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9604U - 에어컨의 압축기 방진구조 - Google Patents

에어컨의 압축기 방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9604U
KR19980019604U KR2019960032768U KR19960032768U KR19980019604U KR 19980019604 U KR19980019604 U KR 19980019604U KR 2019960032768 U KR2019960032768 U KR 2019960032768U KR 19960032768 U KR19960032768 U KR 19960032768U KR 19980019604 U KR19980019604 U KR 199800196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vibration
dustproof
air conditioner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27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8295Y1 (ko
Inventor
한상우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20199600327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8295Y1/ko
Publication of KR199800196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6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82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82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08Compresso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2Vibration or noise preven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08Compresso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0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컨의 개선된 압축기 방진구조를 개시한다.
종래에는 압축기가 그 플랜지와 응축기유닛의 베이스간에 방진고무를 개재하여 직접 고정되었는 바, 장기간 경과시 방진고무의 경화에 의해 구동에 따른 진동소음이 상당히 심했다.
본 고안에서는 응축기유닛의 베이스상에 나란하게 고정되는 복수의 브라켓과, 각 브라켓과 직교하도록 그 상부에 위치되는 복수의 채널과, 각 브라켓과 채널간에 개재되는 복수의 제1방진고무)와, 각 채널과 압축기의 플랜지간에 개재되는 복수의 제2방진고무와, 각 제1 및 제2방진고무들의 슬롯들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슬리브들 및 각 슬리브들을 관통하여 브라켓과 채널 및 채널과 압축기 플랜지들을 각각 고정하는 복수의 볼트 및 너트들을 구비하여, 압축기의 진동을 다단계로 흡수함으로써 그 구동에 따른 진동소음이 최소화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에어컨의 압축기 방진구조
본 고안은 에어컨(air conditioner)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냉각사이클(cooling cycle)을 구동하는 압축기(compressor)의 진동을 방지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에어컨은 압축기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스(冷媒gas)를 응축기(condenser)에서 액화시킨 뒤, 팽창밸브(expansion valve)를 통해 증발기(evaporator)에서 기화시켜 흡수되는 냉매의 기화열에 의해 냉각작용을 수행하는 공기조절장치이다.
이러한 에어컨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 냉방은 물론 자동차나 전동차 등의 차내 냉방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전동차 등에 사용되는 에어컨은 냉각할 공간이 대단히 넓기 때문에 대형의 냉각시스템(cooling cystem)이 채용되고, 그 설치위치도 차량의 지붕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전동차용 에어컨의 경우 이를 구동하는 압축기의 진동 소음이 매우 심하므로 그 품위와 신뢰성 등을 위해서는 구동에 따른 압축기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방진이 특히 중요한 관리항목으로 대두된다.
도 1에는 이를 위한 종래의 압축기 방진구조를 도시하였다. 이것은 응축기유닛(condenser unit)의 베이스(base:B)상에 복수, 예를들어 4개의 브라켓(bracket:1)을 설치하고, 각 브라켓(1)과 압축기(C)의 플랜지(flange:F) 사이에 방진고무(2)를 개재한 뒤, 각 방진고무(2)의 슬롯(slot:2a)에 금속재 슬리브(sleeve:3)를 통해 볼트(bolt:4)를 관통, 브라켓(1)에 용접고정시켜 너트(nut:5)로 체결함으로써 방진고무(2)의 탄성에 의해 압축기(C)의 진동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나머지 부호 P1과 P2는 냉매가 유입 및 유출되는 압축기(C)의 냉매입출구들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방진구조는 압축기(C)가 베이스(B)상에 직접 고정되므로 초기에는 어느정도 압축기(C)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으나, 장기간 경과하게 되면 방진고무(2)가 경화되어 탄성을 상실하게 됨으로써 압축기(C)의 진동을 충분히 흡수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에어컨의 구동에 의한 압축기(C)의 진동이 볼트(4)를 통해 베이스(B)로 그대로 전달되게 되어 상당히 심한 진동소음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압축기(C)의 냉매입출구(P1)(P2)에 접합된 배관라인(pipe line:도시하지 않음)에도 균열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방진고무(2)가 압축기(C)를 베이스(B)에 고정하는 4개의 볼트(4)에만 구비되므로 압축기(C) 자체에서 발생되는 내부 권선의 소음은 거의 방지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압축기(C)의 전체 소음이 상당히 커지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장기간이 경과되어도 압축기의 진동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으며, 구동에 따른 압축기의 진동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에어컨의 압축기 방진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압축기의 내부 권선소음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에어컨의 압축기 방진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에어컨의 압축기 방진구조는, 응축기유닛의 베이스상에 나란하게 고정되는 복수의 브라켓과, 각 브라켓과 직교하도록 그 상부에 위치되는 복수의 채널(channel)과, 각 브라켓과 채널 사이에 적정간격으로 배열되어 개재되는 복수의 제1방진고무와, 각 채널과 압축기의 플랜지 사이에 적정간격으로 배열되어 개재되는 복수의 제2방진고무와, 각 제1 및 제2방진고무들의 슬롯들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슬리브들과, 각 슬리브들을 관통하여 브라켓과 채널 및 채널과 압축기의 플랜지들을 각각 고정하는 복수의 볼트 및 너트들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압축기의 외주에 접촉하는 적정폭의 고무재 방진패드(防塵pad)와, 방진패드를 감싸 압축기에 밀착시키는 고정밴드(fixing band)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각 브라켓간의 베이스에 다수의 방진구멍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에어컨의 구동시 압축기의 진동이 제1 및 제2방진고무에 의해 2중으로 흡수될 뿐만 아니라 압축기의 내부 권선소음도 효과적으로 흡수되게 되므로 에어컨, 특히 전동차 등에 사용되는 대형 에어컨의 품위와 신뢰성 향상 등에 큰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종래의 압축기 방진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압축기 방진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그 평면도,
도 5는 도 3의 Ⅴ-Ⅴ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도 3의 Ⅵ-Ⅵ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응축기유닛의 베이스를 발췌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발췌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브라켓(bracket)12 : 채널(channel)
13,21 : 제1 및 제2방진고무 13a,21a : (제1,2방진고무의) 슬롯
17,25 : 슬리브(sleeve)18,26 : 볼트(bolt)
20,28 : 너트(nut) 29,29' : 고정밴드(fixing band)
30,30' : 방진패드(防塵pad) C : 압축기(compressor)
F : (압축기의) 플랜지(flange) B : (응축기유닛의) 베이스(base)
R : (응축기유닛의) 프레임(frame)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3 내지 도 7에서, 본 고안에 의한 에어컨의 압축기 방진구조는 응축기유닛(도시하지 않음)의 베이스(B)상에 복수, 예를들어 3개의 브라켓(11)이 적정간격 이격되어 상호 나란하게 고정된다. 각 브라켓(11)의 상측에는 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2개의 채널(12)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하게 위치되고, 이들 채널(12)의 상측으로 압축기(C)가 위치된다.
각 브라켓(11)과 채널(12) 사이에는 복수의 제1방진고무(13)가 각각 개재되고, 각 채널(12)과 압축기(C)의 두 플랜지(F) 사이에는 역시 복수의 제2방진고무(21)가 각각 개재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방진고무(13)(21)는 바람직하기로 브라켓(11)과 채널(12) 및 채널(12)과 압축기(C)의 플랜지(F)들 사이에 위치되는 대략 원통형의 몸체(14)(22)와, 이 몸체(14)(22)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채널(12)과 플랜지(F)의 상면에 각각 접촉하는 헤드(15)(23) 및 몸체(14)(22)와 헤드(15)(23) 사이에 형성되어 채널(12)과 플랜지(F)의 슬롯(12a)(S)에 각각 삽입되는 네크(16)(24)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방진고무(13)(21)들의 슬롯(13a)(21a)에는 복수의 금속재의 슬리브(17)(25)가 각각 삽입되고, 각 슬리브(17)(25)에는 역시 브라켓(11)과 채널(12)에 용접고정된 복수의 볼트(18)(26)들이 관통되어 와셔(washer:19)(27)를 통해 복수의 너트(20)(28)들과 각각 나사 결합됨으로써 각 브라켓(11)과 채널(12) 및 압축기(C)를 일체로 연결 고정한다.
한편 압축기(C)의 외주 중간부위에는 띠상의 방진패드(30)가 그 둘레의 대략 절반부위에 접촉하도록 위치되고, 이 방진패드(30)의 외주에는 대략 U자형의 고정밴드(29)가 감싸도록 위치되어 그 양 단부의 플랜지(29a)가 응축기유닛의 프레임(R)에 볼트(31)와 너트(32)로 고정됨으로써 방진패드(30)를 압축기(C)의 외주에 밀착시킨다. 이러한 방진패드(30)는 여러 가지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제1 및 제2방진고무(13)(21)와 동일한 재질의 고무재로 구성된다.
한편 각 브라켓(11)들 사이의 응축기유닛의 베이스(B)에는 다수의 방진구멍(H)들이 형성되는데, 이 방진구멍(H)들은 균일한 진동흡수를 위해 상호 일정한 간격과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나머지 부호 P1 및 P2는 냉매가 유입 및 유출되는 압축기(C)의 냉매 입출구들이다.
한편 도 8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였는데, 이것은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에서 방진패드(30')를 압축기(C)의 둘레 전체에 접촉하도록 대략 링(ring)형으로 구성하고, 고정밴드(29')를 방진패드(30')의 외주에 균일하게 접촉하도록 감싼 뒤 그 양 단부의 플랜지(29a')를 볼트(31)와 너트(32)로 체결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의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보다 압축기(C)의 권선소음을 더욱 확실하게 흡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작공수를 절감시키게 된다.
한편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동차 에어컨의 경우 그 구조적인 특성상 좁은 공간내에 설치되어야 하는 바, 응축기유닛의 프레임(R)을 기준으로 하여 두개의 압축기(C)를 서로 대칭되게 배치함으로써 협소한 공간내에서의 효과적인 방진효율을 얻을수 있게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압축기 방진구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에어컨이 운전을 개시하여 그 압축기(C)가 구동되면 에어컨의 응축기유닛에는 압축기(C)의 구동에 따른 진동소음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진동은 압축기(C)의 플랜지(F)를 통해 볼트(26)로 전달되게 된다. 이때 진동의 일부는 채널(12)과 플랜지(F)간에 개재된 제2방진고무(21)들에 의해 1차적으로 균일하게 흡수되고, 그 나머지의 진동분만이 볼트(26)를 통해 매질이 다른 채널(12)로 전달되게 된다.
채널(12)로 전달된 압축기(C)의 진동은 볼트(18)를 통해 브라켓(11)으로 전달되는데, 이때 그 진동의 일부가 브라켓(11)과 채널(12)간에 개재된 제1방진고무(13)들에 의해 2차적으로 흡수되게 된다. 이에 따라 브라켓(11)으로 전달된 압축기(C)의 진동은 상당히 감소된 상태가 되는데, 이 진동도 각 브라켓(11)의 분산되게 되므로 최초의 발생진동에 비해 매우 미약한 상태로 된다.
각 브라켓(11)으로 전달된 진동은 응축기유닛의 베이스(B)로 전달됨으로써 그에 따른 구동소음을 유발하게 되는데, 이때의 진동도 베이스(B)에 형성된 방진구멍(H)들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수되는 바, 본 고안의 에어컨은 그 구동에 따른 압축기(C)의 진동소음이 최소로 억제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압축기(C)의 둘레에 방진패드(30)가 구비되는 바, 압축기(C)의 진동이 이를 통해서도 어느정도 흡수되게 될 뿐만 아니라 압축기(C) 내부의 권선소음이 방진패드(30)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수되고, 최초기동시 발생되는 심한 떨림과 연속운전시 발생하는 진동이 차단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장기간 경과되어 각 방진고무(13)(21)들이 경화된다 하더라도 본 고안은 진동흡수가 다단계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압축기(C)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에어컨은 압축기(C)의 구동에 따른 진동소음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 매우 안정된 상태로 작동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압축기의 구동에 따른 진동소음이 다단계에 걸쳐 흡수되게 되므로 에어컨의 구동에 따른 진동소음이 최소로 감소되어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에어컨, 특히 전동차용 등의 대형 에어컨의 진동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그 품위와 신뢰성 등을 크게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에어컨의 응축기유닛에 설치되어 그 냉각사이클을 구동하는 압축기의 방진구조로서,
    상기 응축기유닛의 베이스(B)상에 나란하게 고정되는 복수의 브라켓(11)과,
    상기 각 브라켓(11)과 직교하도록 그 상부에 위치되는 복수의 채널(12)과,
    상기 각 브라켓(11)과 채널(12) 사이에 적정간격으로 배열되어 개재되는 복수의 제1방진고무(13)와,
    상기 각 채널(12)과 상기 압축기(C)의 플랜지(F) 사이에 적정간격으로 배열되어 개재되는 복수의 제2방진고무(21)와,
    상기 각 제1 및 제2방진고무(13)(21)들의 슬롯(13a)(21a)들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슬리브(17)(25)들과,
    상기 각 슬리브(17)(25)들을 관통하여 상기 브라켓(11)과 채널(12) 및 상기 채널(12)과 압축기(C)의 플랜지(F)들을 각각 고정하는 복수의 볼트(18)(26) 및 너트(20)(28)들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압축기 방진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방진고무(13)(21)가,
    상기 브라켓(11)과 채널(12) 및 상기 채널(12)과 압축기(C)의 플랜지(F)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원통형의 몸체(14)(22)와,
    상기 각 채널(12)과 압축기(C)의 플랜지(F) 상면에 위치되는 헤드(15)(23)와,
    상기 몸체(14)(22)와 헤드(15)(23)간에 형성되어 상기 채널(12)과 압축기 플랜지(F)의 슬롯(12a)(S)에 끼워지는 네크(16)(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압축기 방진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C)의 외주에 접촉하는 적정폭의 고무재 방진패드(30)와,
    상기 방진패드(30)를 감싸 상기 압축기(C)에 밀착시키는 고정밴드(29)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압축기 방진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패드(30)가 상기 압축기(C) 외주의 대략 절반부분에 접촉하고,
    상기 고정밴드(29)가 대략 U자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방진패드(30)를 감싸 그 양 단부가 상기 응축기유닛의 프레임(R)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압축기 방진구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패드(30')가 상기 압축기(C)의 외주 전체 둘레에 접촉하고,
    상기 고정밴드(29')가 상기 방진패드(30')를 감싸 그 양 단부가 볼트(31)에 의해 상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압축기 방진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브라켓(11)간의 상기 베이스(B)에 다수의 방진구멍(H)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압축기 방진구조.
KR2019960032768U 1996-10-04 1996-10-04 에어컨의 압축기 방진구조 KR2001482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768U KR200148295Y1 (ko) 1996-10-04 1996-10-04 에어컨의 압축기 방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768U KR200148295Y1 (ko) 1996-10-04 1996-10-04 에어컨의 압축기 방진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604U true KR19980019604U (ko) 1998-07-15
KR200148295Y1 KR200148295Y1 (ko) 1999-06-15

Family

ID=19468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2768U KR200148295Y1 (ko) 1996-10-04 1996-10-04 에어컨의 압축기 방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829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864A (ko) * 2002-11-08 2004-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진동 방지 장치
CN116557980A (zh) * 2023-07-11 2023-08-08 苏州国融前沿技术有限公司 一种空调室外机用减振降噪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20506B4 (de) 2006-04-22 2014-05-15 Rittal Gmbh & Co. Kg Kühlgerät
JP6472373B2 (ja) * 2015-12-22 2019-02-2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スクリュ圧縮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864A (ko) * 2002-11-08 2004-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진동 방지 장치
CN116557980A (zh) * 2023-07-11 2023-08-08 苏州国融前沿技术有限公司 一种空调室外机用减振降噪装置
CN116557980B (zh) * 2023-07-11 2023-08-29 苏州国融前沿技术有限公司 一种空调室外机用减振降噪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48295Y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08987A (ko) 자동차 배기관용 플랙시블 튜브
KR200148295Y1 (ko) 에어컨의 압축기 방진구조
EP0386686B1 (en) Compressor housing having a structure for preventing slippage of vibroisolating members
KR200158626Y1 (ko) 공기조화기의 배관연결구조
KR101375080B1 (ko) 차량용 파이프 고정구조
JP4211134B2 (ja) 配管固定構造
KR100526113B1 (ko) 모터용 댐퍼
JP2002154318A (ja) コンデンサの取付構造
KR200252750Y1 (ko) 차량의에어콘용응축기리시버드라이어의고정장치
KR100208219B1 (ko) 챠량용 압축기를 고정시키는 텐션브라켓
KR0130628Y1 (ko) 일래스틱 호스의 취부구조
KR20020068687A (ko)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의 모터 장착구조
KR19980026310U (ko) 배기장치의 시일성 확보를 위한 배기파이프의 지지장치
KR20000066525A (ko) 에어컨 실외기의 압축기 고정구조
KR0170613B1 (ko) 자동차 배기장치의 장착구조
KR19980023994U (ko) 쿠션러버 크랙방지용 디스턴스 튜브의 구조
KR100197218B1 (ko) 차량의 테일 트림 마운팅 구조물
KR0121361Y1 (ko) 자동차용 촉매장치의 봉인구
KR100302445B1 (ko) 자동차용 에어컨 호스
JPH03273926A (ja) 車両の空調コンプレッサ取付装置
JPH01181046A (ja) 空気調和機の冷凍サイクルの減圧装置
KR200367630Y1 (ko) 리시버 드라이어 고정용 브래킷 조립체
KR0140350Y1 (ko) 엔진식 지게차의 배기장치 어셈블리
KR100311872B1 (ko) 버스점검리드실링구조
KR0111787Y1 (ko) 냉동공조기용 방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