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8584B1 - 붐의연장,격납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붐의연장,격납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8584B1
KR100378584B1 KR1019960707416A KR19960707416A KR100378584B1 KR 100378584 B1 KR100378584 B1 KR 100378584B1 KR 1019960707416 A KR1019960707416 A KR 1019960707416A KR 19960707416 A KR19960707416 A KR 19960707416A KR 100378584 B1 KR100378584 B1 KR 100378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hook
winch
extension
bu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7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유키 무카이노
케이이찌 목까
마사노리 이카리
미노루 와다
Original Assignee
고마츠 멕쿠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589595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7858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고마츠 멕쿠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고마츠 멕쿠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8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85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66C23/702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with a jib extension bo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움의 연장부분의 격납방법 및 장치로서, 훅이 제2부움에 확실하게 결합되어서, 와이어로우프의 느슨해짐이나 지나친 당김이 없으므로, 운전실에서의 조작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훅(22)을 제2부움(20)에 결합하는 결합수단(34)과, 유압구동윈치(50)의 구동유압의 저압릴리이프수단(54)과, 윈치(50)의 저속으로 감아올리는 작동의 유지수단(73) 및 윈치(50)와 훅(22) 등을 연결하는 와이어로우프(23)와 결합하는 쉬브(14) 등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부움의 연장부분의 격납방법 및 장치
종래의 크레인차의 구성 및 작동에 관하여, 본 발명에 관한 도 13∼도 18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크레인차는, 도 13 및 도 1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1)에는 제1부움(2)이 승강자재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부움(2)의 선단에는, 회전브레킷(10)이, 지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방향으로 배설된 축(11)에 의하여, 회동자재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회전브래킷(10)에는, 제2부움(20)이 핀(12)에 의하여, 승강자재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는, 제2부움(20)을 제1부움(2)의 측면으로 격납함과 아울러, 아우트리거(4)를 차체(1)에 격납하여, 주행기능한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제2부움(20)에 배설되어서 하물을 매달은 훅(5),(22)은, 차체(1)에 적재된 윈치(도면에 표시하지 않음)에 연결된 와이어로우프(6),(23)에 의하여, 매달아 두게된다. 또 주행상태에 있어서, 와이어로우프(6),(23)는 윈치에 의하여 감아 올리게 되어 있고, 훅(5),(22)은 결합된 상태로 되어있다.
다음에, 제2부춤(20)을 격납상태로부터 연장되게 하여, 매다는 작업을 가능 상태로 하는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도 1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아우트리거(4)를 연장시켜서, 다음에 제1부움(2)의 제1부움실린더(3)를 신장하여 기립시킨 후에, 제1부움(2)을 화살표 방향으로 약 1m신장한다.
(2) 신장후, 도 1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2부움실린더(21)를 단축하여, 제2부움(20)을 하강시킨다.
(3) 다음에, 도 1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축(1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브래킷(10)을 약 180°회전시켜, 제2부품(20)의 길이방향의 축심과 제1부움(2)의 길이방향의 축심 등을 일치시킨다(아래에서는, 연장행정 이라함).
(4) 일치시킨 후, 제1부움(2)이 다른측으로 설치한 구멍(9)과, 회전브래킷(10)의 다른측으로 설치한 구멍(17)등이 일치된 위치에서, 연결핀(18)을 삽입한다. 또한, 격납상태에 있어서의 구멍(9),(17) 및 연결핀(18)을 도 14에 표시한다.
(5) 다음에, 도 1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2부움실린더(21)를 신장하여, 제2부움(20)을 기립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연장작업이 완료되고, 매다는 작업이 가능상태로 된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혹은, 제2부움을 제1부움에 병렬로 격납된 상태에서, 윈치의 감아올림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기립행정 및 연장부분의 행정의 도중에 있어서, 와이어로우프가 느슨해지거나, 지나치게 당겨지거나하는 것이 있다. 예컨대, 도 16에 표시하는 연장부분의 행정에 있어서, 와이어로우프에 느슨해짐이 발생하여, 도 19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훅(5),(22)이 매달리게 된다. 이 때문에 위치(J)나 위치(K)에서는, 간섭이 발생하며, 위치(L)이나 위치(M)에서는, 와이어로우프(6),(23)가 과도하게 구부러져서, 킹크(kink)의 발생이 있다. 또, 구간(N)에서는, 와이어로우프(6)의 비틀림이나 혼란한 감기가 발생한다고 하는 불편함이 있다. 더욱이, 도 15와 같은 훅의 격납상태에서, 제1부움(2)을 신장하는 경우, 와이어로우프에 과대한 장력이 발생하여 와이어로우프가 절단하거나, 부움 구조부품, 쉬브 등이 파손하거나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상기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는, 작업자가 각 훅(5), (22)과 와이어로우프(6),(23) 등을 제2부움(20)으로부터 떼어내고, 일련의 연장부분의 작업을 실시한 후에 작업자가 와이어로우프(6),(23)를 재차 세트하며, 각훅(5),(22)에 그 와이어로우프(6),(23)를 결합하여, 매다는 작업을 가능상태로 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 경우, 작업자는, 운전석으로부터 내리고, 발판 등을 이용하여 각 부움위로 올라가서, 와이어로우프(6),(23)를 제2부움(20)이나 제1부움(2)에 세트하는 등, 위험작업, 어렵고 힘든 작업을 강요하게 된다. 그 때문에, 운전실내에서, 모든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방법 및 장치가 요구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부움의 연장부분의 격납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2부움을 제1부움의 측면으로 병설하여 격납하도록 한 크레임차의 제2부움의 연장부분의 격납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제2부움 선단의 훅 장착부의 측면도.
도 2는, 실시예에 관한 제2부움 선단 근방의 다른 훅 장착부의 측면도.
도 3은, 실시예에 관한 제2부움 격납상태에 있어서의 제1부움과 회전 브래킷과의 접속부의 평면도.
도 4는, 실시예에 관한 제2부움의 연장부분의 상태의 주요부의 평면도.
도 5는, 실시예에 관한 부움 및 훅의 구동윈치 조작계의 제1실시예의 유압회로도.
도 6은, 윈치조작계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인터로크장치의 구성도.
도 7은, 윈치조작계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연장부분의 작업의 플로우차아트.
도 8은, 윈치조작계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인터로크장치의 작동의 플로우차아트.
도 9는, 실시예에 관한 부움 및 축의 구동윈치조작계의 제2실시예의 주요부의 유압회로도.
도 10은, 실시예에 관한 부움 및 훅의 구동윈치 조작계의 제3실시예의 주요부의 유압회로도.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크레인차로서, 제1 및 제2부움에 훅을 장착하여 제2부움이 격납자세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12는, 도 11의 크레인차의 제2부움의 연장부분의 도중의 자세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복수의 훅을 제2부움에 장착한 크레인차의 측면도.
도 14는, 도 13의 크레인차의 평면도.
도 15 내지 도 18은, 도 13의 크레인차의 부움의 연장부분의 작업에 있어서의 행정도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5는, 제1행정의 측면도.
도 16은, 제2행정의 측면도.
도 17은, 제3행정의 측면도.
도 18은, 제4행정의 측면도.
도 19는, 종래기술에 관한 크레인차의 훅용 와이어로우프의 불편함의 설명도.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부움의 연장부분의 격납작업시, 와이어로우프에 느슨해짐 이나 과대한 장력을 발생하지 않고, 훅을 제2부움에 결합한 상태에서, 제2부움의 연장부분의 격납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부움의 연장부분의 격납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부움의 연장부분, 격납부분은, 짐을 매다는데 사용하는 훅과, 훅을 감아 올렸다 또는 감아내렸다 하는 유압구동윈치 등을 구비하며, 승강자재하게 장착되어서 다단으로 신축하는 제1부움의 선단에, 제2부움을 승강자재하게 장착하고, 제2부움이 제1부움의 측면에 병렬로 격납되는 크레인차의 부움의 연장부분의 격납방법에 있어서, 제2부움의 연장부분을 격납할 때, 유압구동 윈치가 적정한 토오크로 되는 낮은 토오크이고, 게다가 적정속도로 되는 저속의 감아올리는 작동을 유지하므로서, 훅이 항상, 제2부움에 결합하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압구동윈치에 의하여, 훅이 제2부움에 확실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운전실내에서 부움의 연장부분의 격납작업이 가능하다. 또, 와이어로우프의 느슨해짐이 없으므로, 훅과 다른 부재와의 간섭이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와이어로우프의 장력이 적정하게 되므로, 부움구조부품, 와이어로우프 등의 파손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부움의 연장부분의 격납장치는, 짐을 매다는데 사용하는 훅과, 훅을 감아 올렸다 또는 감아내렸다 하는 유압구동윈치 등을 구비하며, 승강자재하게 장착되어서 다단으로 신축하는 제1부움의 선단에, 제2부움을 승강자재하게 장착하고, 제2부움이 제1부움의 측면에 병렬로 격납되도록 한 크레인차의 부움의 연장부분의 격납장치에 있어서, 훅을 제2부움에 결합하는 결합수단과, 유압구동윈치의 구동유압의 저압 릴리이프수단과, 유압구동윈치의 감아올림 작동을 유지하는 유지수단과, 제2부움에 수평하게 장착되어서, 유압구동윈치와 훅 등을 연결하는 와이어로우프와 결합하는 쉬브 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훅은 격납스위치와 제어장치 등을 구비하고, 훅의 격납스위치 작동시, 제어장치는, 매다는 하중이 소정량이상인 경우, 유압구동윈치가 훅을 감아 올릴 때 사용하는 유압모우터의 압력을 고압으로 유지하는 지령, 또는 훅의 격납스위치 작동의 비예자지령을 출력한다고 해도 좋다. 더욱이, 훅은 복수라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한 방법의 발명과 마찬가지의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또, 수평하게 장착되는 쉬브에 의하여, 격납시의 와이어로우프가 ∪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것으로, 훅과 윈치와는, 무리없이 와이어로우프로 연결된다. 게다가, 훅이 제2부움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와이어로우프는 적절한 긴장상태가 유지되어서, 느슨해지는 일이 없다. 또, 제어장치가, 매다는 하중에 대응하여 지령을 출력하므로, 훅의 격납상태로 되어있지 않는 경우에는, 훅의 격납스위치를 ON으로 하여도, 유압구동윈치가 감아올리는 작동을 하지 않으므로, 안전하다. 더욱이, 항상 부움에 결합가능한 복수의 훅을 장착하는 경우, 예컨대 제2부움에 2개, 혹은 제1 및 제2부움에 각 1개 장착하는 경우, 매다는 작업이 가능한 대상 및 범위가 확대된다.
본 발명에 관한 부움의 연장부분의 격납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서 아래에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도 13 및 도 14에 표시하는 크레인차로서, 본 발명을 적용한 예이다.
도 1에 있어서, 제2부움(20)의 선단에는 쉬브브래킷(24)이 고착되며, 2개의 쉬브(25),(26)가 장착되어 있다. 쉬브브래킷(24)의 선단에는, 브래킷(30)이 핀(31)에 의하여 요동자재하게 장착되어 있고, 이 브래킷(30)의 하면(32)에는, 훅(22)이 배설되어 있다.
훅(22)과 유압구동윈치(50)(도 5참조)는, 쉬브(25),(26)를 개재하여 와이어로우프(23)에 의하여 연결하고 있다.
유압구동윈치(50)(이하, 윈치(50)라고 함)를 작동하여, 와이어로우프(23)를화살표(A)의 방향으로 끌어당기면, 훅(22) 및 브래킷(30)은 일체로 되어서, 핀(31)을 중심으로서 화살표(B)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가는실선으로 표시하는 위치에 있어서, 브래킷(30)에 설치된 스토퍼(33)는, 쉬브브래킷(24)에 설치한 스토퍼(27)에 접촉되며, 결합상태로 된다. 즉, 스토퍼(27),(33)가, 훅(22)의 결합수단(34)을 구성하고 있다.
도 2에 있어서, 제2부움(20)의 측면에는 쉬브(35)가 쉬브브래킷(36)에 의하여, 또, 제2부움(20)의 하면에는 쉬브(37)가 쉬브브래킷(38)에 의하여, 각각 장착되어 있다.
쉬브브래킷(38)의 선단에는, 브래킷(40)이 핀(41)에 의하여 요동자재하게 장착되며, 브래킷(40)의 하면(42)에는, 훅(5)이 배설되어 있다. 훅(5)의 쉬브(46)와 윈치(50)(도 5참조)는, 쉬브(35),(37)를 개재하여 와이어로우프(6)에 의하여 연결되고, 와이어로우프(6)의 종단은, 제2부움(20)의 하면에 설치한 브래킷(43)에 연결하여 있다.
윈치(50)를 작동하여 와이어로우프(6)를 화살표(C)의 방향으로 끌어당기면, 훅(5) 및 브래킷(40)은 일체로 되어서, 핀(41)을 중심으로서, 화살표(D)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가는실선으로 표시하는 위치에 있어서, 브래킷(40)에 설치된 스토퍼(44)는, 쉬브브래킷(38)에 설치된 스토퍼(45)와 접촉하며, 결합상태로 된다. 즉, 스토퍼(44),(45)가, 훅(5)의 결합수단(47)을 구성하고 있다.
도 3에 있어서, 제1부움(2)의 선단부움(2a)의 선단에는, 좌우로브래킷(7),(8)이 고정,설치되며, 한측의 브래킷(8)에는, 회전브래킷(10)의 한측이 축(11)에 의하여 회동자재하게 장착되어 있다. 회전브래킷(10)에는, 회전실린더(13)가 핀(13a)에 의하여 회동자재하게 설치되고, 또, 회전실린더(13)의 다른끝의 피스톤로드에는, 레버(13b)가 배설되어 있다. 레버(13b)는, 회전브래킷(10)에 고정,설치된 핀(13c)에 회동자재하게 설치되고, 한쪽끝에는 상기한 피스톤로드가, 다른끝에는 링크(13d)가 회동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링크(13d)는, 핀(13e)을 개재하여, 선단부움(2a)에 회동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회전브래킷(10)은, 회전실린더(13)의 신축에 의하여, 핀(13e)에 대해서 핀(13a)에 회전력이 부여되며, 축(11)을 중심으로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회전브래킷(10)은, 회전실린더(13)의 신장시에는, 화살표(E)의 방향으로 회동되며, 회전실린더(13)의 수축시에는, 화살표(E')의 방향으로 회동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핀(13c)은, 후술하는 쉬브(14)의 축심과 일치하고 있다.
또, 회전브래킷(10)의 선단에는, 제2부움(20)이 핀(12)에 의하여 요동자재(도면의 수직방향)하게 장착되어 있다. 회전브래킷(10)의 한쪽 윗면에는, 제2부움(20)과 수평하게 쉬브(14)가 장착되어 있고, 쉬브(14)에는, 훅(22)과 윈치(50) 등을 접속하는 와이어로우프(23)가 결합하고 있다. 즉, 쉬브(14)는, 회전브래킷(10)의 회전방향(E)과 와이어로우프(23)에 결합하고 있다. 즉, 쉬브(14)는, 회전브래킷(10)의 회전방향(E)과 와이어로우프(23)에 결합하는 홈 등이 평행하게 되도록, 회전브래킷(10)의 한쪽 윗면에 배설되어 있다. 제1부움(2)의 선단 윗면 및 회전브래킷(10)의 다른측 윗면에는, 쉬브(15) 및 쉬브(16)가, 쉬브(14)와 마찬가지로 수평하게 장착되며, 쉬브(15),(16)에는, 훅(5)과 윈치(50) 등을 접속하는 와이어로우프(6)가 결합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회전실린더(13)를 신장하면, 회전브래킷(10)은, 축(11)을 중심으로서 화살표(E)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2점쇄선의 위치로 다가온다. 더욱이 회전실린더(13)를 신장하면, 회전브래킷(10)은, 도 4에 표시하는 1바와 같이, 2점쇄선의 위치를 거쳐서, 실선의 위치에 이른다. 이 상태에서, 제1부움(2)의 다른측의 브래킷(7)에 설치한 구멍(9)과, 회전브래킷(10)의 다른측으로 설치한 구멍(17)등이 일치한다. 이 일치된 상태에서, 연결핀(18)을 삽입하고, 제1부움(2)과 회전브래킷(10) 등을 연장부분의 위치에서 고정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관한 부움 및 훅의 구동윈치조작계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유압회로도로서, 제2부움(20)의 훅(22)용 윈치조작계 및 부움신축의 조작계만을 표시하고 있다. 훅(5)용 윈치조작계에 대해서는, 훅(22)용 윈치조작계와 마찬가지로 생략되어 있다. 윈치(50)는, 드럼(51), 유압모우터(52) 및 감아올리는 회로(53)를 구비하고 있다. 참조부호(60)은 조작용 파일럿밸브이고, 참조부호(61)은 윈치조작밸브, 참조부호(62)는 부움 신축조작밸브, 참조부호(63)은 파이럿용 펌프이다. 윈치용 변환밸브(64)의 파일럿회로는, 윈치조작밸브(61)에 접속하며, 부움신축실린더용 변환밸브(65)의 파일럿 회로는, 부움신축조작밸브(62)와 접속하고 있다.
유압펌프(66)의 토출측은, 부움신축실린더용 변환밸브(65) 및 윈치용 변환밸브(64)를 거쳐서, 각각 부움신축실린더(67) 및 유압모우터(52)와 접속하고 있다. 참조부호(68)은 고압유압릴리이프밸브이고, 참조부호(69)는 압력보상밸브이다. 유압모우터(52)의 와이어로우프(23)의 감아올리는 회로(53)에 접속된 드레인회로(56)에는, 전자변환밸브(55) 및 저압릴리이프밸브(저압릴리이프수단)(54)가 설치되어 있다.
윈치용 변환밸브(64)의 감아올림측 파일럿회로(70)와 파일럿용 펌프(63) 등을, 샤틀밸브(71)를 개재하여 접속하는 회로(72)에는, 전자비례밸브(유지수단)(73)가 설치되어 있다. 또, 감아올림회로(53)에는, 카운터밸런스밸브(57)가 배설되어 있다. 전자변환밸브(55) 및 전자비례밸브(73)는, 도면에 표시하지 않는 배선에 의하여, 후술하는 제어장치(80)(도 6참조)에 접속되어 있다.
도 6는, 상기한 조작계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인터로크 장치의 구성을 표시하고, 제어장치(80)는, 운전석에 설치된 주행스위치(81), 훅의 격납스위치(82) 및 작업스위치(83)와 접속하고 있다. 또, 제1부움승강실린더의 압력센서(84), 부움길이센서(85) 및 부움각센서(86)는, 제어장치(80)에 접속되어 있고, 이들로부터 매다는 하중이 연산된다.
또, 회전브래킷(10)과 제1부움(2)의 다른측의 브래킷(7) 등을 접속하는 연결핀(18), 즉, 회전브래킷(10)의 다른측의 구멍(17)과 브래킷(7)의 구멍(9)등이 일치했을 때에, 삽입되는 연결핀(18)에는, 삽입을 검출하는 위치검출센서(87)가 배설되어 있다.
이 위치검출센서(87)는, 제어장치(80)와 접속하고 있다. 또, 제어장치(80)는, 각 스위치 및 각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받아서, 저압릴리이프밸브(54)(도 5참조)의 회로를 개폐하는 전자변환밸브(55), 및 전자비례밸브(73)에 제어신호를 발신한다.
이러한 윈치조작계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부움의 연장부분의 방법에 대하여, 도 7에 표시하는 플로우차아트에 따라서 설명한다. 차량은, 당초, 도 1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2부움(20)을 격납한 주행가능 상태에 있는 것으로 한다.
(1) 스텝 (101)에서, 작업자는 작업스위치(83)를 ON으로 하고, 아우트리거스위치를 조작하여 아우트리거(4)를 연장하게 한다.
(2) 스텝 (102)에서, 작업자는 훅의 격납스위치(82)를 ON으로 한다. 제어장치(80)는 제어신호를 발신하고, 도 5에 표시하는 전자변환밸브(55)를 위치(55b)로 변환하여, 저압릴리이프밸브(54)에 의하여, 유압모우터(52)의 감아올림회로(53)에 작용하는 작동유압을 낮은 압력(Pa)으로 한다. 동시에 전자비례밸브(73)를 작동시켜서 파일럿 압력을 제어하며, 윈치용 변환밸브(64)를 감아올림위치(64b)로 제어한다. 감아올림위치(64b)로 변환하면, 변환밸브(64) 내의 교축부(58)을 거쳐서, 압력보상밸브(69)의 위치(a)로 작용하는 압력은, 저압릴리이프밸브(54)에 의하여 압력(Pa)으로 된다. 또, 유압펌프(66)로부터의 오일은, 교축(58)에 의하여 축소되어서 소정의 높은 압력(Pa+ΔP)으로 되며, 파일럿 배관(59)을 거쳐서, 압력보상밸브(69)의 위치(b)로 작용한다. 이것에 의하여, 위치(b)에 작용하는 압력(Pa+ΔP)과 위치(a)에 작용하는 압력(Pa)과의 차압(ΔP)(교축부(58)의 차압)에 대하여, 탄력이 균형을 이루려고 하므로, 얍력보상밸브(69)는, 위치(69a)의 방향으로 이동하려고한다. 이 때문에, 유압펌프(66)로부터의 오일은, 교축부(58)의 개구면적에 따라서, 감아올림회로(53)에 분배유량이 결정된다. 이것에 의하여 윈치(50)를 구동하는 유압모우터(52)에는, 항상 저압의 감아올리는 압력이 작용한다. 게다가, 일정한 낮은 유량이, 감아올리는 회로(53)에 공급된다. 훅(22)이 제2부움(20)에 결지된 상태에서, 외이어로우프(23)는 항상 일정장력을 유지한다. 즉, 윈치(50)는 항상 낮은 토오크, 저속 감아올림작동을 유지하고 있다.
(3) 스텝 (103)에서, 작업자는, 부움승강레버(도면에 표시하지 않음)를 조작하여, 도 1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1부움(2)을 기립시켜, 다음에 부움신축레버(도면에 표시하지 않음)를 조작하여, 제1부움(2)을 화살표방향으로 약 1m신장한다.
(4) 스텝 (104)에서, 상기한 신장후에, 작업자는, 제2부움실린더(21)를 단축하여, 도 1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2부움(20)을 하강시킨다.
(5) 스텝 (105)에서, 작업자는, 부움의 연장부분의 격납스위치를 연장시켜 ON으로 한다. 제2부움(20)은, 회전실린더(13)의 신장에 의하여, 훅(11)을 중심으로서 화살표(E)의 방향으로 회동하여, 즉 도1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브래킷(10)이 약 180°회동하여, 연장하게 한다.
(6) 스텝 (106)에서, 작업자는, 연결핀(18)을 삽입하여, 제1부움(2)과 회전브래킷(10)을 결합한다.
(7) 스텝 (107)에서, 작업자는, 부움승강레버를 조작하여, 도 1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2부움(20)을 기립시킨다.
(8) 스텝 (108)에서, 작업자는, 훅의 격납스위치(82)를 OFF로 하고, 윈치(50)는 낮은 토오크, 저속 감아올림을 해제하여, 연장부분의 작업을 완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장부분의 작업중, 항상 윈치(50)는 저압, 저속에서의 감아올리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한 각 행정의 도중, 예컨대 도 3 및 도 4에 표시하는 제2부움(20)의 연장부분의 작업에 있어서도, 와이어로우프(23)는 항상 적절하게 긴장되므로, 느슨해짐이 발생하지 않으며, 킹크나 혼란한 감기의 두려움은 없다. 따라서, 훅(22)을 제2부움(20)에 결합한 상태에서, 부움의 연장부분의 격납이 가능하고, 게다가 저압이며 저속이다. 즉, 와이어로우프(23)에 과대한 인장력이 작용하려고 해도, 저압릴리이프밸브(54)로부터 오일이 릴리이프하여, 와이어로우프(23)가 감겨나오게 되므로, 와이어로우프(23)의 파단이나 브래킷파손의 두려움이 없다. 게다가, 작업자는, 운전석에서, 쉽게 제2부움(20)의 연장부분의 격납작업을 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한 윈치조작계에 있어서의 인터로크의 작용에 대하여, 도 8의 플로우차아트에 따라서 설명한다.
(1) 스텝 (200)에서, 작업자는, 훅의 격납스위치(82)를 ON으로 한다.
(2) 스텝 (201)에서, 제어장치(80)는, 압력센서(84), 부움길이센서(85) 및 부움각센서(86)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매다는 하중을 연산하여, 매다는 하중이 소정량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소정량 이상의 경우에는, 매달아 올리는 작업중으로 판단하고, 스텝 (204)로 전진하며, 윈치(50)에 대하여 고압의 지령을 발신하든지, 혹은 훅의 격납스위치(82)에 대하여 비여자지령을 발신한다.
(3) 매다는 하중이 소정량 보다 작은 경우, 훅의 격납가능으로 판단하여, 스텝 (202)로 전진하며, 제어장치(80)는, 연결핀(18)으로 배설된 위치검출센서(87)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제1부움(2)과 제2부움(20)을 연결하는 연결핀(18)이 삽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연결핀(18)이 삽입되어 있지 않는 경우, 제2부움의 격납가능으로 판단하여 스텝 (205)로 전진하며, 제어장치(80)는, 윈치(50)에 대하여, 낮은 토오크, 저속으로 되돌려 감기의 지령을 발신한다.
(4) 연결핀(18)이 삽입되어 있는 경우, 매달아 올리는 작업중으로 판단하여 스텝 (203)으로 전진하며, 제어장치(80)는, 부움길이센서(85)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부움길이가 소정량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부움길이가 소정량 이상인 경우, 매달아 올리는 작업중으로 판단하여, 스텝 (204)로 전진한다.
(5) 부움길이가 소정량보다 작은 경우, 훅의 격납가능으로 판단하여 스텝 (205)으로 전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인터로크의 작용에 의하여, 매달아 올리는 작업중의 경우, 윈치(50)가 감아올리는 작용으로 되는 일은 없으므로, 제2부움의 연장부분의 작업의 안전은 확보된다.
또한, 제2부움(20)의 격납작업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작용이 발휘되지만,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관한 부움 및 훅의 구동윈치조작계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예의 유압회로의 주요부이고, 도 5와 달리하는 부분만 표시하고 있다.
즉, 유압모우터(52)에 접속된 드레인회로(56)에는, 전자변환밸브(55) 및 전자배례 릴리이프밸브(90)가 설치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변환밸브(55)가 제어장치(80)와 접속하고 있다. 또, 파일럿밸브(60)의 부움 신축조작밸브(62)는, 늘어난 측(P1)의 회로에, 압력스위치(91)를 보유하고, 축소측(P2)의 회로에, 압력스위치(92)를 설치하고 있고, 이들 압력스위치(91),(92)는, 제어장치(80)와 접속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훅의 격납스위치(82)를 ON으로 하면, 제어장치(80)는, 제어신호를 발신하여, 전자변환밸브(55)를 변환함과 아울러, 압력스위치(91) 또는 (92)로부터의 신호를 받는다. 그리고, 부움의 신축조작에 의하여, 전자비례릴리이프밸브(90)를 제어하여, 유압모우터(532)의 감아올리는 회로(53)의 압력을 제어한다. 결국, 부움의 신장시에, 전자변환밸브(90)를 저압으로 하고, 윈치(50)에 대하여, 낮은토오크에서 되돌림감기로 함과 아울러, 부움의 신장에 따라서, 훅(22)을 제2부움(20)에 결합한 상태에서, 와이어로우프(23)이 윈치(50)로부터 감겨나오게 되는 것을 허용한다. 한편, 부움의 단축시에는, 전자변환밸브(90)를 저압으로 함과 아울러 전자비례밸브(73)를 작동시켜, 유압구동윈치(50)를 저속으로 감아올리는 상태로 하므로서, 와이어로우프(23)를 휘어지는 일이 없이 항상 적절하게 긴장시키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관한 부움 및 훅의 구동윈치조작계의 제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예의 유압회로의 주요부이고, 도 5와 달리하는 부분만 표시하고 있다. 즉, 부움의 신축조작밸브(62)의 펌프회로(9)와 탱크회로(T) 등을 연결하는 회로상에, 전자비례밸브(93)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비례밸브(93)는, 부움의 신축조작밸브(62)에 파일럿회로의 공급압을 제어하여, 부움의 신축속도를 제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부움의 신장시는, 긴장하고 있는 와이어로우프(23)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있지 않음과 아울러, 부움의 단축시는, 윈치(50)의 감아올리는 속도가 부움의 단축속도에 급한대로 쓸 수 없게 발생하는 굽히는 현상을 방지하고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부움의 연장부분, 격납방법 및 장치에 관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했지만, 상기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제2부움(20)에 장착되는 훅(5)에 대해서는,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의하여 마차가지의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또, 복수의 훅의 장착위치는, 예컨대, 도 11 및 도 1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1부움에 훅(5)을 장착하며, 제2부움(20)에 훅(22)을 장착해도 좋다.
본 발명은, 제2부움의 연장부분의 격납작업시에, 훅이 제2부움에 확실하게 결합되어서, 와이어로우프의 느슨해짐이나 지나친 당김이 없으므로, 운전실에서의 조작이 가능함과 아울러, 와이어로우프의 킹크나 혼란한 감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부움의 연장부분, 격납방법 및 장치로서 유용하다.

Claims (8)

  1. 화물을 매다는 후크에 접속하는 와이어로프를 감아올리고, 내리는 유압구동원치(50)를 구비함과 아울러, 기복가능하게 장착된 다단으로 신축하는 제 1붐(2)의 선단에 제 2붐(20)을 기복가능하게 구비하며, 후크를 제 2붐(20)에 건 상태로, 제 1붐(2)의 축면으로부터 제 2붐(20)을 연장시키고, 또 역으로 제 1붐(2)의 측면에 제 2붐을 병렬로 격납하도록 한 크레임차의 연장, 격납방법에 있어서,
    제 2붐(20)의 연장 및 격납 시에 감아올리는 동작을 유지하는 전자비례밸브(73)에 의한 유압으로 유압구동윈치(50)를 와이어로프가 느슨해지지 않을 정도의 저토오크 감아올림 작동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의 연장, 격납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제 2붐(20)의 연장 및 격납 시에 감아올림 작동을 유지하는 전지비례밸브(73)에 의한 유압으로 유압구동윈치(50)를 저속 감아올림 작동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의 연장, 격납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후크 격납스위치(82)를 켰을 때, 매단 하중이 소정량을 초과하는 경우, 고압 릴리이프 밸브(68)에 의한 유압으로 유압구동윈치(50)를 감아 올리고, 내려서 구동시킨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의 연장, 격납방법.
  4. 화물을 매다는 후크에 접속하는 와이어로프를 감아 올리고 내리는 유압구동윈치(50)를 구비함과 아울러, 기복가능하게 장착된 다단으로 신축하는 제 1붐(2)의 선단에 제 2붐(20)을 기복가능하게 구비하며, 후크를 제 2붐(20)에 건 상태로 제 1붐(2)의 측면으로부터 제 2붐(20)을 연장시키고, 또 역으로 제 1붐(2)의 측면에 제 2붐(20)을 병렬로 격납하도록 한 크레임차의 붐의연장, 격납방법에 있어서,
    매다는 작업 중에 작동하는 고압릴리이프밸브(68)와는 별도로 제 2붐의 연장 및 격납 시에 와이어로프가 느슨해지지 않을 정도의 저압으로 작동하는 저압릴리이프밸브(54)를 유압구동윈치(50)의 감아올림 회로(53)에 구비하고,
    또한 윈치용 전환밸브(64)의 감아올림측 파일럿회로(70)와 파일럿용 펌프(63)를 셔틀밸브(71)를 거쳐서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회로(72)에 설치하여 감아올림 작동을 유지하는 전자비례밸브(73)와,
    전자비례밸브(73)를 작동시키는 훅격납스위치(8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의 연장, 격납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후크 격납스위치(82)를 켰을 때, 매단 하중이 소정량을 초과하는 경우는 고압 릴리이프 밸브(68)에 의한 유압으로 유압구동윈치(50)를 감아올리고, 내려서 구동시킨 상태로 하는 제어장치(8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의 연장, 격납장치.
  6. 화물을 매다는 후크에 접속하는 와이로프를 감아올리고, 내리는 유압구동윈치(50)를 구비하는 동시에, 기복가능하게 장착된 다단으로 신축하는 제 1붐(2)의 선단에 제 2붐(20)을 기복가능하게 갖추고, 훅크를 제 2붐(20)에 유지한 채 회전실린더(13)의 구동에 의해 제 1붐(2)의 측면으로부터 제 2붐(20)을 연장시키고, 또 역으로 제 1붐(2)의 측면에 제 2붐(20)을 병렬로 격납하도록 한 크레인차의 붐의 연장, 격납방법에 있어서,
    제 2붐(20)의 연장 시 및 격납 시에 회전실린더(13)을 구동시키고, 또한 연장 또는 격납 시 항상 유압구동윈치(50)를 와이어로프가 느슨해지지 않을 정도의 저토오크 감아올림 작동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의 연장, 격납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제 2붐(20)의 연장 및 격납 시에 유압구동윈치(50)를 저속 감아올림 작동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의 연장, 격납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훅격납스위치(82)를 켰을 때에 걸린 하중이 소정량을 넘을 때, 고압릴리이프밸브(68)에 의한 유압으로 유압구동윈치(50)를 감아올리고, 내려서 구동시킨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의 연장, 격납방법.
KR1019960707416A 1994-06-28 1995-06-26 붐의연장,격납방법및장치 KR1003785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69955 1994-06-28
JP16995594A JP3215577B2 (ja) 1994-06-28 1994-06-28 ブームの張り出し、格納方法及び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8584B1 true KR100378584B1 (ko) 2003-06-09

Family

ID=15895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7416A KR100378584B1 (ko) 1994-06-28 1995-06-26 붐의연장,격납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768274B1 (ko)
JP (1) JP3215577B2 (ko)
KR (1) KR100378584B1 (ko)
CN (1) CN1151147A (ko)
DE (1) DE69525842T2 (ko)
TW (1) TW355542U (ko)
WO (1) WO19960006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7664B1 (ko) * 1999-11-22 2002-03-12 김성수 컨테이너 크레인의 과부하 보호용 유압 시스템
CN102381630B (zh) * 2011-10-11 2013-09-04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起重机及其液压系统
JP6300694B2 (ja) * 2014-09-30 2018-03-28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CN105650048B (zh) * 2016-03-04 2018-09-18 柳州柳工液压件有限公司 先导控制阀组
CN106050771B (zh) * 2016-06-23 2017-12-15 徐州徐工挖掘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挖掘机多功能机具的液压回路
JP7326971B2 (ja) * 2019-07-30 2023-08-16 株式会社タダノ ブーム装置及びクレーン車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7396A (ja) * 1986-07-21 1988-02-05 株式会社タダノ 伸縮ブ−ムに継ぎ足されるジブ
JP2740035B2 (ja) * 1990-03-16 1998-04-1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ホイール式クレーンの操作装置
FR2661665B1 (fr) * 1990-05-03 1992-09-04 Ppm Sa Fleche de manutention comprenant une fleche principale et une fleche complementaire.
JPH0616389A (ja) * 1992-06-30 1994-01-25 Kobe Steel Ltd クレーンのジブ張出し、格納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1147A (zh) 1997-06-04
JP3215577B2 (ja) 2001-10-09
JPH0812269A (ja) 1996-01-16
EP0768274B1 (en) 2002-03-13
TW355542U (en) 1999-04-01
DE69525842D1 (de) 2002-04-18
EP0768274A1 (en) 1997-04-16
EP0768274A4 (en) 1997-06-04
WO1996000694A1 (fr) 1996-01-11
DE69525842T2 (de) 200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79978B1 (en) Drum tensio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 hoist wire rope
JP4186822B2 (ja) 移動式クレーン
KR100378584B1 (ko) 붐의연장,격납방법및장치
KR0182823B1 (ko) 이동식크레인의 윈치 과다감김시의 와이어로프 난권방지장치
US4610365A (en) Hoisting means including constant tension hoist wire
WO2005090225A1 (ja) ブーム式クレーンに用いられる荷物の地切装置
JP4939701B2 (ja) ブーム式クレーンを用いた荷物の地切り方法、および、装置
US4598829A (en) Hydraulic circuit for crane
JP2726239B2 (ja) ジブクレーンに於けるリヤポスト支持ケーブルの組付け方法
JP2001151469A (ja) タワークレーンの起伏装置
JP3315681B2 (ja) ブームの張り出し、格納方法及び装置
JP2003040580A (ja) ブーム作業機の破損防止装置
JP2518563B2 (ja) ホイ―ル式クレ―ンのフック格納装置
JPH10279289A (ja) 漂流物回収装置
JP2801835B2 (ja) バランスアーム機能を持つタワークレーン
JP2001048478A (ja) 移動式クレーンのウィンチ制御方法及びウィンチ制御装置
JP2595429B2 (ja) クレーンのブーム制御装置
JP3096005B2 (ja) フック格納装置
JPH0616389A (ja) クレーンのジブ張出し、格納装置
JPS6119195Y2 (ko)
WO2023176673A1 (ja) シーブ装置格納展開方法
JP3724980B2 (ja) リーダ式杭打機
JP2527877Y2 (ja) フック格納式クレーンにおけるフック格納安全装置
JPS6119193Y2 (ko)
JP3242227B2 (ja) クレーン用ワイヤロープの処理作業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