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6204Y1 - 자동차용 호스및 파이프 진동 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호스및 파이프 진동 흡수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6204Y1
KR0116204Y1 KR2019940031709U KR19940031709U KR0116204Y1 KR 0116204 Y1 KR0116204 Y1 KR 0116204Y1 KR 2019940031709 U KR2019940031709 U KR 2019940031709U KR 19940031709 U KR19940031709 U KR 19940031709U KR 0116204 Y1 KR0116204 Y1 KR 01162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pipe
vibration
bracket
vibration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17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8183U (ko
Inventor
박창길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400317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6204Y1/ko
Publication of KR9600181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81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62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62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7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the two members being joined with a hinge on one side and fastened together on the other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16L55/033Noise absorbers
    • F16L55/035Noise absorbers in the form of specially adapted hangers o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호스 및 파이프 진동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러버가 배관의 진동을 흡수하게 되나 그 진동은 다시 브라켓을 통한다든지 직접 러버에 접촉된 바디에 전달되어 소음이 많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하측 브라켓(20)(30)의 일단은 핀설하여 회전가능토록 하는 한편 타단에는 구멍(24)(34)을 갖는 결합부(22)(23)를 형성하고, 상기 상측 브라켓(20)에는 배관(40)의 진동흡수용 러버(50)가 삽착되는 반원형 삽지부(26)를 형성하고, 상기 하측 브라켓(30)의 결합부(32) 양면에는 진동흡수용 상하러버(60)(62)를 부착하여 상기구멍(24)(34)을 통해 스크류(70)로 체결토록 하여 된 것으로, 차량의 바디에 가해지는 진동을 최대로 줄여 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호스 및 파이프 진동흡수장치
제1도는 종래 기술의 진동흡수장치를 설치한 상태의 요부 측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제3도 (a)는 제도에서 진동흡수장치가 조립되기 이전을 나타낸 것이고, (b)는 조립된 이후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바디20,30: 상,하측 브라켓
22,32: 결합부24,34: 구멍
26: 삽지부40: 배관
50,60,62: 러버70: 스크류
본 고안은 자동차용 호스 및 파이프 진동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힌지에 의해 절첩되는 상하 브라켓과 진동흡수용 러버를 다수개 설치해 줌으로써 호스 및 파이프 등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여러단계로 걸쳐 흡수되게 하여 차량의 바디에 가해지는 진동을 최대로 줄여 줄수 있는 자동차용 호스 및 파이프 진동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원동기를 사용하여 레일 또는 가선 등에 의하지 않고 운전할 수 있는 것으로서, 육상의 도로상에서 사람이나 짐등을 운반할 목적으로 제작된 운반구이다.
이러한 자동차에는 엔진을 비롯한 각종 장치들이 장착되게 되는데, 이러한 장치들을 구성하게 되는 여러 부품들 사이에는 각종 호스및 파이프 등의 배관이 복잡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이같은 배관은 고온 및 고압인 경우가 많아 그 자체에 진동이 심하게 일어나게 되는 데, 그 배관을 바디에 설치하게 되면 상기와 같은 진동이 바디에 전달되어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호스 및 파이프 등 각종 배관의 진동을 흡수해 주기 위한 것에 있어, 종래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배관(4)의 일측에 진동흡수용 러버(3)를 끼우고, 그 러버(3)를 브라켓(2)에 형성된 삽지부(2a)에 삽착하고, 그 브라켓(2)의 결합부(2b)로는 스크류(5)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바디(1)에 설치고정토록 하였는 바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렇게 고정하게 되면, 상기 브라켓(2)은 바디(1)에 접촉된 상태로 된다. 그러면 상기 브라켓(2)과 바디(1)는 똑 같이 강철류의 재질로 형성되었으므로 배관(4)에서 발생하게 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막아줄 수 없었다. 다시말해 상기 러버(3)가 배관(4)의 진동을 흡수하게 되나 그 진동은 다시 브라켓을 통한다든지 직접 러버에 접촉된 바디(1)에 전달되어 소음이 많이 발생하였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용 호스 및 파이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호스 및 ㅍ이프 등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여러단계로 걸쳐 흡수되게 하여 차량의 바디에 가해지는 진동을 최대로 줄여 줄 수 있는 자동차용 호스 및 파이프진동 흡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상하측 브라켓의 일단은 핀설하여 회전가능토록 하는 한편 타단에는 구멍을 갖는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상측 브라켓에는 배관의 진동흡수용 러버가 삽착되는 반원형 삽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측 브라켓의 결합부 양면에는 진동흡수용 상하러버를 부착하여 상기 구멍을 통해 스크류로 체결토록 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 자동차용 호스 및 파이프진동 흡수장치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진동흡수장치는 상,하측 브라켓(20)(30)과 진동흡수용 러버(50)(60)(62), 배관(40), 스크류(7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상,하측 브라켓(20)(30)은 서로 회전결합 되도록 일단을 핀설하게 되고, 그 타단은 구멍(24)(34)을 갖는 결합부(22)(32)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상측 브라켓(20)에는 배관(40)에 끼워진 러버(50)가 삽착되는 삽지부(26)를 형성해 준다. 상기 하측 브라켓(30)의 결합부(32)의 양면에는 상,하 러버(60)(62)를 부착한다. 이후 상기 구멍(24)(34)을 통해 스크류70)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바디(10)에 체결해 주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상태와 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제3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가)는 제2도에서 진동흡수장치를 조립하기 이전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하측브라켓(30)의 양면에는 상,하 러버(60)(62)가 각각 부착된 상태이고, 상측 브라켓(20)은 힌지를 중심으로 열려진 상태이다.
이렇게 된 상태에서, 제3도는 (나)는 진동흡수장치를 조립한 이후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로, 상기 배관(40)이 내설된 진동흡수용 러버(50)를 상측 브라켓(20)의 삽지부(26)에 삽착되도록 하면서 상측브라켓(20)을 상부 러버(60)에 부착하게 된다. 이와같이 된 것을 차량의 바디(10)에 설치하게 되는 데, 상기 하부러버(62) 만이 바디(10)에 접촉되게 하여 스크류(70)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상기 구멍(24)(34)을 통해 체결한 상태가 된다.
다시말해, 이와같은 상태로 진동흡수장치를 설치하게 되면, 상기 바디(10)에 접촉되는 부분은 하부 러버(62)만이 되고, 그 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바디(10)로부터 이격된 상태, 즉 도면 제3도에서 ℓ만큼의 거리가 이격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배관(40)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1차적으로 배관(40)을 감싸도록 된 러버(50)에서 흡수해 주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도 상,하측 브라켓(20)(30)으로 전달되는 진동은 이차적으로 상,하부 러버(60)(62)에 의해 흡수되는 것인데, 상부러버(60)는 상,하측 브라켓(20)(30)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고, 하부러버(62)는 하측 브라켓(30)으로 전달되어 온 진동을 흡수하여 바디(1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 자동차용 호스 및 파이프 진동흡수장치에 따르면, 힌지에 의해 절첩되는 상하 브라켓과 진동흡수용 러버를 다수개 설치해 줌으로써 호스 및 파이프 등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여러단계로 걸쳐 흡수되게 하여 차량의 바디에 가해지는 진동을 최대로 줄여 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러버에 싸여진 배관을 브라켓의 삽입부에 끼우고 브라켓의 체결부를 압박하여 스크류로서 바디에 결합되게 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러버(50)에 싸여진 배관(40)을 일단이 핀에 의해 절첩된 상하측 브라켓(20)(30)의 삽지부(26)에 끼우고 하측브라켓(30)의 전후면에는 상하러버(60)(62)을 설치하여 스크류(70)로서 상하측 브라켓(20)(30)을 바디(10)에 체결할 때 상측브라켓(20)은 상부러버(60)에 의해 하측브라켓(30)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하측브라켓(30)은 하부러버(62)에 의해 ℓ간격으로 바디(10)에 떨어져서 체결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호스 및 파이프 진동흡수장치.
KR2019940031709U 1994-11-28 1994-11-28 자동차용 호스및 파이프 진동 흡수장치 KR01162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1709U KR0116204Y1 (ko) 1994-11-28 1994-11-28 자동차용 호스및 파이프 진동 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1709U KR0116204Y1 (ko) 1994-11-28 1994-11-28 자동차용 호스및 파이프 진동 흡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183U KR960018183U (ko) 1996-06-19
KR0116204Y1 true KR0116204Y1 (ko) 1998-06-15

Family

ID=19399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1709U KR0116204Y1 (ko) 1994-11-28 1994-11-28 자동차용 호스및 파이프 진동 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620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183U (ko) 199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1769A (en) Structure for fastening a resin member with a threaded bolt
CA1323023C (en) Two piece male-female grommet
FR2757245A1 (fr) Dispositif de fixation d'au moins une canalisation de fluide sur un support
US3468187A (en) Foot pedal connector for push-pull control cable
KR0116204Y1 (ko) 자동차용 호스및 파이프 진동 흡수장치
KR101890245B1 (ko)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KR0150424B1 (ko) 자동차 기기 체결용 방진구
KR100279778B1 (ko) 차량용 배기파이프의 고정구조
KR100368145B1 (ko) 자동차의 보기류 브라켓 체결구조
KR101890240B1 (ko)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KR0130628Y1 (ko) 일래스틱 호스의 취부구조
KR0134325Y1 (ko) 라이센스 램프용 나비 너트의 유동방지구조
KR0126054Y1 (ko) 자동차용 엔진의 진동흡수장치
KR0120837Y1 (ko) 자동차용 토션바가 장착되는 콘트롤 암의 체결구조
KR0126078Y1 (ko) 자동차용 파이프 취부구조
KR200145856Y1 (ko) 자동차 로우프 후크의 구조
KR0111666Y1 (ko) 자동차의 소음 차단용 패킹부재 구조
KR19980039920U (ko) 자동차의 배기계 벨로우즈 장착구조
KR970004596Y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KR0118455Y1 (ko) 자동차용 엔진의 진동흡수장치
KR0131166Y1 (ko) 진동, 절연을 위한 머플러의 연결구조
JPH0343885Y2 (ko)
KR200147319Y1 (ko) 자동차용 오디오본체의 조립구조
KR100551252B1 (ko) 자동차 트랜스미션의 차체 마운팅구조
KR100208611B1 (ko) 자동차의 대쉬 패널과 패드 체결용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