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188B1 - 현수애자 일체형 배전선 인장 클램프 - Google Patents

현수애자 일체형 배전선 인장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188B1
KR102584188B1 KR1020230055112A KR20230055112A KR102584188B1 KR 102584188 B1 KR102584188 B1 KR 102584188B1 KR 1020230055112 A KR1020230055112 A KR 1020230055112A KR 20230055112 A KR20230055112 A KR 20230055112A KR 102584188 B1 KR102584188 B1 KR 102584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bracket
suspension insulator
pin
overhea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5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은혜
손용환
김근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벤에셀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벤에셀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벤에셀기술단
Priority to KR1020230055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1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판형 홀더 및 상기 홀더를 핀 이음으로 체결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현수애자에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홀더는 회전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쳐 있는 편심 원판 또는 회전중심이 중앙에 있는 타원형의 판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브래킷에 핀 이음으로 체결하는 핀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브래킷의 내부에 인입한 가공전선을 상기 홀더의 바깥쪽 둘레 면과 마주하는 상기 브래킷의 안쪽 면에 가압 밀착시켜 고정하는 현수애자 일체형 배전선 인장 클램프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현수애자 일체형 배전선 인장 클램프{SUSPENSION INSULATOR WITH DEAD-END CLAMP FOR WIRING DISTRIBUTION}
본 발명은 배전선을 병렬로 가선할 수 있는 현수애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중에서 가공전선의 가설(架設) 또는 증설하는 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현수애자 일체형 배전선 인장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탑이나 전주에는 가공전선을 공중에 건너질러 가설(架設)하기 위해 완금이 설치되고, 완금에는 가공전선을 기계적으로 지지하는 폴리머(polymer) 현수애자가 설치된다.
즉, 가공전선은 철탑이나 전주에 설치한 현수애자에 고정시켜 적정한 이도(dip)와 장력을 가지도록 느슨하게 공중에 가설된다.
그리고 배전 선로(가공전선)의 장력이 가해지는 현수애자의 한쪽 단부에는 가공전선을 고정하기 위해 쐐기형 인장 클램프와 같은 인장 클램프가 장착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인장 클램프(300)는 그 한쪽 끝부분이 현수애자(100)의 아이로드(230)와 핀 이음으로 결합되고, 다른 쪽 끝부분에는 가공전선(700)이 고정된다.
즉, 종래의 인장 클램프(300)에는 현수애자(100)의 아이로드(230)와 결합을 위한 'ㄷ' 자형 암(310)이 형성되어 있고, 그 암(310)에는 커넥터핀(312)이 장착되어 있으며, 커넥터핀(312)의 한쪽 끝부분에는 암(3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할핀(311)이 끼워져 있다.
따라서 현수애자(100)의 U자형 로드(110) 끝에 소켓아이(600)를 장착하고, 전주에 매달린 완금(400)에다가 소켓아이(600)를 볼쇄클(500)로 고정한 다음, 현수애자(100)의 아이로드(230)를 인장 클램프(300)의 암(310) 사이에 배치하고, 커넥터핀(312)을 암(310)과 아이로드(230)로 통과시켜 커넥터핀(312)의 끝부분에 뚫린 핀홀에 분할핀(311)을 끼움으로써 인장 클램프(300)를 현수애자(100)에 연결할 수 있다.
한편, 공중에 설치된 현수애자(100)와 인장 클램프(300)의 노후화나 파손으로 인한 교체 또는 송전용량 증대로 인해 상위규격으로 가공전선을 교체하는 경우 현수애자(100)와 인장 클램프(300)에서 분할핀(311)과 커넥터핀(312)을 순서대로 분리하였다가 다시 결합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교체 작업은 전주 위의 공중에서 이루어지는 데다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두꺼운 절연장갑을 착용하고 작업하기 때문에 커넥터핀(312)의 핀홀에서 분할핀(311)을 빼내거나 끼워넣고, 또 빠지지 않도록 선단을 양측으로 구부리는 세밀하고 섬세한 동작을 수행하기 어려워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분할핀(311)의 크기가 작은 특성상 공중에서 작업 중 떨어뜨려서 분실하는 경우가 잦을 뿐만 아니라 커넥터핀(312)은 핀홀에 끼워진 후 양쪽으로 엇갈리게 꺾어지므로 한 번 사용하면 재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 및 완성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 선행기술조사 및 심사에 유용하게 사용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지고 널리 사용되는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히며, 아울러 종래기술에서의 도면 부호는 본 발명에서의 도면 부호와 상호 무관한 것이다.
KR 10-0927116 B1(2009. 11. 10.) KR 10-0970762 B1(2010. 07. 09.) KR 10-2461766 B1(2022. 10. 27.) KR 20-0403495 Y1(2005. 12. 05.) KR 20-0338601 Y1(2004. 01. 05.)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가공전선 인장 클램프 기술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현수애자와 인장 클램프의 노후화나 파손으로 인한 교체 또는 송전용량 증대로 인해 상위규격으로 가공전선을 교체하거나 증설할 때 종래와 달리 분할핀과 커넥터핀을 풀어서 분리하였다가 다시 결합하는 번거로움 없이 공중에서 가공전선의 가설 또는 증설 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져 작업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현수애자 일체형 배전선 인장 클램프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공중에서 가공전선의 가설 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현수애자 일체형 배전선 인장 클램프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상위규격으로 가공전선을 교체하거나 증설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현수애자 일체형 배전선 인장 클램프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판형 홀더 및 상기 홀더를 핀 이음으로 체결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현수애자에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홀더는 회전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쳐 있는 편심 원판 또는 회전중심이 중앙에 있는 타원형의 판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브래킷에 핀 이음으로 체결하는 핀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브래킷의 내부에 인입한 가공전선을 상기 홀더의 바깥쪽 둘레 면과 마주하는 상기 브래킷의 안쪽 면에 가압 밀착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애자 일체형 배전선 인장 클램프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현수애자와 인장 클램프의 노후화나 파손으로 인한 교체 또는 송전용량 증대로 인해 상위규격으로 가공전선을 교체하거나 증설할 때 종래와 달리 분할핀과 커넥터핀을 풀어서 분리하였다가 다시 결합하는 세밀하고 섬세한 동작 및 번거로움 없이 공중에서 가공전선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가설 또는 증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홀더의 바깥 둘레 면 중 일부분에 상기 브래킷의 내부에 인입한 가공전선을 조이기 위한 요철이 일정 간격으로 연속하여 형성됨으로써 홀더의 요철 면이 가공전선의 둘레 부분을 미끄러지지 않게 잡아주어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홀더는 각기 축구멍이 뚫린 제1 및 제2홀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브래킷은 상기 제1홀더를 핀 이음으로 체결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와 인접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홀더와 크기가 다른 상기 제2홀더를 핀 이음으로 체결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의 한쪽 끝부분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현수애자의 한쪽 단부를 끼워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위규격으로 가공전선을 교체하거나 증설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실시 예(embodiment)에 따르면, 현수애자와 인장 클램프의 노후화나 파손으로 인한 교체 또는 송전용량 증대로 인해 상위규격으로 가공전선을 교체하거나 증설할 때 종래와 달리 분할핀과 커넥터핀을 풀어서 분리하였다가 다시 결합하는 세밀하고 섬세한 동작 및 번거로움 없이 공중에서 가공전선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가설 또는 증설할 수 있다.
따라서 가공전선의 가설 또는 증설에 따른 작업 시간을 단축 및 편리성을 확보함은 물론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현수애자 일체형 배전선 인장 클램프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국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수애자 일체형 배전선 인장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수애자 일체형 배전선 인장 클램프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수애자 일체형 배전선 인장 클램프 중 인장 클램프만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수애자 일체형 배전선 인장 클램프의 사용 상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수애자 일체형 배전선 인장 클램프의 사용 상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의 편의와 이해를 돕기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될 수 있고, 그 도면상의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또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說示)하는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징, 개수, 단계,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부" 및 "유닛"의 의미는 장치 또는 시스템에서 목적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어느 일정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역할을 하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또는 어셈블리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수애자 일체형 배전선 인장 클램프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는 홀더(10)와 브래킷(20) 및 현수애자(30)를 포함하고 있다.
홀더(10)는 회전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쳐 있는 편심 원판 또는 회전중심이 중앙에 있는 타원형의 판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홀더(10)는 한쪽으로 치우쳐 축구멍(13)이 뚫린 편심 원판이나 가운데에 축구멍(13)이 뚫린 타원형의 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홀더(10)의 바깥 둘레 면 중 일부분에는 브래킷(20)의 내부에 인입한 가공전선(40)을 조이기 위한 요철(14)이 일정 간격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홀더(10)의 바깥 둘레 면 중 일부분은 가공전선(40)의 가설 시 회전마찰을 줄이고 가공전선(40)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는 롤러 역할을 한다.
즉, 홀더(10)의 바깥 둘레 면 중 일부분에는 요철(14)이 형성되어 있고, 그 요철(14) 부분 이외에는 가공전선(40)의 피복 등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홀더(10)의 바깥 둘레 면에 형성하는 요철(14)은 가로 또는 경사지게 톱니 모양을 낸 형태, 깔쭉깔쭉하거나 우툴두툴한 자국을 낸 형태 또는 세레이션(serration), 스플라인(spline) 등과 같은 형태, 널링(knurling) 가공한 형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홀더(10)는 각기 축구멍(13)이 뚫린 제1 및 제2홀더(11)(12)로 이루어져 병렬 배치될 수 있다.
즉, 홀더(10)는 송전용량 증대로 인한 가공전선(40)의 증설에 대비하기 위해 제1 및 제2홀더(11)(12)를 나란히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홀더(11)와 제2홀더(12)는 크기가 다른, 즉 지름이 다른 편심 원판이나 장축의 길이가 다른 타원형의 판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브래킷(20)은 홀더(10)를 핀 이음(pin joint)으로 체결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현수애자(30)의 한쪽 끝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20)은 철판을 ㄷ자형이나 U자형으로 구부린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입이 벌려있는, 즉 열린 쪽에 라운드 핀(25)을 꽂는 핀구멍(24)이 뚫려 있다.
즉, 브래킷(20)은 마치 클레비스아이(clevis-eye) 모양으로 이루어져 그 핀구멍(24)에 라운드 핀(25)을 끼워 홀더(10)를 핀 이음으로 체결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홀더(10)의 바깥 둘레 면과 마주하는 안쪽 면 사이에 가공전선(40)을 인입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브래킷(20)은 제1지지부(21), 제2지지부(22) 및 고정부(23)를 포함하고 있다.
제1지지부(21)는 철판을 ㄷ자형이나 U자형으로 구부린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입이 벌려있는, 즉 열린 쪽에 제1홀더(11)를 핀 이음으로 체결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라운드 핀(25)을 꽂는 핀구멍(24)이 뚫려 있다.
제2지지부(22)는 제1지지부(21)와 인접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지지부(22)는 철판을 ㄷ자형이나 U자형으로 구부린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입이 벌려있는, 즉 열린 쪽에 제1홀더(11)와 크기가 다른 제2홀더(12)를 핀 이음으로 체결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라운드 핀(25)을 꽂는 핀구멍(24)이 뚫려 있다.
여기서 브래킷(20)의 제1 및 제2지지부(21)(22)는 세 개의 갈래 살(tine)과 그 각 갈래 살 사이에 슬롯(slot) 공간이 있는 마치 포크(fork)의 헤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23)는 현수애자(30)의 한쪽 단부를 끼워서 고정하기 위해 제1 및 제2지지부(21)(22)의 한쪽 끝부분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브래킷(20)은 알루미늄, 용융 아연도금 주철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되고, 현수애자(30)의 단부는 FRP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되어 브래킷(20)의 고정부(23) 속에 현수애자(30)의 한쪽 단부를 끼운 다음 프레스로 압축하여 결합하는 방식으로 직접 고정할 수 있고, 그 사이에는 물이 스며들지 않게 방수제를 발라 방수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브래킷(20)의 고정부(23)를 현수애자(30)의 한쪽 끝부분에 고정하고, 제1 및 제2지지부(21)(22)의 갈래 살 사이 슬롯 공간에 위치하는 홀더(10)의 축구멍(13)을 브래킷(20)의 핀구멍(24)과 일치시켜 라운드 핀(25)을 박고, 그 라운드 핀(25)의 끝부분에 뚫린 핀홀에 스플릿 핀(26)을 끼워 조립할 수 있다.
한편, 현수애자(30)는 가공전선(40)을 철탑 또는 전주의 완금이나 완철에 고정하고 절연하기 위하여 절연내력과 기계적 강도가 큰 사기, 유리, 합성수지 등으로 만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수애자(30)는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 등의 강화 플라스틱으로 만든 환봉형 코어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의 원판형 날개가 배치되어 있고, 습기나 화학적 오염 등의 외부환경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코어와 날개의 표면에는 EPDM(Ethlene Propylene Diene Terpolymer) 등으로 폴리머층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현수애자(30)의 다른 한쪽 단부에는 소켓아이나 볼쇄클 등과 연결하기 위한 볼클레비스(31)가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수애자 일체형 배전선 인장 클램프는 홀더(10)가 브래킷(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라운드 핀(25)에 의해 핀 이음으로 체결되어 있고, 또 홀더(10)의 바깥 둘레 면 중 일부분, 즉 회전의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부분은 둥글고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공전선(40)의 가설 시 브래킷(20)의 내부로 인입을 원활하게 하는 롤러 역할을 하여 가공전선(40)의 피복 등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회전마찰을 줄여 장력 조절을 위한 이동이 편리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래킷(20)의 위쪽에서 가공전선(40)을 아래로 구부려서 인입할 때 홀더(10)의 둥글고 매끄러운 바깥 둘레 면에 걸어 힘의 방향을 바꾸면서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적은 힘으로도 가공전선(40)을 팽팽하게 당길 수 있다.
더구나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10)는 회전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쳐 있는 편심 원판 또는 회전중심이 중앙에 있는 타원형의 판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바깥 둘레 면 중 일부분에는 요철(14)이 일정 간격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홀더(10)와 브래킷(20) 사이에 가공전선(40)을 인입한 상태에서 홀더(10)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리거나 가공전선(40)을 아래로 잡아당기면 홀더(10)의 바깥 둘레 면과 마주하는 브래킷(20)의 안쪽 면을 향해 요철(14) 부분이 가공전선(40)을 서서히 가압하면서 밀착시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즉, 홀더(10)가 라운드 핀(25)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브래킷(20)의 안쪽 면과 홀더(10)의 바깥 둘레 면 사이의 폭(이격 거리)이 좁아지면서 그 사이에 끼인 가공전선(40)을 자연스럽게 가압하여 꽉 조여줌으로써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가공전선(40)의 교체 작업 시 종래와 달리 설치 및 해체 작업이 필요 없어 공중에서 가공전선(40)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가설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홀더(10)가 제1 및 제2홀더(11)(12)로 이루어져 병렬 배치되어 있어 송전용량 증대로 인한 가공전선(40)의 교체나 선로 증설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홀더(11)의 지름보다 제2홀더(12)의 지름이 작고, 애초 제1홀더(11)에 외경이 95㎟급 가공전선(40)을 공중에 가로질러 설치한 상태에서 송전용량 증대로 인해 외경이 160㎟급 가공전선(40)으로 교체해야 할 경우 제1홀더(11)에 이미 가선(架線)이 되어 있는 95㎟급 가공전선(40)은 철거하고, 제2홀더(12)에다가 160㎟급 가공전선(40)을 설치만 하면 되므로 교체 및 증설 작업이 까다롭지 않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홀더 11: 제1홀더
12: 제2홀더 13: 축구멍
14: 요철 20: 브래킷
21: 제1지지부 22: 제2지지부
23: 고정부 24: 핀구멍
25: 라운드 핀 26: 스플릿 핀

Claims (2)

  1. 판형 홀더(10); 및
    상기 홀더(10)를 핀 이음(pin joint)으로 체결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현수애자(30)에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20);
    을 포함하며,
    상기 홀더(10)는 회전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쳐 있는 편심 원판 또는 회전중심이 중앙에 있는 타원형의 판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브래킷(20)에 핀 이음으로 체결하는 라운드 핀(25)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브래킷(20)의 내부에 인입한 가공전선(40)을 상기 홀더(10)의 바깥 둘레 면과 마주하는 상기 브래킷(20)의 안쪽 면에 가압 밀착시켜 고정하되,
    상기 홀더(10)의 바깥 둘레 면 중 일부분에 상기 브래킷(20)의 내부에 인입한 가공전선(40)을 조이기 위한 요철(14)이 일정 간격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애자 일체형 배전선 인장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0)는, 제1 및 제2홀더(11)(12)로 이루어지며,
    상기 브래킷(20)은, 철판을 ㄷ자형이나 U자형으로 구부린 모양의 입이 벌려있는 쪽에 뚫린 핀구멍(24)에 상기 라운드 핀(25)을 끼워 상기 제1홀더(11)를 핀 이음으로 체결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부(21);
    상기 제1지지부(21)와 인접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철판을 ㄷ자형이나 U자형으로 구부린 모양의 입이 벌려있는 쪽에 뚫린 핀구멍(24)에 상기 라운드 핀(25)을 끼워 상기 제1홀더(11)와 크기가 다른 상기 제2홀더(12)를 핀 이음으로 체결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부(22); 및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21)(22)의 한쪽 끝부분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현수애자(30)의 한쪽 단부를 끼워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애자 일체형 배전선 인장 클램프.
KR1020230055112A 2023-04-27 2023-04-27 현수애자 일체형 배전선 인장 클램프 KR102584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5112A KR102584188B1 (ko) 2023-04-27 2023-04-27 현수애자 일체형 배전선 인장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5112A KR102584188B1 (ko) 2023-04-27 2023-04-27 현수애자 일체형 배전선 인장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4188B1 true KR102584188B1 (ko) 2023-10-05

Family

ID=88293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5112A KR102584188B1 (ko) 2023-04-27 2023-04-27 현수애자 일체형 배전선 인장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18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601Y1 (ko) 2003-10-23 2004-01-16 전형근 클램프 일체형 폴리머 현수애자
KR200403495Y1 (ko) 2005-09-16 2005-12-09 김은정 애자와 일체로 형성된 배선용 클램프
KR100927116B1 (ko) 2009-08-06 2009-11-18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
KR100970762B1 (ko) 2010-04-28 2010-07-16 배규보 전주의 저압가공선 연결 현수애자
KR101187583B1 (ko) * 2012-05-18 2012-10-02 이치우 광케이블 인입 클램프
KR20130030560A (ko) * 2011-09-19 2013-03-27 한국전력공사 저압전선 연결용 내장 클램프 금구
KR20200079659A (ko) * 2018-12-26 2020-07-06 한국전력공사 배전용 저압전선 일체형 절연인장 그립
KR102461766B1 (ko) 2021-12-30 2022-11-01 (주)오성이엠 가공송전 현수애자 장력 밸런스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601Y1 (ko) 2003-10-23 2004-01-16 전형근 클램프 일체형 폴리머 현수애자
KR200403495Y1 (ko) 2005-09-16 2005-12-09 김은정 애자와 일체로 형성된 배선용 클램프
KR100927116B1 (ko) 2009-08-06 2009-11-18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
KR100970762B1 (ko) 2010-04-28 2010-07-16 배규보 전주의 저압가공선 연결 현수애자
KR20130030560A (ko) * 2011-09-19 2013-03-27 한국전력공사 저압전선 연결용 내장 클램프 금구
KR101187583B1 (ko) * 2012-05-18 2012-10-02 이치우 광케이블 인입 클램프
KR20200079659A (ko) * 2018-12-26 2020-07-06 한국전력공사 배전용 저압전선 일체형 절연인장 그립
KR102461766B1 (ko) 2021-12-30 2022-11-01 (주)오성이엠 가공송전 현수애자 장력 밸런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100168B4 (en) System and method for joining and hanging ducts
CN205578907U (zh) 一种固定电缆的夹具
CN103904600B (zh) 用于安装电缆的支撑装置及安装方法
US20090003970A1 (en) Threaded anchor having a head portion comprising a hexagonally configured drive section, and an integral projection having a transverse bore formed therein
KR102584188B1 (ko) 현수애자 일체형 배전선 인장 클램프
US4461521A (en) Strand hanger bracket with common ground connections
KR102604806B1 (ko) 현수애자 일체형 내장 클램프
KR101721540B1 (ko)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
EP0255030A1 (en) Clamping device for retaining cables or conductors incorporating optic fibres
JP4979541B2 (ja) ケーブル固定具の固定方法
US20150192016A1 (en) Truss eye
US6874207B2 (en) Yoke for automatic deadend assembly
JP3381067B2 (ja) メッセンジャーワイヤー用吊り金具
JP4350324B2 (ja) 高圧ピン碍子交換具と高圧ピン碍子の交換方法
CN211930224U (zh) 一种电缆沟用线缆托架
KR200223945Y1 (ko) 케이블 지지용 케이블 행거
KR200269701Y1 (ko) 케이블 고정구
KR100889348B1 (ko) 와이어 장력기
KR101668108B1 (ko) 통신용 케이블 행거
JP4953651B2 (ja) ピン碍子及びこれを用いた電線支持方法
CN205595750U (zh) 一种可固定的电缆接头
KR20210042732A (ko) 인장클램프의 분리 공구
CN220566504U (zh) 一种用于连接柔性索的节点
KR0121875Y1 (ko) 전주가설용 케이블의 클램프장치
JP3177476B2 (ja) 架空線用締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