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9111U - 악셀 케이블의 차체 마운팅용 방진고무 - Google Patents

악셀 케이블의 차체 마운팅용 방진고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9111U
KR19990019111U KR2019970032445U KR19970032445U KR19990019111U KR 19990019111 U KR19990019111 U KR 19990019111U KR 2019970032445 U KR2019970032445 U KR 2019970032445U KR 19970032445 U KR19970032445 U KR 19970032445U KR 19990019111 U KR19990019111 U KR 199900191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sh panel
axel
vibration
cable
mount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24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324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9111U/ko
Publication of KR199900191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111U/ko

Links

Landscapes

  • Flexible Shaft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악셀 케이블의 차체 마운팅용 방진고무에 관한 것으로, 엔진의 진동 및 소음이 악셀 케이블을 통해 차실로 전달되는 과정에 악셀 케이블에 의해 떨리게 되는 마운팅 브라켓과 대쉬 패널의 진동도 동시에 저감시켜 악셀 케이블의 소음 및 진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평판형상을 하고서 악셀케이블(2)이 관통되게 끼워져 지지될 수 있도록 보스부(5a)가 연장되게 형성되고, 차실쪽을 향한 대쉬 패널(1)의 이면에 밀착되어 대쉬 패널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상기 보스부에 플랜지(5b)가 일체로 형성되며, 악셀 케이블을 대쉬 패널에 지지시키기 위해 대쉬 패널에 장착된 체결보울트(3)가 끼워지는 관통구멍의 주위로 돌출되어 마운팅 브라켓(4)을 지지하기 위해 마운팅 브라켓의 이면에 밀착되게 돌기부(5c)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악셀 케이블의 차체 마운팅용 방진고무
본 고안은 차량의 악셀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악셀 케이블이 차체의 대쉬 패널을 관통해서 마운팅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부위에 장착되어 악셀 케이블을 통해 차실내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된 악셀 케이블의 차체 마운팅용 방진고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가속장치는 엔진으로 유입되는 혼합기의 양을 조절해서 엔진의 출력을 증감시켜 차량을 가속시키는 장치로서, 엔진쪽에 설치되는 드로틀 밸브 등을 갖춘 가속장치 본체와, 이 가속장치 본체에 운전자의 조작력을 전달하기 위해 가속 페달과 악셀 케이블 등을 갖춘 가속 조작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은 상기한 종래 가속 조작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인 바, 즉 차체에 악셀 페달(101)을 갖춘 페달아암(102)의 상부가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페달 아암(102)의 상단부에는 악셀 케이블(103)의 한쪽 선단부가 끼워져 연결되며, 이 악셀 케이블(103)의 다른쪽 선단부는 대쉬 패널을 관통해서 엔진룸에 장착된 드로틀 밸브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예컨대 상기 악셀 페달을 조작하여주면, 악셀 페달의 회동 조작량에 상응해서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고 있는 상기 악셀 케이블이 당겨지면서 운전자의 페달 조작량에 비례적으로 드로틀 밸브를 개구시켜 차량을 가속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악셀 케이블(103)은 운전자의 조작력을 드로틀 밸브로 전달하기 위해 엔진룸과 차실을 구획짓는 대쉬패널을 반드시 관통해야 하는 데, 이와 같이 악셀 케이블이 대쉬 패널을 관통하는 부위에는 악셀 케이블을 대쉬 패널에 적절히 지지시키기 위해 마운팅 브라켓(104)이 사용되고 있다.
즉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대쉬 패널(105)에는 악셀 케이블(103)이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되면서 이 관통구멍의 주위로 다수개의 보울트(106)가 용접으로 부착되고, 상기 보울트(106)에는 악셀 케이블(103)이 관통되게 끼워진 마운팅 브라켓(104)이 체결되어, 악셀 케이블(103)을 대쉬 패널에 적절히 지지시키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악셀 케이블의 한쪽 선단부는 엔진쪽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엔진의 진동 및 소음이 악셀 케이블을 통해 차실내로 전달되어 운전자의 피로를 가중시키게 되는 데, 상기와 같이 악셀 케이블을 통해 차실로 전달되는 엔진의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종래에도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이면에는 평판형상을 한 방진고무(107)가 부착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진고무는 평판형상을 하고서 단지 마운팅 브라켓에 덧대어진 형태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악셀 케이블을 통해 차실로 전달되는 엔진의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저감시기에는 미흡하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엔진의 진동 및 소음이 악셀 케이블을 통해 차실로 전달되는 과정에 악셀 케이블에 의해 떨리게 되는 마운팅 브라켓과 대쉬 패널의 진동도 동시에 저감시켜 악셀 케이블의 소음 및 진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된 악셀 케이블의 차체 마운팅용 방진고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악셀 케이블과 악셀 페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악셀 케이블이 차체의 대쉬 패널을 관통해서 마운팅 브라켓을 지지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차체의 대쉬 패널을 관통한 악셀 케이블이 방진고무에 끼워져 지지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대쉬 패널더 2-악셀 케이블
3-체결보울트 4-마운팅 브라켓
5-방진고무 5a-보스부
5b-플랜지 5c-돌기부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평판형상을 하고서 악셀 케이블이 관통되게 끼워져 지지될 수 있도록 보스부가 연장되게 형성되고, 차실쪽을 향한 대쉬 패널의 이면에 밀착되어 대쉬 패널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상기 보스부에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며, 악셀 케이블을 대쉬 패널에 지지시키기 위해 대쉬 패널에 장착된 체결보울트가 끼워지는 관통구멍의 주위로 돌출되어 마운팅 브라켓을 지지하기 위해 마운팅 브라켓의 이면에 밀착되게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차체의 대쉬 패널을 관통한 악셀 케이블이 방진고무에 끼워져 지지된 상태의 단면도인 바, 즉 차체의 대쉬 패널(1)에는 엔진룸으로부터 차실로 연장되는 악셀 케이블(2)이 관통되게 끼워질 수 있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대쉬 패널의 엔진룸쪽을 향한 정면(1a)에는 관통구멍의 주위로 다수개의 체결보울트(3)가 용접으로 고정되게 부착되며, 상기 악셀 케이블이 관통되게 끼워져서 지지될 수 있도록 관통구멍을 가진 마운팅 브라켓(4)이 상기 체결보울트에 끼워져서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악셀 케이블은 마운팅 브라켓와 대쉬 패널사이에 개재된 방진고무(5)에 끼워져 지지되게 되어 있는 데, 이 방진고무(5)는 평판형상을 하고서 상기 악셀 케이블이 관통되게 끼워져 지지될 수 있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보스부(5a)와, 이 보스부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대쉬 패널(1)의 이면에 밀착되는 플랜지(5b) 및, 상기 체결보울트가 끼워지는 관통구멍의 주위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이면에 밀착되어 마운팅 브라켓을 지지하는 돌기부(5c)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엔진에서 발생되어 상기 악셀 케이블을 통해 전달된 진동 및 소음은 상기 방진고무에 의해 적절히 차단되어 저감되게 되고, 또 악셀 케이블의 진동이 마운팅 브라켓에 전달되어 마운팅 브라켓이 떨리게 되면 마운팅 브라켓의 진동을 상기 방진고무의 돌기부가 적절히 흡수해서 저감시키는 한편, 악셀 케이블의 진동으로 인해 상기 대쉬 패널이 떨리게 될 때에도 상기 방진고무의 플랜지가 대쉬 패널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대쉬 패널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켜주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악셀 케이블의 차체 마운팅용 방진고무에 의하면, 대쉬 패널을 관통하는 악셀 케이블을 대쉬 패널에 지지시키는 마운팅 브라켓의 진동과 대쉬 패널의 떨림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저감시킴에 따라 엔진으로부터 발생되어 악셀 케이블을 통해 차실로 전달되는 엔진의 진동 및 소음을 중간에서 적절히 차단하여 줌으로써, 운전자의 운전피로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평판형상을 하고서 악셀 케이블이 관통되게 끼워져 지지될 수 있도록 연장되게 형성되어 악셀 케이블의 진동 및 소음을 차단하는 보스부와, 이 보스부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차실쪽을 향한 대쉬 패널의 이면에 밀착되어 대쉬 패널의 진동을 흡수하는 플랜지 및, 악셀 케이블을 대쉬 패널에 지지시키기 위해 대쉬 패널에 장착된 체결보울트가 끼워지는 관통구멍의 주위로 돌출되어 마운팅 브라켓을 지지하기 위해 마운팅 브라켓의 이면에 밀착되게 형성된 돌기부를 갖춘 악셀 케이블의 차체 마운팅용 방진고무.
KR2019970032445U 1997-11-17 1997-11-17 악셀 케이블의 차체 마운팅용 방진고무 KR1999001911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445U KR19990019111U (ko) 1997-11-17 1997-11-17 악셀 케이블의 차체 마운팅용 방진고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445U KR19990019111U (ko) 1997-11-17 1997-11-17 악셀 케이블의 차체 마운팅용 방진고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111U true KR19990019111U (ko) 1999-06-05

Family

ID=69691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2445U KR19990019111U (ko) 1997-11-17 1997-11-17 악셀 케이블의 차체 마운팅용 방진고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911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12366B1 (en) Insulating layer with integral grommets
JPH08192642A (ja) 車両用エンジンのマウント装置
KR19990019111U (ko) 악셀 케이블의 차체 마운팅용 방진고무
KR100372410B1 (ko) 자동차의 가속 조작장치
KR0185345B1 (ko) 엔진롤 제어 기능을 갖는 엔진 마운트 브래킷
JP2501290Y2 (ja) 農機のエンジン搭載構造
JP2592723Y2 (ja) 可動屋根パネル駆動装置の取付構造
JP2000326756A (ja) アクセルケーブル支持構造
JP4032512B2 (ja) 吸振マウントの取付け装置
KR200161582Y1 (ko) 자동차용 액셀 케이블
JP2564326Y2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ケーブルの振動伝達防止構造
JPH08159248A (ja) シフトレバーの振動防止装置
JP2748606B2 (ja) エンジンの支持装置
JP2511303Y2 (ja) 車両のパワ―ユニット支持装置
JPH0717248A (ja) ドアキーステーの取付構造
KR200251524Y1 (ko) 자동차의 가속페달구조
KR100341900B1 (ko) 자동차용 액셀케이블 소음저감기
KR100230192B1 (ko) 자동차용 엔진마운팅 충격흡수장치
KR100279889B1 (ko) 소음방지장치
KR19990029682U (ko) 진동저감용 액셀레이터 케이블
KR19980029967U (ko) 차량엔진의 진동 흡수구조
KR20030047354A (ko)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마운팅구조
KR20020032948A (ko) 자동차용 액셀케이블의 장력조절장치
KR20050025377A (ko) 자동차용 바디와 프레임의 마운팅 구조
KR19980041477U (ko) 엑셀러레이터의 진동방지용 그로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