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5777B1 - 차량의 엔진 회전수 보상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엔진 회전수 보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5777B1
KR100435777B1 KR10-2002-0027035A KR20020027035A KR100435777B1 KR 100435777 B1 KR100435777 B1 KR 100435777B1 KR 20020027035 A KR20020027035 A KR 20020027035A KR 100435777 B1 KR100435777 B1 KR 100435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speed
excel
switch
stepping actuato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9588A (ko
Inventor
이동초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7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5777B1/ko
Publication of KR20030089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9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5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57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6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for id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2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ehicles;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ariable pitch prope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 회전수 보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계별로 작동 스트로크가 조절되는 스테핑 액츄에이터를 적용하고, 아이들 업 스위치를 버튼형으로 적용하고, 상기 아이들 업 스위치에 에어컨 스위치를 추가 구성하는 것으로서, 자동차의 엑셀 페달(110)측에 연결되는 제 1엑셀로드(120)와 엔진측에 연결되는 제 2엑셀로드(130)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레버(140, 150)가 하나의 중심축(160)을 중심으로 양측에 설치되는 샤프트 어셈블리(100)와; 단계별로 스트로크 양이 조절되며, 상기 제 2엑셀로드(130)에 연결되는 스테핑 액츄에이터(200)와; 상기 스테핑 액츄에이터(200)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운전자의 의도대로 아이들 업 스위치를 단계별로 선택하여 엔진 회전수(rpm)를 단계별로 상승시킬 수 있고, 버튼의 원터치 조작만으로 용이하게 작동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며, 에어컨의 작동을 고려하여 동시에 엔진 회전수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엔진 회전수 보상장치 {Apparatus for compensating engine rpm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 회전수 보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계별로 작동 스트로크가 조절되는 스테핑 액츄에이터를 적용하고, 작동 스위치를 버튼형으로 적용하고, 상기 작동 스위치에 에어컨 스위치를 추가 구성함으로써, 운전자의 의도대로 작동 스위치를 단계별로 선택하여 엔진 회전수(rpm)를 단계별로 상승시킬 수 있고, 버튼의 원터치 조작만으로 용이하게 작동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며, 에어컨의 작동을 고려하여 동시에 엔진 회전수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엔진 회전수 보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엔진 회전수 보상장치란 차량이 아이들링(idling)시에 엔진의 회전수를 보상하기 위한 장치로서, 종래에는 스로틀 케이블(throttle cable)을 적용하여 차량에 구성되어왔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엔진 회전수 보상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엔진 회전수 보상장치의 스로틀 케이블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스로틀 케이블(10)은, 실린더형 레버(11)의 내측에 나사산(12a)이 형성된 샤프트(12)가 설치되며, 상기 레버(11)와 샤프트(12) 사이에는 상기 나사산(12a)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바(13)가 설치되고, 이 슬라이드 바(13)의 단부에는 이너 와이어(2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12)의 단부에는 노브(14)가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노브(14)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샤프트(12)는 제자리에서 회전하고, 상기 슬라이드 바(13)가 나사산(12a)을 따라 좌우로 움직여 스트로크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상기 스트로크를 발생시킨 만큼 상기 이너 와이어(20)도 움직이게 되는데, 이 이너 와이어(20)는 샤프트 어셈블리(30)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이너 와이어(20)가 움직이면 엑셀 로드(40)가 당겨지게 되고, 여기에 엔진측 FIP 스피드 레버(미도시)가 연결되어 있어서 엔진 회전수가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로틀 케이블을 이용한 아이들 업 장치는 손으로 노브를 잡고 회전시켜 작동시키는 구조이므로 작동시키는데 시간이 소요되며, 초기에 무료 스트로크 양이 많아서 응답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즉, 노브를 처음 회전시킬 때부터 바로 유효 스트로크가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바퀴 회전시킨 후에야 유효 스트로크가 발생하여 작동하게 되고, 따라서 신속하게 조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의 의도대로 작동 스위치를 단계별로 선택하여 엔진 회전수(rpm)를 단계별로 상승시킬 수 있고, 버튼의 원터치 조작만으로 용이하게 작동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며, 에어컨의 작동을 고려하여 동시에 엔진 회전수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엔진 회전수 보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엑셀 페달측에 연결되는 제 1엑셀로드와 엔진측에 연결되는 제 2엑셀로드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레버가 하나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설치되는 샤프트 어셈블리와; 단계별로 스트로크 양이 조절되며, 상기 제 2엑셀로드에 연결되는 스테핑 액츄에이터와; 상기 스테핑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엔진 회전수 보상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의 엔진 회전수 보상장치의 스로틀 케이블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의 엔진 회전수 보상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의 엔진 회전수 보상장치의 스테핑 액츄에이터와
스위치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샤프트 어셈블리 110 : 엑셀 페달
120 : 제 1엑셀로드 130 : 제 2엑셀로드
140, 150 : 레버 160 : 중심축
200 : 스테핑 액츄에이터 300 : 스위칭부
310 : 작동스위치 320 : 에어컨 제어 스위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의 엔진 회전수 보상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의 엔진 회전수 보상장치의 스테핑 액츄에이터와 스위치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로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엑셀 페달(110)측에 연결되는 제 1엑셀로드(120)와 엔진측에 연결되는 제 2엑셀로드(130)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레버(140, 150)가 하나의 중심축(160)을 중심으로 양측에 설치되는 샤프트 어셈블리(100)와; 단계별로 스트로크 양이 조절되며, 상기 제 2엑셀로드(130)에 연결되는 스테핑 액츄에이터(200)와; 상기 스테핑 액츄에이터(200)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치부(300)는 버튼형 스위치를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원터치 조작으로 용이하게 작동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300)에는 상기 스테핑 액츄에이터(200)의 작동스위치(310)와 에어컨 제어 스위치(320)가 병렬로 연결되어 설치함으로써, 에어컨의 작동과 동시에 엔진의 회전수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스테핑 액츄에이터(200)와 제 2엑셀로드(130)와의 연결은, 상기 스테핑 액츄에이터(200)의 로드(210)가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100)의 제 1엑셀로드(120)가 연결되는 레버(150)에 설치되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샤프트 어셈블리에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 상기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의 정차중 아이들링시에 필요에 의하여 아이들 엔진 회전수의 상승을 위하여 작동스위치(310)를 누르면 전원이 인가되어 스테핑 액츄에이터(200)가 작동하게 된다.
상기 스테핑 액츄에이터(200)가 작동하면 로드(210)가 샤프트 어셈블리(100)의 레버(150)를 당기게 되고, 그러면 샤프트 어셈블리(100)는 중심축(16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1엑셀로드(120)를 당기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1엑셀로드(120)는 엔진측의 FIP에 연결된 스피드 레버를 당기게 된다. 즉, 스테핑 액츄에이터(200)가 작동하여 발생시킨 스트로크 량에 엑셀 메카니즘 상의 레버 비로 나눈 양만큼의 FIP 스피드 레버로 스트로크가 발생하여엔진 회전수가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입력 신호를 상기 작동스위치(310) 외에 에어컨 제어 스위치(320)를 추가함으로써 에어컨의 작동과 동시에 엔진 회전수를 보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차량이 급경사 오르막길에 정차한 후 출발할 경우에 반클러치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간단한 버튼 조작만으로 엔진 회전수를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오르막길에서 출발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운전자의 의도대로 작동 스위치를 단계별로 선택하여 엔진 회전수(rpm)를 단계별로 상승시킬 수 있고, 버튼의 원터치 조작만으로 용이하게 작동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며, 에어컨의 작동을 고려하여 동시에 엔진 회전수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자동차의 엑셀 페달측에 연결되는 제 1엑셀로드와 엔진측에 연결되는 제 2엑셀로드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레버가 하나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설치되는 샤프트 어셈블리와;
    단계별로 스트로크 양이 조절되며, 상기 제 2엑셀로드에 연결되는 스테핑 액츄에이터와;
    상기 스테핑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 회전수 보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버튼형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 회전수 보상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에는 에어컨 제어 스위치가 병렬로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 회전수 보상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핑 액츄에이터와 제 2엑셀로드와의 연결은,
    상기 스테핑 액츄에이터가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의 제 1엑셀로드가 연결되는 레버에 설치되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 회전수 보상장치.
KR10-2002-0027035A 2002-05-16 2002-05-16 차량의 엔진 회전수 보상장치 KR100435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035A KR100435777B1 (ko) 2002-05-16 2002-05-16 차량의 엔진 회전수 보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035A KR100435777B1 (ko) 2002-05-16 2002-05-16 차량의 엔진 회전수 보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588A KR20030089588A (ko) 2003-11-22
KR100435777B1 true KR100435777B1 (ko) 2004-06-10

Family

ID=32383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035A KR100435777B1 (ko) 2002-05-16 2002-05-16 차량의 엔진 회전수 보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57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5691A (en) * 1986-03-22 1988-11-22 Daimler-Benz Aktiengesellschaft Device for regul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a motor vehicle
KR970035998A (ko) * 1995-12-26 1997-07-22 김태구 자동차의 가속제한장치
KR19980057189A (ko) * 1996-12-30 1998-09-25 김영귀 엔진 회전수 증가장치
KR0185553B1 (ko) * 1996-06-20 1999-04-01 박병재 자동차용 클러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5691A (en) * 1986-03-22 1988-11-22 Daimler-Benz Aktiengesellschaft Device for regul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a motor vehicle
KR970035998A (ko) * 1995-12-26 1997-07-22 김태구 자동차의 가속제한장치
KR0185553B1 (ko) * 1996-06-20 1999-04-01 박병재 자동차용 클러치
KR19980057189A (ko) * 1996-12-30 1998-09-25 김영귀 엔진 회전수 증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588A (ko) 2003-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51793B2 (ja) 車両用アクセルペダル装置
JPS62225726A (ja) 自動車の内燃機関調整装置
KR100435777B1 (ko) 차량의 엔진 회전수 보상장치
JP2009524544A (ja) 自動車のドライブトレーン
KR100401623B1 (ko) 엑셀 페달과 엔진 로드의 연결 구조
KR200254615Y1 (ko) 자동차용 클러치 패달 조작장치
KR200186846Y1 (ko) 자동차의 정속 주행 장치
KR100407274B1 (ko) 차량의 정속주행장치
KR100333920B1 (ko) 자동차의 시동꺼짐 방지 시스템
KR100456862B1 (ko) 자동차용정속주행제어시스템
KR100361298B1 (ko) 자동차용 액셀케이블의 장력조절장치
KR100288220B1 (ko) 파워 태이크 오프 제어 시스템
KR100194648B1 (ko) 자동차용 정속 주행장치
KR100460924B1 (ko) 자동 정속 주행장치
KR200313196Y1 (ko) 가속페달 답력조절장치
KR100199724B1 (ko) 자동차의 수동식 클러치 장치
KR200407700Y1 (ko) 차량 정속 주행 장치
KR19990015171A (ko) 자동차의 자동클러치시스템
KR970070661A (ko) 자동 변속기의 파킹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251183B1 (ko) 자동차 페달조작구조
KR20040022954A (ko) 전자식 디젤 엔진에서의 캔통신을 이용한 파워 테이크오프구동용 엔진 토크 제어방법
KR0164296B1 (ko) 차량의 오토 트랜스미션 모듈레이터 제어장치
KR970061596A (ko) 자동차 엑셀러레이터의 파워 엑튜에이터
KR100391280B1 (ko) 시트 로테이션 차량의 주차 브레이크의 레버장치 및시트작동 시스템
KR20010055956A (ko) 자동차의 정속 주행 방법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