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8809B1 - 적정유격을 유지하는 자동조정기구 및 이를 위한 a/s 웨지 - Google Patents

적정유격을 유지하는 자동조정기구 및 이를 위한 a/s 웨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809B1
KR101558809B1 KR1020140125856A KR20140125856A KR101558809B1 KR 101558809 B1 KR101558809 B1 KR 101558809B1 KR 1020140125856 A KR1020140125856 A KR 1020140125856A KR 20140125856 A KR20140125856 A KR 20140125856A KR 101558809 B1 KR101558809 B1 KR 101558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spring
automatic adjustment
case
adjustment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5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직
김은식
김우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5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8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정유격을 유지하는 자동조정기구 및 이를 위한 A/S 웨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정기구는 일측면이 개방된 박스(box)형태이고, 타측면에는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공 주위에 돌출부가 형성된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상부 내벽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스프링 지지 로드(20); 상기 스프링 지지 로드(20)를 둘러싸고, 상면은 상기 케이스(10)의 상부 내벽과 맞닿은 제 1 스프링(30); 상기 제 1 스프링(30)의 하면과 제 1 웨지(40)의 상면이 맞닿고, 상기 제 1 웨지(40)의 하면은 상기 제 1 웨지(40)의 상면에 대해 상기 관통공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며, 상기 제 1 웨지(40)의 하면은 톱니형태의 홈이 파인 상기 제 1 웨지(40); 상기 제 1 웨지(40)의 하면과 제 2 웨지(50)의 측면이 맞닿고, 상기 제 2 웨지(50)의 측면에는 상기 제 1 웨지(40)의 홈과 맞물리는 톱니형태의 홈이 파인 원뿔형태의 제 2 웨지(50); 및 상기 케이스(10)의 돌출부를 둘러싸고, 상기 제 2 웨지(50)의 원형 평면과 상기 케이스(10)의 측면 사이에 배치된 제 2 스프링(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조정작업을 생략하여 조립 산포(작업자에 의한 조정)에 의한 품질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적다. 또한, 내구 후 클러치케이블(특히 이너케이블)의 길이 증대를 흡수하여, 유격의 과다(FreePlay) 또는 여유 스트로크 부족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자동 조정이 완료된 후 스프링의 압출력에 의해 클러치케이블의 위치가 확실하게 고정되어, 클러치 페달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A/S 웨지를 삽입한 후 클립을 결합시키면 자동조정기구를 손쉽게 수리 및 탈거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정유격을 유지하는 자동조정기구 및 이를 위한 A/S 웨지{AUTOMATIC ADJUSTMENT APPARATUS TO MAINTAIN THE PROPER FREEPLAY AND A/S WEDGE THEREFOR}
본 발명은 적정유격을 유지하는 자동조정기구 및 이를 위한 A/S 웨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과정의 불량 또는 내구로 인한 클러치 케이블의 길이 증대에 따른 유격의 증가를 방지하여 적정유격을 유지하는 자동조정기구 및 이를 위한 A/S 웨지에 관한 것이다.
수동차량은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밟고 떼는 동작으로 동력차단 및 전달을 할 수 있다. 이는 클러치페달과 클러치 릴리즈 레버를 연결하는 클러치 케이블이 있기에 가능한 구조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케이블은 조립과정에서 작업자가 일일이 조정작업을 해줘야 하는데, 작업자의 숙련도와 개인차에 따라서 차이가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이 작업자에 의존하는 기존의 조정작업은 조립산포로 인해, Meet Point의 불명확, 유격(FreePlay)의 과다, 여유 스트로크의 부족 등 고질적인 품질문제를 일으켰다. 또한, 조립을 제대로 하여도 내구가 진행되면 클러치케이블(특히 이너케이블)의 길이가 늘어난다. 이에 따라 유격(FreePlay)의 증대 및 여유 스트로크의 감소 등의 품질문제가 발생한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0-0015825호 (2000.08.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구학적 메커니즘에 의해서 조립과 동시에 균일한 조정작업이 완료되고, 내구로 인한 클러치 케이블(특히 이너케이블)의 길이 증대를 흡수하여, 유격의 과다(FreePlay) 또는 여유 스트로크 부족 문제를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정유격을 유지하는 자동조정기구는 일측면이 개방된 박스(box)형태이고, 타측면에는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공 주위에 돌출부가 형성된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상부 내벽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스프링 지지 로드(20); 상기 스프링 지지 로드(20)를 둘러싸고, 상면은 상기 케이스(10)의 상부 내벽과 맞닿은 제 1 스프링(30); 상기 제 1 스프링(30)의 하면과 제 1 웨지(40)의 상면이 맞닿고, 상기 제 1 웨지(40)의 하면은 상기 제 1 웨지(40)의 상면에 대해 상기 관통공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며, 상기 제 1 웨지(40)의 하면은 톱니형태의 홈이 파인 상기 제 1 웨지(40); 상기 제 1 웨지(40)의 하면과 제 2 웨지(50)의 측면이 맞닿고, 상기 제 2 웨지(50)의 측면에는 상기 제 1 웨지(40)의 홈과 맞물리는 톱니형태의 홈이 파인 원뿔형태의 제 2 웨지(50); 및 상기 케이스(10)의 돌출부를 둘러싸고, 상기 제 2 웨지(50)의 원형 평면과 상기 케이스(10)의 측면 사이에 배치된 제 2 스프링(60);을 포함한다.
상기 적정유격을 유지하는 자동조정기구는 상기 케이스(10)의 개방된 일 측면과 수직한 측면에, 상기 제 1 웨지(40)의 수직운동을 가이드 하도록 수직방향으로 돌출한, 복수의 제 1 웨지 가이드(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정유격을 유지하는 자동조정기구는 상기 제 1 웨지(40)의 측면에, 상기 제 1 웨지 가이드(70)가 끼워지는 복수의 홈(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정유격을 유지하는 자동조정기구는 상기 케이스(10)는 개방된 측면 방향으로 이와 수직한 양 측면이 확장되고, 확장된 양 측면에 수직한 페달 체결부(9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정유격을 유지하는 자동조정기구는 상기 페달 체결부(90)에 연결되는 클러치 페달(1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정유격을 유지하는 자동조정기구는 상기 제 2 웨지(50)의 원형의 저면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클러치 케이블(1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정유격을 유지하는 자동조정기구는 상기 자동 조정기구의 수리 또는 탈거를 위해 상기 제 2 스프링(60)을 압축하는 경우에는, 이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클러치 케이블(110)에 끼워지는 클립(1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A/S 웨지는 상기 자동 조정기구의 수리 또는 탈거를 위해, 상기 제 1 스프링(30) 및 상기 제 2 스프링(60)을 압축시킨다.
상기 A/S 웨지(130)는 일 측면이 사다리꼴인 육면체이고, 상기 제 2 웨지(50)와 맞닿는 면에 구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조정작업을 생략하여 조립 산포(작업자에 의한 조정)에 의한 품질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적다.
또한, 내구 후 클러치케이블(특히 이너케이블)의 길이 증대를 흡수하여, 유격의 과다(FreePlay) 또는 여유 스트로크 부족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자동 조정이 완료된 후 스프링의 압출력에 의해 클러치케이블의 위치가 확실하게 고정되어, 클러치 페달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A/S 웨지를 삽입한 후 클립을 결합시키면 자동조정기구를 손쉽게 수리 및 탈거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클러치 페달, 클러치 케이블, 변속기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클러치 케이블과 변속기의 연결 부위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정기구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정기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정기구의 정면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정기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정기구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정기구의 조립 및 유격 조정에 의한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정기구의 내구에 의한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A/S 웨지를 이용한 수리 또는 탈거를 설명하는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정기구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정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정기구의 정면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정기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정유격을 유지하는 자동조정기구는, 엔진룸 측에서 클러치 케이블을 조정하던 종래기술과 달리, 클러치 케이블과 클러치 페달의 접합부에 배치된다. 상기 자동조정기구는 케이스(10), 스프링 지지 로드(20), 제 1 스프링(30), 제 1 웨지(40), 제 2 웨지(50), 제 2 스프링(60), 제 1 웨지 가이드(70), 홈(80), 페달 체결부(90), 클러치 페달(100), 클러치 케이블(110), 클립(120), A/S 웨지(130)를 포함한다.
케이스(10)는 일측면이 개방된 박스(box)형태이고, 타측면에는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공 주위에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 및 돌출부를 통해 클러치 케이블(110)이 제 2 웨지(50)와 연결된다.
스프링 지지 로드(20)는 상기 케이스(10)의 상부 내벽에서 수직으로 돌출된다. 스프링 지지 로드(20)는 원 기둥 형태일 수 있다. 제 1 스프링(30)은 상기 스프링 지지 로드(20)를 둘러싸고, 제 1 스프링(30)의 상면은 상기 케이스(10)의 상부 내벽과 맞닿으며, 제 1 스프링(30)의 하면은 제 1 웨지(40)의 상면과 맞닿는다.
제 1 웨지(40)의 하면은 상기 제 1 웨지(40)의 상면에 대해 관통공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져 있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웨지(40)는 평행한 양 측면이 사다리꼴 또는 삼각형 형태이고, 케이스의 개방된 측면 방향의 면이 넓고 이와 마주보는 면이 좁은 육면체 또는 사면체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 1 웨지(40)의 하면은 톱니형태의 홈이 파여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톱니형태는 일 면이 상기 케이스(10)의 평면과 수직을 이루고, 톱니의 산은 90도 이하의 예각을 가질 수 있다.
제 2 웨지(50)는 원뿔 형태이다. 제 2 웨지(50)의 측면과 제 1 웨지(40)의 저면이 맞닿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제 2 웨지(50)의 측면에는 제 1 웨지(40)의 홈과 맞물리는 톱니형태의 홈이 파여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스프링(30)이 압축하중에 의해 휘는 좌굴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스프링 지지 로드(20)의 길이를 연장하고 제 1 웨지(40)에 홀을 구성하여 직진도를 높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스프링(60)은 상기 케이스(10)의 돌출부를 둘러싸고, 상기 제 2 웨지(50)의 원형 저면과 상기 케이스(10)의 측면에 맞닿는다.
제 1 웨지 가이드(70)는 상기 케이스(10)의 개방된 일 측면과 수직한 측면에, 상기 제 1 웨지(40)의 수직운동을 가이드 하도록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 웨지(40)의 측면에 복수의 홈(80)이 배치된다. 상기 홈(80)에는 상기 제 1 웨지 가이드(70)가 끼워지게 된다. 제 1 웨지 가이드(7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제 1 웨지 가이드(70)는 제 1 웨지의 수직운동시 제 1 웨지의 궤적이 바뀌는 것을 방지하여, 클러치 케이블의 위치를 확실히 고정하기 위해, 케이스(10)의 좌우 측벽 내부에 각각 2개 이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10)는 개방된 측면 방향으로 이와 수직한 양 측면이 확장되고, 확장된 양 측면에 수직한 페달 체결부(90)가 배치된다. 페달 체결부(90)는 바(bar)형태로써, 클러치 페달(100)이 연결되어 클러치 페달(100)의 작동에 따라 케이스(10)에 답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클러치 케이블(110)은 상기 제 2 웨지(50)의 원형의 저면에 수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클러치 페달(100), 자동조정기구 및 클러치 케이블(110)이 연결되어 클러치 페달(100)의 작동에 따른 답력을 변속기에 전달하게 된다.
클립(120)은 상기 자동조정기구를 고정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자동 조정기구의 수리 또는 탈거를 위해 상기 제 2 스프링(60)을 압축하는 경우에는, 이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클러치 케이블(110)에 끼워진다.
A/S 웨지(130)는 자동 조정기구의 수리 또는 탈거를 위해, 상기 제 1 스프링(30) 및 상기 제 2 스프링(60)을 압축시키는 구성으로서, 일 측면이 사다리꼴인 육면체이고, 상기 제 2 웨지(50)와 맞닿는 면에 구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정기구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정기구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및 수학식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정기구는 제 2 웨지(50)의 단면을 기준으로 제 2 웨지(50)의 축으로부터 원뿔의 측면이 이루는 각도(
Figure 112014089626101-pat00001
)가 작을수록, 제 1 스프링(30)의 방향과 제 1 웨지(40)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이 유사하게 되어, 제 1 웨지(40)에 큰 힘이 가해진다. 이 힘이 제 1 스프링(30)을 압축하여 탄성력으로 저장되고, 클러치 케이블(110)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Figure 112014089626101-pat00002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정기구의 조립 및 유격 조정에 의한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정기구의 내구에 의한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자동조정기구를 클러치 페달(100)에 조립하기 전에는 클러치 케이블(110)에 클립(120)이 끼워져 있다. 클립(120)에 의해 제 2 스프링은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에 따라 제 2 웨지(50) 역시 제 2 스프링(60)과 함께 후퇴한 상태가 된다. 제 1 웨지(40)의 저면은 제 2 웨지(50)의 측면과 접한 상태가 유지되므로 제 1 웨지(40) 및 제 1 스프링(70)은 하강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로써 클러치 케이블(110)의 길이가 최대인 상태로 유지되며, 페달 체결부(900)에 클러치 페달(100)을 체결하는 것이 용이하다.
상기와 같이, 페달 체결부(900)에 클러치 페달(100)을 체결한 후에는 클립(120)을 제거한다. 클립(120)을 제거하면 제 2 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해 제 2 웨지(50)가 전진하고, 이에 따라 제 2 웨지(50)와 접하고 있는 제 1 웨지(40)가 상승하게 된다. 이로써, 제 2 스프링(60)에 의해 클러치 케이블(110)의 유격이 자동으로 조정되고, 차량의 진동 등에 의해 유격이 발생하더라도 제 1 스프링(30) 및 제 2 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해 유격이 자동으로 흡수되게 된다.
이는 내구에 의한 유격이 발생한 경우에도 같다. 즉, 클러치 케이블(110)의 장기간의 사용으로 인한 내구에 의한 유격이 발생하면, 제 2 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해 제 2 웨지(50)가 전진하여 클러치 케이블(110)의 유격을 제거한다. 제 1 웨지(40) 및 제 2 웨지(50)의 톱니형태의 홈은 서로 겹치는 방향으로는 전진할 수 있고, 당기는 방향에 대해서는 저항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클러치 케이블(110)의 유격이 발생하면 제 2 웨지(50)가 전진하여 유격을 제거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A/S 웨지를 이용한 수리 또는 탈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정장치의 수리가 필요하거나, 클러치 페달로부터 탈거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A/S 웨지(130)를 자동조정장치에 삽입한다. A/S 웨지(130)는 측면에서 볼 때에는 진입구는 낮고 끝단은 높은 형상이고, 정면에서 볼 때에는 제 2 웨지(50)의 원뿔 끝단부를 회피하기 위해 가운데 부분이 파여진 형태이다. A/S 웨지(130)는 자동조정장치의 케이스(10)의 개방된 일 측면 및 페달 체결부(90)의 아래쪽으로 삽입된다.
A/S 웨지(130)를 자동조정장치에 삽입한 후에는 A/S 웨지(130)를 회전시켜서 밀어붙인다. 이때 제 1 웨지(40)는 위로 밀고, 제 2 웨지(50)는 앞으로 밀어, 제 1 스프링(30) 및 제 2 스프링(60)이 압축된다.
A/S 웨지(130)를 회전시켜서 민 후에는 제 1 스프링(30) 및 제 2 스프링(60)이 충분히 압축되었다고 판단시, 클러치 케이블(110)에 클립(120)을 끼움으로써, 제 1 스프링(30) 및 제 2 스프링(60)을 고정시키고, A/S 웨지(130)를 제거하여, 자동조정장치를 수리 또는 탈거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 케이스
20 스프링 지지 로드
30 제 1 스프링
40 제 1 웨지
50 제 2 웨지
60 제 2 스프링
70 제 1 웨지 가이드
80 홈
90 페달 체결부
100 클러치 페달
110 클러치 케이블
120 클립
130 A/S 웨지

Claims (9)

  1. 일측면이 개방된 박스(box)형태이고, 타측면에는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공 주위에 돌출부가 형성된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상부 내벽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스프링 지지 로드(20);
    상기 스프링 지지 로드(20)를 둘러싸고, 상면은 상기 케이스(10)의 상부 내벽과 맞닿은 제 1 스프링(30);
    상기 제 1 스프링(30)의 하면과 제 1 웨지(40)의 상면이 맞닿고, 상기 제 1 웨지(40)의 하면은 상기 제 1 웨지(40)의 상면에 대해 상기 관통공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며, 상기 제 1 웨지(40)의 하면은 톱니형태의 홈이 파인 상기 제 1 웨지(40);
    상기 제 1 웨지(40)의 하면과 제 2 웨지(50)의 측면이 맞닿고, 상기 제 2 웨지(50)의 측면에는 상기 제 1 웨지(40)의 홈과 맞물리는 톱니형태의 홈이 파인 원뿔형태의 제 2 웨지(50); 및
    상기 케이스(10)의 돌출부를 둘러싸고, 상기 제 2 웨지(50)의 원형 평면과 상기 케이스(10)의 측면 사이에 배치된 제 2 스프링(60);
    을 포함하는 적정유격을 유지하는 자동조정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개방된 일 측면과 수직한 측면에, 상기 제 1 웨지(40)의 수직운동을 가이드 하도록 수직방향으로 돌출한, 복수의 제 1 웨지 가이드(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정유격을 유지하는 자동조정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웨지(40)의 측면에, 상기 제 1 웨지 가이드(70)가 끼워지는 복수의 홈(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정유격을 유지하는 자동조정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는 개방된 측면 방향으로 이와 수직한 양 측면이 확장되고, 확장된 양 측면에 수직한 페달 체결부(9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정유격을 유지하는 자동조정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체결부(90)에 연결되는 클러치 페달(1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정유격을 유지하는 자동조정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웨지(50)의 원형의 저면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클러치 케이블(1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정유격을 유지하는 자동조정기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조정기구의 수리 또는 탈거를 위해 상기 제 2 스프링(60)을 압축하는 경우에는, 이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클러치 케이블(110)에 끼워지는 클립(1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정유격을 유지하는 자동조정기구.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자동 조정기구의 수리 또는 탈거를 위해, 상기 제 1 스프링(30) 및 상기 제 2 스프링(60)을 압축시키는 A/S 웨지.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A/S 웨지(130)는 일 측면이 사다리꼴인 육면체이고, 상기 제 2 웨지(50)와 맞닿는 면에 구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S 웨지.
KR1020140125856A 2014-09-22 2014-09-22 적정유격을 유지하는 자동조정기구 및 이를 위한 a/s 웨지 KR101558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856A KR101558809B1 (ko) 2014-09-22 2014-09-22 적정유격을 유지하는 자동조정기구 및 이를 위한 a/s 웨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856A KR101558809B1 (ko) 2014-09-22 2014-09-22 적정유격을 유지하는 자동조정기구 및 이를 위한 a/s 웨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8809B1 true KR101558809B1 (ko) 2015-10-07

Family

ID=54344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5856A KR101558809B1 (ko) 2014-09-22 2014-09-22 적정유격을 유지하는 자동조정기구 및 이를 위한 a/s 웨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88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298B1 (ko) 2000-10-28 2002-1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액셀케이블의 장력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298B1 (ko) 2000-10-28 2002-1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액셀케이블의 장력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9144278A (ru) Узел поглощающего аппарата, содержащий корпус, сжимаемый эластомерный пружинный элемент и фрикционный демпфирующий механизм
KR101135348B1 (ko) 다우얼핀 제거장치
CN104024685A (zh) 隔振装置
JP6311056B1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除荷用カプラー
RU2014114846A (ru) Эластомерный поглощающий аппарат для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вагона
JP2007332999A (ja) 管等の振動吸収クランプ
KR101558809B1 (ko) 적정유격을 유지하는 자동조정기구 및 이를 위한 a/s 웨지
KR101202418B1 (ko) 소켓정착부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KR101325495B1 (ko)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유니트
CN110601103A (zh) 电缆固定支架组件
CN102570358A (zh) 用于车辆的钩式端子
JP5543047B1 (ja) 防振装置
KR101295009B1 (ko) 차량의 제어 케이블 고정 장치
JP5798080B2 (ja) 配線器具取付体及び配線器具取付体の設置方法
KR20200053739A (ko) 커넥터의 고정장치
KR200474331Y1 (ko) 도어트림 탈부착식 충돌시험용 충격 부하자
KR101806573B1 (ko) 노브와 레버의 조립체
KR101201846B1 (ko) 철도차량의 하부기기 고정장치
KR102041559B1 (ko) 케이블 고정 클립
EP2665940A1 (en) A fastening device for an attachment on a hard material supporting wall
AU2012208269A1 (en) A fastening device for an attachment on a hard material supporting wall
JP5863544B2 (ja) 配線器具取付体及び配線器具取付体の設置方法
CN218850351U (zh) 一种具有抗压功能的管线保护结构
CN210815754U (zh) 一种冷冻离心机的减震结构
CN211354763U (zh) 新型农业经济管理模型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