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053Y1 - 단자함 설치대 - Google Patents

단자함 설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053Y1
KR200173053Y1 KR2019970031377U KR19970031377U KR200173053Y1 KR 200173053 Y1 KR200173053 Y1 KR 200173053Y1 KR 2019970031377 U KR2019970031377 U KR 2019970031377U KR 19970031377 U KR19970031377 U KR 19970031377U KR 200173053 Y1 KR200173053 Y1 KR 2001730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x
support member
fixed
support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13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8159U (ko
Inventor
김규식
Original Assignee
김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식 filed Critical 김규식
Priority to KR20199700313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053Y1/ko
Publication of KR199900181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1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0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0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을 가정으로 분기시키는 단자함과, 단자함으로부터 분기되는 케이블이 이완되지 않도록 긴장시키는 인입 클램프의 설치대에 관한 것으로 그 구조를 개선하여 설치대를 구조물에 보다 빠른 시간 내에 견고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수평면에 다수개의 걸림공(18)이 형성되고 수직 내측면에는 탄성부재(20)가 고정되며 수직면에는 다수개의 체결공(22)이 형성된 제 1 지지부재(16)와, 상기 제 1 지지부재에 형성된 걸림공 중 어느 하나의 걸림공에 끼워지는 걸림돌기(23)가 수평면 하부에 형성되고 수직 내측면에는 탄성부재(20)가 고정되며 수직면에는 다수개의 체결공(24)이 형성된 제 2 지지부재(17)와, 상기 제 2 지지부재에 형성된 장공(25) 및 제 1 지지부재에 형성된 삽입공(26)을 통해 결합되어 너트(28)에 의해 고정되는 체결고리(27)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단자함 설치대{stand for mounting terminal box}
본 고안은 케이블을 가정으로 분기시키는 단자함과, 단자함으로부터 분기되는 케이블이 이완되지 않도록 긴장시키는 인입 틀램프의 설채대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구체적으로는 건축 구조물의 위치나 각도에 구애받지 않고 어떠한 단면의 구조물에도 설치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단자함 설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관로에 따라 설치된 케이블은 전주(電柱)의 꼭대기로 인상되어 각 가정으로 분기된다.
따라서 각 전주에는 인상된 케이블(Cable)을 각 가정으로 분기시키는 단자함이 설치된다.
그러나 주거 밀집지역인 경우, 1개의 전주에 여러개의 단자함을 설치하여야 되지만, 1개의 전주에 여러개의 단자함을 설치하는데에는 한계가 있게 됨은 물론 주거 밀집지역에 많은 전주를 설치하는데에도 많은 장애가 수반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전주를 이용하지 않고 건축 구조물을 이용하여 단자함을 설치할 수 있도록 된 벽단자함 설치대가 국내 특허공고 제 92 - 9867 호로 알려진 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단자함 설치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정면도로써, 단면이 관형이고 상부에 인입선 고리(7)와 측부에 볼트공(5)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 협지부재(4′)가 힌지 결합되어 있는 "ㄱ"자형 몸체(1)와, 상기 몸체의 단면내에 결합되어지고 일측 단면내부에 너트(3)가 고착되어 있으며 하단에 협지부재(4)가 힌지 결합되어 있는 출몰부재(2)와, 일정간격으로 좌우에 걸림홈(12)이 형성되어 있고 볼트공(11)이 천공되어 있는 단자함 걸림대(8)와, 단자함 걸림대의 볼트공을 관통하고 몸체(1)의 측부 볼트공(5)을 통하여 몸체의 단면내부로 삽입된 출몰부재(2)의 일측 단면내부에 고착된 너트(3)와 결합되어 출몰부재의 출몰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볼트(1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몸체(1)내에 출몰부재(2)를 삽입하고 몸체(1)의 측벽에 단자함 걸림대(8)를 몸체(1)의 볼트공(5) 및 단자함 걸림대(8)의 볼트공(11)이 서로 일치되도록 결합시킨 상태에서 조정볼트(13)를 출몰부재(2)의 너트(3)에 나사 결합하면 설치대의 조립작업이 완료된다.
상기한 설치대는 구조물의 폭에 따라 조정볼트(13)를 회전시켜 협지부재(4)(4′)사이의 간격을 조절한 다음 상기 협지부재를 구조물사이에 위치시키고 조정볼트(13)를 조여 주므로써 출몰부재(2)가 몸체(1)측으로 이동하여 구조물에 설치 완료된다.
이와 같이 설치대가 구조물에 고정되고 나면 단자함의 크기에 따라 걸림구(15)를 적정한 위치의 걸이홈(12)에 걸어 단자함을 설치한 다음 케이블을 케이블 인입 클램프 등의 수단에 의해 인입선 고리(7)에 걸어두면 단자함의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설치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조정볼트(13)의 회전에 따른 조임력과 협지부재(4)(4′)에 의한 맞물림력이 직각방향에 위치되어 있어 조정볼트를 완전히 조여주더라도 설치대의 고정력이 약화되므로 몸체(1)의 인입선 고리(7)에 걸리는 케이블의 장력에 의해 설치대가 초기 설치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일측으로 기울어지거나, 심한 경우 구조물에서 이탈되었다.
둘째, 구조물의 두께가 매우 얇은 경우에는 조정볼트(13)를 회전시켜 협지부재(4)(4′)사이의 간격을 좁혀 주어야 되었으므로 설치대의 설치작업에 따른 작업시간이 지연되었다.
셋째, 단자함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걸림대(8)와 걸림구(15)가 필요하게 되므로 부품의 증가로 인해 부품관리가 용이치 못하였음은 물론 설치시간 또한 오래 결렸다.
넷째, 수직방향으로 기다란 협지부재(4)(4′)가 구조물에 맞닿아 체결력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구조물의 지지면적이 좁을 경우에는 케이블의 장력에 의해 많은 부하가 걸리는 설치대를 설치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축한 것으로서, 그 구조를 개선하여 설치대를 구조물에 보다 빠른 시간내에 견고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수평면에 다수개의 걸림공이 형성되고 수직 내측면에는 탄성부재가 고정되며 수직면에는 다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제 1 지지부재와, 상기 제 1 지지부재에 형성된 걸림공 중 어느 하나의 걸림공에 끼워지는 걸림돌기가 수평면 하부에 형성되고 수직 내측면에는 탄성부재가 고정되며 수직면에는 다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제 2 지지부재와, 상기 제 2 지지부재에 형성된 장공 및 제 1 지지부재에 형성된 삽입공을 통해 끼워져 너트에 의해 고정되어 제 1,2 지지부재의 체결력을 유지하는 체결고리로 구성된 단자함 설치대가 제공된다.
도1은 종래의 단자함 설치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단자함 설치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4는 도 3의 결합상태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도 4의 A - A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단자함을 직접 설치한 상태의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보조 지지대를 이용하여 단자함을 설치한 상태의 정면도
도면의 중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 제 1 지지부재 17 : 제 2 지지부재
18 : 걸림공 20 : 탄성부재
23 : 걸림돌기 25 : 장공
26 : 삽입공 27 : 체결고리
30 : 단자함 31 : 보조 지지대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단자함 설치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 - A선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제 1,2 지지부재(16)(17)로 분할 형성된 몸체 중 제 1 지지부태(16)의 수평면에 다수개의 걸림공(18)이 형성되어 있고 수직 내측면에는 구조물(19)과 접속되는 탄성부재(20)가 고정되어 있으며 수직면에는 호스밴드(21)가 체결되는 다수개의 체결공(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지지부재(17)에는 상기 제 1 지지부재(16)에 형성된 걸림공(18)중 어느 하나의 걸림공에 끼워지는 걸림동기(23)가 수평면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수직 내측면에는 제 1 지지부재와 마찬가지로 탄성부재(20)가 고정되어 있으며 수직면에는 다수개의 체결공(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2 지지부재(16)(17)의 상부에는 제 2 지지부재(17)에 형성된 장공(25) 및 제 1 지지부재(16)에 형성된 삽입공(26)으로 체결고리(27)의 나사부가 끼워져 너트(28)에 의해 고정되어 제 1,2 지지부재의 체결력을 유지하게 되는데, 상기 체결고리(27)에는 인입 클램프(도시는 생략함)가 걸려 케이블을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2 지지부재(16)(17)의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탄성부재 고정공(29)이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탄성부재(20)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구조물의 형상 또는 크기에 따라 설치대의 지지(고정)위치가 달라지므로 이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처하여 구조물에 설치대를 견고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구성된 본 고안의 설치대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2 지지부재(16)(17) 중 어느 하나의 지지부재 일측면에 단자함(30)을 호스밴드(21)로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2 지지부재(16)(17)중 어느 하나의 지지부재 일측면에 보조 지지대(31)를 보울트(32) 및 너트(33)로 고정한 다음 상기 보조 지지대(31)에 단자함(30)을 호스밴드(21)로 고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지지부재(16)의 수평면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걸림공(18)에 제 2 지지부재(17)의 걸림돌기(23)가 끼워지도록 한 다음 장공(25)과 삽입공(26)을 통하여 체결고리(27)의 나사부를 끼우고 너트(28)를 체결하므로써, 설치대의 조립작업이 완료된다.
이러한 설치대를 건축 구조물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체결고리(27)를 약간 푼 다음 구조물(19)의 두께보다 제 2,3 지지부재(16)(17)사이의 간결을 넓게 조절하여 상기 제 1,2 지지부재(16)(17)의 내측면에 고정된 탄성부재(20)를 구조물(19)과 접속 가능한 상태로 감싼다.
이러한 상태에서 탄성부재(20)가 구조물(19)을 견고히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4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지지부재(17)를 약간 들어 올려 탄성부재(20)가 구조물(19)의 일측면에 접속되도록 함과 동시에 걸림돌기(23)를 어느 하나의 걸림공(18)에 끼운다.
그 후, 풀어 놓았던 체결고리(27)를 조여 주면 일점쇄선과 같이 들려져 있던 제 2 지지부재(17)가 체결고리의 조임력에 의해 하방으로 눌리게 되므로 제 1,2 지지부재(16)(17)가 구조물(19)의 양측면을 견고히 물어주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업에 의해 설치대를 구조물에 고정시키고 나면 제 1,2 지지부재(16)(17)의 일측면 중 어느 하나의 지지부재에 단자함(30)을 직접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지지부재(16)의 일측면에 단자함(30)을 밀착시킨 다음 제 1 지지부재의 상,하부에 형성된 체결공(22)에 호스밴드(21)를 채워 주므로서 단자함(30)의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단자함(30)의 설치작업이 완료되고 나면 체결고리(27)에 케이블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인입 클램프를 걸어줄 수 있게 된다.
한편, 단자함(30)을 설치대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울트(32)와 너트(33)를 이용하여 제 1 지지부재(16)의 일측면에 보조 지지대(31)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보조 지지대(31)에 단자함(30)을 호스밴드(21)로 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업에 의해 고정되는 설치대는 구조물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제 1,2 지지부재(16)(17)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탄성부재(20)의 위치를 가변시켜 주므로써 설치대의 설치작업이 가능해지게 된다.
즉, 구조물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제 1,2 지지부재(16)(17)의 내측면에 형성된 탄성부재 고정공(29) 중 어느 하나의 고정공을 선택하여 탄성부재(20)를 끼워 주면 설치대를 구조물의 형성 및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항상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설치대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체결고리(27)의 회전에 따른 조임력에 의해 제 2 지지부재(17)가 구조물(19)측으로 눌려져 설치대의 고정력이 배가되므로 인입 클램프에 의한 케이블의 장력이 작용되더라도 설치대를 항상 초기 설치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둘째, 구조물의 두께가 매우 얇더라도 제 2 지지부재(17)의 간격을 자유자재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설치대를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셋째, 걸림대와 걸림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단자대를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부품의 관리가 용이해지게 됨을 물론 단자함을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넷째, 구조물의 지지면적이 좁을 경우에도 탄성부재(20)의 위치를 가변시켜 설치대를 설치하게 되므로 설치대의 체결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어느 조건의 구조물이더라고 설치대를 견고히 설치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수평면과 수직면으로 된 대략 ??자 형상의 제1지지부재(16)의 일측에 수평면과 수직면으로 된 제2지지부재(17)를 결합하여 각 지지부재(16)(17)의 수직면이 벽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16)의 수평면과 수직면에 각각 다수개의 걸림공(18)과 삽입공(26) 및 체결공(22)을 형성하고 제2지지부재(17)의 수평면과 수직면에는 각각 걸림공으로 끼워지는 걸림돌기(23)와 장공(25) 및 체결공(24)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공(26)과 장공(25)을 통해 체결고리(27)를 삽입하여 너트(28)로 고정함에 따라 각 지지부재의 수직면이 벽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설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2지지부재의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탄성부재 고정공(29)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부재 고정공에 탄성부재(20)를 결합하여서 된 단자함 설치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제1, 2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의 지지부재 일측면에 단자함(30)이 호스밴드(21)로 고정된 단자함 설치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제1지지부재의 일측면에 보조지지대(31)가 보울트(32) 및 너트(33)로 고정되고 상기 보조 지지대에는 단자함이 호스밴드로 고정된 단자함 설치대.
KR2019970031377U 1997-11-07 1997-11-07 단자함 설치대 KR2001730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377U KR200173053Y1 (ko) 1997-11-07 1997-11-07 단자함 설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377U KR200173053Y1 (ko) 1997-11-07 1997-11-07 단자함 설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159U KR19990018159U (ko) 1999-06-05
KR200173053Y1 true KR200173053Y1 (ko) 2000-03-02

Family

ID=19513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1377U KR200173053Y1 (ko) 1997-11-07 1997-11-07 단자함 설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05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159U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1423A (en) Conduit supporting bracket
WO1993016312A1 (en) Cleat
CA2183920A1 (en) Wire frame pan assembly for mounting recessed lighting in ceilings and the like
US5831213A (en) Electrical outlet box and removable clamp therefor
KR200173053Y1 (ko) 단자함 설치대
US20090231828A1 (en) Enclosure securing device
FR2730354A1 (fr) Systeme de fixation d'un boitier pour appareillages electriques et procede de montage d'un tel boitier pour la fixation d'appareillages electriques
EP0686796B1 (fr) Dispositif de support pour goulotte
KR920009867B1 (ko) 벽단자함 설치대
CA2491659C (en) Mounting bracket, and method therefor
KR200392693Y1 (ko) 행거형 브라켓
KR0133967Y1 (ko) 벽단자함 설치대용 단자함 설치장치
EP0597765B1 (fr) Boîte d'encastrement pour suspension d'un lustre à un plafond
CA1067873A (en) Wall mounted hinged base
KR0124707Y1 (ko) 전기,통신용 노출박스
KR200235040Y1 (ko) 다기능 편출용 디형 랙크 구조
KR0121875Y1 (ko) 전주가설용 케이블의 클램프장치
KR100495559B1 (ko) 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 장치
JPH07147108A (ja) 照明器具の取付け構造
KR200392686Y1 (ko) 통신케이블용 조가선 클램프
KR200156698Y1 (ko) 가공지선 지지대
KR200332714Y1 (ko) 통신케이블용 단자함 인입벽철
KR200379725Y1 (ko) 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 장치
KR200191203Y1 (ko) 천정 구조물 지지체용 행거
KR200269701Y1 (ko) 케이블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