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8987A - 자동차 배기관용 플랙시블 튜브 - Google Patents

자동차 배기관용 플랙시블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8987A
KR20000008987A KR1019980029120A KR19980029120A KR20000008987A KR 20000008987 A KR20000008987 A KR 20000008987A KR 1019980029120 A KR1019980029120 A KR 1019980029120A KR 19980029120 A KR19980029120 A KR 19980029120A KR 20000008987 A KR20000008987 A KR 20000008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lows
interlock
flexible tube
isolation
bellows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9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4471B1 (ko
Inventor
신연호
Original Assignee
김용호
주식회사 에스제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호, 주식회사 에스제이엠 filed Critical 김용호
Priority to KR1019980029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4471B1/ko
Priority to EP99113596A priority patent/EP0974741A1/en
Publication of KR20000008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4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44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01N13/1816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the pipe sections being joined together by flexible tubular elements only, e.g. using bellows or strip-woun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7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 F16L27/11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the sleeve having the form of a bellows with multiple corrugations
    • F16L27/111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the sleeve having the form of a bellows with multiple corrugations the bellows being reinforc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1/00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 F16L51/02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 F16L51/025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with several corrug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1/00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 F16L51/02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 F16L51/027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with external reinfor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배기관용 플랙시블 튜브에 관한 것으로, 속이 빈 원통형으로 파형의 주름이 반복 성형되는 금속재의 벨로즈부재(10)와; 이 벨로즈부재(10)의 내부로 소정의 갭이 유지한 상태로 위치되며 나선형으로 감겨져 나선홈(21)이 형성되고 주로 길이 방향의 변형을 흡수시키는 인터록부재(20)와; 상기 벨로즈부재(10)의 외측으로 감싸지게 하는 브레이드부재(30)와; 이 브레이드부재(30)의 단부에 끼워져 결합시키는 캡(40)과; 상기 벨로즈부재(1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인터록부재(20)을 향해 내측으로 중첩되어 고정되는 링형상의 매개부재(50)와; 상기 인터록부재(20)와 벨로즈부재(10)의 사이에 형성된 갭에는 이 인터록부재(20)와 벨로즈부재(10)의 접촉을 차단하도록 개재되는 격리부재(60)를 구비하여서 구성되는 것에 의해, 격리부재(60)에 의해서는 인터록부재(20)와 벨로즈부재(10)가 상호 접촉이 차단됨과 아울러, 외부격리부재(70)는 벨로즈부재(10)의 외부를 보호함과 동시에 브레이드부재(70)와의 접촉을 차단시키게 된다.
따라서, 주행진동에 의해 반복되는 접촉으로 벨로즈부재(10)의 마멸손상을 방지하므로써 배기가스누출 등의 위험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격리부재(60)가 축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재질로 선택되어 신축변위 흡수능력이 유지되고, 벨로즈부재(10)를 보호하여 제품의 신뢰성 및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배기관용 플랙시블 튜브
본 발명은 자동차 배기관용 플랙시블 튜브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인터록부재와 벨로즈부재 사이에서 발생되는 진동소음을 방지하고 반복되는 벨로즈부재의 마멸손상에 따른 배기가스의 누설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에는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관이 연결되는 데, 그 연결부위에는 진동이나 충격, 열변형등을 흡수하기 위하여 연결구가 설치된다.
이 연결구는 EP 0410089 A1호에서 밝혀지는 바와 같이 주로 신축이나 휨에 대한 변형력 흡수를 위한 금속으로 원통형 주름이 반복되는 밸로즈(Bellows)부재의 내측으로는 주로 벨로즈와 마찬가지로 신축, 휨등의 변형을 동시에 흡수하면서 벨로즈의 탄성한도내에서 변위를 제어하며, 배기가스의 안내관으로써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고온의 배기가스로 부터 벨로즈를 보호하는 인터록(Interlock)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벨로즈부재의 외부를 브레이드(Braid)부재로 감싸지게 한 상태에서 이들의 양단을 캡과 함께 원주방향으로 압착한 후 스폿트용접함으로써 마감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일단은 엔진측으로 결합되고 타단은 배기관측으로 결합되어 배기가스는 중앙으로 통과시키고, 엔진과 배기관 사이에 작용되는 충격이나 변형등에 대하여 상기 벨로즈및 인터록이 신축되며 흡수토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기관 연결용 플랙시블 튜브에 있어서 그 수명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는 벨로즈와 인터록의 양단부를 각각 일체로 결합시키는 고정수단에 의해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인터록은 나선형인 고리모양으로 연속적으로 제작됨으로써 소요되는 길이로 절단한 후에는 양단부 지지방식에 따라 내구성과 소음 문제를 크게 좌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한 인터록을 포함한 흡수부재들을 결합하는 고정수단이 매우 중요하게 되므로, 본 출원인의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 101514호(출원 제 94-36920호)에서는 인터록부재와 벨로즈부재의 양단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매개부재를 구비한 배기관 연결용 플랙시블 튜브를 제안한 바 있다.
도 4는 종래 배기관 연결용 플랙시블 튜브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 상기 인터록부재(20)와 벨로즈부재(10)의 사이에 갭(GAP)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배기관 연결용 플랙시블 튜브는 그 전체 길이가 짧은 경우 인터록부재(20)와 벨로즈부재(10)의 갭이 적어도 자동차 운행중 인터록부재(20) 및 벨로즈부재(10) 양측간의 접촉에 의한 타음 및 벨로즈부재(10)의 마멸 손상에 따른 배기가스 누설의 위험성이 낮다.
그러나, 최근에는 배기관 연결용 플랙시블 튜브의 특성상 상당히 플랙시블한 성능을 요구하게 되므로 전체 길이가 대부분 길다.
상기와 같이 인터록부재(20)와 벨로즈부재(10)의 사이에 갭을 유지한 상태로 그 길이가 긴 배기관 연결용 플랙시블 튜브의 구조에 의하면, 주행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인터록부재(20)와 벨로즈부재(10)간의 접촉타음 및 접촉 마멸손상이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인터록부재(20)와 벨로즈부재(10)간의 갭을 충분히 넓히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으나, 설치장소의 제한에 의해 배기관 연결구의 외경이 한정되어 있고, 내경측으로는 인터록부재(20)내를 통과하는 최소한의 가스흐름을 감안하여 내경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인터록부재(20)와 벨로즈부재(10)의 두부재간의 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록부재와 벨로즈부재의 접촉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배기관용 플랙시블 튜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터록부재와 벨로즈부재의 접촉마멸에 의한 배기가스 누출의 염려가 없어 제품의 신뢰성 및 플랙시블 성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배기관용 플랙시블 튜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를 보인 일부절결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일부절결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종래 구조를 보인 확대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벨로즈부재 20 - 인터록부재
30 - 브레이드부재 40 - 캡
50 - 매개부재 60 - 격리부재
70 - 외부격리부재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속이 빈 원통형으로 파형의 주름이 반복 성형되는 금속재의 벨로즈부재(10)와;
이 벨로즈부재(10)의 내부로 소정의 갭이 유지한 상태로 위치되며 나선형으로 감겨져 나선홈(21)이 형성되고 주로 길이 방향의 변형을 흡수시키는 인터록부재(20)와;
상기 벨로즈부재(10)의 외측으로 감싸지게 하는 브레이드부재(30)와;
이 브레이드부재(30)의 단부에 끼워져 결합시키는 캡(40)과;
상기 벨로즈부재(1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인터록부재(20)을 향해 내측으로 중첩되어 고정되는 링형상의 매개부재(50)와;
상기 인터록부재(20)와 벨로즈부재(10)의 사이에 형성된 갭에는 이 인터록부재(20)와 벨로즈부재(10)의 접촉을 차단하도록 개재되는 격리부재(60)를 구비하여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격리부재(60)에 의해 인터록부재(20)와 벨로즈부재(10)가 상호 접촉이 차단되어 주행중 타음 등에 의한 소음이 방지된다.
또, 반복되는 접촉에 의한 벨로즈부재(10)의 마멸손상을 방지하므로써 배기가스누출 등의 위험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격리부재(60)가 축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재질로 선택되어 신축변위 흡수능력 및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형 구성을 일실시예로 일부 절결하여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의하면, 인터록부재(20)와 벨로즈부재(10) 사이로 격리부재(60)가 설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인터록부재(20)와 벨로즈부재(10) 사이로 격리부재(60)가 설치됨과 아울러, 벨로즈부재(10)와 가장 외측의 브레이드부재(30) 사이로도 외부격리부재(70)가 각각 동시에 설치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도 3은 도 2의 요부를 확대하여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벨로즈부재(10)는 주름진 관형상으로 축방향 내지 굴곡방향에 대하여 그 변위를 흡수한 후 외력이 제거될 때 복원토록 한다.
이 벨로즈부재(10)의 내부는 소정의 갭(gap)이 유지한 상태로 인터록부재(20)가 위치된다.
이 인터록부재(20)는 나선형으로 감겨져 나선홈(21)이 형성되고 주로 길이 방향의 변형을 흡수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벨로즈부재(10)의 외측은 가는 금속와이어가 편조된 재질의 브레이드부재(30)가 감싸지게 되며, 이 브레이드부재(30)와 벨로즈부재(10)의 단부에는 마감용 캡(40)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벨로즈부재(10)와 인터록부재(20)는 링형상의 매개부재(50)를 매개체로 상호 연결하게 된다.
즉, 매개부재(50)의 선단은 벨로즈부재(10)의 단부와 일치된 상태에서 벨로즈부재(10)와 브레이드부재(30)및 캡(40)의 수평부를 중첩시킨 상태에서 원주방향의 조임기능을 갖는 클램핑수단이나, 동시에 수곳에서 스폿트용접에 의해 부착토록 한다.
그리고, 매개부재(50)의 타단은 인터록부재(20)의 내측을 향해 절곡 성형된 상태에서 일부 중첩시켜 스폿트용접을 수곳에서 행하는 것에 의해 벨로즈부재(10)와 인터록부재(20) 사이를 상호 완전하게 결합토록 유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상의 특징은 상기 인터록부재(20)와 벨로즈부재(10)의 사이에 형성된 갭에 격리부재(60)를 설치하여 타음 및 마멸손상을 방지하는 데 있다.
즉, 인터록부재(20)와 벨로즈부재(10)의 사이에 형성된 갭에는 두 부재의 접촉을 차단함과 아울러, 원주방향 및 축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격리부재(60)를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 격리부재(60)로는 특히 두께방향으로 흡수능력이 우수하고, 원주 및 축길이 방향으로 각각 3방향 신축능력을 갖는 재질로 선택되는 데, 내열성 및 내마모성을 감안하여 가는 와이어로 편조된 원통형의 망사가 적합하다.
이 격리부재(60)의 소재로는 직경이 약 0.1-0.3mm 범위내의 가는 와이어 중에서 특히 내열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강선으로 편조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한편, 이 격리부재(60)의 고정수단으로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인터록부재(20)의 양 끝단과 대략 그 길이를 같게 절단하고, 매개부재(50)의 일단 외측에 순서적으로 인터록부재(20)와 격리부재(60)를 위치시킨 후 수곳에서 스폿트용접하게 된다.
여기서, 이 격리부재(60)의 고정수단으로 반드시 스폿트용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떠한 고정수단으로 유동없이 고정시키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내에 속할 것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자유상태로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이 설치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그리고, 이 격리부재(60)와 동일한 재질로 된 다른 외부격리부재(70)를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벨로즈부재(10)와 브레이드부재(30)의 사이에 설치하는 것도 좋다.
이 외부격리부재(70)는 벨로즈부재(10)와 브레이드부재(30) 사이의 갭에서 발생되는 타음이나 접촉에 의한 마멸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주행중 도로의 돌등이 튀어 벨로즈부재(10)가 파손되는 것을 더욱 완충하여 보호하는 역할을 갖는다.
이 외부격리부재(70)의 설치는 벨로즈부재(10)의 양 단말부와 수곳에서 스폿트용접에 의해 접합시켜도 좋으나, 자유상태로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위치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격리부재(60)에 의해서는 인터록부재(20)와 벨로즈부재(10)가 상호 접촉이 차단됨과 아울러, 외부격리부재(70)는 벨로즈부재(10)의 외부를 보호함과 동시에 브레이드부재(70)와의 접촉을 차단시키게 된다.
따라서, 주행진동에 의해 반복되는 접촉으로 벨로즈부재(10)의 마멸손상을 방지하므로써 배기가스누출 등의 위험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격리부재(60)가 축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재질로 선택되어 신축변위 흡수능력이 유지되고, 벨로즈부재(10)를 보호하여 제품의 신뢰성 및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속이 빈 원통형으로 파형의 주름이 반복 성형되는 금속재의 벨로즈부재(10)와;
    이 벨로즈부재(10)의 내부로 소정의 갭이 유지한 상태로 위치되며 나선형으로 감겨져 나선홈(21)이 형성되고 주로 길이 방향의 변형을 흡수시키는 인터록부재(20)와;
    상기 벨로즈부재(10)의 외측으로 감싸지게 하는 브레이드부재(30)와;
    이 브레이드부재(30)의 단부에 끼워져 결합시키는 캡(40)과;
    상기 벨로즈부재(1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인터록부재(20)을 향해 내측으로 중첩되어 고정되는 링형상의 매개부재(50)와;
    상기 인터록부재(20)와 벨로즈부재(10)의 사이에 형성된 갭에는 이 인터록부재(20)와 벨로즈부재(10)의 접촉을 차단하도록 개재되는 격리부재(60)를 구비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기관용 플랙시블 튜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벨로즈부재(10)와 브레이드부재(30) 사이의 갭에는 외부격리부재(7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기관용 플랙시블 튜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리부재(60)는 인터록부재(20)의 양 끝단과 대략 그 길이를 같게 절단하고, 매개부재(50)의 일단 외측에 순서적으로 인터록부재(20)와 격리부재(60)를 위치시킨 후 수곳에서 스폿트용접하여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기관용 플랙시블 튜브.
  4. 청구항 1항 내지 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부재(60) 및 외부격리부재(70)는 스테인레스 강선으로 편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기관용 플랙시블 튜브.
KR1019980029120A 1998-07-20 1998-07-20 자동차배기관용플랙시블튜브 KR100294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9120A KR100294471B1 (ko) 1998-07-20 1998-07-20 자동차배기관용플랙시블튜브
EP99113596A EP0974741A1 (en) 1998-07-20 1999-07-08 Flexible tube of an exhaust pipe for mot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9120A KR100294471B1 (ko) 1998-07-20 1998-07-20 자동차배기관용플랙시블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987A true KR20000008987A (ko) 2000-02-15
KR100294471B1 KR100294471B1 (ko) 2001-09-17

Family

ID=19544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9120A KR100294471B1 (ko) 1998-07-20 1998-07-20 자동차배기관용플랙시블튜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0974741A1 (ko)
KR (1) KR1002944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167B1 (ko) * 2002-10-09 2005-08-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듀얼 배기관용 플렉시블 파이프의 듀얼 플랜지의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21724C1 (de) 1999-05-12 2001-05-23 Contitech Schlauch Gmbh Flexible Schlauchleitung, insbesondere unter Druckeinwirkung einer Verformung unterliegende Hochdruckschlauchleit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artiger Schlauchleitungen
KR100393395B1 (ko) * 2001-02-07 2003-07-31 주식회사 에스제이엠 자동차용 플랙시블 튜브
KR100492081B1 (ko) * 2002-01-07 2005-06-02 주식회사 에스제이엠 자동차 배기관용 플렉시블 튜브
DE20305574U1 (de) * 2003-04-07 2003-06-12 Iwka Balg Und Kompensatoren Te Flexibles Leitungselement
FR2857050B1 (fr) * 2003-07-04 2005-09-30 Hutchinson Perfectionnement a un flexible de decouplage pour ligne d'echappement d'un vehicule a moteur
DE20312251U1 (de) * 2003-08-05 2004-01-08 Witzenmann Gmbh Flexibles Leitungselement
FR2859266B1 (fr) * 2003-09-03 2006-09-08 Tubest Sa Tubulure a isolation thermique et sonore renforcee
KR20050044029A (ko) * 2003-11-07 2005-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구력 개선을 위한 벨로우즈 구조
WO2006029201A1 (en) * 2004-09-08 2006-03-16 Donaldson Company, Inc. Construction for an engine exhaust system component
US7779624B2 (en) 2004-09-08 2010-08-24 Donaldson Company, Inc. Joint for an engine exhaust system component
ATE552456T1 (de) * 2005-01-14 2012-04-15 Boa Flexible Solutions Starres rohr mit verstärkten hitze und schalldämmung
DE202007013515U1 (de) * 2007-09-27 2009-02-19 Witzenmann Gmbh Dämpfungsanordnung
DE202008008290U1 (de) * 2008-06-20 2009-10-29 Witzenmann Gmbh Flexibles Leitungselement für die Abgasleitung eines Brennkraftmotors
US9261216B2 (en) * 2009-09-29 2016-02-16 Tru-Flex, Llc Exhaust system conduit with thermal/noise insulation
JP4815522B2 (ja) * 2009-09-30 2011-11-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チューブ
DE202010006231U1 (de) * 2010-04-29 2010-08-05 Boa Balg- Und Kompensatoren-Technologie Gmbh Flexibles Leitungselement
US20120112452A1 (en) * 2010-11-09 2012-05-10 Stalcup Ii Robert Franklin Compressible exhaust connection member
US8382165B2 (en) 2010-11-09 2013-02-26 Tru-Flex Metal Hose, Llc Exhaust connection member with preformed braided cover
CA2757698A1 (en) * 2010-11-09 2012-05-09 Tru-Flex Metal Hose, Llc Frequency-controlled exhaust bellows assembly
DE102012216097A1 (de) * 2012-09-12 2014-03-13 Witzenmann Gmbh Entkoppelelement
KR101570921B1 (ko) 2014-01-22 2015-11-20 주식회사 에스제이엠 자동차 배기관용 플렉시블 튜브
US9970578B2 (en) * 2014-07-02 2018-05-15 American Boa, Inc. Dynamic liner sleeve for flexible coupli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0553A (en) * 1966-02-09 1969-01-07 Calumet & Hecla Apparatus for absorbing sound and vibration in a piping system
DE3708415A1 (de) * 1987-03-14 1988-09-22 Witzenmann Metallschlauchfab Flexibles leitungselement fuer abgasleitungen von verbrennungsmotoren
JPH0347421A (ja) * 1989-07-14 1991-02-28 Tanaka Pipe:Kk 排気マフラのインナパイプ製作方法
DE4042291A1 (de) * 1990-12-31 1992-07-02 Witzenmann Metallschlauchfab Flexibles leitungselement fuer abgasleitungen von verbrennungsmotoren bei kraftfahrzeugen
DE4233644C2 (de) * 1992-10-06 1994-08-18 Burgmann Dichtungswerk Feodor Flexible Verbindungsanordnung für zwei Rohrteile, insbesondere bei Abgasanlagen von Kraftfahrzeugen
DE4417407C1 (de) * 1994-05-18 1995-11-30 Burgmann Dichtungswerk Feodor Flexible Verbindungsanordnung für zwei Rohrteile, insbesondere bei Abgasanlagen von Kraftfahrzeugen
KR960006036Y1 (ko) * 1994-12-28 1996-07-20 성진기공 주식회사 배기관용 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167B1 (ko) * 2002-10-09 2005-08-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듀얼 배기관용 플렉시블 파이프의 듀얼 플랜지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4471B1 (ko) 2001-09-17
EP0974741A1 (en) 2000-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4471B1 (ko) 자동차배기관용플랙시블튜브
KR100735940B1 (ko) 자동차 배기관용 플렉시블 튜브
KR100353123B1 (ko) 자동차 배기관용 연결구
JP6078033B2 (ja) 自動車の排気管用可撓性導管
KR100234836B1 (ko) 가요성 커플러 장치
JPH10220221A (ja) 可撓性管路エレメント
KR20000021218U (ko) 자동차 배기관용 디커플러
CA2479448C (en) A flexible tube for an exhaust pipe of an automobile
US6047993A (en) Arrangement for connection pipe pieces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393395B1 (ko) 자동차용 플랙시블 튜브
KR100492081B1 (ko) 자동차 배기관용 플렉시블 튜브
KR200150355Y1 (ko) 자동차 배기관용 디커플러
KR100353122B1 (ko) 자동차 배기관용 연결구
KR960006036Y1 (ko) 배기관용 연결구
KR200313052Y1 (ko) 엔진 배기가스 충격흡수용 튜브
KR101379271B1 (ko) 자동차 배기관용 벨로우즈형 플렉시블 튜브
KR200183322Y1 (ko) 자동차 배기관용 벨로우즈
KR200240736Y1 (ko) 자동차용 플렉시블 커플링
KR200243764Y1 (ko) 자동차 배기관용 플랙시블 커플링
KR200183321Y1 (ko) 자동차 배기관용 벨로우즈
KR200313051Y1 (ko) 엔진 배기관용 디커플러
KR100361078B1 (ko) 자동차 배기관용 디커플러
KR200206051Y1 (ko) 자동차 배기관용 디커플러(decoupler)
JP4053394B2 (ja) 自動車排気系用フレキシブルチューブ
KR20050039336A (ko) 자동차 배기관용 플렉시블 튜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