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7013B1 -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7013B1
KR100357013B1 KR1019990049590A KR19990049590A KR100357013B1 KR 100357013 B1 KR100357013 B1 KR 100357013B1 KR 1019990049590 A KR1019990049590 A KR 1019990049590A KR 19990049590 A KR19990049590 A KR 19990049590A KR 100357013 B1 KR100357013 B1 KR 100357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input
direction indicating
pointer
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9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7612A (ko
Inventor
와따나베미쯔히로
Original Assignee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47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7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70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Abstract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가 개시된다. 방향 지시부(1)는 중심 위치 C0로부터 원주 상에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된 12개의 위치 C1 내지 C12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할 수 있는 스틱 또는 포인터(11)를 포함한다. 방향 지시부는 포인터(11)가 도착한 위치를 검출할 때 위치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0)는 특정 문자를 선택하고, 방향 지시부의 출력 변화에 따라 그 코드를 출력한다. 메모리(21)는 데이터 처리부에 의해 실행될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표시부(30)는 데이터 처리부에 의해 출력되는 문자들 및 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다른 동작들을 표시한다. 데이터 처리부(20)는, 포인터(11)가 중심 위치 C0로부터 방향 지시 위치 C1 내지 C12 중 하나로 이동하면 자음을 선택하고, 포인터가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면 모음을 선택하며, 포인터가 중심 위치로 복귀하면 문자를 결정 및 입력한다. 결정키(5)는 자음 및 모음을 결정하도록 제공된다.

Description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LETTER INPUT METHOD AND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용 소형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문자 입력 수단으로는, 알파벳, 숫자, 일본 가나 문자 등이 키 톱(key top)에 인쇄된 키보드와, 휴대 전화 등에 사용되는 10-키 세트 등이 있다.
그 밖의 전형적인 문자 입력 장치로는 터치 패널이 있다. 터치 패널은, 접촉된 지점에 대응하는 위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 입력 장치이다. 이 장치는 표시 장치 상에 일체형 키보드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가진다. 키보드 표시를 터치하면, 그 지점에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가 입력된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63-58590호 "벡터 패턴 입력 장치"는 터치 패널을 이용하는 문자 입력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장치에서는 터치 패널 상에 기입된 스트로크를 인식함으로써 문자들이 입력된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6-161433호 "문자 입력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음악 기기"는, 회전 가능한 회전 다이얼을 이용하여 화면 상에 문자를 표시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장치에서, 문자들은 표시될 때 입력된다. 이 장치는 숫자 세트 및 알파벳 대문자, 소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세트 선택 스위치를 가진다. 이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대문자 및 소문자 세트가 선택된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7-129294호 "문자 입력 장치"는 한 손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하는 문자 입력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장치는 한 손으로 쥘 수 있는 크기의 프레임에, 엄지 손가락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로터 및 엄지 손가락 이외의 손가락으로 조작할 수 있는 키 스위치를 배치한 구성을 가진다. 이 장치에서는, 회전 바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여 모음행을 도출하고, 키 스위치의 누름 상태를 검출하여 자음열을 도출함으로써 문자들이 입력된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7-168658호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은 트랙 폴(track pole) 및 단계적인 누름 조절이 가능한 스위치 세트를 이용한 문자의 입력을 개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서는, 5가지의 누름 단계를 검출할 수 있는 4개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문자를 결정하고, 트랙 폴을 이용하여 화면 상에 표시된 커서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문자의 입력 및 커서 동작이 허용된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6-202807호 "문자 입력/표시 장치"는 마우스를 이용하는 입력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장치에서는, 문자표의 일부가 화면 상에 표시되고, 마우스를 이동시킴으로써 스크롤링된다. 원하는 문자가 나타나면, 마우스를 클릭하여 그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6-131095호 "포인팅 장치에 의한 일본어 가나 문자 입력 시스템"은, 포인팅 장치, 및 다단계로 누를 수 있는 하나의 버튼을 가지는 누름 버튼 스위치를 함께 이용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서, 일정한 버튼 누름의 단계는, 일본어 가나 문자의 탁점 및 반탁점에 할당된다. 따라서, 화면 상에 표시되는 50개 문자 세트와 버튼의 조합에 의해 일본어 가나 문자의 입력이 단순화된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5-341903호 "문자 정보 입력 장치"는 단순화된 문자 입력을 개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서는, 태블릿(tablet)이 사용되고, 키보드는 화면 상에 표시된다. 이러한 문자 정보 입력 장치에서는, 화면 상의 절대적인 위치를 지시함으로써 문자가 입력되지 않는다. 대신에, 문자는 지시된 위치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입력된다. 즉, 화면과 비교하지 않고서도, 감각적인 문자 입력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일반적인 키보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제1 경우는 다음과같은 문제점들을 가진다. 키보드를 이용하여 로마 문자가 입력되는 경우, 적어도 26 문자 키 이외에, 대문자/소문자 크기 변환키 및 숫자키까지 필요하다. 즉, 적어도 총 40개의 키가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키들을 손가락으로 누르는 경우, 세트 내의 각각의 키들의 크기는 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는 크기 이하로 작게 할 수는 없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큰 면적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입력 방법은, 데스크탑 퍼스널 컴퓨터 또는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와 같이 책상에서 사용되는 비교적 큰 장치의 경우에는 별다른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이 비교적 작은 휴대 단말을 이용하는 경우, 키보드를 탑재하는 것은 그다지 현실적이지 못하다. 또한, 책상 위에 올려놓는 경우보다 한 손으로 운반 및 사용되는 경우가 더 많은 PDA 단말 등에서, 키보드에 의한 문자의 입력은 극히 어렵다.
터치 패널이 사용하여 문자 인식을 행하는 상기 제2 경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휴대 전화 또는 휴대 단말 등의 소형의 장치에서, 문자 인식을 위한 필기체 문자 입력 영역을 제공하면, 화면의 표시 영역은 감소되며, 따라서 문장 입력이 어려워지게 된다. 또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펜 등과 같이 끝이 뾰족하고 얇은 입력 장치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펜 등을 항상 휴대해야 하며, 문자 데이터가 입력될 때마다 펜을 이용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한 손으로 장치 본체를 잡은 상태에서 펜을 이용해야하는 상황도 있다. 즉, 한 손으로는 펜을 잡고, 다른 손으로는 본체를 잡아야 하므로, 양손 모두 사용해야 한다.
문자 입력 기능을 가지며,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다이얼, 및 대문자 또는 소문자 세트를 선택하기 위한 세트 선택 스위치를 구비하는 제3 경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현재 선택되어 있는 문자로부터 다이얼의 직경 방향에서 반대측에 있는 문자, 즉 180°만큼 위상이 벗어나 있는 문자를 검출하기 위해서, 다수의 손가락 동작이 필요하다. 따라서, 다수의 문자를 연속적으로 입력하기가 어렵다.
제4 경우의 문자 입력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이 경우, 로터를 이용하여 모음행을 도출하고, 스위치를 이용하여 자음열을 도출한다. 그러나, 선택된 모음행에 대응하는 로터의 회전 각도를 감각에 의해 결정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선택된 자음열에 대응하는 키 스위치의 누름 회수를 감각에 의해 결정하는 것도 어렵다. 따라서, 문자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선택 가능한 모든 문자들을 항상 화면 상에 표시하여, 그 표시를 참조하여 문자를 선택할 수 있게 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문자 표시는 그에 상당하는 표시 영역을 필요로 한다. 이것은, 문장을 보면서 문자를 입력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2 종류의 상이한 스위치, 즉 로터 및 시소 스위치(see-saw)를 이용하여 문자가 입력되기 때문에, 한 손가락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가 없다.
복수의 단계형 누름 조절 스위치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제5 경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이 경우에서, 단계적으로 눌려질 수 있는 스위치 중 하나의 스위치의 위치들이 모음에 할당되고, 다른 스위치들은 자음에 할당된다. 이것은, 사용자가 각각의 스위치 위치에 대응하는 모음 및 자음을 기억해야 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이러한 스위치 위치들을 기억하기는 어렵다. 또한, 스위치들은 각각의 위치에서 단계적으로 눌려질 때 클릭음을 생성하여, 원하는 위치를 쉽게 누를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복수의 스위치가 제공되기 때문에, 한 번에 누름 세기를 조절하기는 어렵다.
제6의 경우, 즉 50-문자 세트가 화면 상에 표시되고, 그것을 스크롤링하여, 원하는 문자가 나타나면 결정 버튼 스위치를 이용하여 그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표시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자 입력 장치의 경우, 퍼스널 컴퓨터의 CRT 모니터 등에서, 화면은 고속으로 스크롤링되어야 한다. 그러나, 휴대 단말 내의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 이러한 스크롤링은 화면을 인식하기 어렵게 하며, 문자 선택을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게 하기도 한다.
제7의 경우, 즉 포인팅 장치에 의한 일본어 가나 문자 입력 시스템은 일본어 가나 문자 세트가 화면 상에 표시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휴대 단말 등에서는, 화면의 표시 영역이 가나 문자 세트를 표시하기에는 너무 작으며, 이러한 표시가 가능한 경우라도 표시되는 문자 각각의 크기는 매우 작다. 이것은 문자를 선택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8 경우의 문자 정보 입력 장치는 휴대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는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의 문제점은, 문자 입력을 위해 표시 화면과는 독립적인 태블릿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한다는 것이다. 태블릿은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며, 따라서 휴대성을 생각해야 하는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한 휴대 단말용 문자 입력 장치, 특히 공간을 거의 차지하지 않으며 일본어 가나 문자가 쉽게 입력될 수 있게 하는 휴대 단말용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손을 동시에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문자 입력을 할 수 있게 하는 것, 즉 터치 패널 또는 마우스 등의 포인팅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서 한 손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면 상에 표시된 문자표를 참조하여 문자를 선택하는 대신에, 손가락의 움직임으로 문자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에 사용된 문자 세트의 문자를 입력하는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문자 및 기호를 M열 N행의 행렬 형식으로 사전 배열하는 단계, 및 위치 입력 수단으로 소정의 순서대로 대응하는 열 좌표와 행 좌표를 지시함으로써 임의의 원하는 문자 또는 기호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이 제공된다.
문자 세트는 50개 문자 세트의 가나 문자(Kana letters)를 열과 행의 행렬 형식으로 배열함으로써 얻어지고, 상기 열 각각은 동일한 자음에 의해 할당된 문자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행 각각은 동일한 모음의 문자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호는 탁점과 반탁점을 포함한다.
문자 세트는 로마자 알파벳 문자, 숫자 및 기호를 행렬 형식으로 배열함으로써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형 단말용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반경을 가지며 기준 위치에 자음을 가진 원에서 균일하게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즉, m개의) 방향 지시 위치를 갖는 방향 지시부 -상기 방향 지시부는,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2차원 평면의 반경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이동된 후 기준 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포인터를 포함하며, 상기 포인터가 먼저 반경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방향 지시 위치, 및 상기 포인터가 원주 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되기 전에 위치되는 제2 방향 지시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검출된 방향 지시 위치의 위치 데이터를 출력함 -, 메모리 수단과 자체 내에 저장된 문자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방향 지시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위치 데이터로부터 문자 코드를 발생시키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발생된 문자 모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휴대형 단말용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가 제공된다.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는 상기 방향 지시부의 입력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버퍼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에서, 복수의 문자 세트가 저장되며, 상기 각각의 문자 세트를 선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에서, 상기 문자 세트 중 하나의 세트는 50개 문자 세트의 가나 문자를 열과 행의 행렬 형식으로 배열함으로써 얻어진 M열 N행 행렬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열 각각은 동일한 자음에 의해 할당된 문자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행 각각은 동일한 모음의 문자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호는 탁점과 반탁점을 포함하며, 상기 방향 지시 위치는 상기 문자 세트의 각각의 행에 각각 할당된다.
상기 문자 세트 중 하나의 세트는 로마자 알파벳 문자, 숫자 및 기호를 M열N행으로 배열함으로써 얻어진다.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에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방향 지시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위치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진 상기 제1 방향 지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문자 세트의 행을 선택한다.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에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방향 지시부로부터의 상기 제2 방향 지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의 수신 시, 이 위치 데이터와 상기 제1 방향 지시 위치를 나타내는 이전에 수신된 위치 데이터간의 차이로부터 상기 포인터의 원주 방향 이동 간격을 검출하고, 상기 문자 세트의 행을 선택하며, 결정 신호의 수신 시, 상기 선택된 상기 문자 세트의 열과 행을 조합하여 상기 문자 세트의 특정 문자 또는 기호의 코드를 출력한다.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에서, 상기 방향 지시부는 상기 포인터의 이동중에 위치 데이터를 계속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1 방향 지시 위치의 위치 데이터의 수신 시, 상기 제1 방향 지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문자 세트의 행을 나타내는 코드, 예를 들어 동일한 행의 제1 열의 문자가 표시부 상에 표시되게 하고, 상기 표시된 상기 문자 세트의 행의 결정 후에, 상기 포인터의 이동 간격에 의해 결정된 열을 나타내는 문자가 상기 표시부 상에 연속적으로 표시되게 하며, 상기 표시된 문자의 결정 시, 상기 동일한 표시 문자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에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포인터가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의 이동을 개시하여 상기 제1 방향 지시 위치에 도달한 후에 소정의 방향으로 원주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행 선택 모드 지시로 하여금 경유하는 방향 지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문자 세트의 행을 나타내는 문자들이 상기 표시부 상에 연속적으로 표시되게 하고, 상기 포인터가 일단 정지된 후에 역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전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일단 정지되는 방향 지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문자 세트의 행을 결정하고, 행 선택 모드가 셋업되었음을 결정하고, 상기 포인터의 이동 간격에 대응하는 행을 나타내는 문자들의 연속적인 표시를 발생시키며, 상기 포인터가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될 때, 일반적인 표시 행이 결정되었다고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열과 행에 대응하는 문자의 신호를 출력한다.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에서, 상기 방향 지시부는, 상기 포인터가 이동되는 동안에 상기 제1 및 제2 방향 지시 위치 및 그 조합이 결정될 때, 상기 결정 내용을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게 통지하는 결정 스위치를 포함한다.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에서, 상기 방향 지시부는 두 개의 동심원 상에 균일하게 이격된 복수의 방향 지시 위치를 가진 포인터 메카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포인터 메카니즘은, 중심 위치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경사질 때, 각각의 방향 지시 위치를 단계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에서 상기 방향 지시부는, 두 개의 서로 다른 경사각에 따라 열 입력 모드와 행 입력 모드간에 전환될 수 있으며, 작은 각도로 경사질 때는 열 입력을 행하고, 큰 각도로 경사질 때는 행 입력을 행하며, 상기 작은 각도로 경사진 상태에서의 열 선택중에 큰 각도로 경사지면 열 결정을 행하고, 다시 상기 큰 각도로 경사질 때 행 선택을 행하며, 추후에 상기 중심 위치로 복귀될 때는 행 결정을 행하고, 상기 결정된 열과 행을 조합함으로써 일본어 가나 문자의 입력을 행한다.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에서, 상기 방향 지시부는, 상기 열 입력 시에 일본어 가나 문자 세트의 자음을 입력하고, 상기 행 입력 시에 일본어 가나 문자 세트의 모음을 입력한다.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에서, 상기 방향 지시부는, 상기 열 입력 시에 로마자 알파벳 문자 세트의 문자를 입력하고, 상기 행 입력 시에 상기 입력된 문자들의 순서를 입력한다.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에서, 상기 방향 지시부의 문자 입력 동작 및 커서 동작을 상호간에 전환시키는 버튼 등의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에서, 상기 방향 지시는, 상기 커서 동작용으로 사용될 때의 경사 각도에 따라 커서 이동 모드 및 표시 스크롤 모드를 셋업하도록 전환될 수 있으며, 상기 커서 이동 모드는 상기 방향 지시부를 작은 각도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셋업되고, 상기 표시 스크롤 모드는 상기 방향 지시부를 큰 각도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셋업된다.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에서, 상기 방향 지시부가 상기 커서 동작용으로 사용될 때, 상기 표시 동작에 관한 명령을 입력하는 상기 포인터의 경사 각도에 따라 상기 커서의 이동 범위가 변화된다.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에서, 상기 방향 지시부는, 상기 포인터의 경사 각도를 클릭감(feel of click)으로 알 수 있도록 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에서, 상기 방향 지시부는, 상기 포인터가 원주 방향으로 이동될 때 방향 지시 위치에 도달할 때마다 사용자에게 클릭감을 제공하는 구조를 가진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 지시점을 도시하는 블록도 및 도면.
도 2a 및 도 2b는 2진수 및 16진수에 대한 방향 지시부의 출력예를 나타낸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방향 지시부의 스틱 또는 방향 포인터의 이동 과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장치의 포인터 이동에 대응하는 데이터 처리부의 루틴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 5는 결정키를 이용하지 않는 기본 입력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인터럽션키를 이용한 기본 입력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따른 동작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도면.
도 8a 및 도 8b는 주요 처리 및 자음 결정 처리를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도면.
도 11a 및 도 11b는 결정키를 이용하지 않는 본 발명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12는 인터럽션키를 이용한 본 발명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화면 상의 연속적인 표시 및 동작 1의 방향 지시점 위치의 변화 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화면 상의 연속적인 표시 및 동작 2의 방향 지시점 위치의 변화 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화면 상의 연속적인 표시 및 동작 3의 방향 지시점 위치의 변화 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 지시부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a 및 도 17b, 도 18a 및 도 18b, 도 19a 및 도 19b는 방향 지시부의 다양한 예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22a 내지 도 22e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스틱형 방향 지시부에 대한 사시도.
도 23a 내지 도 23e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패드형 방향 지시부에 대한 사시도.
도 24a 및 도 24b는 방향 지시부의 출력 데이터의 방향 지시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25a 및 도 25b는 입력부를 작은 각도로 기울여 얻는 커서 이동 방식, 및입력부를 큰 각도로 기울여 설정하는 표시 스크롤링 모드를 나타낸 도면.
도 26은 숫자들에 할당된 가나 문자들 이외에 아라비아 숫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702, 1802, 2103, 2204 : 방향 지시 장치
11 : 지시 레버(포인터)
20 : 데이터 처리부
21 : 메모리
30 : 표시부
1701, 1801, 1901, 2105, 2205 : 결정키
2106 : 삭제키
2107, 2206 : 소문자키
2210 : 데이터 처리부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및 방향 지시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 단말용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로서, 중심 위치 C0로부터 원주 상에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된 12개의 지시점 C1 내지 C12로 이동될 수 있는 스틱 등의 포인터(11)를 포함하여 이러한 스틱(11)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위치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향 지시부(10), 방향 지시부의 출력 변화로부터 특정 문자를 선택하고 선택된 문자의 코드를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20), 데이터 처리부에 의해 실행될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1), 및 데이터 처리부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 및 동작 명령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0)를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부(20)는, 스틱(11)을 중심 위치로부터 방향 지시점 C1 내지 C12 중 어느 하나로 이동시킴으로써 자음을 결정한다. 데이터 처리부(20)는, 스틱(11)을 원주 방향으로 더 이동시킴으로써 모음을 선택한다. 그 다음, 레버(11)를 중심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문자가 결정되고 입력된다. 자음 및 모음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키(5)를 제공할 수 있다.
제공되는 문자 세트는 M열 및 N행을 가진다. 실제에 있어서, N≤M인 경우도가능하긴 하지만, N≥M인 경우가 많다. 열을 먼저 지시한 후 행을 지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 지시부의 방향 지시점과 일본어 가나 문자 자음의 일대일 대응이 제공된다. 특정 방향이 지시되면, 대응하는 자음이 선택되었음이 표시되어, 입력될 일본어 가나 문자의 자음이 결정된다. 자음이 결정된 위치로부터 방향 지시부의 위치 데이터 출력이 변화할 때, 방향 지시부의 원주 위치 출력이 변화하는 경우, 모음이 입력되는 모음 선택 모드가 설정된다. 50개 문자 세트 내의 문자는 자음과 모음의 조합으로서 입력된다.
여분의 공간을 가지는 장치에서는, 자음 및 모음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키가 제공될 수 있으며, 문자 선택 모드에서 입력된 자음 및 모음이 선택될 때 그 결정키를 누름으로써 문자를 결정한다.
결정키를 제공할 공간이 없는 장치에서, 자음 및 모음의 결정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방향 지시부의 중심축으로부터의 대응 방향이 스틱에 의해 지시되면 자음이 결정된다. 모음은, 스틱을 원주 방향으로 더 이동시킴으로써 선택된다. 다음으로, 모음의 결정 및 문자의 입력은 스틱을 중심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지시된 방향을 검출할 수 있는 방향 지시 스위치에 의해 자음 및 모음이 순차적으로 선택되고, 이와 같은 선택의 결과로서 일본어 가나 문자가 입력된다. 따라서, 터치 패널을 이용하는 시스템과는 달리, 라이팅 펜(writing pen)이 불필요하며, 장치에 사용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있다. 또한, 문자 입력을 위해 10-키 세트를 이용하는 경우와는 달리, 하나의 버튼 스위치를 복수의 문자에 할당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10-키 세트를 이용하여 문자들을 하나씩 입력할 필요가 없다.
또한, 일단 자음에 대응하는 위치가 기억되면, 모음은 방향 지시 장치의 원주 방향 이동에 의해 입력될 수 있으므로, 신속한 문자 입력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의 구성이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는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로서, 어플리케이션 명령 및 입력될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101), 표시부의 화면 내에 제공되어 장치의 다양한 기능 및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기능 표시부(2102), 턴 다운되거나 기울어질 때 방향을 지시하고, 입력될 문자의 선택, 화면 상에 표시될 커서의 이동 및 표시 내용의 스크롤링과 같은 동작을 유발하기 위한 방향 지시부(2103),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방향을 결정하는 스틱(2104), 입력될 선택 문자를 결정하고 그 밖의 다른 결정을 수행하기 위한 결정키(2105), 문자 입력시 잘못된 문자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키(2106), 방향 지시부(2103)의 커서 표시 기능 및 문자 입력 기능을 스위칭하기 위한 문자/커서 선택키(2108), 및 작은 크기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소문자 크기 키(210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2차원적인 방향을 지시할 수 있는 스틱, 또는 패드 형태의 방향 지시부(2103)를 이용하여, 일본어 문자들이 용이하게 선택되고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방향 지시부는 아무런 동작도 수행되지 않았을 때는 중심위치에 있고, 중심 위치로부터의 각각의 방향을 직접적으로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방향 지시부는 이러한 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방향 지시 위치를 원주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b는, 본 실시예에서, 방향 지시부에 의해 검출되는 방향 및 방향 지시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자음 할당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러한 문자 입력 방법에서, 50-문자 세트 내의 자음만이 50-문자 가나 문자 세트 중에서 직접적으로 지시된다. 즉, 적어도 10개의 상이한 방향들만이 지시될 수 있으면 된다. 그러나, 360도를 10개로 분할하면, 사람의 직감적인 방향 지시 -상향, 하향, 좌향, 우향- 가 다소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방향 지시를 위해 360도를 12개로 분할한다. 12개로 분할하면 2개의 추가 방향 지시점이 제공된다. 이러한 2개의 점은 다른 기능에 할당된다.
방향 지시를 설명하기 위해, 기호 C0는 중심 위치에 할당되고, 기호 C1 내지 C12는 원주 상에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각각의 방향에 시계 방향으로 할당된다.
위치 C0에서, 방향 지시부는 출력을 제공하지 않는다. 즉, 방향 지시부는 중립 상태이다. 위치 C1 내지 C12는 원주 상에서 시계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위치들은 다음과 같이 일본어 가나 문자 자음에 할당된다.
즉, C1은 A, C12는 K, C11은 S, C10은 T, C9는 N, C8은 H, C7은 M, C6은 Y, C5는 R, C4는 W에 각각 할당된다.
이러한 할당은 일본어 가나 문자 자음과 방향에 대한 맵핑의 일례일 뿐이며, 상기 위치들과 자음의 배열 순서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대안적으로, C1은 A, C2는 K, C3는 S, C4는 T, C5는 N, C6은 H, C7은 M, C8은 Y, C9는 R, C10은 W에 각각 할당될 수 있다.
방향 지시부를 실질적인 하드웨어로 제조하기 위해, 방향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소정의 수단이 필요하다. 몇몇 방향 출력 인터페이스를 생각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의 단순화를 위해 위치 접촉 데이터가 디지탈화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두가지의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도 2a는 생각할 수 있는 방법들 중 하나를 나타낸다. 방향 지시부는 각각의 12방향 출력을 나타내는 12비트 데이터를 출력하는 구성을 가진다. 최하위 비트(LSB)는 C1에 할당되고, 최상위 비트(MSB)는 C12에 할당된다. 방향이 선택되면, 대응하는 비트는 "1"이 된다. 중심 위치 C0는 모두 "0" 비트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C10가 선택되면, 방향 지시부는 데이터 "001000000000"을 출력한다. C0일 때, 출력 데이터는 "000000000000"이다.
생각할 수 있는 다른 방법에서, 방향 지시부는 4비트 상태 번호를 이용하여 12개의 상이한 방향을 나타내는 구성을 가진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지시부는 위치 C0 내지 C12 각각을 나타내는 위치 번호 0h 내지 Ch를 출력할 수 있다. 위치 번호의 "h"는 16진수 시스템이 사용되었음을 나타낸다.
최저 12개의 하드웨어 배선이 필요한 도 2a의 경우와는 달리, 도 2b의 경우에서는 최저 4개의 배선이면 충분하므로, 출력을 판독하기 위한 CPU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배선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경우의 장점은, 방향 지시부의 스위치 접촉 상태가 직접적으로 출력되기 때문에, 엔코더 또는 그 외의 추가 회로를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문자 입력 장치는 방향 입력부, 문자 입력 및 다른 처리를 위한 데이터 처리부, 및 문자 입력의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는 일체형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두 가지 데이터 출력 방법에서, 데이터 처리부는 방향 입력부의 데이터 출력을 판독하고, 입력될 문자의 자음 데이터로서 판독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자음을 인식한다.
또한, 방향 지시부는 원주 상에서 이동하는 동안 사용자가 기계적인 클릭을 느낄 수 있게 함으로써, 모음 선택시 사용자가 이동의 범위를 감지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의 기본적인 동작이 도 1a 내지 도 1b, 및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데이터 출력부의 역할을 하는 방향 지시부에서, 중심 기준점 C0 둘레의 360도는 12개의 동일한 각도로 분할되어, 원주 상에서 시계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된 방향 지시점 C1 내지 C12를 정의한다. 위치가 지시되면, 방향 지시부는 그 위치를 검출할 수 있고, 위치 데이터 C1 내지 C12 중 제1 및 제2 방향 지시점을 나타내는 하나의 위치 데이터를 출력한다. 방향 지시부의 중심 위치가 지시되면, 방향 지시부는 데이터 C0를 출력한다. 도 2b의 경우에서, 각각의 위치를 나타내는 방향 지시부의 출력은 16진수 데이터이다.
데이터 처리부는 방향 지시부의 출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위치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문자 입력용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방향 지시부는 일본어 문자를 입력한다.
도 3a 및 도 3b는 방향 지시부의 스틱 또는 방향 포인터의 이동 과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데이터 처리부의 루틴을 장치의 포인터의 이동에 대응하여 나타낸 순서도이다.
문자 입력 장치에 대한 본 실시예에서, 문자들은 결정키를 이용하여 입력될 수도 있고 결정키를 이용하지 않고 입력될 수도 있다. 이러한 두 가지 방법은 상이한 문자 입력 알고리즘에 기초한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여, 결정키를 이용하는 경우에서의 루틴이 설명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방향 지시부의 포인터는 중심 위치 C0 ①으로부터 경로 ②를 따라 위치 C9로 이동하고, 원주 상에서 경로 ③을 따라 위치 C10까지 이동한 후, 경로 ④를 따라 위치 C11로 이동하고, 경로 ⑤를 따라 위치 C12로 이동하며, 그 다음 경로 ⑥을 따라 위치 C13으로 이동한다.
사용자가 아무런 조작도 행하지 않으면, 즉 포인터가 중심 위치 ①에 있는 경우, 방향 지시부는 위치 C0를 나타내는 데이터 "0h"를 데이터 처리부로 출력한다.
포인터가 경로 ②를 따라 위치 C9까지 이동하면, 방향 지시부는 제1 방향 지시 위치의 데이터 "9h"를 출력한다. 데이터 처리부는 "9h"를 판독하면, 표시부 상에 자음 "N"이 선택되었음을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Na 열이 선택되었음을 통지한다. 이 때 결정키를 누르면, 방향 지시부는 제1 방향 지시 위치가 "Na 행" 자음에 할당된 것으로 결정한다.
결정키를 누르면, 자음 선택 모드가 유지되고, 포인터는 경로 ③을 따라 위치 C10으로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방향 지시부는 데이터 "Ah"를 출력한다. 결정키를 누르지 않았을 때, 자음 선택은 그대로 유지된다. 이 때, "Ah"를 판독한 데이터 처리부는 표시부 상에 자음 "T"가 선택되었음을 표시하게 하여, 사용자에게 "Ta 열"이 선택되었음을 통지한다. 방향 지시부의 레버가 경로 ④를 따라 위치 C11으로 더 이동하면, 방향 지시부는 데이터 "Bh"를 출력한다. 따라서, 데이터 처리부는 "Bh"를 판독하고, 표시부 상에 자음 "Sa"가 선택되었음을 표시하게 하여, 사용자에게 "S 열"이 선택되었음을 통지하게 한다.
방향 지시부의 포인터가 위치 C11에 있는 상태에서 결정키를 누르면, 데이터 처리부는 이러한 결정키의 누름을 판독하고, 제1 방향 지시 위치 -즉, "Sa 행"- 에 있는 자음에서 자음을 결정한다.
결정된 제1 방향 지시 위치의 행은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a에서 참조 번호 1401 및 1406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자음의 선택 단계에서는 알파벳 문자로 표시되며, 자음이 결정된 시점에서는 가나 문자가 표시된다. 대안적으로, 자음의 선택 단계와 결정 단계에서의 표현을 상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서 표시는 백색 반전(white conversion)에서 커서 브링크(cursor brink)로 변경될 수 있다. 자음 C11에 관한 행이 결정되면, 표시문자 "Sa"로 통지된다.
제1 방향 지시 위치가 결정된 후, 방향 지시부 포인터를 경로 ⑤를 따라 위치 C12로 이동시킴으로써 방향 지시부는 데이터 "Ch"를 출력하고, 문자 "Shi"가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이 문자가 선택되었음을 통지한다.
포인터가 위치 C12에 있는 상태에서 결정키를 누르면, 이 위치가 제2 방향 지시점이 된다. 데이터 처리부는 이러한 결정키의 누름을 판독하고, 모음을 결정한다. 따라서, 방향 지시부는 문자 "Si"가 입력된 것으로 결정하고, 사용자에게 이 문자가 입력되었음을 통지한다.
제1 방향 지시 위치를 결정하지 않고, 포인터가 경로 ⑥을 따라 위치 C1으로 이동한 것으로 가정하자. 이 경우에서, 데이터 처리부는 제1 자음 선택 처리와 동일한 처리를 수행하고, 사용자에게 "A 행"이 선택되었음을 통지한다.
그 다음, 제2 방향 지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키를 누르지 않고, 포인터를 경로 ⑦을 따라 위치 C2를 통과시키고, 경로 ⑧을 따라 위치 C0로 포인터를 복귀시키면, 문자 선택 모드는 해제된다.
도 4a 및 도 4b는 상기의 동작을 나타낸다. 특히, 도 4a는 주요 루틴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4b는 단계 4b, 즉 "위치에 대응하는 자음의 선택"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루틴이 시작될 때, 방향 지시부는 결정키의 누름을 모니터링한다 (단계 402). 포인터가 제1 방향 지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결정키가 최초로 눌려지면, 데이터 처리부는 중심 위치로부터 포인터의 방향을 판독하고 (단계403), 자음을 선택하며 대응하는 선정된 자음의 변환을 수행한다 (단계 404). 그 다음, 제2 방향 지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키의 누름이 모니터링된다 (단계 405). 제2 방향 지시 위치에 대해 결정키가 다시 눌려지면, 데이터 처리부는 제2 방향 지시점의 방향을 판독한다 (단계 406).
그 다음, 데이터 처리부는, 최초의 결정키 누름을 검출한 후 단계 403에서 판독된 제1 방향 지시 위치의 방향과, 두번째의 결정키 누름의 검출 후 단계 406에서 판독된 제2 방향 지시 위치의 방향 사이의 차이를 결정하고, 결정된 차이에 대응하는 모음을 선택한다 (단계 407).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의 결정키 누름을 검출한 후 단계 403에서 판독된 방향을 Cx로 나타내면, 두번째로 결정키를 누른 후 단계 406에서 판독된 방향이 Cx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한 단계 이동한 경우 (단계 40701), 데이터 처리부는 제2행의 모음 "i"를 선택한다 (단계 40705). 판독된 방향이 시계 방향으로 두 단계 진행한 경우 (단계 40702), 데이터 처리부는 제3행의 모음 "u"를 선택한다 (단계 40706). 방향이 Cx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3단계 진행한 경우, 데이터 처리부는 모음 "e"를 선택한다 (단계 40707). 방향이 4단계 진행한 경우 (단계 40704), 데이터 처리부는 모음 "o"를 선택한다 (단계 40708). 선택된 자음 및 모음을 이용하여, 데이터 처리부는 문자를 결정하고, 후단의 장치에 그 문자를 입력한다 (단계 408).
상기의 루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방향 지시 위치에 대해 결정키를 누르면, 데이터 처리부는 방향 지시부의 출력을 판독하고 자음을 결정하며, 제2방향 지시 위치에 대해 결정키를 누르면, 데이터 처리부는 방향 지시부의 출력을 다시 판독하고 모음을 결정하여, 50-문자 세트 내의 문자를 결정한다. 방향 지시부 출력이 루틴의 임의의 점에서 C0으로 복귀하는 경우, 루틴은 "시작" (단계 401)으로 되돌아간다.
이제, 결정키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의 루틴이 도 3b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우선 방향 지시부의 출력이 위치 C0 ①을 나타내는 것으로 가정한다. 즉, 방향 지시부는 초기 상태에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것은 도 5의 "시작" (단계 501)에 대응한다.
그 다음, 방향 지시부의 출력이 C0에서 Cx로 변경된 것으로 가정한다. 즉, 방향 지시부의 레버가 위치 C0로부터 반경 방향 경로 ②를 따라 위치 C11로 이동한 것이 검출된 것으로 가정한다 (단계 502). 이러한 최초의 변경이 검출되면, "Cx에 대응하는 자음의 결정"이 수행된다 (단계 503).
도 3b에서, C11은 "S"에 할당되고, 이것은 일본어 문자 세트 내의 "Sa 열"이 선택되었음을 의미한다.
원주 방향의 경로 ③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위치 C12까지 더 이동하면, 데이터 처리부는 방향 지시부의 출력 데이터를 판독하고, 문자 "Sa"를 표시하게 한다. 포인터를 경로 ④를 따라 위치 C1까지 더 이동시키면, 문자 Si가 표시된다. 현재 선택된 문자가 사용자에게 표시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위치에 대응하는 모음을 선택"하는 단계 (단계 505) 에 해당한다.
이제, 포인터가 원주 방향의 경로 ⑤를 따라 이동하여 방향 지시부가 데이터 C2를 출력하게 한 다음, 경로 ⑥을 따라 이동하여 방향 지시부가 출력 데이터 C0를 출력하게 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에서, 포인터가 위치 C2로 이동하기 전에 위치 C2에 대응하는 모음이 선택되고, 문자 "Su"가 입력된 것으로 결정된다.
도 5에서, 상기의 동작은 "방향 지시부의 출력이 C0로 변경되었는가?" (단계 506), "위치에 대응하는 모음을 결정" (단계 507), 및 "자음 및 모음으로부터 50-문자 세트 문자의 문자를 결정" (단계 508)으로 구성되는 루틴의 일부로서 도시된다. "위치에 대응하는 모음을 결정" (단계 507)에서의 위치는 중심 위치 C0가 아니라, 포인터가 중심 위치 C0로 복귀하기 직전의 방향 지시부 출력 데이터 C2에 대응한다.
이 예에서, 포인터가 위치 C11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3단계 이동하여 위치 C2에 도달하고, 모음 "u"가 선택된다. 즉, 문자 "Su"가 입력된다.
상기의 처리에서, 1단계 이전의 위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버퍼가 필요하다. 하드웨어 감시를 통한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수단, 및 하드웨어 장치의 출력을 필요할 때마다 판독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음과 같은 데이터 판독용 타이머의 이용을 생각할 수 있다.
타이머를 이용하여 방향 출력부의 출력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2가지 수단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수단 중 하나는, 선정된 간격으로 출력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내부 타이머를 이용한다. 다른 수단에서, 방향 지시부는 임의의 시점으로부터 선정된 간격으로 방향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타이머를 이용하며, 방향 데이터를 획득한 후 데이터 처리부로 전송되는 인터럽션(interruption)을 발생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데이터 처리부는 인터럽션을 수신하면, 방향 지시부의 출력을 판독하여 방향 데이터를 얻는다.
이제, 결정키를 사용하지 않고, 방향 지시부로부터의 인터럽션을 위한 수단을 이용하여 자음 및 모음을 결정하는 경우에서의 루틴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 루틴은 전술한 바와 같이 타이머를 이용하는 방법에 기초하지 않으며, 방향 지시부의 출력 데이터의 변경에 따른 인터럽션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이다.
처음에 루틴은 "시작" 단계 (단계 601)에 있으며, 장치는 방향 지시부로부터의 인터럽션 검출을 대기한다.
방향 지시부로부터의 MAKE 인터럽션이 생성되면 (단계 602), 데이터 처리부는 방향 지시부의 출력을 판독하고 (단계 603), 출력 데이터 위치에 대응하는 자음을 결정한다 (단계 604).
이 루틴에 대한 도 3b를 참조하면, 포인터가 중심 위치 ①로부터 반경 방향 경로 ②를 따라 위치 C11까지 이동하여 방향 지시부의 출력이 변경되는 경우, MAKE 인터럽션이 생성된다 (단계 602).
데이터 처리부는 방향 지시부의 출력, 즉 C11의 출력 데이터를 판독하고 (단계 603), 자음 "S"를 결정한다 (단계 604).
다음으로, BREAK 인터럽션이 방향 지시부로부터 생성되면 (단계 605), 데이터 처리부는 방향 지시부의 출력을 판독하고 (단계 606), 출력된 데이터 위치에 대응하는 모음을 결정하며 (단계 607), 50-문자 세트 내의 문자를 결정한다 (단계 608).
방향 지시부의 출력이 위치 C1 내지 C12 중 어느 하나로부터 위치 C0로 복귀하면, BREAK 인터럽션이 방향 지시부로부터 생성된다.
도 3b의 경우에서, 방향 지시부의 레버가 중심 위치로 향하는 경로 ⑥을 따라 이동할 때, 이러한 인터럽션이 생성된다. BREAK 인터럽션 생성시에 판독되는 방향 지시부의 출력은 경로 ⑥ 바로 앞의 위치 C2를 나타낸다.
후속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모음을 결정" (단계 607), 및 "자음 및 모음으로부터 50-문자 세트의 문자를 결정" (단계 608)은, 각각 도 5의 단계 507 및 508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도 26은 가나 문자 이외의 아라비아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향이 숫자들에 할당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면에서, 각각의 방향은 문장 내의 대응 문자에 할당된다. 예를 들어, 방향 지시 위치 C1은 4개의 문자 A 내지 D에 할당된다. 이러한 할당은 A를 대표 문자로 하여 "A(BCD)"로 표현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C12는 "E(FGH)"에 할당되고, C11은 "I(JKL)"에 할당되며, C10은 "M(NOP)"에 할당되고, C9는 "Q(RST)"에 할당되며, C8은 "U(VWY)"에 할당되고, C7은 "Y(Z01)"에 할당되며, C6은 "2(345)"에 할당되고, C5는 "6(789)"에 할당된다.
우선, 특정 방향이 지시되면, 대응하는 문자 세트의 제1 대표 문자가 표시부 상에 표시된다. 즉, 표시된 문자는 선택된 아라비아 숫자 세트를 나타낸다. 예를들어, C8을 지시하면, 문자 "U"가 표시부 상에 표시된다. 이 문자 "U"는 백색 반전 문자로서 표시되거나, 그 문자가 선택 문자로서 우세함을 나타내는 수단을 이용하여 표시된다.
방향 지시부의 포인터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즉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포인터를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다른 문자 세트가 새롭게 선택된다. 포인터를 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최초로 선택된 문자 세트 내의 문자들이 선택된다.
예를 들어 포인터를 위치 C8에서 위치 C7로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Y" 및 "2"가 순서대로 표시부 상에 표시된다.
포인터를 시계 방향으로 1단계 이동시키면 "3"이 표시되고, 2단계 이동시키면 "4"가 표시된다. 그 다음, 포인터를 방향 지시부의 중심으로 복귀시키면, 문자 "4"가 결정되고 입력된다. 상기 방식으로, 아라비아 숫자가 입력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일부 방향을 기호 세트에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중심 위치에서 일정 방향으로 포인터를 이동시키면 기호 세트가 선택되고, 원주 상에서 레버를 더 이동시키면 기호 세트 내의 특정 기호가 입력될 수 있다.
임의의 문자에 할당된 방향 지시 위치 C2 및 C3는 히라가나 문자, 가타가나 문자, 아라비아 숫자 및 기호의 선택에 할당되어, 문자의 입력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러한 문자 세트를 선택 및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에 대한 본 실시예에서, 입력된 문자들의 입력 상태는, 방향 지시부(2103)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부(2101) 상에 표시된다. 따라서, 문자를 확인하는 동시에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문자 입력에 사용되는 결정키는 복수의 표시 문자 중 특정 문자를 결정하고, 간지 변환에서의 변환 문자를 선택 및 결정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루틴 내의 문자 입력에서, 결정키(2105)는 당연히 사용되지 않는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의 회로는 기본적으로, 문자 입력을 수행하기 위한 부분과 이러한 문자 입력부에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실제 입력될 문자를 선택 및 결정하기 위한 부분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데이터 처리부에서의 처리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로 구성된다.
특히, 회로는 주로 문자 입력에 사용되는 방향 지시부(2204), 입력될 문자를 결정하고 일부 기능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키(2205), 소문자 입력을 원할 때 사용되는 소문자키(2206), 데이터 처리부에서의 처리 결과의 내용 (문자 입력 상태, 결정된 문자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207), 방향 지시부, 결정키 및 소문자키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문자 입력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CPU(2201), CPU 내에서 실행되는 처리 프로그램 및 처리 중의 임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202), CPU와 입력부 및 표시부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획득하기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2203), 및 방향 지시부의 출력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버퍼 메모리(2208)를 포함한다. 데이터 획득 시 CPU가 충분한 데이터 처리 속도를 얻을 수 있는 경우, 버퍼 메모리(2208)는 분리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 지시부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지시부(1702)는 주변부가 12개 부분으로 균등 분할된 디스크형 입력부, 및 결정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결정키(1701)를 포함한다. 방향 입력부의 분할 부분들은 화살표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분할 부분 중 하나가 기울어지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방향이 검출되어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은 12개의 상이한 방향 데이터 부분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부분, 즉 방향 지시부는, 손을 떼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C0의 출력 데이터를 제공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입력부 및 방향 지시부(1702)의 결정키(1701)가, 엄지 손가락으로 방향 입력부를 조작하고 집게 손가락으로 문자 결정을 수행하게 하는 위치 관계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한 손으로 문자 입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7a 및 도 17b, 내지 도 19a 내지 도 19d는 방향 지시부의 다양한 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방향 지시부는 중심 결정키(1801)를 가지는 디스크형 방향 입력부(1802)를 포함한다. 방향 입력부(1802)는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주변부의 12개의 분할 부분을 누름으로써 조작될 수 있다. 따라서, 12개의 상이한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심을 기준으로서 설정하면, 방향 지시부는 하나의 누름 동작에 의해 단 하나의 방향 지시점을 제공할 수 있다. 중심 결정키(1801)는 장치 내에서 문자 결정 및 다른 기능 결정을 위해 조작될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방향 지시부는 스틱형 방향 입력부(1902), 그 중심에 제공된 결정키(1901) 및 부품(1901, 1902)을 지지하는 지지부(1093)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향 지시부는, 스틱형 방향 입력부(1092)를 점선 1094, 1095로 표시된 것과 같이 기울임으로써 방향을 지시할 수 있다.
도 18b는 이러한 스틱형 방향 지시부가 360도를 분할함으로써 설정된 복수의 지시 방향 중 임의의 하나를 지시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a 내지 도 19b에 도시된 방향 지시부는 스틱형 방향 입력부(2001) 및 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002)를 포함한다. 방향 입력부(2001)는 도 18a 및 도 18b의 예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향 지시부는 돌출 버튼형 결정키 대신에, 스틱을 축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방향을 지시할 수 있다.
방향 지시부는 점선 2003 및 2004에 표시된 것과 같이 스틱(2001)을 기울임으로써 방향을 지시할 수 있다.
도 19b 및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지시부는 360도를 분할함으로써 설정된 복수의 지시 방향들 중 하나를 지시할 수 있다.
도 19d는 스틱(2001)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 구조는 기본적으로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며, 스위치(2009)를 커버하며 활주가 가능한 조작 부재(2008) (스위치는 조작 부재를 누름으로써 턴온되는 신호 접촉부를 가짐), 및 조작 부재(2008)를 지지하는 지지부(2010)를 포함한다. 스위치(2009)의 접촉부로 연결되는 배선은 지지부를 통과한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방향 지시부의 동작이,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결정키를 이용하여 가나 문자 "Ku"를 입력하는 시퀀스의 경우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도 13a는 문자 입력 동작에서의 방향 지시점 위치의 변화에 따라, 도 17a 및 도 17b, 내지 도 19a 내지 도 19d에 도시된 방향 지시부의 표시 화면 상에 연속적으로 표시된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b는 방향 지시점 위치의 변화 경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b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방향 지시부(2103)의 방향 입력부는 C0의 위치 ①에 배치되어, 방향 지시부(2103)가 예를 들어 "0h"의 대응 데이터를 출력하면, CPU(2201)는 문자 입력을 기다린다. 이 때, 표시 화면 상의 선행 표시(1401)는 갱신되지 않고 유지된다.
방향 지시부의 방향 입력부가 경로 ②를 따라 C1의 위치까지 더 이동하면, 방향 지시부는 C11의 데이터 (예를 들어 "Bh") 를 CPU(2201)로 출력한다. 결과적으로, CPU는 최초로 자음 선택을 수행한다. "S 열"이 C11에 의해 할당되기 때문에, 문자 "S"(1402)가 표시부(2101) 상에 표시된다.
방향 입력부를 경로 ③을 따라 C12의 위치까지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면, 방향 지시부는 C12의 데이터를 CPU로 출력한다. 이 때까지 결정키는 눌려지지 않기 때문에, 자음 선택 모드는 유지된다. "Ka 열"은 C12에 의해 할당되기 때문에, 문자 "K"(1403)는 표시부 상에 표시된다.
방향 입력부를 경로 ④를 따라 C1의 위치까지 더 이동시키면, 방향 지시부는C1의 데이터를 CPU로 출력한다. 이 때까지 결정키가 눌려지지 않기 때문에, 자음 선택 모드는 계속 유지된다. "A 열"이 C1에 의해 할당되기 때문에, 문자 "A"(1404)가 표시부 상에 표시된다.
방향 입력부를 C1의 위치에서 경로 ⑤를 따라 C12의 위치까지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면, 방향 지시부는 C12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자음 선택시 실수로 인해 방향 입력부가 선택될 자음의 위치를 건너 뛰면, 방향 입력부는 후향 이동하게 된다. 방향 입력부가 C12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결정키를 누르면, 자음 ⑤'가 결정된다.
자음 ⑤'가 결정되면, 이것은 표시부의 화면 상의 문자 "K"(1405)의 표시를 일본어 가나 문자 "Ka"(1406)로 대체함으로써 표시된다. "히라가나" 문자 입력 상태에서, "히라가나"를 나타내는 "*가나*"가 화면의 기능 표시부(2102) 상에 표시된다. "카다카나" 문자 입력 상태에서, 가타가나를 나타내는 "가나"가 기능 표시부 상에 표시된다.
50-문자 세트 내의 열을 나타내는 자음이 C12의 위치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이러한 C12의 위치는 50-문자 세트의 제1행 내의 모음 "a"를 선택하기 위한 위치를 구성한다.
방향 입력부가 경로 ⑥ 및 ⑦을 따라 C1의 위치 및 C2의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 것으로 가정하자.
방향 입력부가 C1의 위치로 이동하면, 50-문자 세트의 제2행의 모음 "i"를 나타내는 문자 "Ki"가 표시부 화면 상에 표시된다. 방향 입력부가 C2의 위치로 이동하면, 제3행의 모음을 나타내는 문자 "Ku"(1408)가 표시된다.
방향 입력부가 C2의 위치에 있을 때 결정키를 누르면, 자음 "K" 및 모음 "u"가 동시에 결정되고, ("K" + "u")에 대응하는 문자 "Ku"(1409)가 결정된다.
방향 입력부가 C2의 위치로부터 경로 ⑧을 따라 C0의 위치로 복귀하면, 한 문자(1410)의 입력 처리가 종료된다.
방향 입력부가 경로 ⑦을 따라 C2로 이동한 후, 결정키의 제2 누름없이 경로 ⑧을 따라 C0로 복귀하는 경우, 문자 결정이 수행되지 않고 문자 입력 대기 상태가 다시 설정된다.
가나 문자 "Ne"와 같은 일본어 문자를 결정키를 누르지 않고 입력하는 경우에서의 방향 지시부의 동작이 도 14a 및 도 14b를 이용하여 설명될 것이다.
처음에, 방향 지시부의 방향 입력부가 C0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방향 지시부의 출력 데이터는 C0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0h"이다. 이 상태에서, 표시부(1501) 상에는 아무 것도 표시되지 않는다.
방향 입력부가 이 위치로부터 경로 ②를 따라 C11의 위치까지 이동한 것으로 가정하자. 도 13a 및 도 13b의 경우와는 달리, 도 14a 및 도 14b의 경우에서, 자음 및 모음은, 결정키를 이용하지 않고 방향 지시부의 방향 입력부의 이동에 의해 결정된다. 이 경우, 자음은 방향 입력부가 C0로부터 최초로 이동되는 위치인 Cx의 위치에 의해 선택 및 결정된다.
즉, 자음은 C1 내지 C12의 위치 중에서, 방향 입력부가 C0로부터 최초로 이동되는 위치에 의해 결정 및 선택된다. 그러나, 제1 위치에서 자음이 직접적으로선택되고 결정되는 경우에는, 자음을 잘못 선택했을 때 선택된 자음을 정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원주 상에서, 방향 입력부를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자음 재선택이 가능하고, 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모음 선택이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방향 입력부가 경로 ②를 따라 C11의 위치로 이동되면, 문자 "Sa"(1502)가 선택된다. 방향 입력부를 시계 방향으로 경로 ③을 따라 C10의 위치까지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면, 문자 "Ta"(1503)가 선택된다. 경로 ④를 따라 C9의 위치까지 방향 입력부를 더 이동시키면, 문자 "Na"(1504)가 선택된다. 이 때, 방향 입력부를 C0의 위치로 복귀시켜 방향 지시부의 출력 데이터를 "0h"로 복구시키면, 문자 "Na"가 출력된다.
방향 입력부가 C9의 위치로부터 경로 ⑤를 따라 C10의 위치로 이동하는 것으로 가정하자. C9의 위치로부터의 역이동시, C9의 "Na 열"의 자음이 결정된다. 방향 입력부를 C10의 위치로 이동시키면, 문자 "i"가 제2행 모음으로서 선택되고, 문자 "Ni"(1505)가 표시부 상에 표시된다. 방향 입력부를 경로 6를 따라 C11의 위치로 이동시키면, 문자 "Nu"(1506)가 표시부 상에 표시된다. 이 때까지, 아무런 문자도 결정되지 않는다.
방향 입력부를 경로 ⑦을 따라 C12의 위치로 이동시키면, 제4행 모음을 나타내는 문자 "Ne"(1507)가 표시된다.
C12의 위치로 이동되었던 방향 입력부가 경로 ⑧을 따라 C0의 위치로 복귀한 것으로 가정하자. 방향 입력부를 C0로 복귀시키면, C0로 복귀하기 직전의 위치에대응하는 문자 "Ne" -이 경우에서는 C12- 가 결정되고 입력된다.
도 15a 및 도 15b는 어떠한 결정키도 이용하지 않는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낸다. 이 방법은 잘못된 자음 선택이 수행되었을 때, 자음을 새롭게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도 14a 및 도 14b의 경우에서, 데이터 처리부는 방향 지시부의 데이터 C0, C10, C0를 연속적으로 판독하고, 문자 "Ta"를 결정 및 입력한다. 도 15a 및 도 15b의 경우의 동작에서, 일단 선택된 문자를 취소하고 초기 문자 입력 상태로 복귀하여, 자음 선택부터 새롭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초기에, 방향 지시부의 방향 데이터 입력부는 위치 C0(1601)에 있다. 이제, 입력부가 이 위치로부터 경로 2를 따라 위치 C10으로 이동한 것으로 가정하자. 이 때, 문자 "T"(1602)는 표시부 상에 표시되어 "Ta 열"이 선택되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선택이 잘못된 것임이 발견되면, 입력부는 원주 방향으로 더 이동하는 대신에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 C0로 복귀한다. 결과적으로, 초기 표시(1603)가 복구된다. 그 다음, 입력부를 경로 ④를 따라 위치 C1으로 이동시키면, 문자 "A"(1604)가 표시되어, "A 열"이 선택되었음을 나타낸다.
입력부를 원주 방향의 경로 ⑤ 또는 ⑤'를 따라 위치 C2 또는 C12로 이동시키면, 문자 "A" (즉, 가나 문자 "A")(1605)가 표시되어, 모음 "a"가 선택되었음이 표시된다. 그 다음 입력부가 이전 위치 C1을 통과하여 중심 위치 C0로 복귀하면, 초기 입력 상태, 즉 자음 선택 모드가 복구된다.
그 다음, 입력부를 위치 C1 또는 C12까지 이동시킨 후, 경로 ⑥ 또는 ⑥'를 따라 다음 위치 C3 또는 C11로 이동시키면, 문자 "I"(즉, 가나 문자 "I")(1606)가표시부 상에 표시되어, 제2행 모음 "i"가 선택되었음이 표시된다.
이 때 입력되어 표시될 문자를 결정하기 위해, 입력부는 위치 C1 또는 C11으로부터 경로 ⑦ 또는 ⑦'를 따라 위치 C0로 복귀한다. 결과적으로, 위치 C0 바로 앞의 위치에 할당된 문자, 즉 이 경우에서는 문자 "I"(1607)가 결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문자 입력 동작들은 방향 지시부의 유형 및 문자 정정의 방법에 따라 약간씩 다르지만, 이러한 동작들에서, 방향 데이터 입력부를 중심 위치로부터 원주 상의 위치로 이동시켜 자음이 입력된 다음, 그 위치에서 입력부를 원주 방향으로 더 이동시켜 모음이 입력되는 방식으로 일본어 문자가 입력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결정키를 가지는 방향 지시부를 이용하면, 자음 및 모음의 결정이 그 결정키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문자 입력 장치를 더 간단하게 하기를 원하는 경우, 결정키를 제거하고, 방향 지시만으로 문자를 입력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문자 입력에서 도 20에 도시된 결정키(2105)를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실현된다.
도 8a 및 도 8b는 문자 입력 루틴을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CPU는 방향 지시부의 출력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된 데이터에 따라 문자 입력을 수행한다.
방향 지시부의 방향 데이터 입력부는, 터치되지 않은 경우, 도 7에 도시된 위치 C0에 있다. 이 상태에서, 입력부는 위치 C0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 상태는 도 8a의 "시작" 단계 (단계 801)에 대응한다.
입력부를 이 상태에서 반경 방향의 경로 ②를 따라 위치 C11까지 이동시키면, 방향 지시부는 위치 C11을 나타내는 데이터 (예를 들어 "Bh")를 출력한다.
CPU는 포어링 처리(poring process) 또는 간격 타이머 처리를 항상 수행하여, 방향 지시부의 방향 데이터 입력부가 위치 C0로부터 위치 C1 내지 위치 C12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였는지를 모니터링한다 (단계 802).
CPU는 입력부의 이동을 검출하면, 자음 선택을 수행한다 (단계 803). 이러한 자음 선택 단계에서, CPU는 표시부 상에 현재 자음이 선택되어 있음을 표시하게 하지만 이 자음을 선택하지는 않는다.
그 다음, 방향 지시부의 입력부를 위치 C0로 복귀시킴으로써, CPU는 모음 "a"를 선택하고, 자음 "S"와 모음 "a"의 관계로부터 문자 "Sa"를 결정한다. 가타가나 입력 모드가 설정되면, 가타가나 문자 "Sa"가 결정된다.
상기 루틴에서, 입력부가 위치 C0로 복귀한 것을 검출하면 (단계 804), 자음의 결정 (단계 805) 및 모음 "a"의 결정 (단계 805)이 수행된다.
그러나, 도 7a의 경우에서, 입력부는 경로 ③을 따라 위치 C10으로 이동된다. 즉, 입력부는, 원주 상에서 방향 지시부의 출력 데이터 위치 Cx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루틴은 자음 선택 모드로 복귀하고 (단계 803), 전술한 것과 같은 동일한 체크가 수행된다. 입력부가 경로 4 및 경로 5를 따라 위치 C10으로 이동한 것으로 검출되면, CPU는 모음 "i"를 선택한다 (단계 809).
입력부를 위치 C10으로부터 경로 6을 따라 위치 C11까지 이동시키면, CPU는 모음 선택을 다시 수행하여, 이번에는 "u"를 선택한다. 입력부를 경로 ⑦을 따라 위치 C12까지 더 이동시키면, CPU는 모음 선택을 수행하여, "e"를 선택한다.
그 다음, 입력부를 경로 ⑧을 따라 위치 C0까지 복귀시키면 (단계 810), CPU는 직전의 위치, 즉 위치 C12에 대응하는 모음을 결정하고 (단계 811), 자음 "N"과 모음 "e"를 조합하여 문자 "Ne"를 결정한다 (단계 813).
도 8b는 입력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모음을 선택하는 단계 809를 나타낸다.
이 단계에서, CPU는 방향 지시부의 출력 데이터 위치 (입력부가 자음 결정 위치로부터 이동한 위치) 에 대응하는 모음을 선택한다.
특히, 방향 지시부의 방향 데이터 입력부가 위치 C0로부터 위치 Cx로 이동한 후, 위치 C0로 되돌아가면, CPU는 모음 "a"를 선택한다. 입력부를 위치 Cx에서 시계 방향으로 1단계 이동시키면 (단계 80901), CPU는 "i"를 선택한다 (단계 80905). 입력부를 2단계 이동시키면 (단계 80902) "u"가 선택된다 (단계 80906). 입력부를 3단계 이동시키면 (단계 80903), "e"가 선택된다 (단계 80907). 입력부를 4단계 이동시키면 (단계 80904), "o"가 선택된다 (단계 80908).
상술한 바와 같이, CPU는 자음 및 모음을 선택하고, 방향 지시부의 출력 데이터 위치의 변화에 따라 일본어 문자를 입력한다. 결정키를 사용하지 않는 상이한 문자 입력 방법이 도 9 내지 도 11a와 도 11b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방법은 새로운 자음 선택을 허용하며, 도 11a 및 도 11b는 관련 루틴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본 방법에서, 모음 선택 모드가 아직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자음의 재선택이 가능하다.
초기 상태는 도 11a의 "시작" 단계 (단계 1101)에 대응한다. 이것은 방향 지시부의 방향 데이터 입력부가 도 9의 위치 C0에 있음을 의미한다.
입력부를 위치 C0에서 위치 Cx로 이동시키면 (단계 1102), CPU는 그 위치에대응하는 자음을 선택한다 (단계 1103). 도 9에서, Cx의 x가 10이라고 가정하면 (x=10), 이것은 입력부가 위치 C0로부터 경로 ②를 따라 이동한 위치인 위치 C10에 대응하는 자음 "T"의 열을 CPU가 선택했음을 의미한다.
그 다음, 입력부가 위치 Cx로부터 중심 위치 C0로 직접적으로 복귀한 경우, 즉 경로 ③을 따라 중심 위치 이외의 다른 어떠한 위치 Cn(n≠x, n≠0)도 통과하지 않고 복귀한 경우 (단계 1104), 루틴은 단계 1102로 복귀하고, 자음 선택이 다시 수행된다.
그러나, 입력부가 위치 Cx로부터 원주 상의 상이한 위치 Cn(n≠x, n≠0)으로 이동한 것이 검출된 경우 (단계 1105), CPU는 위치 Cn에 대응하는 모음을 선택한다 (단계 1106).
도 9의 예시에서, 방향 지시부의 입력부는 중심 위치 C0로부터 경로 ④를 따라 위치 C1까지 이동한 후, 경로 ⑤ 및 ⑥을 따라 위치 C3까지 이동한다. 이 경우, 우세한 자음의 "A 열"이 결정되어 표시부에 문자 "I"를 표시하고, 그 열에 대한 "i" 모음이 선택된다.
입력부를 경로 ⑦을 따라 위치 C0으로 복귀시키면, 방향 지시부는 위치 C0를 나타내는 데이터 "0h"를 출력하고 (단계 1108), CPU는 모음 결정을 수행하여, 결정된 모음 및 자음으로부터 50-문자 세트의 문자를 결정한다 (단계 1109).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루틴에서, 최초로 선택된 자음은 입력부의 이동 방향에 따라 대체되지 않는다. 즉, 자음 선택후, 원주 상에서의 입력부의 이동은 모음을 선택하게 한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음은 자음 결정 위치로부터의 이동 단계 수에 따라 선택된다. 따라서, 도 9의 예에서 위치 C1에 대응하는 자음 "A"가 선택된 후, 경로 ⑤ 및 ⑥을 따른 이동에 의해 입력된 문자와 동일한 문자가, 경로 ⑤' 및 ⑥'을 따라 입력될 수 있다.
도 10은 이동 단계에 따른 모음 선택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입력부를 위치 C0으로부터 위치 C11로 이동시켜 자음 "S"를 선택한 후, 입력부를 3단계 이동시킨 후, 즉 C12, C1 및 C2, 또는 C10, C9 및 C8로 연속적으로 이동시킨 후, 위치 C0으로 복귀시키면, CPU는 문자 "Su"를 입력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입력부를 위치 C0에서 위치 C5로 이동시켜 자음 "R"을 선택한 후, 입력부를 2단계 이동시킨 후, 즉 C6 및 C7, 또는 C4 및 C3 순서로 이동시킨 후, 위치로 복귀시키면, CPU는 문자 "Ri"를 입력한다.
도 12는 또 다른 루틴의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자음 및 모음의 결정은 결정키를 이용함으로써 더 간단해진다.
이 루틴은,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엄지 손가락에 의해 방향을 입력하고 집게 손가락에 의해 문자를 결정함으로써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장치에 적용될 때 효율적이다.
초기에, 즉 "시작" 단계 (단계 1201)에서, 방향 데이터 입력부(1702)는 위치 C0에 있다. CPU는 항상 포어링 처리를 실행하여, 방향 지시부의 출력 데이터를 모니터링한다. 방향 지시부가 C0 이외의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CPU는 표시부 상에 선택된 자음을 나타냄으로써, 선택된 자음을 보여준다 (단계 1203).
결정키(1701)를 누르면, CPU는 MAKE 인터럽션을 생성한다. 키(1701)를 해제하면, CPU는 BREAK 인터럽션을 생성한다.
CPU는 MAKE 인터럽션을 수신하면 (단계 1204), 자음을 선택한다 (단계 1205). 그 다음, CPU는 방향 지시부의 출력 데이터를 판독하고 (단계 1206), 그 출력 데이터의 위치에 대응하는 모음을 선택한다.
결정키를 해제함으로써 BREAK 명령이 수신되면, CPU는 모음을 선택하고 (단계 1209), 그 결정된 자음 및 모음으로부터 일본어 문자를 선택한다 (단계 1210).
전술된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방향 지시부를 이용하는 문자 입력 방법들이 설명될 것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방향 지시부의 일례의 구조 및 동작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지시부는 2단계로 누를 수 있는 스틱(2301)을 포함한다. 장치는 각각의 경사각에 대응하는 두 가지 종류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스틱은 2개의 단계에서 원하는 각도로 기울여지는 구조를 가진다. 2 경사각 간의 차이는 2개의 각 중 하나를 다른 각의 절반으로 설정함으로써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큰 경사각이 60도로 설정되면, 작은 경사각은 약 30도로 설정될 수 있다.
도 22c는 상기 예에 대한 대안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서,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링형 부재(2303)가 스틱(2301)을 둘러싸도록 제공된다. 도 2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틱을 약간 기울여서, 스틱이 링형 부재와 접촉하게 되면 저항이 느껴진다. 도 2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큰 힘으로 스틱을 더 기울이면, 링형 부재가 변형되어 클릭감을 제공한다.
도 23a 및 도 23b는 방향 지시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방향 지시부는 패드형 구조를 가지며, 주변부를 누르면 방향을 지시한다. 특히,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지시부는, 원주 상에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스위치(2402)를 가지는 디스크형 기판(2405)을 포함한다. 이러한 복수의 스위치들은 기판의 상면에 제공되며 반경 방향으로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한 쌍의 와이어 접촉부(2403, 2404)를 가진다. 스위치(2402)는 도전성 부재(2406)를 이용하여 위에서 누르면 폐쇄된다. 이러한 방향 지시부에서, 지시된 방향은 스위치들 중 대응하는 하나의 스위치의 전기적 접속을 확인함으로써 검출된다.
도전성 부재들은 도전성 고무 등의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눌렀을 때 스위치 접촉부와 접촉되어 스위치를 턴온시킬 수 있는 한 다른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도 23c 및 도 23e는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된 예의 변경을 도시한다. 이 방향 지시부는 스위치 접촉부와 접촉되는 돌기 형태의 도전성 부분들을 가진다. 특히, 도 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디스크형 패드(2407), 외부 도전성 부분(2408), 내부 도전성 부분(2409), 외부 접촉부(2410) 및 내부 접촉부(2411)를 포함한다. 도전성 부분들은 접착제 등에 의해 패드에 도포될 뿐, 접촉되지는 않는다.
외부 및 내부 도전성 부분들은 상이한 길이 또는 관계된 치수를 가지며, 외부 도전성 부분들이 약간 큰 치수를 가진다. 이러한 배열은, 도 2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를 일정한 방향으로 약간 기울이면, 대응하는 외부 도전성 부분이 관련된 외부 접촉부에 접속되고, 도 2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를 더 기울이면 대응하는 내부 도전성 부분이 관련된 내부 접촉부에 접속되는 구성을 가진다.
도 23a에 도시된 방향 지시부에서, 접촉부는 직경 방향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중심 노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위치들은, 도전성 부재가 대응하는 접촉부에 충분히 접속될 때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도 23f는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된 예의 변경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방향 지시부에서, 연장된 시트형 도전성 부분들은 변형된 형태로 패드에 도포된다. 특히, 방향 지시부는 패드(2412), 도전성 부분(2413), 외부 접촉부(2414) 및 내부 접촉부(2415)를 포함한다.
각각의 도전성 부분들을, 그 변형부의 정상이 관련된 내부 접촉부 바로 위에 있도록 각각 도포될 수 있다. 도 2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렇게 함으로써, 패드를 약간 기울이면 접촉 부분이 내부 접촉부에 접속하게 되고, 패드를 더 기울이면 도전성 부분이 외부 접촉부에 접속하게 된다.
도 24a 및 도 24b는 방향 지시부의 출력 데이터의 방향 지시의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것은 각각의 경사각에 대응하는 2가지 종류의 출력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4a에 도시된 예에서, 방향 지시부는 각각의 방향에 할당되어 대응 방향이 지시되면 1로 변환되는 12 비트와 경사각 식별에 할당된 그 외의 비트들로 이루어진 데이터를 출력한다. 경사각이 작을 때 최상위 비트는 "0"이고, 경사각이 클 때 최상위 비트는 "1"이다.
도 24b의 예에서, 하드웨어 배선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위치 번호 할당은 지시되는 방향을 엔코딩함으로써 이루어지고, 방향 지시부는 방향 지시 및 경사각 식별에 대해 5비트로 이루어진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예에서, 최상위 비트는 경사각 식별에 할당된다. 도 24b에 도시된 예와 마찬가지로, 경사각이 작을 때 최상위 비트는 "0"이고, 경사각이 클 때 최상위 비트는 "1"이다.
상기 방향 지시부를 이용하면, 문자 입력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우선 방향 데이터 입력부를 지시된 방향으로 약간 기울이면, 결정될 자음을 선택하기 위한 자음 선택 모드가 설정된다. 결정될 자음이 선택되면, 입력부는 증가된 힘으로 기울어져 자음을 결정하고, 모음을 선택하기 위한 모음 선택 모드가 결정된다.
더 큰 힘으로 입력부를 눌러서 입력 부분을 중심 위치로 복귀시키면, 자음 선택 모드가 스위칭되는 대신에 다시 설정될 수 있다. 자음에 대한 방향 할당은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경우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특히, 모음 선택에 있어서, 방향 데이터 입력부를 자음 결정 위치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대신, 방향 데이터 입력부를 중심 위치로 복귀시키면 제1행 모음 "a"가 결정되고, 자음 결정 위치로부터 입력부를 원주 방향으로 1단계 이동시키면 제2행 모음 "i"가 결정되며, 1단계 더 이동시키면 모음 "u"가 선택되고, 1단계 더 이동시키면 모음 "e"가 선택되며, 거기에서 1단계 더 이동시킴으로써 모음 "o"가 선택된다. 원주 상에서 양 방향, 즉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결정될 자음이 선택되면, 연속적인 동작 없이, 방향 데이터 입력부를 해제시킴으로써, 즉 입력부를 중심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자음이 결정될 수 있다. 방향 지시부가 큰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모음 선택 모드동안, 방향 지시부가 실수로 작은 각도로 기울어지는 경우, 다시 큰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복귀시킴으로써 연속적인 모음 선택 모드가 가능하다. 자음 및 모음이 결정되면, 이러한 데이터들로부터 일본어 문자가 결정된다.
자음 및 모음을 독립적으로 입력하기 위해, 결정키 대신에 두 단계로 기울일 수 있는 방향 데이터 입력부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방향 지시부가 중심 위치에 있는 동안 버튼을 누르는 느낌으로 누름으로써 누름 출력을 얻을 수 있게 하는 방향 지시부를 제공함으로써, 문장 입력에서 자주 사용되는 행 재생키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는 일본어 문자를 쉽게 입력할 수 있게 하며, 문단 종료시 행 재생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두 단계의 경사각을 검출할 수 있는 방향 지시부를 이용하면, 이러한 유형의 휴대 단말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능일 것으로 예상되는 커서 이동과 표시 스크롤링을 스위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방향 데이터 입력부를 작은 각도만큼 기울임으로써 얻어지는 커서 이동과, 입력부를 큰 각도만큼 기울임으로써 얻어지는 고속 표시 스크롤링 모드의 스위칭이 가능하다.
도 25a는 입력부를 작은 각도만큼 기울임으로써 얻어지는 커서 이동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5b는 입력부를 큰 각도만큼 기울임으로써 발생되는 표시 스크롤링 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문자 세트는 원하는 문자 및 기호를 M열과 N행의 행렬 형태로 배열함으로써 형성되고, 스틱 등의 축 데이터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문자의 열과 행을 입력함으로써 축을 지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휴대 단말용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에 응용되는 경우, 문자, 특히 일본어 가나 문자가 더 적은 공간으로 쉽게 입력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일본어 가나 문자는 자음 및 모음으로 분해되어 입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음에 할당된 10개의 상이한 방향 위치 및 자음 판정 위치로부터의 이동에 의해 커버되는 모음 선택을 위한 5개의 상이한 간격만을 기억하고 있으면 된다. 따라서, 장치에 익숙해진 사용자는 문자를 직관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즉, 표시를 참조하지 않고서도 문자를 직관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방향을 검출할 수 있는 방향 지시부가 문자 선택에 사용되는 경우, 터치 패널 시스템 등의 문자 기입펜이나 10-키 시스템에서와 같은 문자 선택에서의 10-키에 대한 기준은 불필요하다.
또한, 버튼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문자를 결정하는 경우, 문자의 선택 및 결정은 한 손으로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버튼 스위치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문자 입력 장치의 필요 공간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방향 지시부의 경사 방향이 문자 세트 내의 자음에 할당되는 경우, 방향 지시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자음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동 간격이 모음에 할당되는 경우, 방향 지시부의 방향 지시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자음 및 모음의 조합인 일본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이용하면, 한 손 또는 한 손가락으로 문자 입력을 실행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구성의 변화, 변경 및 실시예가 이루어질 것이다. 상기의 명세서와 첨부된 도면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명세서는 제한의 목적이 아닌 설명의 목적으로 제공된 것임을 알아야 한다.

Claims (22)

  1. 휴대 단말용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에 이용되는 문자 세트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문자 및 기호를 M행, N열의 행렬의 형식으로 배치한 문자 세트와 그 좌표와의 변환표를 기억시켜 상기 좌표에서 문자로의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및
    위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행렬의 좌표를 소정의 순서로 지정함으로써 각 문자 및 기호를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세트는 50개 문자 세트의 가나 문자(Kana letters)를 열과 행의 행렬 형식으로 배열함으로써 얻어지고,
    상기 열 각각은 동일한 자음에 의해 할당된 문자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행 각각은 동일한 모음의 문자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호는 탁점과 반탁점을 포함하는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세트는 로마자 알파벳 문자, 숫자 및 기호를 행렬 형식으로 배열함으로써 형성되는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
  4. 휴대형 단말용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반경을 가지며 기준 위치에 자음을 가진 원에서 균일하게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즉, m개의) 방향 지시 위치를 갖는 방향 지시부 - 상기 방향 지시부는,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2차원 평면의 반경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이동된 후 기준 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포인터를 포함하며, 상기 포인터가 먼저 반경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방향 지시 위치, 및 상기 포인터가 원주 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되기 전에 위치되는 제2 방향 지시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검출된 방향 지시 위치의 위치 데이터를 출력함 -;
    문자 세트가 내부에 저장된 메모리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방향 지시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위치 데이터로부터 문자 코드를 발생시키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발생된 문자 모드를 표시하는 표시부
    을 포함하는 휴대형 단말용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지시부의 입력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버퍼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단말용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문자 세트가 저장되며,
    상기 각각의 문자 세트를 선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휴대형 단말용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세트 중 하나의 세트는 50개 문자 세트의 가나 문자를 열과 행의 행렬 형식으로 배열함으로써 얻어진 M열 N행 행렬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열 각각은 동일한 자음에 의해 할당된 문자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행 각각은 동일한 모음의 문자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호는 탁점과 반탁점을 포함하며,
    상기 방향 지시 위치는 상기 문자 세트의 각각의 행에 각각 할당되는 휴대형 단말용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세트 중 하나의 세트는 로마자 알파벳 문자, 숫자 및 기호를 M열 N행으로 배열함으로써 얻어지는 휴대형 단말용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방향 지시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위치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진 상기 제1 방향 지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문자 세트의 행을 선택하는 휴대형 단말용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방향 지시부로부터의 상기 제2 방향 지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의 수신 시, 이 위치 데이터와 상기 제1 방향 지시 위치를 나타내는 이전에 수신된 위치 데이터간의 차이로부터 상기 포인터의 원주 방향 이동 간격을 검출하고, 상기 문자 세트의 행을 선택하며, 결정 신호의 수신 시, 상기 선택된 상기 문자 세트의 열과 행을 조합하여 상기 문자 세트의 특정 문자 또는 기호의 코드를 출력하는 휴대형 단말용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지시부는 상기 포인터의 이동중에 위치 데이터를 계속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1 방향 지시 위치의 상기 위치 데이터의 수신 시, 상기 제1 방향 지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문자 세트의 행을 나타내는 코드, 예를 들어 동일한 행의 제1 열의 문자가 표시부 상에 표시되게 하고,
    상기 표시된 문자 세트의 행의 결정 후에, 상기 포인터의 이동 간격에 의해 결정된 열을 나타내는 문자가 상기 표시부 상에 연속적으로 표시되게 하며,
    상기 표시된 문자의 결정 시, 상기 동일한 표시 문자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휴대형 단말용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포인터가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의 이동을 개시하여 상기 제1 방향 지시 위치에 도달한 후에 소정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행 선택 모드 지시로 하여금 경유하는 방향 지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문자 세트의 행을 나타내는 문자들이 상기 표시부 상에 연속적으로 표시되게 하고,
    상기 포인터가 일단 정지된 후에 역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전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일단 정지되는 상기 방향 지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문자 세트의 행을 결정하고, 행 선택 모드가 셋업되었음을 결정하고, 상기 포인터의 이동 간격에 대응하는 행을 나타내는 문자들의 연속적인 표시를 발생시키며,
    상기 포인터가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되면, 일반적인 표시 행이 결정되었다고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열과 행에 대응하는 문자의 신호를 출력하는
    휴대형 단말용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지시부는, 상기 포인터가 이동되는 동안에 상기 제1 및 제2 방향 지시 위치 및 그 조합이 결정될 때, 상기 결정 내용을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게 통지하는 결정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형 단말용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지시부는 두 개의 동심원 상에 균일하게 이격된 복수의 방향 지시 위치를 가진 포인터 메카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포인터 메카니즘은, 중심 위치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경사질 때, 각각의 방향 지시 위치를 단계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휴대형 단말용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지시부는,
    두 개의 서로 다른 경사각에 따라 열 입력 모드와 행 입력 모드간에 전환될 수 있으며,
    작은 각도로 경사질 때는 열 입력을 행하고,
    큰 각도로 경사질 때는 행 입력을 행하며,
    상기 작은 각도로 경사진 상태에서의 열 선택중에 상기 큰 각도로 경사지면 열 결정을 행하고,
    다시 상기 큰 각도로 경사질 때 행 선택을 행하며,
    추후에 상기 중심 위치로 복귀될 때는 행 결정을 행하고,
    상기 결정된 열과 행을 조합함으로써 일본어 가나 문자의 입력을 행하는 휴대형 단말용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지시부는,
    상기 열 입력 시에 상기 일본어 가나 문자 세트의 자음을 입력하고,
    상기 행 입력 시에 상기 일본어 가나 문자 세트의 모음을 입력하는 휴대형 단말용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지시부는,
    상기 열 입력 시에 로마자 알파벳 문자 세트의 문자를 입력하고,
    상기 행 입력 시에 상기 입력된 문자들의 순서를 입력하는 휴대형 단말용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
  1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지시부의 문자 입력 동작 및 커서 동작을 상호간에 전환시키는 버튼 등의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단말용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지시는, 상기 커서 동작용으로 사용될 때의 경사 각도에 따라, 커서 이동 모드 및 표시 스크롤 모드를 셋업하도록 전환될 수 있으며,
    상기 커서 이동 모드는 상기 방향 지시부를 작은 각도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셋업되고,
    상기 표시 스크롤 모드는 상기 방향 지시부를 큰 각도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셋업되는 휴대형 단말용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지시부가 상기 커서 동작용으로 사용될 때, 상기 표시 동작에 관한 명령을 입력하는 상기 포인터의 경사 각도에 따라 상기 커서의 이동 범위가 변화되는 휴대형 단말용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지시부는, 상기 포인터의 경사 각도를 클릭감(feel of click)으로 알 수 있도록 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휴대형 단말용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지시부는, 상기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포인터가 방향 지시 위치에 도달할 때마다 사용자에게 클릭감을 제공하는 구조를 가진 휴대형 단말용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
KR1019990049590A 1998-11-10 1999-11-10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KR1003570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937298A JP3597060B2 (ja) 1998-11-10 1998-11-10 携帯端末用日本語文字入力装置と文字入力方法
JP1998-319372 1998-1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612A KR20000047612A (ko) 2000-07-25
KR100357013B1 true KR100357013B1 (ko) 2002-10-19

Family

ID=18109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590A KR100357013B1 (ko) 1998-11-10 1999-11-10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963332B1 (ko)
JP (1) JP3597060B2 (ko)
KR (1) KR1003570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8787B2 (en) 2005-10-10 2011-0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haracter-input method and medium and apparatus for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55142A (en) * 1999-10-08 2001-04-11 Nokia Mobile Phones Ltd Portable device having menu driven input
KR20010107477A (ko) * 2000-05-27 2001-12-07 김종길 문자 또는 숫자의 입력이 가능한 조이스틱
KR100498323B1 (ko) * 2001-01-16 2005-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수문자 선택방법
US6947062B2 (en) * 2001-07-23 2005-09-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eamlessly combined freely moving cursor and jumping highlights navigation
JP2003173234A (ja) * 2001-09-28 2003-06-20 Yasuo Ochi 入力装置、入力装置付き情報機器、および情報機器用の外付け入力装置
AU2003252548A1 (en) * 2002-08-16 2004-03-03 Hoon-Kee Kang 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using a software keyboard
KR100647276B1 (ko) * 2002-10-26 2006-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및 문자입력장치
KR100525470B1 (ko) 2003-02-14 2005-11-23 오의진 입력키가 손가락의 이동반경 내에 위치되어 있는입력장치와 이를 사용한 명령 입력방법
WO2005064445A1 (en) * 2003-12-23 2005-07-1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tering data with a four way input device
KR101008632B1 (ko) * 2004-01-16 2011-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문자 입력장치
KR100638585B1 (ko) * 2005-03-23 2006-10-26 엔에이치엔(주) 문자 입력 장치 및 상기 문자 입력 장치에서의 문자 입력방법
KR100678196B1 (ko) * 2005-08-18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배열 및 입력방법
KR20070050306A (ko) * 2005-11-10 2007-05-15 오의진 정보기기용 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KR100749805B1 (ko) * 2005-12-01 2007-08-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향선택 입력기를 이용한 키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0678922B1 (ko) * 2005-12-05 2007-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773404B1 (ko) 2006-02-23 2007-11-05 정상모 디지털 처리 장치의 입력 장치 및 방법
JPWO2007142123A1 (ja) * 2006-06-02 2009-10-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入力装置及び入力方法
CA2659205A1 (en) * 2006-07-26 2008-01-31 Eui-Jin Oh Character input device and its method
RU2450318C2 (ru) * 2006-07-26 2012-05-10 Ей-Джин ОХ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символов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KR20080010267A (ko) * 2006-07-26 2008-01-30 오의진 문자입력장치
JP4891717B2 (ja) * 2006-09-26 2012-03-07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ローマ字入力装置、電子機器、ローマ字入力方法及びローマ字入力プログラム
CN101568894B (zh) * 2006-10-23 2012-07-18 吴谊镇 输入装置
JP2010518529A (ja) * 2007-02-13 2010-05-27 ユイ・ジン・オ 文字入力装置
JP2010518530A (ja) * 2007-02-13 2010-05-27 ユイ・ジン・オ 文字入力装置
JP5285863B2 (ja) * 2007-03-06 2013-09-11 任天堂株式会社 情報選択装置、情報選択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WO2008108610A1 (en) * 2007-03-08 2008-09-12 Eui Jin Oh Character input device
WO2008140228A2 (en) * 2007-05-09 2008-11-20 Eui Jin Oh Character input device
US8525779B2 (en) * 2007-12-05 2013-09-03 Eui Jin OH Character input device
KR101405998B1 (ko) * 2007-12-17 2014-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와 그 방법
KR20090073997A (ko) * 2007-12-31 2009-07-03 오의진 데이터입력장치
US8667413B2 (en) * 2008-02-14 2014-03-04 Creative Technology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ation input in an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US8406816B2 (en) * 2009-02-03 2013-03-26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virtual rotary dial pad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195317B2 (en) * 2009-02-05 2015-11-24 Opentv, In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user interface for text and item selection
WO2011057586A1 (zh) * 2009-11-16 2011-05-19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利用方向操作输入字符的方法和装置
KR101169849B1 (ko) * 2009-12-30 2012-07-30 김성림 문자표시방법
US20140104179A1 (en) * 2012-10-17 2014-04-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Keyboard Modification to Increase Typing Speed by Gesturing Next Character
JP7233399B2 (ja) * 2020-06-23 2023-03-06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8590A (ja) 1986-08-29 1988-03-14 Fujitsu Ten Ltd ベクトルパタ−ン入力装置
US4910503A (en) * 1987-06-15 1990-03-20 Brodsky Stephen L Multi-function input device and system
JPS6417113A (en) 1987-07-10 1989-01-20 Micro Joho Keikaku Kk Input method for word processor, computer or the like
US4872196A (en) * 1988-07-18 1989-10-03 Motorola, Inc. Telephone keypad input technique
JPH02101633A (ja) 1988-10-07 1990-04-13 Fujitsu Ltd 書き換え可能光ディスクの固定化方法
JPH05341903A (ja) 1992-06-08 1993-12-24 Sony Corp 文字情報入力装置
JP3157304B2 (ja) * 1992-09-22 2001-04-16 富士通株式会社 仮想キーボード
JPH06131095A (ja) 1992-10-15 1994-05-13 Ricoh Co Ltd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による日本語入力方式
JPH06161433A (ja) 1992-11-20 1994-06-07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文字入力機能付電子楽器
JPH06202807A (ja) 1992-12-28 1994-07-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文字入力表示装置
JP3454482B2 (ja) * 1993-10-26 2003-10-06 キヤノン株式会社 携帯用情報装置
JPH07129294A (ja) 1993-11-02 1995-05-19 Alps Electric Co Ltd 文字入力装置
JPH07168658A (ja) 1993-12-16 1995-07-04 Nec Corp 文字入力装置および方法
JPH10163953A (ja) * 1996-11-29 1998-06-19 Sony Corp 情報入力装置およびカーソル移動装置、ならびに、これらを使用した携帯電話装置
JPH10187343A (ja) 1996-12-20 1998-07-14 Casio Comput Co Ltd データ入力装置
US6496181B1 (en) * 1997-10-03 2002-12-17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obile Llc Scroll select-activate button for wireless terminals
US6225980B1 (en) * 1998-02-06 2001-05-01 Carnegie Mellon University Multi-functional, rotary dial input device for portable computers
US6011542A (en) * 1998-02-13 2000-01-04 Sony Corporation Graphical text entry wheel
JP3191284B2 (ja) * 1998-06-23 2001-07-23 日本電気株式会社 文字入力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8787B2 (en) 2005-10-10 2011-0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haracter-input method and medium and apparatus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97060B2 (ja) 2004-12-02
JP2000148358A (ja) 2000-05-26
KR20000047612A (ko) 2000-07-25
US6963332B1 (en) 2005-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7013B1 (ko)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US6567072B2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EP1183590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8320959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employing a multiple-axis input device and providing a learning function in a text disambiguation environment
KR100950033B1 (ko) 전자기기용 숫자 키패드의 키를 조작하여 텍스트를 입력하는 장치 및 텍스트의 입력 중에 입력 임펄스를 처리하는 방법
JP2005301322A (ja) 入力装置、携帯電話機及び携帯情報機器
WO2004063833A9 (en) Data input by first selecting one of four options then selecting one of eight directions to determine an input-character
JP2002333951A (ja) 入力装置
JP2002342011A (ja)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デバイス、文字入力プログラム及びかな漢字変換プログラム
JP6740389B2 (ja) ハンドヘルド電子デバイスのための適応的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US7414614B2 (en) User interface
JP2004206206A (ja) 入力装置及び電子装置
KR100835337B1 (ko)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US9075449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employing a multiple-axis input device and selectively disabling disambiguation
JPH11327762A (ja) マウス機能付きキー入力装置
JP2003263264A (ja) 文字入力装置、および文字入力方法
KR100469704B1 (ko) 트랙볼을이용한휴대폰사용자인터페이스장치
JP2000089896A (ja) コード入力装置
KR20110004863A (ko) 12키 qwerty 문자 입력방법
RU2450318C2 (ru)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символов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US20080010055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Employing a Multiple-Axis Input Device and Providing a Prior Variant List When Employing a Disambiguation Routine and Reinitiating a Text Entry Session on a Word
JP2004348608A (ja) 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JP3766695B6 (ja) 画面表示式キー入力装置
JP3766695B2 (ja) 画面表示式キー入力装置
TW413779B (en) Touch screen type keyboard in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