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6425A - 댐퍼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물 가열기 - Google Patents

댐퍼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물 가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6425A
KR20230056425A KR1020210140431A KR20210140431A KR20230056425A KR 20230056425 A KR20230056425 A KR 20230056425A KR 1020210140431 A KR1020210140431 A KR 1020210140431A KR 20210140431 A KR20210140431 A KR 20210140431A KR 20230056425 A KR20230056425 A KR 20230056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bracket
bracket body
combustion chamber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0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종
배태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210140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6425A/ko
Publication of KR20230056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64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027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23Purpose; Design features protec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댐퍼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물 가열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댐퍼브라켓은 방진대상물에 결합되게 구비되는 브라켓본체와, 상기 브라켓본체의, 상기 방진대상물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의 면에 결합되는 방진용 패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본체는 상기 방진대상물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되고 상기 방진용 패킹부재가 결합되는 판 형의 방진부와, 상기 방진부의, 서로 마주보는 양 단부로부터 상기 방진대상물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댐퍼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물 가열기{DAMPER BRACKET AND WATER HEATING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댐퍼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물 가열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충격과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댐퍼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물 가열기에 관한 것이다.
물 가열기는 물을 가열하는 장치이다. 물 가열기의 종류로, 용기 내의 물을 가열하여 원하는 지역을 난방하는 보일러와, 가열된 물을 배출하는 온수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 가열기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케이스의 내부에는 연소실을 포함한 각종 부품이 수납될 수 있다.
이러한 물 가열기는 생산 후 운송 및 설치에 이르기까지 전도 낙하 등 다양한 외부 충격이 가해질 수 있고, 이에 의해 케이스가 손상되고 이는 케이스 내부에 수납된 부품의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외부 충격에 의해 케이스의 외관에 찍힘, 굴곡, 단차 등의 손상이 발생하면 연소실의 불균형을 가져오거나 연소실의 가스관 조립부 파손, 각종 패킹부품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물 가열기의 운전 시에 제품 전체에 진동이 발생되어 원활한 운전에 방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물 가열기에서 케이스로부터 내부 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고, 진동을 감소시키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 나열된 과제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방진대상물의 외부로부터 방진대상물에 가해지는 충격과 진동을 저감시키는 댐퍼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 충격에 의해 케이스와 연소실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진동을 저감시키는 댐퍼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물 가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댐퍼브라켓은 방진대상물에 결합되게 구비되는 브라켓본체와, 상기 브라켓본체의, 상기 방진대상물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의 면에 결합되는 방진용 패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본체는 상기 방진대상물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되고 상기 방진용 패킹부재가 결합되는 판 형의 방진부와, 상기 방진부의, 서로 마주보는 양 단부로부터 상기 방진대상물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본체를 방진대상물에 결합시키도록 상기 브라켓본체와 상기 방진대상물에 체결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본체로부터 상기 방진대상물을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할 때, 상기 브라켓본체는 상기 연장부의 상기 제1 방향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결합부재가 관통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 단부에, 상기 제2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곡면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본체는 상기 방진부와 상기 연장부에 형성되고, 상기 방진부와 상기 연장부를 따라 연장되고,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단면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보강용 요철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본체는 스테인리스강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진용 패킹부재는 합성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 가열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연소실과,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과 상기 연소실의 외면 사이에 배치되는 댐퍼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댐퍼브라켓은 상기 연소실의 외면에 결합되는 브라켓본체와, 상기 브라켓본체의 상기 연소실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의 면에 결합되는 방진용 패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본체는 상기 연소실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되고 상기 방진용 패킹부재가 결합되는 판 형의 방진부와, 상기 방진부의, 서로 마주보는 양 단부로부터 상기 연소실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댐퍼브라켓은 상기 연소실에 구비된 전면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 면에 접촉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연소실 사이에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저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댐퍼브라켓은 상기 브라켓본체를 상기 전면커버에 조립시키도록 상기 브라켓본체와 상기 전면커버에 체결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기 전면커버를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할 때, 상기 브라켓본체는 상기 연장부의 상기 제1 방향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결합부재가 관통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브라켓을 이용하면 방진대상물의 외부로부터 방진대상물에 가해지는 충격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브라켓 및 물 가열기를 이용하면 외부 충격에 의해 케이스와 연소실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댐퍼브라켓에 의해 케이스와 연소실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어, 케이스가 연소실의 온도에 영향을 받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댐퍼브라켓이 연소실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댐퍼브라켓이 연소실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2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댐퍼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댐퍼브라켓을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댐퍼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물 가열기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댐퍼브라켓이 연소실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댐퍼브라켓이 연소실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2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댐퍼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댐퍼브라켓을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댐퍼브라켓(100)은 보일러나 온수기 등의 물 가열기(10)에 장착되어 케이스(20)로부터 내부 부품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고 진동을 감쇄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방진대상물(30)은 연소실 등 케이스(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댐퍼브라켓(100)이 적용되는 대상은 물 가열기(10)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충격 완화 및 방진이 필요한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댐퍼브라켓(100)이 보일러나 온수기 등의 물 가열기(10)에 적용된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방진대상물과 연소실은 같은 도면부호인 30으로 표기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댐퍼브라켓(100)은 브라켓본체(110)와 방진용 패킹부재(130)를 포함한다.
브라켓본체(110)는 방진대상물(30)에 결합되게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브라켓본체(110)는 방진대상물(30)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되고 방진용 패킹부재(130)가 결합되는 판 형의 방진부(111)와, 방진부(111)의, 서로 마주보는 양 단부로부터 방진대상물(3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113)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브라켓본체(110)는 판 형의 금속체를 성형하여 방진부(111)와 연장부(113)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방진부(111)와 연장부(113)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 브라켓본체(110)의 일부 영역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브라켓본체(110)로부터 방진대상물(30)을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D1)이라 정의하고,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을 제2 방향(D2)이라 정의한다.
구체적으로 방진부(111)는 방진대상물(30)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되고 방진용 패킹부재(130)가 결합되고, 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진부(111)는 판 형의 방진대상물(30)의 외면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방진부(111)와 방진대상물(30)의 외면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113)는 방진부(111)의, 서로 마주보는 양 단부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진부(111)는 직사각형 형태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연장부(113)는 방진부(111)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로부터 방진대상물(3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연장부(113)가 방진부(111)의 양 단부에서 연장됨으로써, 브라켓본체(110)는 제2 방향(D2)을 향하여 오목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113)에 의해 방진부(111)가 방진대상물(30)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브라켓본체(110)는 방진대상물(30)을 향하여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브라켓본체(110)와 방진대상물(3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공간은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졌을 때 충격을 흡수하여 방진대상물(30)을 보호하는 완충 공간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방진용 패킹부재(130)는 브라켓본체(110)의 방진대상물(30)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의 면에 결합되고, 충격 흡수 가능한 재질로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방진용 패킹부재(130)는 금속 재질의 브라켓본체(110)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브라켓본체(110)의 일면을 커버하도록 브라켓본체(110)에 부착될 수 있다. 일례로 방진용 패킹부재(130)는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접착제, 양면테이프 등으로 브라켓본체(110)에 부착될 수 있다.
방진용 패킹부재(130)는 충격 흡수 가능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충격 흡수 가능한 재질에는 제한이 없고, 고무, 합성 수지 등 다양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방진용 패킹부재(130)는 외부구조물(예를 들어 케이스(20))로부터 방진대상물(30)(예를 들어 연소실(30))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방진대상물(3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다.
다만 방진용 패킹부재(130)의 재질과 형상은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브라켓본체(110) 및 방진대상물(30)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과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방진용 패킹부재(130)와 브라켓본체(110)의 결합은 상기한 바와 같이 양면테이프 등을 이용한 부착방식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별도의 체결부재로 조립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브라켓(100)은 방진대상물(30)의 외면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방진대상물(3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고, 외부에 발생하는 진동이 방진대상물(30)에 전이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진대상물(30)이 물가열기의 케이스(20) 내부에 설치되는 연소실(30)인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브라켓(100)은 연소실(30)의 외면에 결합되어 케이스(20)로부터 연소실(30)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및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댐퍼브라켓(100)에 의해 케이스(20)와 연소실(30)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어, 케이스(20)가 충격에 의해 외관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케이스(20)가 연소실(30)의 온도에 영향을 받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물 가열기(10)의 운전 시에 내부 회전체의 진동이 전이되어 연소실(30)에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방진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결합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재(150)는 브라켓본체(110)를 방진대상물(30)에 결합시키도록 브라켓본체(110)와 방진대상물(30)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재(150)는 체결볼트 등으로 마련될 수 있고, 방진대상물(30)과 브라켓본체(110)에 관통될 수 있다. 이 경우 브라켓본체(110)는 결합부재(150)에 의해 방진대상물(30)에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다만 결합부재(150)의 종류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브라켓본체(110)는 결합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15)는 연장부(113)의 제1 방향(D1)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결합부재(150)가 관통되는 결합홀(116)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115)는 연장부(113)의 제1 방향(D1)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115)는 중심부에 결합홀(116)이 관통될 수 있고, 방진대상물(30)에 접촉된 상태에서 결합부재(150)가 관통될 수 있다. 방진대상물(30)에는 한 쌍의 결합홀(116)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한 쌍의 연장부(113)는 제1 방향(D1)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연장부(113)는 방진대상물(30)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장부(113)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우, 외부에서 방진대상물(30)을 향하는 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질 때, 경사지지 않은 경우에 비해 충격을 더 잘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연장부(113)는 제1 방향(D1)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13)의 폭이 갈수록 좁게 형성되는 경우, 폭이 넓은 영역에서 브라켓본체(110)의 충분한 강성이 확보되면서 동시에, 필요한 경우 폭이 좁은 영역에 의해 변형되도록 마련되어 충격을 더 잘 흡수할 수 있다. 즉 브라켓본체(110)(특히 연장부(113)) 자체가 변형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연장부(113)는 제2 방향(D2) 단부에 제2 방향(D2)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곡면파트(11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곡면파트(114)는 연장부(113)가 방진부(111)와 만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곡면파트(114)에 의해 연장부(113)와 방진부(111)가 연결되는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결되는 부분이 절단 등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연장부(113)의 형상은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브라켓본체(110)는 보강용 요철홈(117)을 포함할 수 있다. 보강용 요철홈(117)은 방진부(111)와 연장부(113)에 형성되고, 방진부(111)와 연장부(113)를 따라 연장되고,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단면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용 요철홈(117)은 방진부(111)와 연장부(113)의 폭 방향 중심부에 형성되고, 폭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강용 요철홈(117)은 방진대상물(30)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의 면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보강용 요철홈(117)의 단면 형상은 U 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보강용 요철홈(117)에 의해 브라켓본체(110)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한편 브라켓본체(11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브라켓본체(110)는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브라켓본체(110)는 STS 430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스테인리스강은 내식성, 내산화성, 내열성이 뛰어나며 또한 기계적 강도, 가공성, 용접성이 양호하다. 따라서 브라켓본체(110)가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연소실(30) 등 물 가열기(10)의 고온 부품에 사용하기 적합할 수 있고, 외부 충격에 대해 연소실(30) 등을 부품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다만, 브라켓본체(110)는 스테인리스강인 경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방진용 패킹부재(130)는 합성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진용 패킹부재(130)는 합성 고무의 일종인 폴리클로로프렌고무(polychloroprene rubber: CR)일 수 있다. 폴리클로로프렌고무는 네오프렌 고무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내열성, 내후성, 내화학 약품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방진용 패킹부재(130)가 폴리클로로프렌고무로 이루어지는 경우, 댐퍼브라켓(100)의 내열성과 충격 흡수력이 강화될 수 있다. 다만 방진용 패킹부재(130)의 재질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변형 실시가능하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1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10)는 상기한 댐퍼브라켓(100)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물 가열기(10)는 케이스(20)와 연소실(30)과 댐퍼브라켓(100)을 포함한다.
케이스(20)는 내부에 부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연소실(30)은 케이스(2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연소실(30)의 외면은 케이스(20)이 내측 면에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댐퍼브라켓(100)은 케이스(20)의 내측면과 연소실(30)의 외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브라켓(100)은 연소실(30)에 구비된 전면커버(31)에 결합되고 케이스(20)의 내측 면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댐퍼브라켓(100)은 케이스(20)와 연소실(30) 사이에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저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소실(30)의 전면커버(31)에는 가스관(40)이 조립될 수 있는데, 댐퍼브라켓(100)은 이러한 가스관(40)이 조립되는 영역에 인접하도록 전면커버(31)에 조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충격에 의해 가스관(40) 조립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댐퍼브라켓(100)이 연소실(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스(20)의 내측 면에 접촉되므로, 연소실(30)과 케이스(20) 사이에 소정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이때 방진용 패킹부재(130)가 케이스(20)의 내측 면에 접촉되므로, 물 가열기(10) 가동 시에 연소실(30)과 케이스(20)에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완화시킬 수 있다.
다만 댐퍼브라켓(100)의 결합 위치는 연소실(30)의 전면커버(31)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연소실(30)의 외면의 다양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댐퍼브라켓(100)은 연소실(30)의 외면에 결합되는 브라켓본체(110)와, 브라켓본체(110)의 연소실(30)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의 면에 결합되는 방진용 패킹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댐퍼브라켓(100)은 브라켓본체(110)를 전면커버(31)에 조립시키도록 브라켓본체(110)와 전면커버(31)에 체결되는 결합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재(150)는 체결볼트 등으로 마련될 수 있고, 연소실(30)의 전면커버(31)와 브라켓본체(110)에 관통될 수 있다. 브라켓본체(110)는 결합부재(150)에 의해 전면커버(31)에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다만 결합부재(150)의 종류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결합부재(150)는 연소실(30)의 내부 부품과 연소실(30)의 전면커버(31)를 결합하기 위한 부품일 수 있고, 브라켓본체(110)는 이러한 기존의 부품을 사용하여 전면커버(31)에 결합될 수 있다(도 3 참조). 이때 결합부재(150)에는 브라켓본체(110)와 전면커버(31) 이외에도 연소실(30)의 내부부품이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체결부재와 체결홀 타공 공정이 불필요하므로 제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결합부재(150)는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댐퍼브라켓(100)의 설치가 필요한 곳에 별도로 타공된 관통홀을 통해 체결될 수도 있다.
한편 구체적으로 케이스(20)로부터 전면커버(31)를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D1)이라 하고,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을 제2 방향(D2)이라 할 때, 브라켓본체(110)는 전면커버(31)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되고 방진용 패킹부재(130)가 결합되는 판 형의 방진부(111)와, 방진부(111)의, 서로 마주보는 양 단부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113)와, 연장부(113)의 제1 방향(D1)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결합부재(150)가 관통되는 결합홀(116)이 형성되는 결합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브라켓을 이용하면 방진대상물의 외부로부터 방진대상물에 가해지는 충격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브라켓 및 물 가열기를 이용하면 외부 충격에 의해 케이스와 연소실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댐퍼브라켓에 의해 케이스와 연소실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어, 케이스가 연소실의 온도에 영향을 받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물 가열기 20: 케이스
30: 연소실 31: 전면커버
40: 가스관 100: 댐퍼브라켓
110: 브라켓본체 111: 방진부
113: 연장부 114: 곡면파트
115: 결합부 117: 보강용 요철홈
130: 방진용 패킹부재 150: 결합부재
D1: 제1 방향 D2: 제2 방향

Claims (13)

  1. 방진대상물에 결합되게 구비되는 브라켓본체; 및
    상기 브라켓본체의, 상기 방진대상물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의 면에 결합되는 방진용 패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본체는
    상기 방진대상물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되고 상기 방진용 패킹부재가 결합되는 판 형의 방진부; 및
    상기 방진부의, 서로 마주보는 양 단부로부터 상기 방진대상물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하는 댐퍼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본체를 방진대상물에 결합시키도록 상기 브라켓본체와 상기 방진대상물에 체결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댐퍼브라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본체로부터 상기 방진대상물을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할 때,
    상기 브라켓본체는
    상기 연장부의 상기 제1 방향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결합부재가 관통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댐퍼브라켓.
  4. 제3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댐퍼브라켓.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댐퍼브라켓.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 단부에, 상기 제2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곡면파트를 포함하는 댐퍼브라켓.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본체는
    상기 방진부와 상기 연장부에 형성되고, 상기 방진부와 상기 연장부를 따라 연장되고,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단면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보강용 요철홈을 포함하는 댐퍼브라켓.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본체는 스테인리스강 재질을 포함하는 댐퍼브라켓.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용 패킹부재는 합성 고무 재질을 포함하는 댐퍼브라켓.
  10.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연소실; 및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과 상기 연소실의 외면 사이에 배치되는 댐퍼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댐퍼브라켓은
    상기 연소실의 외면에 결합되는 브라켓본체; 및
    상기 브라켓본체의 상기 연소실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의 면에 결합되는 방진용 패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본체는
    상기 연소실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되고 상기 방진용 패킹부재가 결합되는 판 형의 방진부; 및
    상기 방진부의, 서로 마주보는 양 단부로부터 상기 연소실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하는 물 가열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브라켓은 상기 연소실에 구비된 전면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 면에 접촉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연소실 사이에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저감하도록 마련되는 물 가열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브라켓은
    상기 브라켓본체를 상기 전면커버에 조립시키도록 상기 브라켓본체와 상기 전면커버에 체결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물 가열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기 전면커버를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할 때,
    상기 브라켓본체는
    상기 연장부의 상기 제1 방향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결합부재가 관통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물 가열기.
KR1020210140431A 2021-10-20 2021-10-20 댐퍼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물 가열기 KR202300564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431A KR20230056425A (ko) 2021-10-20 2021-10-20 댐퍼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물 가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431A KR20230056425A (ko) 2021-10-20 2021-10-20 댐퍼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물 가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425A true KR20230056425A (ko) 2023-04-27

Family

ID=86099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0431A KR20230056425A (ko) 2021-10-20 2021-10-20 댐퍼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물 가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64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1828A (en) Flexible joint for automobile exhaust pipe
JP5085107B2 (ja) エンジンマウント構造
JP4722883B2 (ja) トルクロッド
CZ9904532A3 (cs) Dutá hnací hřídel se zabudovaným tlumičem kmitů
CN110873139B (zh) 防振单元
KR20060134713A (ko) 벽걸이형 기기의 벽면 고정 장치
KR20230056425A (ko) 댐퍼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물 가열기
JP5590752B2 (ja) 遮音構造および遮音カバー
JP3601068B2 (ja) ラジエータの取付構造
JP5922620B2 (ja) 排気系部品への遮熱カバーの防振取り付け構造
US20150145190A1 (en) Liquid sealed-in vibration damper
KR101542975B1 (ko) 충격 완화용 판재 체결장치
KR101352889B1 (ko) 방음용 엘보우
JP2004028125A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
KR100857360B1 (ko) 다이나믹 댐퍼
KR101264090B1 (ko) 쿨링모듈 장착구조
JP2011052702A (ja) ダストカバー
KR100736783B1 (ko) 쉬프트케이블 고정구조
JP5012746B2 (ja) 液体封入式トルクロッド
CN109341143B (zh) 护板和制冷机组
KR100201239B1 (ko) 차량 연료탱크의 보강구조
KR100452212B1 (ko) 엔진리어마운팅부의 차체구조
KR100501113B1 (ko) 자동차 배기관용 코일 스프링 디커플러 구조
KR2022010036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960006035Y1 (ko) 배기관용 연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