 곤란해 위생성을 해치고 있다. 더욱이, 부착된 잡균이나 오물이 악취 발생원이 되고 있다.
또한, 림 통수로(140)의 하측면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토수공(160)이나 슬릿 형상의 토수로(170)를 형성해야만 하므로 공정이 복잡해지며, 변기 제조시 비용 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세락(洗落)식, 사이펀(siphon)식, 사이펀 제트(siphon jet)식 등의 수세식 변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수세식 변기의 종단면도.
도 2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수세식 변기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Ⅰ-Ⅰ 선에 있어서 한쪽 편을 생략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Ⅱ-Ⅱ 선에 있어서 일부를 생략한 단면도.
도 5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수세식 변기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수세식 변기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수세식 변기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수세식 변기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제 2 실시 예에 따른 수세식 변기의 종단면도.
도 10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수세식 변기의 평면도.
도 11은 도 9의 Ⅰ-Ⅰ 선에 있어서 한쪽 편을 생략한 단면도.
도 12는 제 2 실시 예에 따른 수세식 변기의 변형 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13은 도 12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
도 14는 제 2 실시 예에 따른 수세식 변기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5는 제 2 실시 예에 따른 수세식 변기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6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수세식 변기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7은 제 3 실시 예에 따른 수세식 변기의 종단면도.
도 18은 제 3 실시 예에 따른 수세식 변기의 평면도.
도 19는 도 17의 Ⅰ-Ⅰ 선에 있어서 한쪽을 생략한 단면도.
도 20은 도 17의 Ⅱ-Ⅱ선에 있어서 일부를 생략한 단면도.
도 21은 제 4 실시 예에 따른 수세식 변기의 종단면도.
도 22는 제 4 실시 예에 따른 수세식 변기의 평면도.
도 23은 도 21의 Ⅰ-Ⅰ 선에 따른 단면도.
도 24는 제 5 실시 예에 따른 수세식 변기의 종단면도.
도 25는 제 5 실시 예에 따른 수세식 변기의 평면도.
도 26은 도 24의 Ⅰ-Ⅰ 선에 따른 단면도.
도 27은 종래의 수세식 변기의 종단면도.
도 28은 종래의 한 형태인 수세식 변기의 종단면도.
도 29는 종래 수세식 변기의 토수공(吐水孔)의 설명도.
도 30은 종래 수세식 변기의 슬릿 형상을 갖는 토수부(吐水部)의 설명도.
따라서, 본 발명자는 종래의 수세식 변기가 갖는 과제를 개선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수세식 변기를 완성하기에 이르렀다.즉, 본 발명은 변기 제조시, 오물받이면과 림과의 경계 부분에 유약을 확실하게 도포할 수 있고, 또한 통상의 변기 청소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수세식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특징뿐만 아니라, 세정수가 보울부 도수로로부터 변기 밖으로 튀겨나가지 않는 수세식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수세식 변기와 같이 림 통수로, 및 상기 통수로의 하측면에 형성한 토수공 등이 불필요하게 되어 변기 성형 효율이 향상되며,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는 수세식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본 발명은 또, 토수부로부터 내뱉어진 세정수가 토수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퍼져나가더라도, 보울부 중 곡률이 가장 큰 부분이 오버 행(over-hang) 면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세정수가 변기 밖으로 튀어나갈 우려가 없는 수세식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본 발명은 또한, 세정수의 선회(旋回)거리가 짧아짐으로 인해 토수(吐水) 압력을 낮게 할 수 있는 수세식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게다가, 본 발명은 배수로로 세정수 및 오물이 압송(壓送)되는 것을 보다 촉진시킬 수 있는 수세식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발명의 구성 및 작용]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보울부내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수를 공급하는 토출수단과, 보울부내에 직접 면하고 있는 변기 상부 가장자리의 내측 벽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 벽면을 따라 상기 토출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를 주(主)세정수로 하여 변기 상부 가장자리의 거의 전체 둘레에 걸쳐 골고루 미치도록 하는 세정수 도수로와, 이 세정수 도수로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주 세정수로부터 갈라진 분류 세정수가 보울부의 내면 전체에 골고루 미치도록 하는 도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를 제공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세정수 도수로를, 보울부의 상부 개구 둘레에 형성한 림부의 보울부내에 면하고 있는 림부 내측 벽면으로 하고, 도수부를 상기 림부 내측 벽면과 연속적으로 형성된 오물받이면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이 수세식 변기는 오물받이면과 림의 경계가 위쪽에서 볼 때 사각지대인 홈(움푹 패인 곳)이 되지 않아, 변기 제조 시, 이 경계 부분에 유약을 확실하게 도포할 수 있고 통상의 변기 청소도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울부 도수로를, 상기 림부 내측 벽면의 전체 둘레, 혹은 그 일부를 보울부 내측 쪽을 향해 덮어씌워지도록 경사지게 한 오버 행 면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세정수가 보울부 도수로로부터 변기 밖으로 튀겨나가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림부 내측 벽면에, 상기 보울부 도수로를 따라 세정수를 토해내는 토수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수세식 변기와 같이 림 통수로, 및 상기 통수로의 하측면에 형성한 토수공 등이 불필요하게 되어 변기 성형 효율이 향상되며,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울부의 안쪽 깊숙히 토수부를 형성하고, 오버 행 면형상으로 한 보울부 도수로를 상기 토수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토수부로부터 내뱉어진 세정수가 토수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퍼지더라도, 보울부 중 곡률이 가장 큰 곳에 오버 행 면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세정수가 변기 밖으로 튀겨나갈 우려가 없다.
게다가, 본 발명에서는 상기 토수부는 각각 다른 위치에 형성한 2개의 역방향 토수로를 구비하여, 보울부 도수로를 따라, 각각 서로 역회전 방향으로 물을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세정수의 선회 거리가 짧아지게 되어 토수 압력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울부의 바닥에 형성한 배수유로(排水流路) 입구의 상방에서, 또한 보울부내의 유수면에 근접하는 수면 상방 위치에 압입(押入) 세정수 토출구를 형성하여, 상기 보울부 도수로로부터 배수로 입구로 세정수가 유입되는 것을 촉진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부유(浮游) 오물을 적은 세정수량으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상기 보울부의 저부에 형성한 배수로 유입구를 향해 세정수를 분출(噴出)하는 제트 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배수로로 세정수 및 오물을 압송하는 것을 보다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변기 보울내에 직접 면한 변기 상부 가장자리의 내측 벽면을 따라 세정수를 공급하여, 변기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세정수가 변기 밖으로 튀겨나가지 않고, 상기 변기 상부 가장자리의 내측 벽면을 따라 돌면서 흐르는 주( 主) 세정수와, 그로부터 갈라져 아래쪽을 향하는 분류 세정수에 의해, 변기 보울 내면 전체에 걸쳐 세정수가 골고루 미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세정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변기 보울내에 직접 면해 있는 변기 상부 가장자리의 내측 벽면을 따라 세정수를 공급하여, 변기 가장가리로부터 세정수가 변기 밖으로 튀겨나가지 않고, 상기 변기 상부 가장자리의 내측 벽면을 따라 돌면서 흐르도록 주 세정수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주 세정수로부터 갈라진 분류 세정수를 변기 보울 내면 전체에 걸쳐 골고루 미치도록 안내한 후, 배수유로(排水流路) 입구로 세정수를 인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세정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배수로로 세정수 및 오물을 압송하는 것을 보다 촉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이용한 설명으로 보다 분명해진다.
본 발명은, 보울부내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수를 공급하는 토출 수단과, 보울부내에 직접 면해 있는 변기 상부 가장자리의 내측 벽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 벽면을 따라 상기 토출 수단에서 공급되는 세정수를 주 세정수로 하여 변기 상부 가장자리의 거의 전체 둘레에 걸쳐 골고루 미치도록 하는 세정 도수로와, 이 세정수 도수로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주 세정수로부터 갈라진 분류 세정수가 보울부의 내면 전체에 걸쳐 골고루 미치도록 하는 도수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에 관한 것이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세정수 도수로를, 보울부의 상부 개구 둘레에 형성한 림부의 보울부내에 면해 있는 림부 내측 벽면으로 하고, 도수부를 상기 림부 내측 벽면과 연속적으로 형성된 오물받이면으로 하고 있다.
즉, 보울부의 상부 개구 둘레에 형성한 림의 내부에 종래 형성되어 있던 림부 도수로를 폐지하고, 림부 내측 벽면에 세정수가 직접 흐르는 보울부 도수로를 형성한 것으로,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보울부의 오물받이면과 림과의 경계가 위쪽에서 볼 때 사각지대인 홈이 되지 않고, 변기 제조시 유약을 확실하게 도포할 수 있으므로, 오물이나 잡균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게다가 통상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위생성이 보장된다.
또한, 보울부의 상부 개구의 안쪽 치수를 크게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안쪽 치수가 동일하면, 변기의 안쪽 길이(depth)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보울부 도수로는 상기 림부 내측벽면의 전체 둘레, 또는 그 일부를 보울부 내측쪽을 향해 덮어씌워지도록 경사지게 한 오버 행 면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세정수가 보울부 도수로로부터 변기 밖으로 튀겨나가지 않는다.
또한, 상기 림부 내측벽면에, 상기 보울부 도수로에 따라 세정수를 토출하는 토수부를 형성하며, 상기 보울부 도수로에 세정수를 흘림으로써 선회류(旋回流)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수세식 변기와 같이, 림 통수로 및 상기 통수로의 하측면에 형성한 토수공이나 슬릿 형상의 토수구 등이 불필요하게 되며, 변기 성형 효율을 향상시켜 제조 공정을 간략화하여, 제조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세정수는 오버 행 면형상의 보울부 도수로에서 위로부터 눌려진 상태로 림부 내측 벽면을 흐름으로, 오물받이면 전체에 골고루 미쳐 보울부 내를 넓게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서, 상기 보울부의 안쪽 깊숙히 토수부를 형성하고, 오버 행 면형상의 보울부 도수로를, 상기 토수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오버 행 면형상의 보울부 도수로를 림부 내측 벽면의 전체 둘레에 형성하여도 되는데, 토수부로부터 내뱉어진 세정수는 토수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퍼지는 것으로, 효율적으로 세정수를 보울부에 유출시키기 위해 토수부를 세정수 공급측에 가까운 보울부의 안쪽 깊숙히 형성하면, 세정수의 토출 압력 및 유량에 따라서는 토수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있어서 보울부의 상부 개구로부터변기 밖으로 튀겨나갈 우려가 있다. 때문에, 이와 같이 오버 행 면형상으로 한 부분을 토수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단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토수부는 각각 다른 위치에 형성한 2개의 역방향 토수구를 구비하기로 하며, 보울부 도수로에 따라 각각 서로 역회전 방향으로 물을 토해내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일방향으로부터 물을 토해내는 경우, 세정수를 상기 보울부 도수로를 따라 돌 수 있는 선회류(旋回流)로 하기 위해서는 토수 압력을 높게 해야만 하며, 보울부 도수로의 형상에 따라서는 변기 밖으로 세정수가 튀겨나갈 우려가 있지만,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세정수의 선회 거리가 짧아져 토수 압력을 낮게 할 수 있으므로, 세정수가 변기 밖으로 튀겨나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울부의 바닥에 형성한 배수유로(排水流路) 입구의 상방에서, 또한 보울부내의 유수면에 근접하는 수면 상방 위치에 압입 세정수 토출구를 형성하여, 상기 보울부 도수로로부터 배수유로 입구로 세정수가 유입되는 것을 촉진시키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부유 오물을 적은 세정수량으로 배출할 수 있어 절수 효과를 발생시키고, 세정시에 보울부내의 수위가 상승하면, 상기 압입 세정수 토출구의 개구가 유수면 아래로 수몰하여, 물튀김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세정수의 저하를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한 수세식 변기는 상기 보울부의 바닥에 형성한 배수로 유입구를 향해 세정수를 내뿜는 제트 구멍을 형성한 제트 사이펀식 변기로 만들 수 있다.따라서, 상기한 사용 효과를 가지면서, 또한 배수로 세정수 및 오물을 압송하는 것을 보다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절수 효과가 뛰어난 변기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수세식 변기를 사용함으로써, 변기 보울내에 직접 면한 변기 상부 가장자리의 내측 벽면을 따라 세정수를 공급하여, 변기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세정수가 변기 밖으로 튀겨나가지 않고, 상기 변기 상부 가장자리의 내측 벽면을 따라 돌면서 흐르는 주 세정수와, 그로부터 갈라져 아래쪽을 향해 흐르는 분류 세정수에 의해, 변기 보울 내면 전체에 세정수가 골고루 미치도록 한 변기의 세정 방법, 및 변기 보울내에 직접 면한 변기 상부 가장자리의 내측 벽면을 따라 세정수를 공급하여, 변기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세정수가 변기 밖으로 튀겨나가지 않고 상기 변기 상부 가장자리의 내측 벽면을 따라 돌면서 흐르도록 주 세정수를 형성하며, 또한 상기 세정수로부터 갈라진 분류 세정수를 변기 보울 내면 전체에 골고록 미치도록 안내한 후, 배수유로 입구로 세정수를 인도하는 변기의 세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도 4에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변기 A를 나타내고 있다. 수세식 변기 A는 유약을 도포한 도기제이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전부( 前部)가 보울부(1)를 형성하며, 보울부(1)의 후부에 급/배수부(2)를 배치한 구성을 취하고 있다.
보울부(1)는 그 내부 공간(Q)의 하부에 세정수를 저장하고, 그 전부(前部)에 오물을 받기 위한 공기 형상으로 형성된 오물 받이면(10)을 가지며, 상기 오물 받이면(10)은 유수부(W)의 수면 아래에 잠긴 유수면(11)과, 유수부(W)의 수면 위에위치하는 건조면(1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건조면(12)은 유수면(11)에 연속되는 매끄러운 단 형상을 이루는 형상을 하고 있다.
또, 상기 보울부(1)의 상부 개구(13) 둘레에는 일정 폭으로 림부(14)를 형성하고 있다.
급/배수부(2)는 도시하지 않은 세정수 탱크에 연통하는 급수 구멍(21)과, 상기 급수 구멍(21)과 연통하는 도수로(22)와, 상기 도수로(22)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로(23)를 가지며, 상기 배수로(23)는 오물받이면(10)의 바닥에 형성한 배수유로 입구(18)와 연통하는 상승로(24)와, 상기 상승로(24)의 상단부에 형성한 보(weir)부(25)와 연통 연결된 세로관(26)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배수로(23)의 세로관(26)은 그 말단측에 형성한 제 1 스로트(throat)부(27)와, 제 1 스로트(throat)부(27)보다도 더 하류측에 형성한 제 2 스로트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스로트부(27)에는 상기 제 1 스로트부(27)를 형성하기 위한 벌징(bulging) 선반부(27a)가 배설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 2 스로트부(28)에는 상기 제 2 스로트부(28)를 형성하기 위한 벌징 선반부(28a)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수세식 변기 A에 있어서, 본 발명의 특징이 되는 것은 보울부(1)내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수를 공급하는 토출 수단과, 보울부(1)내에 직접 면해 있는 변기 상부 가장자리의 내측 벽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내측 벽면을 따라 상기 토출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세정수를 주 세정수로하여 변기 상부 가장자리의 거의 전체 둘레에 걸쳐 골고루 미치도록 하는 세정수 도수로(16)와, 이 세정수 도수로(16)와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주 세정수에서 갈라진 분류 세정수가 보울부(1)의 내면 전체에 골고루 미치도록 하는 도수부(10)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여기서는 상기 세정수 도수로(16)를 보울부(1)의 상부 개구(13) 둘레에 형성한 림부(14)의 보울부(1)내에 면한 림부 내측 벽면(15)으로 하고, 상기 도수부(10)를 림부 내측 벽면(15)과 연속으로 형성된 오물받이면으로 하고 있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울부 도수로(16)를, 상기 림부 내측 벽면(15)의 전체 둘레, 혹은 그 일부를 보울부(1) 내측쪽을 향해 덮어 씌워지도록 경사지게 한 오버 행 면형상으로 하고 있다.
즉, 오버 행 면형상으로 한 보울부 도수로(16)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물받이면(10)의 건조면(12)으로부터 연속하여 예각(銳角) 형상으로 매끄럽게 우뚝 솟아 있으며, 종래 림부의 내측 둘레 벽[도 27(a), 도 28(a) 참조]의 경사와는 역방향이며, 게다가 이러한 보울부 도수로(16)와 건조면(12)과의 경계부(3)를 상방에서 보는 것이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보울부(1)의 오물받이면(10)과 림부(14)의 경계부(3)가 상방에서 볼 때 사각지대인 홈이 되지 않아, 변기 제조시 유약을 확실하게 도포할 수 있으므로, 오물이나 잡균의 부착이 방지되며, 게다가 통상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위생성이 유지된다.
또한, 상기 림부 내측 벽면(15)에, 상기 보울부 도수로(16)를 따라 세정수를 토해내는 토수부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수부를 보울부(1)의 안쪽 깊숙히 형성하고 있다.
즉, 상기 도수로(22)와 보울부(1)의 내부 공간(Q)과의 칸막이벽을 이루는 상기 림부 내측 벽면(15)의 일부를 내부 공간(Q)측으로 부풀어 나오게 하여 벌징(bulging)부(17)를 형성하고, 상기 벌징부(17)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정수를 하향으로 토해내는 하향 토수개구(4)와, 옆을 향해 토해내는 옆쪽을 향한 토수개구(5)를 형성하여 상기 도수로(22)에 각각 연통시켜 토수부를 구성하고, 상기 옆쪽을 향한 토수 개구(5)로부터 상기 보울부 도수로(16)에 따라 세정수를 토해낼 수 있게 하고 있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울부 도수로(16)가 세정수의 주회유로(周回流路,f)가 되는 세정유로가 구성되게 되며, 도 27∼도 30에 나타낸 종래 기술과 같이, 림 통수로(140)나 그 하측면에 토수공(160)이나 슬릿 형상의 토수구(170)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성형 효율이 향상되며, 제조 공정이 간략화되어 수세식 변기의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세정수는 내측쪽으로 오버 행된 보울부 도수로(16)에서 위로부터 눌려진 상태에서 림부 내측 벽면(15)을 흘러, 오물받이면(10) 전체에 골고루 미쳐 넓게 세정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수세식 변기 A의 세정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용변 후, 사용자가 예를 들면 레버나 누름 버튼 등을 조작하여 세정수를 공급하면, 급수된 세정수는 상기 급수 구멍(21)으로부터 도수로(22)로 흘러, 하향 토수 개구(4) 및 횡향(橫向,옆쪽을 향한) 토수 개구(5)로부터 오물받이면(10)을 향해 내뱉어진다.
이 때, 하향 토수 개구(4)로부터의 세정수는 유수부(W)를 향해 거의 수직방향으로 내뱉어져, 유수부(W)에 배설된 오물을 배수로(23)측으로 밀어 넣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한편, 횡향 토수 개구(5)로부터의 세정수는 상기 보울부 도수로(16)와 건조면(12)과의 경계부(3)에서의 흐름을 주류로 하는 주회유로(周回流路,f)를 선회하면서, 건조면(12)을 포함하는 오물받이면(10)을 세정함과 동시에, 유수부(W)에 선회류(旋回流)를 발생시켜, 상기 유수부(W)의 거의 중심부에 소용돌이를 형성하여 부유하는 오물을 유수부(W)의 중심에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세정수는 보울부(1)의 림부(14) 부근을 포함하는 내측면 전체를 세정할 수 있어서 수세식 변기 A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게다가 세정수로 인한 선회류는 보울부 도수로(16)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눌러진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변기 밖으로 튀겨나가거나 하지 않는다. 오물이 섞인 세정수인 처리수는 배수유로 입구(18)로부터 상승로(24)로 흐르며, 상기 상승로(24)의 단부에 형성한 보부(25)로부터 세로관(26)으로 흘러넘친다. 그리고, 흘러넘친 처리수는 세로관(26)에 형성한 제 1 스로트부(27)와 제 2 스로트부(28)의 각 벌징 선반부(27a,28a)에 닿으며, 양 스로트부(27,28)간의 공간(29)에서 워터 실(water seal, 水密封)을 형성하여 사이펀을 유발한다. 이 배수로(23)에 있어서의 사이펀의 작용에 의해, 오물받이면(10)의 오물이 변기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실시예에 나타낸 수세식 변기(A)에 대해서는 도 5∼도 8에 나타낸 변형예를 생각할 수 있다. 즉, 도 5에 나타낸 것은 보울부 도수로(16)와 건조면(12)과의 경계부(3)가, 보울부(1)의 전방(도면 중 오른쪽)을 향함에 따라 내리막 경사를 취하고 있으며, 도 6에 나타낸 것은 경계부(3)가 보울부(1)의 전방을 향함에 따라 역으로 오르막 경사를 취하고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것은 경계부(3)가 세정수의 선회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내리막 경사를 취하고 있다. 또한, 도 8 에 나타낸 것은 하향 토수 개구(4) 및 횡향(橫向) 토수 개구(5)를 형성한 벌징부(17)를 토출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제 2 실시예)
이어, 도 9∼도 11에 나타낸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변기 A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시하는 부호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앞의 실시예에서는 보울부 도수로(16)를 림부 내측 벽면(15)의 전체 둘레에 걸쳐 오버 행 면형상으로 한 것에 비해, 여기서는 림부 내측 벽면(15)의 일부를 오버 행 면형상으로 한 것으로, 보울부(1)의 안쪽 깊숙히 형성한 토수부와 마주보는 위치가 되는 보울부 도수로(16)를 오버 행 면형상으로 한 것이다.
즉, 토수부가 되는 하향 토수 개구(4) 및 횡향 토수 개구(5)를 형성한 벌징부(17)를,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보울부(1)의 안쪽 깊숙히 형성한 한편, 상기 벌징부(17)를 형성한 림부 내측 벽면(15)을 내리막 경사를 갖는 통상의 경사면으로하고, 상기 벌징부(7)와 대응하는 보울부(1)의 선단측(도면중 우단부) 근방 부분을 오버 행 면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보울부(1)의 깊숙한 곳에 형성된 횡향 토수 개구(5)로부터 내뱉어진 세정수는, 횡향 토수 개구(5)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퍼져나가는데, 보울부(1)내에서 세정수가 변기밖으로 튀겨나갈 우려가 있다고 생각되는 곡률이 가장 커지는 곳, 즉, 상기한 보울부(1)의 선단측에 보울부 도수로(16)를 형성하여 세정수가 변기 밖으로 튀겨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다른 구성, 및 오물을 변기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사이펀의 작용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갖을 뿐만 아니라, 변기 제조시, 제 1 실시예에서는 림부(14)를 보울부(1)와 다른 형태로 성형하여 그 후에 접착할 필요가 있었던 것에 비해, 이 양태의 수세식 변기는 보울부 도수로(16)를 형성한 림부(14) 만을 분할 목형(split mold)으로 성형하고, 림부(14)의 다른 부분을 보울부(1)와 동일한 형태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제조 공정을 보다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2∼도 16에 나타내는 변형예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즉, 도 12에 나타낸 것은 림부(14)의 림부 내측 벽면(15)과 건조면(12)과의 경계부(3)가 보울부(1)의 전방(도면 중 오른쪽)을 향함에 따라 내리막 경사가 되며, 보울부(1)의 선단측에 형성된 보울부 도수로(16)와 건조면(12)과의 경계부(3)가 횡향 토수 개구(5)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울부(1)의 선단부 근방 이외의 부분에서는 림부(14)의 림부 내측 벽면(15)은 거의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낸 것은 림부(14)의 림부 내측 벽면(15)과 건조면(12)과의 경계부(3)가 보울부(1)의 전방(도면 중 오른쪽)을 향함에 따라 오르막 경사가 되며, 보울부(1)의 선단측에 형성된 보울부 도수로(16)와 건조면(12)과의 경계부(3)가 횡향 토수 개구(5)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15에 나타낸 것은 림부(14)의 림부 내측 벽면(15)과 건조면(12)과의 경계부(3)가, 세정수의 선회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내리막 경사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6에 나타낸 것은 하향 토수 개구(4) 및 횡향 토수 개구(5)를 형성한 벌징(bulging)부(17)를 토출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또한, 보울부 도수로(16)를 오버 행 면형상으로 하는 곳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3 실시예)
이어, 도 17∼도 20에 나타낸 제 3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변기 A에 대해서 설명한다. 보울부 도수로(16)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림부 내측 벽면(15)의 전체 둘레에 걸쳐 오버 행 면형상을 취하고 있는데, 제 1 실시예와 다른 것은 보울부(1)의 바닥에 형성한 배수유로 입구(18)의 상방에서, 또한 보울부(1)내의 유수부(W)의 수면에 근접하는 수면 상방 위치에 압입 세정수 토출구(40)를 형성한 점에 있으며,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보울부 도수로(16)로부터 배수유로입구(18)로 세정수가 유입되는 것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시한 부호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즉,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수로(22)와 보울부(1)의 내부 공간(Q)과의 칸막이벽을 이루는 림부 내측 벽면(15)의 일부를 내부공간(Q)측으로 늘려 연장시켜 벌징부(17)를 형성하고, 상기 벌징부(17)를 하방으로 늘려 연장시켜 선단을 유수부(W)의 수면에 근접시킴과 동시에, 그 선단부의 일측에 편향시킨 위치에, 제 1 실시예의 하향 토수 개구(4)에 상당하는 압입 세정수 토출구(40)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수로(22)내의 중도에 있어서, 상기 압입 세정수 토출구(40)의 반대측 측벽으로부터 판체(板體)를 돌출 형성하여 수로 스로트(throat)부(20a)를 형성하고, 급수 구멍(21)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의 유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 수로 스로트부(20a)는 적절히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용변 후에 세정수가 공급되면, 세정수는 급수 구멍(21)으로부터 도수로(22)로 흐를 때에 상기 수로 스로트부(20a)에 의해 유량이 조정되며, 압입 세정수 토출구(40) 및 횡향 토수 개구(5)로부터 오물받이면(10)을 향해 토출(吐出)된다.
압입 세정수 토출구(40)로부터의 세정수는 유수부(W)를 향해 거의 수직 방향으로 내뱉어져, 유수부(W)에 배설된 오물을 배수로(23)에 압입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한편, 횡향 토수 개구(5)로부터의 세정수는 상기 보울부 도수로(16)와 건조면(12)과의 경계부(3)의 흐름을 주류로 하는 주회유로(f)를 선회하면서, 건조면(12)을 포함하는 오물받이면(10)을 세정함과 동시에, 유수부(W)에 선회류(旋回流)를 발생시켜, 소용돌이의 거의 중심에 부유하는 오물을 끌어 모아, 압입 세정수 토출구(40)로부터의 세정수의 기세와 더불어, 오물이 섞인 처리수를 효율적으로 배수유로 입구(18)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이 때, 압입 세정수 토출구(40)는 유수부(W)의 수면에 근접하고 있으므로, 세정수에 의해 유수부(W)의 수위가 상승하면, 상기 압입 세정수 토출구(40)는 수몰하게 되며, 물 튀김을 일으키는 일이 없다.
또한, 다른 구성, 및 오물을 변기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사이펀의 작용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울부(1)의 림부(14) 부근을 포함하는 내측면 전체를 세정할 수 있어 수세식 변기 A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압입 세정수 토출구(40)를 형성함으로써 오물을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게다가 도수로(22)내에 형성한 수로 스로트부(20a)에 의해 세정수량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적은 세정수량으로 효율적인 오물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제 4 실시예)
이어, 도 21∼도 23에 나타낸 제 4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변기(B)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변기(B)는 토수부에 2개의 토수구(51,52)를 구비시킴과 동시에, 이러한 토수구(51,52)를 각각 다른 위치에 형성하고, 보울부 도수로(16)를 따라 각각 서로 역회전 방향으로 물을 토해내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세정수의 보울부(1)내 주회(周回) 거리를 짧게하여 토수 압력을 낮게 하고, 세정수가 변기 밖으로 튀겨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트 도수로(19)를 형성하며, 오물을 적은 세정수 유량으로 효율적으로 배수로(23)로 밀어넣을 수 있는 사이펀 제트식의 수세식 변기(B)로 하고 있다.
즉,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수 구멍(21)에 연통되는 도수로(22)를, 평면시(平面視)로 좌우에 분기하는 좌우 도수로(22a,22b)와, 세정수를 하방으로 흐르게 하는 하향 도수로(22c)로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향 도수로(22c)의 중도 측벽에, 배수유로 입구(18)와 마주보는 위치에 제트 구멍(19a)을 개구한 제트 도수로(19)의 기단(基端)을 연통 연결하고 있다.
또한, 보울부(1)의 깊숙한 안쪽을 이루는 림부 내측 벽면(16)의 좌우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토수구(61,52)를 형성하고, 상기 토수구(51,52)를 상기 좌우 도수로(22a,22b)에 각각 연통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토수구(51,52)로부터 내뱉어진 세정수는 보울부 도수로(16)를 따라, 각각 역방향으로 돌면서 오물받이면(10)을 세정함과 동시에, 보울부(1) 선단측(도면중 우단측)의 거의 중앙에서 합류하여 유수부(W)를 향한다. 이와 같이, 세정수의 주회(周回) 거리가 짧아지므로, 토수압을 낮게 할 수 있으며, 토수압을 낮게 함으로써, 세정수가 보울부 도수로(16)로부터 변기 밖으로 튀겨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보울부 도수로(16)를 특히 오버 행 면형상으로 하고 있지 않지만, 오버 행 면형상으로 하여 보다 세정수가 튀기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토수압을 낮게 하더라도, 본 실시예에서는 제트 도수로(19)로부터 제트 구멍(19a)을 통해 세정수가 유수부(W)내의 오물을 배수유로 입구(18)에 직접 밀어놓도록 작용하므로, 오물 배출 능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변기(B)의 배수로(23)는 종단 부분을 변기 본체밖으로 노출시키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트레이 개조 등을 할 때, 기존 설비의 배수용 배관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하는 바닥 공사를 하지 않고, 적절히 어져스터(adjuster)용 배관(도시하지 않음)과 연결하는 것만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졌다.또한, 다른 구성, 및 오물을 변기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사이펀의 작용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제 5 실시예)
이어, 도 24∼도26에 나타낸 제 5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변기(B)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도 제 4 실시예와 동일하게 사이펀 제트식으로 하고 있지만, 앞의 실시예에서는 배수로(23)가 보울부(1)의 후부측에 형성된 리버스 트랩식이었던 것에 비해, 여기서는 배수로(23)를 보울부(1)의 전부측(前部側)에 형성한 프론트 트랩식의 변기로 하고 있다. 또한, 제 3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압입 세정수 토출구(40)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변기(B)는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림부 내측 벽면(15)의 깊숙한 안쪽에 제 3 실시예와 동일하게 도수로(2)와 연통하는 벌징부(17)를 형성하고, 상기 벌징부(17)의 좌우에 각각 횡향 토수 개구(5)를 형성함과 동시에, 하단에는 압입 세정수 토출구(40)를 형성하고 있으며, 제 4 실시예의 토수구(51,52, 도 21을 참조)와 같이, 세정수를 보울부 도수로(16)를 따라, 각 각 서로 역회전 방향으로 토수(吐水) 가능하게 하고, 또한 압입 세정 토출구(40)로부터는 제 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세정수를 유수부(W)를 향해 거의 수직방향으로 토해내어, 오물을 배수로(23)측으로 밀어 넣도록 하고 있다.
게다가, 급수 구멍(21)에는 상기 횡향 토수 개구(5) 및 압입 세정수 토출구(40)와 연통하는 도수로(22)보다도 대유량의 세정수를 하방으로 흐를 수 있게 한 제트 도수로(19)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제트 도수로(19)의 제트 구멍(19a)을 배수유로 입구(18)에 대치(對峙)시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트 도수로(19)의 중도부터는 공기빼기 기능을 갖는 보조 도수로(20)를 상방으로 늘려 연장시켜 상기 도수로(22)와 연통 연결하고 있다.
게다가, 보울부 도수로(16)는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시(平面視)로림부 내측 벽면(15)의 좌우측은 거의 수직면으로 하여, 상기 벌징부(17)와 대응되는 보울부(1)의 선단측(도면 중 우단부) 근접부분을 완만한 오버 행 면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다른 구성, 및 오물을 변기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사이펀의 작용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구성을 취하고 있으므로, 용변 후에 세정수가 공급되면, 압입 세정수 토출구(40)로부터 세정수가 유수부(W)를 향해 거의 수직 방향으로 토출되며, 유수부(W)에 배설된 오물을 배수로(23)로 밀어 넣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한편, 2개의 횡향 토수 개구(5)로부터의 세정수는 보울부 도수로(16)를 따라, 각 각 역회전 방향으로 돌면서 오물받이면(10)을 세정하고, 보울부(1)의 선단측(도면 중 우단측)의 거의 중앙에서 합류하여 유수부(W)를 향함과 동시에, 제트 구멍(19a)으로부터의 세정수가 유수부(W)내의 오물을 배수유로 입구(18)로 직접 밀어 넣도록 작용하므로, 오물 배출 능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도수로(22)보다도 제트 도수로(19) 쪽으로부터의 유량을 크게 하고 있으므로, 급수 구멍(21)으로부터의 세정수는 거의 직접 제트 도수로(19)에 이르게 되어, 탱크 헤드를 충분히 얻을 수 있고, 효율적인 세정이 가능해져 절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도수로(22)에 이르는 세정수의 유량이 억제되게 되므로, 횡향 토수 개구(5)에서의 토수압은 낮아지고, 세정수가 보울부 도수로(16)로부터 변기 밖으로 튀겨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토수압이 낮더라도, 세정수는 좌우로부터 돌므로 오물받이면(10)의 세정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세정수가 공급되면, 압입 세정수 토출구(40)는 유수부(W)의 수면에 근접하고 있으므로, 유수부(W)의 수위 상승에 의해 상기 압입 세정수 토출구(40)가 수몰되며, 물 튀김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상기한 공기 빠짐 기능을 갖는 보조 도수로(20)에 의해 세정 시에 세정수가 공기를 휩쓸리게 하여 소음을 일으키지 않으며, 세정음을 가급적으로 조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보울부 도수로(16)의 오버 행 부분의 경사 각도는 적절히 설정가능하며, 또한 보울부 도수로(16)의 전체 둘레에 걸쳐 오버 행 면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본 발명에 따른 수세식 변기는 보울부(1)내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수를 공급하는 토출수단과, 보울부내에 직접 면한 변기 상부 가장자리의 내측 벽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 벽면을 따라 상기 토출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세정수를 주 세정수로하여 변기 상부 가장자리의 거의 전체 둘레에 걸쳐 골고루 미치도록 하는 세정수 도수로와, 이 세정수 도수로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주 세정수에서 갈라진 분류 세정수를 보울부의 내면 전체에 골고루 미치도록 하는 도수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세정수 도수로를 보울부의 상기 개구 둘레에 형성한 림부의 보울부내에 면한 림부 내측 벽면으로 하고, 상기 도수부를 림부 내측 벽면과 연속으로 형성된 오물받이면으로 함으로써, 오물받이면과 림과의 경계가 상방에서 볼 때 사각지대인 홈이 되지 않으며, 변기 제조시 이 경계 부분에 유약을 확실하게 도포할 수 있으며, 또한 통상의 변기 청소도 용이해져 위생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세식 변기는 상기 보울부 도수로를, 상기 림부 내측 벽면의 전체 둘레, 혹은 그 일부를 보울부 내측방을 향해 덮어 씌워지도록 경사지게 한 오버 행 면형상으로 함으로써 상기 1의 효과뿐만 아니라, 세정수가 보울부 도수로로부터 변기 밖으로 튀겨나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세식 변기는 상기 림부 내측 벽면에, 상기 보울부 도수로에 따라 세정수를 토해내는 토수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1, 2의 효과뿐만 아니라, 종래의 수세식 변기와 같이 림 통수로, 및 상기 통수로의 하측면에 형성한 토수공 등이 불필요해져서 변기 성형 효율이 향상되며,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게다가, 세정수는 림부 내측 벽면을 돌면서 흐르며, 오물받이면 전체에 골고루 미쳐 넓게 세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세식 변기는 상기 보울부의 안쪽 깊숙히 토수부를 형성하고, 오버 행 면형상으로 한 보울부 도수로를, 상기 토수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1∼3의 효과뿐만 아니라, 토수부로부터 토출된 세정수가 토수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퍼지더라도, 보울부 중 곡률이 가장 큰 곳이 오버 행 면형상이 되어 있으므로 세정수가 변기 밖으로 튀겨나갈 우려가 없다. 또한, 오버 행면을 형성한 림부만을 분리 목형으로 성형하고, 림부의 다른 부분을 보울부와 같은 형으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제조 공정을 보다 간략화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본 발명에 따른 수세식 변기는 또한, 상기 토수부는 각각 다른 위치에 형성한 2개의 역방향 토수구를 구비하고, 보울부 도수로를 따라 각각 서로 역회전방향으로 물을 토해내기로 하였으므로, 상기 1∼4의 효과뿐만 아니라, 세정수의 선회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토수 압력을 낮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세정수가 변기 밖으로 튀겨나가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세식 변기는 또한, 상기 보울부의 바닥에 형성한 배수유로 입구의 상방에서, 또한 보울부내의 유수면에 근접하는 수면 상방 위치에 압입 세정수 토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보울부 도수로로부터 배수유로 입구로 세정수가 유입되는 것을 촉진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1∼5의 효과뿐만 아니라, 부유 오물을 적은세정수량으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절수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수세식 변기는 상기 보울부의 바닥에 형성한 배수로 유입구를 향해 세정수를 내뿜는 제트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1∼8의 효과뿐만 아니라, 배수로로 세정수 및 오물을 압송하는 것을 보다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더욱 절수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변기 보울부내에 직접 면해 있는 변기 상부 가장자리의 내측 벽면을 따라 세정수를 공급하여, 변기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세정수가 밖으로 튀겨나가지 않고 상기 변기 상부 가장자리의 내측 벽면을 따라 돌면서 흐르는 주 세정수와, 그로부터 갈라져 아래쪽을 향해 흐르는 분류 세정수에 의해, 변기 보울 내면 전체에 걸쳐 세정수가 골고루 미치게 함으로써, 적은 세정수량으로 보울부내 전체를 세정할 수 있고 부유(浮游) 오물을 배출할 수 있다.

Claims (14)

  1. 보울부(1)내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수를 방출하는 토출수단과 보울부(1)의 상부 개구(13)의 둘레에 형성된 림부(14)의 보울부(1)내에 면한 림부 내측 벽면(15)으로 이루어지며, 그 림부 내측 벽면(15)을 따라 상기 토출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세정수를 주 세정수로 하여 변기 상부 가장자리의 거의 전체 둘레에 걸쳐 미치도록 하는 세정수 도수로(16)와 이 세정수도수로(16)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주 세정수에서 갈라진 분류 세정수가 보울부(1)의 내면 전체에 걸쳐 골고루 미치도록 하는 도수부(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도수로(16)를 상기 림부 내측 벽면(15)의 전체 둘레 혹은 그 일부가 보울부(1) 내측쪽을 향해 덮어씌워지도록 한 오버 행 면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림부 내측 벽면(15)에서 상기 세정수도수로(16)를 따라 세정수를 방출하는 토수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
  4. 제3항에 있어서;
    보울부(1)의 안쪽 깊숙히 상기 토수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같은 토수부에 대향하는 위치의 상기 세정수도수로(16)를 오버 행 면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토수부는 각각 다른 위치에 형성된 2개의 토수구(51,52)를 구비하고, 상기 세정수 도수로(16)를 따라, 각각 서로 역회전 방향으로 토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
  6.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부(1)의 바닥에 형성된 배수유로입구(18)의 상방에서, 또한 보울부(1)내의 유수면에 근접하는 수면 상방위치에 압입세정수토출구(40)를 설치하여, 세정수 도수로(16)로부터 배수유로 입구(18)로 세정수가 유입되는 것을 촉진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부(1)의 바닥에 형성된 배수유로입구(18)의 상방에서, 또한 보울부(1)내의 유수면에 근접하는 수면 상방위치에 압입세정수토출구(40)를 설치하여, 세정수 도수로(16)로부터 배수유로 입구(18)로 세정수가 유입되는 것을 촉진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
  8.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부(1)의 바닥에 형성된 배수유로입구(18)의 상방에서, 또한 보울부(1)내의 유수면에 근접하는 수면 상방 위치에 압입세정수토출구(40)를 설치하여, 세정수 도수로(16)로부터 배수유로 입구(18)로 세정수가 유입되는 것을 촉진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부(1)의 바닥에 형성된 배수유로입구(18)를 향하여 세정수를 분출하는 제트 구멍(19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부(1)의 바닥에 형성된 배수유로입구(18)를 향하여 세정수를 분출하는 제트 구멍(19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
  11.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부(1)의 바닥에 형성된 배수유로입구(18)를 향하여 세정수를 분출하는 제트 구멍(19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부(1)의 바닥에 형성된 배수유로입구(18)를 향하여 세정수를 분출하는 제트 구멍(19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부(1)의 바닥에 형성된 배수유로입구(18)를 향하여 세정수를 분출하는 제트 구멍(19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부(1)의 바닥에 형성된 배수유로입구(18)를 향하여 세정수를 분출하는 제트 구멍(19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
KR10-1999-7003363A 1996-10-15 1997-10-14 수세(水洗)식 변기 KR1003889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72003 1996-10-15
JP27200396 1996-10-15
JP9565897 1997-04-14
JP9-95658 1997-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255A KR20000049255A (ko) 2000-07-25
KR100388951B1 true KR100388951B1 (ko) 2003-06-25

Family

ID=26436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3363A KR100388951B1 (ko) 1996-10-15 1997-10-14 수세(水洗)식 변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145138A (ko)
JP (1) JP3381261B2 (ko)
KR (1) KR100388951B1 (ko)
CN (2) CN1282806C (ko)
HK (1) HK1073343A1 (ko)
ID (1) ID23694A (ko)
WO (1) WO19980166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610B1 (ko) 2019-12-02 2020-06-16 주식회사 핼시언 음향진동모듈과 에어섬유를 결합한 욕창방지매트리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4864A (ja) * 1998-11-13 2000-05-26 Toto Ltd 水洗便器
JP2000265525A (ja) * 1999-03-15 2000-09-26 Toto Ltd 水洗便器
JP2001271407A (ja) * 2000-01-19 2001-10-05 Toto Ltd 水洗便器
KR100745597B1 (ko) 2000-03-29 2007-08-06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수세식 변기
JP4517443B2 (ja) * 2000-03-30 2010-08-04 Toto株式会社 水洗便器
JP2001279791A (ja) * 2000-03-31 2001-10-10 Toto Ltd 水洗便器
EP1273726B1 (en) * 2000-04-10 2008-07-16 Inax Corporation Western style water closet
US6397405B1 (en) * 2000-04-11 2002-06-04 Thetford Corporation Flush toilet for RV's and boats
JP2001323541A (ja) * 2000-05-12 2001-11-22 Inax Corp 洋風水洗式便器
JP2002106048A (ja) * 2000-09-29 2002-04-10 Toto Ltd 水洗便器および便器のリム部素地を製造する方法
NZ512778A (en) * 2002-01-05 2004-08-27 Silentnite 02 Company Ltd A toilet with water supplied directly from mains supply (no cistern), having a venturi effect inducing water inlet at the base/rear of the bowl and also rim mounted jets orientated to provide a clockwise 'rinsing' of the bowl.
US20040040080A1 (en) * 2002-08-30 2004-03-04 American Standard, Inc. Toilet assembly
CN100387882C (zh) * 2002-08-30 2008-05-14 Toto株式会社 开闭阀装置和冷热水混合水龙头
US6715162B2 (en) 2002-08-30 2004-04-06 American Standard Inc. Toilet assembly
KR101114960B1 (ko) * 2002-09-03 2012-03-07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수세식 변기
US6944891B2 (en) * 2003-01-20 2005-09-20 Kohler Co. Toilets with trapways having an air dam
JP2005098003A (ja) * 2003-09-26 2005-04-14 Toto Ltd 水洗便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3678247B2 (ja) * 2003-09-30 2005-08-03 東陶機器株式会社 水洗便器
JP3578169B2 (ja) * 2003-10-07 2004-10-20 東陶機器株式会社 水洗便器
JP2004044387A (ja) * 2003-10-31 2004-02-12 Toto Ltd 水洗便器
TW200636133A (en) * 2005-02-10 2006-10-16 Toto Ltd Flushing type toilet
TWM288640U (en) * 2005-09-29 2006-03-11 Globe Union Ind Corp Toilet structure
JP4915654B2 (ja) * 2006-10-13 2012-04-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便器
JP2008274679A (ja) * 2007-05-01 2008-11-13 Toto Ltd サイホンゼット便器
US8151379B2 (en) 2007-05-07 2012-04-10 Kohler Co. Toilet with reduced water usage
GB2453319B (en) * 2007-09-05 2011-09-21 Trane Bvba Rimless toilet
JP5141174B2 (ja) * 2007-10-15 2013-02-13 Toto株式会社 水洗便器
US9003575B2 (en) * 2008-02-12 2015-04-14 Kohler Co. Toilets with improved trapways
US20090229046A1 (en) * 2008-03-11 2009-09-17 Liu Yung-Ning Anti splash toilet
US8266733B2 (en) * 2008-04-04 2012-09-18 As Ip Holdco, Llc Toilet flush valve
US8528123B2 (en) * 2008-11-25 2013-09-10 Dometic Corporation Exterior rim wash bowl
US8615822B2 (en) * 2009-05-31 2013-12-31 Fluidmaster, Inc. Air pressure activated toilet flushing system
EP2309065B1 (de) * 2009-10-06 2015-08-19 Geberit International AG Verfahren zum Spülen einer einen Siphon aufweisenden Klosettschüssel und Wasserklosett
EP2336436A1 (de) * 2009-12-09 2011-06-22 Geberit International AG Spülvorrichtung zum Spülen einer Klosettschüssel, Wasserkloset mit einer solchen Spülvorrichtung und Klosettschüssel
EP2402519A1 (de) * 2010-06-29 2012-01-04 Geberit International AG Spülvorrichtung zum Spülen einer Klosettschüssel, Wasserklosett mit einer solchen Spülvorrichtung und Klosettschüssel
BR112012022070A2 (pt) * 2010-07-20 2020-09-01 As Ip Holdco, Llc vaso sanitário propelido por gravidade, sifonado e método correspondente
CA2758862C (en) 2010-11-16 2014-10-28 Shawn D. Bush Toilet fixture with directional jet flow
JP5093627B1 (ja) * 2011-07-14 2012-12-12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JP5935970B2 (ja) * 2011-08-24 2016-06-15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JP5930508B2 (ja) * 2011-08-24 2016-06-08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EP2562314B1 (en) 2011-08-24 2022-05-11 Toto Ltd. Flush toilet
JP6246453B2 (ja) * 2011-08-24 2017-12-13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JP5930509B2 (ja) * 2011-08-24 2016-06-08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CN102605848A (zh) * 2012-03-12 2012-07-25 虞吉伟 坐圈封闭式全洗坐便器
CN102605843A (zh) * 2012-03-12 2012-07-25 虞吉伟 全洗喷射坐便器
CN102605840A (zh) * 2012-03-12 2012-07-25 虞吉伟 坐圈封闭式全洗喷射坐便器
CN102605846A (zh) * 2012-03-12 2012-07-25 虞吉伟 全洗坐便器
CN102605841A (zh) * 2012-03-12 2012-07-25 虞吉伟 对流全洗坐便器
CN102605842A (zh) * 2012-03-12 2012-07-25 虞吉伟 坐圈封闭式对流全洗坐便器
JP5954685B2 (ja) * 2012-03-19 2016-07-20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CN102995733A (zh) * 2012-06-25 2013-03-27 虞吉伟 平滑引水台坐便器
US10221553B2 (en) 2012-10-02 2019-03-05 As Ip Holdco, Llc Toilet flush valve assemblies
EP2954122B1 (en) 2013-02-05 2018-11-21 Eczacibasi Yapi Gereçleri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Toilet bowl washing system
JP5780493B2 (ja) * 2013-07-25 2015-09-16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TWI630308B (zh) * 2013-09-30 2018-07-21 Toto股份有限公司 Flush toilet
JP6338196B2 (ja) * 2013-12-27 2018-06-06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EP2910697A1 (en) * 2014-02-20 2015-08-26 Kaleseramik Canakkale Kalebodur Seramik Sanayi Anonim Sirketi A flushing system
US9719239B2 (en) 2014-03-18 2017-08-01 Kohler India Corporation Private Limited Dual-jet toilet
US10060113B2 (en) 2014-03-21 2018-08-28 Kohler Co. Rimless toilet
JP2015190245A (ja) * 2014-03-28 2015-11-02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JP6238012B2 (ja) * 2014-05-28 2017-11-29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SG11201610506TA (en) * 2014-06-26 2017-01-27 Caroma Ind Ltd A rimless toilet pan and a method of flushing same
USD755357S1 (en) * 2014-07-18 2016-05-03 Ideal Standard International Nv Toilet bowl
JP6384912B2 (ja) * 2014-08-18 2018-09-05 株式会社Lixil 水洗式大便器
EP3237695A1 (en) 2014-12-26 2017-11-01 Eczacibasi Yapi Gereçleri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Flushing apparatus for closet bowl with flow rate adjuster
JP6680994B2 (ja) * 2015-03-18 2020-04-15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CN107849841B (zh) * 2015-08-11 2020-03-24 骊住株式会社 抽水马桶
JP6389150B2 (ja) * 2015-08-11 2018-09-12 株式会社Lixil 水洗大便器
JP6584856B2 (ja) * 2015-08-11 2019-10-02 株式会社Lixil 水洗大便器
JP6701513B2 (ja) * 2016-02-18 2020-05-27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JP6460416B2 (ja) * 2016-09-23 2019-01-30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JP6898582B2 (ja) * 2016-11-16 2021-07-07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JP7148835B2 (ja) * 2016-11-16 2022-10-06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CN206448336U (zh) * 2016-12-19 2017-08-29 厦门瑞尔特卫浴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马桶的冲水结构
JP7066969B2 (ja) * 2017-01-12 2022-05-16 Toto株式会社 洗い落とし式便器
CN110249098B (zh) * 2017-01-31 2021-02-26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水洗便器
CN107090886B (zh) * 2017-06-02 2024-01-23 厦门佳普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自来水直冲马桶
JP6579499B2 (ja) * 2017-10-30 2019-09-25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JP6890774B2 (ja) * 2017-10-30 2021-06-18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TR201722524A2 (tr) * 2017-12-28 2019-07-22 Eczacibasi Yapi Gerecleri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Su yönlendi̇ri̇ci̇ deli̇kleri̇ i̇çeren bi̇r klozet
US11021861B2 (en) * 2018-02-06 2021-06-01 Kohler Co. Toilet with collection chamber
JP6889801B2 (ja) * 2018-10-19 2021-06-18 株式会社Lixil 水洗式大便器
IT201800009703A1 (it) * 2018-10-23 2020-04-23 Ceram Cielo Spa Wc con sistema di lavaggio perfezionato
DE102019105732A1 (de) 2019-03-07 2020-09-10 Duravit Aktiengesellschaft Sanitärgegenstand in Form eines WCs
JP7151685B2 (ja) * 2019-09-30 2022-10-12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JP7095669B2 (ja) 2019-09-30 2022-07-05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JP7092100B2 (ja) 2019-09-30 2022-06-28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TR202020397A1 (tr) * 2020-12-14 2022-06-21 Eczacibasi Yapi Gerecleri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Yikama ve si̇fonlama i̇şlemi̇ni̇n sivinin dai̇resel hareketi̇ i̇le sağlandiği serami̇k sağlik gereci̇
JP7132551B1 (ja) * 2021-02-26 2022-09-07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51651Y2 (ko) * 1975-08-21 1978-12-09
JPS552135Y2 (ko) * 1975-12-25 1980-01-21
JPS5351651A (en) * 1976-10-21 1978-05-11 Nitsutou Eatetsuku Kk Air conditioner for constant temperature constant relative humidity control
JPS54172552U (ko) * 1978-05-25 1979-12-06
JPS552135A (en) * 1978-06-20 1980-01-09 Komatsu Ltd Position controller of working machine
JPS58185674U (ja) * 1982-06-02 1983-12-09 東陶機器株式会社 水洗便器
JPH026149A (ja) * 1988-06-27 1990-01-10 Toshiba Corp 印字装置
JPH06287989A (ja) * 1993-04-06 1994-10-11 Toto Ltd 水洗便器
JP3052180B2 (ja) * 1994-10-19 2000-06-12 株式会社イナックス 便器における便鉢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610B1 (ko) 2019-12-02 2020-06-16 주식회사 핼시언 음향진동모듈과 에어섬유를 결합한 욕창방지매트리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D23694A (id) 2000-05-11
KR20000049255A (ko) 2000-07-25
CN1576473A (zh) 2005-02-09
HK1073343A1 (en) 2005-09-30
US6145138A (en) 2000-11-14
WO1998016696A1 (fr) 1998-04-23
CN1170992C (zh) 2004-10-13
JP3381261B2 (ja) 2003-02-24
CN1282806C (zh) 2006-11-01
CN1238020A (zh) 1999-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8951B1 (ko) 수세(水洗)식 변기
JP7223297B2 (ja) 水洗大便器
JP7337330B2 (ja) 水洗式大便器
GB2431937A (en) Flush water distributor for a wc pan
KR20050057134A (ko) 수세식 변기
CN114855960A (zh) 马桶形式的卫生设备
US5218726A (en) Water conserving toilet
JP2005113643A (ja) 水洗便器
JPH02190539A (ja) 水洗便器
CN211368926U (zh) 一种便于冲洗的蹲便器
JPH07116739B2 (ja) 水洗小便器
CN217399843U (zh) 一种低噪音的蹲便器
JP2798193B2 (ja) 水洗便器
CN219080520U (zh) 一种座便器
JPH0246538Y2 (ko)
CN218028023U (zh) 一种瀑布式洗刷挂便器
JPH11247269A (ja) 便 器
JP2004003382A (ja) 水洗便器
JP2007169935A (ja) 水洗便器
JPH026149Y2 (ko)
JPH07310354A (ja) 旋回流式水洗便器
JPS5931816Y2 (ja) 水洗式便器
RU2073087C1 (ru) Унитаз
KR970005513Y1 (ko) 절수형 좌변기
JPS6011991Y2 (ja) 水洗式小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