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6679U - 자동차의 엔진 마운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엔진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6679U
KR19980016679U KR2019960030002U KR19960030002U KR19980016679U KR 19980016679 U KR19980016679 U KR 19980016679U KR 2019960030002 U KR2019960030002 U KR 2019960030002U KR 19960030002 U KR19960030002 U KR 19960030002U KR 19980016679 U KR19980016679 U KR 199800166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mount
engine
shock absorber
vibration
rubb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00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충길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300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6679U/ko
Publication of KR199800166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679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08Resilient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8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rubber springs ; with springs made of rubber and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엔진을 받쳐 주는 엔진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엔진 마운트의 상부 케이스와 고무체 사이에 완충수단을 설치하여 엔진의 진동이 상부 케이스에 전해지면 상기 완충수단이 이를 흡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진동 및 소음발생의 원인이 되는 상·하부 케이스간의 접촉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엔진 마운트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엔진 마운트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엔진을 받쳐 주는 엔진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엔진 마운트에 완충수단을 적용하여 상·하부 케이스간의 부딪힘으로 인한 진동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엔진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 마운트는 차체에 엔진을 설치할 때 엔진이 지지되는 부위를 받쳐주는 방진수단이다.
이러한 엔진 마운트(10)는, 첨부도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부 케이스(11),(12)와 그사이에 충밀되는 고무체(13)로 구성되며, 하부 케이스(12)를 이용하여 차체 예를 들면, 크로스 멤버(14)에 고정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15 는 엔진 브라켓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엔진 마운트(10)는 엔진 시동초기에 발생하는 떨림현상에 의해 상기 상·하부 케이스(11),(12)의 플랜지(16)가 서로 부딪히면서 진동 및 소음을 일으키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엔진 마운트의 상부 케이스와 고무체 사이에 완충수단을 설치하여 엔진의 진동이 상부 케이스에 전해지면 상기 완충수단이 이를 흡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진동 및 소음발생의 원인이 되는 상·하부 케이스간의 접촉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엔진 마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엔진 마운트를 나타내는 단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엔진 마운트를 나타내는 단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엔진 마운트11 : 상부 케이스
12 : 하부 케이스13 : 고무체
14 : 크로스 멤버15 : 엔진 브라켓
16 : 플랜지 17 : 쇽 업소버
18 : 관통구멍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상·하부 케이스(11),(12)와 그 사이의 고무체(13)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엔진 마운트(10)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 사이에 고무체(13)를 관통하는 쇽 업소버(17)를 수평 설치하여 상부 케이스(11)의 진동을 쇽 업소버(17)로 흡수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쇽 업소버(17)는 로드(17a)가 상부 케이스(11)의 일측 플랜지(16) 안쪽면에 연결되고, 실린더(17b)가 하부 케이스(12)의 상대측 플랜지(16) 안쪽면에 연결 되는 동시에 그 일부가 고무체(13)에 끼워져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엔진 마운트를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1, 12, 13 은 엔진 마운트를 구성하는 상부 케이스, 하부 케이스, 고무체를 나타낸다.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는 각각 서로 상대되는 일측에 플랜지(16)를 갖고 있으며, 상기 고무체(13)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고무체(13)에는 상·하부 폭 중심을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관통구멍(1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멍의 연장선상에 상기 상·하부 케이스(11),(12)가 갖는 각 플랜지(16)의 끝단부가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구멍으로는 후술하는 쇽 업소버(17)의 실린더(17b) 일부가 끼워지면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부호 17 은 쇽 업소버를 나타낸다.
상기 쇽 업소버(17)는 로드(17a)와 실린더(17b)로 구성되며 압축 가스를 완충매체로 사용하는 일종의 완충기를 의미한다.
즉, 이것과 연결되는 상부 케이스(11)의 반발을 완화하여 진동의 감쇠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쇽 업소버(17)는 상기 고무체(13)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18)에 가로 걸쳐지도록 수평자세로 놓여지면서 양측의 케이스 플랜지(16)와 연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린더(17b)의 후단 체결부는 하부 케이스(12)의 플랜지(16) 안쪽면에 연결되는 동시에 선단 일부는 고무체(13)의 관통구멍(18)에 끼워지면서 지지되고, 상기 로드(17a)의 선단부는 상부 케이스(11)의 플랜지(16) 안쪽면에 연결되므로서, 상·하부 케이스(11),(12)는 쇽 업소버(17)를 사이에 두고 연동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엔진 마운트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의 운전개시와 동시에 발생하는 진동이 엔진 브라켓(15)을 통해 엔진 마운트(10)의 상부 케이스(11)에 전해지면, 이 진동 대부분은 쇽 업소버(17)를 거쳐 하부 케이스(12)로 전달되게 되는데, 쇽 업소버(17)에서는 로드(17a)의 운동을 이용하여 이때의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게 되므로서, 하부 케이스(12)로 전해지는 진동 즉, 차체를 의미하는 크로스 멤버(14)로 전해지는 진동을 현저히 격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엔진 마운트에 쇽 업소버를 설치하고 이것이 발휘하는 감쇠특성을 이용하여 엔진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차량 진동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엔진의 진동을 상당히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상·하부 케이스(11),(12)와 그 사이의 고무체(13)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엔진 마운트(10)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 사이에 고무체(13)를 관통하는 쇽 업소버(17)를 수평 설치하여 상부 케이스(11)의 진동을 쇽 업소버(17)로 흡수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엔진 마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쇽 업소버(17)는 로드(17a)가 상부 케이스(11)의 일측 플랜지(16) 안쪽면에 연결되고, 실린더(17b)가 하부 케이스(12)의 상대측 플랜지(16) 안쪽면에 연결 되는 동시에 그 일부가 고무체(13)에 끼워져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엔진 마운트.
KR2019960030002U 1996-09-18 1996-09-18 자동차의 엔진 마운트 KR1998001667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002U KR19980016679U (ko) 1996-09-18 1996-09-18 자동차의 엔진 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002U KR19980016679U (ko) 1996-09-18 1996-09-18 자동차의 엔진 마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679U true KR19980016679U (ko) 1998-06-25

Family

ID=53976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0002U KR19980016679U (ko) 1996-09-18 1996-09-18 자동차의 엔진 마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667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16087A (ko) 자동차용방진장치_
KR100489110B1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구조
KR19980016679U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트
KR100499774B1 (ko) 엔진 지지구조
KR19980062517U (ko) 자동차용 사일렌서 행거 브라켓의 행거러버
KR100201494B1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용 스페이서
KR100188539B1 (ko) 자동차용 미션 충격완충댐퍼
KR200231000Y1 (ko) 차량의 마운팅 구조
KR100245216B1 (ko) 자동차 에어콘디셔너의 콤프레서 진동방지장치
KR100457018B1 (ko) 엔진 지지구조
KR20090048094A (ko)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
KR20040050547A (ko) 차량용 변속기의 마운팅 장치
KR20020048489A (ko) 차량의 바디 마운트 구조
JPH0213695Y2 (ko)
KR0126057Y1 (ko)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마운팅
KR200210790Y1 (ko) 배기계의 레조네이터 장착 구조
KR20010059094A (ko) 차량의 러버 마운팅 구조
KR100384105B1 (ko) 차량용엔진마운팅멤버의충격흡수구조
KR200151156Y1 (ko) 댐퍼볼트조립체
KR19990024307U (ko) 엔진 마운팅 시스템
KR20020004148A (ko)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
KR19980024070U (ko) 엔진 서스펜션의 러버 마운팅
KR19980031437U (ko) 차량 엔진의 진동 감쇄 구조
KR19980025674U (ko) 카울 크로스 바 고정구조
KR20040013871A (ko) 엔진 마운팅을 위한 인슐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