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2429B1 - 내주름성이 뛰어난 파일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주름성이 뛰어난 파일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2429B1
KR100362429B1 KR1019960001497A KR19960001497A KR100362429B1 KR 100362429 B1 KR100362429 B1 KR 100362429B1 KR 1019960001497 A KR1019960001497 A KR 1019960001497A KR 19960001497 A KR19960001497 A KR 19960001497A KR 100362429 B1 KR100362429 B1 KR 100362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fiber
fibers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1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9507A (ko
Inventor
무네토 마키야마
요시토모 마쓰모토
Original Assignee
가네가후치 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가후치 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가후치 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029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9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4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1/00Non-woven p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D04B1/04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02G3/045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all components being made from artificial or synthetic ma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4Fur garments; Garments of fur substitu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3907Pile or nap type surface or component
    • Y10T428/23993Composition of pile or adhe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Woven Fabric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일 소재의 구성에 주목하여 부드러운 촉감, 탄력성, 내주름성이 뛰어나고 주로 인공모피로서 사용되는 신규의 파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카티온으로 염색할 수 있는 술폰산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합성섬유 20 ~ 60 중량% 와, 아크릴 섬유 또는 모다크릴 섬유중에 적어도 하나가 40 ~ 80 중량% 로 이루어지는 합성섬유를 포함하는 파일 조성물이다.
(선택도 : 없음)

Description

내주름성이 뛰어난 파일 조성물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부드러운 촉감(觸感), 탄성력, 내(耐)주름성이 뛰어나 주로 인공모피(人工毛皮)로서 사용되는 파일(pile) 조성물(祖成物)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천연모피(天然毛皮)는 소위 가드헤어(guard hair)라고 불리우는 강모(剛毛)와 다운헤어(down hair)라고 불리우는 면모(綿毛)의 2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촉감, 외관, 기능성이 모두 뛰어난 장점을 가지고 있어 주로 오버코트 등의 의료(衣料)에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비버(beaver)는 가드헤어와 다운헤어로 구성되어 있는데, 종래로부터 실제의 사용에 있어서는 가드헤어를 잘라내고 사용한다. 또한 밍크를 예로든다면 약 70 ~ 80 %를 차지하는, 가늘고 짧은 다운헤어와 약 20 ~ 30 %를 차지하는 굵고 긴 가드헤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다운헤어가 가드헤어를 바쳐 입모상(立毛狀)을 하고 있고 또한 블루밍(blooming)에 일조를 하고 있다. 또한 다운헤어와 가드헤어의 2층 구조는 색상효과(色相效果) 및 부드러운 감을 준다.
이들 천연모피는 기능중에서 보온성, 척수성(斥水性), 척설성(斥雪性), 내주름성, 주름 회복성 등이 뛰어나다. 이들은 단섬유(單纖維)가 갖는 특성과 모피라고 하는 구조로부터 생기는 것으로 생각된다. 종래에서부터 파일 제품을 상기와 같은 천연모피의 특성에 가깝게 하기 위하여 파일의 소재나 파일의 편직기술(編織技術)에 대하여 각종의 연구가 어루어졌다. 파일 조성물은 주로 기포(基布; base fabric)와 파일로 구성되고, 그 제조방법으로서는 우븐파일법(woven file method), 니팅 보어법(knitting bore method), 슬라이버니트법(sliver knit method), 러셀법 (Russel method), 니들펀치부직포법(needle punch non-woven fabric method)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화일의 소재로서는 모다크릴 섬유(modacrylic 纖維)를 중심으로 합성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많다. 예를 들어 인공모피를 슬라이버니트법으로 제조하는 때에 천연모피의 입모상을 표현하기 위하여 가늘고 짧은 섬유를 2 종류 이상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통례였다. 그러나 여기서 얻어지는 파일 조성물은 부드러운 감이나 매끄러운 감은 얻어지나 천연모피에 비하면 탄력성, 내주름성이 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일 소재의 구성에 착목하여 부드러운 촉감, 탄력성, 내주름성이 뛰어난 신규의 파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즉 상기의 본 발명의 목적은 술폰산기(sulfone酸基)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polyester 共重合體)로 이루어지는 합성섬유와, 아크릴 섬유(acrylic fiber) 또는 모다크릴 섬유중에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합성섬유를 포함하는 파일 조성물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합성섬유로서는 카티온 염료(cationic dye)로 염색할 수 있는 술폰산기를 포함하는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합성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티온 염료로 염색할 수 있는 술폰산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카티온 가염(可染) 폴리에스테르 섬유(이하 CDPET 섬유라고 약한다)는, 술폰산 금속염기(金屬鹽基)를 포함하는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성분을 폴리에스테르에 대하여 0.03 ~ 3.0 몰% 를 함유하고 있어 상압(常壓)하에서 100 ℃ 부근의 온도에서 캐리어(carrier)를 사용하지 않아도 카티온 염료에 의하여 진하게 선명하게 염색할 수 있다.
상기 CDPET 섬유의 섬도(纖度)는 1 ~ 7 데니어(denier)(이하 d 로 약한다), 또 섬유장(纖維長)은 25 mm ~ 51 mm 이다. 단면 형상은 편평형(偏平型), 타원형, 원형이 3 내지는 4개 연속한 형상, 3엽형(3葉型), 4엽형(4葉型) 등에서 선택된다. 또한 이 CDPET 섬유에는 섬유 표면의 광택을 조정하기 위하여 산화 티탄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부드러운 감촉을 얻기 위하여 카티온계 유연제(柔軟劑), 아미노 또는 에폭시 변성 실리콘 등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다음에 아크릴 섬유, 모다크릴 섬유의 섬도는 5 ~ 30 d, 섬유장은 32 ~ 89 mm이고, 또한 단면 형상은 원형, 신장형(腎臟型), 편평형, 타원형, 3 엽형, 4 엽형 등에서 선택된다. 또한 부드러운 촉감을 얻기위하여 섬유의 표면을 개선하거나 항구유연처리(恒久柔軟處理)를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CDPET 섬유, 아크릴 섬유, 모다크릴 섬유 등의 파일 소재는 원면, 원착면(原着綿), 염색면에서 선택하면 된다. 또한 이들 파일 소재의 광택은 어두운 타입이나 밝은 타입에서 자유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일 조성물은, 상기의 CDPET 섬유가 20 ~ 60 중량%와 아크릴 섬유, 또는 모다크릴 섬유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합성섬유가 40 ~ 80 중량% 로 이루어지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CDPET 섬유가 30 ~ 50 중량% 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파일 조성물의 제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CDPET 섬유, 아크릴 섬유, 모다크릴 섬유 등의 파일 소재를 균일하게 혼합한 뒤에 카드(card)를 통과시켜 슬라이버(sliver)를 만든다. 다음에 슬라이버 니트기를 사용하여 기포에 슬라이버를 짠다. 다음에 연마(硏磨; polishing), 재단(裁斷; shearlng), 코팅(coating)의 가공을 거치고 연마, 재단, 솔질(brushing)을 조합한 가공을 하고 최후로 재단의 가공을 함으로써 본 발명의 파일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작용 및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파일 조성물은, CDPET 섬유와 아크릴 섬유, 모다크릴 섬유 등의 아크릴로니트킬(acrylonitrile)를 포함하는 섬유로 이루어지고 천연 모피와 같은 부드러운 촉감을 갖고 또한 탄력성, 내주름성이 뛰어나다. 이 부드러운 촉감은 CDPET 섬유와 모다크릴 섬유나 아크릴 섬유와의 혼면에 의하여 생기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우수한 탄력성은 파일을 마무리 가공하는 때에 CDPET 섬유의 열특성에 의하여 모다크릴 섬유나 아크릴 섬유보다 잔존(殘存)하는 크림프(crimp)가 많은 것과 단섬유가 갖고 있는 영률(Young modulus)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뛰어난 내주름성은 CDPET 섬유의 스트레스(stress)-뒤틀림 곡선으로 판단하면 주름에 관련되는 10 ~ 15 %의 뒤틀림에서는 영구 뒤틀림이 적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실시예)
먼제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파일 조성물의 성능 평가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즉 파일 성능은, 시각적 및 촉각적 관점에서 5명의 이 분야에 지식이 있는 판정자가 생산한 파일 조성물을 부드러운 촉감, 탄력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내주름성에 대하여는 AATCC(American Association of Textile Chemitists and Colorists)-128에 따라 1 급에서 5 급의 등급으로 평가하였다. 4 급 이상이 내주름성이 우수하다고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단면이 평편형으로 섬도가 3 d, 섬유장이 32 mm 이고,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성분이 폴리에스테르에 대하여 3 몰% 포함된 CDPET 섬유를 카티온 염료를 사용하여 짙은 갈색(dark brown)으로 염색하였다. 이 CDPET 섬유 40 중량% 와 단면이 신장형(腎贓型)으로 섬도가 5 d, 섬유장이 32 mm로서 짙은 갈색으로 원액 착색된 모다크릴 섬유 60 중량%를 충분히 섞고 18 g/m의 슬라이버를 만든다. 다음에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150 d)로 된 2 줄의 파운데이션얀(foundation yarn)을 사용하여 슬라이버 니트기로 파일 직물을 만든다. 전연마(前硏磨; prepolishing), 전재단(前裁斷; preshearing)을 하여 파일장을 일정하게 한 후에 파일 뒷면에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접착제로 코팅을 한다. 그 후에 155℃의 연마, 솔질을 하고 또한 중온(120℃), 저온(90℃)의 연마와 재단의 가공을 조합하여 마무리하여 12 mm의 파일장을 갖는, 비버형의 하이 파일을 얻었다.
(실시예2)
단면이 평편형으로 섬도가 3 d, 섬유장이 32 mm 이고, 5-나트륨 술포이소프탈산 성분이 폴리에스테르에 대하여 3 몰% 포함된 CDPET 섬유를, 카티온 염료를 사용하여 짙은 감색(navy blue)으로 염색한 CDPET 섬유 30 중량% 와 단면이 신장형(腎臟型)으로 섬도가 3 d, 섬유장이 32 mm로서 짙은 감색으로 원액 착색된 모다크릴 섬유(일본 가네가후치가가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鐘淵化學工業株式會社)제품 가네카론 AH(상품명)) 70 중량%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같이 하여 비버형의 하이 파일을 얻는다.
(비교예 1)
단면이 원형으로 섬도가 3 d, 섬유장이 32 mm 이고, 검게 염색한 아크릴 섬유 40 중량% 와, 단면이 편평형으로 섬도가 5 d, 섬유장이 32 mm 로서 검게 염색된 아크릴 섬유 60 중량%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같이 하여 비버형의 하이 파일을 얻는다.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의 파일 조성물의 성능을 평가하고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표 1 의 결과에서도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일 조성물은 촉감, 탄력성, 내주름성이 뛰어나다.

Claims (3)

  1. 술폰산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성섬유와,
    아크릴 섬유 또는 모다크릴 섬유중에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합성섬유를
    포함하는 파일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합성섬유는 카티온 염료로 염색할 수 있는 술폰산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합성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술폰산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합성섬유를 20~60 중량%
    아크릴 섬유 또는 모다크릴 섬유중에 적어도 하나를 40 ~ 8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조성물
KR1019960001497A 1995-01-25 1996-01-24 내주름성이 뛰어난 파일 조성물 KR1003624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9455 1995-01-25
JP945595A JPH08209508A (ja) 1995-01-25 1995-01-25 防皺性に優れたパイル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507A KR960029507A (ko) 1996-08-17
KR100362429B1 true KR100362429B1 (ko) 2003-02-19

Family

ID=11720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1497A KR100362429B1 (ko) 1995-01-25 1996-01-24 내주름성이 뛰어난 파일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718129A (ko)
JP (1) JPH08209508A (ko)
KR (1) KR100362429B1 (ko)
CN (1) CN1053237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070B1 (ko) 2006-12-13 2008-05-16 배종욱 아크릴사와 폴리에스테르사를 교직하여 파일사를 형성한밍크 담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5462A (ja) * 2004-05-12 2005-11-24 Kaneka Corp 意匠性に優れた衣料用パイル布帛
KR101320184B1 (ko) * 2005-04-28 2013-10-22 카네카 코포레이션 아크릴계 수축성 섬유
EP1717358A1 (en) * 2005-04-29 2006-11-02 Escolys Textiles NV Chenille yarn and woven fabric
CN103173910B (zh) * 2013-03-13 2014-05-14 常熟市启弘纺织实业有限公司 一种涤腈面料及其加工方法
US11946173B2 (en) * 2020-05-20 2024-04-02 Glen Raven, Inc. Yarns and fabrics including modacrylic fiber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6924A (en) * 1979-03-26 1982-02-23 Teijin Limited Synthetic fur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US4539242A (en) * 1983-06-07 1985-09-03 Teijin Limited Pile fabric with non-mushroom shaped cut ends
JPH04209875A (ja) * 1990-12-05 1992-07-31 Toyobo Co Ltd 染色された交編編地とその製法
JPH0681248A (ja) * 1992-09-01 1994-03-22 Kanegafuchi Chem Ind Co Ltd 熱融着性合成繊維を含有するパイル製品
JP2705895B2 (ja) * 1993-12-28 1998-01-28 大阪精化工業株式会社 繊維材料用処理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070B1 (ko) 2006-12-13 2008-05-16 배종욱 아크릴사와 폴리에스테르사를 교직하여 파일사를 형성한밍크 담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6609A (zh) 1996-11-27
KR960029507A (ko) 1996-08-17
US5718129A (en) 1998-02-17
CN1053237C (zh) 2000-06-07
JPH08209508A (ja) 1996-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37887B2 (ja) フリース生地、フリース生地を製造する方法、及びフリース生地で製造された物品。
EP0028015B1 (en) A fur-like napped fabric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US4390572A (en) Fur-like synthetic material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5108204A (ja) 複合紡績糸からなる織物
KR100362429B1 (ko) 내주름성이 뛰어난 파일 조성물
JPH04153339A (ja) 毛皮調パイル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62430B1 (ko) 파일 제품 및 파일 조성물
JP2000144557A (ja) パイル組成物
JP2000328393A (ja) パイル布帛
JP2019214814A (ja) 紡績糸および織編物
KR100372224B1 (ko) 신축성이 우수한 이중 경편직물
CN217298180U (zh) 立绒织物
JPS5916011B2 (ja) 獣毛調風合を有する紡績糸
JP3900323B2 (ja) 意匠性パイル布帛
JP2004183113A (ja) 伸縮嵩高性短繊維織編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S5828367B2 (ja) 擬似獣毛状合成繊維
KR100199847B1 (ko) 리브가 구비되어 있는 플랫 필라멘트 및 파일 직물용 원료 섬유
JPH04163342A (ja) 繊維立毛布帛
JP3797739B2 (ja) パイル布帛
JPH09143839A (ja) 立毛布帛
JPS60259684A (ja) 人造毛皮の製造方法
JP2000017540A (ja) 獣毛調織編物
JPS63309646A (ja) 難燃性に優れた人工毛皮
JPS58186634A (ja) 立毛布帛およびその製造法
JPS62130836A (ja) 人工毛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