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7240B1 - 전기터미날 - Google Patents

전기터미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7240B1
KR100347240B1 KR1019950006745A KR19950006745A KR100347240B1 KR 100347240 B1 KR100347240 B1 KR 100347240B1 KR 1019950006745 A KR1019950006745 A KR 1019950006745A KR 19950006745 A KR19950006745 A KR 19950006745A KR 100347240 B1 KR100347240 B1 KR 100347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terminal
contact
wall
contac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6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4908A (ko
Inventor
게오르그오테아
Original Assignee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950034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4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7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72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the spring member surrounding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전기 터미날(2)은 내부 콘택보디(4)와 외부 스프링보디(6)를 구비한다. 외부 스프링보디(6)는 박스 형태이며 내부 콘택보디(4)를 둘러싼다. 외부 스프링보디(6)는 상벽 및 하벽(30, 32)으로부터 각각 엣지 스템프되는 스프링 빔(60)을 구비한다. 돌출부(68)가 스프링 빔을 따라 중앙에 위치되며, 터미날이 대응하는 하우징구멍내로 삽입될 때 돌출부가 그 벽과 간섭하도록 외부 스프링보디의 측벽(28)을 지나 돌출한다. 스프링 빔(60)은 탄력적으로 바이어스되고 터미날이 하우징구멍내에 탄력적으로 유지되어 터미날의 떨림현상이 방지된다. 상벽 및 하벽(30, 32)에 평행한 진동운동에 있어 스프링 빔은 금속의 평면에 작용하며, 그와 직각인 진동운동에서는 스프링 빔이 토션으로 작용한다. 스프링 빔은 상벽 및 하벽으로부터 엣지 스탬프되기 때문에 제조가 간단하면서도 매우 튼튼하고 신뢰성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전기터미날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하우징 구멍내의 전기 터미날의 진동을 줄이도록 전기터미날 상에 스프링 지지부재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와 같은 진동을 받기가 쉬운 전기 커넥터는부식에 의해 고장날 수 있다. 진동은 결합 콘택 사이에 상대적으로 미세한 움직임을 야기시켜서 이것이 부식의 원인이 된다. 결합콘택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을 줄이기위해, 터미날의 콘택부와 도체접속부 사이에 유연한 길이방향 스프링부를 가진 내부 콘택보디를 터미날에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길이방향 스프링은 콘택부를 커넥터의 나머지부분과 떨어지게 하여 결합콘택과 자유롭게 플로우트 (float)하게 함으로써 이들 사이에 미세한 움직임이 발생하지 못하게 한다. 이러한 리셉터클 터미날의 한 예가 유럽특허 출원 제 492479 호에 기재되어 있다.
내부 콘택보디에는 외부 스프링보디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외부 스프링보디는 내부 콘택보디보다 더 강하고 탄력적인 재질을 구비한다. 상기 외부 스프링보디는 여러가지 목적을 가진 것으로써, 예컨대 터미날을 구멍하우징에 보유케하기 위한 탄력성 로킹렌스(locking lance)를 제공하거나, 내부 콘택을 외부에서 보호하거나, 내부 콘택보디 콘택 암의 콘택 스프링력을 증가시키도록 스프링압을 갖기위한 것이다. 외부 스프링보디는 콘택부가 플로우트할 수 있도록 내부 콘택보디가 유연한 길이방향 스프링을 갖는 경우 매우 유익한 것이다. 상기 콘택부는 하우징구멍 벽에 대해 마찰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하며, 또한 유연한 스프링이 콘택부에 대해 상보형 터미날이 뽑혀질때 손상되기 쉬우므로 보호되어야 한다.
종래기술의 터미날의 문제점 중의 하나는 터미날을 하우징구멍에 삽입하기 위해서 터미날과 하우징구멍 사이에는 어느 정도 여유가 주어지는데, 이것이 진동을 받는 경우에 구멍내에서 터미날이 달각달각 떨리는 원인이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떨림현상(chattering)이 큰 관성력의 소스가 될 수 있어서, 길이방향의 탄력성스프링을 구비하던지 안하던지 간에 결합콘택 사이에는 상대적인 움직임이 야기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하우징구멍내에서 터미날의 떨림현상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응하는 커넥터 하우징구멍내에서 터미날의 떨림현상을 줄여주는 수단을 갖춘 전기 터미날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신뢰성있는 떨림방지 지지부재를 갖춘 전기터미날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보형 콘택과 결합하는 콘택을 가진 내부 콘택보디와, 하우징구멍 벽에 대해 접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지지부재를 가진 보디부를 구비하는 전기 터미날을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돌출부는 보디부로부터 스탬프되는 스프링 빔에 장착되는 것이다. 외부 백업 스프링을 가진 터미날에서 보디부는 외부 백업 스프링에 구비되는 것이 유익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보디부의 대향하는 벽으로부터 스탬프되는 사실상 평면형의 스프링 빔을 제공하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겠다.
제 1 도 내지 4 도를 참고하면, 전기 리셉터클 터미날(2)은 내부 콘택보디 (4)와 외부 스프링보디(6)를 구비한다. 상기 내부 콘택보디(4)는 와이어 접속부(8)와, 베이스부(9)와, 스프링부(10)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콘택부(12)를 구비한다. 상기 접속부(8)는 전기 와이어도체의 벗겨낸 도체 스트랜드에 클림핑하기 위한 클림핑바렐(crimping barrel)(14)을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접속부(8)는 다른 도체접속수단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스프링부(10)는 박스형태이며, 유럽특허출원 제 492479 호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스프링부가 길이방향으로 매우 유연하게 될 수 있게 해주는 횡단슬롯(16, 17)을 갖는다.
상기 콘택부(12)는 스프링부의 전방단부에 부착되는 대향하는 측벽(20)으로부터 연장하는 대향하는 콘택암(18)의 쌍을 구비한다. 상기 콘택암(18)의 다른쪽 단부는 측벽(20)의 측방향 엣지 사이에서 연장하는 대향하는 상,하벽(24)으로부터 스탬프되는 직교 벽 지지부재(22)에 결합된다. 상기 콘택암(18)은 대향하며 안쪽으로 휘어진 콘택부분(26)을 구비하여 이들 사이에 삽입되는 상보형 수나사 태브와 접촉한다. 아크형의 콘택부분(26)은 서로 간격 G 만큼 벌어져있는데, 이 간격 G은 첫째, 그 사이의 암나사 태브의 삽입력을 줄이기 위한 것이고 (최대 결합력은 처음에 반대로 분리시키다가 콘택빔이 떨어지게 접하게 할 때 일어난다), 둘째, 벽 지지부재(22)와 콘택암(18)의 조합으로 인해 상기 콘택에서 스프링력이 매우 크다해도 유연성은 자유 캔틸레버 빔 콘택에 비해 감소되며, 따라서 간격 G은 콘택부의 휘어짐을 감소시켜 더 단단한 구성이 가능하게 해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 외부 스프링보디(6)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탄력성 시트금속으로부터 박스형태로 스탬프되어 형성된다. 상기 박스형태는 대향하는 상벽 및 하벽(30, 32)과, 상기 상벽 및 하벽의 측방향 엣지 사이에서 직교하여 연장하는 대향된 측벽(28)을 각각 갖는다. 상기 상벽(30)은 박스를 접을때 만들어지는 길이방향 심 (seam)(34)을 구비한다. 상기 심(34)은 레이저 용접(36)에 의해 결합되어 박스의 단단함과 강도를 증가시킨다. 상기 외부 스프링보디는 그 배면 부착단부(40)에 클린칭 태브(38)를 더 구비하며, 태브(38)는 내부 콘택베이스부(9)의 측벽(40)의 엣지위로 클린칭하여 단단히 고정된다. 그러므로 상기 외부 스프링보디(6)는 접속부 (8) 근처의 베이스부(9)에서 내부 콘택보디(4)에 단단히 고정된다. 상기 콘택부 (12)는 따라서 외부 스프링보디내에서 플로우트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스프링보디는 터미날(2)을 하우징구멍에 고정하기 위한 측벽(28)으로부터 돌출하는 탄력성 로킹렌스(44)를 더 구비한다. 상기 스프링보디의 결합단(46)에서 측벽(28)은 콘택암 (18)의 단부(48)위로 U자형으로 연장한다. 접혀진 U자형 연장부(50)는 몇 가지 목적이 있는데, 그 중의 하나는 콘택암이 결합 터미날에 의해 뽑혀지는 것을 방지하려는, 즉 내부 콘택보디를 보호하려는 것이다.
길이방향 스프링부(10)가 유연하기 때문에, 상기 콘택부(12)는 그 길이방향 움직임에 있어, 제1 방향에서는 외부 스프링보디의 U자형 결합단부 태브(50)에 의해, 제2 방향에서는 외부 스프링보디의 하벽(32)으로부터 스프링부의 횡단슬롯(17)으로 스탬프되는 스트레스 제한 태브(52)에 의해, 오버 스트레스가 방지된다. 상기 삽입태브(52)는 콘택부(12)의 배면단부(54) 근처에 위치하며 특히 태브를 콘택암 (18) 사이에 삽입하는 동안 스프링부(10)의 과도한 압축을 방지시킨다. 상기 콘택 (26)과 결합태브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들 사이의 마찰력이 스프링부(10)의 스프링력보다 커야하며, 따라서 초과-삽입태브(52) 없이도 스프링은 완전히 압축되며 상보형 태브와 결합할 때 손상될 수 있다. 처음 몇 번의 진동 사이클 동안에, 초과-삽입태브(52)는 횡단슬롯(17)의 사실상 중앙부에 위치하며 콘택부는 상기 초과-삽입태브와 접하지 않는다.
결합태브와 콘택부(12) 사이의 부식의 위험을 더 감소시키기 위해, 떨림현상에 의한 관성력이 감소되거나 제거되도록 외부 스프링 보디(6)를 대응하는 하우징구멍내에 단단히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 스프링보디는 상벽 및 하벽(30, 32)의 평면으로부터 각각 스템프되는 스프링 빔(60)을 더 구비하며, 슬롯 (62)이 스프링 빔(60)을 벽으로부터 분리시켜서 스프링 빔은 대향하는 길이방향 단부(64, 66)에서 벽에 부착된다. 단부(64, 66) 사이의 스프링 빔의 중앙에는 돌출부 (68)가 배치되며 측벽(28)을 넘어서 뻗쳐진다. 상기 상벽 또는 하벽(30, 32)에 있는 대향하는 돌출부(68)는 하우징구멍의 너비보다 큰 거리 D 만큼 떨어져 있어서, 터미날을 삽입할 때 돌출부(68)는 하우징구멍 벽과 억지끼워맞춤되고 스프링 빔 (60)은 탄력적으로 안쪽으로 바이어스된다. 그러므로 상기 외부 스프링보디는 스프링 빔(60)에 의한 탄력성 스프링력에 의하여 하우징구멍내에 단단히 유지되어서, 진동을 받는 동안 하우징구멍내의 터미날(2)의 떨림현상을 감소시겨준다.
스프링 빔(60)과 돌출부(68)는 상벽 또는 하벽(30, 32)중 하나의 평면으로부터 엣지 스탬프되므로, 스프링 빔은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튼튼하며, 매우 효과적이고 강력한 스프링력을 제공한다. 상기 측벽(28)과 직각방향의 움직임에 있어 스프링 빔은 시트금속의 평면에 주로 작용하며, 그 직각방향의 움직임에 있어 스프링 빔은 주로 토션(torsion)으로 작용한다. 토션에서나 재질의 평면내에서나 최적의 스프링 특성을 갖도록 슬롯(62)과 스프링 빔(60)의 기하학적인 크기는 쉽게 변경시킬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길이방향의 스프링 때문에 내부 콘택보디는 외부 스프링보디를 필요로하는 것이지만, 상기한 스프링 빔은 내부 콘택보디로부터 스탬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스프링 지지부재는 외부 백업 스프링을 가진 콘택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는데, 상기 내부 콘택보디는 꼭 플로우트하지는 않으며, 떨림 현상을 줄이면 부식이 줄어든다. 그런데, 외부 스프링보디와 내부 콘택보디상의 스프링 빔을 유연한 길이방향 스프링부와 조합하면 부식을 감소시키는데 매우 유리하다.
그러므로, 떨림방지 스프링 지지부재는 제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대응하는 하우징구멍내의 터미날의 떨림현상을 제한하는 신뢰성있고 튼튼한 수단을 제공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터미날의 측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화살표(2) 방향으로 본 도면.
제 3 도는 제 1 도의 선 3-3을 따라 자른 단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화살표(4) 방향으로 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전기 터미날 4 : 내부 콘택보디
6 : 외부 스프링보디 8 : 와이어 접속부
12 : 콘택부 18 : 콘택암
52 : 삽입태브 60 : 스프링 빔
68 : 돌출부

Claims (8)

  1. 커넥터 하우징의 구멍에 장착될 수 있는 전기 터미날로써, 상기 터미날은 상보형 터미날과 전기적 접속을 위하여 콘택부 쪽으로 연장하고 도체와 전기적 접속을 이루는 접속부와, 장착될 때 하우징구멍의 벽에 밀접하게 배치되는 길이방향 박스형태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박스형태 부분은 대향하는 상벽 및 하벽과, 상기 상벽 및 하벽의 길이방향 측면엣지 사이에서 연장하는 대향하는 측벽을 구비하는 전기 터미날에 있어서,
    상기 상벽 및 하벽은 벽의 단부에서 결합되는 길이방향 스프링 빔을 구비하며, 상기 빔은 떨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터미날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구멍 벽과 탄력적으로 억지끼워맞춤되는 사실상 중앙에 배치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터미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빔은 엣지-스탬프되며 사실상 상기 상벽 및 하벽의 평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터미날.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벽 또는 하벽은 한 쌍의 대향하는 스프링 빔을 구비하며, 각각의 스프링 빔은 상기 대응하는 측벽 근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터미날.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빔은 상기 상벽 및 하벽의 평면에 있는 길이방향 슬롯에 의해 상벽 및 하벽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터미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날은 상기 접속부 및 콘택부를 구비하는 내부 콘택보디 위로 장착되는 분리된 외부 스프링보디를 구비하며, 상기 외부 스프링보디는 박스형태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터미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콘택보디는 베이스부와, 상기 접속부와 콘택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유연한 길이방향 스프링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부 스프링보디는 외부 스프링보디내에서 상기 콘택부의 플로우팅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서 내부 콘택보디에 단단히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터미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스프링보디는 상기 콘택부를 보호하기 위해 전체 콘택부 위로 베이스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뻗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터미날.
  8. 제 5 항 내지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빔은 상기 베이스부와 콘택부의 결합단부 사이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터미날.
KR1019950006745A 1994-04-07 1995-03-28 전기터미날 KR1003472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406934.1 1994-04-07
GB9406934A GB9406934D0 (en) 1994-04-07 1994-04-07 Electrial terminal back-up spring with anti-chattering support memb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908A KR950034908A (ko) 1995-12-28
KR100347240B1 true KR100347240B1 (ko) 2002-11-18

Family

ID=10753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6745A KR100347240B1 (ko) 1994-04-07 1995-03-28 전기터미날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624283A (ko)
EP (1) EP0677890B1 (ko)
JP (1) JP3549069B2 (ko)
KR (1) KR100347240B1 (ko)
BR (1) BR9501445A (ko)
DE (1) DE69500390T2 (ko)
ES (1) ES2104440T3 (ko)
GB (1) GB9406934D0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337B1 (ko) * 2011-10-05 2013-02-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405303D0 (en) * 1994-03-17 1994-04-27 Amp Gmbh Electrical contact
DE19611698A1 (de) * 1996-03-25 1997-10-02 Siemens Ag Kontaktfeder
FR2762452B1 (fr) * 1997-04-16 1999-05-14 Cinch Connecteurs Sa Organe femelle de contact electrique et element de boitier de connecteur electrique destine a recevoir un tel organe
DE19747115A1 (de) * 1997-10-24 1999-04-29 Amp Gmbh Elektrische Steckverbinderanordnung und elektrischer Kontakt
ES1039091Y (es) * 1997-12-24 1999-03-16 Mecanismos Aux Ind Terminal hembra para electronica con funda.
DE29812625U1 (de) * 1998-07-15 1998-09-17 Siemens Ag Buchsenkontakt mit Überfeder und Polarisierung
JP2001143807A (ja) * 1999-11-17 2001-05-25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コネクタ用端子金具
US6244910B1 (en) * 2000-05-04 2001-06-1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box contact with stress limitation
DE10248809A1 (de) 2002-10-19 2004-04-29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in der Ausgestaltung eines Buchsenkontakts mit spezieller Lamellengestaltung
JP3885190B2 (ja) * 2002-11-05 2007-02-21 矢崎総業株式会社 雌端子
PT1420482E (pt) * 2002-11-15 2013-07-31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mento de contacto com lingueta de mola
US8568015B2 (en) 2010-09-23 2013-10-29 Willis Electric Co., Ltd. Decorative light string for artificial lighted tree
US8298633B1 (en) 2011-05-20 2012-10-30 Willis Electric Co., Ltd. Multi-positional, locking artificial tree trunk
US8920002B2 (en) 2011-06-21 2014-12-30 Willis Electric Co., Ltd. Wire-clasping light-emitting diode lights
JP2013016359A (ja) * 2011-07-04 2013-01-24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US8469750B2 (en) 2011-09-22 2013-06-25 Willis Electric Co., Ltd. LED lamp assembly and light strings including a lamp assembly
US8569960B2 (en) 2011-11-14 2013-10-29 Willis Electric Co., Ltd Conformal power adapter for lighted artificial tree
US9157587B2 (en) 2011-11-14 2015-10-13 Willis Electric Co., Ltd. Conformal power adapter for lighted artificial tree
US8876321B2 (en) 2011-12-09 2014-11-04 Willis Electric Co., Ltd. Modular lighted artificial tree
US9179793B2 (en) 2012-05-08 2015-11-10 Willis Electric Co., Ltd. Modular tree with rotation-lock electrical connectors
US9572446B2 (en) 2012-05-08 2017-02-21 Willis Electric Co., Ltd. Modular tree with locking trunk and locking electrical connectors
US9044056B2 (en) 2012-05-08 2015-06-02 Willis Electric Co., Ltd. Modular tree with electrical connector
US10206530B2 (en) 2012-05-08 2019-02-19 Willis Electric Co., Ltd. Modular tree with locking trunk
US9671074B2 (en) 2013-03-13 2017-06-06 Willis Electric Co., Ltd. Modular tree with trunk connectors
US9439528B2 (en) 2013-03-13 2016-09-13 Willis Electric Co., Ltd. Modular tree with locking trunk and locking electrical connectors
US9894949B1 (en) 2013-11-27 2018-02-20 Willis Electric Co., Ltd. Lighted artificial tree with improved electrical connections
US8870404B1 (en) 2013-12-03 2014-10-28 Willis Electric Co., Ltd. Dual-voltage lighted artificial tree
WO2015164754A1 (en) * 2014-04-24 2015-10-29 Molex Incorporated Terminal fitting
US9883566B1 (en) 2014-05-01 2018-01-30 Willis Electric Co., Ltd. Control of modular lighted artificial trees
DE102014118688A1 (de) * 2014-08-21 2016-02-25 Erni Production Gmbh & Co. Kg Kontaktelement und Steckverbinder
DE102014216864B4 (de) * 2014-08-25 2017-05-11 Robert Bosch Gmbh Kontaktelement
JP6311995B2 (ja) * 2015-03-31 2018-04-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US9905953B1 (en) 2016-09-30 2018-02-27 Slobodan Pavlovic High power spring-actuated electrical connector
US10441014B1 (en) 2017-01-03 2019-10-15 Willis Electric Co., Ltd. Artificial tree having multiple tree portions with electrical connectors secured therein
KR102478092B1 (ko) 2017-10-17 2022-1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피메일 터미널
DE102017220015A1 (de) * 2017-11-10 2019-05-16 Robert Bosch Gmbh Kontaktelement
US10683974B1 (en) 2017-12-11 2020-06-16 Willis Electric Co., Ltd. Decorative lighting control
JP7011253B2 (ja) * 2018-01-26 2022-01-26 タツタ電線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及びコネクタ
CH716093B1 (de) 2018-02-26 2023-12-29 Royal Prec Products Llc Federbetätigter elektrischer Steckverbinder für Hochleistungsanwendungen.
CN112956084B (zh) 2018-06-07 2023-10-03 皇家精密制品有限责任公司 具有内部弹簧部件的电连接器组件
CN113508498A (zh) 2019-01-21 2021-10-15 皇家精密制品有限责任公司 具有无螺栓汇流排系统的配电组件
CN114787815A (zh) 2019-09-09 2022-07-22 伊顿智能动力有限公司 具有可读和可记录标记的连接器记录系统
US11721942B2 (en) 2019-09-09 2023-08-08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Connector system for a component in a power management system in a motor vehicle
TWI734244B (zh) * 2019-11-04 2021-07-21 大陸商東莞訊滔電子有限公司 電性端子以及電連接器
US10978832B1 (en) * 2020-02-07 2021-04-13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Protection member to protect resilient arms of a contact assembly from stubbing
DE112021003303T5 (de) 2020-07-29 2023-05-25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Elektrisches verbindungssystem mit zylindrischem klemmenkörp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7337A (en) * 1975-02-21 1976-05-18 Litton Systems, Inc. Miniature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tact centering means
JPS5539562Y2 (ko) * 1976-07-22 1980-09-16
US4083022A (en) * 1976-10-12 1978-04-04 Bunker Ramo Corporation Planar pi multi-filter having a ferrite inductance for pin filters in electrical connectors
US4385794A (en) * 1978-07-25 1983-05-31 Amp Incorporated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
JP2644548B2 (ja) * 1988-09-20 1997-08-25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4900271A (en) * 1989-02-24 1990-02-13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fuel injector and terminals therefor
DE9017536U1 (ko) * 1990-12-28 1991-03-21 Amp Inc., Harrisburg, Pa., Us
DE9106773U1 (ko) * 1991-06-03 1991-07-18 Amp Inc., Harrisburg, Pa., Us
DE9106775U1 (ko) * 1991-06-03 1991-07-18 Amp Inc., Harrisburg, Pa., Us
US5152700A (en) * 1991-06-17 1992-10-06 Litton Systems, Inc.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system
GB9124572D0 (en) * 1991-11-20 1992-01-08 Amp Gmbh Electrical terminal having improved retention mea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337B1 (ko) * 2011-10-05 2013-02-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77890A1 (en) 1995-10-18
BR9501445A (pt) 1995-11-07
DE69500390D1 (de) 1997-08-07
EP0677890B1 (en) 1997-07-02
ES2104440T3 (es) 1997-10-01
GB9406934D0 (en) 1994-06-01
JPH0845606A (ja) 1996-02-16
US5624283A (en) 1997-04-29
KR950034908A (ko) 1995-12-28
DE69500390T2 (de) 1997-10-23
JP3549069B2 (ja) 2004-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7240B1 (ko) 전기터미날
EP0678936B1 (en) Miniature anti-fretting receptacle terminal
US5338229A (en) Electrical contact
KR102483940B1 (ko) 커넥터 조립체
EP0727842B1 (en) One-piece receptable terminal
KR100433704B1 (ko) 접촉 신뢰성을 갖는 커넥터
KR100891477B1 (ko) 암형 단자 피팅
KR20010074996A (ko) 전기 커넥터용 소켓 콘택트
US6390860B2 (en) Connector with a terminal deflection preventing mechanism
JPH0737635A (ja) 電気接続端子
JPH11345645A (ja) リセプタクル電気端子
EP1120861A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female contact
KR100966225B1 (ko) 접촉 안정부를 갖춘 전기 소켓 단자
CN110277689B (zh) 可动连接器
EP0697752A2 (en) Electrical receptacle terminal
EP3940890B1 (en) Floating connector
JP7297622B2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WO1998029924A1 (en) Electrical contact
JP4482568B2 (ja) 電気コネクタ
JP4034801B2 (ja) 電気コネクタ
US5741163A (en) Electrical receptacle terminal
JPH10510093A (ja) プレス加工されたスクリーンコンタクトピン用のリセプタクルコンタクト
JPH10125378A (ja) 雌型端子
JP3489045B2 (ja) コンタクト
KR102055392B1 (ko) 피메일 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