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2410B1 - 자동차의 가속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가속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2410B1
KR100372410B1 KR10-2000-0036572A KR20000036572A KR100372410B1 KR 100372410 B1 KR100372410 B1 KR 100372410B1 KR 20000036572 A KR20000036572 A KR 20000036572A KR 100372410 B1 KR100372410 B1 KR 100372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acceleration
support member
throttle mechanism
accelerator pe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6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2117A (ko
Inventor
강경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36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2410B1/ko
Publication of KR20020002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2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4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6Means, e.g. links, for connecting the pedal to the controlled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가속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속 페달의 레버 아암의 상측에 가속 케이블의 길이 공차 및 조립 공차를 각각 흡수할 수 있는 탄성 회동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이를 매개로 가속 페달의 페달 아암과 스로틀 기구 사이에 배설되는 가속 케이블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전실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가속 페달(10)과, 이 가속 페달(10)에 연결되어 엔진룸과 차실내를 구획짓는 대시 패널(D/P)을 관통하여 스로틀 기구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가속 케이블(20) 및, 이 가속 케이블(20)에 연결되어 엔진의 흡입 공기를 조절하는 스로틀 기구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가속 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페달 아암(12)에는 제1힌지점(H1)을 매개로 케이블 결속부재(16)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페달 아암(12)에는 이로부터 분지되게 지지부재(30)가 결합되며, 이 지지부재(30)에는 제2힌지점(H2)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레버부재(32)가 결합되는 한편, 상기 지지부재(30)와 케이블 결속부재(16) 사이에는 인장 스프링(3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가속 조작장치{acceleration operating device for automotive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가속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속 페달의 레버 아암의 상측에 탄성 회동수단을 구비하여 이를 매개로 가속 페달과 스로틀 기구 사이에 연결되는 가속 케이블의 자동적인 길이조절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가속 케이블의 길이 공차 및 조립 공차가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가속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구비된 가속 조작장치는 크게 엔진으로 공급되는 흡기량을 조절하는 스로틀 기구와, 이 스로틀 기구의 작동을 운전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도록 차실내에 설치된 가속 페달로 구성되어, 상기 가속 페달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비례하여 상기 스로틀 기구에서 스로틀 밸브의 개도가 조절됨으로써, 엔진으로 공급되는 흡기량이 제어되어 엔진의 가/감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가속 조작장치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실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가속 페달(10)과, 이 가속 페달(10)에 연결되어 엔진룸과 차실내를 구획짓는 대시 패널(D/P)을 관통하여 스로틀 기구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가속 케이블(20) 및, 이 가속 케이블(20)에 연결되어 엔진의 흡입 공기를 조절하는 스로틀 기구(도시안됨)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속 페달(10)은 하측 선단에 운전자가 가압하는 답면부(11)를 갖추고서 길게 연장되는 페달 아암(12)과, 이 페달 아암(12)의 중간부위를 차실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피벗지지부재(14) 및, 상기 페달 아암(12)의 상측 선단에 가속 케이블(20)의 일단부와 결합되는 케이블 결속부재(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속 케이블(20)은 유연한 재질의 외피(22)와, 이 외피(22)의 내부에서 장력의 부가시 이동될 수 있는 금속재의 와이어(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 이 와이어(24)의 양측 선단부위는 상기 외피(22)로부터 노출되어 각각 상기 페달 아암(12)의 상측의 케이블 결속부재(16)와 상기 스로틀 기구의 스로틀 밸브를 회동시키는 링크부재(도시안됨)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가속 케이블(20)의 타단 외주에는 조정 너트(26)가 체결되고, 이 조정 너트(26)의 사이에는 케이블 길이조정용 브라켓트(28)가 설치되어 있는 바, 이 케이블 길이조정용 브라켓트(28)는 엔진측에 지지되어 고정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4a,24a'는 각각 와이어(24)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 결속부재(16)와 링크부재에 조립되는 결합용 돌기부재들이고, 미설명부호 26a는 상기 조정 너트(26)와 나사체결되기 위한 나사부이며, 미설명부호 29는 상기 케이블 길이조정용 브라켓트(28)를 엔진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이다.
따라서, 상기 가속 조작장치의 조립시에는, 먼저 상기 가속 케이블(20)의 와이어(24)의 일단부를 당겨 상기 가속 페달(10)의 페달 아암(12)의 상측에 결합된 케이블 결속부재(16)에 연결하고, 상기 가속 케이블(20)의 와이어(24)의 타단부를 스로틀 기구의 링크부재에 연결하며, 상기 가속 케이블(20)의 타단외주에 조정 너트(26)를 매개로 고정된 케이블 길이조정용 브라켓트(28)를 엔진측에 나사체결시켜 조립시킨다.
그리고, 상기 조정 너트(26)를 조절하여 상기 가속 케이블(20)의 와이어(24)에 대한 장력 및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가속 조작장치의 조립시 상기 가속 케이블(20)의 와이어(24)를 적정한 힘 이상으로 당겨 조립할 때에는 엔진의 공회전시 상기 가속 페달(10)의 답면부(11)에 가해지는 가압력 보다 크게 상기 가속 케이블(20)이 당겨지므로, 소음의 증대 및 연비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는 한편, 상기 가속 케이블(20)의 와이어(24)를 적정한 힘 이하로 당겨 조립할 때에는 엔진의 가속시 상기 가속 페달(10)의 유격이 생겨 가속감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속 페달의 레버 아암의 상측에 가속 케이블의 길이 공차 및 조립 공차를 각각 흡수할 수 있는 탄성 회동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이를 매개로 가속 페달의 페달 아암과 스로틀 기구 사이에 배설되는 가속 케이블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전실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가속 페달과, 이 가속 페달에 연결되어 엔진룸과 차실내를 구획짓는 대시 패널을 관통하여 스로틀 기구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가속 케이블 및, 이 가속 케이블에 연결되어 엔진의 흡입 공기를 조절하는 스로틀 기구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가속 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페달 아암에는 제1힌지점을 매개로 케이블 결속부재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페달 아암에는 이로부터 분지되게 지지부재가 결합되며, 이 지지부재에는 제2힌지점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레버부재가 결합되는 한편,상기 지지부재와 케이블 결속부재 사이에는 인장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 결속부재는 인장 스프링의 장력에 의해 가속 케이블의 길이 공차 및 조립 공차를 각각 흡수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가속 조작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속 조작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탄성 회동수단의 작동전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탄성 회동수단의 작동후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가속 페달 12-페달 아암
14-피벗지지부재 16-케이블 결속부재
20-가속 케이블 24-와이어
30-지지부재 32-레버부재
34-인장 스프링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속 조작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실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가속 페달(10)과, 이 가속 페달(10)에 연결되어 엔진룸과 차실내를 구획짓는 대시 패널(D/P)을 관통하여 스로틀 기구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가속 케이블(20)과, 이 가속 케이블(20)에 연결되어 엔진의 흡입 공기를 조절하는 스로틀 기구(도시안됨) 및, 상기 가속 페달(10)과 가속 케이블(20) 사이에 설치되어 가속 케이블(20)의 길이 공차 및 조립 공차를 각각 흡수할 수 있는 탄성 회동수단을 부가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속 페달(10)은 하측 선단에 운전자가 가압하는 답면부(11)를 갖추고서 길게 연장되는 페달 아암(12)과, 이 페달 아암(12)의 중간부위를 차실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피벗지지부재(14) 및, 상기 페달 아암(12)의 상측 선단에 가속 케이블(20)의 일단부와 결합되는 케이블 결속부재(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블 결속부재(16)는 상기 페달 아암(12)의 상측 선단부에 제1힌지점(H1)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속 케이블(20)은 유연한 재질의 외피(22)와, 이 외피(22)의 내부에서 장력의 부가시 이동될 수 있는 금속재의 와이어(24)로 이루어지는 바, 이와이어(24)의 양측 선단부위는 상기 외피(22)로부터 노출되어 각각 상기 페달 아암(12)의 상측에서 제1힌지점(H1)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케이블 결속부재(16)와 상기 스로틀 기구의 스로틀 밸브를 회동시키는 링크부재(도시안됨)에 연결되고, 상기 가속 케이블(20)의 스로틀 기구측과 연결되는 부위에는 케이블 길이조정용 브라켓트(28)가 설치되어 이를 엔진측에 고정시켜 주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 회동수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페달 아암(12)의 상측부에 이로부터 분지되게 고정된 지지부재(30)와, 이 지지부재(30)에 제2힌지점(H2)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레버부재(32) 및, 상기 지지부재(30)와 상기 페달 아암(12)의 상측에 제1힌지점(H1)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케이블 결속부재(16) 사이에 설치된 인장 스프링(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6a와 30a는 각각 상기 인장 스프링(34)의 설치를 위한 돌기부이다.
또한, 상기 레버부재(32)의 일측 선단에는 장공(32a)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결속부재(16)에는 관통구(도시안됨)가 형성되며, 이 관통구를 통해 볼트(B)가 삽입되어 장공(32a)을 지나 너트(N)와 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30)에 대해 케이블 결속부재(16)가 인장 스프링(34)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회동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 결속부재(16)의 관통구로부터 상기 레버부재(32)의 장공(32a)을 지나 삽입된 볼트(B)가 너트(N)와 체결되면, 상기 지지부재(30)에 대한 케이블 결속부재(16)의회동각은 고정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가속 조작장치의 조립은, 먼저 상기 가속 케이블(20)의 와이어(24)의 일단부를 상기 페달 아암(12)의 상측 선단에 제1힌지점(H1)을 매개로 회동되게 결합되는 케이블 결속부재(16)상에 연결시키고, 상기 가속 케이블(20)의 와이어(24)의 타단부를 스로틀 기구의 링크부재에 연결시키게 되면, 상기 케이블 결속부재(16)가 탄성 회동수단의 인장 스프링(34)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부재(30)측으로 회동되고, 이때 상기 케이블 결속부재(16)와 레버부재(32) 사이를 연결하는 볼트(B)를 레버부재(32)의 장공(32a)내에서 너트(N)를 매개로 체결시켜, 상기 지지부재(30)에 대한 케이블 결속부재(16)의 회동각을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면 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30)에 대한 케이블 결속부재(16)의 회동각의 고정은 상기 가속 케이블(20)의 와이어(24)에 대한 장력이 적절하게 조절된 시점에서 이루어지게 됨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가속 조작장치의 조립이 이루어지면, 엔진의 공회전시나 가속시 상기 가속 페달(10)의 답면부(11)에 가해지는 답력의 정도에 따라 상기 가속 케이블(20)의 와이어(24)가 일정하게 당겨져 엔진의 출력이 정상적으로 증가 내지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엔진의 공회전시 상기 가속 페달(10)의 답면부(11)에 가해지는 가압력 보다 크게 상기 가속 케이블(20)이 당겨져 엔진에서의 소음 증대 및 연비의 저하는 초래하지 않게 되고, 엔진의 가속시 상기 가속 페달(10)의 답면부(11)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대해 가속 페달(10)의 유격도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속 페달(10)과 엔진의 스로틀 기구 사이에 설치되는 가속 케이블(20)의 길이 공차 및 조립 공차를 각각 상기 가속 페달(1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탄성 회동수단을 매개로 흡수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가속 케이블(20)의 조립시 별도의 확인 공정이 불필요해 지고, 상기 가속 페달(10)의 상단부에 중량의 증가로 인해 엔진으로부터 가속 케이블(20)을 통해 가속 페달(10)로 전달되는 잔진동이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속 케이블(20)의 설치후 길이 공차 및 조립 공차를 상기와 같이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게 되면, 상기 가속 페달(10)과 엔진의 스로틀 기구 사이에서 가속 케이블(20)의 설치에 소요되는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운전실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가속 페달(10)과, 이 가속 페달(10)에 연결되어 엔진룸과 차실내를 구획짓는 대시 패널(D/P)을 관통하여 스로틀 기구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가속 케이블(20) 및, 이 가속 케이블(20)에 연결되어 엔진의 흡입 공기를 조절하는 스로틀 기구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가속 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페달 아암(12)에는 제1힌지점(H1)을 매개로 케이블 결속부재(16)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페달 아암(12)에는 이로부터 분지되게 지지부재(30)가 결합되며, 이 지지부재(30)에는 제2힌지점(H2)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레버부재(32)가 결합되는 한편, 상기 지지부재(30)와 케이블 결속부재(16) 사이에는 인장 스프링(34)이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 결속부재(16)는 인장 스프링(34)의 장력에 의해 가속 케이블(20)의 길이 공차 및 조립 공차를 각각 흡수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가속 조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32)에는 장공(32a)이 형성되고, 이 장공(32a)으로 상기 케이블 결속부재(16)를 관통한 볼트(B)가 삽입되어 너트(N)를 매개로 체결되어, 상기 지지부재(30)에 대한 상기 케이블 결속부재(16)의 탄력적인 회동정도를 인위적으로 고정시켜 제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가속 조작장치.
KR10-2000-0036572A 2000-06-29 2000-06-29 자동차의 가속 조작장치 KR100372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6572A KR100372410B1 (ko) 2000-06-29 2000-06-29 자동차의 가속 조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6572A KR100372410B1 (ko) 2000-06-29 2000-06-29 자동차의 가속 조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2117A KR20020002117A (ko) 2002-01-09
KR100372410B1 true KR100372410B1 (ko) 2003-02-17

Family

ID=19674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6572A KR100372410B1 (ko) 2000-06-29 2000-06-29 자동차의 가속 조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24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2640B2 (en) * 2008-10-30 2013-09-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ightweight cantilever control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7053Y1 (ko) * 1996-12-28 1999-09-15 양재신 차량용 가속페달 케이블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한 구조
KR100249547B1 (ko) * 1996-12-06 2000-04-01 정몽규 자동차의 가속페달 로드레버 장력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9547B1 (ko) * 1996-12-06 2000-04-01 정몽규 자동차의 가속페달 로드레버 장력조절장치
KR200157053Y1 (ko) * 1996-12-28 1999-09-15 양재신 차량용 가속페달 케이블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한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2117A (ko) 2002-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72373B1 (en) Vehicular accelerator pedal apparatus
KR100372410B1 (ko) 자동차의 가속 조작장치
US5865067A (en) Pedal mounting structure and method of installing a pedal in an automotive vehicle
KR100361298B1 (ko) 자동차용 액셀케이블의 장력조절장치
KR200157132Y1 (ko) 자동차 가속페달의 스토퍼장치
KR100456519B1 (ko) 자동차의 가속 페달
JPS5845965Y2 (ja) パ−キングブレ−キのインタミディトレバの取付構造
KR200251524Y1 (ko) 자동차의 가속페달구조
KR200152923Y1 (ko) 자동차의 가속케이블 그로메트 취부구조
KR19990019111U (ko) 악셀 케이블의 차체 마운팅용 방진고무
JP3252599B2 (ja) アクセルペダル構造
KR200161582Y1 (ko) 자동차용 액셀 케이블
KR19980061318A (ko) 자동차용 액셀페달의 설치구조
KR100407274B1 (ko) 차량의 정속주행장치
KR100839472B1 (ko) 가속페달 장치
JPH08175217A (ja) アクセル作動装置
KR200260503Y1 (ko) 차량의 엑셀레이터 케이블 지지구조
KR200150761Y1 (ko) 엔진의 스로틀 밸브 개폐기구
KR19990020886U (ko) 차량의 가속페달 구조
KR200152714Y1 (ko) 악셀러레이터 페달 급가속 방지장치
JP2579217Y2 (ja) アクセルペダルの過負荷防止機構
KR19990019184A (ko) 차량의 가속페달
KR0122030Y1 (ko) 드로틀 밸브 열림도 조정장치
KR19980041477U (ko) 엑셀러레이터의 진동방지용 그로밋
KR19980020425A (ko) 웨이트가 장착된 악셀레이터 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