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0292A - 인쇄기용 감광벨트 텐션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인쇄기용 감광벨트 텐션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0292A
KR20000010292A KR1019980031163A KR19980031163A KR20000010292A KR 20000010292 A KR20000010292 A KR 20000010292A KR 1019980031163 A KR1019980031163 A KR 1019980031163A KR 19980031163 A KR19980031163 A KR 19980031163A KR 20000010292 A KR20000010292 A KR 20000010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haft
tension
photosensitive belt
elastic member
adjus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5419B1 (ko
Inventor
방정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31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5419B1/ko
Publication of KR20000010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5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54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relating to the driving mechanism for the intermediate support, e.g. gears, couplings, belt tensio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6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2215/01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single rotation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메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텐션롤러 및 지지롤러에 지지되어 주행되는 감광벨트의 텐션을 조정하기 위한 텐션조정장치에 있어서, 텐션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메인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프레임과; 보조프레임을 감광벨트의 텐션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잡아 다니는 탄성부재와; 탄성부재가 연결되며, 보조프레임에 탄성부재의 인장력을 증가시키는 제1방향과 해제시키는 제2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가이드샤프트와; 제1가이드샤프트를 제1방향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용 감광벨트 텐션조정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인쇄기용 감광벨트 텐션조정장치
본 발명은 인쇄기용 감광벨트 텐션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감광벨트의 텐션을 작용 및 해제시키기 위한 부품들의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인쇄기용 감광벨트 텐션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인쇄기의 일예로 일반적인 전자사진방식 프린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보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프린터는 구동롤러(11), 가이드롤러(12) 및 텐션롤러(13)에 지지되어 무한궤도 상을 주행하는 감광벨트(10)와, 이 감광벨트(10)의 텐션을 조정해주기 위한 감광벨트 텐션조정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감광벨트(10)는 대전기(14)에 의해 소정 전위의 대전 상태를 유지하며, 현상기(15)에 근접 설치된 레이저 주사유니트(16)에서 주사된 광에 의해 전위가 변화됨으로써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상기 현상기(15)는 토너와, 액상의 캐리어가 혼합된 현상액을 감광벨트(10)의 정점잠상 영역에 부착시켜 정전잠상 영역에 화상을 형성시킨다. 이와 같이 형성된 화상은 표면 에너지의 차이에 의해 전사롤러(17)로 전사되고, 전사롤러(17)로부터 그 전사롤러(17)와 정착롤러(18) 사이로 통과되는 인쇄용지(P)에 인쇄된다. 이와 같이 주행 중에 여러 가지 인쇄과정을 거치는 감광벨트(10)는 각 인쇄과정에서의 작업 정밀성을 위해 적정한 텐션을 유지하면서 주행될 필요가 있다.
상기 감광벨트 텐션조정장치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마련된 것으로, 텐션롤러(13)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메인프레임(19)에 설치된 베어링(23)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브라켓(22)과, 이 브라켓(22)을 감광벨트(10)의 텐션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압축스프링(24) 및 상기 브라켓(22)에 접촉되며, 회전에 의해 그 브라켓(22)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편중된 회전중심축을 가지는 캠부재(25)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캠부재(25)의 회전에 의해 브라켓(22)의 이동이 제어되고, 이러한 브라켓(22)의 이동에 의해 감광벨트(10)의 텐션이 조정가능하게 된다.
한편, 감광벨트(10)를 장시간 사용하다보면, 마모 등에 의해 감광벨트(10)의 수명이 다해서 이 감광벨트(10)를 교환해주어야 하는데, 이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부재(10)를 회전시켜 감광벨트(10)에 작용하는 텐션을 해제시킴으로써, 감광벨트(10)와 텐션롤러(13) 사이에 여유갭(T)이 생긴 상태에서 감광벨트를 쉽게 교환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감광벨트 텐션조정장치는, 감광벨트에 감싸이도록 그 배면의 공간에 마련되어 많은 설치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기기의 소형화 및 슬림화를 지향하는 최근의 추세에 따라, 한정된 좁은공간 내에 마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적은 설치공간을 차지하면서 감광벨트의 텐션의 유지 및 해제 동작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인쇄기용 감광벨트 텐션조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감광벨트 텐션조정장치가 채용된 인쇄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텐션조정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용 감광벨트 텐션조정장치를 나타내보인 사시도.
도 4 및 도 5 각각은 도 3에 도시된 텐션조정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감광벨트 13..텐션롤러
30..메인프레임 32..제2가이드공
40..보조프레임 44..가이드봉
46..제1가이드공 52..제1가이드샤프트
54..지지부재 56..제2가이드샤프트
60..탄성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용 감광벨트 텐션조정장치는 메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텐션롤러 및 지지롤러에 지지되어 주행되는 감광벨트의 텐션을 조정하기 위한 텐션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텐션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프레임과; 상기 보조프레임을 상기 감광벨트의 텐션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잡아 다니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보조프레임에 상기 탄성부재의 인장력을 증가시키는 제1방향과 해제시키는 제2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가이드샤프트와; 상기 제1가이드샤프트를 상기 제1방향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용 감광벨트 텐션조정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텐션조정장치는 메인프레임(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보조프레임(40)과, 일단이 상기 보조프레임(40)에 연결된 탄성부재(60)와, 상기 보조프레임(40)에 상기 탄성부재(60)의 인장력을 증가시키는 제1방향(A)과 해제시키는 제2방향(B)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가이드샤프트(52)와, 상기 제1가이드샤프트(52)를 상기 제1방향(A)과 제2방향(B)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보조프레임(40)의 일단부에는 감광매체인 감광벨트(10)가 접촉주행 가능하게 지지되는 텐션롤러(13)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보조프레임(40)은 한 쌍의 가이드봉(44)과, 지지봉(42)을 가진다. 상기 가이드봉(44)은 메인프레임(30)에 대면하는 보조프레임(40)의 앞면에 마련되며, 메인프레임(30)에 형성된 가이드홈(34)에 스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지지봉(42)은 상기 탄성부재(6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조프레임(30)의 타단부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보조프레임(40)에는 직선형으로 길게 형성된 제1가이드공(46)이 마련되어 있다. 이 제1가이드공(46)에는 상기 제1가이드샤프트(52)가 삽입결합되어, 상술한 제1방향(A)과 제2방향(B)으로 직선왕복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60)는 상기 감광벨트(10)의 텐션이 증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보조프레임(40)을 상기 제1방향(A)으로 잡아 다니는 인장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이 상기 지지봉(42)에 결합되며 타탄은 상기 제1가이드샤프트(52)에 결합된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제1가이드샤프트(52)가 결합되는 지지부재(54)와, 이 지지부재(54)에 결합된 제2가이드샤프트(56)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재(54)에는 상기 제1가이드샤프트(52)가 텐션롤러(13)와 나란한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2가이드샤프트(56)는 상기 제1가이드샤프트(52)와 나란하게 지지부재(54)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가이드샤프트(56)는 그 단부(56a)가 메인프레임(30)에 형성된 제2가이드공(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제2가이드공(32)은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2가이드공(32)에 의해 제2가이드샤프트(56)가 가이드되어 곡선이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2가이드샤프트(56)가 곡선이동됨에 따라서, 동일한 부재인 지지부재(54)에 결합된 제1가이드샤프트(52)가 제1가이드공(46)을 따라 상기 제1방향(A)과 제2방향(B)으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 각각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감광벨트 텐션조정장치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정상적인 인쇄동작을 위해서 감광벨트(10)는 텐션이 작용하는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하는데, 이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샤프트(52)가 상기 제1방향(A) 쪽으로 이동되어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도면상에서 제2가이드샤프트(56)가 제1가이드샤프트(52)의 왼쪽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할 때, 감광벨트(10)에 텐션이 작용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부재(60)가 제1가이드샤프트(52)에 의해 제1방향(A) 쪽으로 늘어난 상태이며, 탄성부재(60)에는 보조프레임(40)을 제1방향(A) 쪽으로 잡아 다니는 인장력이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60)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 보조프레임(40)과 그 보조프레임(40)에 설치된 텐션롤러(13)는 상기 감광벨트(10) 쪽으로 가압되고, 결국 감광벨트(10)는 텐셜롤러(13)에 의해 가압되어 텐션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텐션이 유지된 상태에서 감광벨트(10)를 사용하다가, 그 감광벨트(10)의 마모 및 파손 등에 의해 교환해야 할 경우에는 감광벨트(10)를 교환해주어야 한다. 이때에는 교환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감광벨트(10)에 작용하는 텐션을 해제시키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단부(56a)를 잡고 제2가이드샤프트(56)를 화살표(C)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제2가이드샤프트(56)는 제2가이드공(32)을 따라 회전되면서, 도 5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도달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1가이드샤프트(52)는 제1가이드공(46)을 따라서 제2방향(B)으로 직선 이동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늘어나 있던 탄성부재(60)는 탄성복원되어 인장력이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부(56a)에 화살표(C) 방향으로 계속 힘을 가하게 되면, 제2가이드샤프트(56)는 화살표(C) 방향으로 더 회전되고, 제1가이드샤프트(52)는 상기 제2방향(B)으로 더 이동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이드샤프트(56)가 제1가이드샤프트(52)의 오른쪽에 위치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는 상기 탄성부재(60)가 완전히 탄성복원되어 보조프레임(40)을 감광벨트(10) 쪽으로 가압하던 힘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탄성부재(60)가 탄성복원되는 과정에서 그 탄성복원력에 의해 보조프레임(40)은 그 가이드봉(44)이 가이드홈(34)을 따라 상기 제2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된다. 보조프레임(40)의 이동에 의해 텐션롤러(13)도 함께 감광벨트(10)로부터 멀어지는 제2방향(B)으로 이동되어, 감광벨트(10)로부터 이격된다. 이로 인해 감광벨트(10)와 텐션롤러(13) 사이에는 여유갭(T)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감광벨트(10)에는 더 이상의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고, 결국 감광벨트(10)는 텐션이 해제된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1가이드샤프트(52)와 제2가이드샤프트(56)의 동작에 있어서, 그 각각은 텐션롤러(13)에 인접되어 나란하게 설치된 상태로 소정거리에서 곡선 및 직선이동 하게 되므로, 종래에 캠부재(25; 도1참조)나 브라켓(22) 등과 같이 많은 설치공간을 차지하지 않고도 감광벨트(10)의 텐션을 작용 및 해제시킴으로써, 인쇄기가 소형화되는 최근의 추세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감광벨트(10)의 텐션이 해제된 상태에서 감광벨트(10)를 교환한 후에, 상기 제2가이드샤프트(56)를 화살표(C)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4와 같은 상태로 위치시키게 되면, 감광벨트(10)의 교환작업이 마무리되어 정상적인 인쇄장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감광벨트 텐션조정장치에 따르면, 곡선이동 가능한 제2가이드샤프트의 이동에 의해 직선이동되면서 보조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제1가이드샤프트를 구비하는 간단한 구조로써, 종래와 같이 많은 설치공간을 차지하는 캠부재 등을 배제시켜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감광벨트에 작용하는 텐션의 유지 및 해제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메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텐션롤러 및 지지롤러에 지지되어 주행되는 감광벨트의 텐션을 조정하기 위한 텐션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텐션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프레임과;
    상기 보조프레임을 상기 감광벨트의 텐션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잡아 다니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보조프레임에 상기 탄성부재의 인장력을 증가시키는 제1방향과 해제시키는 제2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가이드샤프트와;
    상기 제1가이드샤프트를 상기 제1방향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용 감광벨트 텐션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제1가이드샤프트에 결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마련되며, 그 단부가 상기 메인프레임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이동시 상기 제1가이드샤프트를 상기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인장력을 제어하는 제2가이드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용 감광벨트 텐션조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에는 상기 제1가이드샤프트가 직선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직선형으로 된 제1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상기 제2가이드샤프트가 곡선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곡선형으로 된 제2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가이드샤프트의 곡선이동시 상기 제1가이드샤프트는 직선이동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용 감광벨트 텐션조정장치.
KR1019980031163A 1998-07-31 1998-07-31 인쇄기용감광벨트텐션조정장치 KR100335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163A KR100335419B1 (ko) 1998-07-31 1998-07-31 인쇄기용감광벨트텐션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163A KR100335419B1 (ko) 1998-07-31 1998-07-31 인쇄기용감광벨트텐션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292A true KR20000010292A (ko) 2000-02-15
KR100335419B1 KR100335419B1 (ko) 2002-08-21

Family

ID=19545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1163A KR100335419B1 (ko) 1998-07-31 1998-07-31 인쇄기용감광벨트텐션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54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040Y1 (ko) * 2000-12-29 2001-09-26 한국전력공사 다기능 편출용 디형 랙크 구조
US7359658B2 (en) 2004-05-14 2008-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nsion adjuster of belt of image forming apparatus
WO2015037757A1 (ko) * 2013-09-12 2015-03-19 Yi Yun Baek 롤러를 이용한 원단의 좌우장력 자동 균형 맞춤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4354A (ja) * 1996-04-09 1997-10-21 Tec Corp 画像形成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040Y1 (ko) * 2000-12-29 2001-09-26 한국전력공사 다기능 편출용 디형 랙크 구조
US7359658B2 (en) 2004-05-14 2008-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nsion adjuster of belt of image forming apparatus
WO2015037757A1 (ko) * 2013-09-12 2015-03-19 Yi Yun Baek 롤러를 이용한 원단의 좌우장력 자동 균형 맞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5419B1 (ko) 2002-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1228A (en) Periodically aligning an endless web
JP2950414B2 (ja) プリンタの用紙加圧力調節装置
US4392738A (en) Image transfer device
KR20100117013A (ko) 화상 기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 기록 장치
KR100335419B1 (ko) 인쇄기용감광벨트텐션조정장치
US5842100A (en) Fixing unit
US4996563A (en) Support means for electrophotographic film core and associated elements
CN1258864A (zh) 印刷装置中感光带盒
US4417803A (en) Pressure fixing device
JP4399501B2 (ja)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エンジン
KR100238328B1 (ko) 인쇄기의 감광벨트 텐션 조정장치
EP0319931B1 (en) Transfer corona shield
JPH06130826A (ja) 転写装置
JPS6314333B2 (ko)
JP4084517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213870Y1 (ko)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닙 유지장치
EP0855626A2 (en) Sheet transport apparatus
JPH11249464A (ja) エンドレスフィルムの張設機構及び加熱装置
KR100338727B1 (ko) 인쇄기기의대전기지지장치
JPS60130728A (ja) 電子写真装置のピント調整装置
KR100357010B1 (ko) 이미지 형성 장치
EP0899628A2 (e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US6002469A (en) Apparatus for tensioning copy masters
JP3532363B2 (ja) 転写装置
JP2000267471A (ja) 電子写真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