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3588B1 - 작업기계의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작업기계의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3588B1
KR100373588B1 KR10-2000-0011331A KR20000011331A KR100373588B1 KR 100373588 B1 KR100373588 B1 KR 100373588B1 KR 20000011331 A KR20000011331 A KR 20000011331A KR 100373588 B1 KR100373588 B1 KR 100373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rol
display
controller
abnorm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1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9584A (ko
Inventor
하야시시게키
나카다마키
나카지마데츠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10029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9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5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60K35/10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5Failure diagno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기계의 운전에 있어서 평상시에 작업자에게 알리는 통상정보와 작업기계의 동작상태의 이상에 관한 이상정보를 포함하는 통지정보를 생성·관리하는 컨트롤러와, 그 컨트롤러로부터 송신되어 온 상기 통지정보를 표시하는 화상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는 작업기계의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컨트롤러가 상기 이상정보를 생성한 것을 통지하는 이상발생 통지부가 구비되고, 또한 상기 통상정보을 대신하여 상기 이상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송신하는 것을 상기 컨트롤러에 지령하는,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는 표시지령기(HS)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작업기계의 표시장치{DISPLAYING DEVICE FOR 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작업기계의 운전에 있어서, 평상시에 작업자에게 알리는 통상정보와 작업기계의 동작상태의 이상에 관한 이상정보를 포함하는 통지정보를 생성·관리하는 컨트롤러와, 그 컨트롤러로부터 송신되어 온 상기 통지정보를 표시하는 화상표시부(70e)를 구비하고 있는 작업기계의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작업기게의 표시장치에서는, 예컨대 일본국 특개평 10 - 75625호 공보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작업기계의 일례인 자동수확용 콤바인에 있어서, 운전중에 동작상태의 이상이 발생하면, 그 이상의 내용이나 이상에 대한 처치 등의 이상정보를, 예컨대 엔진부하를 통상정보로서 표시하고 있는 화상표시부에, 그 통상정보를 대신하여 표시시키도록 하고 있었다.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동작상태의 이상이 발생하고, 그것에 관한 이상정보가 생성되면, 그 이상정보를 즉시 화상표시부에 표시시키도록 하고 있었으므로, 예를 들면, 이상정보이기는 하지만 통지정보로서 즉시 화상표시부에 표시시키기까지의 필요도가 없는 이상정보라도, 그 이상정보가 생성될 때마다 통상정보를 대신하여 표시되는 것으로 되어, 그 결과, 화상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통상정보를 보면서 작업자가 행하는 운전조작이, 화상표시부의 화면이 통상정보로부터 그다지 긴급하지 않은 이상정보에 빈번히 전환되므로써 방해를 받고 만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소시키기 위하여, 작업자의 운전조작을 극력 방해하지 않는 상태로 상기 이상정보의 표시를 적절히 행하게 하고자 하는 점에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콤바인의 앞부 측면도,
도 3은 콤바인의 개략 평면도,
도 4는 탈곡부의 종단측면도,
도 5는 콤바인의 동력전달도,
도 6은 조정부의 평면도,
도 7은 기본스위치 모듈의 정면도,
도 8은 언로더스위치 모듈의 정면도,
도 9는 수평제어 스위치모듈의 정면도,
도 10은 표시용 모듈의 정면도,
도 11은 콤바인의 제어구성의 전체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2는 콤바인의 제어구성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회로블록도,
도 13은 스위치모듈의 제어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4는 표시용 모듈의 제어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5는 통상정보를 표시하는 표시화면의 도면,
도 16은 이상정보를 표시하는 표시화면의 도면,
도 17은 경보정보를 표시하는 표시화면의 도면,
도 18은 경보정보를 표시하는 표시화면의 도면,
도 19는 제어작동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 20은 제어작동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 21은 제어작동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 22는 제어작동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 23은 제어작동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 24는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제어작동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및
도 25는 제 3 실시형태에서의 제어작동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작업기계의 운전에 있어서, 평상시에 작업자에 알리는 통상정보와 작업기계의 동작상태의 이상에 관한 이상정보를 포함하는 통지정보를 생성·관리하는 컨트롤러와, 그 컨트롤러로부터 송신되어 온 상기 통지정보를 표시하는 화상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는 작업기계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컨트롤러가 상기 이상정보를 생성한 것을 통지하는 이상발생 통지부가 구비되고, 또한 상기 통상정보를 대신하여 상기 이상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송신하는 것을 상기 컨트롤러에 지령하는,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는 표시지령기(HS)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요컨대, 동작상태의 이상이 발생하고, 이 이상에 관한 이상정보가 생성되면, 먼저 그 이상의 발생이 통지되고, 다음에 그 이상에 관한 이상정보에 대한 표시지령이 작업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지시되면, 화상표시부의 화면에는 통상정보를 대신하여 이상정보가 표시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작업기계의 운전중에 동작상태의 이상이 발생해도, 그 이상에 관한 이상정보가 즉시 화상표시부에 표시되는 것은 아니며, 이상이 발생하여, 그 이상정보가 생성되면, 이상이 발생된 것이 통지된다. 그 후, 작업자가 표시지령을 지시했을 때에 비로서, 통상정보를 대신하여 이상정보가 표시부의 화면에 표시되는 것으로 되므로, 종래와 같이, 이상정보가 생성되면, 즉시 통상정보를 대신하여 이상정보를 화상표시부의 화면에 표시시키는 것이 아니고, 작업자가 상기 이상정보를 표시시켜도 운전 등에 지장이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 이상정보를 표시시켜, 작업자의 운전조작을 극력 방해하지 않는 상태로 상기 이상정보의 표시가 적절하게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가 통상정보를 보면서 행하는 운전조작이, 긴급을 요하지 않는 이상정보로의 돌연한 표시전환에 의해, 방해되는 일은 없다.
더구나, 이상정보의 화상표시부로의 표시형태에 관하여, 혹시 상기 이상정보를 문장에 의해 표시시키도록 한다면, 예컨대 동작상태의 이상이 검출된 센서나 모터 등의 명칭만이 단순히 표시되는 것에 비교하여, 신속히 또한 용이하게 이해시키도록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하나로는, 상기 컨트롤러가 통지정보로서 통지필요도가 높은 긴급정보를 생성·관리하고, 이 긴급정보는 상기 통상정보 및 상기 이상정보에 우선시켜서 상기 표시부에 송신된다. 이 구성에서는, 작업기계의 운전중에 작업자에 통지시키는 필요도가 높은 긴급정보가 생성된 때에는, 상기 통상전보나 상기 이송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화상표시부에, 그 통상정보나 이상정보에 우선시켜서 긴급정보가 표시되므로, 이와 같은 긴급정보를 즉시 화상표시부에 표시시켜서, 작업자가 적절한 처치를 취하게 할 수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중 하나에서는, 상기 작업기계의 운전에 관한 복수의 제어기능의 각각의 동작상태와 비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제어상태 표시기(100)에 의해서도 상기 이상발생 통지부가 기능하고, 상기 제어기능에 관한 이상통지는 해당하는 제어상태 표시기에 의해 통지된다. 이 구성에서는, 작업기계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제어기능이 실행되고, 그 복수의 제어의 접속 및 차단상태, 즉 동작상태와 비동작상태가 제어상태 표시기에 선택적으로 표시된다. 여기서, 어느 쪽인가의 제어기능의 이상이 발생하면, 이상으로 된 제어기능에 대응하는 제어상태 표시기가 이상을 표시하는 표시상태로 되므로, 작업자가 그 이상표시를 보고, 이상이 발생한 재어기능을 적확하게 인식할 수가 있고, 더구나, 표시지령을 지시하여 그 제어에 관한 이상정보를 화상표시부에 표시시켜서 확인할 수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중 하나에서는, 상기 제어기능마다에, 이 제어기능을 동작상태 또는 비동작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상기 컨트롤러에 지령하는 제어전환 지령기가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표시부로의 이상정보의 송출은, 그 이상정보에 관한 제어기능을 위한 제어전환 지령기가 조작되므로써 정지된다.이 구성에서는, 상기 복수의 제어기능의 어느것인가의 이상의 발생이 상기 제어상태 표시부에 의해 통지되고, 예컨대 그것에 대하여 작업자가 상기 표시지령을 지시하여 이상정보를 표시부의 화면에 표시시켜서 이상정보의 내용을 확인한 후, 상기 이상이라고 판단된 제어기능에 대응하는 제어전환 지령기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제어상태 표시부에 의한 이상의 통지를 정지시켜서, 제어기능의 상태를 표시하는 통상의 표시에 적당한 시기에 복귀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중 하나에서는 상기 표시지령기가 상기 컨트롤러에 대하여 통상의 조작지령을 입력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수동조작지령기와 겸용되어 있으며, 그 조작방법에 의해 표시지령 또는 조작지령이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인식된다. 이 구성에서는, 컨트롤러에 대하여 통상의 조작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수동조작 지령기를 사용하여, 상기 이상정보의 표시지령을 컨트롤러에 지령할 수가 있으므로, 상기 표시지령기로서 전용의 스위치 등을 설치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되어, 장치구성의 간소화를 실현할 수가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작업기계의 표시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작업기계로서의 콤바인에 적용한 경우에 관하여 도면을 근거로 하여 설명한다.
도 1∼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콤바인은, 좌우 한쌍의 크롤러 주행장치 (30)를 구비하는 기체(V)의 앞부에, 예취 승강실린더(5)에 의해 횡축심(X) 주위에 상하요동조작 자유로운 상태에서 예취부(1)가 부착설치되고, 그 예취부(1)의 후방에, 조종부(31), 예취곡물짚을 탈곡·선별하는 탈곡부(2), 탈곡부(2)로부터 공급되는 곡물낟알을 저장하는 탱크(3), 및 이 탱크(3)내의 곡물낟알을 배출하기 위한 곡물낟알용의 언로더(32) 등이 탑재되어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취부(1)는 선단부에 부착설치된 분초구(分草具)(33), 곡물짚의 일으켜 세우기장치(34), 일으켜 세운 곡물짚의 포기 밑을 절단하는 예취날(35), 예취된 곡물짚을 모아서 후방으로 반송하는 보조반송장치(37), 선단측에서 예취곡물짚을 받아서 탈곡부(2)의 피드체인(52)으로 받아넘기는 종반송장치(36)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 예취부(1)의 지면에 대한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초음파센서(S6)와, 곡물짚이 접촉하면 온(ON) 작동하여 예취작업중인 것을 검출하는 포기밑센서(S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초음파센서(S6)의 정보를 근거로, 예취부(1)의 대지높이가 목표설정높이에 유지되도록, 상기 예취승강실린더(5)의 작동을 제어하는 예취높이제어가 실행된다. 더우기 상기 보조반송장치(37)나, 세로반송장치(36) 등의 곡물짚반송경로에는, 곡물짚의 막힘을 검출하기 위한 곡물짚막힘 검출스위치 (S14)가 설치되어 있다.(도 11 참조).
상기 반송장치(36)(더구나 도 2에서는 세로 반송장치(36)의 기능의 설명을 우선시키고 있기 때문에, 도 1과 일부도시가 상이하게 되어 있다)는, 곡물짚의 포기밑 측을 끼위지지하여 반송하는 포기밑 반송장치(36a), 곡물짚의 이삭 끝측을 걸음반송하는 이삭 끝 반송장치(36b) 및 이삭끝 안내판(36c)으로 이루어지며, 예취부(1)의 요동축심(X)과 동일축심 주위에서 요동자유로이 지지됨과 동시에, 취급깊이모터(M1)에 의해 요동조절 자유로이 설치되고, 이것에 의해보조반송장치(37)로부터 받는 곡물짚의 끼워지지된 개소가 곡물짚 길이방향으로 변경되고, 탈곡부(2)에서의 취급깊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예취곡물짚의 반송경로중에 있어서, 상기 취급깊이모터(M1)에 의한 취급깊이 조절개소보다도 반송방향 바로 아래측에, 곡물짚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놓고 병렬설치되고, 곡물짚이 접촉하면 요동해서 온 작동하는 스위치식의 한쌍의 이삭 끝 센서(S8a, S8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이삭끝 센서(S8a, S8b)의 사이에 곡물짚의 이삭끝이 위치하는 상태(포기밑측 센서(S8b)가 온으로, 이삭끝측 센서(S8a)가 오프의 상태)를 적정한 취급깊이상태로 하여, 그 적정한 취급깊이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취급깊이모터(M1)의 작동을 제어하는 취급깊이제어가 실행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체전방을 향해서 좌에서 2번째의 분초구(33)에는, 복수개의 분초구(33) 사이에 도입되는 곡물짚 열에 대한 기체(V)의 기체횡방향에서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곡물짚에 맞닿아서 기체후방측으로 요동하는 검출바아를 구비한 좌우 한쌍의 방향센서(S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주행기체(V)가 심어세운 곡물짚을 따라서 자동주행하도록, 상기 한쌍의 방향센서(S1)의 정보에 근거하여, 좌우의 각 크롤러 주행장치(30)로의 동력전달을 접속차단하는 좌우의 조향용 클러치(도시생략)를 각각 작동시키는 조향용 실린더(9L, 9R)(도 11 참조)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향제어가 실행된다. 즉, 좌우의 크롤러 주행장치(30)중 동력전달이 차단된 측으로 기체(V)가 선회하므로, 기체(V)가 적정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는 경우에는, 상기 벗어남과는 반대측의 크롤러주행장치(30)로의 동력전달을 차단하도록 상기 조향용 실린더(9L, 9R)를 작동시켜서 주행방향을 수정한다.
좌우의 각 크롤러 주행장치(30)에는, 구동스프로킷(30a), 텐션전륜(轉輪) (30b), 및 복수의 종동륜(30c)을 구비한 좌우의 트럭프레임(30d)이 설치됨과 동시에, 좌우의 트럭프레임(30d)을 기체(V)에 대하여 각별히 승강구동시키기 위한 롤링용 실린더(30e)가 설치되고, 기체(V)에는, 그 수평면에 대한 기체의 경사를 검출하는 롤링센서(S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면의 상태에 관계 없이 기체자세를 수평자세 등의 소정자세로 유지하도록, 상기 롤링센서(S4)의 정보에 근거하여, 좌우의 롤링용 실린더(30e)의 작동을 제어하는 수평제어가 실행된다.
상기 언로더(32)는, 선단부에 하향자세의 배출구(32a)를 구비하고, 기단측이 횡축심(Z) 주위에 상하요동자유로운 상태로 지지부(32b)에 지지됨과 동시에, 그 상하 요동구동하기 위한 언로더용 유압실린더(62)가 설치되고, 또, 지지부(32b)가 종축심(Y) 주위에 선회조작 자유로운 상태로 기체(V)에 피봇지지됨과 동시에, 그 선회구동용의 선회용 모터(M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지지부(32b)의 선회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퍼텐쇼미터로 이루어지는 언로더 위치센서(S3)가 설치되어 있다. 더구나, 도 3에는 예취작업중 등에 있어서 언로더(32)를 격납용의 홈위치에 조작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언로더 위치센서(S3)나, 상승조작 및 좌우방향으로의 선회조작의 한계위치를 검출하는 리밋스위치(도시 생략) 등의 정보에 근거하여, 언로더(32)의 작동을 제어하는 언로더제어가 실행된다.
탈곡부(2)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취급몸통(扱胴)(51)을 수납하는 취급실(扱室)(A), 예취부(1)로부터 공급되는 곡물짚을 반송하는 피드체인(52), 풍구(winnowing-fan)(53)과 요동선별판(54)으로 이루어지는 선별장치(B), 곡물의 낟알 회수용의 일번입구 (55), 및 곡물의 낟알과 짚쓰레기의 혼합물(2번째 것)을 회수하기 위한 2번 입구(56)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취급실(A)에서 탈곡된 처리물중 단위 낟알화된 것은 취급실(A)의 하부에 설치된 받이망(受網)(57)으로부터 선별장치(B)로 새서 낙하하고, 그것 이외의 처리물은 받이망(57)의 후단부로부터 선별장치(B)로 낙하한다.
더욱이, 상기 2번째 입구(56)로 회수된 2번째 것은, 스크류식의 2번 반송장치(63)에 의해, 상기 요동선별판(54)의 시단(始端)측으로 복귀되도록 구성되고, 그 2번 반송장치(63)의 회전구동축에는, 그 회전수를 검출하는 2번 회전센서(S16)가 설치되어 있다. 또 탈곡부(2)의 후방측에는, 탈곡부(2)로부터 배출되는 폐기짚을 절단하는 폐기짚 절단부(64)가 설치되고, 그 폐기짚 커터의 막힘을 검출하기 위한 커터막힘 검출센서(S15)가 설치되어 있다(도 1 참조).
상기 피드체인(52)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끼워지지된 레일(52a)이 피드체인(52)측으로 가압되는 상태로 대향배치되고, 회전운동 구동되는 피드체인 (52)과 끼워지지된 레일(52a)에 의해 곡물짚의 포기밑부를 끼워지지 유지하여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 취급실(A)의 앞부측에 위치하는 끼워지지된 레일부분이, 레일 올리기모터(M2) 등에 의해, 피드체인(52)으로부터 이격하는 상방위치로이동자유로이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예취곡물짚을 취급실(A)의 측면방향에서 끼워지지 반송하면서 탈곡처리하는 통상상태와 함께, 예취곡물짚의 볏짚의 길이가 극단히 짧은 경우에, 곡물짚의 전체 볏짚을 취급실(A)에 투입하도록, 상기 레일 올리기 모터(M2) 등을 구동시키는 레일제어가 실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별장치(B)의 요동선별판(54)은 풍구(53)의 상방에 위치하는 그레인 팬(58), 그 후방에 위치하는 차프시브(chaff sieve:왕겨 체)(59), 그 하방에 위치하는 그레인시브(grain sieve:곡물용 체)(61) 등을 구비하고 있다. 차프시브(59)는, 처리물 이송방향으로 병렬설치된 복수개의 띠판 형상부재로 이루어지며, 그 인접하는 띠판 형상부재의 간격(차프개도)이 차프개도 조절모터(M4)에 의해 변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구나, S10은 요동선별판(54) 상의 처리물의 층두께를 검출하는 시브센서이다.
풍구(53)는 요동선별판(54) 상의 짚쓰레기를 날려버리기 위한 것이며. 후방측의 팬케이스 커버(53a)를 풍구 풍력조절모터(M5)로 개폐조작함으로써, 요동선별판(54)상의 처리물에 미치는 풍력(풍구 풍력)이 변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요컨대 커버의 개도가 클 수록 전방측으로의 풍력이 작게되어 풍구 풍력이 작게 된다.
그리고, 선별장치(B)에서의 선별처리가 적정하게 행해지도록, 취급실(A)로부터의 누출낙하 처리물량에 응하여, 차프개도 조절모터(M4) 및 풍구풍력 조절모터(M5)의 작동을 제어하는 탈곡제어가 실행된다. 여기서, 주행속도가 빠르게 되면, 취급실(A)에 공급되는 예취곡물짚량이 많아져서 취급실(A)로부터의 누출낙하처리물량이 많아지므로, 후술하는 차속도센서(S7)의 정보에 근거하여 판별되는 취급실(A)로의 곡물짚 공급량이 많을수록, 상기 차프개도 및 상기 풍구 풀력이 크게 되도록 제어된다.
다음에 동력전달계를 도 5에 도시한다. 기체(V)에 탑재된 엔진(E)의 출력은, 탈곡클러치(37)를 통하여 탈곡부(2)에 전달됨과 동시에, 주행클러치(38) 및 무단변속장치(39)를 통하여 크롤러 주행장치(30)의 변속기부(40)에 전달된다. 변속기부 (40)에 전달된 출력은, 변속기부(40)에 설치된 부변속장치(도시 생략)를 거쳐서 크롤러 주행장치(30)에 전달됨과 동시에, 예취클러치(47)를 통하여 예취부(1)에 전달된다. S9는, 탈곡클러치(37)의 접속차단상태를 검출하는 탈곡스위치이며, S7은 변속기부(40)로의 입력회전수에 의해 주행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차량속도 센서이고, S5는, 전자픽업식 엔진회전수 센서이다. 또 무단변속장치(39)를 변속조작하기위한 변속모터(M6), 및 부변속장치의 변속용 유압클러치 등(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엔진(E)에 대한 부하가 크게 될수록 엔진회전수가 저하하므로, 무부하시의 엔진회전수(기준회전수)로부터의 회전수 저하량에 의해 엔진(E)의 부하가 판별된다.
그리고, 엔진(E)의 능력을 극력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차량속도 센서(S7)로 검출되는 주행속도가 설정상한속도를 넘지않는 조건으로, 상기 엔진회전수 센서(S5)의 정보에 근거하여 판별되는 엔진부하가 적정범위로 유지되도록, 변속모터(M6)의 작동을 제어하는 차량속도제어가 실행된다.
다음에, 상술한 각종 제어(예취높이제어, 조작깊이제어, 방향제어, 수평제어, 언로더제어, 레일제어, 탈곡제어 등)의 기동지령이나, 제어목표값 등의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수단, 및 각종 정보의 표시수단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종부(31)의 좌석(31A)의 좌측 옆에, 좌석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차례로, 상기 각 제어의 기동스위치나 조정조절기 등을 구비한 기본 스위치모듈(MU1)(도 7 참조)과, 수평제어의 기동스위치나 수동조작스위치 등을 구비한 수평 제어스위치 모듈(MU3)(도 9 참조)이 배치되고, 또한 주행속도를 변속조작하기 위한 수동변속레버(7)가, 손잡이부(7A)를 상기 기본 스위치모듈 (MU1)의 상방으로 위치시키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더구나 이 수동 변속레버(7)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변속모터(M6)가 구동된다.
한편, 좌석(31A)의 우측 전방에는, 승강부(31B)가 설치되고, 좌석 우측 후부위치에는 상기 언로더(32)를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 등을 구비한 언로더스위치 모듈(MU2)(도 8 참조)가 배치되어 있다.
조종부(31)의 우전방측에는, 예취부(1)를 수동으로 승강조작하는 예취승강레버와 주행기체(V)를 수동으로 좌우로 선회조작하는 스티어링레버에 겸용구성된 열십자 조작식의 예취높이 조향레버(8)가 설치되어 있다. 요컨대 이 예취높이 조향레버(8)를 후방측으로 요동조작하면 예취부(1)가 상승하는 한편, 전방측으로 요동조작하면 예취부(1)가 하강하고, 예취높이 조향레버(8)를 좌측으로 요동조작하면 기체가 좌선회하는 한편, 우측으로 요동조작하면 기체가 우선회한다. 더구나, 이 예취높이 조향레버(8)의 예취승강 및 조향조작의 각 방향에서의 요동조작량을 검출하기 위하여, 각각 퍼텐쇼미터로 구성된 예취승강 검출센서(S12) 및 조향조작 검출센서(S13)가 설치되어 있다(도 12 참조).
조종부(31)의 좌전방측의 패널에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모듈(MU4)(도 10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본 스위치 모듈(MU1)에는, 도 7에 도사하는 바와 같이, 탈곡 및 취급깊이 제어용 조작유닛부(41), 차량속도 제어용 조작유닛부(42), 방향제어용 조작유닛부(43), 예취높이 제어용 조작유닛부(44), 레일제어용 조작유닛부(45), 및 예비용 조작유닛부(46)가 장비되어 있다. 더구나, 예비용 조작유닛부(46)는 , 상기 이외의 제어를 추가한 것 같은 경우에, 그 조작유닛부로서 사용된다.
상기 탈곡 및 취급깊이 제어용 조작유닛부(41)에는, 조광(照光)식 누름 버튼 스위치에 구성된 취급깊이제어의 기동스위치(41a), 보리, 벼 및 습기 중에서 하나의 작물조건을 선택하는 작물전환조절기(41b), 차프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차프개도 조절기(41c), 및 풍구 풍력을 조절하기 위한 풍구조절기(41d)가 일체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하나의 작물조건에 있어서, 차프개도 조절기(41c)를 개방측으로 회전시킬수록, 상기 곡물짚 공급량에 대한 차프개방도의 제어상태가 전체로서 개방측으로 변경조절되고, 풍구조절기(41d)를 강력측으로 회전시킬수록, 상기 곡물짚 공급량에 대한 풍구 풍량의 제어상태가 전체로서 강력측으로 변경조절된다. 또, 작물조건의 선택에 의해, 보리, 벼, 습기의 순서로, 상기 차프개방도의 조절상태가 전체로서 개방측으로 변경조절되고, 풍구 풍력의 제어상태가 전체로서 강력측으로 변경조절된다.
차량속도 제어용 조작유닛부(42)에는, 조광식(照光式) 누름 버튼 스위치로 구성된 차량속도 제어의 기동스위치(42a)와, 상한 차량속도를 설정하는 차량속도 제어조절기(42b)가 일체형성되어 있다.
방향제어용 조작유닛부(43)에는, 조광식 누름 버튼 스위치로 구성된 방향제어의 기동스위치(43a)와, 선회력을 조절하기 위한 선회력 전환조절기(43b)가 일체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선회력 전환조절기(43b)가 큰쪽으로 회전하면, 디티(DT)구동되는 상기 조향용 실린더(9L, 9R)의 오프시간에 대한 온시간의 비율(디티 비율)이 큰측으로 변경되어 선회력이 크게 되고, 작은 측으로 회전하면, 상기 디티 비율이 작은 측으로 변경되어서 선회력이 작게 된다.
예취높이 제어용 조작유닛부(44)에는, 조광식 누름 버튼 스위치로 구성된 예취높이 제어의 기동스위치(44a)와, 목표예취높이를 설정하기 위한 예취높이 조정조절기(44b)가 일체형성되어 있다.
레일제어용 조작유닛부(45)에는, 레일제어를 접속차단하는 기동스위치(45a)와, 레일제어의 접속차단상태를 표시하는 레일제어램프(45b)가 일체형성되어 있다.
더구나, 도 7은, 차프개도 조절기(41c), 풍구조절기(41d), 차량속도 제한조절기(42b), 선회력 전환조절기(43b), 및 예취높이 조정조절기(44b)에 의한 각 전환을 7단계로 조정될 수 있는 것(클릭 부착)을 예시한다.
언로더스위치 모듈(MU2)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광식 누름 버튼 스위치로 구성된 언로더(32)의 자동작동의 기동 또는 정지용의 자동·정지스위치(50a), 조광식의 누름 버튼 스위치에 구성된 탱크장출(張出)(곡물탱크 외측벽의 일부분을 개폐하는 조작을 말함)개방스위치(50b)와 탱크장출 폐쇄스위치(50c), 열십자 조작키에 구성되어 언로더(32)를 수동으로 상승 ·하강 ·우선회 ·좌선회 조작하기 위한 수동조작 스위치(50d), 및 언로더(32)의 목표정지위치를 기체좌측, 기체후부측, 기체우측중 선택하는 정지위치 선택조절기(50e)가 일체형성되어 있다.
수평제어스위치 모듈(MU3)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광식 누름버튼 스위치로 구성된 수평제어의 기동용의 자동스위치(60a), 조광식 누름 버튼 스위치로 구성되어 수평제어모드를 올리기기준과 내리기기준으로 전환하는 수평모드 전환스위치(60b), 조광식 누름 버튼 스위치로 구성된 후진시 기체상승스위치 (60c), 열십자 조작키로 구성되어서 기체자세를 우측으로 올림 ·좌측으로 올림 ·올림 ·내림의 각 상태로 조작하기 위한 수동조작스위치(60d), 및 수평제어의 작동시(자동 모드)에 있어서의 목표경사상태를 설정하는 수평조정조절기(60e)가 일체형성되어 있다.
표시용 모듈(MU4)에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연료탱크내의 연료잔량을 표시하는 지시침식의 연료미터(70a), 지시침식 타코미터(70b), 수온미터(70c), 상기 탱크(3)내의 겉겨의 량을 표시하는 겉겨 LCD(액정 디스플레이)(70d), 및 각종 메시지나 그래프 등의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주LCD(액정 디스플레이)(70e)가 설치되고, 더욱이 좌우의 깜빡이 램프(70f)나, 충전(차지)(70g4), 브레이크(70g3), 오일(70g2), 및 체크(70g1)의 각종 경보램프나, 상기 부변속장치의 전환상태가 고속, 표준, 쓰러짐 및 중립중 어느 상태인가를 표시하는 부변속램프(70h)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상기 주LCD(70e)에, 엔진의 부하레벨을 표시하는 바아그래프를 상측에 , 상기 시브센서(S10)로 검출되는 탈곡부(2)의 요동선별판(54) 상에서의 처리물량을 표시하는 바아그래프를 하측으로, 각각 표시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또, 표시용 모듈(MU4)의 우측방에는, 체크스위치(71)와 표시전환스위치(72)가 설치되고, 이 양 스위치(71, 72)는, 누름조작되어 있을 때만 온 상태로 되고, 누름조작되지 않는 때는 오프상태로 되는 누름 버튼식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콤바인 전체의 제어를 집중하여 실행하는 컨트롤러(CU)와, 예취부(1), 탈곡부(2), 탱크부(탱크(3)와 언로더 (32)로 구성되는) 및 주기계부(4) 등의 기체 각부에 분산배치되는 복수개의 단말제어부로서 기능하는 서브컨트롤러(중앙처리장치)(LU1∼LU5), 및 상술한 각 모듈 (MU1 ~ MU4)이, 고속통신선(T1) 및 저속통신선(T1)을 통하여 통신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어정보 검출용의 센서류(SW) 및 작업용의 액추에이터류(AK)가, 상기 복수개의 단말제어부(LU)중 어느것인가에 접속되어서, 그 접속된 단말제어부(LU)에 대하여 신호를 입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액추에이터류(AK)는, 기체 각부에 구비된 작업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상기 유압실린더나 전동모터 등으로 이루어지며, 센서류(SW)는, 각종 제어정보를 온/오프의 2값의 정보로서 검출하는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예취부(1)에 배치되는 단말제어부(LU3)로부터 상기 취급깊이모터(1)에 대한 구동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단말제어부(LU3)에, 상기 방향센서(S1), 상기 포기밑 센서(S2), 상기 이삭끝 센서(S8a, S8b), 및 상기 곡물짚막힘 검출스위치(S14)의 각 검출신호가 입력되어 있다.
탈곡부(2)에 배치되는 단말제어부(LU4)로부터, 상기 레일올리기모터(M2), 상기 차프 개방도 조절모터(M4) 및 상기 풍구 풍력조절모터(M5)에 대하여 구동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단말제어부(LU4)에, 상기 커터막힘 검출스위치(S15)의 검출신호가 입력되어 있다.
주기계부(4)에 배치되는 2개의 단말제어부(LUI, LU2)중에서, 1개의 단말제어부 (LU2)로부터, 상기 변속모터(M6)에 대한 구동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단말제어부 (LU2)에 상기 탈곡스위치(S9) 및 상기 부변속장치의 변속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부변속스위치(도시 생략)의 신호가 입력되고, 다른 단말제어부(LU1)는, 유압출력전용의 단말제어부로 구성되어서, 이 단말제어부(LU1)로부터, 상기 예취승강실린더(5), 상기 조향용 실린더(9L, 9R), 상기 롤링용 실린더(30e), 및 상기 언로더용 유압실린더 (62)를 구동하기 위한 각 솔레노이드에 대한 각 구동신호가 출력되어 있다.
탱크부에 배치되는 단말제어부(LU5)로부터, 상기 선회용 모터(M3)에 대한 구동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단말제어부(LU5)에, 탱크(3)내에 저장되어 있는 곡물의 낟알의 양을 검출하는 겉겨센서(S11)의 검출신호가 입력되어 있다.
액추에이터류(AK)의 구동을 위한 고속통신처리가 요구되는 신호가 입출력하는 단말제어부(이하, 고속단말부로 칭함)(LU1∼LU5)가, 고속통신선(T1)에 의해 상기 컨트롤러(CU)에 접속되는 한편, 고속통신처리가 요구되지 않는 신호가 입출력하는 상기 각 스위치모듈(MU1∼MU3) 및 표시용 모듈(MU4)이, 저속통신선(T2)에 의해상기 컨트롤러(CU)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CU)가, 고속통신선(T1)에 접속된 각 고속단말부(LU1~LU5)에 대하여, 각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보링셀렉팅방식으로 다중통신하면서, 각 고속단말부(LU1~LU5) 사이에서 고속의 통신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CU)에는, 제어처리용의 마이크로컴퓨터(CPU)와, 고속통신용의 통신용 드라이버(DR)와, 저속통신용의 통신용 드라이버 DR')가 설치되어 있다.
컨트롤러(CU)의 핵심을 이루는 마이크로컴퓨터(CPU)에는, 퍼텐쇼미터 등의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정보를 검출하는 아날로그식 센서로부터 아날로그 입력신호나, 회전수 등을 검출하기 위한 펄스식 센서로부터의 펄스입력신호가 입력됨과 동시에, 상기 엔진(E)에 대한 연료공급을 차단하여 엔진을 정지시키기 위한 엔진정지 솔레노이드(SOL)에 대한 구동신호나, 경보용의 버저(48) 및 경보램프(49)에 대한 구동신호가 출력되어 있다.
상기 아날로그 입력신호로서, 상기 언로더 위치센서(S3), 상기 롤링센서 (S4), 상기 초음파센서(S6), 상기 시브센서(S10), 상기 예취승강 검출센서(S12) 및 조향조작 검출센서(S13)로부터의 각 검출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펄스입력신호로서, 상기 차량속도센서(S7)와, 상기 2번 회전센서(S16)로부터의 검출신호가 입력되고, 또한 전원투입용 메인스위치(MW)의 신호가 입력되어 있다.
상기 제어용 마이크로컴퓨터(CPU)에는, 제어데이터 기록용의 RAM등으로 이루어지는 메모리(RAM)가 내장됨과 동시에, EEPROM 등의 비휘발성의 메모리(MEM)가 접속되고, 메모리(RAM)에는 센서류의 검출데이터나, 각 스위치모듈(MU1 ~ MU3)의 스위치 등의 입력데이터나, 상기 액추에이터류(AK)에 대한 구동데이터 등이 기억되고, 비휘발성의 메모리(MEM)에는, 기계가동중에 발생한 각종 에러정보(후술하는 자기진단데이터) 등이 기억된다.
또 상기 컨트롤러(CU)의 마이크로컴퓨터(CPU)가, 표준기능으로서 시리얼통신 인터페이스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한편,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스위치 및 표시모듈(MU1∼MU4)에 설치되는 입출력신호 처리용 컨트롤러(29)가 동일하게 시리얼통신 인터페이스기능을 표준기증으로서 구비한 원칩마이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측의 마이크로컴퓨터(CPU)와 각 모듈측의 서브컨트롤러 (29)에 구비된 양방의 시리얼통신 인터페이스기능을 사용하여 중앙제어부(CU)가, 상기 저속통신선(T2)을 통하여 직접, 각 모듈(MU1 ~ MU4)사이에서 저속의 통신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CU)는 각 모듈(MU1∼MU4)에 대하여 설정된 어드레스를 순차 지정하면서, 볼링 셀렉팅방식으로, 각 모듈(MU1∼Mu4)로부터의 데이터(각 수동스위치나 조정용 조절기의 데이터)의 입력, 및 각 모듈(MU1∼MU4)에 대한 출력(각 램프나 표시부의 표시데이터)을 행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용 모듈(MU4)에 있어서, 컨트롤러(29)에 연료센서, 수온센서, 상기 엔진회전수센서(S5), 및 오일스위치로부터의 각 검출신호와, 교류발전기의 출력전압이 입력되고, 서브컨트롤러(29)는, 이들의 입력신호 및 중앙제어부(CU)로부터 송신되는 표시용 데이터에 근거하여, 연료미터 (70a), 타코미터(70b), 수온미터(70c), 겉겨 LCD(70d), 주LCD(70e), 부변속램프 (70h), 및 체크램프(70g1)를 표시작동시킨다. 더구나 컨트롤러(29)는, 상기 엔진회전수센서 (S5), 연료센서, 수온센서 등의 검출정보를, 컨트롤러(CU)로부터의 송신요구에 응하여 송신한다,
한편, 좌우의 깜빡이램프(70f)는, 각 깜빡이스위치의 온 조작에 의해 점등하고, 차지램프(70g4)는, 직류기로부터의 출력전압에 의해 소등되고, 브레이크램프 (70g3)는 브레이크스위치의 온 조작에 의해 점등하고, 오일램프(70g2)는 오일스위치의 온조작에 의해 점등한다,
또, 상기 체크스위치(71)와, 상기 표시전환스위치(72)의 각 정보도, 상기 컨트롤러(29)에 입력되어 있다. 더구나 표시전환스위치(72)는, 기계의 가동시간(이하, 시간미터라고 함)과 배터리전압의 정보를, 소정시간(예를 들면 5초간)표시시키도록(도 15 (가) 참조), 상기 주LCD(70e)의 표시내용을 전환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컨트롤러(CU)를 이용하여, 콤바인의 운전에 있어서 작업자에 알려야할 통지정보로서, 통상의 통지정보인 통상정보 및 동작상태의 이상에 관한 이상정보(이하, 자기진단데이터라 함)를 생성·관리하는 컨트롤러(CU)가 구성되고, 상기 주LCD(70e)를 이용하여, 상기 중앙제어부(CU)에 의해 상기 통지정보를 화상정보로서 표시하도록 제어되는 화상표시부(70e)가 구성됨과 동시에, 컨트롤러(CU)가, 상기 자기진단데이터를 문장에 의해 표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체크램프(70g1)에 의해, 상기 자기진단데이터가 생성된 것을 통지하는 이상발생 통지부(IH)가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체크스위치(71)에 의해, 상기 자기진단데이터의표시지령을 지시하는 수동식의 표시지령기(HS)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CU)가 상기 자기진단 데이터를 생성하면, 컨트롤러 (CU)는 상기 체크램프(70g1)를 작동시키고, 또한 상기 체크스위치(71)로 상기 표시지령이 지시됨에 따라서, 상기 주LCD(70e)에, 상기 통상정보를 대신하여 상기 자기진단 데이터를 표시시킨다. 더구나 컨트롤러(CU)는, 상기 발생된 자기진단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MEM)에 기억시키고 있다.
상기 통상정보에 관하여 설명하면,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간미터와 배터리전압의 정보, 및 엔진회전수의 정보, 혹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의 부하레벨을 도시하는 바아그래프를 상측에, 탈곡부(2)의 요동선별판(54) 상에서의 처리물량(시브 레벨)을 표시하는 바아그래프를 하측에 표시한 것 등이 표시된다.
상기 자기진단 데이터로서는, 도 16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조절기류나 센서류의 검출에러(예컨대 있을 수 없는 값으로 되었거나 값이 전혀 변화하지 않는 것 같은 경우 등), 모터 등의 액추에이터류의 작동에러(예컨대 작동이 로크되거나 전혀 동작하지 않는 것 같은 경우 등)의 정보가 생성되어서 표시된다. 도 16에 있어서, (가)는 상기 작물전환조절기(41b)의 고장을 표시하는「작물선택SW고장」, (나)는 상기 차량속도제한조절기(42b)의 고장을 표시하는「차량속도제한VR고장」, (다)는 상기 시브센서(S10)의 고장을 표시하는「시브센서고장」, (라)는 상기 차프개방도 조절모터(M4)의 고장을 표시하는「차프모터고장」을 표시한 예를 나타낸다.
상기 이외의 자기진단 데이터로서는,「미세조정데이터이상」,「기종데이터이상」,「언로더수납위치이상」,「차프전개값이상」,「차프전폐값이상」,「풍구전개값이상」,「풍구전폐값이상」,「언로더센서고장」,「언로더모터고장」,「언로더수동스위치고장」,「차프센서고장」,「풍구센서고장」,「풍구모터고장」,「차프조정조절기고장」,「풍구조정조절기고장」,「엔진회전입력이상」,「증속출력이상」,「감속출력이상」,「전기브레이크이상」,「방향우출력이상」,「방향좌출력이상」등이 관리되어서 표시된다.
또, 상기 컨트롤러(CU)가, 상기 통지정보로서, 통지시키는 필요도가 높은 긴급정보(이하, 경보정보라 함)도 생성·관리함과 동시에, 그 경보정보를 생성한 경우에는, 상기 통상정보 및 상기 이상정보에 우선시켜서 상기 경보정보를 상기 주LCD(70e)에 표시시킨다. 상기 경보정보로서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자기진단 데이터에 비하여 긴급도가 높은 이상의 내용, 및 그 이상에 대한 처치 등이 관리되어서 표시되는데, 더욱, 그 긴급도에 응해서 2종류로 분리되어 있다.
도 17에는, 보다 긴급도가 높은 제 1 경보정보를 표시하고 있으며, (가)는 상기 곡물짚막힘 검출스위치(S14)로 예취부(1)에서의 곡물짚 막힘이 검출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는 「곡물짚막힘」, (나)는 상기 커터막힘 검출스위치(S15)로 폐기짚의 막힘이 검출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는 「커터막힘」, (다)는 상기 2번회전센서(S16)로 2번 반송장치(63)에서의 2번째 물건의 막힘이 검출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는 「2번 막힘」, (라)는 상기 겉겨센서(S11)로 저장탱크(3)에서의 곡물의 낟알의 만재상태가 검출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는「곁겨 만재」, (마)는 짚쓰레기 등의 부착에 의해 상기 이삭끝 센서(S8a, S8b)의 검출상태가 이상이고, 점검을 요하는 것을 표시하는「이삭끝 센서 점검」, (바)는 엔진(E)이 과부하상태인 것을 표시하는 부하경보로서의「감속해 주세요」, 혹은, 상기 시브센서(S10)로 검출되는 처리물량이 과대인 것을 표시하는 시브경보로서의 「감속해 주세요」의 각 표시이다. 더구나, 이 제 1의 경보정보는, 이상이 해소되기까지 연속해서 표시되고, 또한 상기 (가), (나), (다)의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경보표시와 함께, 상기 엔진정지 솔레노이드 (SOL)가 작동되어서, 엔진(E)이 정지된다.
도 18에는, 보다 긴급도가 낮은 제 2 경보정보를 도시하고 있으며, (가)는 상기 연료센서로 검출되는 연료잔량이 적은 것을 표시하는 「연료 없음」, (나)는
구동전원인 배터리의 충전이 부족상태인 것을 표시하는 「배터리충전부족」, (다)는 상기 수온센서로 상기 엔진(E)의 과열상태가 검출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는 「오버히트」의 각 표시이다. 또한 이 제 2의 경보정보는, 이상이 해소되기까지, 시간간격을 두고 반복표시된다.
상기 컨트롤러(CU)는, 콤바인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제어(상술한 취급깊이제어, 탈곡제어, 차량속도제어, 방향제어, 예취높이제어, 레일제어, 언로더제어, 수평제어 등)을 실행가능하게 구성됨과 동시에, 그 복수의 제어 각각의 접속차단상태를 표시하는 복수개의 제어상태 표시부(100)와, 중앙제어부(CU)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제어 각각의 접속차단을 지령하는 복수개의 제어전환 지령기(200)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개의 제어상태 표시부(100)는, 각각 조광식의 누름 버튼스위치로 구성된, 상술한 취급깊이제어의 기동스위치(41a), 차량속도제어의 기동스위치(42a), 방향제어의 기동스위치(43a), 예취높이제어의 기동스위치(44a), 언로더제어용의 자동·정지스위치(50a), 및 수평제어의 기동용의 자동스위치(60a)와, 단독의 램프로 이루어지는 레일제어램프(45b)에 의해서 구성된다. 동일하게 복수개의 제어전환 지령기(200)는 상술한 취급깊이제어의 기동스위치(41a), 차량속도제어의 기동스위치(42a), 방향제어의 기동스위치(43a) 예취높이제어의 기동스위치 (44a), 언로더제어용의 자동·정지스위치(50a), 및 수평제어의 기동용의 자동스위치(60a)와, 단독의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레일제어의 기동스위치(45a)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제어의 접속차단을 표시하는 통상의 표시상태에서는, 제어 접속시에 점등하고, 제어차단시에 소등하도록 작동된다.
상기 컨트롤러(CU)는, 상기 각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 각 서브컨트롤러 (LU1∼LU5) 및 각 모듈(MU1∼MU4)로부터 통신선(T1,T2)을 통하여 송신된 센서류(SW) 및 스위치 등의 각 입력데이터에 근거하여, 액추에이터류(AK)에 대한 적정구동내용을 판정하고, 그 적정구동내용을 구동데이터로하여, 통신선(T1)을 통하여 액추에이터류(AK)가 접속된 서브컨트롤러(LU)에 송신하고, 액추에이터류(AK)가 접속된 서브컨트롤러(LU)가, 상기 수신된 구동데이터에 근거하여 액추에이터류 (AK)에 대하여 구동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예취높이제어의 경우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컨트롤러(CU)는, 상기 기본스위치모듈(MU1)과의 통신에 의해, 예취높이제어용 조작유닛부(44)에 구비된 예취높이제어의 기동스위치(44a)가 온으로 되어 있다고 판단한 때에는, 상기 예취높이조정조절기(44b)로 입력되는 목표높이정보 및 상기 초음파센서 (S6)의 대지높이정보에 근거하여 예취높이를 목표높이로 유지하기위한 상기 예취승강 실린더(5)에 대한 적정구동내용을 판별하고, 그 적정구동내용을 제어데이터로서 상기 예취승강실린더(5)가 접속된 서브컨트롤러(LU1)로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서브컨트롤러(LU1)는, 수신된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게이트어레이(GA2)의 포트출력단자(a,b)중 한쪽으로부터 HIGH 신호를, 다른 한쪽으로부터 LOW신호를 출력해서 상기 솔레노이드(L1, L2)중 어느 한쪽을 구동하여, 예취승강 실린더(5)를 승강작동시킨다.
또, 상기 중앙제어부(CU)는, 각 고속단말부(LU1∼LU5) 및 각 모듈(MU1 ~ MU4)로부터 통신선(T1, T2)를 통하여 송신된 센서류(SW) 및 스위치 등의 각 입력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램프나 LCD 표시기 등의 각종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적정표시내용을 판정하고, 그 적정표시내용을 표시용 데이터로서 통신선(T1)을 통하여 각 모듈(Mu1 ~ MU4)에 송신하고, 한편 각 모듈(MU1∼MU4)은, 컨트롤러(CU)로부터 수신한 상기 표시용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기장치에 대하여 구동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예취높이제어의 경우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컨트롤러(CU)는, 상기 기본스위치모듈(MU1)로부터의 수신데이터에 의해, 예취높이제어의 기동스위치 (44a)의 온 상태를 확인하면, 기본스위치모듈(MU1)에 대하여, 조광식 스위치로 구성된 상기 기동스위치(44a)를 점등시키는 지령데이터를 송신함과 동시에, 표시용 모듈(MU4)에 대하여, 주LCD(70e)에 예취높이제어의 기동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지령을 송신한다. 그리고, 기본스위치모듈(MU1)은, 컨트롤러(CU)로부터 수신한 점등지령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예취높이제어의 기본스위치(44a)를 점등작동시키고, 표시용 모듈(MU4)은, 컨트롤러(CU)로부터 수신한 표시지령에 따라, 상기 주LCD(70e)에,「예취높이자동 [접속]」의 메시지를, 소정시간(예컨대 5초간) 표시한다.
더구나, 예취높이제어의 기동스위치(44a)를 오프했을 때에는, 상기 주LCD (70e)에, 「예취높이 자동 [차단]」의 메시지가, 소정시간(예컨대 5초간)표시되고, 또 상기 예취높이 조정조절기(44b)를 조작하고, 목표높이정보를 변경할 때에도, 컨트롤러(CU)와 표시용 모듈(MU4) 사이의 통신에 근거하여, 예취높이 조정조절기(44b)에 의해 변경되는 목표 예취높이의 값이, 주LCD(70e)에 바아그래프로 표시된다.
다음에, 도 19 내지 도 23에 도시하는 플로차트에 근거하여, 상기 컨트롤러 (CU)에 의한 제어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메인플로(도 19)에서는, 메인스위치(MW)가 온으로 되어 전원이 투입되고, 컨트롤러(CU)에 전력이 공급되어서(또한, 이 때, 각 고속단말부(LU1∼LU5) 및 각 모듈(MU1∼MU4)에도 전력이 공급된다), 제어가 스타트되면, 상기 체크스위치(71)의 온오프상태를 검출하여, 체크스위치(71)가 온상태이면, 미세조절모드로 기동된다. 한편 체크스위치(71)가 오프상태이면 통상모드로 기동되고, 이 통상모드에 있어서 체크스위치(71)의 온오프상태를 검출하여, 체크스위치(71)가 온상태로 변화하면, 자기진단모드로 기동된다.
상기 미세조절모드에서는, 예취부(1), 탈곡부(2) 등의 기계 각부가 기준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각 센서류의 검출정보에 대응시켜서, 각 센서류의 검출정보로부터 기계 각부의 실동작상태를 구하기 위한 기준값의 정보(미세조절데이터라고 함)를 상기 메모리(MEM)에 기억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에 예시되는 바와 같은 미세조절데이터가 기억된다.
(1) 좌우의 각 방향센서(S1)가 기체 옆방향위치로 복귀하고 있는 상태를 기준상태로 하여 그 때의 각 방향센서(S1)의 검출 값.
(2) 예취부(1)를 대상으로 하여 기준상태로서 상한위치로 상승시켰을 때의 예취승강 검출센서(S1)의 검출 값.
(3) 언로더(32)를 대상으로 하여 기준상태로서 상기 홈위치로 선회시켰을 때의 언로더 위치센서(S3)의 검출 값.
(4) 기체(V)를 대상으로 하여 기준상태로서 수평상태로 했을 때의 롤링센서 (S4)의 검출 값.
통상모드에서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서브컨트롤러(LU1 내지 LU5) 및 각 모듈(MU1∼MU4)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한 통신제어처리, 상기 통지정보의 관리처리, 표시제어처리, 및 상기 복수의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작업제어처리를 행한다. 더구나 이 작업제어처리에서는, 각 센서류의 검출정보와 상기 기억시킨 미세조절데이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기계 각부의 실동작상태를 구하고, 그 실동작상태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액추에이터류(AK)의 작동을 제어한다.
표시제어처리에서는, 도 21∼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제 1 경보정보가 생성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제 1 경보정보가 생성되어 있을 때에는, 그 제 1 경보정보를 상기 주LCD(70e)에 연속표시시킴과 동시에, 상기 경보용의 버저(48) 및 경보램프(49)를 연속작동시킨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 때 동시에, 상기 작업제어처리에 있어서, 엔진(E)의 정지작동이 실행된다.
상기 제 1 경보정보가 생성되어 있지 않았을 때에는, 제 2 경보정보가 생성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제 2 경보정보가 생성되어 있을 때에는, 그 제 2 경보정보를 주LCD(70e)에 표시시킴과 동시에, 그 제 2 경보표시와 동시에, 상기 경보용의 버저(48) 및 경보램프(49)를 작동시킨다. 더우기, 상기 제 2 경보표시는, 설정시간 간격(예컨대 30초 간격)으로 반복하여 표시시킨다.
상기 경보정보가 생성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자기진단 데이터가 생성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자기진단 데이터가 생성되어 있을 때에는, 이미 자기진단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을 때를 제외하고, 상기 체크램프(70g1)를 점등시킴과 동시에, 상기 체크스위치(71)가 온상태로 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체크스위치 (71)가 온상태로 되면, 상기 자기진단 데이터를 주LCD(70e)에 표시시킨다. 그리고, 자기진단 데이터의 표시중에, 체크스위치(71)가 재차 온상태로 되면, 체크램프(70g1)를 소등함과 동시에, 자기진단 데이터의 표시를 끄고, 주LCD(70e)를 통상정보의 표시상태로 복귀시킨다.
상기 제 1 경보정보 및 자기진단 데이터가 생성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엔진(E)이 시동될 때까지, 시간미터와 배터리전압의 정보를 주LCD(70e)에 표시시킨다. 엔진(E)이 시동된 후, 작업상태로 되기까지는, 주LCD(70e)에 엔진회전수를 표시시켜, 작업상태로 됨에 따라, 상기 부하레벨과 시브레벨의 정보를 주LCD(70e)에 표시시킨다. 더우기 상기 작업상태인 것은, 상기 탈곡클러치(37)가 접속조작되어서 탈곡스위치(S9)가 온상태로 되므로써 판단된다.
자기진단 모드에서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메모리(MEM)에 기억되어 있는 자기진단 데이터의 정보를 해독하고, 상기 주LCD(70e)에 표시시킨다. 그리고, 상기 체크스위치(71)가 가압되면, 자기진단 모드가 종료된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작업기계의 표시장치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아하의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데,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요컨대, 상기 이상발생 통지부(IH)가, 상기 복수개의 제어상태 표시부(100)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CU)가, 상기 복수의 제어중 어느것인가의 이상을 판별한 경우에는, 상기 복수개의 제어상태 표시부(100)중에서 상기 이상을 판별한 제어에 대응하는 제어상태 표시부(100)를, 그 제어의 접속차단을 표시하는 통상의 표시상태와는 상이한 이상표시상태로 표시작동시키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컨트롤러(CU)가, 상기 이상을 판별한 제어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상태 표시부(100)를 상기 이상표시상태로 표시작동시키고 있을 때에, 상기 복수개의 제어전환 지령기(200)중 상기 이상이 판별된 제어에 대응하는 제어전환 지령기(200)가 조작됨에 따라서, 상기 제어상태 표시부(100)의 상기 이상표시상태에서의 표시작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인 표시제어처리에 관하여 설명하면, 제 1 실시형태에서의 도 22에 도시하는 처리를 대신하여 도 24에 도시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자기진단 데이터가 생성되고 있을 때에는, 이미 자기진단 데이터가 표시되고 있을 때를 제외하고, 상기 이상이 발생하며, 이상정보가 생성되면, 그 이상에 관한 제어의 제어상태 표시부(100) 즉 제어접속차단 표시램프가 점멸작동됨과 동시에, 상기 체크스위치 (71)가 온상태로 되는지 아닌지를 체크한다. 체크스위치(71)가 온상태로 되면, 상기 자기진단 데이터를 주LCD(70e)에 표시시킨다. 그리고, 자기진단 데이터의 표시중에, 상기 점멸작동시키고 있는 제어접속차단 표시램프에 대응하는 제어전환 지령기(200) 즉 제어접속차단스위치가 온상태로 되면, 상기 제어접속차단 표시램프의 점멸작동을 정지시켜서 통상의 작동으로 복귀시킴과 동시에, 자기진단 데이터의 표시를 소멸하여, 주LCD(70e)를 통상정보의 표시상태로 복귀시킨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작업기계의 표시장치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의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데, 다른 구성에 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표시지령기(HS)가 상기 컨트롤러(CU)에 대하여 통상의 조작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수동조작 지령기(72)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그 수동조작 지령기(72)가 표시용의 조건이 만족되도록 조작됨에 따라서, 상기 표시지령을 지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수동조작 지령기(72)가 상기 표시전환 스위치(72)로 구성되고, 상기 체크램프(70g1)가 점등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표시전환스위치(72)가 설정시간(예컨대 3초) 연속해서 온 하면, 상기 표시용의 조건이 만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인 표시제어처리에 관하여 설명하면, 제 1 실시형태에서의 도 22에 도시하는 처리를 대신하여 도 25에 도시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자기진단 데이터가 생성되어 있을 때에는, 이미 자기진단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는 때를 제외하고, 상기 체크램프(70g1)를 점등시킴과 동시에, 상기 표시전환스위치(72)가 설정시간(예컨대 3초) 연속해서 온 해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조건이 만족하게 되면, 상기 자기진단 데이터를 주LCD(70e)에 표시시킨다. 그리고, 자기진단 데이터의 표시중에 표시전환스위치(72)가 온상태로 되면, 체크램프(70g1)를 소등함과 동시에 자기진단 데이터의 표시를 소멸하고, 주LCD(70e)를 통상정보의 표시상태로 복귀시킨다.
[별도의 실시형태]
다음에 별도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1∼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작업기계로서의 자동수확용 콤바인에 적용했는데, 본 발명을 콤바인 이외의 작업기계에 적용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콤바인 이외의 작업기계에서는, 통상정보나, 이상정보(자기진단 데이터)나, 경보정보에 관하여 적절히 변경되는 것이다.
상기 제 1∼제 3 실시형태에서는, 복수개의 제어상태 표시부(100) 및 제어전환 지령기(200)를 조광식의 스위치나, 각별한 스위치 및 및 램프로 구성하였는데, 이러한 개별 스위치나 램프를 대신하여, 예컨대 터치패널식의 표시기의 표시화면을 사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어상태 표시부(100) 및 제어전환 지령기(200)를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제 3 실시형태에서는, 표시지령기(HS)를 구성하는 수동조작 지령기로서, 표시전환스위치(72)를 사용하였는데, 이 밖의 다른 수동스위치를 표시지령기 (HS)로서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작업기계의 운전중에 동작상태의 이상이 발생해도, 그 이상에 관한 이상정보가 즉시 화상표시부에 표시되는 것은 아니며, 이상이 발생하여, 그 이상정보가 생성되면, 이상이 발생된 것이 통지된다. 그 후, 작업자가 표시지령을 지시했을 때에 비로서, 통상정보를 대신하여 이상정보가 표시부의 화면에 표시되는 것으로 되므로, 종래와 같이, 이상정보가 생성되면, 즉시 통상정보를 대신하여 이상정보를 화상표시부의 화면에 표시시키는 것이 아니고, 작업자가 상기 이상정보를 표시시켜도 운전 등에 지장이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 이상정보를 표시시켜, 작업자의 운전조작을 극력 방해하지 않는 상태로 상기 이상정보의 표시가 적절하게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가 통상정보를 보면서 행하는 운전조작이, 긴급을 요하지 않는 이상정보로의 돌연한 표시전환에 의해, 방해되는 일은 없다.
더구나, 이상정보의 화상표시부로의 표시형태에 관하여, 혹시 상기 이상정보를 문장에 의해 표시시키도록 한다면, 예컨대 동작상태의 이상이 검출된 센서나 모터 등의 명칭만이 단순히 표시되는 것에 비교하여, 신속히 또한 용이하게 이해시키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작업기계의 운전중에 작업자에 통지시키는 필요도가 높은 긴급정보가 생성된 때에는, 상기 통상전보나 상기 이송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화상표시부에, 그통상정보나 이상정보에 우선시켜서 긴급정보가 표시되므로, 이와 같은 긴급정보를 즉시 화상표시부에 표시시켜서, 작업자가 적절한 처치를 취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작업기계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제어기능이 실행되고, 그 복수의 제어의 접속차단상태, 결국 동작상태와 비동작상태가 제어상태 표시기에 선택적으로 표시된다. 여기서, 어느 쪽인가의 제어기능의 이상이 발생하면, 이상으로 된 제어기능에 대응하는 제어상태 표시기가 이상을 표시하는 표시상태로 되므로, 작업자가 그 이상표시를 보고, 이상이 발생한 재어기능을 적확하게 인식할 수가 있고, 더구나, 표시지령을 지시하여 그 제어에 관한 이상정보를 화상표시부에 표시시켜서 확인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제어기능의 어느것인가의 이상의 발생이 상기 제어상태 표시부에 의해 통지되고, 예컨대 그것에 대하여 작업자가 상기 표시지령을 지시하여 이상정보를 표시부의 화면에 표시시켜서 이상정보의 내용을 확인한 후, 상기 이상이라고 판단된 제어기능에 대응하는 제어전환 지령기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제어상태 표시부에 의한 이상의 통지를 정지시켜서, 제어기능의 상태를 표시하는 통상의 표시에 적시 복귀한다.
또한, 컨트롤러에 대하여 통상의 조작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수동조작 지령기를 사용하여, 이상정보의 표시지령을 컨트롤러에 지령할 수가 있으므로, 상기 표시지령기로서 전용의 스위치 등을 설치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되어, 장치구성의 간소화를 실현할 수가 있다.

Claims (5)

  1. 작업기계의 운전에 있어서 평상시에 작업자에게 알리는 통상정보와 작업기계의 동작상태의 이상에 관한 이상정보를 포함하는 통지정보를 생성·관리하는 컨트롤러(CU)와,
    이 컨트롤러로부터 송신되어 온 상기 통지정보를 표시하는 화상표시부(70e)를 구비하고 있는 작업기계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이상정보를 생성한 것을 통지하는 이상발생 통지부(IH)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통상정보를 대신하여 상기 이상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송신하는 것을 상기 컨트롤러에 지령하는,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는 표시지령기(HS)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의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가 또한 통지정보로서 통지필요도가 높은 긴급정보를 생성·관리하고, 이 긴급정보는 상기 통상정보 및 상기 이상정보에 우선시켜서 상기 표시부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의 표시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계의 운전에 관한 복수의 제어기능의 각각의 동작상태와 비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제어상태 표시기(100)로서도 상기 이상발생 통지부(IH)가 기능하고,
    상기 제어기능에 관한 이상통지는 해당하는 제어상태 표시기(100)에 의해 통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의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능 마다에, 이 제어기능을 동작상태 또는 비동작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상기 컨트롤러(CU)에 지령하는 제어전환 지령기(200)가 구비되어 있고, 또한
    상기 표시부로의 이상정보의 송출은, 그 이상정보에 관한 제어기능을 위한 제어전환 지령기(200)가 조작되므로써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의 표시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지령기(HS)가 상기 컨트롤러(CU)에 대하여 통상의 조작지령을 입력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수동조작 지령기와 겸용되어 있으며, 그 조작방법에 의해 표시지령 또는 조작지령이 상기 컨트롤러(CU)에 의해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의 표시장치.
KR10-2000-0011331A 1999-09-29 2000-03-07 작업기계의 표시장치 KR1003735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691899A JP3506971B2 (ja) 1999-09-29 1999-09-29 作業機械の表示装置
JP99-276918 1999-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584A KR20010029584A (ko) 2001-04-06
KR100373588B1 true KR100373588B1 (ko) 2003-02-26

Family

ID=17576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331A KR100373588B1 (ko) 1999-09-29 2000-03-07 작업기계의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506971B2 (ko)
KR (1) KR100373588B1 (ko)
CN (1) CN116910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37080A (zh) * 2009-08-27 2010-02-03 天津工程机械研究院 一种收割机控制系统
KR101040809B1 (ko) * 2009-10-28 2011-06-1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원자로 냉각재 계통 평형 게이트밸브 밀봉부 누설시험장치
JP5650026B2 (ja) * 2011-03-22 2015-01-07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JP5650006B2 (ja) * 2011-02-16 2015-01-07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KR20130122645A (ko) 2011-02-16 2013-11-07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기
JP5650007B2 (ja) * 2011-02-16 2015-01-07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CN102227969A (zh) * 2011-03-30 2011-11-02 中机美诺科技股份有限公司 高度自控式马铃薯联合收获机升运装车装置
CN102239771B (zh) * 2011-04-19 2013-04-17 浙江大学 联合收割机集成监测系统
DE102013226167A1 (de) * 2013-12-17 2015-06-18 Lemförder Electronic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setzen einer elektronischen Anzeigevorrichtung in einen sicheren Zustand und Steuervorrichtung zum Steuern einer elektronischen Anzeigevorrichtung
US9702121B2 (en) * 2014-12-26 2017-07-11 Komatsu Ltd. State information display for work machine, caution-sign displaying method for work machine, and caution-sign displaying program for work machine
JP6698007B2 (ja) * 2016-12-20 2020-05-27 株式会社クボタ 自動走行作業車
JP2019170257A (ja) * 2018-03-28 2019-10-10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JP7476711B2 (ja) 2020-08-03 2024-05-01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584A (ko) 2001-04-06
JP2001095345A (ja) 2001-04-10
CN1289999A (zh) 2001-04-04
JP3506971B2 (ja) 2004-03-15
CN1169109C (zh) 2004-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3588B1 (ko) 작업기계의 표시장치
JPH1146562A (ja) コンバインのモニタ装置
JP4787710B2 (ja) コンバイン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3540967B2 (ja) コンバインの表示装置
JP4887577B2 (ja) コンバイン
JP3506974B2 (ja) 作業機械の表示装置
JP2002084864A (ja) 作業機械の表示装置
JP3853693B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制御装置
JP3761378B2 (ja) 作業機械の表示装置
JP2003184597A (ja) 作業機における制御装置
KR100193456B1 (ko) 작업기계의 표시장치
JP2002065032A (ja) 作業機械の制御装置
JP3447608B2 (ja) 作業機械の制御装置
JP2003033110A (ja) コンバイン
JP3672446B2 (ja) 作業車
JP2001158373A (ja) 作業車の表示装置
JP3418137B2 (ja) 作業機械の制御装置
JP3673656B2 (ja) コンバイン
JP3447607B2 (ja) 作業機械の制御装置
JP3506924B2 (ja) 作業車用の制御装置
JP2002317688A (ja) 農作業機における制御装置
JP2003159959A (ja) 作業機における表示装置
JP3332738B2 (ja) 作業機械の表示装置
JP3782371B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制御装置
JP2612384B2 (ja) 作業機の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