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5856Y1 - 자동차 로우프 후크의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로우프 후크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5856Y1
KR200145856Y1 KR2019950047660U KR19950047660U KR200145856Y1 KR 200145856 Y1 KR200145856 Y1 KR 200145856Y1 KR 2019950047660 U KR2019950047660 U KR 2019950047660U KR 19950047660 U KR19950047660 U KR 19950047660U KR 200145856 Y1 KR200145856 Y1 KR 2001458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ring
straight
body panel
rop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76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3012U (ko
Inventor
이범재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476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5856Y1/ko
Publication of KR9700430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30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58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58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01Traction couplings or hitch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04Hook or hook-and-hasp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에 장착되어 견인수단으로 이용되는 로우프 후크의 구조에 관한 고안으로, 본 고안의 구조는 브라켓의 양단부가 중첩되게 접어서 직선상의 끼움구가 생기도록 하며, 상기 끼움구에는 직선부와 호형부를 갖는 링의 직선부를 끼워넣고 브라켓의 양단 중첩부에는 볼트공을 천공하여 볼트공으로 체결볼트를 관통시켜 차체패널에 취착시키며 차체패널과 브라켓 사이에는 로울러를 개입시켜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로우프 후크의 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종래 고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브라켓 11 : 링끼움구
12 : 링 13 : 직선부
14 : 호형부 15 : 볼트공
16 : 체결볼트 17 : 로울러
본 고안은 자동차의 후방에 주로 장착되어 견인 등의 기능을 갖게되는 로우프 후크의 구조에 관한 고안이다.
보다 상세히는 로우프 후크의 구조개선으로 인하여 강성보완과 기능향상 및 상품성 향상을 기할 수 있게 한 것으로 후크의 브라켓을 원포인트 취착방법을 채택하고 브라켓을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하므로서 큰 장력에도 브라켓의 손상이나 소음 등의 발생을 방지하고 특히 장력의 직선방향으로 브라켓이 회전됨으로서 평중되는 장력에 의하여 브라켓이 절곡 손상되거나 로우프걸이 링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로우프 후크의 구조를 보면 제3도에 표시된 것과 같이 취착 브라켓(1)에 로우프걸이 링(2)을 끼워 넣고 브라켓(1)의 양단부를 차체패널(3)에 볼팅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취착 브라켓(1)에 끼워진 링(2)에 장력이 가해지면 브라켓(1)의 양단 볼팅부에 장력이 작용하게 되는 것으로 로우프에서 가해지는 링(2)의 장력이 브라켓(1)의 중심부에 가해질 때는 양쪽 볼팅부에 가해지는 힘도 균등하게 분배되나 견인물체의 방향이 후크 취착부와 직선이 되지 못할 경우에는 장력이 편중되어 볼팅부에 가해지는 장력이 불균형 상태가 되어 어느 한쪽 볼팅부가 파손되거나 브라켓이 절곡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브라켓이 고정된 상태여서 링이 장력방향으로 회전되지 못하는 이유때문에 이와같은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투포인트 볼팅부를 갖는 후크는 외관이 좋지 않아서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브라켓(10)의 양단부가 중첩되도록 접어서 직선상의 링끼움구(11)가 생기도록하여 상기 링 끼움구(11)에는 직선부(13)와 호형부(14)를 갖는 링(12)의 직선부(13)를 끼워넣고 상기 브라켓(10)의 양단 중첩부에는 볼트공(15)을 천공하여 상기 볼트공(15)으로 체결볼트(16)를 관통시켜 차체패널(3)에 취착시키며 차체패널(3)과 브라켓(10) 사이에는 로울러(17)를 개입시켜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20)는 와셔를 보인 것이다.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브라켓(10)의 양단부가 중첩되도록 접게되므로 직선상의 링끼움구(11)가 생기게 되며 링끼움구(11)에 링(12)의 직선부(13)가 끼워지므로서 링(12)과 브라켓(10)의 접촉면이 크게 되어 강성이 증대되며 브라켓(10) 양단 중첩부에 볼트공(15)을 천공하여 볼트(16)로 체결하므로서 원포인트 체결 구조에 따른 장력이 한 곳으로 집중되며, 브라켓(10)과 차체패널(3) 사이에는 와셔(20)와 로울러(17)가 개입되어 있어서 브라켓(10)과 링(12)이 장력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됨으로 브라켓(10)과 링(12)에 가해지는 힘이 편중되지 않으며 후크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

  1. 브라켓(10)의 양단부가 중첩되도록 접어서 직선상의 링끼움구(11)가 생기도록하여 상기 링 끼움구(11)에는 직선부(13)와 호형부(14)를 갖는 링(12)의 직선부(13)를 끼워넣고 상기 브라켓(10)의 양단 중첩부에는 볼트공(15)을 천공하여 상기 볼트공(15)으로 체결볼트(16)를 관통시켜 차체패널(3)에 취착시키며 차체패널(3)과 브라켓(10) 사이에는 로울러(17)를 개입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 로우프 후크의 구조.
KR2019950047660U 1995-12-26 1995-12-26 자동차 로우프 후크의 구조 KR2001458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7660U KR200145856Y1 (ko) 1995-12-26 1995-12-26 자동차 로우프 후크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7660U KR200145856Y1 (ko) 1995-12-26 1995-12-26 자동차 로우프 후크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012U KR970043012U (ko) 1997-07-29
KR200145856Y1 true KR200145856Y1 (ko) 1999-06-15

Family

ID=19438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7660U KR200145856Y1 (ko) 1995-12-26 1995-12-26 자동차 로우프 후크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585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012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2752A (en) Belt tensioning device
KR200145856Y1 (ko) 자동차 로우프 후크의 구조
JPH0743951Y2 (ja) 車両用バッテリの保持装置
KR200152399Y1 (ko) 자동차의 바 거더
KR200158010Y1 (ko) 차량용 연료탱크 장착구조
KR0168029B1 (ko) 자동차의 엔진장착구조
JP3978618B2 (ja) 自動車用補機部品の取付構造
KR0121598Y1 (ko) 차량용 견인고리
JPH05345552A (ja) 車両牽引装置の取付構造
JPS5930607Y2 (ja) 車両用発電機の取付構造
KR0140235Y1 (ko) 자동차의 도어 체커 고정구조
KR0116204Y1 (ko) 자동차용 호스및 파이프 진동 흡수장치
KR200156453Y1 (ko) 버스의 견인고리 구조
KR200141394Y1 (ko) 자동차의 배선용 그로밋
KR200156717Y1 (ko) 자동차용 인스트로먼트판넬의 체결구조
KR970001255Y1 (ko) 자동차의 타이 다운 브래킷(tie down bracket)의 조립구조
KR960008129Y1 (ko) 견인차량의 유압파이프 설치구조
KR200142166Y1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레버 장착용 브라켓트 고정구조
KR100265966B1 (ko) 풀림 방지식 로워암 고정장치
KR970005612Y1 (ko) 도어 임팩트 빔 장착구
JPH02179542A (ja) 自動車用リアゲート支持構造
KR19980054476U (ko) 길이조절수단
KR19980077908A (ko) 트랜스미션 마운팅 장치
KR19980063006A (ko) 자동차의 범퍼 조립구조
KR19980059736A (ko) 자동차의 본네트용 힌지 플레이트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