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8167B1 - 듀얼 배기관용 플렉시블 파이프의 듀얼 플랜지의 구조 - Google Patents

듀얼 배기관용 플렉시블 파이프의 듀얼 플랜지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8167B1
KR100508167B1 KR10-2002-0061473A KR20020061473A KR100508167B1 KR 100508167 B1 KR100508167 B1 KR 100508167B1 KR 20020061473 A KR20020061473 A KR 20020061473A KR 100508167 B1 KR100508167 B1 KR 100508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bellows
dual
flexible pip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1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2365A (ko
Inventor
한학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1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8167B1/ko
Publication of KR20040032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2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8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81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50/00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 F01N2450/22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by welding or br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배기관용 플렉시블 파이프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듀얼배기관을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배기파이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타원형의 벨로우즈를 구비하고, 이 벨로우즈의 내측에 각각의 배기파이프와 연결되는 인터록을 형성하며, 벨로우즈의 내외각에 벨로우즈 보호용 아우터 블레이드와 인너 블레이드를 형성하여 V형 엔진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및 제 2배기파이프가 벨로우즈에 나란히 연결되도록 하므로서,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배기진동이 배기계에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완화하고, 배기압 감소 및 체적효율증대를 통해 엔진출력이 향상되는 부가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배기파이프의 중간부분에 플렉시블 파이프를 설치할 수 있게되어 배기계의 레이아웃이 향상될뿐만 아니라 벨로우즈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 듀얼 배기관용 플렉시블 파이프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듀얼 배기관용 플렉시블 파이프의 듀얼 플랜지의 구조{Dual flange of a flexible pipe}
본 발명은 듀얼 배기관용 플렉시블 파이프의 듀얼 플랜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배기진동이 배기계에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완화하고, 배기압 감소 및 체적효율증대를 통해 엔진출력이 향상되는 부가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배기파이프의 중간부분에 플렉시블 파이프를 설치할 수 있게되어 배기계의 레이아웃이 향상될뿐만 아니라 벨로우즈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 듀얼 배기관용 플렉시블 파이프의 듀얼 플랜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배기장치에 있어서 플렉시블 파이프는 엔진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배기파이프의 도중에 연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플렉시블 파이프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배기파이프(5)를 상호 연결해주어 가스의 흐름이 유지되도록 하며, 엔진으로부터의 진동을 흡수하는 벨로우즈(1)와, 상기 벨로우즈(1)의 내외측에 형성되어 벨로우즈(1)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변형을 방지하는 아우터블레이드(2) 및 인너블레이드(4)와, 상기 벨로우즈(1)와 아우터브레이드(2)를 고정하는 캡(3)으로 구성된다.
한편, V형 엔진의 경우에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엔진의 양측으로 제 1 배기파이프(7)와 제 2 배기파이프(8)가 각각 연장되는 듀얼 배기관이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배기파이프(7,8)의 연장부분이 서로 합쳐진 후 진동 완충장치인 플렉시블 파이프가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경우 제 1 배기파이프(7)와 제 2 배기파이프(8)가 합쳐지는 합류부가 Y관 형태를 가지게 되므로 저속에서의 엔진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도 4 와같이 엔진에서 합류부 까지의 배기파이프(7,8)길이가 길수록 엔진의 저중속 토오크 성능이 향상되는 특징을 이용하여 저중속에서의 엔진 토오크 향상을 위해 배기파이프의 합류부 위치를 레이아웃이 허락하는 한 뒤에 위치시켜 합류전 배기파이프의 길이를 길게 설계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 플렉시블 파이프가 엔진의 롤(Roll)축에서 멀리 위치하게 됨으로 엔진 거동에 의한 플렉시블 파이프의 변위량 증대를 가져오게되어 플렉시블 파이프의 내구력 악화 및 NVH에 매우 불리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한편, 상기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5 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1 및 제 2 배기파이프가 합류하기 전에 각각의 배기파이프에 플렉시블 파이프(9)를 설치하는 방법에 제공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경우 배기파이프의 레이아웃이 어렵고, 또 각각의 플렉시블 파이프의 형성위치가 차량 전후방상의 동일한 위치에 존재해야만하므로 그 설치가 매우 까다로운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듀얼배기관을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배기파이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타원형의 벨로우즈를 구비하고, 이 벨로우즈의 내측에 각각의 배기파이프와 연결되는 인터록을 형성하며, 벨로우즈의 내외각에 벨로우즈 보호용 아우터 블레이드와 인너 블레이드를 형성하여 V형 엔진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및 제 2배기파이프가 벨로우즈에 나란히 연결되도록 하므로서,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배기진동이 배기계에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완화하고, 배기압 감소 및 체적효율증대를 통해 엔진출력이 향상되는 부가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배기파이프의 중간부분에 플렉시블 파이프를 설치할 수 있게되어 배기계의 레이아웃이 향상될뿐만 아니라 벨로우즈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 듀얼 배기관용 플렉시블 파이프의 듀얼 플랜지의 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V형 엔진의 양측에 제 1 및 제 2 배기파이프가 연결되고, 각각의 배기파이프가 후단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합류하도록 된 듀얼배기관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배기파이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타원형의 벨로우즈를 구비하되,
상기 벨로우즈의 내측에 각각의 배기파이프가 연결되기 위한 한쌍의 인터록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벨로우즈의 내외각에 벨로우즈 보호용 아우터 블레이드와 인너블레이드를 형성하여 제 1 및 제 2 배기파이프가 각각의 인터록에 나란히 연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록의 양끝단 안쪽에 인터록과 인너블레이드의 지지를 위한 인너캡을 고정 결합하고, 외각에는 아우터 블레이드와 벨로우즈를 고정하기 위한 아우터캡이 아우터 블레이드의 외각에 용접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너캡은 연결대의 양측에 인터록 내측으로 끼워지기 위한 보강링을 형성하여 구성하며,
인너블레이드의 외각에 일정간격으로 와이어메쉬를 용접 결합하되, 상기 와이어메쉬는 인터록과 인너블레이드 상호간의 간섭에 의한 충격완화 및 이음발생을 막아줄 수 있도록 금속와이어를 그물망처럼 엮어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6 내지 도 9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20은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벨로우즈를 나타내는데, 본 발명에 적용된 벨로우즈(20)는 제 1 및 제 2 배기파이프(27,28)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도록 타원형으로 형성한다. 한편, 도면부호 33은 듀얼 배기관용 플렉시블 파이프(40)의 양측 끝단에 접속되는 듀얼 플랜지를 지시하는 것이다.
상기한 듀얼 배기관용 플렉시블 파이프(40)는 하나의 아웃터 블레이드(21)의 내부에 전후방에 접속되는 배기파이프(27,28)와 연통되는 한쌍의 벨로우즈(20)가 수용되고, 상기 각각의 벨로우즈(20)의 내부에는 인너 블레이드(22)가 수용되며, 상기 벨로우즈(20)의 끝단 내측에 한쌍의 배기파이프(27,28)가 접속되기 위한 인터록(23)이 형성된 것이다.한편, 상기한 듀얼 플랜지(33)는 상기 듀얼 배기관용 플렉시블 파이프(40)의 양측단에 위치되어 배기파이프(27,28)의 간격을 유지시키며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이를 위해, 상기한 벨로우즈(20)의 내측에 각각의 배기파이프(27,28)와 한쌍의 인터록(23)이 설치되고, 인터록(23)과 벨로우즈(20)의 사이에는 인너 블레이드(22)가 설치되며, 벨로우즈(20)의 외각에는 아우터 블레이드(21)가 설치된다.
상기 인너 블레이드(22)와 아우터 블레이드(21)는 벨로우즈(20)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이 역시 벨로우즈(20)와 같은 타원형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록(23)의 양끝단 안쪽으로 인터록(23)과 인너 블레이드(22)의 지지를 위한 인너캡(25)을 끼워 결합하며, 아우터 블레이드(21)의 양끝단 외각에는 아우터 블레이드(21)와 벨로우즈(20)를 고정하기 위한 아우터캡(26)이 아우터 블레이드(22)의 외각에 용접 결합된다.
상기한 인너캡(25)은 도 8 에 도시한 바와같이 연결대(31)의 양측에 인터록(23) 내측으로 끼워지기 위한 보강링(30)을 형성하여 상기 보강링(30)에 의해 인터록(23)과 인너블레이드(22)가 지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인터록(23)과 인너블레이드(2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인너블레이드(22)의 외각에 일정간격으로 와이어메쉬(24)를 용접결합하는데, 이 와이어메쉬(24)는 인터록(23)과 인너블레이드(22) 상호간의 간섭에 의한 충격 완화 및 소음발생을 막아줄 수 있도록 금속와이어를 그물망처럼 엮어서 형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플렉시블 파이프는 도 9 에 도시한 바와같이 듀얼 배기관을 구성하는 제 1 배기파이프(27)와 제 2 배기파이프(28)가 벨로우즈(20)의 내측에 형성된 한쌍의 인터록(23)에 평행하게 각각 결합되며, 각각의 배기파이프(27,28)를 통해 전달되는 엔진 진동은 플렉시블 파이프를 구성하는 벨로우즈(20)에 의해 완충 흡수되어 후단으로 전달되지 않게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배기파이프(27,28)가 나란히 플렉시블 파이프에 결합되고, 그 후단부에서 급격한 구부러짐이나 휘어짐 없이 합류부가 형성되므로 엔진 배압이 감소함과 동시에 체적효율증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플렉시블 파이프를 배기파이프의 중간부분(엔진에 가까운 부분)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벨로우즈에 가해지는 변위량이 감소하게되어 벨로우즈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듀얼배기관을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배기파이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타원형의 벨로우즈를 구비하고, 이 벨로우즈의 내측에 각각의 배기파이프와 연결되는 인터록을 형성하며, 벨로우즈의 내외각에 벨로우즈 보호용 아우터 블레이드와 인너 블레이드를 형성하여 V형 엔진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및 제 2배기파이프가 벨로우즈에 나란히 연결되도록 하므로서,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배기진동이 배기계에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완화하고, 배기압 감소 및 체적효율증대를 통해 엔진출력이 향상되는 부가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배기파이프의 중간부분에 플렉시블 파이프를 설치할 수 있게되어 배기계의 레이아웃이 향상될뿐만 아니라 벨로우즈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 듀얼 배기관용 플렉시블 파이프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듀얼 배기관에 플렉시블 파이프가 연결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 는 종래의 배기파이프와 플렉시블 파이프의 연결상태를 보인 도면.
도 3 은 종래의 플렉시블 파이프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4 는 듀얼 배기관에서 배기파이프의 합류부까지의 길이와 엔진출력간의 상관관계를 보인 그래프.
도 5 는 종래의 다른 기술을 보인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 파이프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 파이프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인너캡 및 아우터캡을 보인 도면.
도 9 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파이프가 듀얼 배기관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벨로우즈 21 : 아우터 블레이드
22 : 인너블레이드 23 : 인터록
24 : 와이어메쉬 25 : 인너캡
26 : 아우터캡 27,28 : 배기파이프30 : 보강링 31 : 연결대33 : 듀얼 플랜지 40 : 듀얼 배기관용 플렉시블 파이프

Claims (4)

  1. 하나의 아웃터 블레이드(21)의 내부에 전후방에 접속되는 배기파이프와 연통되는 한쌍의 벨로우즈(20)가 수용되고, 상기 각각의 벨로우즈(20)의 내부에는 인너 블레이드(22)가 수용되며, 상기 벨로우즈(20)의 끝단 내측에 한쌍의 배기파이프(27,28)가 접속되기 위한 인터록(23)이 형성된 듀얼 배기관용 플렉시블 파이프(40)를 V형 엔진의 배기계에서 연장된 제1 및 제2 배기파이프(27,28)와 용이하게 접속시키기 위한 듀얼 배기관용 플렉시블 파이프의 듀얼 플랜지에 있어서,
    상기한 인터록(23)의 양끝단 안쪽에 인터록(23)과 인너 블레이드(22)의 지지를 위한 인너캡(25)이 고정형성되고, 그 외각에는 아우터 블레이드(21)와 벨로우즈(20)를 고정하기 위한 아웃터 캡(26)이 아우터 블레이드(21)의 외각에 용접결합되어지되,
    상기한 인너캡(25)은 연결대(31)의 양측에 인터록(23) 내측으로 끼워지기 위한 보강링(30)이 형성되어 상기 보강링(30)에 의해 인터록(23)과 인너 블레이드(22)가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배기관용 플렉시블 파이프의 듀얼 플랜지의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2-0061473A 2002-10-09 2002-10-09 듀얼 배기관용 플렉시블 파이프의 듀얼 플랜지의 구조 KR100508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473A KR100508167B1 (ko) 2002-10-09 2002-10-09 듀얼 배기관용 플렉시블 파이프의 듀얼 플랜지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473A KR100508167B1 (ko) 2002-10-09 2002-10-09 듀얼 배기관용 플렉시블 파이프의 듀얼 플랜지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365A KR20040032365A (ko) 2004-04-17
KR100508167B1 true KR100508167B1 (ko) 2005-08-17

Family

ID=37332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473A KR100508167B1 (ko) 2002-10-09 2002-10-09 듀얼 배기관용 플렉시블 파이프의 듀얼 플랜지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81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272B1 (ko) * 2012-07-24 2014-03-27 타타대우상용차 주식회사 자동차 배기관용 인터락형 플렉시블 튜브
KR102084391B1 (ko) * 2012-12-21 2020-03-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오븐장치용 케이블과 이를 포함하는 오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5012A (ja) * 1989-09-14 1991-05-01 Sango:Kk 排気管用フレキシブルチューブ
JPH09177548A (ja) * 1995-12-27 1997-07-08 Futaba Sangyo Kk 複数の排気経路用の振動遮断機構
KR20000008987A (ko) * 1998-07-20 2000-02-15 김용호 자동차 배기관용 플랙시블 튜브
JP2001263058A (ja) * 2000-03-21 2001-09-26 Katayama Kogyo Co Ltd 車両の排気管用フレキシブルパイ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5012A (ja) * 1989-09-14 1991-05-01 Sango:Kk 排気管用フレキシブルチューブ
JPH09177548A (ja) * 1995-12-27 1997-07-08 Futaba Sangyo Kk 複数の排気経路用の振動遮断機構
KR20000008987A (ko) * 1998-07-20 2000-02-15 김용호 자동차 배기관용 플랙시블 튜브
JP2001263058A (ja) * 2000-03-21 2001-09-26 Katayama Kogyo Co Ltd 車両の排気管用フレキシブルパイ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365A (ko) 200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4471B1 (ko) 자동차배기관용플랙시블튜브
US20110073209A1 (en) Flexible vibration absorbing tube
KR101480355B1 (ko) 자동차 배기관용 플렉시블 튜브
KR100508167B1 (ko) 듀얼 배기관용 플렉시블 파이프의 듀얼 플랜지의 구조
KR20190008336A (ko) 충격 완화 가요성 파이프
JP2006189007A (ja) エンジン用マフラ
KR20040037926A (ko) 듀얼 배기관용 플렉시블 파이프 구조
JPH102220A (ja) 排気管の遮熱板構造
KR100537959B1 (ko) 엔진 배기관용 디커플러
JP2018040256A (ja) 配管の振動吸収構造
JP3598931B2 (ja) 衝撃吸収連結構造
JP3756890B2 (ja) 排気管のフレキシブルジョイント構造
KR100580690B1 (ko) 차량의 프론트싸이드멤버의 충격완화구조
US20200309013A1 (en) Exhaust pipe structure
CN212929105U (zh) 一种减震密封水嘴结构
JP2590078Y2 (ja) エンジンの排気装置
JP2011052702A (ja) ダストカバー
KR100501113B1 (ko) 자동차 배기관용 코일 스프링 디커플러 구조
KR960006035Y1 (ko) 배기관용 연결구
JP3591918B2 (ja) パイプ材のフレキシブル連結構造
KR20230056425A (ko) 댐퍼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물 가열기
KR20110023467A (ko) 차량 배기계용 벨로우즈 어셈블리
KR200313051Y1 (ko) 엔진 배기관용 디커플러
KR100452212B1 (ko) 엔진리어마운팅부의 차체구조
JP2011026995A (ja) フレキシブルチュ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