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9094A - 차량의 러버 마운팅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러버 마운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9094A
KR20010059094A KR1019990066476A KR19990066476A KR20010059094A KR 20010059094 A KR20010059094 A KR 20010059094A KR 1019990066476 A KR1019990066476 A KR 1019990066476A KR 19990066476 A KR19990066476 A KR 19990066476A KR 20010059094 A KR20010059094 A KR 20010059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bush
rubber
shock
wash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6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식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66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59094A/ko
Publication of KR20010059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909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62D21/155Sub-frames or under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Spring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 진동 등을 흡수하는 러버부시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마운팅 구조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차량이 운행하는 노면의 상태에 대응하여 차체 진동 및 소음의 전달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차체 플로어와 차체 프레임을 러버부시(Rubber Bush)를 개재하여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차체 프레임으로부터 발생된 진동 및 소음의 차체 전달을 방지하는 차량의 러버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 러버부시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이 러버부시를 차체 프레임에 연결하는 아웃터 가이드(Outer Guide)와; 상기 러버부시를 차체 플로어에 마운팅 하는 볼트의 외주연과 러버부시의 내주연의 사이에 끼워지는 인너 가이드(Inner Guide)와; 상기 러버부시의 상,하부에 설치되어 차체의 쇼크성 진동을 흡수하는 대직경의 제1,2쇼크용 와셔와; 상기 러버부시와 상기 쇼크용 와셔 사이에 개재되어 차체의 미세한 진동을 흡수하는 소직경의 잔진동용 와셔; 를 포함하는 차량의 러버 마운팅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러버 마운팅 구조{A RUBBER MOUNTING STRUCTURE OF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러버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이 주행하는 노면 상태에 관계없이 진동 및 소음의 차체전달을 효과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방진용 러버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러버 마운팅 구조에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하부로는 차체 플로어가 배치되며, 이 차체 플로어는 차량의 각종 장치 및 구조물이 장착되는 차체 프레임상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차체 플로어와 차체 프레임을 연결함에 있어서는 다수의 마운팅 지점을 설정하여 차체 플로어 하부의 크로스 멤버(Cross Member)와 차체 프레임상의 마운팅 브라켓을 볼트와 너트 등을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단순히 볼트와 너트 등만을 이용하여 차체 플로어와 차체 프레임을 체결하게 되면 차체하부의 노면충격 등에 의한 차체 진동 및 소음이 차체 프레임을 통해 직접적으로 차체 플로어로 전달되게 되므로 차량의 승차감이 저하되고 실내소음이 증대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 플로어 하부의 크로스 멤버(102)에 플로어마운팅 브라켓(104)을 추가하고, 차체 프레임에는 상기 크로스 멤버를 중심으로 대칭형으로 프레임 마운팅 브라켓(106)을 배치하고, 이 프레임 마운팅 브라켓(106)과 상기 플로어마운팅 브라켓(104)을 볼트(108)와 너트(110)로 연결함에 있어서는 프레임 마운팅 브라켓(106)에 장착된 아웃터 가이드(112)내에 차체의 진동 및 소음을 흡수하는 러버부시(114)를 개재시켜서 마운팅 하는 러버 마운팅 구조가 이용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러버 마운팅 구조로서 차체 플로어와 차체 프레임을 연결하는 경우, 차량이 평탄로를 주행시에는 상기 러버부시가 차량하부의 미세한 진동 및 소음의 차체전달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나, 차량이 오프로드(Off-road)와 같은 굴곡로를 주행시에는 노면으로부터 전해지는 진동은 쇼크성으로서 상당히 크기 때문에 러버부시가 이 쇼크성 진동을 감쇠하기는 어려우며 오히려 이 쇼크성 진동에 의하여 심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러버부시의 내구성이 현격히 저하되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쇼크성 진동의 발생시 상기 러버부시의 외부를 감싸는 아웃터 가이드와 러버부시 사이에는 박리가 발생하게 되며 이 박리현상으로 인하여 러버부시의 내구성이 보다 저하되고 방진효과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 진동 등을 흡수하는 러버부시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마운팅 구조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차량이 운행하는 노면의 상태에 대응하여 차체 진동 및 소음의 전달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러버 마운팅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러버 마운팅 구조의 단면도.
도 2는 차량의 평탄로 주행시의 본 발명에 의한 러버 마운팅 구조의 작동도.
도 3은 차량의 굴곡로 주행시의 본 발명에 의한 러버 마운팅 구조의 작동도.
도 4는 종래기술에 의한 러버 마운팅 구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러버부시 14 : 인너 가이드
16 : 아웃터 가이드 18,20 : 제1,2쇼크용 와셔
22 : 잔진동용 와셔 24 : 프레임 마운팅 브라켓
26 : 크로스 멤버 28 : 볼트
30 : 스프링와셔 32 : 너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체 플로어와 차체 프레임을 러버부시(Rubber Bush)를 개재하여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차체 프레임으로부터 발생된 진동 및 소음의 차체 전달을 방지하는 차량의 러버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 러버부시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이 러버부시를 차체 프레임에 연결하는 아웃터 가이드(Outer Guide)와; 상기 러버부시를 차체 플로어에 마운팅 하는 볼트의 외주연과 러버부시의 내주연의 사이에 끼워지는 인너 가이드(Inner Guide)와; 상기 러버부시의 상,하부에 설치되어 차체의 쇼크성 진동을 흡수하는 대직경의 제1,2쇼크용 와셔와; 상기 러버부시와 상기 쇼크용 와셔 사이에 개재되어 차체의 미세한 진동을 흡수하는 소직경의 잔진동용 와셔; 를 포함하는 차량의 러버 마운팅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부호 12는 러버부시를 지칭한다.
상기 러버부시(12)는 엔진 또는 차동기어장치의 전후단부측의 차체 플로어와 차체 프레임을 연결하는 마운팅부에 개재되어 엔진의 소음 및 차동기어 진동 등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마운팅부에 러버부시(12)를 개재함에 있어서, 본 발명은 러버부시(12)의 내,외측에 금속재의 인너 가이드(14)와 아웃터 가이드(16)를 배치하고 그 상,하단으로는 진동흡수를 위한 쇼크용 와셔(18)(20)와 잔진동용 와셔(22)를 장착한 것이다.
즉, 상기 러버부시(12)의 외주면으로는 차체 프레임의 프레임 마운팅 브라켓(24)에 장착된 아웃터 가이드(16)가 이를 감싸면서 형성되고, 그 내부로는 차체 플로어 하부의 크로스 멤버(26)에 장착되는 볼트(28)의 외주연과 러버부시(12)의 내주연의 사이에 끼워지는 인너 가이드(14)가 삽입되어 상기 러버부시(12)를 매개로 차체 플로어와 차체 프레임이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아웃터 가이드(16)는 러버부시(12)의 외주면을 감싸는 중앙부가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져 있으며, 그 상부는 플랜지로 형성되어 프레임 마운팅 브라켓(24)에 장착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너 가이드(14)는 러버부시(12)의 상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동시에 러버부시에 일정한 압축력을 제공하여 이 러버부시(12)와 아웃터 가이드(16)가 박리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러버부시(12)의 쇼크성 진동에 의한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쇼크용 와셔(18)(20)가 상기 러버부시(12)의 상,하부로 각각 볼트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장착되며, 상기 쇼크용 와셔(18)(20)와 러버부시(12)사이에는 다시 잔진동용 와셔(22)를 개재시켜 상기 러버부시(12)의 방진기능을 보완하게 된다.
상기에서 쇼크용 와셔(18)(20)는 상기 러버부시의 상부로 장착되는 제1쇼크용 와셔(18)와, 하부로 장착되는 제2쇼크용 와셔(20)로 이루어지며, 충분한 크기의 대직경으로 이루어져서 굴곡로 등의 주행시 쇼크성 진동이 전해지면 상기 아웃터 가이드부와 접촉되면서 진동을 흡수하여 상기 러버부시(12)의 변형을 감소시킨다.
상기 잔진동용 와셔(22)는 상기 제1,2쇼크용 와셔(18)(20)와 러버부시(12)의 사이에 일측 또는 양측으로 배치되어 평탄로 등의 주행시 미세한 진동이 전해지면 상기 러버부시(12)와 접촉되면서 진동을 흡수하여 상기 러버부시(12)의 방진기능을 보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러버 마운팅 구조의 장착과정은 먼저 차체 플로어 하부의 크로스 멤버(26)내에 볼트(28)를 장착하고, 이 볼트의 외주연에 제1쇼크용 와셔(18)와 인너 가이드(14)를 끼워 넣고, 차체 프레임의 프레임 마운팅 브라켓(24)에는 아웃터 가이드(16)를 고정시킨 뒤에, 상기 아웃터 가이드(16)와 인너 가이드(14)의 사이에 러버부시(12)를 끼워 넣어 양자를 연결한 후, 잔진동용 와셔(22)와 제2쇼크용 와셔(20)를 러버부시 하부의 볼트부에 끼워 넣고 스프링 와셔(30)등을 개재시켜 너트(32)를 볼트(28)에 체결시켜주면 된다.
상기에서 너트(32)의 조임량은 미세한 진동에 있는 경우 상기 잔진동용 와셔(22)가 러버부시의 하부에 접촉 가능한 적정한 지점에 위치하도록 설정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러버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가이드(16)는 상기 제2쇼크용 와셔(20)의 진동에 의한 상승운동을 제한하기에 용이하도록 그 하부가 외향으로 절곡된 절곡부(S)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인너 가이드(14)는 상기 러버부시(12)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그 외경이 하부로 갈수록 감소되도록 테이퍼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잔진동용 와셔(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러버부시(12)의 하부와 제2쇼크용 와셔(20)의 사이에 배치되고 있으나, 이를 상기 러버부시(12)의 상부와 제1쇼크용 와셔(18)의 사이에 장착하거나 또는 상기 2개소 모두에 장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잔진동용 와셔(22)가 상기 1개소에만 장착되면 상승 또는 하강시의 미세한 진동을 흡수 가능하며, 상기 2개소 모두에 장착되면 상승과 하강시의미세한 진동의 흡수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러버 마운팅 구조의 작동과정을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를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차량이 평탄로를 주행시에 본 발명에 의한 러버 마운팅 구조의 작동을 나타낸 것으로서, 노면으로부터 전해지는 미세한 진동에 의하여 차체 프레임이 미세하게 상하 진동을 하게 되고, 이 미세진동은 프레임 마운팅 브라켓(24)과 아웃터 가이드(16)를 거쳐서 러버부시(12)로 전해지며, 이 러버부시(12)는 미세하게 변형되면서 잔진동용 와셔(22)와 접촉되게 되고, 러버부시(12)로 전해진 미세진동은 잔진동용 와셔(22)에서 다시 감쇠되어진다.
도 3은 차량이 굴곡로(Off road)를 주행시에 본 발명에 의한 러버 마운팅 구조의 작동을 나타낸 것으로서, 노면으로부터 전해지는 쇼크성 진동에 의하여 차체 프레임은 심하게 상하 진동을 하게 되고, 이 쇼크성 진동은 프레임 마운팅 브라켓(24)과 아웃터 가이드(16)를 거쳐서 러버부시(12)로 전해지며, 이 러버부시는(12)는 진동에 의하여 변형되면서 제1쇼크용 와셔(18) 또는 제2쇼크용 와셔(20)에 접촉하게 되고, 이 제1,2쇼크용 와셔(18)(20)는 쇼크성 진동을 감쇠함과 동시에 러버부시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러버 마운팅 구조는 차량이 평탄로를 주행하는 경우와 굴곡로를 주행하는 경우의 각각에 대하여 진동을 방지하는 구성을 구별하여 적용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러버 마운팅 구조는 차량이 주행하는 노면의 상태에 대응하여 작동되므로 차체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진동 등을 감쇠하는 러버부시의 수명향상 및 차량의 유지보수성의 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6)

  1. 차체 플로어와 차체 프레임을 러버부시(Rubber Bush)를 개재하여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차체 프레임으로부터 발생된 진동 및 소음의 차체 전달을 방지하는 차량의 러버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 러버부시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이 러버부시를 차체 프레임에 연결하는 아웃터 가이드(Outer Guide)와;
    상기 러버부시를 차체 플로어에 마운팅 하는 볼트의 외주연과 러버부시의 내주연의 사이에 끼워지는 인너 가이드(Inner Guide)와;
    상기 러버부시의 상,하부에 설치되어 차체의 쇼크성 진동을 흡수하는 대직경의 제1,2쇼크용 와셔와;
    상기 러버부시와 상기 쇼크용 와셔 사이에 개재되어 차체의 미세한 진동을 흡수하는 소직경의 잔진동용 와셔; 를 포함하는 차량의 러버 마운팅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가이드는
    상기 제2쇼크용 와셔의 상승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그 하부는 외향으로 절곡된 절곡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러버 마운팅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너 가이드는
    상기 러버부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그 외경이 일측단부로 갈수록 감소되도록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러버 마운팅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잔진동용 와셔는 상기 러버부시의 하부와 제2쇼크용 와셔 사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러버 마운팅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잔진동용 와셔는 상기 러버부시의 상부와 제1쇼크용 와셔 사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러버 마운팅 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잔진동용 와셔는 상기 러버부시의 상,하부와 제1,2쇼크용 와셔 사이에 한쌍을 이루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러버 마운팅 구조.
KR1019990066476A 1999-12-30 1999-12-30 차량의 러버 마운팅 구조 KR200100590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476A KR20010059094A (ko) 1999-12-30 1999-12-30 차량의 러버 마운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476A KR20010059094A (ko) 1999-12-30 1999-12-30 차량의 러버 마운팅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094A true KR20010059094A (ko) 2001-07-06

Family

ID=19633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6476A KR20010059094A (ko) 1999-12-30 1999-12-30 차량의 러버 마운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5909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6643A (ko) * 2013-09-03 2015-03-11 대동공업주식회사 캐빈형 작업차의 방진 마운트
KR20180070271A (ko) * 2016-12-16 2018-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크로스멤버 마운팅 장치
KR20190069898A (ko) * 2017-12-12 2019-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티엠 마운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6643A (ko) * 2013-09-03 2015-03-11 대동공업주식회사 캐빈형 작업차의 방진 마운트
KR20180070271A (ko) * 2016-12-16 2018-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크로스멤버 마운팅 장치
KR20190069898A (ko) * 2017-12-12 2019-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티엠 마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59094A (ko) 차량의 러버 마운팅 구조
JPS5943324B2 (ja) 自動車用懸架装置におけるコイルばね支持構造
KR100333862B1 (ko) 엔진 마운팅 부재
KR100460929B1 (ko) 차량용 변속기의 마운팅 장치
KR100188539B1 (ko) 자동차용 미션 충격완충댐퍼
KR100201494B1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용 스페이서
KR100230192B1 (ko) 자동차용 엔진마운팅 충격흡수장치
KR0139361B1 (ko) 마운팅 고무구조
KR0140746Y1 (ko) 자동차의 판스 프링형 현가장치
KR100224491B1 (ko) 차량용 쇽 업소버 장착구조
KR20010105041A (ko) 프레임 마운팅부 입력점 강성 증대를 위한 2단 볼트체결구조
KR100412870B1 (ko) 자동차용 로어암의 지오메트리 부시
KR100245216B1 (ko) 자동차 에어콘디셔너의 콤프레서 진동방지장치
KR20010054640A (ko) 자동차용 현가 장치의 스트럿 마운팅
KR19980052693U (ko) 현가장치
KR19990020990U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시트
KR19980067759U (ko) 자동차의 엔진마운트
KR19980062037U (ko) 차량용 엔진 마운팅 구조
KR19980042240U (ko) 압입 구조를 가지는 지지축을 구비한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KR19980054349U (ko)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어셈블리구조
KR19980083086A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시스템
KR19980044654U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다이나믹 댐퍼
KR19990033414A (ko) 엔진 마운팅 시스템
KR19980057150A (ko) 급발진 쇼크 저감을 위한 마운팅부시 설치구조
KR19980056518A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