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1298B1 - 자동차용 액셀케이블의 장력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액셀케이블의 장력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1298B1
KR100361298B1 KR1020000063735A KR20000063735A KR100361298B1 KR 100361298 B1 KR100361298 B1 KR 100361298B1 KR 1020000063735 A KR1020000063735 A KR 1020000063735A KR 20000063735 A KR20000063735 A KR 20000063735A KR 100361298 B1 KR100361298 B1 KR 100361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lerator cable
tension
accelerator
tension contro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3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2948A (ko
Inventor
강경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3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1298B1/ko
Publication of KR20020032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2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2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4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means connecting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to propulsion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4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control lin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exible Shaft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액셀케이블의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액셀케이블(3)이 대쉬패널(7)쪽으로 당겨지면서 액셀케이블와이어(2)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된 장력조절장치(30)가, 일단이 엔진룸쪽을 향하는 액셀케이블(3)과 연결되고 타단이 액셀케이블와이어(2)와 연결되면서 외주면에는 등간격을 이루는 다수개의 고정홈(31a)과 걸림턱(31b)이 구비되도록 된 고정축부재(31)와, 이 고정축부재(31)에 끼워져서 축방향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됨은 물론 고정부재(15)를 매개로 엔진룸측의 차체패널에 고정되는 액셀케이블마운팅브라켓트(11)와 결합되도록 된 장력조절원통부재(32)와, 이 장력조절원통부재(32)와 상기 걸림턱(31b)사이에 탄설되는 탄성부재(33)와, 상기 고정홈(31a)에 끼워져 장력조절원통부재(32)의 선단면을 지지하면서 이 장력조절원통부재(32)가 고정축부재(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고정클립부재(34)로 이루어져, 상기 액셀케이블(3)이 대쉬패널(7)쪽으로 너무 과도하게 잡아당겨지는 것과 너무 느슨하게 잡아당겨지는 것이 예방되므로, 연비가 감소되는 것이 예방되면서 상기 액셀페달(1)에 유격이 발생되는 것이 예방됨은 물론, 상기 액셀페달(1)의 작동소음이 감소되면서 주행성능의 감소가 예방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액셀케이블의 장력조절장치{TENSION CONTROL DEVICE OF ACCEL CABLE FOR VEHICLE}
본 발명은 액셀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셀케이블의 장력이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조절되어 액셀페달의 작동소음이 감소되면서 연비가 감소되는 것이 방지됨과 더불어 엔진측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액셀케이블의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엑셀페달의 조작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발을 이용해 조작하도록 된 액셀페달(1)과, 내부에 삽입된 액셀케이블와이어(2)를 매개로 상기 액셀페달(1)과 연결되는 액셀케이블(3)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액셀페달(1)의 소정부위는 회전축(4) 및 리턴스프링(5)에 의해 탄성적인 회동이 가능하도록 액셀페달마운팅브라켓트(6)과 결합되고, 이 액셀페달마운팅브라켓트(6)는 대쉬패널(7)의 바닥면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액셀케이블(3)의 양단을 통해 돌출된 액셀케이블와이어(2)의 일단은 소정의 연결브라켓트(8)를 매개로 상기 액셀페달(1)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액셀케이블와이어(2)의 타단에 구비된 와이어엔드부(9)는 인젝션펌프(미도시)와 연결되도록 설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액셀케이블(3)의 일단은 다수개의 고정부재(10)에 의해 대쉬패널(7)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면서, 타단은 액셀케이블마운팅브라켓트(11)를 매개로 엔진룸측의 차체패널쪽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액셀케이블마운팅브라켓트(11)를 중심으로 좌우측의 액셀케이블(3)에는 제1,2조정너트(12,13)가 각각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이 제1,2조정너트(12,13)를 이용해 액셀케이블와이어(2)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즉, 작업자가 상기 액셀케이블와이어(2)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2조정너트(12,13)의 결합을 해체한 후 상기 액셀케이블(3)을 손으로 잡고 일정한 힘으로써 대쉬패널(7)쪽으로 잡아당겨 준 다음, 상기 제1,2조정너트(12,13)를 재차 결합시켜 대쉬패널(7)쪽으로 이동된 액셀케이블(3)을 그 위치에서 고정시켜 줌으로써 장력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으로 액셀케이블와이어(2)의 장력을 조절함에 있어서, 작업자가 상기 액셀케이블(3)을 대쉬패널(7)쪽으로 너무 과도하게 잡아당겨 주게 되면, 인젝션펌프와 연결된 상기 와이어엔드부(9)가 대쉬패널(7)쪽으로 이동되면서 액셀페달(1)을 밟아줄 때와 동일한 현상이 발생되어 심한소음이 발생됨은 물론 연비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상기 액셀케이블(3)을 적정한 힘 이하로 잡아당겨 주게 되면, 상기 와이어엔드부(9)의 위치이동은 없게되나, 상기 액셀케이블와이어(2)의 장력이 느슨해져 액셀페달(1)에 유격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상기 액셀페달(1)의 작동소음도 심하게 발생되며, 이로인해 주행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같은 모든 문제점들을 모두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액셀케이블의 장력을 정확하면서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장치를상기 액셀케이블의 일단에 장착하여, 상기 액셀케이블이 대쉬패널쪽으로 너무 과도하게 잡아당겨지는 것과 너무 느슨하게 잡아당겨지는 것을 예방함으로써, 연비가 감소되는 것을 예방함과 더불어 액셀페달에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고, 상기 액셀페달의 작동소음을 감소시키면서 주행성능이 감소되는 것을 예방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액셀케이블의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단이 엔진룸쪽을 향하는 액셀케이블과 연결되고 타단이 액셀케이블와이어와 연결되면서 외주면에는 등간격을 이루는 다수개의 고정홈과 걸림턱이 구비되도록 된 고정축부재와, 이 고정축부재에 끼워져서 축방향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됨은 물론 고정부재를 매개로 엔진룸측의 차체패널에 고정되는 액셀케이블마운팅브라켓트와 결합되도록 된 장력조절원통부재와, 이 장력조절원통부재와 상기 걸림턱사이에 탄설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고정홈에 끼워져 장력조절원통부재의 선단면을 지지하면서 이 장력조절원통부재가 고정축부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고정클립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액셀페달조작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셀케이블의 장력조절장치가 액셀페달조작기구에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절원통부재와 고정클립부재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액셀페달 2 - 액셀케이블와이어
3 - 액셀케이블 11 - 액셀케이블마운팅브라켓트
15 - 고정부재 30 - 장력조절장치
31 - 고정축부재 31a - 고정홈
31b - 걸림턱 32 - 장력조절원통부재
33 - 탄성부재 34 - 고정클립부재
34a - 결합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셀케이블의 장력조절장치가 액셀페달조작기구에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절장치(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셀페달조작기구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액셀페달의 조작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발을 이용해 조작하도록 된 액셀페달(1)과, 내부에 삽입된 액셀케이블와이어(2)를 매개로 상기 액셀페달(1)과 연결되는 액셀케이블(3)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액셀페달(1)의 소정부위는 회전축(4) 및 리턴스프링(5)에 의해 탄성적인 회동이 가능하도록 액셀페달마운팅브라켓트(6)과 결합되고, 이 액셀페달마운팅브라켓트(6)는 대쉬패널(7)의 바닥면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액셀케이블(3)의 양단을 통해 돌출된 액셀케이블와이어(2)의 일단은 소정의 연결브라켓트(8)를 매개로 상기 액셀페달(1)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액셀케이블와이어(2)의 타단에 구비된 와이어엔드부(9)는 인젝션펌프(미도시)와 연결되도록 설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액셀케이블(3)의 일단은 다수개의 고정부재(10)에 의해 대쉬패널(7)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액셀케이블(3)의 일단 즉 엔진룸쪽을 향하는 액셀케이블(3)의 일단에는, 선단부가 상기 액셀케이블와이어(2)와 연결되어 액셀케이블와이어(2)를 대쉬패널(7)쪽으로 당기면서 장력을 조절하도록 된 장력조절장치(30)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장력조절장치(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엔진룸쪽을 향하는 액셀케이블(3)과 연결되고 타단이 액셀케이블와이어(2)와 연결되면서 외주면에는 등간격을 이루는 다수개의 고정홈(31a)과 걸림턱(31b)이 구비되도록 된고정축부재(31)와, 이 고정축부재(31)에 끼워져서 축방향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됨은 물론 스크류와 같은 고정부재(15)를 매개로 엔진룸측의 차체패널(미도시)에 고정되는 액셀케이블마운팅브라켓트(11)와 결합되도록 된 장력조절원통부재(32)와, 이 장력조절원통부재(32)와 상기 걸림턱(31b)사이에 탄설되어 상기 장력조절원통부재(32)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된 압축스프링의 탄성부재(33)와, 상기 고정홈(31a)에 끼워져 장력조절원통부재(32)의 선단면을 지지하면서 이 장력조절원통부재(32)가 탄성부재(33)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축부재(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고정클립부재(34)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걸림턱(31b)은 액셀케이블(3)과 근접되는 고정축부재(31)의 후미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클립부재(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홈(31a)의 폭(D)보다 약간 작은 두께(T)로 형성됨은 물론, 상기 고정클립부재(34)에는 상기 고정홈(31a)에 끼워져 결합되는 소정형상의 결합홈(34a)이 아랫방향으로 개구되게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원통부재(32)는,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진동 및 소음이 액셀케이블(3)과 액셀페달(1)을 통해 운전자에게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키도록 된 고무재질의 댐퍼(damper)로 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고정축부재(31)에 끼워진 장력조절원통부재(32)를 일정한 힘으로서 상기 고정축부재(31)에 구비된 걸림턱(31b)방향으로 잡아당겨 주게 되면, 상기 장력조절원통부재(32)가 탄성부재(33)에 의해 탄력적으로 이동되게 되며, 상기 장력조절원통부재(32)의 이동에 의해 액셀케이블와이어(2)의 장력이 적당하도록 조절되면, 상기 고정축부재(31)의 고정홈(31a)으로 고정클립부재(34)를 끼워서 장력조절원통부재(32)의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축부재(31)와 고정클립부재(34)의 결합은, 상기 고정홈(31a)과 결합홈(34a)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장력조절원통부재(32)의 이동에 의해 액셀케이블와이어(2)의 장력이 조절되면, 상기 장력조절원통부재(32)와 결합된 액셀케이블마운팅브라켓트(11)를 고정부재(15)를 이용하여 엔진룸측의 차체패널(미도시)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액셀케이블와이어(2)의 장력이 조절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 액셀케이블와이어(2)의 장력이 정확하면서도 간편하게 조절되므로, 상기 액셀케이블(3)이 대쉬패널(7)쪽으로 너무 과도하게 잡아당겨지는 것과 너무 느슨하게 잡아당겨지는 것이 예방될 뿐만 아니라, 연비의 감소와 상기 액셀페달(1)에 유격이 발생되는 것이 예방됨은 물론, 상기 액셀페달(1)의 작동소음이 감소되면서 주행성능의 감소가 예방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액셀케이블의 일단에 액셀케이블와이어의 장력을 정확하면서도 간편하게 조절하도록 된 장력조절장치가 장착되어져, 상기 액셀케이블이 대쉬패널쪽으로 너무 과도하게 잡아당겨지는 것과 너무 느슨하게 잡아당겨지는 것이 예방되므로, 연비가 감소되는 것이 예방되면서 상기 액셀페달에 유격이 발생되는 것이 예방됨은 물론, 상기 액셀페달의 작동소음이 감소되면서 주행성능의 감소가 예방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일단이 엔진룸쪽을 향하는 액셀케이블과 연결되고 타단이 액셀케이블와이어와 연결되면서 외주면에는 등간격을 이루는 다수개의 고정홈과 걸림턱이 구비되도록 된 고정축부재와, 이 고정축부재에 끼워져서 축방향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됨은 물론 고정부재를 매개로 엔진룸측의 차체패널에 고정되는 액셀케이블마운팅브라켓트와 결합되도록 된 장력조절원통부재와, 이 장력조절원통부재와 상기 걸림턱사이에 탄설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고정홈에 끼워져 장력조절원통부재의 선단면을 지지하면서 이 장력조절원통부재가 고정축부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고정클립부재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액셀케이블의 장력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부재가, 상기 고정홈의 폭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이 아랫방향으로 개구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액셀케이블의 장력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원통부재가,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진동 및 소음이 액셀케이블을 통해 운전자에게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고무댐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액셀케이블의 장력조절장치.
KR1020000063735A 2000-10-28 2000-10-28 자동차용 액셀케이블의 장력조절장치 KR100361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3735A KR100361298B1 (ko) 2000-10-28 2000-10-28 자동차용 액셀케이블의 장력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3735A KR100361298B1 (ko) 2000-10-28 2000-10-28 자동차용 액셀케이블의 장력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2948A KR20020032948A (ko) 2002-05-04
KR100361298B1 true KR100361298B1 (ko) 2002-11-22

Family

ID=19695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3735A KR100361298B1 (ko) 2000-10-28 2000-10-28 자동차용 액셀케이블의 장력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12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809B1 (ko) 2014-09-22 2015-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적정유격을 유지하는 자동조정기구 및 이를 위한 a/s 웨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29669A (zh) * 2014-06-28 2014-09-10 柳州市二和汽车零部件有限公司 汽车刹车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3030U (ko) * 1995-12-30 1997-07-29 악셀레이터 케이블의 길이조절장치
KR19980047385U (ko) * 1996-12-28 1998-09-25 양재신 차량용 가속페달 케이블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한 구조
KR19980054476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길이조절수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3030U (ko) * 1995-12-30 1997-07-29 악셀레이터 케이블의 길이조절장치
KR19980047385U (ko) * 1996-12-28 1998-09-25 양재신 차량용 가속페달 케이블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한 구조
KR19980054476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길이조절수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809B1 (ko) 2014-09-22 2015-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적정유격을 유지하는 자동조정기구 및 이를 위한 a/s 웨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2948A (ko) 200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8114B2 (en) Electronic throttle control accelerator pedal mechanism with mechanical hysteresis provider
EP0943835B1 (en) pedal device for vehicle having a friction damper
US6834564B2 (en) Accelerator pedal module
KR100851320B1 (ko) 답력 및 히스테리시스 조절기능을 갖춘 페달장치
KR100395738B1 (ko) 조절가능한 페달-평행한 나사와 로드
KR100361298B1 (ko) 자동차용 액셀케이블의 장력조절장치
US7093686B2 (en) Cruise control device for vehicles
KR100348042B1 (ko) 차량의 가속페달 설치장치
KR100969097B1 (ko) 가속 페달의 스톱퍼 장치
KR100372410B1 (ko) 자동차의 가속 조작장치
KR100249547B1 (ko) 자동차의 가속페달 로드레버 장력조절장치
KR100376399B1 (ko) 전자식 가속페달장치
JP2004124713A (ja) エンジンスピード制御装置
JPH0232934Y2 (ko)
GB2275316A (en) Adjustable cable installation in a motor vehicle
KR100405496B1 (ko) 자동차용 케이블 어셈블리
KR970035943A (ko) 자동차의 케이블 조절장치
KR100361815B1 (ko) 파킹 케이블의 장력조정 너트
KR100435777B1 (ko) 차량의 엔진 회전수 보상장치
KR101361781B1 (ko) 차량용 속도 고정장치
KR0119989Y1 (ko) 엑셀러레이터 페달의 조작력 선형화장치
KR100839472B1 (ko) 가속페달 장치
JPS6027694Y2 (ja) 車両用ケ−ブル式クラツチレリ−ズ機構の防振構造
KR0113445Y1 (ko) 클러치 페달의 유격보상장치
KR19980033351U (ko) 자동차용 악셀 케이블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