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9849B1 - 문자표시방법 - Google Patents

문자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9849B1
KR101169849B1 KR1020090133545A KR20090133545A KR101169849B1 KR 101169849 B1 KR101169849 B1 KR 101169849B1 KR 1020090133545 A KR1020090133545 A KR 1020090133545A KR 20090133545 A KR20090133545 A KR 20090133545A KR 101169849 B1 KR101169849 B1 KR 101169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length
consonant
displayed
l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3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7085A (ko
Inventor
조윤호
Original Assignee
김성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림 filed Critical 김성림
Priority to KR1020090133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9849B1/ko
Priority to JP2012547020A priority patent/JP2013516673A/ja
Priority to PCT/KR2010/009446 priority patent/WO2011081419A2/ko
Priority to US13/519,615 priority patent/US8818812B2/en
Publication of KR20110077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7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9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9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문자표시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시침의 길이와 그 방향에 따라 각 자음을 배정한 초성과 분침의 길이와 그 방향에 따라 각 모음을 배정한 중성 및 초침길이를 형상화하되 상기 초성과 같이 자음을 배정하되 그 길이를 가장 짧게 표시한 종성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자음과 모음을 초성, 중성, 종성의 조합 원리에 따라 조합하여 음절을 발생시키는 문자표시방법으로, 보다 빠르게 글을 읽거나 쓰고 익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쉽게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유노문자, 해글, 줄글, 첨글, 뭉치글, 문자표시, 시침, 분침, 속기, 속독

Description

문자표시방법{CHARACTER DISPLAY METHOD}
본 발명은 문자표시에 관한 것으로, 시계의 시침과 분침 그리고 초침에 각각 초성과 중성 그리고 종성을 배치하여 표기함으로써 보다 쉽고 빠르게 글을 쓰거나 읽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쉽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 문화의 독자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예가 바로 한글로서, 그 효용성은 다른 문자와 비교할 수 없다.
예를 들면 한자는 표의문자이므로 모든 글자를 다 외워야 하지만 한글은 영어와 마찬가지로 표음문자이므로 배우기가 쉽다.
그래서 한글은 아침글자라고도 불린다. 모든 사람이 단 하루면 배울 수 있다는 뜻이다. 10개의 모음과 14개의 자음을 조합할 수 있기 때문에 배우기 쉽고 24개의 문자로 약 8,000음의 소리를 낼 수 있다. 즉, 소리나는 것은 다 쓸 수 있다.
일본어는 한자를 모방한 문자이기 때문에 한자 없이 독자적인 문자 수행이 어렵고 또, 한자는 너무나 배우기 어렵다. 한때 중국정부는 은밀히 학자들을 미국에 파견해 한자의 알파벳화를 연구한 적이 있다. 그것은 한자가 너무 어렵기 때문에 문맹율이 높고 그것이 국가 경쟁력 약화를 초래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한국인들은 한국어로만 말하고 쓰는 완벽한 언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기성세대는 한자를 섞어 사용하고 심지어 일부 교수들은 한자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중국 정부조차 21세기의 미래 언어로서 약점을 인정한 한자에 대해 이러한 주장을 하는 것은 한마디로 시대 착오이며 한글의 세계화에 역행하는 자세가 아닐 수 없다.
라틴어는 카톨릭의 공식언어로 사용되었다. 관습상 또는 종교적 권위를 위해 그 의미조차 알지 못하는 사람들에게도 사용되었다. 그러나 지금 서구에서 라틴어는 사라져 가는 언어일 뿐이다.
로마자가 불완전한 것도 두말할 필요 없다. 로마자 표기에 대해 우리 나라에서 유독 갈팡질팡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 대표적인 것이 거의 완벽한 한글에 비해 로마자는 표현할 수 없는 음이 너무 많아서 어떤 수를 써도 한글로 쓴 것을 누구나 인정할 정도로 표현할 수 없기 때문이다. 만약 우리 한글이 로마자보다 시원찮은 문자라면 오히려 한 번 정해진 로마자 표기에 모두들 감탄하기 바빠서 딴죽을 걸지 않았을 것이다.
로마자가 지닌 결정적인 약점은 모음이다. A, E, I, O, U 다섯 글자 밖에 없다. 이를 보완하는 게 반자음인 W, Y이다. 그러니 한글로는 간단히 표시되는 `ㅓ, ㅕ, ㅡ, ㅢ` 등은 원천적으로 표기 불가능하다. `ㅐ, ㅒ, ㅚ` 등도 불가능하다.
로마자는 어지간한 전문가가 아니면 음절 구분을 못한다. 한글은 바보라도 할 수 있다. 다른 말로 바꿔 말하면 한글을 아는 사람은 바보라도 로마자 아는 천재와 같은 급이 된다는 말이다. 음소 문자이면서 음절 문자의 장점을 그대로 갖고 있는 것이다.
21세기는 정보화 사회다. 즉 정확한 정보의 양과 질이 국가 경쟁력을 좌우한다는 말이다. 문맹의 퇴치가 정보화 사회를 주도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어가 아닌 언어를 쓰지만 문자가 없는 민족에 한글을 표기 문자로서 보급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다른 언어들은 한국어와 음운 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우연히 한국어와 비슷한 음운 구조를 갖고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한글로 그 언어를 표기하더라도 한글 맞춤법과는 다른 정서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글은 초성+중성+종성의 CVC 음절 구조를 쓰는 한국어를 기초로 모아쓰기 방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풀어쓰기를 하지 않는 한 자음군(영어 단어 strike의 str 같은 경우)이나 이중 모음을 표현하는 데에 매우 취약하다. 이러한 점을 무시할 경우, 모든 자음에 모음 "ㅡ"와 소리값 없는 어두의 "ㅇ"을 잉여적으로 표기하는 것을 감수해야 한다. 풀어쓰기를 할 경우에도 모음 문자와 자음 문자의 공간 조형성이 서로 달라 단순 배열할 경우 시각적으로 상당한 저항이 있기 때문에 일부 문자의 변형이 불가피하다.
이러한 글자 모양의 변형이 이루어질 경우, 그것은 대다수 한국인에게 익숙 한 한글 지식과는 동떨어진, 한글을 기초로 한 신문자 또는 한글 파생 문자가 될 뿐이다.
또한 특정 언어가 어떤 문자를 사용하느냐 하는 문제는 정치나 종교적인 문제와 결부되는 특징이 있다. 구 소비에트 연방 지역에서 사용되는 소규모 언어들이 소련 붕괴 이후 키릴 문자에서 로마자로 표기 체계를 바꾸는 것은 주로 정치적인 이유(소련의 지배에 대한 반감) 때문이며, 이슬람교 문화권의 언어들이 종종 아랍 문자로 표기되는 것은 문화?종교적인 이유 때문이다. 즉, 문자의 사용은 문화적 정체성과 관련이 높으며, 이를 효율성을 이유로 도입하려는 시도는 대부분 실패했다.
문자가 없는 것으로 알려진 소수 언어들의 대부분은 알려진 것과는 달리 이미 정서법 체계를 갖추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그 대부분은 그들이 속한 국가의 지배적 언어가 사용하는 문자 또는 로마자에 기반하고 있다. 이는 로마자가 세계에서 가장 널리 통용되는 문자인 동시에 유럽에서 기반하고 있지만 비교적 특정 국가나 민족의 문화를 대표하지 않는 중립성을 가지고 있고, 여러 언어를 표기하는데 이미 널리 쓰이고 있으며 인쇄나 컴퓨터 처리 등에 간결하다는 장점 때문이다. 또한 무엇보다 이들 소수 언어 보존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사람들이 로마자 사용자이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이들은 보통 자신의 모어를 버리고 지배적 언어 사용으로 나아간다. 이는 모어를 유지하는 것보다 그 나라의 지배적인 언어를 습득하는 것이 훨씬 이득이며 그 사회에서의 생존에 직결되기 때문이다. 이는 사투리의 사용이나 보존 보다 표준어 구사가 현실적 이득이 되는 것과 넓은 의미에서 비슷하다. 즉, 소수 언어의 보존은 정치, 경제, 문화적 자립 등 언어 외적인 환경에 크게 좌우된다. 이런 점에서 정치적 영향력, 경제적 지원, 학술적 연구 및 인도적 지원 등이 뒷받침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순히 과학적이라는 이유만으로 한민족의 민족적 전유물에 가까운 한글이 정치?종교적으로 한민족과 밀접한 관계가 없는 소수 언어의 문자로 받아들여지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누구나 손쉽게 배우고 쓸 수 있으며 세상 모든 언어의 발음과 자연의 소리를 표기할 수 있는 문자표시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소정간격으로 등분된 원주상에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된 문자를 배치하고 원주의 중심에서 원주 방향으로 그어진 지시선이 가리키는 문자가 선택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문자표시방법은,
상기 원주를 정북방향에서 원주를 따라 8등분하고, 상기 8등분된 점을 정북방향에서 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ㄱ, ㄴ, ㄷ, ㅁ, ㅂ, ㅅ, ㅇ, ㅈ」의 8개로 이루어진 기본 자음군을 배치하고, 다시 정북방향에서 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ㅗ, ㅘ, ㅏ, ㅔ, ㅜ, ㅝ, ㅓ, ㅣ」의 8개로 이루어진 기본 모음군을 각각 배치하고,
상기 지시선을 제1 길이로 표시하여 선택된 자음을 초성으로 표시하고, 상기 지시선을 상기 초성을 표시하는 제1 길이의 지시선보다 긴 제2 길이로 표시하여 선택된 모음을 중성으로 표시하고, 상기 지시선을 상기 제1 길이의 지시선보다 짧은 제3 길이로 표시하여 선택된 자음을 종성으로 표시하되,
상기 제1 길이 또는 제3 길이로 표시된 지시선에 의해 선택된 자음 중 "ㄱ", "ㄷ", "ㅂ", 'ㅈ"은 상기 지시선의 일단에 시계방향으로 1차 가획선 추가로 각각 "ㅋ", "ㅌ", "ㅍ", "ㅊ"으로 표시되고, 2차 가획선을 상기 1차 가획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추가하면 각각 "ㄲ", "ㄸ", "ㅃ", "ㅉ"으로 표시되고, 선택된 자음 중 "ㅅ", "ㅇ", "ㅁ"은 1차 가획선 추가로 각각 "ㅆ", "ㅎ", "ㄹ"로 표시되고,
상기 제2 길이로 표시된 지시선에 의해 선택된 모음은 상기 지시선의 일단에 시계방향으로 1차 가획선추가로 "ㅗ"는 "ㅛ"로, "ㅘ"는 "ㅚ"로 "ㅏ"는 "ㅑ"로, "ㅔ"는 "ㅐ"로, "ㅜ"는 "ㅠ"로, "ㅝ'는 "ㅟ"로 "ㅓ"는 "ㅕ"로, "ㅣ"는 "ㅢ"로 표시되고, 2차 가획선 추가로 "ㅔ"는 "ㅖ"로, "ㅘ"는 "ㅙ"로, "ㅝ"는 "ㅞ"로, 3차 가획선 추가로 "ㅔ"는 "ㅒ"로 표시한다.
삭제
또한, 소정 등분된 원주상에 로마자를 배치하고 원주의 중심에서 원주 방향으로 그어진 지시선이 가리키는 해당 로마자의 음가가 선택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문자표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주를 정북방향에서 원주를 따라 8등분하고, 상기 8등분된 점을 정북방향에서 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n, g, b, z, ng, s, m, d」으로 구성된 자음 음가를 배정하고, 다시 정북방향에서 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o, wa, a, e, u, wuo, eu, i」으로 구성된 모음 음가를 각각 배치하고,
상기 지시선을 제1 길이로 표시하여 선택된 로마자의 자음 음가를 초성 음가로 표시하고, 상기 지시선을 상기 초성 음가를 표시하는 제1 길이의 지시선보다 긴 제2 길이로 표시하여 선택된 로마자의 모음 음가를 중성 음가로 표시하고, 상기 지시선을 상기 제1 길이의 지시선보다 짧은 제3 길이로 표시하여 선택된 로마자의 자음 음가를 종성 음가로 표시하되,
상기 제1 길이 또는 제3 길이로 표시된 지시선에 의해 선택된 자음 음가 중 「n, g, b, z, ng, s, m, d」는 상기 지시선의 일단에 시계방향으로 1차 가획선 추가로 각각 「v, k, p, c, h, x, l, t」로 표시되고, 상기 선택된 자음 음가 중 「n, g, b, z, ng, m, d」는 2차 가획선을 상기 1차 가획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추가하면 각각 「f, gg, bb, zz, q, r, dd」로 표시되고,
상기 제2 길이로 표시된 지시선에 의해 선택된 모음 음가 중 「o, wa, a, e, u, wuo, i」는 상기 지시선의 일단에 시계방향으로 1차 가획선 추가로 각각 「yo, we, ya, ae, yu, wy, ui」로 표시되고, 선택된 모음 음가 중 「wa, e, wuo」는 2차 가획선을 상기 1차 가획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추가하면 「wae, ye, wye」로 표시되고, 선택된 모음 음가 중 「e」는 3차 가획선을 추가하면 「yae」로 그 음가가 표시되도록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의 문자표시방법에 의하면 초성과 중성 그리고 종성을 시계의 시침과 분침 그리고 초침에 배치하여 표시하고, 글자의 획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음절들을 이어서 쓰거나 뭉치글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빠르고 쉽게 글을 쓸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문자표시방법은 초성, 중성, 종성을 모아서 쓰는 음절문자이면서 초성, 중성, 종성 각각의 알파벳이 고유음가를 가지고 있는 음절문자이다. 그리고 각 초성, 중성, 종성의 알파벳 위에 가획만 추가하면 음가를 추가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자질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초성 8자에 8자를 가획할 수 있고 중성 8자에 8자를 가획할 수 있으며 종성 8자에 8자를 가획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문자표시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는 자연의 소리는 64 * 64 * 64 = 262,144의 자연의 소리를 각각 표기할 수 있는 놀라운 소리표현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소리 표기능력은 어느 나라 문자에도 없는 본 문자표시방법만이 갖고있는 기술이다. 전 세계 모든나라의 음성기호로 사용하여도 가능한 것이 본 문자표시방법이 가지고 있는 원천기술이다. 그리고 262,144자의 자연의 소리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알파벳의 모양은 4개만 필요하다는 알파벳식별의 뛰어남도 원천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4개모양의 알파벳은 시침모양, 분침모양, 초침모양, 가획점 이렇게 4개의 알파벳이 사용되므로 누구든지 1시간이내에 배우고 익힐 수 있는 독창적인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유노문자'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글자체를 대표하여 말하는 것이나 특히 ‘뭉치글’을 말한다.
'해글'이란 유노문자의 근간이 되는 글자로써 시계를 응용하여 만든 글자로 시계는 태양과 연관이 크기 때문에 해글이라 명명한다.
'줄글'이란 낱말을 연결하여 쓰면 하나의 긴 줄처럼 보이기 때문에 줄글이라하며 줄글을 쓸때는 ‘해글쓰기’ 원칙을 적용한다.
'접글'이란 해글에서 종성을 일부 변형하여 중성에 초성이 접근하는 정도에 따라 종성이 결정되는 글자로서, 접근하는 글이란 의미에서 접글이라 한다.
'뭉치글'이란 형용사 또는 부사어와 같은 수식어가 표기되는 구역과 조사 또는 어미가 표기되는 구역 그리고 명사 또는 대명사가 표기되는 구역으로 나누어 표시되는 문자를 말한다.
'첨글'이란 동일한 음가가 첨가되어 표시되는 문자를 말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문자표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해글의 표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해글은 초성과 중성 종성으로 구분하여 표기하되 초성은 시계의 시침길이를 형상화하여 기본 8자를 만들고 이러한 초성의 기본 8자에 가획점을 추가하여 나머지 11자를 생성한다.
도 1의 해글의 초성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ㄱ, ㄴ, ㄷ, ㅁ, ㅂ, ㅅ, ㅇ, ㅈ」의 8개로 이루어진 기본 자음군을 시계의 시침 이 가르키는 12시, 1.5시, 3시, 4.5시, 6시, 7.5시, 9시, 10.5시를 기준으로 각각 배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본 자음군 배정 방법의 일례로 「ㄴ, ㄱ, ㅂ, ㅈ, ㅇ, ㅅ, ㅁ, ㄷ,」의 순으로 각각 시침의 12시, 1.5시, 3시, 4.5시, 6시, 7.5시, 9시, 10.5시에 각각 배정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각 음절의 표시는 시계의 중심인 시작점 "X"를 기준으로 시계의 중심에서 정해진 방향으로 방사형으로 시침의 길이만큼 각각 표시를 하면 된다.
예를 들면 도 1과 도 5의 기본 자음과 기본 모음에서 가획점을 표기하는 방 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 도면을 보면, "ㄱ"은 1.5시 방향이므로 도 5와 같이 기준점 "X"를 시작으로 시침의 1.5시 방향으로 사선을 그어 표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해글의 각 초성을 표시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Figure 112009081455747-pat00001

Figure 112009081455747-pat00002

Figure 112009081455747-pat00003
Figure 112009081455747-pat00004
Figure 112009081455747-pat00005
Figure 112009081455747-pat00006
Figure 112009081455747-pat00007
Figure 112009081455747-pat00008
이렇게 기본 자음으로 8개를 배정하고 된소리와 거센소리는 [표 1]과 같은 기본 자음군에 가획점을 추가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도 3의 기본 초성 8자의 가획점에 따라 거센소리와 된소리로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 도면을 참조하면, 기본음인 "ㄱ"에 가획점을 하나 추가하면 "ㅋ"이 되고 가획점을 하나 더 추가하면 "ㄲ"이 되는 것이다.
즉, 각 "ㄱ", "ㄷ", "ㅂ", 'ㅈ"의 초성표시에서 1차 가획점을 추가하면 각각 "ㅋ", "ㅌ", "ㅍ", "ㅊ"의 거센소리가 되고 2차 가획점을 추가하면 각각 "ㄲ", "ㄸ", "ㅃ", "ㅉ"의 된소리로 표시되고, 각 "ㅅ", "ㅇ", "ㅁ"의 초성표시에서 1차 가획점을 추가하면 각각 "ㅆ", "ㅎ", "ㄹ"로 표시되도록 하여 초성인 자음군을 모두 19자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1차 가획점으로 거센소리로 표시하고 2차 가획점으로 된소리로 변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거센소리와 된소리의 변화는 그 순서를 바꾸어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거센소리와 된소리의 표시방법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즉, 도면과 같이 초성이 끝나는 지점에 가획점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ㄱ"에 가획점을 하나 추가하면 "ㅋ"이 되고 가획점을 하나 더 추가하면 "ㄲ"이 되는 것이다.
이하 중성의 표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해글의 중성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도면으로, 먼저 「ㅗ, ㅘ, ㅏ, ㅔ, ㅜ, ㅝ, ㅓ, ㅣ」의 8개로 이루어진 기본 모음군을 시계의 분침이 가르키는 12시, 1.5시, 3시, 4.5시, 6시, 7.5시, 9시, 10.5시를 기준으로 각각 배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본 모음군 배정 방법의 일례로 「ㅗ, ㅘ, ㅏ, ㅔ, ㅜ, ㅝ, ㅓ, ㅣ」의 순으로 각각 시침의 12시, 1.5시, 3시, 4.5시, 6시, 7.5시, 9시, 10.5시에 각각 배정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각 음절의 표시는 시계의 중심인 시작점 "X"를 기준으로 시계의 중심에서 정해진 방향으로 방사형으로 분침의 길이만큼 각각 표시를 하면 된다.
예를 들면 도 2와 도 5의 참고 도면을 보면, "ㅘ"는 1.5시 방향이므로 도 5의 하단 좌측 그림과 같이 기준점 "X"를 시작으로 시침의 1.5시 방향으로 사선을 그어 표시하는 것이다.
초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계의 분침 형상에 기본 모음 8개를 배정하고 가획점을 추가하여 복모음을 표시하게 한다.
즉, 도 4의 기본 모음 8자의 가획점에 따라 복모음으로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 도면을 참조하면, 중성에서는 1차 가획으로 "ㅗ"는 "ㅛ"로, "ㅘ"는 "ㅚ"로, "ㅏ"는 "ㅑ"로, "ㅔ"는 "ㅐ"로, "ㅜ"는 "ㅠ"로, "ㅝ'는 "ㅟ"로 "ㅓ"는 "ㅕ"로, "ㅣ"는 "ㅢ"로 표시되고 2차 가획으로 "ㅔ"는 "ㅖ"로, "ㅘ"는 "ㅙ"로, "ㅝ"는 "ㅞ"로 3차 가획으로 "ㅔ"는 "ㅒ"로 표시되게 하여 모음군이 20자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모음 중 "ㅡ"는 음표시가 없어도 초성 자음 밑에 자연스럽게 "ㅡ"를 붙여서 발음할 수 있으나 글자의 식별성을 높이기 위하여 초성 끝에 (X점에 해당하는 부분에) 초성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사선으로 붙여주면 된다
예를 들어 "ㄱ"에 해당하는 표기방법이 "/"이므로 "그"의 경우 초성인 "/"에 시작점에 짧게 "ㅡ"를 표시하면 "그"는 "
Figure 112009081455747-pat00009
"로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복모음의 표시에서 "ㅘ"는 "ㅚ"로, "ㅔ"는 "ㅐ"로 1차 가획으로 표시하고 다시 2차 가획으로 "ㅔ"는 "ㅖ"로 그리고 3차 가획으로 ㅔ"는 "ㅒ"로 표시되고, "ㅘ"는 "ㅞ"로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발음상의 특성 상 한글의 ㅚ는 ㅙ, ㅞ를 대표하고 ㅔ는 ㅐ를 대표하며 ㅖ는 ㅒ를 대표하게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어느 글자를 적용할지는 문맥의 흐름으로 파악한다
종성의 표시방법은 초성과 동일하다.
즉, 「ㄴ, ㄱ, ㅂ, ㅈ, ㅇ, ㅅ, ㅁ, ㄷ,」의 순으로 각각 시침의 12시, 1.5시, 3시, 4.5시, 6시, 7.5시, 9시, 10.5시에 각각 배정하고, 각 음절의 표시는 시계의 중심인 시작점 "X"를 기준으로 시계의 중심에서 방사형으로 그 길이만큼 각각 표시를 하면 된다.
또한, 초성과 동일하게 기본 초성 8자의 가획점에 따라 거센소리와 된소리로 표시하도록 한다.
상술한 초성과 중성 그리고 종성의 표시는 모두 시계의 원리를 이용하되 초성은 시침길이에 중성은 분침길이에 그리고 종성은 초성과 중성보다 짧은 거의 점으로 표시하여 구별이 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초성은 시침의 길이에 해당하므로 분침에 해당하는 중성보다 짧게 표시하고 종성은 초성보다도 더 짧게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초성과 중성 종성의 가획점은 각각 8개씩을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 이상의 자음과 모음을 초성, 중성, 종성의 조합 원리에 따라 조합하여 음절을 표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하나 이상의 자음과 모음을 초성, 중성, 종성의 조합 원리에 따라 조합하여 음절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강남구청에 대한 단어로 실제로 음절을 표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강남구청"이란 단어의 "강"을 보면, 초성이 "ㄱ"이므로 도 5의 (a)도면과 같이 "ㄱ"이 위치하는 초성을 표시하고, 중성이 "ㅏ"이므로 (b)도면과 같이 "ㅏ"가 위치하는 중성을 표시하고, 종성이 "ㅇ"이므로 (c)도면과 같이 "ㅇ"이 위치하는 종성을 찾은 다음에 (d)도면과 같이 시작점(X)을 기준으로 중성은 분침의 길이와 같이 가장 길게 표시하고 초성은 시침에 해당하는 길이로서 보다 중성보다 짧게 표시하고 종성은 그 방향으로 가장 짧게 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종성은 시작점(X)에 붙여 쓰지 않고 띄어서 쓴다.
동일한 방법으로 "남", "구", "청"을 표시하면 도 6과 같이 "강남구청"이란 단어가 각 음절로 표시되는 것이다.
이때 "청"을 보면 초성이 "ㅊ"이 기본 자음인 "ㅈ"에서 가획점을 추가하여야 "ㅊ"이 되므로 도면과 같이 가획점이 하나 추가되어 표시되는 것이다.
이러한 음절들은 이어쓰기하여 줄글로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강남구청"을 보면 각 음절들의 끝부분을 연결하여 표기하는 것이다.
해글로 표시된 "강남구청"을 이어쓰기인 줄글로 표시하면 도 7과 같이 표기된다.
도 7은 해글을 횡으로 이어쓰기한 줄글의 일례를 예시한 도면으로, 각 음절의 마디만 연결하면 글자가 완성되기 때문에 한번 획을 시작하여 마지막 글자까지 완성할 수 있으므로, 훨씬 빠르게 그리고 공간을 줄여 음절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글자 연결은 다음 글의 방향을 자유롭게 연결하여 써도 된다
도 7에서는 이어쓰기를 횡으로 연결하였으나 종으로 연결하여 이어쓰기를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의 해글을 종으로 이어쓰기한 일례를 예시한 도면을 참고하면 종으로 이어쓰기한 "강남구청"은 그림과 같이 표시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한편, 유노문자에서는 다음 [표 2]와 같이 숫자를 표시할 수도 있다.
즉, 도 1의 초성표기에서 12시 방향에서 순서대로 배정하여 8개의 숫자를 표기하고 "9"와 "10(0)"은 별도로 다음과 같이 표기하는 것이다.
Figure 112009081455747-pat00010
두자리 이상의 숫자는 각각 해당하는 숫자 표기를 연이어 표시하면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은 원리로 로마자 표기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특히 로마자는 음가로 표시하도록 한다.
도 15는 로마자 초성 및 종성 표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은 로마자 중성 표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로마자의 기본 자음군의 가획점에 따라 문자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18은 로마자의 기본 모음군의 가획점에 따라 문자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시계 형상에 초성 및 종성과 중성을 부여한 문자표시방법은 초성 및 종성을 시침의 길이와 그 방향에 따라 각 자음을 배정하고 중성은 분침의 길이와 그 방향에 따라 각 모음을 배정하여 하나 이상의 자음과 모음을 초성 및 종성, 그리고 중성의 조합 원리에 따라 음절을 발생시킨다.
「n, g, b, z, ng, s, m, d」의 8개로 이루어진 기본 자음군의 음가 표시에 가획점을 추가하여 자음군으로 표시하고(도 17참조), 중성은 「o, wa, a, e, u, wuo, eu, i」의 8개로 이루어진 기본 모음군(모음 또는 반모음)의 음가표시에서 가획점을 추가하여 모음군으로 표시하는 것이다(도 18참조).
「n, g, b, z, ng, s, m, d」의 8개로 이루어진 기본 자음군의 음가와 「o, wa, a, e, u, wuo, eu, i」의 8개로 이루어진 기본 모음군의 음가를 각각 시계의 시침 및 분침이 가르키는 12시, 1.5시, 3시, 4.5시, 6시, 7.5시, 9시, 10.5시를 기준으로 각각 배정하고 기본 자음군은 시계의 시침길이로 표시하고 기본 모음군은 시계의 분침길이로 표시하여 구별함과 동시에 각각 초성 및 종성과 중성으로 설정하고, 기본 자음군에 획을 하나씩 더하기 위한 가획점을 포함하고 가획점은 기본자음군 또는 기본 모음군보다 그 길이를 짧게 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획점의 표시방법은 상술한 해글과 동일하다.
도 17을 참조하면 가획점은 각 「n, g, b, z, ng, s, m, d」의 초성 및 종성의 음가표시에서 1차 가획점을 추가하면 각각 「v, k, p, c, h, x, l, t」로 표시하고 「n, g, b, z, ng, m, d」의 초성 및 종성표시에서 2차 가획점을 추가하면 각각 「f, gg, bb, zz, q, r, dd」의 된소리로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도 18을 참조하면 각 「o, wa, a, e, u, wuo, i」의 중성의 음가 표시에서 1차 가획점을 추가하면 각각 「yo, we, ya, ae, yu, wy, ui」로 표시되고 「wa, e, wuo」의 기본 중성표시에서 2차 가획점을 추가하면 각각 「wae, ye, wye」로 표시되고 「e」의 기본 중성표시에서 3차 가획을 하면 「yae」로 그 음가가 표시되도록 한다.
이러한 로마자 표기 방법은 자음 및 모음들의 배치만 새로이 규정한 것일 뿐 글의 표기와 해석 방법은 해글과 동일하다.
따라서 종성을 제외하면 접글과 뭉칫글로도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gg", "bb", "zz", 그리고 "dd"는 한글의 된소리를 표기하기 위하여 만든 글씨이며 "v", "f", "q", 그리고 "r"은 한글 음가에는 없는 영어 알파벳을 배치하기 위하여 배치한 음가이다.
이러한 음의 표기는 한글음가의 일측에 영어를 나란히 표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시계의 구조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동일한 원리로 8괘를 보고 8괘의 중앙을 교차하는 8개의 선을 음가화 하여 문자를 만들거나 또는 원을 8분등분하여 각각에 음가를 배치하는 방식도 동일한 원리로 음가를 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자 표시 방법을 이용하면 손쉽게 문자를 입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문자 입력장치의 자판 형상을 본 발명의 시계 형상에다 배치를 하고 해당 문자를 입력하면 표시장치에 본 발명의 해글이나 뭉치글을 그대로 표시되게 할 수도 있고, 입력된 음가에 해당하는 한글이나 로마자를 표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자 입력 방법은 상술한 문자 표시방법과 동일한 원리를 사용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해글의 초성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도면,
도 2는 해글의 중성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도면,
도 3은 기본 초성 8자의 가획점에 따라 된소리와 거센소리로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 도면,
도 4는 기본 모음 8자의 가획점에 따라 복모음으로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 도면,
도 5는 기본 자음과 기본 모음에서 가획점을 표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 도면,
도 6은 하나 이상의 자음과 모음을 초성, 중성, 종성의 조합 원리에 따라 조합하여 음절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해글을 횡으로 이어쓰기한 줄글의 일례를 예시한 도면,
도 8은 해글을 종으로 이어쓰기한 줄글의 일례를 예시한 도면
도 9는 접글에서 종성의 접근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접글에서 중성의 변화에 따른 종성의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접글에서 중성의 변화에 따른 종성의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 2 도면,
도 12은 접글에서 중성의 변화에 따른 종성의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 3 도면,
도 13은 접글을 일례로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뭉치글의 구성을 일례로 예시한 도면
도 15는 로마자 초성 및 종성 표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로마자 중성 표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로마자의 기본 자음군의 가획점에 따라 문자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18은 로마자의 기본 모음군의 가획점에 따라 문자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소정간격으로 등분된 원주상에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된 문자를 배치하고 원주의 중심에서 원주 방향으로 그어진 지시선이 가리키는 문자가 선택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문자표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주를 정북방향에서 8등분하고, 각 8등분한 점에 「ㄱ, ㄴ, ㄷ, ㅁ, ㅂ, ㅅ, ㅇ, ㅈ」의 8개로 이루어진 기본자음군을 배치하고 상기 각 8등분한 점에 「ㅗ, ㅘ, ㅏ, ㅔ, ㅜ, ㅝ, ㅓ, ㅣ」의 8개로 이루어진 기본모음군을 배치하고,
    상기 지시선을 제1 길이로 표시하여 선택된 자음을 초성으로 표시하고, 상기 지시선을 상기 초성을 표시하는 제1 길이의 지시선보다 긴 제2 길이로 표시하여 선택된 모음을 중성으로 표시하고, 상기 지시선을 상기 제1 길이의 지시선보다 짧은 제3 길이로 표시하여 선택된 자음을 종성으로 표시하되,
    상기 제1 길이 또는 제3 길이로 표시된 지시선에 의해 선택된 자음 중 "ㄱ", "ㄷ", "ㅂ", 'ㅈ"은 상기 지시선의 일단에 시계방향으로 1차 가획선 추가로 각각 "ㅋ", "ㅌ", "ㅍ", "ㅊ"으로 표시되고, 2차 가획선을 상기 1차 가획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추가하면 각각 "ㄲ", "ㄸ", "ㅃ", "ㅉ"으로 표시되고, 선택된 자음 중 "ㅅ", "ㅇ", "ㅁ"은 1차 가획선 추가로 각각 "ㅆ", "ㅎ", "ㄹ"로 표시되고,
    상기 제2 길이로 표시된 지시선에 의해 선택된 모음은 상기 지시선의 일단에 시계방향으로 1차 가획선추가로 "ㅗ"는 "ㅛ"로, "ㅘ"는 "ㅚ"로 "ㅏ"는 "ㅑ"로, "ㅔ"는 "ㅐ"로, "ㅜ"는 "ㅠ"로, "ㅝ'는 "ㅟ"로 "ㅓ"는 "ㅕ"로, "ㅣ"는 "ㅢ"로 표시되고, 2차 가획선 추가로 "ㅔ"는 "ㅖ"로, "ㅘ"는 "ㅙ"로, "ㅝ"는 "ㅞ"로, 3차 가획선 추가로 "ㅔ"는 "ㅒ"로 표시되는 문자표시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자음군과 기본모음군의 배치는
    상기 8등분된 점을 정북방향에서 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ㄱ, ㄴ, ㄷ, ㅁ, ㅂ, ㅅ, ㅇ, ㅈ」을 배치하고, 다시 정북방향에서 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ㅗ, ㅘ, ㅏ, ㅔ, ㅜ, ㅝ, ㅓ, ㅣ」를 각각 배치한 문자표시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소정 등분된 원주상에 로마자를 배치하고 원주의 중심에서 원주 방향으로 그어진 지시선이 가리키는 해당 로마자의 음가가 선택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문자표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주를 정북방향에서 8등분하고, 각 8등분한 점에 「n, g, b, z, ng, s, m, d」으로 구성된 자음 음가를 배치하고, 상기 8등분한 점에 다시 「o, wa, a, e, u, wuo, eu, i」으로 구성된 모음 음가를 각각 배치하고,
    상기 지시선을 제1 길이로 표시하여 선택된 로마자의 자음 음가를 초성음가로 표시하고, 상기 지시선을 상기 초성을 표시하는 제1 길이의 지시선보다 긴 제2 길이로 표시하여 선택된 로마자의 모음 음가를 중성음가로 표시하고, 상기 지시선을 상기 제1 길이의 지시선보다 짧은 제3 길이로 표시하여 선택된 로마자의 자음 음가를 종성음가로 표시하되,
    상기 제1 길이 또는 제3 길이로 표시된 지시선에 의해 선택된 자음 음가 중 「n, g, b, z, ng, s, m, d」는 상기 지시선의 일단에 시계방향으로 1차 가획선 추가로 각각 「v, k, p, c, h, x, l, t」로 표시되고, 상기 선택된 자음 음가 중 「n, g, b, z, ng, m, d」는 2차 가획선을 상기 1차 가획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추가하면 각각 「f, gg, bb, zz, q, r, dd」로 표시되고,
    상기 제2 길이로 표시된 지시선에 의해 선택된 모음 음가 중 「o, wa, a, e, u, wuo, i」는 상기 지시선의 일단에 시계방향으로 1차 가획선 추가로 각각 「yo, we, ya, ae, yu, wy, ui」로 표시되고, 선택된 모음 음가 중 「wa, e, wuo」는 2차 가획선을 상기 1차 가획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추가하면 「wae, ye, wye」로 표시되고, 선택된 모음 음가 중 「e」는 3차 가획선을 추가하면 「yae」로 그 음가가 표시되도록 하는 로마자 문자표시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음가와 모음음가의 배치는
    상기 8등분된 점을 정북방향에서 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n, g, b, z, ng, s, m, d」으로 구성된 자음 음가를 배치하고, 다시 정북방향에서 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o, wa, a, e, u, wuo, eu, i」으로 구성된 모음 음가를 각각 배치한 로마자 문자표시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90133545A 2009-12-30 2009-12-30 문자표시방법 KR101169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545A KR101169849B1 (ko) 2009-12-30 2009-12-30 문자표시방법
JP2012547020A JP2013516673A (ja) 2009-12-30 2010-12-28 文字表示方法及び文字入力方法
PCT/KR2010/009446 WO2011081419A2 (ko) 2009-12-30 2010-12-28 문자표시방법과 문자입력방법
US13/519,615 US8818812B2 (en) 2009-12-30 2010-12-28 Text input method which assigns initial phoneme, medial phoneme, and final phoneme to shape of wa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545A KR101169849B1 (ko) 2009-12-30 2009-12-30 문자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7085A KR20110077085A (ko) 2011-07-07
KR101169849B1 true KR101169849B1 (ko) 2012-07-30

Family

ID=44227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3545A KR101169849B1 (ko) 2009-12-30 2009-12-30 문자표시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18812B2 (ko)
JP (1) JP2013516673A (ko)
KR (1) KR101169849B1 (ko)
WO (1) WO201108141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229A (ko) 2018-09-21 2020-03-3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폰 한손 자판 화면 배치 방법 및 문자 입력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281B1 (ko) * 2012-04-06 2013-10-2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
WO2015005682A1 (ko) * 2013-07-09 2015-01-15 Ryu Jung Ha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1839B1 (ko) 1999-11-25 2001-06-01 정회선 천지인 제자 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423637Y1 (ko) 2006-05-19 2006-08-09 주식회사 에이에스테크 5개의 키를 가진 자판을 사용한 한글 입력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7402A (en) * 1986-06-12 1994-08-09 Keiji Kitagawa Graphic data processing apparatus using displayed graphics for application program selection
JP2697317B2 (ja) * 1991-01-30 1998-01-14 富士通株式会社 ハングル文字入力装置
JP3597060B2 (ja) * 1998-11-10 2004-12-02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用日本語文字入力装置と文字入力方法
EP1197061A4 (en) * 1999-06-09 2006-06-21 Min Kyum Kim DEVICE AND METHOD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WITH A COMPACT KEYPAD
US8459885B2 (en) * 2005-10-15 2013-06-11 Byung Kon Min Clock face keyboard
KR20080001719U (ko) 2006-12-07 2008-06-11 박종칠 한글 학습용 원형 놀이판
JP2010518529A (ja) * 2007-02-13 2010-05-27 ユイ・ジン・オ 文字入力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1839B1 (ko) 1999-11-25 2001-06-01 정회선 천지인 제자 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423637Y1 (ko) 2006-05-19 2006-08-09 주식회사 에이에스테크 5개의 키를 가진 자판을 사용한 한글 입력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229A (ko) 2018-09-21 2020-03-3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폰 한손 자판 화면 배치 방법 및 문자 입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87136A1 (en) 2012-11-15
WO2011081419A9 (ko) 2011-11-10
KR20110077085A (ko) 2011-07-07
US8818812B2 (en) 2014-08-26
JP2013516673A (ja) 2013-05-13
WO2011081419A2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niels Writing systems
Goodman Reading, writing, and written texts: A transactional sociopsycholinguistic view
Li The Chinese writing system in Asia: An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Trager Writing and writing systems
US20050048450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reading and writing without literacy
KR101169849B1 (ko) 문자표시방법
Daniels On beyond alphabets
Ghazzawi The Arabic Language
Joshi 17 Literacy in Kannada, an alphasyllabic orthography
KR102531614B1 (ko) 한글 및 외국어 매칭출력방법 및 그 장치
KR100946227B1 (ko) 컴퓨터를 이용한 한글 로마자 표기 변환방법 및 이 변환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Solati The influence of English language history on English spelling irregularity
Terrill et al. Orthographic design in the Solomon Islands.
Haralambous Grapholinguistics, TEX, and a June 2020 conference
JP2014142762A (ja) 外国語の発音表記方法および情報表示装置
Daniels Writing in the World and Linguistics
JP2014142762A5 (ko)
Darasse Writings in network? The case of Palaeohispanic scripts
EP1927966A1 (en) Phonetics learning method
Herrmann The Voynich Manuscript is written in natural language: The Pahlavi hypothesis
Vitrano-Wilson et al. Tone marks as vowel diacritics in two scripts: repurposing tone marks for non-tonal phenomena in Cado and other Southeast Asian languages
Hopkins Two different semiotic frameworks for viewing Japan
Handel Learn to read Korean: An introduction to the Hangul alphabet
Everson Revised proposal for encoding the Adlam script in the SMP of the UCS
CN114816338A (zh) 一种汉字数字演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