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5377A - 자동차용 바디와 프레임의 마운팅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바디와 프레임의 마운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5377A
KR20050025377A KR1020030062407A KR20030062407A KR20050025377A KR 20050025377 A KR20050025377 A KR 20050025377A KR 1020030062407 A KR1020030062407 A KR 1020030062407A KR 20030062407 A KR20030062407 A KR 20030062407A KR 20050025377 A KR20050025377 A KR 20050025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unter
bush
vehicle
hollow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2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2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5377A/ko
Publication of KR20050025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537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4/00Connections between vehicle body and vehicle frame
    • B62D24/02Vehicle body, not intended to move relatively to the vehicle frame, and mounted on vibration absorbing mountings, e.g. rubber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바디와 프레임의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프 차량등과 같이 프레임이 장착되는 차량에서 급제동 및 급회전 시 바디와 프레임 사이에서 미세한 슬립이 발생되어 미끄러지는 듯한 주행감을 발생시키는 것을 개선한 자동차의 바디와 프레임의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과 바디를 결합시킬 때 상하 방향 진동 흡수 능력이 탁월하면서 수평 방향 강성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바디와 프레임의 마운팅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상하 방향 진동을 흡수하면서 바디(B)와 프레임(F)의 결합 강성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마운터(M)를 다수 부분에 설치하여 구성한 자동차용 바디와 프레임의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상하방향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마운터(M)의 설치 위치에 수평 방향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부시(7)의 중간 부분에 프레임(F)이 밀착되도록 구성된 전단 마운터(1)를 하나 이상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바디와 프레임의 마운팅 구조{Mounting structure of body and frame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바디와 프레임의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프 차량등과 같이 프레임이 장착되는 차량에서 급제동 및 급회전 시 바디와 프레임 사이에서 미세한 슬립이 발생되어 미끄러지는 듯한 주행감을 발생시키는 것을 개선한 자동차의 바디와 프레임의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프 차량, RV 차량등과 같은 차량은 바디의 저면에 일체형 프레임을 장착하여 차량의 강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바, 상기한 바디와 프레임의 연결은 충격 흡수, 진동 흡수를 할 수 있는 마운터로 하게 된다.
상기한 마운터(M)의 장착 상태는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F)에 형성됨과 아울러 관통공(50)이 형성된 고정 브라켓(51)과, 상기한 고정 브라켓(51)의 상면에 안착됨과 아울러 상면이 바디(B)에 접촉되고 제1수직공(52)이 형성된 어퍼 부시(53)와, 상기한 고정 브라켓(51)의 저면에 밀착되고 제1수직공(52)과 대응되도록 제2수직공(54)이 형성된 로워 부시(55)와, 상기한 제1, 2수직공(52, 54)에 삽입되는 인너 파이프(56)와, 상기한 어퍼 부시(53)의 상단과 로워 부시(55)의 하단에 밀착되어 어퍼 부시(53)와 로워 부시(55)의 상하면을 지지하는 상, 하부 플레이트(57, 58)와, 상기한 바디(B)를 관통하면서 인너 파이프(56)를 통과하여 하부 플레이트(58)에서 너트(59)로 고정되는 고정 볼트(60)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한 고정 볼트(60)가 바디(B), 어퍼 부시(53), 프레임(F), 로워 부시(55)를 순차 관통한 상태에서 하부 플레이트(58)와 너트(59)로 고정됨으로써, 바디(B)와 프레임(F)을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고무등과 같은 탄성 재질인 어퍼 부시(53), 로워 부시(55)가 바디(B)와 프레임(F)의 사이에 배치되어 진동 흡수를 하는 것이고, 인너 파이프(56)등이 강성을 유지하면서 바디(B)와 프레임(F)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마운터(M)는 바디(B)와 프레임(F)의 다수 위치에 설치되어 바디(B)와 프레임(F)이 최적의 상태로 결합되도록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어퍼 부시, 로워 부시가 상하로 배치된 상태에서 바디와 프레임을 고정하게 되면, 상기한 어퍼 부시, 로워 부시에 의해 상하 방향의 진동 차단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만, 차량의 전후좌우 방향 즉, 수평 방향에 대한 강성이 취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어퍼 부시, 로워 부시로 분리된 상태에서 그 중간 부분에 프레임이 연결되기 때문에, 로워 부시를 수평 방향에서 지지하는 것이 인너 파이프외에는 없는 상태가 되는 바, 결과적으로 차량의 수평 방향 움직임에 대한 강성이 취약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어퍼 부시와 바디의 사이에 평판형의 상부 플레이트가 개재되어 있는 바, 차량의 급격한 가감속 및 회전 시 이 부분에서 슬립이 발생되어 차량의 현가 장치와는 시간차를 두고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주행 감각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레임과 바디를 결합시킬 때 상하 방향 진동 흡수 능력이 탁월하면서 수평 방향 강성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바디와 프레임의 마운팅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상하 방향 진동을 흡수하면서 바디와 프레임의 결합 강성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마운터를 다수 부분에 설치하여 구성한 자동차용 바디와 프레임의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상하방향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마운터의 설치 위치에 수평 방향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부시의 중간 부분에 프레임이 밀착되도록 구성된 전단 마운터를 하나 이상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바디와 프레임의 마운팅 구조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로서, 바디(B)와 프레임(F)을 결합시키는 마운터(M)가 다수 장소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마운터(M)에서 하나 이상이 수평 방향 강성을 향상시킨 일체형 전단 마운터(1)로 설치되어 있다.
즉, 종래의 압축형 마운터(M)로 바디(B)와 프레임(F)을 결합시켜 상하 방향 진동 흡수를 효과적으로 함과 아울러 차량의 수평 방향 강성을 보다 향상시킨 전단 마운터(1)를 일부분에 설치함으로써, 바디(B)와 프레임(F)을 결합시킬 때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 강성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전단 마운터(1)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볼트(60)에 접촉되지 않도록 삽입공(2)이 형성되고 상면에 바디(B)와 접촉되도록 플랜지(3)가 형성된 중공 파이프(4)와, 상기한 중공 파이프(4)의 외측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중간 부분에 프레임(F)이 결합되도록 걸림부(5)가 형성되고 상단에 중공 파이프(4)의 플랜지(3) 저면과 밀착되는 접촉부(6)가 형성된 부시(7)와, 상기한 중공 파이프(4)를 관통하여 저면에서 하부 플레이트(58)와 너트(59)로 고정되는 고정 볼트(60)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한 프레임(F)이 부시(7)의 외주 중간 위치에 형성된 걸림부(5)에 지지되어 있고, 중공 파이프(4)는 고정 볼트(60)에 의해 바디(B)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됨으로써, 전단 마운터(1)의 수평 방향(차량의 전후좌우 방향) 강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접촉부(6)는 "¬"자 형태로 접촉되어 있는 바, 상하 방향 및 전후 좌우 방향으로 강성을 보강하게 된다.
특히, 상기한 부시(7)의 하단에는 전후좌우 방향의 진동이 고정 볼트(60)를 통해 바디(B)로 전달되지 않도록 진동 시 자체 진동하면서 진동을 감쇄시키는 날개부(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바디(B)와 프레임(F)을 연결할 때 예를 들어 도1과 같이 10부분에 마운터를 장착해야 한다면, 그중에 4개 정도를 전단 마운터(1)로 설치하여 상하 방향 및 전후좌우 방향의 강성을 유지하면서 바디(B)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전단 마운터(1)를 설치한 상태에서 차량이 주행을 하게 되면 상기한 프레임(F)에서 진동이 전달되는 바, 이는 부시(7)와 프레임(F)이 결합되어 있는 걸림부(5)에 전달된다.
부시(7)에 진동이 전달되면 부시(7) 자체에서 진동이 흡수/감소됨과 아울러 날개부(8)에 의해 진동의 흡수 또는 감쇄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상기한 프레임(F)이 부시(7)의 외주변 중간 부분에 형성된 걸림부(5)에 끼워진 상태인 바, 차량의 주행중 급격한 가감속 또는 선회가 일어나면 상기한 부시(7)가 상기한 가감속 또는 선회에 따른 하중을 견디면서 중공 파이프(4)로 전달하게 된다.
즉, 전단 마운터(1)의 중간 부분으로 가감속 또는 선회에 따른 하중이 직접 인가되고, 상기한 전단 마운터(1)의 부시(7)와 중공 파이프(4)가 이를 흡수하게 됨으로써, 종래 압축형 마운터(M)에 비해 차량의 전후좌우 방향 하중을 견디는 강성이 대폭 향상된다.
물론, 상기한 부시(7)의 걸림부(5)가 프레임(F)의 상면에 위치되어 있고 접촉부(6)가 중공 파이프(4)의 플랜지(3)에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F)의 상하 방향 진동이 부시(7)에 인가되어도 상기한 걸림부(5)에 의해 흡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의 급격한 가감속 및 선회에 따른 차량 전후좌우 방향(수평 방향)의 하중이 인가되어도 상기한 부시(7)에 의해 흡수되거나 차단됨으로써, 바디(B)와 프레임(F)을 연결하고 있는 마운터 부분에서의 슬립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물론, 종래의 압축형 마운터(M)는 상하 방향의 진동을 매우 효과적으로 흡수/감쇄시키고 있는 상태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디와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마운터에서 일부는 상하 방향 진동을 흡수하는 압축형 마운터를 설치하고, 나머지는 수평 방향 강성을 유지하는 전단 마운터를 설치함으로써, 바디와 프레임 사이에서 발생되는 미세한 슬립을 방지하고, 마운터의 전후좌우방향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바디와 프레임의 마운팅 구조에서 마운터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2는 도1에서 전단형 마운터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3은 도2의 측단면도,
도4는 일반적인 프레임 장착 차량에서 마운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5는 도4에서 압축형 마운터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단 마운터 2: 삽입공
3: 플랜지 4: 중공 파이프
5: 걸림부 6: 접촉부
7: 부시 8: 날개부
B: 바디 F: 프레임
60: 고정 볼트

Claims (3)

  1. 차량의 상하 방향 진동을 흡수하면서 바디와 프레임의 결합 강성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마운터를 다수 부분에 설치하여 구성한 자동차용 바디와 프레임의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상하방향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마운터의 설치 위치에 수평 방향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부시의 중간 부분에 프레임이 밀착되도록 구성된 전단 마운터를 하나 이상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바디와 프레임의 마운팅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단 마운터는 고정 볼트에 접촉되지 않도록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면에 바디와 접촉되도록 플랜지가 형성된 중공 파이프와, 상기한 중공 파이프의 외측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중간 부분에 프레임이 결합되도록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단에 중공 파이프의 플랜지 저면과 밀착되는 접촉부가 형성된 부시와, 상기한 중공 파이프를 관통하여 저면에서 하부 플레이트와 너트로 고정되는 고정 볼트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바디와 프레임의 마운팅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부시의 하단에 형성됨과 아울러 진동 시 자체 진동하면서 진동을 감쇄시키도록 구성된 날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바디와 프레임의 마운팅 구조.
KR1020030062407A 2003-09-06 2003-09-06 자동차용 바디와 프레임의 마운팅 구조 KR200500253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407A KR20050025377A (ko) 2003-09-06 2003-09-06 자동차용 바디와 프레임의 마운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407A KR20050025377A (ko) 2003-09-06 2003-09-06 자동차용 바디와 프레임의 마운팅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5377A true KR20050025377A (ko) 2005-03-14

Family

ID=37383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2407A KR20050025377A (ko) 2003-09-06 2003-09-06 자동차용 바디와 프레임의 마운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53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7400A (zh) * 2016-05-27 2016-08-17 北京汽车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防转动螺栓安装结构总成及汽车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7400A (zh) * 2016-05-27 2016-08-17 北京汽车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防转动螺栓安装结构总成及汽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25377A (ko) 자동차용 바디와 프레임의 마운팅 구조
KR100921307B1 (ko) 차량의 엔진 마운트
KR100361923B1 (ko) 자동차용 트랜스미션 마운팅
KR0185345B1 (ko) 엔진롤 제어 기능을 갖는 엔진 마운트 브래킷
KR100578567B1 (ko)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
KR20040032394A (ko) 자동차의 변속기 서포터 브라켓 어셈블리
KR100245216B1 (ko) 자동차 에어콘디셔너의 콤프레서 진동방지장치
KR200151156Y1 (ko) 댐퍼볼트조립체
KR100501436B1 (ko) 엔진 마운팅을 위한 인슐레이터
KR19980052864U (ko) 3축 거동제어 엔진 마운트
KR20020004148A (ko)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
KR100356654B1 (ko) 프레임 타입 차량의 차체 마운팅
KR200161611Y1 (ko) 자동차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의 형상구조
KR20050053879A (ko)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
KR0126057Y1 (ko)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마운팅
KR100187082B1 (ko) 차량용 서브 엔진 에어컨의 장착 구조
KR0138657Y1 (ko) 모터 마운팅 랍바의 취부구조
KR20080037940A (ko) 풀림을 방지하는 차량용 엔진 마운팅 구조
KR20150026643A (ko) 캐빈형 작업차의 방진 마운트
KR100534346B1 (ko) 차량용 트랜스미션의 강성증대 고정 구조
KR19990021261A (ko) 러버블록 마운트의 스토퍼구조
KR19980072535A (ko) 차량 러버마운팅의 취부구조
KR20080014507A (ko) 트랙터의 진동방지 구조
KR19980016679U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트
KR19980035731U (ko) 유체 봉입 러버를 이용한 화물차량의 캐빈 틸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