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8524B1 - 알루미노-실리케이트유도체 - Google Patents

알루미노-실리케이트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8524B1
KR100388524B1 KR1019970702736A KR19970702736A KR100388524B1 KR 100388524 B1 KR100388524 B1 KR 100388524B1 KR 1019970702736 A KR1019970702736 A KR 1019970702736A KR 19970702736 A KR19970702736 A KR 19970702736A KR 100388524 B1 KR100388524 B1 KR 100388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y mineral
derivative
asd
exchange
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2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7039A (ko
Inventor
싱 발비르
도날드 리차드 맥킨논 이안
페이지 데이비드
Original Assignee
더 유니버서티 어브 퀸슬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유니버서티 어브 퀸슬랜드 filed Critical 더 유니버서티 어브 퀸슬랜드
Publication of KR970707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7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20Silicates
    • C01B33/36Silicates having base-exchange properties but not having molecular sieve properties
    • C01B33/46Amorphous silicates, e.g. so-called "amorphous zeoli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Abstract

2:1 층 점토 광물로부터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도체 형태의 신규한 물질의 형성은 M이 암모늄 이온 또는 알칼리 금속 양이온이고 X가 할라이드인 화학식 MX를 가지는 염과 반응함으로써 2:1 층 점토 광물의 화학적 변형에 의해 얻어진다. 이 신규한 물질은 하기한 특징을 가진다:
(a) CuKα조사를 사용하여 22° 와 32° 사이에 X-선 파우더 회절을 사용하는 넓은 험프로서 무정형 X-선 회절 신호;와
(b) 주로 사면 조정된 알루미늄의 존재.

Description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도체
이들 2:1 점토 광물들의 화학적인 변형의 결과인 신규한 물질의 두가지 특징은 초기 출발 물질의 성질과 비교할 경우 용액으로부터 양이온들을 교환하기 위한 용량(즉, 양이온 교환능)의 향상 및/또는 사용가능한 표면적의 증가이다.
이들 두가지 특징은 양이온-교환(예를 들면, 세제 빌더(builder) 및 물 연화제로서 수용액 및 비수용액으로부터 독성 금속 이온의 제거; 수용액 및 비수용액으로부터 NH4 +의 제거를 위해), 흡수(예를 들면, 외부로부터 가스의 제거를 위해, 용액으로부터의 양이온의 흡수를 위해), 외부로 바람직한 양이온의 배출을 조절하기 위한 보조제(agents)로서 및 탄화수소와 다른 화학물질의 변형에서 촉매 반응을 위한 기질로서 등의 넓은 범위의 적용에서 이들 유도체 물질의 비용-효과적인 사용에 상당히 중요하다.
점토 광물은 필로실리케이트(phyllosilicates) - 또는 "층" 실리케이트라고 불리우는 보다 큰 광물 과(family of minerals)의 일부분이다. 이들 점토 광물은 일반적으로 각각 특이적인 기본적인 조성을 가진 사면(tetrahedral) 및 팔면(octahedral) 시트(sheet)의 이차원적인 배열 및 광물 군(group)을 정의하는 결정학적(crystallographic) 관계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이와 같이 사면 시트는 T2O5(T는 4면 양이온으로 Si, Al 및/또는 Fe이다) 조성을 가질 수 있으며 팔면 시트는 대개 Mg, Al 및 Fe같은 양이온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또한 Li, Ti, V, Cr, Mn, Co, Ni, Cu 및 Zn같은 다른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Brindley and Brown, Crystal Structure of Clay Minerals and their x-ray identification, Editors G.W. Brindley and G. Brown, Mineralogical Society, London, 1980). 이들 각각의 점토 광물 그룹은 각각의 시트(sheet) 배열에서 팔면의 점유에 따라 삼팔면(trioctahedral) 및 이팔면(dioctahedral)으로 더 분류할 수 있다. 몇몇 특이적인 광물 종들은 두 종류의 중간인 양이온 점유를 보일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사면 및 팔면 시트의 상대적인 배열은 또한 1:1 타입 광물로 알려진것으로서 팔면 시트와 하나의 사면 시트가 연결되어 조립된 기본 광물 군을 정의한다. 하나의 팔면 시트와 두 개의 사면 시트가 연결된 조립은 2:1 광물로 알려져 있다. 특이적인 서브-유니트들의 결정학적인 관계에 기초한 광물 종들의 이러한 기본 분류는 점토 광물학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잘 공지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기초를 형성한다.
1:1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인 카오린(kaolin) 점토로부터 얻어진 "카오린 무정형 유도체(kaolin amorphous derivative)"로 칭해지는 무정형 유도체의 생산은 이미 개시되어있다(WO95/00441). 우리는 지금 무정형 유도체가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s) 및 스멕타이트(smectite) 군의 다른 일원을 포함하는 2:1 광물들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는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들 2:1 점토로부터의 무정형 유도체의 생산은 1:1 카오린 군 광물과는 현저히 다른 이들 광물의 구조 및 화학(chemistry)에 관한한에 있어서는 놀라운 것이다. 카오린 군에서 점토의 단위 층(unit layer)은 하나의 팔면 시트 및 하나의 사면 시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두개의 시트는 반응하는 종들에 접근할 수 있는 부위인 층간 공간(interlayer space)에 노출되어져 있다. 그러나 2:1 점토 광물은 하나의 팔면 시트와 두 개의 사면 시트를 포함한다. 이 팔면-조정된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팔면 시트는 사면시트들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이 팔면 시트의 변형은 층간 공간이 사면 시트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으므로 금속 할라이드를 사용하여 쉽게 예측가능하지는 않다. 이것은 또한 2:1 점토 광물의 팔면 시트가 금속 할라이드에 쉽게 접근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적절하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런 이유로 2:1점토 광물들과 반응하는 종들이 WO95/00441에서 설명된 반응 생성물과는 다른 생성물을 제공할 것이라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한 바와 같이 2:1 점토 광물로부터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도체(alumino-silicate derivatives) 형태의 신규한 물질의 형성에 관한 것이며, 2:1 점토 광물의 화학적 변형에 의해 얻어지는 이들 신규한 물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들 층 광물들(layer minerals)의 유도체는 모광물(parent mineral)에 있는 팔면-조정된(octahedrally-coordinated) Al+3의 화학적인 변형의 결과인 사면-조정된(tetrahedrally-coordinated) Al+3우위 (predominance)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들 원자-규모의 변형은 원래의 점토 구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수의 교환가능한(exchangeable) 부위를 사용가능하게 만든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두 가지 특징을 가진 상기 변형된 2:1 점토 광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상기한 두가지의 특징을 포함하는 변형된 2:1 점토 광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2:1 점토 광물과 반응할 수 있는 금속 할라이드를 사용하는 공정 또는 2:1 점토 광물의 조합에 의한 변형된 2:1 점토 광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공정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2:1 점토 광물의 예들은 몬모릴로나이트, 일라이트(illite), 팔리골스카이트(palygorskite) 및 사포나이트(saponite)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2:1 층 점토 광물 유도체는 사면의 Al+(편리를 위해, 이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도체" 또는 "ASDs" 라고 칭함)가 우위를 가지는 특징이 있다. 예를 들면 몬모릴로나이트 점토의 경우, 모광물(즉, 점토) 내의 팔면 알루미늄이 사면-조정된 것으로 변형되었다. 이하 M-ASD(M은 특이적인 형성 공정으로 얻은 교환된 양이온)로 지정한 이 ASD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공지의 광물 특성화 기술에 의해 얻어질 수 있으며, 이것은 하기의 성질을 나타낸다:-
(1) "무정형" 특성(X-선 회절에서), 즉 어떤 외관상의(apparent) 반복 단위의 긴 범위(long range) 정렬을 가지지 않는다;
(2) 용액으로부터 양이온을 교환하기 위하여 향상된 능력(원래의 출발 광물과 비교하여);
(3) 공지의 BET 등온선(isotherm)에 의해 측정된 것으로서 물질의 사용가능한 표면적의 증가;
(4) 원래의 출발 물질에 비해 용액으로부터 음이온 종들 또는 복합 폴리음이온을 흡착하는 능력의 증가; 및/또는
(5) 원래의 출발 물질과 비교하여 오일 및/또는 유기 분자를 흡착하는 용량의 증가.
(2)의 성질과 관련하여, 이것은 수용액으로부터 암모늄 또는 금속 양이온의 교환에 의해 측정되어진 것으로서 100g당 20-900 밀리-당량의 양이온 교환능을 가지는 본 발명의 ASDs에 의해 예시될 수 있다. 암모늄 교환에 의해 측정된 것으로서 가장 바람직한 양이온 교환능은 100g당 약 300-450 밀리-당량 범위이다.
(3)의 성질과 관련하여, BET 등온선에 의해 측정된 것으로서 400㎡/g-1보다 작은 표면적을 가지는 본 발명의 ASDs에 의해 예시될 수 있으며 2:1 점토 광물 출발 물질보다 높은 값이다. 가장 바람직한 BET 표면적은 25 ㎡/g 내지 200 ㎡/g이다.
(4) 및 (5)의 성질은 본 출원과 같은 국제출원일자인 국제 출원 번호 PCT/AU95/00699에서 설명되어진다.
본 발명의 ASD의 한 형태는 하기의 화학적인 조성을 가진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M은 교환 가능한 알칼리 금소 양이온, X는 할라이드, 0.2 ≤p≤2.0, 0.5≤q≤2.5, 4.0≤r≤12, 0.5≤s≤4.0, 0.0≤t≤1.0, 및 0.0≤u≤6.0이다. 하나의 특정 형태로서 상기 ASD는 M-K와 같은 칼륨 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ASD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액에서 안정한 어느 양이온으로 알칼리 금속 양이온을 교환할 가능성이 있다. 이런 교환 양이온은 다른 알칼리 금속 양이온, 알칼리 토금속 양이온, 전이금속 양이온, 란탄족 원소 및 악틴족 원소의 양이온, 중금속 양이온 및 암모늄을 포함한다. 교환이 모든 양이온에서 달성되는 것이 아니며 많은 전이금속 양이온(예를 들면, Mn2+, Cr3+, Co2+, Ni2+, Cu2+, Zn2+, Ag+), 란탄족 원소의 양이온(예를 들면, La3+, Nd3+), 중금속 양이온(예를 들면, Pb2+, Cd2+, Hg2+), 및 악틴족 원소의 양이온 UO2 2+에서는 교환이 달성된다. 몇몇 양이온 교환은 상온에서 3시간 후에 달성되고(예를 들면 Pb2+, Cu2+), 반면 다른 것들은 더 긴 시간 및 110℃ 까지의 온도를 요구한다(예를 들면 Zn2+)
바람직하게는 양이온 NH4 +, Na+, K+, Li+, Rb+또는 Cs+는 Pb2+, Cd2+, Ni2+, Co2+, Cr3+, Sr2+, Zn2+, Nd3+또는 UO2 2+에 의해 교환된다.
이러한 양이온 교환은 본질적으로 ASD의 XRD-무정형 특성을 유지한다. 그러나 교환된 물질의 특이적 표면은 여전히 출발 2:1 광물의 특이적 표면에 비해서는 높지만 교환 양이온에 의존하여 증가 또는 감소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수용액으로부터 CU+2의 교환의 경우에서 Cu-ASD로 칭해지는 신규한 물질이 형성되고 예를 들면 이것은 공지의 BET 등온선에 의해 측정된 것으로서 높은 표면적을 보인다. 제너릭 포뮬라(generic formulae)에서 2:1 점토 광물의 직접적인 변형을 통해 형성된 신규한 ASD 물질(하기한 실시예 1과 2)과 직접적으로 유래된 ASD의 양이온 교환에 의해 형성된 ASD물질의 구별하기 위해 하기의 용어를 사용한다:-
·M-ASD는 실시예 1 및 2에서 설명하는 일반적인 공정을 통해 직접적으로 형성된 물질을 나타낸다.
·Me-ASD는 M-ASD 물질을 사용한 양이온 교환을 통해 연속적으로 형성된 물질을 나타낸다. 이 타입의 물질에 대한 설명 및 동일한 것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은 실시예 3 및 4에서 나타낸다.
두 개의 양이온 점유 부위 또는 다중 양이온 점유 부위에서 명백히 부분적으로 형성된 ASDs는 이 신규한 물질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일련의 부분적인 반응을 통해 교환된다.
ASD 물질을 정의하기 위한 일차적인 결정학적 방법의 하나는 분말(powder) X-선 회절(XRD)이다. 분말 XRD의 경우에서 반응의 일차적인 성분으로서 M-ASD의 형성은 원래 출발 물질에 일치하는 날카로운 회절 피크(peaks)의 손실 및 CuKα 조사(radiation)를 사용할 때 22 ° 내지 32 ° 2θ사이의 넓은 "험프(hump)"의 강도에 일치하는 증가로 나타내어진다(참고, 예를 들면 도 1b, 2b). 출발 몬모릴로나이트 및 실시예 1의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각각의 M-ASD 물질에 대한 전형적인 XRD 패턴의 예를 각각 도 1a 및 1b에 나타낸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공지된 것으로서 STx-1 및 SWy-1같은 몬모릴로나이트는 팔면-조정된 알루미늄 이온을 포함한다. 이 결정학적인 특징은 광물 식(mineral formulae) 및 몬모릴로나이트 구조에서 팔면 부위로의 알루미늄 원자의 이전에 대한 화학 분석적 재계산(recalculation)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광물학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팔면 알루미늄의 사면-조정된 알루미늄으로의 전환이 사면 구조(framework)에서 양전하(positive charge) 부족의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 음이온의 구조에서 이런 전하 부족은 사용가능한 빈 공간(voids)에 위치한 고정 또는 교환가능한 양이온(Na, K, Ca, Mg 등)에 의해 균형을 맞출 수 있다. 이 메카니즘은 사면-조정된 알루미늄의 다양한 부분을 포함하는 펠드스파(feldspar), 펠드스패소이드(feldspathoids) 및 제오라이트(zeolites)같은 천연상(natural phases)에 의해 정확히 예시된다(Klein and Hurlbutt: Jr., Manual of Mineralogy, after J.D. Dana, John Wiley & Sons, New York, pp 446). 이들 기초적인 광물학적 원리는 사면-조정된 알루미늄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이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이하 언급한 화학적 조성 데이터로부터ASD 속의 알루미늄은 사면-조정된 것이며 결과적인 전하 부족은 반응물로부터 구조로 합체된 칼륨 또는 나트륨에 의해 균형이 맞추어질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더욱이 개시된 물질에서 알루미늄의 사면-조정된 성질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이하에 언급한 양이온 교환 데이터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상기한 합체된 양이온은 대개 교환가능하다.
이하에 언급한 특이적 CEC 데이터로부터 많은 수의 교환가능한 부위가 M-ASD에서 사용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이것은 팔면 조정된 알루미늄이 사면 조정된 알루미늄으로 전환한다는 것에 대한 명백한 증거이다.
상기 일차적인 결정학적 및 화학적 기술은 이 신규한 물질의 중요한 성분의 원자 배열을 정의하고 2:1 점토 광물의 화학적인 반응에 의해 얻어진 광물 유도체의 과(family)의 기초를 형성한다. 이 기본적인 광물학적인 특징은:-
·CuKα 조사(radiation)를 사용시 22 ° 내지 32 °2θ사이에서 넓은 X-선 회절 "험프" 또는 피크를 보이는 "무정형" 구조로의 긴-범위 정렬의 변형과;
·주로 사면-조정된 알루미늄의 존재이다.
화학적인 분석은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유효하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11 이상의 원자 번호를 가지는 성분들(즉, 나트륨 또는 그 이상)의 양을 정량하기 위한 전자 마이크로프로브(electron microprob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소의 존재는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광물의 미세분석(microanalysis)에 대한 일반적인 원리에 따라 측정된다. 반응물(즉, 금속 할라이드)의 성질에 따라 나트륨 또는 칼륨같은 교환가능한 양이온이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도체에 존재할 것이다.
BET 표면적, 양이온 교환능(CEC), 오일 흡수, 염기도 등과 같은 이들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도체의 집합적인 물리적 성질은 ASD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정의 성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이 관계는 특이적인 ASDs가 다른 것(예를 들면 기체 또는 오일 흡수)보다 하나(예를 들면 2가 양이온의 잔류량 제거)의 적용에 더욱 적당할 수 있지만, ASDs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점토 광물과의 상대적인 비교에서 각각의 ASD는 점토에서보다 상기한 적용에 더욱 적당한 성질을 가진다.
예를 들면 KF와의 반응을 통해 형성된 ASD는 이 신규한 물질의 교환가능한 부위상에서 높은 퍼센트의 K+이온을 함유할 것이다. 실시예 3 및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Cu+2, Li- 또는 NH4 +같은 양이온은 M-ASD에서 이들 교환가능한 부위의 K+또는 Na+와 쉽게 교환하여 각각 Cu-풍부한, Li 또는 NH4 +-풍부한 유도체를 형성할 것이다. 이 경우 상기 Cu-ASD는 높은 사용가능한 표면적 값을 가지며 적당한 전-처리를 하여 이 물질의 사용, 예를 들면 유기 화합물의 탈수소화 반응의 촉매로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유사하게는 암모늄-교환된 ASD 또는 NH4-ASD는 농업, 원예 또는 사료저장 산업에서 비료 또는 영양제로서 사용되기 위한 중요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M-ASD(M=K 또는 Na)는 나중의 쉬운 제거 또는 연속적인 사용을 위해 적당한 기질상에서 암모늄 이온을 교환하기 위해(예를 들면 NH4-ASD를 형성하기 위해) 농업 또는 원예 산업에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산업 폐수 또는 폐기물 생성물로부터의 암모늄 이온의 추출과 같은 ASDs의 암모늄-교환능의 다른 용도는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쉽게 상상될 수 있다.
이론에 의해 관련된 것은 아니지만 긴 범위 정렬의 짧은 범위 정렬된 구조로의 화학적 변형 또는 전환은 하기한 예인 구조적으로 팔면 및 사면 부위에 각각 알루미늄과 실리콘이 결합된 몬모릴로나이트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으며, 이것은 몬모릴로나이트 구조에서 과도한 할라이드(예를 들면 X-)가 사용가능한 하이드록실군(OH-)로 쉽게 교환될 수 있도록 수용액에서 K+또는 암모늄 이온이 양이온인 알칼리 금속 할라이드와 반응한다. 이 교환은 수소-결합된 산소 원자상에서 이들 OH-이온의 반응을 통해 팔면 조정된 알루미늄의 재배열을 일으킬 수 있는 수소 이온들과 비교하여 더 높은 OH-이온 농도를 가진 고염기 용액을 형성한다. 이 알루미늄 조정의 재배열은 이 결과적인 안정한 물질에서 주로 사면 조정된 알루미늄을 만들게 된다.
반응속도 및 바람직한 성질을 가진 이들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도체의 바람직한 형태는 주어진 시간의 기간 동안의 정확한 반응 온도에 의존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200℃보다 낮은 온도가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한 온도는 50-200℃범위의 온도가 사용된다. 적당한 반응 시간은 1분 내지 100시간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4시간보다 짧은 반응 시간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 원자의 조정에 대한 이런 재배열에 관련하여, 부가적인 양이온의 존재(시약으로부터의)는 이 재배열에 의해 형성된 교환 부위로의 양이온의 "부착" 을 통해 안정화되기 위해 불규칙적인 구조를 일으킨다. 총 화학 변형동안 알루미노-실리케이트 구조로부터 고 염기 용액으로의 알루미늄의 손실(소량 또는 실리콘 뿐만 아니라)이 발생할 수 있다. 바람직한 ASD를 형성하기 위한 반응은 용액의 pH가 7이상이면 발생하지만 상기 반응 중 및 반응의 종결 근처에서 이 고염기 용액의 바람직한 pH는 일반적으로 12이상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M-ASD는 모광물에 하기한 제너릭 변형(generic modification)에 관계된 다수의 유사한 공정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광물 구조내에 있는 Al-O 및/또는 Si-O 결합 비율이 약해지거나 깨지도록 반응 음이온(예를 들면 F-, Cl-) 또는 양이온(예를 들면 K+, Na+또는 Li+)에 의한 공격;
·유도체 물질이 서브-유니트의 불규칙적인(짧은-범위 정렬된) 배열(예를 들면 SiO4사면; AlO4사면 및 양이온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새로 형성된 "교환 부위" )로서만 원래 구조와 유사하도록 광물 구조에서 긴-범위 주기성(때로는 "결정성" 으로 칭함)의 손실;
·원래의 모광물(들)로부터의 알루미늄 원자(및/또는 더 적은 양의 실리콘 원자) 비율의 손실;
·유도체 물질 구조에 대한 반응 음이온(예를 들면 F-또는 Cl-)의 더 작은비율 뿐만 아니라 반응 양이온(예를 들면 Na+또는 K+)의 첨가.
집합적인 물리적인 성질의 하기한 제너릭 변형은 또한 M-ASD의 형성을 위한 이들 공정의 어느 공정과 함께 발생한다:-
·상대적인 비율 및 초기 반응물의 성질에 의해 결정되는-어느 최대값까지의 반응 혼합물의 점성이 증가하는 반응;
·원래 출발 광물의 분산성 및/또는 크기와 비교하여 반응 공정 중에 형성된 각각의 입자의 "분산성" 의 증가-이것은 각각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입자의 크기의 감소에 부분적으로 기인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원래 출발 광물에 의해 점유되는 부피와 비교하여 건조 분말(즉 "플루피(fluffy)" 또는 덜-압축된 분말)에 의해 점유된 벌크 부피에 있어서의 증가.
몇몇 생성물 성질과 함께 반응물 농도의 다양한 조합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모든 이들 조합에서 물은 다양한 양으로 반응 혼합에 첨가된다. 표 1에서 STx-1 및 STy-1의 유도체의 실시예 4의 방법을 사용하는 암모늄 교환을 위한 CEC, 상대적인 Cu+2교환(실시예 3) 및 BET 표면적을 제공한다. 또한 표 1에 출발 2:1 점토 광물의 비교 데이터를 나타낸다.
STx-1 및 STy-1 유도체의 화학적 조성을 표 2에 나타낸다.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도체의 형성의 특이적인 예를 하기한다.
실시예 1: 금속 할라이드와 Ca-몬모릴로나이트의 반응을 통한 M-ASD의 형성
Texas (Sample No. STx-1; van Olphen and Fripiat, 1979, Data handbook for clay materials and other non-metallic minerals, Pergamon Press, Oxford, 342pp.)의 원료 점토 몬모릴로나이트 10g, 포타슘 플루오라이드(KF) 50g 및 20㎖의 증류수를 비이커에서 충분히 혼합하였고 80℃에서 5시간동안 열을 가하였다. 생성된 슬러리를 과도한 포타슘 플루오라이드가 제거될 정도로 물로 세척하였다. 그 다음 분말을 얻고, 분할 X-선 회절(도 3), NH4 +/Cu+2교환 및 BET 표면적 측정을 포함하는 일련의 특성화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 특성화 시험으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는 상기한 바와 같은 원자 배열(즉, 결정학적 배열)을 가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2: Na-몬모릴로나이트로부터의 M-ASD의 형성
Wyoming(Sample No. SWy-1; van Olphen and Fripiat, 1979, Data handbook for clay materials and other non-metallic minerals, Pergamon Press, Oxford, 342pp.)의 원료 점토 몬모릴로나이트 20g, 포타슘 플루오라이드(KF) 60g 및 50㎖의 증류수를 비이커에서 충분히 혼합하였고 80℃에서 5시간동안 열을 가하였다. 생성된 슬러리를 과도한 포타슘 플루오라이드가 제거될 정도로 물로 세척하였다. 그 다음 분말을 얻고, 분말 X-선 회절(도 4), 양이온 교환(하기한 실시예 3 및 4에서 NH4 +및 Cu+2에 대해) 및 BET 표면적 측정을 포함하는 일련의 특성화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 특성화 시험으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는 상기한 바와 같은 원자 배열(즉,결정학적 배열)을 가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방법에 의해 형성된 M-ASD에 대한 BET 표면적 및 CEC(NH4 +) 값은 각각 97㎡/g 및 108meq/100g이었다. Cu+2양이온의 흡수를 위해 이 방법에 의해 형성된 M-ASD를 추출하였고, 상온에서 16시간 후에 실시예 3에서 설명한 방법을 통해 제조된 200ppm 용액으로부터 106ppm의 Cu를 얻었다.
실시예 3 : M-ASD를 사용하여 수용액으로부터 Cu+2의 업테이크(uptake) 및 Me-ASD의 형성
실시예 1 및 2에서 정의된 일반적인 공정에 의해 얻어진 M-ASD 75mg을 pH∼5.6에서 200ppm의 Cu+2를 포함하는 0.1M NaNO3용액에 담고, 약 16시간동안 오버나잇하여 흔들었으며 이때 상온(∼25℃)을 유지하였다. 이 시료를 원심분리하였고 상등액의 일부를 잔류하는 Cu+2를 위해 분석하였다. 이 실험에서 수용액에 잔류하는 Cu+2의 농도는 52.8㎍/㎖(또는 52.8ppm)이었다. 이 특이적인 경우에서 이 결과는 실시예 1 및 2에서 설명한 공정에 의해 생산된 M-ASD는 약 16시간동안 200ppm의 Cu+2용액에서의 Cu+2양이온의 74%를 제거할 것이다라는 것을 지적한다. 이 실시예는 Cu+2양이온의 교환을 위한 이들 새로운 물질의 상대적인 능력을 평가하기위해 사용되는 하나의 방법이다.
표 1은 이들 반응에서 사용되는 공정 조건의 다양한 부류를 나타내는 것으로상기한 표준 조건에서 표준 용액으로부터 제거되는 Cu+2의 비율을 나타내었다. 반응 조건을 지정하지 않는 이 표의 사항에서 Cu+2교환 데이터는 Cu+2이온의 교환을 위한 원래 출발 물질(예를 들면 몬모릴로나이트 STx-1)의 능력을 언급한다. 100㎍/㎖보다 적은 잔류 Cu+2값들을 가진다는 것은 2가 양이온 교환을 위해 상업적으로-실행가능한 물질로 판명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Cu+2교환 용량의 이런 도표화(tabulation)는 Al+3, Mg+2, Ca+2, Fe+2, Cr+3, Mn+2, Ni+2, Co+2, Ag+, Zn+2, Sr+2, Nd+3, Hg+2, Cd+2, Pb+2및 UO2 +2를 포함하는 넓은 범위의 양이온에 대한 각각의 M-ASD의 상대적인 교환 능력을 위한 안내가 된다.
Cu+2로 교환하기 위해 형성된 물질인 지정된 Cu-ASD는 구리를 사용한 교환부위에서 칼륨(및/또는 나트륨)의 교환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지정된 M-ASD와 유사한 구조적 성질을 가지는 그 자체로서 신규한 물질이다. 높은 표면적을 가지는 이 물질은 몇몇 경우에 있어서 Cu+2교환 전의 원래 M-ASD 물질에서 측정된 것보다 상당히 더 높은 값을 가진다.
실시예 4 : M-ASD를 사용하여 수용액으로부터 NH4 +의 교환 및 Mc-ASD의 형성. 다양한 양이온(예를 들면 Na+및 Li+)의 CEC 측정.
상기한 방법을 사용하는 점토 광물의 변형에 의해 형성된 M-ASD 0.5g을 원심분리 병에 담고, 1M NH4Cl 30㎖을 첨가하고, 오버나잇 평형시켰다. 이 시료를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제거하였다. 다시 1M NH4Cl 30㎖을 더 첨가하고 이 시료를 2시간동안 흔들어주었다. 이 원심분리 처리, 상등액의 제거, 1M NH4Cl 30㎖ 첨가를 3번 반복하였다. 에탄올 세척을 통해 엔트레인드(entrained) NH4Cl을 제거하였다. 이 지점에서 잔류하는 물질이 NH4ASD같은 교환된 ASD이다. 특이적인 M-ASD 물질의 CEC 값을 측정하기 위해 1M NH4Cl 30㎖을 세척된 시료에 더 첨가하고 오버나잇 평형시켰다. 원심분리후 상등액을 모으고 1M KCl 30㎖을 더 첨가하고 2시간동안 흔들어주었다. 이 원심분리, 상등액 제거, 1M KCl 30㎖ 첨가를 3번 반복하였다. 마지막으로 증류수를 100g의 용액이 될 때까지 첨가하고 존재하는 NH4 +의 양을 이온-선택 전극(ion-selective electrode)으로 측정하였다. 이 절차는 Miller 외, 1975, Soil Sci. Amer. Proc. 39 372-373에서 나타내어진 방법으로 양이온 교환 용량의 측정을 위한 것이며 유사한 방법이 Na+및 Li+같은 다른 양이온의 CEC 측정을 위해 사용된다. M-ASD의 범위를 위해 표로 만들어진 모든 CEC값들은 이 기본적인 절차에 의해 측정되었다. 이들 실험의 결과를 그램당 교환된 NH4 +의 밀리-당량으로 표현하고 표 1에서 나타내었다.
[표 1]
공정 조건과 생성물(M-ASD) 성질의 요약
Figure pct00002
[표 2]
몬모릴로나이트의 유도체를 위한 평균화된 마이크로프로브 분석
Figure pct00003
설명
* 용액에 잔류하는 ppm 구리 농도(초기값 200ppm). 실시예 3 참고.
도 1
(a) 반응전 출발 물질 Texas 몬모릴로나이트와 (b) KF(실시예 1)을 사용하여 반응한 후 형성된 생성물의 분말 XRD 패턴. 20° 내지 35° 2θ사이의 지역의 상세화도고 확대된 도1을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
20° 내지 35° 2θ사이의 지역을 나타내는 도 1에서 보여진 분말 XRD 결과의 더 큰 규모의 확대.
표 1에서 시료 번호 STx-5에 해당하는 도 2d에서 20° 내지 35° 2θ사이에서 넓은 "험프"의 존재가 쉽게 관찰된다.
도 3
KF와 함께 Ca-몬모릴로나이트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생성물을 위한 분말 XRD 결과(표 1에서 시료 번호 STx-6).
도 4
KF와 함께 Na-몬모릴로나이트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생성물을 위한 분말 XRD 결과(표 1에서 시료 번호 STy-4).

Claims (15)

  1. (a) CuKα조사(radiation)를 사용하고 X-선 분말 회절을 사용하는 경우에 22° 내지 32°사이의 2θ에서 넓은 험프(hump)로서 나타나는 무정형 X-선 회절 신호; 및
    (b) 주로 사면 배위된(tetrahedrally co-ordinated) 알루미늄
    를 포함하는 2:1 점토 광물 유도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1 점토 광물 유도체가 일반식 MpAlqSi2Or(OH)sXt·uH2O-여기서 M은 암모늄 이온 또는 알칼리 금속 양이온이고, X는 할라이드이며, 0.2≤p≤2.0, 0.5≤q≤2.5, 4.0≤r≤12, 0.5≤s≤4.0, 0.0≤t≤1.0, 및 0.0≤u≤6.0임-과 일치하는 조성물을 함유하는 2:1 점토 광물 유도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1 점토 광물 유도체가 수용액으로부터 암모늄 또는 금속 양이온의 교환에 의하여 측정되는 경우, 100 g당 20 내지 900 밀리-당량의 양이온 교환능을 가지는 2:1 점토 광물 유도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2:1 점토 광물 유도체가 암모늄 교환에 의하여 측정되는 경우, 100 g당 약 300 밀리-당량의 양이온 교환능을 가지는 2:1 점토 광물 유도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1 점토 광물 유도체가 BET 등온선에 의하여 측정되는 경우, 400 m2/g 이하의 표면적을 가지는 2:1 점토 광물 유도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ET 표면적이 25 내지 200 m2/g인 2:1 점토 광물 유도체.
  7. 제2항에 있어서,
    M이 NH4 +, Na+, K+, Li+, Rb+또는 Cs+로서 Mg2+, Ca2+, Sr2+, Ba2+, Cr3+, Mn2+, Co2+, Ni2+, Cu2+, Zn2+, Ag+, Cd2+, Pb2+, Hg2+, La3+, Nd3+, 또는 UO2 2+중 하나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환되는 2:1 점토 광물 유도체.
  8. 제7항에 있어서,
    NH4 +, Na+, K, Li+, Rb+또는 Cs+가 Pb2+, Cu2+, Cd2+, Ni2+, Co2+, Cr3+, Sr2+, Zn2+, Nd3+, 또는 UO2 2+중 하나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환되는 2:1 점토 광물 유도체.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2:1 층 점토 광물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2:1 점토 광물과 화합물 MX-여기서 M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암모늄 이온이며, X는 할라이드임-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2:1 층 점토 광물 유도체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점토 광물이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일라이트(illite), 팔리골스카이트(palygorskite), 또는 사포나이트(saponite)로부터 선택되는 2:1 층 점토 광물 유도체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온도가 200℃ 이하인 2:1 층 점토 광물 유도체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온도가 50 내지 200℃인 2:1 층 점토 광물 유도체의 제조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1분 내지 100시간의 반응시간이 사용되는 2:1 층 점토 광물 유도체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24시간 이하의 반응시간이 사용되는 2:1 층 점토 광물 유도체의 제조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알칼리 금속 할라이드 또는 암모늄 할라이드가 2:1 층 점토 광물에 대하여 과량으로 존재하는 제조방법.
KR1019970702736A 1994-12-16 1995-10-23 알루미노-실리케이트유도체 KR100388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N0121A AUPN012194A0 (en) 1994-12-16 1994-12-16 Alumino-silicate derivatives
AUPN0121 1994-12-16
PCT/AU1995/000698 WO1996018576A1 (en) 1994-12-16 1995-10-23 Alumino-silicate derivativ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7039A KR970707039A (ko) 1997-12-01
KR100388524B1 true KR100388524B1 (ko) 2003-10-04

Family

ID=37846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2736A KR100388524B1 (ko) 1994-12-16 1995-10-23 알루미노-실리케이트유도체
KR1019970702737A KR100388525B1 (ko) 1994-12-16 1995-10-23 알루미노-실리케이트유도체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2737A KR100388525B1 (ko) 1994-12-16 1995-10-23 알루미노-실리케이트유도체제조방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2) US6200919B1 (ko)
EP (2) EP0797541B1 (ko)
JP (2) JPH10510236A (ko)
KR (2) KR100388524B1 (ko)
CN (2) CN1054354C (ko)
AU (1) AUPN012194A0 (ko)
BR (2) BR9509505A (ko)
DE (2) DE69525373T2 (ko)
DK (1) DK0797542T3 (ko)
ES (2) ES2149377T3 (ko)
HK (2) HK1002762A1 (ko)
IN (2) IN185687B (ko)
MY (2) MY126329A (ko)
NZ (2) NZ294539A (ko)
RU (2) RU2146651C1 (ko)
WO (2) WO1996018576A1 (ko)
ZA (2) ZA9590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184863T1 (de) * 1994-10-25 1999-10-15 Univ Australian Alumosilikatverbindungen mit kationenaustauschkapazität
AUPN614295A0 (en) * 1995-10-23 1995-11-16 University Of Queensland, The Modified kaolinites
NO302559B1 (no) * 1996-06-27 1998-03-23 Norsk Leca As Fremstilling av uorganisk kationebytter fra kuler av ekspandert leire samt anvendelse av de fremstilte kationbyttere
AUPO787797A0 (en) * 1997-07-15 1997-08-07 University Of Queensland, The Catalytic conversion of gases via cation-exchangeable alumino-silicate materials
AU724315B2 (en) * 1997-07-15 2000-09-14 University Of Queensland, The Catalytic conversion of gases via cation-exchangeable alumino-silicate materials
JP2002519274A (ja) * 1998-06-30 2002-07-02 イーストマン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グリコールモノエステル製造用塩基性クレイ触媒
RU2189139C2 (ru) * 2000-04-20 2002-09-20 Тюрюков Сергей Николаевич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я рыб, водных растений и других гидробионтов в замкнутых объемах с грунтом
RU2194572C2 (ru) * 2001-03-26 2002-12-20 Институт катализа им. Г.К.Борескова СО РАН Катализатор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интез-газа конверсией углеводородов
US7018542B2 (en) * 2002-10-15 2006-03-28 Eureka Technology, Llc Method for removing heavy metals and radionuclides from an aqueous solution
US6827859B2 (en) * 2002-10-15 2004-12-07 Synlite Chemical Company Llc Method for removing heavy metals and radionuclides from an aqueous solution
US7074257B2 (en) * 2002-10-15 2006-07-11 Synlite Chemical Company, Llc Method for removing heavy metals and radionuclides
DE10312203A1 (de) 2003-03-19 2004-10-07 Ashland-Südchemie-Kernfest GmbH Rheologisches Additiv
AU2003901594A0 (en) * 2003-04-04 2003-05-01 Nanochem Research Pty Ltd Aluminosilicates of zeolite n structure
ES2296521B1 (es) * 2006-05-18 2009-04-01 Universidad De Cadiz Monolitos de arcilla para el tratamiento de efluentes gaseosos contaminantes.
CN100450923C (zh) * 2006-12-22 2009-01-14 湖南师范大学 热稳定有机蒙脱土的制备方法
RU2466933C1 (ru) * 2011-04-25 2012-11-20 Вера Борисовна Обухова Коллоидный алюмосиликат
KR101144090B1 (ko) * 2011-06-20 2012-05-24 재단법인 탄소순환형 차세대 바이오매스 생산전환 기술연구단 암모니아성 유기나노점토를 이용한 조류성장 억제방법
JP6085436B2 (ja) * 2012-09-10 2017-02-22 株式会社Kri 層状粘土鉱物複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膜形成組成物および膜
GB201305755D0 (en) 2013-03-28 2013-05-15 Quanta Fluid Solutions Ltd Re-Use of a Hemodialysis Cartridge
AU2014262860A1 (en) * 2013-05-06 2015-12-03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Alkali metal ion source with moderate rate of ion release and methods of forming
CN103708483B (zh) * 2014-01-15 2015-08-19 中国科学院兰州化学物理研究所盱眙凹土应用技术研发中心 凹凸棒石原位晶型转变制备凹-蒙石的方法
GB201409796D0 (en) 2014-06-02 2014-07-16 Quanta Fluid Solutions Ltd Method of heat sanitization of a haemodialysis water circuit using a calculated dose
CA3003191C (en) * 2015-10-26 2024-01-23 Ecolab Usa Inc. Highly homogenous zeolite precursors
GB201523104D0 (en) 2015-12-30 2016-02-10 Quanta Fluid Solutions Ltd Dialysis machine
KR102060640B1 (ko) 2016-09-09 2019-12-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입자를 포함한 고무 보강재 및 이를 포함한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KR102000728B1 (ko) 2016-09-09 2019-07-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입자를 포함한 고무 보강재 및 이를 포함한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WO2018048158A1 (ko) * 2016-09-09 2018-03-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입자를 포함한 고무 보강재 및 이를 포함한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KR102134856B1 (ko) * 2016-11-02 2020-07-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우수한 분산성을 갖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입자의 제조 방법,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입자를 포함한 고무 보강재 및 이를 포함한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JP7125937B2 (ja) 2016-12-02 2022-08-25 エコラブ ユーエスエイ インク ポリアルミニウム塩ならびに高純度コロイド状アルミナ-シリカ複合粒子およびゼオライトの調製におけるそれらの使用
GB201622119D0 (en) 2016-12-23 2017-02-08 Quanta Dialysis Tech Ltd Improved valve leak detection system
CN110980754B (zh) * 2019-12-31 2023-02-28 湖北三鼎科技有限公司 一种天然钠基膨润土的制备方法
KR20220129055A (ko) * 2020-02-28 2022-09-22 제이에프이미네라르 가부시키가이샤 할로이사이트 분말
CN115611293B (zh) * 2021-07-16 2023-11-07 安徽泽欧新材料技术有限公司 硅酸盐材料zeo-2和硅酸盐分子筛zeo-3,其合成方法及用途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917630A (en) 1972-12-26 K. Maher Philip Catalyst composition
BE612554A (ko) * 1961-12-21
US3765825A (en) * 1969-07-22 1973-10-16 V Hurst Viscosity reduction of kaolin by hydrothermal treatment
US3769383A (en) * 1969-07-22 1973-10-30 V Hurst Hydrothermal transformation of kaolin
US3784392A (en) * 1971-04-29 1974-01-08 Huber Corp J M Production of finely divided amorphous alumino-silicate pigments from kaolin
US3837877A (en) * 1971-05-07 1974-09-24 Huber Corp J M Production of rod-shaped micro-crystallites from clay
SU499887A1 (ru) 1973-07-12 1976-01-25 Институт Коллоидной Химии И Химии Воды Ан Украинской Сср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неорганического ионнообменника
US3976598A (en) 1974-03-29 1976-08-24 Mobil Oil Corporation Zeolite synthesis
US4271043A (en) * 1979-09-04 1981-06-02 W. R. Grace & Co. Pillared interlayered clay products
GB8405531D0 (en) 1984-03-02 1984-04-04 Nadeau P H Randomly interstratified clays
EP0235431B1 (en) 1985-08-23 1994-06-22 Hagiwara Research Corporation Amorphous aluminosilicate &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CN86101990B (zh) * 1986-03-27 1988-06-01 中国石油化工总公司石油化工科学研究院 一种粘土类层柱分子筛的制备方法
US5171365A (en) * 1986-06-17 1992-12-15 J. M. Huber Corporation Synthetic alkali metal alumino-silicates compositions and their methods of preparation
SU1588437A1 (ru) 1988-10-24 1990-08-30 Институт коллоидной химии и химии воды им.А.В.Думанского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сорбента на основе палыгорскита
SU1771426A3 (ru) 1991-03-19 1992-10-23 Пehзиh Pomah Ahдpeebич Cпocoб пoлучehия heopгahичeckoгo copбehta " ceлekc - k m
US5192725A (en) 1991-09-03 1993-03-09 Uop Gallium/germanium dioctahedral smectite clay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clay
JPH06340413A (ja) * 1993-05-28 1994-12-13 Nittetsu Mining Co Ltd 無機質多孔体及びその製造方法
ZA944114B (en) 1993-06-17 1995-02-07 Univ Queensland Kaolin derivat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97542A1 (en) 1997-10-01
AUPN012194A0 (en) 1995-01-19
ES2173200T3 (es) 2002-10-16
HK1002762A1 (en) 1998-09-18
CN1046120C (zh) 1999-11-03
BR9509504A (pt) 1997-12-30
EP0797541A4 (en) 1998-02-25
EP0797541A1 (en) 1997-10-01
NZ294538A (en) 1999-03-29
EP0797542B1 (en) 2002-02-06
DE69525373T2 (de) 2002-10-10
KR970707039A (ko) 1997-12-01
JPH10510236A (ja) 1998-10-06
DE69517600T2 (de) 2001-04-26
EP0797542A4 (en) 1998-03-11
DE69525373D1 (de) 2002-03-21
RU2146651C1 (ru) 2000-03-20
DK0797542T3 (da) 2002-05-27
IN185687B (ko) 2001-03-31
CN1161679A (zh) 1997-10-08
JPH10509688A (ja) 1998-09-22
US6200919B1 (en) 2001-03-13
IN188161B (ko) 2002-08-31
BR9509505A (pt) 1997-12-30
MY126329A (en) 2006-09-29
RU2161065C2 (ru) 2000-12-27
ZA959004B (en) 1996-05-22
NZ294539A (en) 1999-07-29
EP0797541B1 (en) 2000-06-21
US6218329B1 (en) 2001-04-17
WO1996018576A1 (en) 1996-06-20
DE69517600D1 (de) 2000-07-27
WO1996018577A1 (en) 1996-06-20
KR970707040A (ko) 1997-12-01
ES2149377T3 (es) 2000-11-01
CN1161680A (zh) 1997-10-08
ZA959003B (en) 1996-05-23
KR100388525B1 (ko) 2003-10-11
HK1002761A1 (en) 1998-09-18
MY113408A (en) 2002-02-28
CN1054354C (zh) 2000-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8524B1 (ko) 알루미노-실리케이트유도체
CA1176029B (en) Method of synthesizing zincosilicate or stannosilicate or titanosilicate material
Rayalu et al. Highly crystalline faujasitic zeolites from flyash
García et al. Preparation of zeolite A with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from clay
CN1107646C (zh) 一种制备a型沸石的方法
US5858081A (en) Kaolin derivatives
US6054106A (en) Magnesiosilicates
de Andrade et al. Extent of zeolite synthesis via alkaline fusion from tailings dam sediments
AU686895B2 (en) Alumino-silicate derivatives
KR100301790B1 (ko) 제주 송이(스코리아)를 원료로한 제올라이트 물질 제조방법
Mhamdi et al.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mectite clay taken from Gafsa, Tunisia: progressive elimination of carbonates
EP0788459B1 (en) Aluminosilicate cation exchange compounds
AU685326B2 (en) Process for forming alumino-silicate derivatives
CA2201925A1 (en) Process for forming alumino-silicate derivatives
KR20210153196A (ko) 흡착 특성이 우수한 x형 제올라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CA2201926A1 (en) Alumino-silicate derivatives
Seiffarth et al.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Cu2+, Na+)-and (Cu2+, NH4+)-exchanged bentonites upon thermal treatment
DE10063635A1 (de) Trioctaedrische 2:1 Phyllosilikate vom Stevensit-oder Kerolittyp, Herstellungsverfahren und Verwendung bei der Katalyse
AU674091C (en) Kaolin derivatives
JPS6140815A (ja) モンモリロナイト鉱物を原料にした結晶性アルミノシリケイトゼオライトの製造法
JPH06256012A (ja) 下水汚泥焼却灰からのゼオライト系鉱物の製法
AU6966194A (en) Kaolin derivatives
JP2003054940A (ja) メソ多孔体の製造法
AU2557995A (en) Aluminosilicate cation exchange compo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