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0424B1 - 자동차 기기 체결용 방진구 - Google Patents

자동차 기기 체결용 방진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0424B1
KR0150424B1 KR1019950063358A KR19950063358A KR0150424B1 KR 0150424 B1 KR0150424 B1 KR 0150424B1 KR 1019950063358 A KR1019950063358 A KR 1019950063358A KR 19950063358 A KR19950063358 A KR 19950063358A KR 0150424 B1 KR0150424 B1 KR 0150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ts
vibration
rubber
present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3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6144A (ko
Inventor
전재옥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63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0424B1/ko
Publication of KR970046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6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0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04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3/00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볼팅구조에서, 자동차와 부속품 또는 기기와의 연결부위를 일정간격 유지되도록하고, 차체의 진동이 기기에 미치지 않게하거나 또는 기기의 진동을 차체에 받지않도록 하므로 부속품기기의 이탈과 그 기기의 효능을 최대한 보장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긴체용 볼트 외주에 각 일단에 후렌지가 있는 직경이 크고 작은 두 개의 슬롯을 구비하고, 그 두 개의 슬롯 외주에는 방진고무관을 삽지하여 기존의 볼트로서 긴체되도록 한 것이며, 2개의 슬롯은 각각 직경을 다르게 구성하여 서로 삽입되도록 하며, 그 슬롯 외주의 각 후렌지 사이에 방진고무관을 결합하므로써 2개의 슬롯을 볼트로서 긴체하면 슬롯사이의 방진고무관에 의해 차체와 기기사이의 상호진동을 방지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기기 체결용 방진구
제1도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 슬롯 30 : 방진고무관
11,21 : 후렌지 12,31 : 관삽지공
22 : 볼트삽지공
본 발명은 자동차 기기 체결용 방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차체와 연결되는 각종 부속품이나 기기 예를 들면 라디오, 스피커, 와이퍼 모터, 도어윈도우, 또는 엔진본체에 설치되는 각종부품 이나 기기등을 고정하는 체결볼트에 있어 2개의 슬롯을 구성하되 슬롯사이에는 방진고무관을 결합하여, 자동차본체와 결착된 각종 부속품 및 부품의 진동을 방지하고 각종 기기(스피커, 모터등의 경우)의 수명을 연정시키며 각종 기기의 효능을 최대한 보장되도록 한 기기체결용 방진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자동차본체와 기기와의 체결수단은 볼트와 워셔 또는 진동을 방지하기위해 볼트머리에 고무패킹을 삽지하는 수단으로 체결한 것이므로, 자동차 주행 중 발생되는 차체 진동이, 부속품이나 기기등에 그대로 전달되어 시간이 경과함에따라 너트가 풀려서 결착상태가 해체되며, 심하면 부속품 기기등이 이탈되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차체와 기기와의 결착부가 밀접 결착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차의 진동이 부속품 기기에 그대로 전달되거나 기기의 진동이 차체에 전달되므로 승차감이 좋지 못하여 부속품 기기의 효능을 다 활용하지 못하였다.
예를 들면 스피커인 경우 차체의 진동이 스피커에 그대로 전달되면 음질이 정상적이 되지 못하여 그 효능을 다 활용하지 못하며, 모터인 경우에는 진동에 의해 모터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 진동에 의해 차량이 잡음이 발생되어 승차감이 좋지 못하였던 결점이 있었다.
또한 기기의 하부와 측면에 방진전용 방진장치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으나 이러한 방지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그 설치공정이 매우 어려워 일반 자동차의 기기의 연결 수단에는 사용되지 못하고 지면과 특수 기계등에만 사용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볼팅구조에 간단한 고무방진관을 결합하므로써 자동차와 기기의 결합수단을 겸하여 방진효과를 구유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볼팅구조에서, 자동차와 부속품 또는 기기와의 연결부위를 일정간격 유지되도록하고, 차체의 진동이 기기에 미치지 않게하거나 또는 기기의 진동을 차체에 받지않도록 하므로 부속품기기의 이탈과 그 기기의 효능을 최대한 보장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긴체용 볼트 외주에 각 일단에 후렌지가 있는 직경이 크고 작은 두 개의 슬롯을 구비하고, 그 두 개의 슬롯 외주에는 방진고무관을 삽지하여 기존의 볼트로써 긴체되도록 한 것이다.
2개의 슬롯은 각각 직경을 다르게 구성하여 서로 삽입되도록 하며, 그 슬롯의 외주의 각 후렌지 사이에 방진고무관을 결합하므로서 2개의 슬롯을 볼트로서 긴체하면 슬롯사이의 방진고무관에 의해 차체와 기기사이의 상호진동을 방지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슬롯을 탄성력이 있는 방진 고무재료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3개의 방진고무관은 상호 볼트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고 그러므로 차체와 기기 사이의 길이는 축소되며, 반대로 각 고무관의 외경은 커지게 된다. 이러한 3개의 고무관에 가한 팽창압력은 각각 분리된 3개의 고무관에 각각 적용되나 양쪽의 고무관과 고무관이 후렌지에 가한 압력에 의해 축소되며 따라서 2차적으로 고무방진관이 이 팽창압력을 받게되며 또한 동시에 고무방진관은 팽창력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게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로서 2개의 슬롯(10)(20)과 방진고무관(30)이 도시되어 있다.
2개의 슬롯(10)(20)은 각각 후렌지(11)(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슬롯(20)은 볼트 삽지공(22)이 있고 슬롯(10)은 슬롯(20)이 삽지되도록 슬롯(20)의 외직경의 크기와 같은 직경의 관삽지공(12)이 구비되며, 방진고무관(30)은 슬롯(10)의 외주에 삽입되도록 관삽지공(31)이 뚫려있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의 단면표시로서, 100은 자동차 차체이고, 101은 부속품 기기를 나타낸 것이다. 차체와 기기 사이에는 볼트(40)로서 긴체하며, 볼트(40)의 외주에는 슬롯(20)이 삽지되고, 슬롯(20)의 외주에는 슬롯(10)이 삽지되며, 이들 슬롯(10)(20)의 외주에는 고무방진관(30)이 결합되어 있다. 고무방진관(30)의 길이(a)는 2개의 슬롯(10)(20)이 결합되었을 때 간극(b)이 생기게 길게 구성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슬롯을 사이에 두고 차체(100)와 기기(101)를 볼트(40)로서 긴체하면 2개의 슬롯(10)(20)은 압력을 받게되고, 동시에 고무방진관(30)을 가압하게 된다. 고무방진관의 압력은 2개의 슬롯사이의 간극(b)에 따라 결정될 것이며, 그 간극의 허용치 내에서 고무방진구는 압력을 받게될 것이다. 고무방진관은 볼트의 긴체압력에 비례하여 양 슬롯을 밀어주게 된다.
이와 같이 볼트를 긴체하면 차체와 기기는 이 슬롯의 길이에 의해 일정간격 유지되며 2개의 슬롯은 고무방진관으로 탄지된다. 2개의 슬롯은 너트(41)의 긴체압력에의해 조여지고, 이때 이 사이에 결합된 고무방진관은 압지되고 재료적 특성에 의해 탄력이 유지되므로 이들 방진구조물을 사이에 두고 결합된 차체와 기기에서 발생되는 상호 진동은 방진고무관이 흡수하므로 각각에서 발생된 양쪽 진동은 상호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볼트이 긴체압력에 비례하여 슬롯사이에 후렌지에 결합된 고무방진관은 2개의 슬롯을 밀어 주는 압력이 발생되므로 볼트의 긴체압력은 더욱 높아지므로 너트는 쉽게 풀리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구성으로서 2개의 슬롯이 방진 고무관으로 구성하면 볼트에 의해 긴체된 3개의 관은 볼트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고, 그러므로 차체와 기기 사이의 길이는 축소되며, 반대로 각 관의 외경은 커지게 된다. 이러한 3개의 고무관에 가한 팽창압력은 각각 분리된 3개의 고무관에 각각 적용되나 양쪽의 고무관(10)과 고무관(20)이 후렌지에 가한 압력에 의해 축소되며 따라서 2차적으로 고무방진관(30)이 이 팽창압력을 받게되며 또한 동시에 고무방진관(30)은 팽창력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게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3개의 관은 서로 대응되게 밀접 결합되어 있어 볼트의 긴체압력에 대응하여, 억제 팽창의 상호작용을 하게되어 차체와 기기사이를 긴장되게 결착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진고무관이 별도로 구성되고 3개의 부속품으로 구성되어 있어 결합이 용이하고, 어느 한 부품이 손상이 있으면 교체가 쉽고 조립시 알맞는 규격의 볼트에 삽지하기만 하면 조립이 되므로 취급이 용이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방진구는 기존의 볼트의 외주에 삽지되어 차체와 기기사이에서 너트의 긴체 압력에 의해 긴체되므로, 차체와 기기 사이는 간격이 유지되어 진동이 전달되지 않으며, 슬롯의 지지력과 그 사이의 고무방진관의 탄지력에 의하여 긴밀히 결착되는 효과가 있어 너트의 결착력이 쉽게 풀리지 않으며, 차체와 기기의 결합공정이 간단하며, 이들 슬롯을 고무관으로 구성하면 3개의 방진고무관이 일체로 층착 중복 삽지되므로 팽창압력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긴밀히 결착되는 효과가 있어 기기가 이탈되거나 상호진동을 흡수하는 효과가 매우 높다.

Claims (1)

  1. 긴체용 볼트 외주에 슬롯을 삽지하되, 각 일단에 후렌지가 있는 직경이 크고 작은 두 개의 슬롯을 구비하고, 그 두 개의 슬롯 외주에는 고무방지관을 삽지하여 기존의 볼트 외주에 끼우도록 한 자동차 기기체결용 방진구.
KR1019950063358A 1995-12-29 1995-12-29 자동차 기기 체결용 방진구 KR0150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3358A KR0150424B1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 기기 체결용 방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3358A KR0150424B1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 기기 체결용 방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144A KR970046144A (ko) 1997-07-26
KR0150424B1 true KR0150424B1 (ko) 1998-09-15

Family

ID=19446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3358A KR0150424B1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 기기 체결용 방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042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144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1006B2 (ja) 車両ブレーキ系の液圧式ユニットを車両に弾性的に支承するための装置
JP4296894B2 (ja) 流体移送用チューブのブラケット
KR101098780B1 (ko) 유닛을 진동 댐핑식으로 현수하기 위한 장치
KR100405359B1 (ko)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CA1323023C (en) Two piece male-female grommet
JP2005119635A (ja) アウトサイドリヤビューミラー固定構造
US5145330A (en) Compressor housing having a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slippage of vibroisolating members
EP0386686B1 (en) Compressor housing having a structure for preventing slippage of vibroisolating members
KR0150424B1 (ko) 자동차 기기 체결용 방진구
JP2000350397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モータ
JP2005147226A (ja) 減衰機能付き締結部材およびその締結部材を用いた防振装置
JP2001241569A (ja) 配管支持部材
KR100368145B1 (ko) 자동차의 보기류 브라켓 체결구조
JP2002174289A (ja) 制振ボルト及び制振機能を付与した締結構造
KR0116204Y1 (ko) 자동차용 호스및 파이프 진동 흡수장치
JP2001254834A (ja) 配管構造
JP2002174290A (ja) 配管の振動低減構造
KR100444059B1 (ko) 전기자동차의 에어컨 컴프레서와 전동모터의 결합구조
KR19990043199A (ko) 버스용 소음기에 사용되는 완충부재의 변형 방지구조
KR0130628Y1 (ko) 일래스틱 호스의 취부구조
KR19980019604U (ko) 에어컨의 압축기 방진구조
KR0120837Y1 (ko) 자동차용 토션바가 장착되는 콘트롤 암의 체결구조
KR0170613B1 (ko) 자동차 배기장치의 장착구조
KR200223902Y1 (ko) 자동차 팬모터용 플렌지
KR19980053832A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