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4476U - 길이조절수단 - Google Patents

길이조절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4476U
KR19980054476U KR2019960067668U KR19960067668U KR19980054476U KR 19980054476 U KR19980054476 U KR 19980054476U KR 2019960067668 U KR2019960067668 U KR 2019960067668U KR 19960067668 U KR19960067668 U KR 19960067668U KR 19980054476 U KR19980054476 U KR 199800544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adjusting means
length
length adjust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76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택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676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4476U/ko
Publication of KR199800544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4476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3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incorporating resiliently-mounted members for attachment of the cable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수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측 케이블(13)의 선단과 선단부의 측면에 통공이 형성된 공동부(14), 상기 공동부(14)에는 수직방향으로 볼트(15)가 형성된 타측 케이블(16)을 수용하여 너트(17)로 체결함으로써, 길이조절이 용이하며, 턴버클의 삭제로 인한 원가절감을 이룰 수 있는 길이조절수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길이조절수단
본 고안은 케이블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수단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의 턴버클을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턴버클은 길이방향의 양종단의 내부에 웰딩너트(10)가 설치되고, 웰딩너트(10)에 서로 분리된 케이블의 나사부가 형성된 종단이 체결되어, 웰딩너트(10)외부에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회전너트(11)를 회전시켜 케이블 종단이 턴버클(12)의 내부로 당겨지게 하여 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종래의 턴버클은 길이 조절을 하기 위해 턴버클의 양단에 설치된 회전너트(11)를 회전시켜 길이를 조절하여야 하므로 길이조절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턴버클을 사용하므로 원가절감의 장애요인으로도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목적은 길이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원가절감에도 기여하는 길이조절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턴버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길이조절수단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길이조절수단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웰딩너트11:회전너트
12:턴버클13:일측 케이블
14:공동부15:볼트
16:타측 케이블17:너트
18:스프링
이러한 목저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일측케이블의 선단과 선단부의 측면에 통공이 형성된 공동부, 상기 공동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볼트가 형성된 타측 케이블이 수용되어 너트로 체결되는 길이조절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일측 케이블과, 타측케이블의 사이에는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수단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길이조절수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길이조절수단을 나타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고안의 길이조절수단을 나타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길이조절수단은 서로 연결하려는 일측 케이블(13)의 선단과 선단부의 측면에 통공을 구비한 공동부(14)가 형성되고, 상기 공동부(14)에는 수직방향으로 볼트(15)가 형성된 타측 케이블(15)을 수용하여 너트(17)를 체결한다. 또한, 공동부(14)에 수용된 케이블(16)의 종단과 공동부(14)의 사이에는 스프링(18)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의 길이조절수단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길이조절수단에 있어서 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하려면 너트(17)를 풀어, 공동부(14)에 수용된 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한 다음, 다시 너트(17)를 체결함으로써 케이블의 길이조절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일측 케이블(13)의 선단과 선단부의 측면에 통공이 형성된 공동부(14), 상기 공동부(14)에는 수직방향으로 볼트(15)가 형성된 타측 케이블(16)을 수용하여 너트(17)로 체결함으로써, 길이조절이 용이하며, 턴버클의 삭제로 인한 원가절감을 이룰 수 있는 길이조절수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일측케이블의 선단과 선단부의 측면에 통공이 형성된 공동부, 상기 공동부에 수직방향으로 볼트가 형성된 타측 케이블이 수용되어 너트로 체결되는 길이조절수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케이블과 타측 케이블의 사이에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수단.
KR2019960067668U 1996-12-31 1996-12-31 길이조절수단 KR1998005447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7668U KR19980054476U (ko) 1996-12-31 1996-12-31 길이조절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7668U KR19980054476U (ko) 1996-12-31 1996-12-31 길이조절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476U true KR19980054476U (ko) 1998-10-07

Family

ID=54005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7668U KR19980054476U (ko) 1996-12-31 1996-12-31 길이조절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447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298B1 (ko) * 2000-10-28 2002-1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액셀케이블의 장력조절장치
KR100913521B1 (ko) * 2007-07-23 2009-09-16 한우물중공업(주) 케이블 장력조절용 턴버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298B1 (ko) * 2000-10-28 2002-1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액셀케이블의 장력조절장치
KR100913521B1 (ko) * 2007-07-23 2009-09-16 한우물중공업(주) 케이블 장력조절용 턴버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18550A1 (en) Improved wheel nut assembly
KR19980054476U (ko) 길이조절수단
WO1996023142B1 (en) Locking devices
JPH11311234A (ja) 防護ナット
JPH0676867A (ja) アース用端子
KR200258197Y1 (ko) 볼트고정 씨오에스용 브라켓트
JPS6327130Y2 (ko)
JP3052547U (ja) ナット緩み止め具
KR0114814Y1 (ko) 전동차용 지주연결 콘넥터
KR970004489Y1 (ko) 전화선 고정구
KR200150547Y1 (ko) 엔진의 연료 분사펌프 장착구조체
KR0137280Y1 (ko) 줄손잡이의 결합구조
KR200144917Y1 (ko) 자동차의 범퍼 체결용 브라켓
KR890000647Y1 (ko) 전주용 가공지선 지지대 고정장치
KR19980010817U (ko) 풀림방지용 너트
KR100251297B1 (ko) 수밀용 와이어링 글로멧
JPS6013905Y2 (ja) オ−バ−フロ−装置
KR200155195Y1 (ko) 와이어링 단자 터미널
KR100378483B1 (ko) 엔진변속기결합체
KR200145856Y1 (ko) 자동차 로우프 후크의 구조
KR970007188Y1 (ko) 등기구의 단자접속함
GB2335721A (en) Improved wheel nut assembly
KR900009136Y1 (ko) 펌프의 회전자 고정장치
KR200155834Y1 (ko) 링터미널
KR860002852Y1 (ko) 철도차량용 터언 버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