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489Y1 - 전화선 고정구 - Google Patents

전화선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489Y1
KR970004489Y1 KR2019940010806U KR19940010806U KR970004489Y1 KR 970004489 Y1 KR970004489 Y1 KR 970004489Y1 KR 2019940010806 U KR2019940010806 U KR 2019940010806U KR 19940010806 U KR19940010806 U KR 19940010806U KR 970004489 Y1 KR970004489 Y1 KR 9700044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elephone line
supports
ratche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08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4456U (ko
Inventor
이처술
Original Assignee
이처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처술 filed Critical 이처술
Priority to KR20199400108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489Y1/ko
Publication of KR9500344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44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4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4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전화선 고정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전화선 고정구의 주요구조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전화선 고정구를 일부절개하여 나타낸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종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전화선 고정구를 벽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6도는 종래의 전화선 고정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 지지대 11 : 래칫기어
12 : 너트 13, 23 : 압지판
30 : 걸림대 31 : 고정핀
31 : 고정핀 32 : 브라켓
33 : 래칫 34 : 고정너트
100, 110 : 지지대 120 : 볼트
140 : 너트 200 : 벽체
300 : 전화선 310 : 전화선 벨트
400 : 걸고리체 500 : 전화선 단자함
510 : 부착 브라켓
본 고안은 전화선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의 옥상 또는 담벽 상단에 설치되어, 간단한 조작에 의한 래칫작용에 의하여 설치고정되도록 하여 시공상의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게 한 전화선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전화선 고정구란, 옥내의 벽면 기둥 등에 설치되어 있는 단자함에 인입된 전화선을 단자함에서 이탈되지 않게 고정시켜주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전화선 단자함은 국선과 가입자선의 접속 터미널로서 전봇대나 건물의 옥상 또는 벽면등에 설치된다.
종래에도 이러한 목적의 전화선고정구가 있었다. 제6도는 종래의 전화선 고정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부호 100, 110은 각각형으로 된 지지대를 나타낸다.
이들 지지대(100), (110)중, 한쪽 지지대(100)에는 너트(140)를 부착하고 타측 지지대(110)에는 볼트를 삽입하는 구멍을 천공하여 이 구멍을 통하여 볼트(120)를 조여서 상호 조립하고 있다.
부호 200은 건물 옥상 등의 벽체이다.
이러한 구조로 된 종래의 전화선 고정구는, 2개의 지지대(100), (110) 사이에 벽체(200)를 상삽입한 체 상기 볼트(120)를 조여서 전화선 고정구를 설치하게 된다.
그런데, 이들 지지대(100), (110) 상부는 상기 볼트(120)에 의하여 조여지지만, 이들 지지대(100), (110)하부는 벽체(200)에 의해 더이상 조여지지 않게 된다.
결국 너트(140)와 볼트(120)의 나사산이 이그러지고 훼손되어 고정구의 지지상태가 불완전하게 되며, 너트(140)가 일측 지지대(100) 끝에 부착되어 있고, 이 너트(140)는 타측의 지지대(110) 내부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볼트(120)와의 결합이 매우 어려워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그 작업도 까다롭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으며, 고정구의 체결부하가 너트(140)에만 집중되므로 이 부분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결접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볼트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래칫(ratchet)작용을 이용하여 별도의 도구없이 일회작업으로 체결이 가능하고 체결상태도 오래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전화선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화선 고정구는 적어도형으로 된 2개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구성의 전화선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지지대는 일측부위가 개방된 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일측의 제1 지지대는 타측의 제2 지지대에 삽입되어 상호 조립되어 있고, 상기 제1 지지대의 내부 바닥 상면은 래칫기어를 이루며, 일측에 전화선 단자함을 고정하기 위한 너트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지지대에는 상기 래칫기어에 맞물리는 래칫을 고정한 걸림대를 고정핀으로 유동가능하게 고정하고 있고, 상기 걸림대는, 그 상부에 전화선 벨트를 걸 수 있는 걸고리체를 나사결합하기 위한 고정너트를 부착하고 있으며, 상기 걸림대의 단면은 ㄷ자형을 이루고 상기 제2지지대의 외측에 브라켓에 의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1, 제2지지대 끝단에는 벽체에의 맞물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압지판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의 전화선 고정구는 볼트나 너트의 나사조임작업이 필요없으므로, 이에 따른 시공시의 별도도구가 필요하지 않으며, 벽면의 두께와 관계없이 양손으로 두 지지대 사이를 좁히고 걸림대를 돌리기만 하면 설치가 완결되므로 설치작업이 매우 간단하며 일단 설치된 후에는 이완될 염려가 없고 볼트나 너트와 같이 나사산의 파손의 염려가 없으므로 신뢰성이 높아 장기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전화선 고정구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전화선 고정구의 주요구조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전화선 고정구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종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부호 10, 20은 ㄱ자형으로 된 한 쌍의 지지대이다.
이들 지지대(10), (20)는 모두 일측부위가 개방된 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일측의 지지대(10)는 타측의 지지대(20)에 삽입되어 상호 조립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10)의 내부 바닥 상면은 래칫기어(11)를 이루고 이 래칫기어(11)에 맞물리는 스토퍼로서의 래칫(33)은 상기 지지대(20)의 상부에 조립되는 걸림대(30)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지지대(20)은 지지대(10)을 받아들임과 동시에 이 지지대(10)의 상부에 감싸듯이 설치된 걸림대(30)을 고정핀(31)으로 고정하고 있다.
상기 래칫(33)과 래칫기어(11)는 후술하는 걸림대(30)의 조작에 의하여 로크/언로크 작용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 걸림대(3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지지대(20)의 외측에 ㄱ형 걸림대(30)를 고정핀(31)으로 결합하고 있으며, 이 걸림대(30)의 단면은 ㄷ자형으로 되어 있다. 또, 이 걸림대(30)의 내부에는 상기 래칫(33)을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32)이 일체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0)에는 전화선 단자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서의 너트(12)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지지대(10), (20) 끝단에는 통상 시멘트벽으로 구성되는 벽체에의 맞물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압지판(13), (23)이 부착되어 있다.
제5도는 본 고안의 전화선 고정구를 벽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국으로부터의 전화선(300)을 비바람이나 강풍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전화선 벨트(310)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걸림대(30)의 상부에는 상기 전화선 벨트(310)를 걸 수 있는 걸고리체(400)를 나사결합하기 위한 고정너트(34)를 부착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전화선 고정구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갖는다. 제5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전화선 고정구는 벽체(200)의 상단에 설치된다. 부호 500은 전화선 단자함, 510은 이 전화선 단자함(500)을 본 고안이 전화선 고정구에 설치하기 위한 부착 브라켓이다.
먼저 설치과정을 설명하면, 본 고안의 상기 지지대(10), (20)를 벽체(200)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벌린 상태에서 위로부터 끼우면서 양 지지대(10), (20)를 좁혀간다. 그러면, 래칫(33)은 래칫기어(11) 상의 경사진 기어 위를 지나게 되고 따르륵소리를 내면서 아무런 장애를 받지 않고 양 지지대(10), (20) 사이는 벽체(200)에 긴밀하게 밀착된다.
이때, 상기 걸림대(30)는 제1도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벌려진 상태를 이루고 있다.
계속 양 지지대(10), (20)의 간격을 좁혀가서 상기 압지판(13), (23)이 벽체(200)에 밀착될 때에 조이는 동작을 멈춘다.
그 후, 상기 벌려진 걸림대(30)를 하향하여 상기 지지대(10) 상으로 조이면, 이 걸림대(30)는 상기 고정핀(3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여 제1도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된다. 이동작은, 상기 래칫(33)을 상기 브라켓(32)의 상면과 래칫기어(11) 사이에 구속하게 되어 래칫(33)의 이동을 저지함으로써 양 지지대(10), (20)를 벽체(200)에 긴착고정하게 한다.
이러한 고정은 상기 양 지지대(10), (20)가 파손되지 않는한, 또 상기 래칫(33)이나 래칫기어(11)의 이(齒)가 파손되지 않는 한 두 지지대(10), (20) 사이의 간격은 고정유지된다.
한편, 이것을 해제하는 것은 상기 걸림대(30)를 상기 지지대(10)로부터 벗겨내는 동작만으로 가능하게 됨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양 지지대(10), (20)는 압지판이 벽체(200)에 긴밀히 압착하는 정도로 힘을 가한 다음 걸림대(30)를 조이면, 래칫(33)과 래칫기어(11)과 이맞춤하여 상호 이동을 저지하므로, 두개의 지지대는 더이상 벌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압지판(13), (23)은 신축성 재질, 예를 들면 고무재나 연질성 합성수지제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어느 정도의 간격이 생겨도 이를 흡수하여 벽체에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즉, 벽체(200)에 압지된 두개의 지지대는 압지판의 복원력에 의해 벽면에 견고히 고정되며 고정된 지지대에는 단자함과 전화선 밴드등을 설치한다. 즉, 이와 같은 두 지지대(10), (20)의 조정 및 고정은 상기 걸림대(30)의 회전조작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전화선 고정구의 시공작업이 매우 간편할 뿐 아니라 종래와 같이 볼트 또는 너트를 사용함에 따른 나사맞춤 또는 구멍에의 세팅작업 등이 필요없어 번거롭지 않아 시공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전화선 고정구에 의하면, 볼트나 너트의 나사조임작업이 필요없으므로, 이에 따른 시공시의 별도도구가 필요하지 않으며, 벽면의 두께와 관계없이 양손으로 두 지지대 사이를 좁히고 걸림대를 돌리기만 하면 설치가 완결되므로 설치작업이 매우 간단하며 일단 설치된 후에는 이완될 염려가 없고 볼트나 너트와 같이 나사산의 파손의 염려가 없으므로 신뢰성이 높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등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적어도형으로 된 2개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구성의 전화선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지지대는 일측부위가 개방된 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일측의 제1지지대는 타측의 제2지지대에 삽입되어 상호 조립되어 있고, 상기 제1지지대의 내부 바닥 상면은 래칫기어를 이루며, 일측에 전화선 단자함을 고정하기 위한 너트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지지대에는 상기 래칫기어에 맞물리는 래칫을 고정한 걸림대를 고정핀으로 유동가능하게 고정하고 있고, 상기 걸림대는, 그 상부에 전화선 벨트를 걸 수 있는 걸고리체를 나사결합하기 위한 고정너트를 부착하고 있으며, 상기 걸림대의 단면은 "ㄷ"자형을 이루고 상기 제2지지대의 외측에 브라켓에 의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1, 제2지지대 끝단에는 벽체에의 맞물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압지판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 고정구.
KR2019940010806U 1994-05-16 1994-05-16 전화선 고정구 KR9700044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0806U KR970004489Y1 (ko) 1994-05-16 1994-05-16 전화선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0806U KR970004489Y1 (ko) 1994-05-16 1994-05-16 전화선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456U KR950034456U (ko) 1995-12-18
KR970004489Y1 true KR970004489Y1 (ko) 1997-05-12

Family

ID=19383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0806U KR970004489Y1 (ko) 1994-05-16 1994-05-16 전화선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48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456U (ko) 199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4489Y1 (ko) 전화선 고정구
KR20100009746A (ko) 풀림방지용 너트캡
JP2600091Y2 (ja) 電気接続箱
JPS6317771Y2 (ko)
KR200274769Y1 (ko) 케이블 트레이의 커버 고정용 클램프
KR200197233Y1 (ko) 파이프 행거
JPH033745Y2 (ko)
JP2559813Y2 (ja) スプリンクラ−の取付具
CN216430155U (zh) 一种新型的v型卡箍结构
JP2528480Y2 (ja) 配線ボックス取付装置
KR20000013523U (ko) 케이블 트레이 지지용 너트
GB2185283A (en) Tension clamp
JPS6316772Y2 (ko)
KR200164847Y1 (ko) 밀폐된 공간내에서 볼트를 체결하는 구조
KR0121972Y1 (ko) 케이블고정구
KR960009405Y1 (ko) U찬넬 앵커
JP3858118B2 (ja) パネル固定具
JPH0436180Y2 (ko)
JPH0321144Y2 (ko)
JP2578683Y2 (ja) 線、棒状物のクランプ
JPH0416573Y2 (ko)
KR20040036982A (ko) 전주용 체결밴드
JP2000145089A (ja) 補強部材
KR19980054476U (ko) 길이조절수단
JPH042194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