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875Y1 - 전주가설용 케이블의 클램프장치 - Google Patents

전주가설용 케이블의 클램프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875Y1
KR0121875Y1 KR2019940026103U KR19940026103U KR0121875Y1 KR 0121875 Y1 KR0121875 Y1 KR 0121875Y1 KR 2019940026103 U KR2019940026103 U KR 2019940026103U KR 19940026103 U KR19940026103 U KR 19940026103U KR 0121875 Y1 KR0121875 Y1 KR 01218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main body
guide
pressing piec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61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5711U (ko
Inventor
배달환
Original Assignee
배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달환 filed Critical 배달환
Priority to KR20199400261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875Y1/ko
Publication of KR9600157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7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8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8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주가설용 케이블의 클램프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클램프의 구조를 개선하여 케이블의 굵기에 구애받지 않고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위해, 본 고안은 스크류(11)로 힌지 결합된 한쌍의 본체(12a)(12b)를 고리(7)로 체결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일측의 본체(12a)에 가이드공(13)과 체결공(14)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공(13)에는 본체(12a)(12b)내에 위치되는 누름편(15)의 가이드봉(16)을 결합하며 상기 체결공(14)에는 누름편(15)의 상면과 접속되는 스크류(17)를 나사끼우기로 결합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전주가설용 케이블의 클램프장치
제1도는 전주사이에 케이블이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종래 전주에 케이블을 클램핑시키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제3도는 종래 전주에 케이블을 클램핑시키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명도.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제4도는 제3도 (a)의 A-A선 단면도.
제5도의 (a), (b)는 본 고안의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및 정면도.
제6도는 제5도 (a)의 B-B선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8도는 본 고안의 누름편을 나타낸 저면사시도.
제9도는 본 고안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 17 : 스크류 12a, 12b : 본체
13 : 가이드공 13a, 16a : 절단면
14 : 체결공 15 : 누름편
16 : 가이드봉 16b : 확장부
본 고안은 전주가설용 케이블의 클램프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클램프의 구조를 개선하여 케이블의 굵기에 구애받지 않고 클램프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첨부도면 제1도는 전주사이에 케이블이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로써, 전주(1)사이에 케이블(2)을 실선과 같이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2)이 자중에 의해 일점쇄선과 같이 늘어나 비교적 가는 심선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2)을 긴장되게 잡아 당긴 다음 전주(1)에 지지하게 된다.
종래에는 일 실시예로 도시한 제2도와 같이 전주(1)와 근접하게 위치하는 케이블(2)에 끈(3)을 고리형태로 묶은 다음 이를 전주(1)에 고정된 걸고리(4)에 걸어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작업자가 전주(1)에 매달린 불안정한 상태에서 끈(3)을 케이블(2)에 묶어주여야 되었으므로 케이블의 가설작업에 많은 힘이 소요되었고, 케이블의 가설 작업시간이 지연되었다.
또한 사용되는 끈(3)을 가정용 전선으로 이용하였기 때문에 케이블에 작용되는 장력을 견디지 못하고 끈이 끊어지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끈을 2, 3겹으로 겹쳐 사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장시간 경과에 따라 끈이 작용되는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늘어나게 되므로 케이블이 제1도의 일점쇄선과 같이 처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제3도와 같은 클램프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클램프장치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가설하는 작업과정을 설명한다.
절첩 가능하게 형성된 한쌍의 본체(6)가 고리(7)로 힌지 결합되어 있어 케이블(2)을 긴장되게 잡아당긴 다음 플랜지(8a)를 가진 패킹(8)의 절결부(8b)를 벌려 케이블(2)을 감싼다.
그후, 패킹(8)의 외측으로 한쌍의 본체(6)을 접속시킴과 동시에 고리(7)를 걸고리(4)에 건 다음 본체(6)의 상부에서 와셔(9)를 대고 3개의 스크류(10)를 차례로 조여 주므로써 케이블(2)의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첫째, 3개의 스크류를 조여주어야 하므로 인해 작업시간이 지연되어 전주에 매달린 상태로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피로를 쉽게 느끼게 되었다.
둘째, 계절의 변화로 인해 고무재질로 된 패킹이 변형될 경우에는 케이블의 지지력이 저하되어 케이블이 본체내에서 유동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패킹을 교체하여 주어야 한다.
셋째, 본체를 케이블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켜 주어야만 케이블이 처지지 않게 되므로 숙련공에 의한 가설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넷째, 케이블의 굵기(5회선-25회선으로 그 외경이 약 8-15mm 정도임)가 달라질 경우에는 클램프 및 패킹의 내경 또한 달라져야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하게 되므로 여러종류(현재는 3종류가 사용되고 있슴)의 클램프가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그 구조를 개선하여 계절의 변화에도 체결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짧은 시간내에 본체를 케이블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고리에 힌지 결합된 한쌍의 본체를 스크류로 체결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일측의 본체에 가이드공과 체결공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공에는 본체내에 위치되는 누름편의 가이드봉을 결합하며 상기 체결공에는 누름편의 상면과 접속되는 스크류를 나사끼우기로 결합하여서 된 전주가설용 케이블의 클램프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5도 내지 제9도를 참고로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5도의 (a), (b)는 본 고안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제6도는 제5도 (a)의 B-B선 단면도이며 제7도는 본 고안의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스크류(11)로 힌지 결합된 한쌍의 본체(12a)(12b)중 일측의 본체(12a)에 가이드공(13)과 체결공(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공(13)에는 본체(12a)(12b)의 조립시 본체내에 위치되도록 누름편(15)의 가이드봉(16)이 승, 하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공(14)에는 누름편(15)의 상면과 접속되는 스크류(17)가 나사끼우기로 결합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 도시한 제5도 내지 제8도에서는 상기 누름편(15)의 가이드봉(16)과 본체(12a)에 형성되는 가이드공(13)을 각각 중앙에 형성하고 가이드공(13)의 양측으로는 상호 대칭되게 체결공(14)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14)에 나사끼우기로 결합되는 스크류(17)가 누름편(15)의 상면과 접속되도록 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국한시키는 것은 아니고,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제9도에서와 같이 본체(12a)의 중앙에만 체결공(14)을 형성하뎌 상기 체결공에 누름편(15)의 상면과 접속되는 스크류(17)를 나사끼우기로 결합하고 상기 체결공(14)의 일측으로는 1개의 가이드공(13)을 형성하며 체결공과 대응되는 누름편(15)의 일측으로는 가이드공에 끼워지는 가이드봉(16)을 형성한다.
이 경우에는 1개의 스크류(17)만을 체결하여 케이블을 클램핑하게 되므로 케이블의 클램프력이 다소 약화될 우려가 있지만, 가설되는 케이블(2)의 지름이 작은 경우에는 작용되는 하중 또한 작게 되므로 신속하게 케이블을 클램핑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스크류(17)가 접속되는 누름편(15)의 상면에는 요입흡(15b)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스크류를 조여줄 때 조임력에 의해 스크류가 누름편의 상면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같이 케이블(2)을 눌러주는 누름편(15)이 케이블의 가설작업시 본체(12a)에서 회전되어 케이블과 정확히 접속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12a)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누름편(15)의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봉(16)과, 본체(12a)에 형성되는 가이드공(13)에 각각 절단면(16a)(13a)를 형성하여 가이드봉을 가이드공에 삽입시 상기 절단면이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국한시키는 것은 아니고, 절단면 이외에도 가이드봉(16)과 가이드공(13)의 단면을 타원형이나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가이드봉(16)과 가이드공(13)의 단면을 타원형으로 하는 것이 다각형으로 하는 것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다이케스팅금형의 가공이 보다 용이하여 금형제작비를 절감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체(12a)의 가이드공(13)에 결합되는 가이드봉(16)의 상부에 걸림수단이 구비된다.
이는 케이블의 클램핑작업을 위해 본체(12a)(12b)를 분리시킬 때 분체(12a)에서 누름편(15)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걸림수단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봉(16)의 상부에 가이드봉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스크류(도시는 생략함)를 체결하거나, 또는 가이드봉(16)의 상부에 제6도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부(16b)를 형성하여 스크류나 확장부가 가이드공에 걸려 본체(12a)로부터 누름편(15)이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누름편(15)의 저면에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어링부(15a)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누름편(15)이 케이블(2)을 클램핑시 너어링부(15a)가 케이블과 접속되도록하여 누름편에 눌린 케이블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크류(10)를 풀어 본체(12a)(12b)를 벌린 다음 본체(12a)(12b)에 힌지 결합된 고리(7)를 전주(1)에 고정된 걸고리(4)에 걸고 전주(1)사이에 위치된 케이블(2)을 긴장되게 잡아 당긴상태에서 케이블(2)을 본체(12b)의 내부에 접속시킨다.
이때 누름편(15)을 눌러 주기위해 체결공(14)에 나사끼우기로 결합된 스크류(17)는 최대한 풀어 놓은 상태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블(2)을 본체(12b)의 내부에 접속시키기 위해 본체(12a)(12b)를 분리시킬 때 본체(12a)에 결합된 누름편(15)은 회전방지수단 및 걸림수단에 의해 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일정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후, 케이블(2)과 접속하지 않은 본체(12a)를 케이블(2)이 접속되어 있는 본체(12b)에 덮은 다음 풀어 놓았던 스크류(10)를 조여주면 본체(12a)(12b)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와같이 분리시켜 놓았던 본체(12a)(12b)내에 케이블(2)을 위치시키고 본체를 덮어주면 본체(12a)에 승, 하강가능하게 결합된 누름편(15)이 케이블(2)의 상면과 접속된다.
누름편(15)이 케이블(2)의 상면과 접속되도록 본체를 결합시킨 다음 풀어 놓았던 스크류(17)를 조여주면 누름편(15)이 스크류(17)의 체결력에 의해 하강되면서 케이블의 상면을 견고히 지지하게 되므로 케이블이 유동되지 않게 된다.
상기 동작시 누름편(15)은 회전방지수단에 의해 가이드공에서 회전되지 않고 가이드공(13)과 가이드봉(16)에 의해 안정되게 하강하게 된다.
이때 스크류(17)가 접속되는 누름편(15)의 상면에는 스크류의 하단면이 맞닿은 요입홈(15b)이 형성되어 있어 스크류(17)가 누름편의 상면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되며, 누름편(15)의 저면에는 너어링부(15a)가 형성되어 있어 케이블(2)과의 마찰저항이 커지게 되므로 본체(12b)와 누름편(15)사이에서 케이블이 유동되지 않고 견고히 지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장치는 한쌍의 본체내에 누름편을 승, 하강하게 결합하여 누름편이 케이블을 지지하게 되므로 계절의 변화에도 케이블의 체결력이 가변되지 않게 됨은 물론 누름편의 승, 하강범위를 가변시킴므로써 1개의 클램프로 여러종류의 케이블을 클램핑시킬 수 있게 되므로 부품의 공용화가 가능하게 되고, 이에따라 가설되는 케이블의 굵기에 따라 여러종류의 클램프를 휴대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케이블의 굵기에 따라 본체에 체결된 1개 또는 2개의 스크류만을 조여주면 케이블의 가설작업이 완료되므로 케이블의 가설작압에 따른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게 되는 효과도 얻게 된다.

Claims (8)

  1. 고리(7)에 힌지 결합된 한쌍의 본체(12a)(12b)를 스크류(11)로 체결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일측의 본체(12a)에 가이드공(13)과 체결공(14)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공(13)에는 본체(12a)(12b)내에 위치되는 누름편(15)의 가이드봉(16)을 결합하며 상기 체결공(14)에는 누름편(15)의 상면과 접속되는 스크류(17)를 나사끼우기로 결합하여서 된 전주가설용 케이블의 클램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누름편(15)의 가이드봉(16)이 결합되는 가이드공(13)을 본체(12a)의 중앙에 형성하고 스크류(17)가 나사 결합되는 체결공(14)은 상기 가이드공(13)의 양측으로 형성하여서 된 전주가설용 케이블의 클램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스크류(17)가 체결되는 체결공(14)을 본체(12a)의 중앙에 형성하고 누름편(15)의 가이드봉(16)이 결합되는 가이드공(13)은 상기 체결공(14)의 일측으로 형성하여서 된 전주가설용 케이블의 클램프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봉(16)이 본체(12a)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가이드봉(16)과 가이드공(13)에 회전방지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전주가설용 케이블의 클램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회전방지수단으로 가이드봉(16)과 가이드공(13)에 절단면(16a)(13a)을 형성하거나, 가이드봉(16)과 가이드공(13)의 단면을 타원형으로 하여서 된 전주가설용 케이블의 클램프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봉(16)이 본체(12a)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봉(16)의 상부에 걸림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전주가설용 케이블의 클램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걸림수단으로 가이드봉(16)의 상부에 가이드봉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스크류를 체결하거나, 확장부(16b)를 형성하여서 된 전주가설용 케이블의 클림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누름편(15)의 저면에 너어링부(15a)을 형성하여 상기 너어링부가 케이블(2)의 외주면과 접속되도록 하여서 된 전주가설용 케이블의 클램프장치.
KR2019940026103U 1994-10-06 1994-10-06 전주가설용 케이블의 클램프장치 KR01218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6103U KR0121875Y1 (ko) 1994-10-06 1994-10-06 전주가설용 케이블의 클램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6103U KR0121875Y1 (ko) 1994-10-06 1994-10-06 전주가설용 케이블의 클램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711U KR960015711U (ko) 1996-05-17
KR0121875Y1 true KR0121875Y1 (ko) 1998-10-01

Family

ID=19394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6103U KR0121875Y1 (ko) 1994-10-06 1994-10-06 전주가설용 케이블의 클램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8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9533A1 (en) * 2021-10-21 2023-04-27 Kaddas Enterprises Inc. Anti-rotation clamp and method of us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9533A1 (en) * 2021-10-21 2023-04-27 Kaddas Enterprises Inc. Anti-rotation clamp and method of use
US11764561B2 (en) 2021-10-21 2023-09-19 Kaddas Enerprises Inc. Anti-rotation clamp and method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711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2234A (en) Cleat
WO2006042361A1 (en) A toggle pin
US3235652A (en) Electric line cross-arm with wire stringing and clamping means
KR0121875Y1 (ko) 전주가설용 케이블의 클램프장치
KR102390332B1 (ko)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장치 및 그 방법
JP2011254607A (ja) 楔型引留クランプ及びその取付方法
US6719241B2 (en) Cable tie-off device for cable lifts
KR100897232B1 (ko) 건축물의 조가선 고정장치
KR102082246B1 (ko) 와이어 또는 가림막 연결을 위한 텐션수단
KR100517886B1 (ko) 통신케이블 가설용 조가선 긴장 조절장치
KR200274769Y1 (ko) 케이블 트레이의 커버 고정용 클램프
KR950004796Y1 (ko) 전주 가설용 케이블의 클램핑장치
KR20010056711A (ko) 전주의 고압케이블 지지대
JPH019222Y2 (ko)
KR102604806B1 (ko) 현수애자 일체형 내장 클램프
KR102584188B1 (ko) 현수애자 일체형 배전선 인장 클램프
KR200328537Y1 (ko) 통신케이블 가설용 조가선 긴장 조절장치
US2571495A (en) Adjustable insulator bracket
CN113622736B (zh) 一种电杆拉线固定装置及固定方法
KR200366024Y1 (ko)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KR200154752Y1 (ko) 케이블 고정클램프
JP2830904B2 (ja) 配電線の引通し線用絶縁腕金
KR200173053Y1 (ko) 단자함 설치대
JPH0419763B2 (ko)
JPH07139166A (ja) 締結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