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2864U - 3축 거동제어 엔진 마운트 - Google Patents

3축 거동제어 엔진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2864U
KR19980052864U KR2019960066044U KR19960066044U KR19980052864U KR 19980052864 U KR19980052864 U KR 19980052864U KR 2019960066044 U KR2019960066044 U KR 2019960066044U KR 19960066044 U KR19960066044 U KR 19960066044U KR 19980052864 U KR19980052864 U KR 199800528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mount
plate
inner plate
engine
vibration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60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덕재
Original Assignee
이우복
사단법인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복, 사단법인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filed Critical 이우복
Priority to KR20199600660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2864U/ko
Publication of KR199800528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2864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08Resilient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 F16F7/104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the inertia member being resilient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엔진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전후, 좌우, 상하의 3축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엔진 마운트를 설치함으로서, 엔진의 거동을 제어할 수 있는 스토퍼의 기능과 진동절연 특성을 만족할 수 있도록 한 3축 거동제어 엔진 마운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외측 몸체를 이루는 외판과 상기 외판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판과 상기 내판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 1 진동흡수부재와 상기 외판과 내판 사이에 구비되는 제 2 진동흡수부재 및 상기 내판의 상부면과 상기 외판의 하부면에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3축 거동제어 엔진 마운트
본 고안은 엔진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3축 방향의 진동절연 특성을 만족할 수 있는 마운트를 설치함으로서, 엔진의 거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3축 거동제어 엔진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구동은 엔진의 구동으로부터 시작된다. 따라서 엔진의 회전력이 구동 바퀴에 전달되기 위해서는 트랜스미션(Transmission)과 구동축으로 그 회전력이 전달되어야 한다.
한편 엔진의 크랭크축이 회전하게 되면 상하의 진동과 크랭크축의 회전 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한다. 이때 엔진의 상하 진동과 크랭크축의 회전 방향으로의 진동을 흡수·분산되게 하지 않으면 자동차의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엔진의 고정과 진동의 흡수·분산을 위해 엔진을 지지하는 엔진 마운트와 댐핑러버를 설치하여 엔진의 진동 특성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진행중이다.
다음은 엔진 마운트의 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엔진 마운트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 는 종래의 엔진 마운트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 은 종래의 엔진 마운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엔진 마운트(10)는 강판재질이고 평면 형상이 사각형인 상판(11)과 하판(12) 사이에 댐핑러버(13)가 구비되고, 이 댐핑러버(13)의 중심에는 중간판(14)이 구비된다. 그리고 엔진 마운트(10)의 상판(11)과 하판(12)에는 체결용 볼트(15, 16)가 구비된다.
한편 상판(11)과 하판(12)이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방진부(17)를 이룬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엔진 마운트(1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12)에 구비된 체결용 볼트(16)를 통해서 자동차의 프레임(5)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판(11)에 구비된 체결용 볼트(15)를 통해서 엔진(1)의 하부에 체결되어 엔진(1)을 지지하게 된다.
이처럼 설치된 엔진 마운트(10)는 댐핑러버(13)를 통해서 엔진(1)의 상하방향의 진동을 흡수하고, 방진부를 통해서 엔진(1)의 측방향으로의 거동을 제어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엔진 마운트는 엔진의 상하 방향과 측방향의 강성비는 매우 크게 할 수 있으나 전후, 좌우의 강성비는 1에 매우 가까워 전후 좌우의 특성이 같다. 따라서 전후방향의 강성이 요구되고 측방향의 강성은 작게 요구되는 엔진의 거동에 있어서는 종래의 엔진 마운트로는 부적합 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전후, 좌우, 상하의 3축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엔진 마운트를 설치함으로서, 엔진의 거동을 제어할 수 있는 스토퍼의 기능과 진동절연 특성을 만족할 수 있도록 한 3축 거동제어 엔진 마운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엔진 마운트를 도시한 평면도.
도 2 는 종래의 엔진 마운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3 은 종래의 엔진 마운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 개략도.
도 4 는 본 고안의 3축 거동제어 엔진 마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3축 거동제어 엔진 마운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엔진 5. 프레임
10, 20. 엔진 마운트 11. 상판
12. 하판 13. 댐핑러버
14. 중간판 15, 16, 25. 체결용 볼트
17. 방진부 21. 외판
22. 내판 23, 24. 제 1, 제 2 진동흡수부재
26, 27. 제 1, 제 2 간극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외측 몸체를 이루는 외판과 상기 외판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판과 상기 내판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 1 진동흡수부재와 상기 외판과 내판 사이에 구비되는 제 2 진동흡수부재 및 상기 내판의 상부면과 상기 외판의 하부면에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내판의 하단은 상기 외판의 하부 내측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제 1 진동흡수부재에 의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판의 내측면과 상기 제 1 진동흡수부재의 외측면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상기 외판의 내측면과 상기 제 2 진동흡수부재의 일측면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는 본 고안의 3축 엔진 마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고안의 3축 엔진 마운트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3축 거동제어 엔진 마운트(20)는 외측 몸체를 이루는 외판(21)이 구비되고, 외판의 내측에 내판(22)이 설치된다. 이때 내판(22)의 내부에는 제 1 진동흡수부재(23)가 구비되고, 외판(21)과 내판(22) 사이에는 제 2 진동흡수부재(24)가 구비된다. 한편 내판(22)의 상부면과 외판(21)의 하부면에는 체결부재(25)가 구비된다.
전술한 체결부재(25)는 본 고안의 3축 거동제어 엔진 마운트(20)를 설치하기 위해서 엔진(1)과 프레임(5)에 체결되는 체결용 볼트(25)이다.
한편 내판(22)의 하단은 외판(21)의 하부 내측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제 1 진동흡수부재(23)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내판(22)의 내측면과 제 1 진동흡수부재(23)의 외측면 사이에는 제 1 간극(26)이 형성되며, 외판(21)의 내측면과 제 2 진동흡수부재(24)의 일측면 사이에는 일정한 제 2 간극(27)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외판(21)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체결용 볼트(25)에 의해 자동차의 프레임(5)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내판(22)의 상부면에 구비된 체결용 볼트(25)에 의해 엔진(1)의 하부면에 체결되어 엔진(1)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엔진 마운트(20)에 작용하는 하중이 상하방향에서 (-)방향으로 작용하면 제 2 진동흡수부재(24)는 인장을 받아 제 2 간극(27)이 벌어져 자유면이 되고, 제 1 진동흡수부재(23)는 압축을 받아 제 1 간극(26)이 좁아들어 어느 하중 이상이 되면 간극(26)이 0이 되어 구속면이 된다. 따라서 이 부분의 강성이 급격히 증가한다.
반면 엔진 마운트(20)에 작용하는 하중이 상하방향에서 (+)방향으로 작용하면 제 1 진동흡수부재(23)는 인장을 받아 제 1 간극(26)이 벌어져 자유면이 되고, 제 2 진동흡수부재(24)는 압축을 받아 제 2 간극(27)이 좁아들어 어느 하중 이상이 되면 간극(27)이 0이 되어 구속면이 된다. 따라서 이 부분의 강성이 급격히 증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강성의 급격한 증가는 스토퍼의 기능을 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이때 제 1 간극(26)과 제 2 간극(27)의 차에 의하여 강성의 변화 양상은 약간 다르다. 또한 전후방향에 대한 하중의 작용에 있어서, 제 2 진동흡수부재(24)는 전후방향과 상하방향의 성격을 같이 갖고 있으며, 압축과 전단을 동시에 받는다. 따라서 강성이 매우 크게 된다.
한편 측방향의 하중에 대해서는 진동흡수부재(23, 24)가 전단만 받게 되어 작은 강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엔진 마운트(20)에서 회전방향 가진력에 대해서 진동절연을 증가시킬 조건인 강성을 작게 하는 요건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전후, 좌우, 상하 방향의 3축 거동제어를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전후, 좌우, 상하의 3축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엔진 마운트를 설치함으로서, 엔진의 전후, 좌우, 상하의 3축 거동제어를 할 수 있으며, 스토퍼의 기능과 진동절연 특성을 만족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외측 몸체를 이루는 외판;
    상기 외판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판;
    상기 내판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 1 진동흡수부재;
    상기 외판과 내판 사이에 구비되는 제 2 진동흡수부재 및
    상기 내판의 상부면과 상기 외판의 하부면에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3축 거동제어 엔진 마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판의 하단은 상기 외판의 하부 내측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제 1 진동흡수부재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축 거동제어 엔진 마운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판의 내측면과 상기 제 1 진동흡수부재의 외측면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축 거동제어 엔진 마운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판의 내측면과 상기 제 2 진동흡수부재의 일측면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축 거동제어 엔진 마운트.
KR2019960066044U 1996-12-31 1996-12-31 3축 거동제어 엔진 마운트 KR1998005286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044U KR19980052864U (ko) 1996-12-31 1996-12-31 3축 거동제어 엔진 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044U KR19980052864U (ko) 1996-12-31 1996-12-31 3축 거동제어 엔진 마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864U true KR19980052864U (ko) 1998-10-07

Family

ID=54003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6044U KR19980052864U (ko) 1996-12-31 1996-12-31 3축 거동제어 엔진 마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286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619B1 (ko) * 2000-12-06 2003-08-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파워 플랜트 마운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619B1 (ko) * 2000-12-06 2003-08-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파워 플랜트 마운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57319B2 (ja) 自動車のパワーユニット支持装置
US5516176A (en) Resilient supporting device for operator cabin
RU2758728C2 (ru) Монобл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держки силовой установки, содержащее промежуточную опору
US4941544A (en) Bearing arrangement for a drive assembly of a motor vehicle
JP2000205334A (ja) 防振マウント
KR19980052864U (ko) 3축 거동제어 엔진 마운트
KR20060120653A (ko) 차량용 유닛의 고정 요소
JP3044544B1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支持構造
JP2835843B2 (ja) エンジンマウント装置
JP2000266123A (ja) ミッションマウント装置
JP3251358B2 (ja) 産業車両におけるシートの防振支持構造
JPH08159248A (ja) シフトレバーの振動防止装置
JP4617103B2 (ja) 防振マウント装置
JP3339337B2 (ja) 動力伝達軸付きユニットの吊下マウント装置
JP3060247B2 (ja) 船舶用エンジンの防振装置
JP2501290Y2 (ja) 農機のエンジン搭載構造
KR20050025377A (ko) 자동차용 바디와 프레임의 마운팅 구조
JP2596062Y2 (ja) 自動車のパワユニット支持構造
KR0179479B1 (ko) 자동차용 엔진의 방진장치
JPS6264623A (ja) パワ−ユニツトの支持装置
JPH0324920Y2 (ko)
JPH02117472A (ja) フロントフレームにおけるボデーマウント構造
JP4252466B2 (ja) ストッパ付防振装置
JPH0657960U (ja) オペレータキャビンの弾性支持装置
JPH08192641A (ja) 車両用エンジンのマウン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