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8483B1 - 엔진변속기결합체 - Google Patents

엔진변속기결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8483B1
KR100378483B1 KR10-2000-0053948A KR20000053948A KR100378483B1 KR 100378483 B1 KR100378483 B1 KR 100378483B1 KR 20000053948 A KR20000053948 A KR 20000053948A KR 100378483 B1 KR100378483 B1 KR 100378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transmission
clamping member
contact
contac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3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1229A (ko
Inventor
이종진
구영호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3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8483B1/ko
Publication of KR20020021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1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8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84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 B60K1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of mechanica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0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engines, clutches or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과 변속기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상기 엔진의 전방에 위치하는 변속기와, 상기 변속기를 상기 엔진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엔진에 마련되며 상기 변속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제1걸림면과, 상기 변속기에 마련되며 상기 엔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제2걸림면과, 그 일단에는 상기 엔진의 제1걸림면에 접촉되는 제1접촉부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상기 변속기의 제2걸림면에 접촉되는 제2접촉부가 마련된 클램핑 부재와, 상기 클램핑 부재를, 상기 제1접촉부가 제1걸림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2접촉부가 제2걸림면에 접촉되도록 유지시키기 위한 유지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엔진과 변속기의 결합구조에서 엔진과 변속기의 분리 및 결합에 필요한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엔진변속기결합체{Corporate body of engine and transmission gear box }
본 발명은 엔진변속기결합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과 변속기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엔진변속기결합체에 관한 것이다.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의 출력축은 일정한 회전속도를 유지한다. 하지만 그 회전속도 자체로는 다양한 사용조건, 예를 들면 부하의 변동이나 속도의 광범위한 변화에 적응할 수가 없다.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엔진에는 다양한 사용조건에 부응할 수 있도록 변속기가 부착되며, 이러한 변속기는 주로 여러 기어들의 맞물림 형태로 속도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기어식이 사용된다.
한편, 상기 변속기를 엔진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기(3)를 관통하여 엔진(2)에 체결되는 많은 수량(적어도 15개소 이상)의 볼트(4)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많은 볼트에 의해서 상호 결합되는 엔진(2)과 변속기(3)로 이루어지는 엔진변속기결합체(1)에 있어서는, 변속기나 엔진의 교체 혹은 수리를 위해 변속기(3)를 엔진으로부터 분리시킬 때 또는 변속기(3)를 엔진(2)에 부착시킬 때, 많은 볼트들을 일일이 풀거나 체결해야 하므로 과다한 작업시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엔진과 변속기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그 분리 및 결합에 필요한 시간을 줄여서 엔진과 변속기의 결합 및 분해작업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는 엔진변속기결합체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엔진변속기 결합체의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변속기결합체의 개략적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변속기결합체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2의 Ⅳ-Ⅳ선 결합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클램핑 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엔진 14. 제1걸림면
20. 변속기 24. 제2걸림면
30. 클램핑 부재 34. 제1접촉부
36. 제2접촉부 40. 볼트
42. 머리부 44. 나사부
50. 고정링 60. 멈춤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엔진변속기결합체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상기 엔진의 전방에 위치하는 변속기와, 상기 변속기를 상기 엔진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엔진에 마련되며 상기 변속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제1걸림면과, 상기 변속기에 마련되며 상기 엔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제2걸림면과, 그 일단에는 상기 엔진의 제1걸림면에 접촉되는 제1접촉부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상기 변속기의 제2걸림면에 접촉되는 제2접촉부가 마련된 클램핑 부재와, 상기 클램핑 부재를, 상기 제1접촉부가 제1걸림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2접촉부가 제2걸림면에 접촉되도록 유지시키기 위한 유지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엔진변속기결합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변속기결합체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변속기결합체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엔진변속기결합체는 엔진(10)과 변속기(20)와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엔진(10)은 일정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며 후술하는 볼트(40)의 나사부(44)와 체결되는 나사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변속기(20)는 상기 엔진(10)의 전방에 위치하여 엔진(10)으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다양한 사용조건, 즉 다양한 부하의 변동이나 속도의 광범위한 변화에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 엔진(10)과 변속기(20) 자체의 기본구조 및 기능은 종래의 것들과 동일하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변속기(20)를 엔진(10)에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제1걸림면(14)과 제2걸림면(24)과 클램핑 부재(30)와 유지기구로 구성된다.
상기 제1걸림면(14)은 상기 엔진(10)에 마련되며 상기 변속기(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있다. 이 제1걸림면(14)은 상기 클램핑 부재(30)가 잘 안착될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걸림면(24)은 상기 변속기(20)에 마련되며 상기 엔진(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있다. 이 제2걸림면(24)도 역시 상기 클램핑 부재(30)가 잘 안착될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램핑 부재(30)는 관통공(32)을 가지며, 그 일단에는 상기 엔진(10)의 제1걸림면(14)과 접촉되는 제1접촉부(34)가 마련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타단에는 상기 변속기(20)의 제2걸림면(24)과 접촉되는 제2접촉부(36)가 마련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지기구는 상기 제1접촉부(34)가 제1걸림면(14)에 접촉되고 상기 제2접촉부(36)가 제2걸림면(24)에 접촉되는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머리부(42)와 나사부(44)를 가지는 볼트(40)로 되어 있다. 상기 머리부(42)는 상기 클램핑 부재(30)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다. 즉 상기 엔진(2) 및 변속기(3)와 클램핑 부재(30)가 맞닿는 면의 반대면에 접촉하고 있다. 상기나사부(44)는 상기 클램핑 부재(30)에 형성된 관통공(32)을 관통하며 상기 엔진(10)에 형성된 나사공(12)에 체결된다. 즉 상기 나사부(44)는 숫나사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나사공(12)은 상기 나사부(44)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볼트(40)를 상기 클램핑 부재(3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결합기구는 상기 유지기구(40)의 나사부(44)에 끼워지는 고정링(50)으로 구성되며 상기 클램핑 부재(30)와 볼트(40)의 머리부(42)가 맞닿은 면의 반대면과 접촉된다. 즉 상기 클램핑 부재(30)의 상면은 볼트의 머리부(42)와 접촉되어 있고 그 반대면은 상기 고정링(50)과 접촉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링(50)은 상기 나사부(44)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볼트(40)의 나사부(44) 끝단에는 상기 볼트(40)가 상기 엔진(10)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멈춤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멈춤기구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사부(44)의 끝단부에 끼워지는 오링형상의 멈춤링(6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변속기결합체에 있어서 엔진(10)과 변속기(20)의 결합 및 분리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기(20)가 엔진(1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엔진(10)과 변속기(20)를 분리할 때에는, 상기 클램핑 부재(30)를 관통하여 엔진(10)의 나사공(12)에 체결되어 있는 상기 볼트(40)를 이완시킨다. 이에따라 상기 볼트(40)가 서서히 상기 엔진(10)과 변속기(20)로부터 분리되어 엔진(10)과 변속기(20)의 상측으로 이동되기 시작함에 따라 볼트(40)에 결합된 상기 클램핑 부재(30)가 엔진(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기 시작한다.
상기 클램핑 부재(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엔진(10)에 형성된 제1걸림면(14)에 접촉된 상기 제1접촉부(34)와 상기 변속기(20)에 형성된 제2걸림면(24)에 접촉된 상기 제2접촉부(35)가 서로 각각 떨어지게 되며 상기 클램핑 부재(30)가 엔진(10) 및 변속기(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진(10)과 변속기(20)의 상면으로부터 완전히 떨어지면 상기 엔진(10)과 변속기(20)는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5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상기 볼트(40)를 계속 돌려서 완전히 풀더라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멈춤링(60)이 엔진(10)의 내부벽에 걸리게 되어 상기 볼트(40)가 엔진(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므로 볼트(40) 및 클램핑 부재(30)의 망실의 염려가 없다.
상술한 내용과 반대인 상기 엔진(10)과 변속기(20)의 결합 시에는, 상기 볼트(40)를 체결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볼트(40)와 결합된 상기 클램핑 부재(30)가 서서히 상기 엔진(10)쪽으로 이동되기 시작한다. 상기 클램핑 부재(30)가 계속 이동하여 클램핑 부재(30)의 일단에 형성된 제1접촉부(34)가 상기 엔진(10)에 형성된 제1걸림면(14)에 안착되고 클램핑 부대(30)의 타단에 형성된 제2접촉부(36)가 상기 변속기(20)에 형성된 제2걸림면(24)에 안착된다. 계속하여 상기 볼트(40)를 돌리면 상기 클램핑 부재(30)와 상기 엔진(10) 및 변속기(20)가꽉 밀착되어 상기 볼트(40)를 더 이상 돌릴 수 없게 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엔진(10)과 변속기(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상호 견고히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며 상술한 작용을 하는 상기 클램핑 부재(30)와 유지기구(40)를 엔진(10) 및 변속기(20)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균일한 간격으로 4개소 정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함으로써 엔진(10)과 변속기(20)의 분리 및 결합작업이 간편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볼트(40)의 나사부(44)와 체결되는 나사공(12)이 엔진(10)에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변속기(20)에 형성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엔진변속기결합체에 의하면, 엔진과 변속기의 분리결합에 필요한 시간을 줄여서 엔진과 변속기의 결합 및 분해작업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는 엔진변속기결합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상기 엔진의 전방에 위치하는 변속기와,
    상기 변속기를 상기 엔진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엔진에 마련되며 상기 변속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제1걸림면과,
    상기 변속기에 마련되며 상기 엔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제2걸림면과,
    그 일단에는 상기 엔진의 제1걸림면에 접촉되는 제1접촉부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상기 변속기의 제2걸림면에 접촉되는 제2접촉부가 마련된 클램핑 부재와,
    상기 클램핑 부재를, 상기 제1접촉부가 제1걸림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2접촉부가 제2걸림면에 접촉되도록 유지시키기 위한 유지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변속기결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기구는
    상기 클램핑 부재의 상면에 접촉하는 머리부와,
    상기 클램핑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엔진과 변속기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는 나사부를 가지는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변속기 결합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를 상기 클램핑 부재에 위치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변속기결합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구는
    상기 볼트의 나사부에 머리부와 대향되게 끼워지며,
    상기 클램핑 부재의 하면과 대면하는 고정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유지기구의 머리부와 상기 고정링 사이에 상기 클램핑 부재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변속기결합체.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기구가 상기 엔진과 변속기 중 어느 하나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멈춤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변속기결합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기구는
    상기 볼트의 나사부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엔진과 변속기 중 어느 하나에 대면하는 멈춤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변속기결합체.
KR10-2000-0053948A 2000-09-14 2000-09-14 엔진변속기결합체 KR100378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948A KR100378483B1 (ko) 2000-09-14 2000-09-14 엔진변속기결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948A KR100378483B1 (ko) 2000-09-14 2000-09-14 엔진변속기결합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229A KR20020021229A (ko) 2002-03-20
KR100378483B1 true KR100378483B1 (ko) 2003-03-29

Family

ID=19688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3948A KR100378483B1 (ko) 2000-09-14 2000-09-14 엔진변속기결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84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1157U (ko) * 1987-12-09 1989-06-15
JPH02146256U (ko) * 1989-05-17 1990-12-12
KR19980026669U (ko) * 1996-11-12 1998-08-05 박병재 엔진의 타이밍벨트 커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1157U (ko) * 1987-12-09 1989-06-15
JPH02146256U (ko) * 1989-05-17 1990-12-12
KR19980026669U (ko) * 1996-11-12 1998-08-05 박병재 엔진의 타이밍벨트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229A (ko) 200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02993C (en) Fluid conduit coupling device
US20010028836A1 (en) Pull stud bolt
EP0065414B1 (en) A nut locking unit
KR100378483B1 (ko) 엔진변속기결합체
KR0129682Y1 (ko) 안내부를 갖는 풀림 방지용 볼트
KR20010077809A (ko) 풀림 방지 볼트 조립체
KR200197004Y1 (ko) 풀림 방지 볼트 조립체
KR20030066925A (ko) 너트 풀림 방지용 체결볼트
KR0139005Y1 (ko) 차량용 발전기 장착구조
KR200164841Y1 (ko) 록 너트
KR960007749Y1 (ko) 자동차의 냉각수 파이프
KR200164947Y1 (ko) 와셔가 일체로 결합된 육각 너트
KR200346252Y1 (ko) 풀림 방지용 너트
KR100255713B1 (ko) 자동가공 유니트의 헤드클램프장치
KR100235045B1 (ko) 토오크 리미트형 볼트
KR200260538Y1 (ko) 핸들의 손잡이 풀림 방지 구조
JP3569563B2 (ja) ボルトの緩めトルク低減構造および緩め方法
KR19980033811U (ko) 스터드볼트(Stud Bolt)의 구조
JPH0953625A (ja) ねじ具
JP3007067U (ja) 緩み止めボルト
KR200291415Y1 (ko)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장치
KR970006258Y1 (ko) 너트와 와셔의 결합구조
KR19990029349U (ko) 태핑 록 나사
KR200150547Y1 (ko) 엔진의 연료 분사펌프 장착구조체
KR200266362Y1 (ko) 쉬운 나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