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040Y1 - 다기능 편출용 디형 랙크 구조 - Google Patents

다기능 편출용 디형 랙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040Y1
KR200235040Y1 KR2020000037099U KR20000037099U KR200235040Y1 KR 200235040 Y1 KR200235040 Y1 KR 200235040Y1 KR 2020000037099 U KR2020000037099 U KR 2020000037099U KR 20000037099 U KR20000037099 U KR 20000037099U KR 200235040 Y1 KR200235040 Y1 KR 2002350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ole
main body
band
type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70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갑
이이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0000370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0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0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04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전주에 체결되어 각종 전선 및 변압기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편출용 D형 래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전선을 지지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전주에 고정하여 지지하는 지지밴드로 이루어진 편출용 D형 랙크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외측지지대와, 상기 외측지지대의 내부로 섭동가능하게 끼워지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내측지지대와, 상기 임의의 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외측지지대와 내측지지대를 체결함에 의해 상기 지지대의 전체길이를 다단계로 가변시켜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구비한 다기능 편출용 D형 랙크 구조를 제공하여,
전선 등을 직접 지지하는 본체의 전주로부터의 돌출상태가 다단계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인입선용금구 등을 동시에 고정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전주상에서 지지밴드의 설치구간이 폭넓게 확대될 수 있도록 하면서 그 장악력도 강하게 하여 안정된 상태의 배전품질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선의 통과 경로 조절을 위한 작업량 및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건조물 등과의 충분한 이격 거리의 용이한 확보로 감전사고의 예방 및 민원예방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편출용 디형 랙크 구조{A STRUCTURE OF A MULTI FUNCTION ONE SIDE PROJECTION D-TYPE RACK}
본 고안은 전주에 체결되어 각종 전선 및 변압기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랙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주의 일방으로 돌출되어 전선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편출용 D형 래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편출용 D형 래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전선 등을 직접 지지하는 부위인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를 지지하는 지지부(102) 및 상기 지지부(102)를 전주(104)에 고정하여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밴드(106)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지지부(102)는 그 길이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밴드(106)는 상하의 것이 모두 동일한 규격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편출용 D형 래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수(108)나 가로등(110) 또는 간판(112) 등과 같은 건조물이 당해 편출용 D형 래크가 지지하고 있는 전선(114)이 통과하는 경로상에 돌출하여 장애가 되는 경우에, 상기 지지부(102)의 길이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변압기 및 전주를 설치하거나 전선을 이설해야만 하므로 상기와 같은 건조물 등과의 접촉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우려 및 공사비의 과다 발생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편출용 D형 래크의 경우에는 상기 본체(100)는 단순한 바아(BAR)의 형태를 가지고 별도의 장비를 취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아서 상기한 바와 같은 편출용 D형 래크의 설치개소에 인입선이 설치된 경우에는 인입선 정비를 위하여 별도로 인입선용금구(116)를 전주(104)에 취부해야 하므로 전주(104)의 길이가 길어지고 여기에 취부된 물체가 복잡해지므로 미관을 저해함은 물론 불필요한비용이 추가로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편출용 D형 래크에 사용되고 있는 일정한 규격의 지지밴드(106)는 전주(104)상에 설치될 수 있는 구간을 일정하게 확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바, 전주(10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일정한 규격의 지지밴드(106)는 도시된 바와 같이 12M 전주(104)의 경우 그 지지밴드(106) 설치범위가 200-280mm로 제한되어 190-200mm 구간에서는 이를 정상적으로는 설치할 수 없고 지지밴드(106)를 수작업으로 가공하거나 지지밴드(106) 내부에 다른 부재를 삽입하여 공사할 수밖에는 없는 바, 부실공사를 낳게되어 배전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한편, 상기 지지밴드(106)의 내부표면 즉, 전주표면에 직접 접촉되어 장악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은 매끄러운 상태를 하고 있는 바, 내장주용인 경우에는 전선(114)의 인장력에 의한 편하중 발생시 쉽게 지지밴드(106)가 미끄러져 편출용 D형 래크가 회전하여 전선이 늘어지게 됨으로써 인근의 건조물 등에 접촉하는 문제점 등이 발생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선 등을 직접 지지하는 본체의 전주로부터의 돌출상태가 다단계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인입선용금구 등을 동시에 고정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전주상에서 지지밴드의 설치구간이 폭넓게 확대될 수 있도록 하면서 그 장악력도 강하게 하여 안정된 상태의 배전품질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편출용 D형 랙크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편출용 D형 래크의 구조도,
도 2는 도 1의 편출용 D형 래크가 사용되는 경우의 문제점을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도 1의 편출용 D형 래크가 사용되는 경우에 전주의 설치가능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다기능 편출용 D형 래크의 구조도,
도 5는 도 4의 다기능 편출용 D형 래크에서 그 내측지지대의 돌출길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의 다기능 편출용 D형 래크에 사용되는 두 가지 지지밴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편출용 D형 래크의 지지밴드에 설치된 장악력 증강용 돌기를 도시한 상세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편출용 D형 래크에 인입선용금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의 인입선용금구의 일예를 도시한 구조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편출용 D형 래크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인입정비금구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편출용 D형 래크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2는 인입정비금구인 전선휴즈지지대가 개선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인입정비금구인 전선휴즈걸이가 개선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편출용 D형 래크가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편출용 D형 래크가 전주에서 설치될 수 있는 범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체 3: 외측지지대
5: 내측지지대 7,9: 지지밴드
11: 관통구멍 13: 볼트
15: 다용도홀 17: 장악력 증강용 돌기
19: 인입선용금구 21: 인입선
23: 전선휴즈지지대 25: 전선휴즈걸이
104: 전주 114: 전선
108: 가로수 110: 가로등
112: 간판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다기능 편출용 D형 랙크 구조는 전선을 지지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전주에 고정하여 지지하는 지지밴드로 이루어진 편출용 D형 랙크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외측지지대와, 상기 외측지지대의 내부로 섭동가능하게 끼워지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내측지지대와, 상기 임의의 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외측지지대와 내측지지대를 체결함에 의해 상기 지지대의 전체길이를 다단계로 가변시켜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편출용 D형 랙크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체(1)와 지지대(3,5) 및 지지밴드(7,9)로 이루어져 있는데, 여기서, 상기 지지대(3,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단계로 그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지지밴드(7,9)측에 연결 고정되어 있는 외측지지대(3)의 내부로 본체(1)가 지지된 내측지지대(5)가 섭동할 수 있도록 끼워져서 이들 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구멍(11)에 볼트(13)를 체결하여 내측지지대(5)가 상기 외측지지대(3)에 대하여 돌출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내측지지대(5)에는 암타이(arm tie)나 인입케이블조가선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다용도홀(15)을 마련하여 수직/편하중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 보조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지지밴드(7,9)는 전주(104)에 장착 가능한 장착가능 내경 범위가 서로다른 종류로 이루어지도록 한 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가능 내경 범위가 180-230mm인 제1호 지지밴드(7)와 220-280mm인 제2호 지지밴드(9)를 구비하여 전주(104)의 상측에는 상기 제1호 지지밴드(7)가 하측에는 제2호 지지밴드(9)가 각각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예컨대 12M 전주(104)의 상단 190-200mm 구간에도 편출용 D형 래크가 용이하고 정확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밴드(9)의 서로 다른 종류의 장착가능 내경 범위는 서로 장착 가능한 내경 범위의 일부를 공유하도록 설정하였는 바, 220-230mm 의 구간이 바로 상기 제1호 및 제2호 지지밴드(7,9)가 공유하는 장착가능 내경 범위가 된다.
한편, 상기 지지밴드(7,9)의 내부 표면에는 다수의 장악력 증강용 돌기(17)가 도 7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일단 전주(104)에 지지밴드(7,9)가 체결 완료된 후에는 전선(114)으로부터 제공되는 편심력 등에 의해서도 편출용 D형 래크가 전주(104)에 대해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였다.
도 8에는 상기 본체(1)의 상/하단에 인입선용금구(19)가 일체로 설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는 바, 여기에 설치된 인입선용금구(19)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고, 이의 장착을 위해 본체(1)의 길이를 종래의 1000mm에서 1100mm로 변경하여, 전주(104)에 인입선(21)이 설치될 때 이를 통하여 설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편출용 D형 랙크 외에 별도의 구조물을 전주(104)에 추가로 설치하여 인입선(21)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를 제거하였다.
참고로, 도 11에는 인입정비금구인 전선휴즈지지대(23) 등이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바, 종래에도 이와 같은 인입정비금구의 설치는 있었는 바, 본 고안의 활용에 따라 본 고안에 사용되는 지지대(3,5)의 규격에 맞도록 종래에 사용되어 오던 인입정비금구인 전선휴즈지지대(23) 및 전선휴즈걸이(25) 등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치수를 확대 개선하여 장착하도록 해야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4는 본 고안에 의한 다기능 편출용 D형 랙크의 사용개념도가 도시된 것으로서, 가로수(108)나 가로등(110) 또는 건물의 간판(112) 등과 같은 건조물 등이 전선(114)의 경로에 접촉가능상태로 인접하게 되는 경우에도 상기 다기능 편출용 D형 래크의 지지대(3,5)의 길이를 간단한 조작으로 변화시켜 전선(114)이 상기와 같은 장애물을 피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안전사고 위험의 제거는 물론 변압기나 전주의 신설 및 전주의 이전 등으로 인한 막대한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즉, 종래에는 편출용 D형 랙크가 그 지지대의 길이가 고정되어 있는 형태였으므로 상기와 같이 전선(114)에 인접하는 장애물이 새로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이를 상기한 바와 같은 변압기, 전주 등의 신설 및 이전 등으로 전선(114)의 경로를 변경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밖에 없었으나, 본 고안의 다기능 편출용 D형 랙크의 경우 상기 내측지지대(5)의 외측지지대(3)에 대한 돌출길이를 볼트(13)를 풀고 조절한 후 다시 볼트(13)로 고정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전선(114)의 경로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 다기능 편출용 D형 랙크는 그 상하의 지지밴드(7,9)가 서로 전주(104)에 장착될 수 있는 장착가능 내경 범위가 다르게 형성되어 상측에는 보다작은 전주 직경에 장착하기에 적합하고 하측에는 비교적 큰 직경에 장착하기에 적합한 구조로 되어 있어서 전주(104)에 설치 가능한 범위는 12M 전주에 있어서 상측의 190-280mm 구간 전체에 걸치게 되므로 보다 다양한 설치상태를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밴드(7,9)의 내측 표면에는 다수의 장악력 증강용 돌기(17)가 마련되어 있는 바, 이들은 일단 지지밴드(7,9)가 전주(104)에 조여져서 장착된 후에는 상기 본체(1) 및 지지대(3,5)를 통하여 제공되는 편심력에 의해서 본 고안 다기능 편출용 D형 래크가 전주(104)에 대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전선(114)의 늘어짐에 의한 건조물 등과의 접촉현상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다기능 편출용 D형 래크에는 본체의 상/하측에 인입선용금구(19)를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는 바, 도 8과 같이 인입선용금구(19)가 일체로 설치된 경우에는 별도로 인입선(21) 설치를 위한 구조물을 전주(104)에 취부할 필요가 없어서 전주(104)의 미관 품질을 보다 증대할 수 있게 되며, 별도의 구조물 취급에 따른 비용의 지출을 저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전선 등을 직접 지지하는 본체의 전주로부터의 돌출상태가 다단계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인입선용금구 등을 동시에 고정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전주상에서 지지밴드의 설치구간이 폭넓게 확대될 수 있도록 하면서 그 장악력도 강하게 하여 안정된 상태의 배전품질을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선의 통과 경로 조절을 위한 작업량 및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건조물 등과의 충분한 이격거리의 용이한 확보로 감전사고의 예방 및 민원예방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전주의 단순화로 미관이 향상되고 정비에 필요한 배전자재의 종류 감소로 인한 자재업무의 단순화 등의 부가적인 효과도 거둘 수 있다.

Claims (6)

  1. 전선을 지지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전주에 고정하여 지지하는 지지밴드로 이루어진 편출용 D형 랙크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외측지지대와,
    상기 외측지지대의 내부로 섭동가능하게 끼워지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내측지지대와,
    상기 임의의 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외측지지대와 내측지지대를 체결함에 의해 상기 지지대의 전체길이를 다단계로 가변시켜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편출용 D형 랙크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는 암타이(arm tie)나 인입케이블조가선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다용도홀이 마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편출용 D형 랙크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밴드는 그 장착가능 내경 범위가 서로 다른 종류로 이루어져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편출용 D형 랙크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밴드의 서로 다른 종류의 장착가능 내경 범위는 서로 장착 가능한 내경 범위의 일부를 공유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편출용 D형 랙크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밴드의 내부 표면에는 다수의 장악력 증강용 돌기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편출용 D형 랙크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하단에는 인입선용금구가 일체로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편출용 D형 랙크 구조.
KR2020000037099U 2000-12-29 2000-12-29 다기능 편출용 디형 랙크 구조 KR2002350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099U KR200235040Y1 (ko) 2000-12-29 2000-12-29 다기능 편출용 디형 랙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099U KR200235040Y1 (ko) 2000-12-29 2000-12-29 다기능 편출용 디형 랙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040Y1 true KR200235040Y1 (ko) 2001-09-26

Family

ID=73094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7099U KR200235040Y1 (ko) 2000-12-29 2000-12-29 다기능 편출용 디형 랙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04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3175A (ko) * 2001-12-05 2002-01-10 오병희 아이형-랙
KR200446619Y1 (ko) * 2007-09-28 2009-11-12 한국전력공사 배전선로용 d형 랙크장치
KR101109729B1 (ko) 2011-02-01 2012-02-24 한국전력공사 전주 전선처리용 랙크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7043A (ko) * 1986-12-26 1988-08-26 정용철 양변기용 방석
KR890007492A (ko) * 1987-10-28 1989-06-20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증폭장치 및 증폭장치에 적합한 집적된 증폭회로, 그리고 상기 증폭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900009152A (ko) * 1988-12-29 1990-07-02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고장력, 고인성 유정용 열연강판의 제조법
KR960029792A (ko) * 1995-01-26 1996-08-17 이형도 영구 자석 동기 모터의 속도 검출 방법
KR19990009152U (ko) * 1997-08-18 1999-03-15 윤종용 모니터의 스탠드 구조
KR20000010292A (ko) * 1998-07-31 2000-02-15 윤종용 인쇄기용 감광벨트 텐션 조정장치
KR200194586Y1 (ko) * 1999-12-24 2000-09-01 한국전력공사 인입전용 완금
KR200207464Y1 (ko) * 2000-06-23 2000-12-15 한국전력공사 특고압 수직 장주용 완금 장치
KR200219482Y1 (ko) * 2000-10-30 2001-04-02 한국전력공사 조립식 연장용 경완금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7043A (ko) * 1986-12-26 1988-08-26 정용철 양변기용 방석
KR890007492A (ko) * 1987-10-28 1989-06-20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증폭장치 및 증폭장치에 적합한 집적된 증폭회로, 그리고 상기 증폭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900009152A (ko) * 1988-12-29 1990-07-02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고장력, 고인성 유정용 열연강판의 제조법
KR960029792A (ko) * 1995-01-26 1996-08-17 이형도 영구 자석 동기 모터의 속도 검출 방법
KR19990009152U (ko) * 1997-08-18 1999-03-15 윤종용 모니터의 스탠드 구조
KR20000010292A (ko) * 1998-07-31 2000-02-15 윤종용 인쇄기용 감광벨트 텐션 조정장치
KR200194586Y1 (ko) * 1999-12-24 2000-09-01 한국전력공사 인입전용 완금
KR200207464Y1 (ko) * 2000-06-23 2000-12-15 한국전력공사 특고압 수직 장주용 완금 장치
KR200219482Y1 (ko) * 2000-10-30 2001-04-02 한국전력공사 조립식 연장용 경완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3175A (ko) * 2001-12-05 2002-01-10 오병희 아이형-랙
KR200446619Y1 (ko) * 2007-09-28 2009-11-12 한국전력공사 배전선로용 d형 랙크장치
KR101109729B1 (ko) 2011-02-01 2012-02-24 한국전력공사 전주 전선처리용 랙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37417A1 (en) Support post for a flexible substrate
KR100745184B1 (ko) 조립이 용이한 전주
KR200235040Y1 (ko) 다기능 편출용 디형 랙크 구조
KR102633259B1 (ko) 안테나 설치 구조물
EP2956601A1 (en) Kit for mounting one or more appliances on a pole
KR100985715B1 (ko) 각도조절용 가로등
KR101255117B1 (ko) 저압 가선용 애자 일체형 랙크
AU2019275579B2 (en) A stand for a switchboard
KR100351206B1 (ko) 케이블가설용 행거
KR100512317B1 (ko) 차폐각 확보를 위한 가공지선 지지대
KR20170006025A (ko) 통신케이블 가설장치
KR20050039830A (ko) 장착 브래킷 및 그 장착 방법
KR200359979Y1 (ko) 통신케이블용 조가선 클램프
KR200491674Y1 (ko) 타프 처짐 방지용 폴대
KR101080683B1 (ko) 교통신호등 설치 구조물
KR102482160B1 (ko) 가공 송전선로의 처짐방지장치
KR20180002053U (ko) 전주용 경완금
KR200493082Y1 (ko) 마이크 거치대
KR200359420Y1 (ko) 전주용 궁지선 금구
KR200210139Y1 (ko) 전선 고정용 브라켓트
KR200327732Y1 (ko) 가로등 깃발 설치장치
KR100396007B1 (ko) 4선용 pvc 인입애자
KR100775935B1 (ko) 배전선 증설용 보조 전주
KR200299518Y1 (ko) 배전자재의 cos 완금 편출 지지대
KR101335292B1 (ko) 전봇대에 설치되는 케이블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