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0299B1 - 선회식 건설기계 및 그 건설기계에 사용하는 캐브, 기기커버 및 카운터 웨이트 - Google Patents

선회식 건설기계 및 그 건설기계에 사용하는 캐브, 기기커버 및 카운터 웨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0299B1
KR100380299B1 KR10-1999-7007566A KR19997007566A KR100380299B1 KR 100380299 B1 KR100380299 B1 KR 100380299B1 KR 19997007566 A KR19997007566 A KR 19997007566A KR 100380299 B1 KR100380299 B1 KR 100380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hydrophilic
paint
applying
s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5507A (ko
Inventor
다카노유타카
하야가와야스오
호카리히데오
다테이시가즈다카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848513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8029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75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0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02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91Lids or bonnets or door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8Counterweigh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21/00Synthetic resins or natural rubbers -- part of the class 520 series
    • Y10S521/905Hydrophilic or hydrophobic cellular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4Of fluorinate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10T428/31598Next to silicon-containing [silicone, cement, etc.]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10T428/31609Particulate metal or metal compound-conta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친수성막(11)을 상부 선회체(2)를 구성하는 캐브(5), 기기커버(6), 카운터 웨이트(7)의 외표면에 설치하고, 친수성막(11)의 표면에는 강우 시의 빗방울 등에 의하여 수막(18)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부 선회체(2)의 외표면에 부착한 오염물질(13)을 수막(l8)에 의하여 뜨게한 상태로 유하시키는 구성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부 선회체(2)의 외표면에 낙숫물 때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령 상부 선회체(2)의 외표면에 그리스 방울 등의 때가 부착되었다고 하더라도 이 때를 세정수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거할 수가 있어 상부 선회체(2)의 외관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회식 건설기계 및 그 건설기계에 사용하는 캐브, 기기커버 및 카운터 웨이트{SWINGING CONSTRUCTION MACHINE, AND CAB, EQUIPMENT COVER AND COUNTER-WEIGHT USED FOR THE MACHINE}
일반적으로 유압셔블, 유압크레인 등의 선회식 건설기계는, 자주(自走)가능한 주행체와, 그 주행체 상에 선회가능하게 탑재된 선회체로 이루어지고, 그 선회체의 앞쪽에는 굴삭작업 등을 행하기 위한 작업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종래 기술에 의한 선회식 건설기계로서 유압셔블을 예로 들어 도 13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3에 있어서, 101은 크롤러식의 하부주행체, 102는 하부주행체(l01) 상에 선회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를 나타내고, 상부 선회체(102)의 앞쪽 중앙에는토사 등의 굴삭작업을 행하기 위한 작업장치(103)가 부앙동(俯仰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선회체(102)는 선회 프레임(104)과 선회 프레임(104) 상에 운전실을 형성하는 캐브(l05)와 선회 프레임(l04) 상에 탑재된 내연기관(도시생략) 등의 기기를 덮는 기기커버(l06)와 선회 프레임(104)의 후단측에 설치된 카운터 웨이트(107)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유압셔블에서는 상부 선회체(102)의 캐브(105), 기기커버 (106) 및 카운터 웨이트(107) 등의 외표면에 도장이 실시되고, 그 도장에는 통상 내후성(耐候性) 등을 고려하여 폴리우레탄 도료 등의 유성도료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유압셔블은 통상 그 조립이 종료하여 출하되기 까지의 동안에 지붕 등이 없는 보관장소에 비에 노출된 상태로 보관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옥외에서 유압셔블을 보관하고 있는 동안, 강우 등에 의하여 상부 선회체(102)의 캐브(105), 기기커버(l06) 및 카운터 웨이트(l07)의 외표면중, 수직방향의 외표면에는 도 14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수의 줄기형상의 때(108)(이하, 낙숫물 때 108 라 함)가 부착하여 외관품질이 현저하게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기기커버(106)의 외표면에 실시된 도장 및 해당 외표면에 부착된 낙숫물 때(108)에 관하여 도 14에 있어서의 A 부를 확대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기기커버(106)를 구성하는 강판(l09)의 표면에는 예를 들어 방청제를 함유한 알키드수지도료, 우레탄수지도료 등을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초벌칠 도포막(ll0)이 형성되고, 초벌칠 도포막(110)의 표면에는 덧칠 도포막(111)이 형성된다. 여기서 덧칠 도포막(111)에는 통상 빗물 등에 대한 발수성(撥水性)을 가진 유성도료, 예를 들어 아크릴수지도료, 폴리우레탄도료 등의 솔리드도료가 사용되고, 이 솔리드도료를 초벌칠 도포막(110) 상에 도포함으로써 덧칠 도포막(1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낙숫물 때(108)는, 내연기관으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 등에 함유되는 카본화합물, 작업장치(103)의 베어링장치 등에 공급되는 그리스 방울 등의 미세한 유성 오염물질(112, 112, …)이 강우시 빗방울에 수반되어 기기커버 (106)의 측면판(l06A)을 따라 유하할 때, 그 측면판(106A)의 외표면에 형성된 덧칠 도포막(111) 상에 줄기형상으로 부착함으로써 생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낙숫물 때(108)의 생성과정에 관하여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등에 함유되는 카본화합물, 그리스 방울 등의 미세한 오염물질(112)이 기기커버(l06)의 상면판(106B) 외표면에 형성된 덧칠 도포막(ll1) 상에 분산하여 부착된다.
다음에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우시 빗방울(113)이 상면판(106B)의 덧칠 도포막(111) 상으로 낙하하면, 그 빗방울(113)은 덧칠 도포막(111) 상에서 거의 반구형상으로 융기한 물방울(114)로 되고, 덧칠 도포막(111) 상에 부착한 오염물질 (112)은 물방울(114)에 의하여 덧칠 도포막(111)의 표면으로부터 떠오른다. 이 때, 덧칠 도포막(111)은 발수성을 가지는 유성도료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의한 덧칠 도포막(111)과 물방울(114)과의 접촉각을 θ1 이라 하면, 이 접촉각(θ1)은 예를 들어 80도 이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9,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판(l06B)의 덧칠 도포막(111) 상에서 물방울(114)이 이어져 물고임(115)가 형성되면, 이 물고임(ll5)로부터 넘친 물이 낙숫물(116)이 되고, 그 낙숫물(116)은 오염물질(112)을 따라 상면판 (l06B)으로부터 측면판(106A)을 따라 굴러가도록 유하한다. 이 때, 낙숫물(116)의 표면에 떠오른 오염물질(112)은 낙숫물(116)이 덧칠 도포막(111)의 표면을 굴러 가는 사이에 상기 낙숫물(1l6)로부터 이탈하여 덧칠 도포막(111)에 부착하여 간다.
이 결과 측면판(106B)의 외표면에는 낙숫물(ll6)이 유하하는 경로를 따라 줄기형상으로 오염물질(112)이 부착되고, 이것이 반복됨으로써 다수의 오염물질(112)의 집합체인 낙숫물 때(108)가 생성된다.
이와 같이 기기커버(106)의 외표면에 설치된 덧칠 도포막(111)은 친유성(親油性)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성오염물질(112)의 집합체인 낙숫물 때(108)가 생성되기 쉽고, 또 생성된 낙숫물 때(108)는 물 등에 의하여 세정할 때의 세정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특히 건설기계의 렌탈업에 있어서는 렌탈 상품인 건설기계의 외관품질이 저하함으로써 상품가치가 크게 저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유압셔블, 유압크레인 등의 선회식 건설기계 및 상기 건설기계에 이용하는 캐브, 기기커버 및 카운터 웨이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적용되는 유압셔블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사용하는 캐브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사용하는 기기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사용하는 카운터 웨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있어서의 기기커버, 카운터 웨이트 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기기커버의 외표면에 친수성막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5에 있어서의 화살표 VI-VI 방향에서 본 종단면도,
도 7은 친수성막의 표면에 오염물질이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6과 같은 위치의 종단면도,
도 8은 친수성막의 표면에 물방울이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6과 같은 위치의 종단면도,
도 9는 친수성막의 표면에 형성된 수막 상을 오염물질이 유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6과 같은 위치의 종단면도,
도 10은 친수성막의 표면에 형성된 수막 상을 오염물질이 유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9에 있어서의 화살표 X-X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11은 물체표면의 물에 대한 접촉각과 오염 부착성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선도,
도 12는 친수성막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6과 같은 위치의 종단면도,
도 1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선회식 건설기계에 적용되는 유압셔블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있어서의 기기커버, 카운터 웨이트 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 15는 도 14에 있어서의 A부 확대도,
도 16은 종래 기술에 의한 기기커버의 외표면에 형성된 도포막을 나타내는 도 15에 있어서의 화살표 XVI- XVI 방향에서 본 종단면도,
도 17은 기기커버의 외표면에 오염물질이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6과 같은 위치의 종단면도,
도 18은 기기커버의 외표면에 물방울이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6과 같은 위치의 종단면도,
도 19는 기기커버의 외표면에 오염물질이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6과 같은 위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20은 기기커버의 외표면에 오염물질이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l9에 있어서의 화살표 XX-XX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선회체의 외표면에 때가 부착하기 어렵고, 또 부착한 때를 용이하게 세정할 수가 있어 외관품질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선회식 건설기계 및 상기 건설기계에 사용하는 캐브, 기기커버 및 카운터 웨이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주가능한 주행체와, 상기 주행체 상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된 선회체를 구비한 선회식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기 선회체의 외표면에는 친수성막을 설치한 것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하여 선회체의 외표면에 부착된 빗방울 또는 세정수는 친수성막과 어울려 표면에 수막을 형성한다. 이에 의하여 선회체의 외표면에 부착한 유성의 때를 선회체의 외표면에 형성된 수막 상에 뜨게한 상태로 유하시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친수성막은, 선회체의 외표면중 적어도 수직방향의 외표면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선회체의 외표면에 부착된 유성의 때는 선회체의 수직방향의 외표면에 형성된 수막을 따라 유하하기 때문에,빗방울 또는 세정수에 의하서 용이하게 때를 제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친수성막은, 선회체의 외표면에 부착된 때를 해당 외표면으로부터 뜨게한 상태로 유하시키는 수막을 형성하는 도포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선회체의 외표면에 유성의 때가 부착되었다고 하더라도 해당 때는 빗 방울 또는 세정수에 의하여 친수성막의 표면에 형성된 수막 상으로 떠오르고, 그 수막 상을 유하하여 용이하게 제거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친수성막은, 물에 대한 접촉각이 60도 이하가 되는 막에 의하여 구성한 것에 있다. 이에 따라 친수성막의 표면에 부착된 빗방울 또는 세정수는 상기 친수성막과 신속하게 어울려 수막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자주가능한 주행체와 상기 주행체 상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되고, 운전실을 형성하는 캐브을 탑재하여 이루어지는 선회체를 구비한 선회식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기 캐브의 외표면에는 친수성막을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캐브의 외표면에 부착된 유성의 때를 상기 캐브의 외표면에 형성된 수막 상을 유하시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자주가능한 주행체와 상기 주행체 상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되고, 기기커버에 의하여 덮힌 내연기관을 포함하는 기기를 탑재하여 이루어지는 선회체를 구비한 선회식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기 기기커버의 외표면에는 친수성막을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기커버의 외표면에 부착된 유성의 때를 그 기기커버의 외표면에 형성된 수막 상을 유하시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자주가능한 주행체와 상기 주행체 상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된 선회체와, 상기 선회체에 설치된 카운터 웨이트를 구비한 선회식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외표면에는 친수성막을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운터 웨이트의 외표면에 부착된 유성의 때를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외표면에 형성된 수막 상을 유하시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친수성막은 친수성제를 함유한 도료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된 도포막으로 구성한 것에 있다. 이에 따라 친수성제를 첨가한 도료를 선회체의 외표면에 도포하는 것만으로 선회체의 외표면에 용이하게 친수성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친수성막은 친수성제를 함유하는 솔리드도료를 초벌칠 도포막의 표면에 덧칠 도포막으로서 도포함으로써 형성한 것에 있다. 이에 따라 덧칠 도포막을 형성하는 솔리드도료에 친수성제를 포함하게 하는 것 만으로 선회체의 외표면에 친수성막을 형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친수성막은 친수성제를 함유하는 클리어도료를 제 l의 덧칠 도포막의 표면에 제 2의 덧칠 도포막으로서 도포함으로써 형성한 것에 있다. 이에 따라 제 2의 덧칠 도포막을 형성하는 투명한 클리어도료에 친수성제를 포함하게 하는 것만으로 선회체의 외표면에 친수성막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선회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전면판, 후면판, 좌, 우의 측면판 및 상면판을 가지는 캐브 커버에 의하여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선회식 건설기계에 사용하는 캐브에 있어서, 상기 캐브 커버중 적어도 전면판, 후면판, 좌, 우의 측면판에는 친수성막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캐브가 사용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캐브의 외표면에 유성의 때가 부착하였다고 하더라도 세정수 등에 의해서 캐브의 외표면에 수막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때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선회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적어도 좌, 우의 양쪽에 위치하는 좌, 우의 측면판, 상기 각 측면판의 상단측에 설치된 상면판으로 이루어지는 건물로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선회식 작업기계에 사용하는 기기커버에 있어서, 상기 건물을 형성하는 각 판중 적어도 상기 좌, 우의 측면판에는 친수성막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기기커버가 사용되고 있는 동안, 상기 기기커버의 외표면에 유성의 때가 부착하였다고 하더라도 세정수 등에 의하여 기기커버의 외표면에 수막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때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회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적어도 전면, 후면, 상면 및 하면을 가지는 질량체에 의하여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선회식 작업기계에 사용하는 카운터 웨이트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중 적어도 후면에는 친수성막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것에 의하여 예를 들어 카운터 웨이트가 사용되고 있는 동안에 그 카운터 웨이트의 외표면에 유성의 때가 부착하였다고 하더라도 세정수 등에 의하여 카운터 웨이트의 외표면에 수막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때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선회식 건설기계의 실시형태를 유압셔블을 예로 들어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l은 크롤러식의 하부주행체, 2는 하부 주행체(1) 상에 선회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를 나타내며, 상부 선회체(2)의 앞쪽 중앙에는 토사 등의 굴삭작업을 행하기 위한 작업장치(3)가 부앙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선회체(2)는 골조구조를 이루고 앞쪽 중앙에 작업장치(3)가 부앙동 가능하게 설치된 선회 프레임(4)과 상기 선회 프레임(4)의 앞부분 좌측에 설치되어 운전실을 형성하는 캐브(5)와 상기 캐브(5)의 뒤쪽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4) 상에 설치되고, 상기 선회 프레임(4) 상에 탑재된 내연기관, 라디에이터, 유압펌프, 제어밸브(모두 도시생략) 등의 기기를 덮는 기기커버(6)와 선회 프레임(4)의 후단측에 설치된 카운터 웨이트(7)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캐브(5)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직방향의 외표면을 구성하는 전면판(5A), 후면판(5B), 좌, 우의 측면판(5C, 5C) 및 수평방향의 외표면을 구성하는 상면판(5D)를 가지는 박스형상의 캐브 커버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캐브 (5)의 내부에는 운전석, 조작기기류(모두 도시생략)를 수용한 운전실이 형성되어 있다.
또 기기커버(6)는 캐브(5)와 카운터 웨이트(7)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4) 상에 설치되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직방향의 외표면을 구성하는 좌, 우의 측면판(6A, 6A) 및 이 측면판(6A)의 상단측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의 외표면을 구성하는 상면판(6B)으로 이루어지는 건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 면판(6B)의 폭방향 중간부는 개폐가능한 박스형상의 엔진커버(6C)로 되고, 상기 엔진커버(6C)의 윗면으로부터는 내연기관으로부터의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관(8)이 돌출하고 있다.
또 카운터 웨이트(7)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직방향의 외표면을 구성하는 전면(7A), 후면(7B) 및 수평방향의 외표면을 구성하는 상면(7C), 하면(7D)을 가지는 질량체로서 형성되어 작업장치(3)와의 중량균형을 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유압셔블에서는 상부 선회체(2)의 캐브(5), 기기커버(6) 및 카운터 웨이트(7) 등의 외표면에 후기하는 친수성막(11)이 설치됨으로써 낙숫물 때 등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캐브(5), 기기커버(6), 카운터 웨이트(7) 등의 외표면에는 동일한 친수성막(11)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 기기커버(6)의 외표면에 설치된 친수성막(11)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9는 기기커버(6)를 구성하는 강판, 10은 강판(9)의 표면에 설치된 초벌칠 도포막으로, 그 초벌칠 도포막(10)은 예를 들어 방청제를 함유한 알키드수지도료, 우레탄수지도료 등을 강판(9)의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11은 기기커버(6)의 측면판(6A), 상면판(6B)의 외표면에 설치된 친수성막을 나타내며 그 친수성막(11)은 친수성 솔리드도료(12)를 초벌칠 도포막(10)의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덧칠 도포막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친수성 솔리드도료(12)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불소수지 등의 주제(主劑), 이소시아네이트 등의 경화제, 착색안료에 특수 실리케이트, 불소계 무기친수성제 등의 친수성제(12A, 12A, …)를 첨가한 친수성 폴리우레탄도료, 친수성 불소수지도료 등이 사용된다.
여기서 친수성막(11)은 그 표면에 부착한 물과의 접촉각을 θ2라 하면, 이 접촉각(θ2)이 60도 이하, 예를 들어 50도가 되는 막으로서 형성되어 후기하는 바와 같이 강우 시의 빗방울, 세정 시의 세정수에 의하여 표면에 수막을 형성함으로써, 낙숫물 때 등의 생성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친수성막(11)은 기기커버(6)의 외표면 외에, 캐브(5)의 전면판 (5A), 후면판(5B), 좌, 우의 측면판(5C), 상면판(5D)의 외표면에도 설치되고, 또한카운터 웨이트(7)의 전면(7A), 후면(7B), 상면(7C), 하면(7D)의 외표면에도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선회식 건설기계는 상부 선회체(2)를 구성하는 캐브(5), 기기커버(6), 카운터 웨이트(7)의 외표면에 상기한 친수성막(11)을 설치한 것으로 이하, 친수성막(11)이 낙숫물 때를 방지하는 작용에 관하여 기기커버(6)의 외표면에 설치한 친수성막(11)을 예로 들어,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본화합물 또는 그리스 방울 등의 미세한 오염물질(13)이 기기커버(6)의 상면판(6B)의 외표면에 설치된 친수성막(11) 상에 분산하여 부착된다.
다음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우시의 빗방울(14)이 상면판(6B)의 친수성막(11)상으로 낙하하면, 상기 빗방울(14)은 친수성막(11) 상에서 흩어져 물방울(15)이 되고, 오염물질(l3)이 물방울(15)에 의하여 친수성막(11)의 표면으로부터떠오른다. 이 때, 본 실시형태에 의한 친수성막(11)과 물방울(15)과의 접촉각을 θ2 라 하면, 이 접촉각(θ2)은 예를 들어 50도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방울(15)이 친수성막(11) 상에서 이어짐으로써 상면판(6B)의 친수성막(11) 상에 물고임(16)가 형성되면, 이 물고임(16)로부터 넘친 물이 낙숫물(17)이 되고, 상기 낙숫물(17)은 오염물질(13)과 더불어 상면판(6B)으로부터 측면판(6A)을 따라 유하한다.
이 때, 측면판(6A)의 외표면에는 친수성막(1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낙숫물(17)은 측면판(6A)을 따라 유하하는 사이에 친수성막(11)과 어울려 퍼져 친수성막(11)의 표면에 수막(18)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오염물질(13)은 수막(18) 상에 떠오른 상태로 그 수막(18)의 표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유하하도록 되어 오염물질(13)이 측면판(6A)의 표면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물체의 표면에 부착한 물의 접촉각(θ)과, 물체에 대한 오염부착성과의 관계에 관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1의 특성은 횡축이 물체표면과 물과의 접촉각(θ), 종축이 물체표면에 대한 오염부착성으로 되어 있다. 이 오염부착성은 물체표면이 거의 더러워져 있지 않은 상태를 범위 A 로 나타내고, 약간 더러워진 상태를 범위 B 로 나타내며, 매우 더러워진 상태를 범위 C로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11에 있어서 특성선 (19)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각(θ)이 60도 이하일 때는 오염부착성이 범위 A로 되고 물체표면이 거의 더러워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접촉각(θ1)이 80도이상이 되는 덧칠 도포막(111)을 설치한 종래기술에 의한 상부선회체(102)에서는 그 외표면이 매우 더러워진 상태가 되는 것과 비교하여 접촉각(θ2)이 60도이하 (예를 들어, θ2 = 50도)가 되는 친수성막(11)을 설치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상부 선회체(2)에서는 그 외표면에 때가 부착하기 어려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촉각(θ2)이 60도 이하가 되는 친수성막(11)을 기기커버(6)의 외표면에 설치하여 강우 시의 빗방울에 의하여 친수성막 (11)의 표면에 수막(l8)을 형성함으로써, 기기커버(6)의 측면판(6A)에 낙숫물 때가 생성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기기커버(6)의 외표면에 그리스 방울 등의 때가 부착되었다고 하더라도 세정수에 의하여 친수성막(11)의 표면에 수막(18)을 형성함으로써, 해당 때를 수막(18)에 의하여 뜨게 한 상태로 유하시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캐브(5), 기기커버(6), 카운터 웨이트(7) 등의 외표면에 친수성막(11)을 형성함으로써, 이들 캐브(5), 기기커버(6), 카운터 웨이트(7) 등의 외표면을 항상 청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상부 선회체(2)의 외관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2는 친수성막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11에 있어서, 21은 초벌칠 도포막(10) 상에 형성된 제 1 덧칠 도포막으로 그 제 l 덧칠 도포막(21)은 예를 들어 아크릴수지, 폴리우레탄 등의 주제, 이소시아네이트 등의 경화제 및 착색안료로 이루어지는 솔리드도료가 사용된다. 그리고제 1 덧칠 도포막(21)은 이 솔리드도료를 초벌칠 도포막(10)의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22는 기기커버(6)의 외표면에 설치된 친수성막을 나타내며, 그 친수성막(22)은 초벌칠 도포막(10) 상에 형성된 제 1 덧칠 도포막(2l)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친수성막(22)은 친수성 클리어도료(23)를 제 1 덧칠 도포막(21)의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제 2 덧칠 도포막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친수성 클리어도료 (23)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불소수지 등의 주제, 이소시아네이트 등의 경화제에 특수 실리케이트, 불소계 무기친수성제 등의 친수성제(23A, 23A, …)를 첨가한 투명한 친수성 폴리우레탄 클리어도료, 친수성 불소 클리어도료 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본 변형예에 의한 친수성막(22)도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친수성막(11)과 같이 그 표면에 부착한 물과의 접촉각이 예를 들어 60도 이하가 되는 막으로서 형성되어 강우 시의 빗방울, 세정 시의 세정수에 의하여 친수성막(22)의 표면에 수막을 형성하여 그 수막 상에 오염물질을 뜨게 한 상태로 유하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친수성막(22)이 설치된 캐브(5), 기기커버(6), 카운터 웨이트(7) 등의 외표면을 항상 청정한 상태로 유지하여 상부 선회체(2)의 외관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선회식 건설기계로서 유압셔블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유압크레인 등의 다른 선회식 건설기계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캐브(5)의 전면판(5A), 후면판(5B), 좌, 우의 측면판(5C) 및 상면판(5D)에 친수성막(l1)을 설치하고, 기기커버(6)의 좌, 우의 측면판(6A), 상면판(6B), 엔진커버(6C)에 친수성막(11)을 설치하고, 카운터 웨이트(7)의 전면(7A), 후면(7B), 상면(7C), 하면(7D)에 친수성막(11)을 설치한 경우를 예로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캐브(5)중 수직방향의 외표면을 구성하는 전면판(5A), 후면판(5B), 좌, 우의 측면판(5C)에만 친수성막(11)을 설치하고, 기기커버(6)중 수직방향의 외표면을 구성하는 각 측면판(6A)에만 친수성막(11)을 설치하며, 카운터 웨이트(7)중 수직방향의 외표면을 구성하는 후면(7B)에만 친수성막(11)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전면(7A), 후면(7B), 상면(7C), 하면(7D)을 가지는 카운터 웨이트(7)를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전면(7A)과 후면(7B)의 사이에 위치하여 좌, 우의 측면을 가지는 카운터 웨이트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선회식 건설기계를 구성하는 선회체 또는 상기 선회체를 구성하는 캐브, 기기커버, 카운터 웨이트 등의 외표면에 친수성막을 설치함으로써 선회체의 외표면에 비산한 빗방울, 세정수 등이 친수성막과 어울려 그 표면에 수막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선회체의 외표면에 부착한 유성의 때를 선회체의 외표면에 형성된 수막에 의하여 뜨게 한 상태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선회체의 외표면을 항상 청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선회식 건설기계의 외관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친수성막은 선회체 등의 외표면중 적어도 수직방향의 외표면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선회체의 외표면에 부착한 유성의 때를 선회체의 수직방향의 외표면에 형성된 수막을 따라 유하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친수성막은, 선회체 등의 외표면에 부착한 때를 해당 외표면으로부터 뜨게 한 상태로 유하시키는 수막을 형성하는 도포제로 하였기 때문에 선회체의 외표면에 도포되는 도료에 도포제를 첨가하는 것만으로 해당 선회체의 외표면에 친수성막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친수성막은 물에 대한 접촉각이 60도 이하가 되는 막에 의하여 구성하였기 때문에, 빗방울, 세정수 등에 의하여 친수성막의 표면에 신속하게 수막을 형성할 수가 있고 그 수막에 의하여 오물을 유하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친수성막은 친수성제를 함유한 도료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된 도포막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선회체 등의 외표면에 도료를 도포할 때 그 도료에 친수성제를 첨가하는 것만으로, 선회체 등의 외표면에 용이하게 친수성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친수성막은 친수성제를 함유하는 솔리드도료를 초벌칠 도포막의 표면에 덧칠 도포막으로서 도포함으로써 형성하고, 덧칠 도포막을 형성하는 솔리드도료에 친수성제를 포함시키는 것만으로 선회체의 외표면에 용이하게 친수성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친수성막은 친수성제를 함유하는 클리어도료를 제 1덧칠 도포막의 표면에 제 2 덧칠 도포막으로서 도포함으로써 형성하고, 제 2 덧칠 도포막을 형성하는 투명한 클리어도료에 친수성제를 포함시키는 것만으로 선회체의 외표면에 친수성막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 선회체의 외표면에 통상의 도장이 실시된 후이더라도 그 도장면에 친수성제를 함유한 클리어도료를 도포하는 것만으로 그 선회체의 외표면에 용이하게 친수성막을 형성할 수 있다.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자주 가능한 주행체와;
    상기 주행체상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선회체와;
    상기 선회체상에 기기커버로 덮어 설치되고, 배기가스를 상기 기기커버의 위쪽으로 배출하는 배기관을 가지는 내연기관과;
    상기 선회체에 부앙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장치를 구비한 선회식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기 선회체의 외표면에 도료를 도포함으로써 초벌칠 도포막을 형성하고, 이 초벌칠 도포막 위에 상기 배기관 및 상기 작업장치로부터 나오는 유성의 오염물질을 수막을 따라 유하시키는 친수성 도료를 도포함으로써 친수성막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식 건설기계.
  15. 자주 가능한 주행체와;
    상기 주행체상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선회체와;
    상기 선회체상에 기기커버로 덮어 설치되고, 배기가스를 상기 기기커버의 위쪽으로 배출하는 배기관을 가지는 내연기관과;
    상기 선회체에 설치되어 운전실을 형성하는 캐브와;
    상기 선회체에 부앙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장치를 구비한 선회식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기 캐브의 외표면에 도료를 도포함으로써 초벌칠 도포막을 형성하고, 이 초벌칠 도포막 위에 상기 배기관 및 상기 작업장치로부터 나오는 유성의 오염물질을 수막을 따라 유하시키는 친수성 도료를 도포함으로써 친수성막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식 건설기계.
  16. 자주 가능한 주행체와;
    상기 주행체상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선회체와;
    상기 선회체상에 기기커버로 덮어 설치되고, 배기가스를 상기 기기커버의 위쪽으로 배출하는 배기관을 가지는 내연기관과;
    상기 선회체에 부앙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장치를 구비한 선회식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기 기기커버를 구성하는 강판의 외표면에 도료를 도포함으로써 초벌칠 도포막을 형성하고, 이 초벌칠 도포막 위에 상기 배기관 및 상기 작업장치로부터 나오는 유성의 오염물질을 수막을 따라 유하시키는 친수성 도료를 도포함으로써 친수성막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식 건설기계.
  17. 자주 가능한 주행체와;
    상기 주행체상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선회체와;
    상기 선회체상에 기기커버로 덮어 설치되고, 배기가스를 상기 기기커버의 위쪽으로 배출하는 배기관을 가지는 내연기관과;
    상기 선회체의 앞쪽에 부앙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장치와;
    상기 선회체의 뒤쪽에 설치된 카운터 웨이트를 구비한 선회식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외표면에 도료를 도포함으로써 초벌칠 도포막을 형성하고, 이 초벌칠 도포막 위에 상기 배기관 및 상기 작업장치로부터 나오는 유성의 오염물질을 수막을 따라 유하시키는 친수성 도료를 도포함으로써 친수성막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식 건설기계.
  18. 선회 프레임상에 설치되고, 전면판, 후면판, 좌,우의 측면판 및 상면판을 가지는 캐브커버에 의해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선회식 건설기계에 사용하는 캐브에 있어서,
    상기 캐브커버 중 적어도 전면판, 후면판, 좌, 우의 측면판에는 도료를 도포함으로써 초벌칠 도포막을 형성하고, 이 초벌칠 도포막 위에 유성의 오염물질을 수막을 따라 유하시키는 친수성 도료를 도포함으로써 친수성막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식 건설기계에 사용하는 캐브.
  19. 선회 프레임상에 설치되고, 적어도 좌, 우의 양측에 위치하는 좌, 우의 측면판, 상기 각 측면판의 상단측에 설치된 상면판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물로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선회식 건설기계에 사용하는 기기커버에 있어서,
    상기 건물을 형성하는 각 판 중 적어도 상기 좌, 우의 측면판에는 도료를 도포함으로써 초벌칠 도포막을 형성하고, 이 초벌칠 도포막 위에 유성의 오염물질을 수막을 따라 유하시키는 친수성 도료를 도포함으로써 친수성막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식 건설기계에 사용하는 기기커버.
  20. 선회 프레임상에 설치되어, 적어도 전면, 후면, 상면 및 하면을 가지는 질량체에 의하여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선회식 건설기계에 사용하는 카운터 웨이트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 중 적어도 후면에는 도료를 도포함으로써 초벌칠 도포막을 형성하고, 이 초벌칠 도포막 위에 유성의 오염물질을 수막을 따라 유하시키는 친수성 도료를 도포함으로써 친수성막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식 건설기계에 사용하는 카운터 웨이트.
KR10-1999-7007566A 1997-12-22 1998-12-02 선회식 건설기계 및 그 건설기계에 사용하는 캐브, 기기커버 및 카운터 웨이트 KR1003802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6579397 1997-12-22
JP9-365793 1997-12-22
PCT/JP1998/005437 WO1999032734A1 (fr) 1997-12-22 1998-12-02 Pelleteuse a corps rotatif, cabine, couverture d'equipement et contrepoids pour la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507A KR20000075507A (ko) 2000-12-15
KR100380299B1 true KR100380299B1 (ko) 2003-04-16

Family

ID=18485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566A KR100380299B1 (ko) 1997-12-22 1998-12-02 선회식 건설기계 및 그 건설기계에 사용하는 캐브, 기기커버 및 카운터 웨이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94212B1 (ko)
EP (1) EP0964103A1 (ko)
JP (1) JP3167733B2 (ko)
KR (1) KR100380299B1 (ko)
CN (1) CN1085760C (ko)
WO (1) WO19990327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2082A (ja) * 2000-03-17 2001-09-26 Mazda Motor Corp 塗膜処理方法
KR100812273B1 (ko) * 2003-09-09 2008-03-13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건설기계의 캐브
US7290829B2 (en) * 2004-06-29 2007-11-06 Kubota Corporation Working vehicle with a cab
JP2007107291A (ja) * 2005-10-14 2007-04-26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保護部材の取付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作業機械
US20070145759A1 (en) * 2005-12-28 2007-06-28 Timberpro Inc. Mobile device for handling material
SE529537C2 (sv) * 2006-01-17 2007-09-04 Volvo Lastvagnar Ab Anslutningsenhet för en lastbil
JP4247239B2 (ja) * 2006-03-13 2009-04-02 ヤンマー株式会社 掘削作業機
US7699328B2 (en) * 2007-07-16 2010-04-20 Timberpro Inc. Retractable step for cab of mobile machine
US8434795B2 (en) * 2007-08-02 2013-05-07 Saf-T-Cab, Inc. Dual door release handle
US20090084621A1 (en) * 2007-09-27 2009-04-02 Giovannini Mario R Rack-mounted service center having separately removable housing
US8070170B2 (en) * 2007-11-12 2011-12-06 Timberpro, Inc. Tilt device for a material handling machine
JP5706110B2 (ja) * 2010-07-29 2015-04-22 プレス工業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ャブフレーム構造
US9587377B2 (en) 2015-02-06 2017-03-07 Harnischfeger Technologies, Inc. Raised counterweight for a mining machine
DE102015120650B4 (de) 2015-11-27 2020-01-16 Tenwinkel Gmbh & Co. Kg Betonballastelement für ein Nutzfahrzeug, eine Baumaschine, einen Kran oder eine Maschinenbaukonstruktion und ein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11882777B2 (en) 2020-07-21 2024-01-30 Osmundson Mfg. Co. Agricultural sweep with wear resistant coat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7646A (ja) * 1995-03-30 1996-10-15 Toto Ltd 防汚性部材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632A (en) * 1976-07-13 1978-01-26 Kowa Butsusan Kk Combined elastic paint of synthetic resin
US4396672A (en) * 1982-02-08 1983-08-02 E. I. Du Pont De Nemours & Co. Substrate having a pigmented color coat and a clear coat of a _composition of an acrylic, polyester and a melamine resin
US4596724A (en) * 1984-05-15 1986-06-24 Marine Shield Corp. Anti-fouling coating composition, process for applying same and coating thereby obtained
US5998200A (en) * 1985-06-14 1999-12-07 Duke University Anti-fouling methods using enzyme coatings
JPS62115073A (ja) * 1985-11-13 1987-05-26 Nippon Seika Kk 除染用剥離性塗料
JPH0677744B2 (ja) * 1986-01-24 1994-10-05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水処理用▲ろ▼材
JPS63242381A (ja) * 1987-03-31 1988-10-07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改良された重防食塗装方法
JPH076217B2 (ja) * 1987-10-09 1995-01-30 日立建機株式会社 全旋回式作業機
US5016721A (en) * 1987-10-09 1991-05-21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Full-turn type working machine
JPH01115968A (ja) * 1987-10-29 1989-05-09 Sanyo Chem Ind Ltd 艶消し塗装剤
DE3839937A1 (de) * 1988-11-26 1990-05-31 Henkel Kgaa Gleitlack fuer elastomerteile
JP2777190B2 (ja) * 1989-05-18 1998-07-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複合塗膜
US5985454A (en) * 1990-02-05 1999-11-16 Sermatech International Incorporated Anti-fouling coating for turbomachinery
EP0460919A3 (en) * 1990-06-05 1993-04-28 Nippon Paint Co., Ltd. Process for exposing a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to light
JPH0516796U (ja) * 1991-08-15 1993-03-02 小松メツク株式会社 産業車両等のカウンタウエイト
AU640081B2 (en) * 1991-12-26 1993-08-12 Shinko Jyuki Co., Ltd Working machine
JPH0747329A (ja) * 1993-08-04 1995-02-21 Toyo Ink Mfg Co Ltd 親水処理を施した金属基材
JPH0753661A (ja) * 1993-08-11 1995-02-28 Toyo Ink Mfg Co Ltd 水性ポリウレタン及びそれを含有する水性樹脂組成物
JPH07166100A (ja) * 1993-12-16 1995-06-27 Asahi Corp 水性エマルジョン系塗料
JP3421677B2 (ja) * 1994-06-16 2003-06-30 株式会社アイジー技術研究所 耐汚染性外壁構造
JP3418694B2 (ja) * 1994-06-16 2003-06-23 株式会社アイジー技術研究所 耐汚染性外壁材
JPH084246A (ja) * 1994-06-17 1996-01-09 Ig Tech Res Inc 耐汚染性外壁材
US5736249A (en) * 1994-08-16 1998-04-07 Decora, Incorporated Non-stick polymer-coated articles of manufacture
JP3062917B2 (ja) * 1994-09-01 2000-07-12 日本ペイント株式会社 加水分解型金属含有樹脂および防汚塗料組成物
BR9607868A (pt) * 1995-03-20 1998-06-30 Toto Ltd Espelho lente e membro foliar transparente com antiebaçamento compósito com uma superfície hidrofílica processo de antiembaçamento para evitar que um espelho uma lente ou um membro foliar transparente fiquem embaçados ou turvados com condensado de umidade e/ou gotículas de água aderentes processos para tornar hidrofílica a superfície de um substrato para limpar um substrato para manter limpa a superfície de um substrato posicionado em ambientes externos para evitar o crescimento de gotículas de ague aderentes sobre um substrato e para preparar um espelho uma lente e um membro foliar transparente comantiembaçamento e um composito auto limpan te e com uma superficie hidrofilica e vidraça com antiembaçamento
US5998541A (en) * 1995-06-14 1999-12-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inishing agent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3225793B2 (ja) * 1995-06-16 2001-11-05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高親水性塗料
JPH0988125A (ja) * 1995-07-20 1997-03-31 Komatsu Ltd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ェイ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276062B2 (ja) 1995-12-19 2002-04-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塗膜表面改質方法
EP0781797A3 (en) * 1995-12-28 1999-02-10 Nippon Paint Co., Ltd. Heat-curable, water-dispersible resin composition, production thereof, water-based paint composition, method of coating and coated article
US6048910A (en) * 1997-02-06 2000-04-11 Shin-Etsu Chemical Co., Ltd. Coating compositions, hydrophilic films, and hydrophilic film-coated articles
EP0863191A3 (en) * 1997-03-05 1999-01-27 Nippon Paint Co., Ltd. Raindrop fouling-resistant paint film, coating composition, film-forming method, and coated article
US6170588B1 (en) * 1997-06-03 2001-01-09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Revolving construction machine
JP3384284B2 (ja) * 1997-06-09 2003-03-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親水性被膜、これを備えた親水性基体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US5931247A (en) * 1997-11-26 1999-08-03 Peterson; Robin A. Forest harvester methods and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7646A (ja) * 1995-03-30 1996-10-15 Toto Ltd 防汚性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40820A1 (en) 2002-04-11
KR20000075507A (ko) 2000-12-15
CN1246904A (zh) 2000-03-08
US6394212B1 (en) 2002-05-28
EP0964103A1 (en) 1999-12-15
CN1085760C (zh) 2002-05-29
WO1999032734A1 (fr) 1999-07-01
JP3167733B2 (ja) 2001-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0299B1 (ko) 선회식 건설기계 및 그 건설기계에 사용하는 캐브, 기기커버 및 카운터 웨이트
WO2015072447A1 (ja) 車両用付着物除去装置
CN108396695A (zh) 一种道路清洁车
US8596705B2 (en) Hydrophobic and oleophobic coatings on trucks
CN101291749A (zh) 从暴露表面上分离物质的方法
CN107151959A (zh) 一种训练学校场地路面施工工艺
CN210561926U (zh) 一种公路标线清洗机
US1540743A (en) Method of cleaning automobiles
KR102530160B1 (ko) 가드레일 도장 시스템
JPH11181830A (ja) 建設機械並びに該建設機械に用いるトラックフレームおよびカウンタウエイト
CN213925775U (zh) 一种市政道路桥梁喷洒装置
WO2020153398A1 (ja) 建設機械
Albrecht¹ Corrosion control of weathering steel bridges
JP3886674B2 (ja) 防音パネル
Dolling et al. Weathering steel bridges
CN117947731A (zh) 一种港口运输轨道清洗装置
JPH0641692B2 (ja) 水底面の覆砂装置
JP2000034703A (ja) 耐候性鋼橋梁
DE102022103118A1 (de) Multifunktionales amphibisches Mehrzweckfahrzeug
SU127842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краски поверхности
SNYDER et al. NATIONAL COOPERATIVE HIGHWAY RESEARCH PROGRAM REPORT
Gumtz Restoration of beaches contaminated by oil
JPS6251149B2 (ko)
Fraser Painting of Railroad Bridges and Structures
JP2002105987A (ja) 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