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8092B1 - 피메일 터미널 - Google Patents

피메일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8092B1
KR102478092B1 KR1020170134379A KR20170134379A KR102478092B1 KR 102478092 B1 KR102478092 B1 KR 102478092B1 KR 1020170134379 A KR1020170134379 A KR 1020170134379A KR 20170134379 A KR20170134379 A KR 20170134379A KR 102478092 B1 KR102478092 B1 KR 102478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ale terminal
contact
housing
fema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2833A (ko
Inventor
박세훈
송근성
임근택
배영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4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092B1/ko
Priority to US15/830,889 priority patent/US10153574B1/en
Priority to CN201711274658.1A priority patent/CN109672041B/zh
Publication of KR20190042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01R13/052Resilient pins or blades co-operating with socket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피메일 터미널은, 메일 터미널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피메일 터미널로서, 상기 메일 터미널이 삽입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서 내부공간으로 절곡되어 상기 메일 터미널이 삽입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메일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영역을 형성하는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 중 적어도 상기 메일 터미널과 접속되는 영역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절개홀이 폭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상기 메일 터미널과 복수의 개소에서 접촉된다.

Description

피메일 터미널 {FEMALE TERMINAL}
본 발명은 피메일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일 터미널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피메일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자동차에는 각종 전기장치가 포함되어 있고, 이들의 회로 및 케이블 등을 연결하는 커넥터의 개수도 급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내연엔진은 장착하고 있는 자동차에서는 필연적으로 진동이 발생하고, 이러한 진동에 의해 봉 형상의 메일 터미널(Male Terminal)과 파이프 형상의 피메일 터미널(Female Terminal)의 단자 접속부에 진동 마찰이 발생하게 된다.
전기 접속부재의 전극은 주석이 도금되어 부식을 방지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진동에 의해 두 전극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면 주석 도금층이 탈락되면서 미세한 주석 입자를 생성시키게 되고, 이 입자는 공기중의 산소에 의해 산화되면서 산화주석(Tin Oxide)으로 변화된다.
산화주석은 절연성 물질로서, 이 산화주석이 두 전극 사이에 쌓이게 되면 결과적으로 두 전극 사이에 절연성의 막이 형성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절연성 산화주석 막이 일정 두께 또는 면적으로 확대되면, 두 전극을 순간적으로 단락시키거나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전기 저항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육안으로 매끈하게 보이는 전극의 표면도 확대해서 보면 울퉁불퉁한 산과 골을 가지고 있는 거친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두 전극 사이의 접촉 면적이 감소하여 저항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마찰에 의한 주석 입자의 탈락 및 산화 피막 형성을 억제하고, 전극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커넥터 구조, 그 중에서도 새로운 피메일 터미널의 구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JP 2002-0246092 (2002.08.30)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저항을 최소화하고, 마찰에 의한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피메일 터미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 터미널은, 메일 터미널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피메일 터미널로서, 상기 메일 터미널이 삽입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서 내부공간으로 절곡되어 상기 메일 터미널이 삽입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메일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영역을 형성하는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 중 적어도 상기 메일 터미널과 접속되는 영역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절개홀이 폭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상기 메일 터미널과 복수의 개소에서 접촉된다.
상기 클립은, 상기 하우징의 단부로부터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결합부, 탄성부, 고정부, 접촉부 및 말단부로 구분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고정부, 상기 접촉부 및 상기 말단부가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를 탄성적으로 매개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폭방향 단면이 아래 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절개홀에 의해 폭방향으로 복수 개의 단자로 분할되어 상기 단자들이 각각 개별적으로 상기 메일 터미널에 접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하기 식 1 및 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식 1: S ≥ 0.2 × t
식 2: H ≥ t
(단, S는 단자의 폭, H는 절개홀의 폭, t는 접촉부의 두께이다.)
상기 접촉부는, 두 개의 절개홀에 의해 분할된 세 개의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하기 식 3을 만족할 수 있다.
식 3: F ≥ 1.1 × E
(단, F는 메일 터미널과 접촉부 사이의 정지 마찰력, E는 탄성부가 최대한 변형되었을 때의 탄성력이다.)
상기 탄성부는, 폭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일 터미널의 이동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인장 또는 수축하면서 상기 고정부, 상기 접촉부 및 상기 말단부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클립을 상하로 관통하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내측면으로부터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은 상기 고정핀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내측면으로부터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편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내측면으로부터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말단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편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피메일 터미널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실질적인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터미널간 접촉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진동에 의한 터미널간 마찰을 감소시켜 절연성 산화피막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셋째, 진동을 흡수하는 탄성부의 이동거리를 제한하여 탄성한계를 넘어서는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넷째, 종래의 터미널 구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적용이 간편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 터미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 터미널의 평면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 터미널의 측면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 터미널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메일 터미널과 종래의 피메일 터미널의 접촉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메일 터미널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 터미널의 접촉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피메일 터미널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 터미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 터미널의 평면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 터미널의 측면 절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메일 터미널(100)은 크게 하우징(110)과 클립(1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길이방향은 메일 터미널(200)이 삽입 또는 이탈되는 방향이고, 폭방향은 길이방향과 수직하며 클립(120)과 메일 터미널(200)이 접하는 면과 평행한 방향을 지칭한다.
하우징(110)은 메일 터미널(200)이 삽입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일종의 관 형태의 구성으로서, 그 하나의 예시로서 사각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그 일단 방향으로 메일 터미널(200)이 삽입되고, 타단 방향에는 전선과의 접속을 위한 접속단자(300)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10)은 접속단자(3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개의 구성으로 형성되어 별도의 결합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하우징(110) 및 접속단자(300)의 재질은 구리나 알루미늄 등의 도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자세히는 후술하겠지만, 하우징(110)에는 그 내측면으로부터 내부공간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핀(111), 제1지지편(112) 및 제2지지편(1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의 설치 위치 및 결합관계는 이하에서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과 함께 다루도록 한다.
클립(120)은 하우징(110)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하우징(110)의 내부공간 방향으로 절곡되어 메일 터미널(200)이 삽입되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메일 터미널(200)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이다. 이때, 클립(120)의 영역 중에서 최소한 메일 터미널(200)과 접촉하는 영역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절개홀(126)이 폭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클립(120)과 메일 터미널(200)이 복수의 개소에서 접촉하게 된다.
클립(120)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하우징(110)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결합부(121), 탄성부(123), 고정부(124), 접촉부(122) 및 말단부(125)로 구분될 수 있다.
결합부(121)는 클립(120) 전체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하우징(110)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클립(120)의 일단부를 이루는 부분이다. 클립(120)의 나머지 부분인 탄성부(123), 고정부(124), 접촉부(122) 및 말단부(125)는 하우징(110)이나 기타 다른 구성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단지 결합부(121)에서 연장되어 결합부(121)에 의해 지지된다.
결합부(121)는 하우징(110)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하우징(110)의 내부공간 방향으로 절곡되고, 이에 따라 C자와 유사한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클립(120) 전체를 지지하는 기점으로서의 역할만 수행할 수 있다면 그 구체적인 형상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탄성부(123)는 결합부(121)와 고정부(124) 사이를 탄성적으로 매개하는 구성으로서, 폭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123)는 길이방향으로 인장 또는 수축하면서 상기 틈새가 확장되거나 좁혀지는 방식으로 변형되고, 이에 따라 고정부(124), 접촉부(122) 및 말단부(125)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만, 탄성부(123)는 결합부(121)를 제외한 클립(120)의 나머지 부분, 즉 고정부(124), 접촉부(122) 및 말단부(125)를 지지해야 하기 때문에, 탄성력과 함께 최소한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두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구체적인 탄성부(123)의 두께는 클립(120)의 재질이나 터미널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탄성부(123)는 하기 식 3을 만족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식 3: F ≥ 1.1 × E
(단, F는 메일 터미널과 접촉부 사이의 정지 마찰력, E는 탄성부가 최대한 변형되었을 때의 탄성력이다.)
식 3을 만족할 경우, 정지 마찰력이 최대 탄성력보다 크기 때문에 메일 터미널(200)과 피메일 터미널(100) 사이에 상대적인 진동이 발생할 때, 메일 터미널(200)과 접촉부(122) 사이의 마찰이 발생하는 것보다 먼저 탄성부(123)의 변형이 발생하여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상술한 정지 마찰력이 최대 탄성력의 1.1배 미만일 경우,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없게 된다.
고정부(124)에는 하우징(11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고정핀(111)이 삽입되는 고정홀(124a)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고정홀(124a)은 고정핀(111)보다 크게 형성되어 고정홀(124a) 내에서 고정핀(111)이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고정핀(111)은 하우징(110)에서 연장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클립(120)의 탄성부(123)가 길이방향으로 변형될 때 고정핀(111)이 고정홀(124a)의 내측면에 걸리면서 탄성부(123)의 변형량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홀(124a)의 길이방향 길이는 고정핀(111)의 길이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고정홀(124a)의 폭방향 길이는 고정핀(111)의 폭방향 길이와 같거나 그 이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고정핀(111)이 고정홀(124a)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때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홀(124a) 및 고정핀(111)의 길이방향 길이의 차이는, 메일 터미널(200)과 피메일 터미널(100) 사이에 발생하는 상대진동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길이 차이가 상대진동 길이보다 짧을 경우 탄성부(123)가 진동에 의한 마찰을 방지할 수 없게 된다.
접촉부(122)는 폭방향 단면이 아래 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되어 V자 형태와 유사한 폭방향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메일 터미널(200)이 하우징(110)에 삽입될 때 접촉부(122)의 V자 꼭지점 부분, 즉 접점(130)이 메일 터미널(200)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다.
또한, 접촉부(122)는 복수 개의 절개홀(126)로 구분되는 복수 개의 단자(122a, 122b, 122c), 예를 들어 두 개의 절개홀(126)에 의해 구획지어진 제1단자(122a), 제2단자(122b) 및 제3단자(122c)로 구분될 수 있다. 이렇게 접촉부(122)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단자(122a, 122b, 122c)들은 각각 메일 터미널(200)에 별도로 접촉하게 된다.
이때, 접촉부(122)의 각각의 단자(122a, 122b, 122c) 및 절개홀(126)은 하기 식 1 및 식 2를 만족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식 1: S ≥ 0.2 × t
식 2: H ≥ t
(단, S는 단자의 폭, H는 절개홀의 폭, t는 접촉부의 두께이다.)
상기 접촉부는, 두 개의 절개홀에 의해 분할된 세 개의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식 1은 단자(122a, 122b, 122c)의 폭을 한정하는 조건이고, 식 2는 절개홀(126)의 폭을 한정하는 조건으로서, 식 1을 불만족할 경우 단자(122a, 122b, 122c)의 폭이 너무 좁아지기 때문에 단자의 강성이 저하되고, 식 2를 불만족할 경우 절개홀(126)을 형성시키기 위한 공정 난이도가 상승하여 공정 불량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즉 예를 들어, 피메일 터미널을 제조하기 위한 반제품을 주조할 때 절개홀(126) 위치에 삽입되는 코어가 파손되어 절개홀(126)을 형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식 1 및 2의 단자(122a, 122b, 122c) 및 절개홀(126)의 폭은 도 7을 참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 터미널의 측면도이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에는 추가적으로 제1지지편(112) 및 제2지지편(1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편(112)은 하우징(110)의 내측면으로부터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어 고정부(124)의 하면을 지지하는 구성이고, 제2지지편(113)은 하우징(110)의 내측면으로부터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어 말단부(125)의 하면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렇게 제1지지편(112) 및 제2지지편(113)을 형성시키는 이유는, 클립(120)이 자중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메일 터미널(200)이 하우징(110) 내부에 삽입되어 있을 때에는 클립(120), 구체적으로 접촉부(122)를 메일 터미널(200)이 지지하게 되지만, 메일 터미널(200)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클립(120)의 하중을 결합부(121)가 모두 지탱해야 하기 때문에, 자중에 의해 클립(120)이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클립(120)이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면, 메일 터미널(200)을 삽입시킬 때 걸림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따라서, 제1지지편(112)으로 고정부(124)의 하단을 지지하고, 제2지지편(113)으로 말단부(125)의 하단을 지지함으로써, 클립(120)이 자중에 의해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피메일 터미널의 작동관계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메일 터미널(100)은, 메일 터미널(200)이 삽입된 상태에서 메일 터미널(200)과 피메일 터미널(100) 사이에서 상대적인 진동이 발생할 때, 메일 터미널(200)과 피메일 터미널(100)의 접촉부에서 마찰이 발생하여 산화 피막, 예를 들어 주석 산화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메일 터미널(200)이 하우징(110)에 삽입되어 접촉부(122)와 접촉된 이후 메일 터미널(200)과 피메일 터미널(100) 사이에 상대진동이 발생할 경우, 탄성부(123)가 길이방향으로 변형되면서 상대진동을 흡수하고, 메일 터미널(200)과 접촉부(122)의 접점이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여 마찰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5는 메일 터미널과 종래의 피메일 터미널의 접촉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메일 터미널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 터미널의 접촉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평평하게 가공된 두 면이 접촉하는 것을 일반적으로 면접촉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그러나 가공된 면이 평평하게 보이더라도, 그 면을 현미경으로 확대해 보면 수많은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두 면의 면접촉은 각각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끼리 맞닿는 것으로서, 실질적으로 수많은 점접촉의 집합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피메일 터미널(100)의 접촉부(10)를 하나의 판재로 구성하여 접촉부(10)의 단자(11)의 폭과 메일 터미널(200)의 폭이 동일하였다. 이때,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접촉점(C)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적어지므로, 총 접촉 면적이 작아져 접촉저항이 높아지게 된다.
반면,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메일 터미널(100)은 접촉부(122)를 복수 개의 단자(122a, 122b, 122c)로 구성함으로써, 접촉부(122)의 단자(122a, 122b, 122c)와 메일 터미널(200)이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접촉점(C)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많아지게 된다. 즉, 메일 터미널(200)의 폭방향 길이(L)보다 짧은 복수 개의 단자(122a, 122b, 122c)를 각각 메일 터미널(200)에 접촉시킬 경우, 겉보기 접촉면적은 작아질 수 있지만, 실질적인 접촉 면적은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접촉부(122)와 메일 터미널(200)의 총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접촉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피메일 터미널 110: 하우징
111: 고정핀 112: 제1지지편
113: 제2지지편 120: 클립
121: 결합부 122: 접촉부
123: 탄성부 124: 고정부
125: 말단부 200: 메일 터미널
300: 접속단자
C: 접촉점

Claims (10)

  1. 메일 터미널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피메일 터미널로서,
    상기 메일 터미널이 삽입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서 내부공간으로 절곡되어 상기 메일 터미널이 삽입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메일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영역을 형성하는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 중 적어도 상기 메일 터미널과 접속되는 영역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절개홀이 폭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상기 메일 터미널과 복수의 개소에서 접촉되며,
    상기 클립은, 상기 하우징의 단부로부터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결합부, 탄성부, 고정부, 접촉부 및 말단부로 구분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고정부, 상기 접촉부 및 상기 말단부가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를 탄성적으로 매개하며,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클립을 상하로 관통하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내측면으로부터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은 상기 고정핀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메일 터미널.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폭방향 단면이 아래 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절개홀에 의해 폭방향으로 복수 개의 단자로 분할되어 상기 단자들이 각각 개별적으로 상기 메일 터미널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메일 터미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하기 식 1 및 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메일 터미널.
    식 1: S ≥ 0.2 × t
    식 2: H ≥ t
    (단, S는 단자의 폭, H는 절개홀의 폭, t는 접촉부의 두께이다.)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두 개의 절개홀에 의해 분할된 세 개의 단자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메일 터미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하기 식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메일 터미널.
    식 3: F ≥ 1.1 × E
    (단, F는 메일 터미널과 접촉부 사이의 정지 마찰력, E는 탄성부가 최대한 변형되었을 때의 탄성력이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폭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일 터미널의 이동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인장 또는 수축하면서 상기 고정부, 상기 접촉부 및 상기 말단부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메일 터미널.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내측면으로부터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메일 터미널.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내측면으로부터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말단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메일 터미널.
KR1020170134379A 2017-10-17 2017-10-17 피메일 터미널 KR102478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379A KR102478092B1 (ko) 2017-10-17 2017-10-17 피메일 터미널
US15/830,889 US10153574B1 (en) 2017-10-17 2017-12-04 Female terminal capable of minimizing resistance and preventing deterioration of performance due to friction
CN201711274658.1A CN109672041B (zh) 2017-10-17 2017-12-06 母端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379A KR102478092B1 (ko) 2017-10-17 2017-10-17 피메일 터미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833A KR20190042833A (ko) 2019-04-25
KR102478092B1 true KR102478092B1 (ko) 2022-12-16

Family

ID=64535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379A KR102478092B1 (ko) 2017-10-17 2017-10-17 피메일 터미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53574B1 (ko)
KR (1) KR102478092B1 (ko)
CN (1) CN1096720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087B1 (ko) * 2022-01-04 2024-03-25 주식회사 유라 충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33004A1 (en) * 2012-05-18 2015-05-14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Fema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406934D0 (en) 1994-04-07 1994-06-01 Amp Gmbh Electrial terminal back-up spring with anti-chattering support members
FR2719163A1 (fr) 1994-04-22 1995-10-27 Amp France Borne anti-corrosion par usure, destinée à recevoir une borne complémentaire.
JP2000173703A (ja) * 1998-12-08 2000-06-23 Yazaki Corp 電気コンタクト
JP2000195599A (ja) * 1998-12-24 2000-07-14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JP2002246092A (ja) * 2001-02-19 2002-08-30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DE10248809A1 (de) 2002-10-19 2004-04-29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in der Ausgestaltung eines Buchsenkontakts mit spezieller Lamellengestaltung
JP2006172732A (ja) 2004-12-13 2006-06-29 Yazaki Corp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KR20090060793A (ko) 2007-12-10 2009-06-1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터미널
KR100907541B1 (ko) * 2007-12-13 2009-07-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터미널
KR101598633B1 (ko) * 2009-11-11 2016-02-29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커넥터용 단자
CN102088136A (zh) * 2009-12-03 2011-06-08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电连接端子
JP5618677B2 (ja) * 2010-07-30 2014-11-05 矢崎総業株式会社 接続端子
JP5964673B2 (ja) 2012-06-28 2016-08-0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メス型端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33004A1 (en) * 2012-05-18 2015-05-14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Fema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53574B1 (en) 2018-12-11
CN109672041A (zh) 2019-04-23
CN109672041B (zh) 2021-09-07
KR20190042833A (ko) 2019-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4495B1 (ko) 커넥터 단자 및 전기 커넥터
JP4932871B2 (ja) 電気検査の対象物と接触方式により接点を形成するための電気接点素子、並びに当該接触配列
US7874877B2 (en) Communication jack having layered plug interface contacts
US10014614B2 (en) Terminals for electrical connectors
DE10007138C2 (de) Kontaktelement
US7775840B2 (en) Female connector terminal with internal plate spring
JP5761218B2 (ja) プレスフィットピン、接続構造、及び電子装置
KR101923712B1 (ko) 전기 커넥터 단자
JP2014528640A5 (ko)
US11862880B2 (en) Compressible electrical contacts with divaricated-cut sections
US9265150B2 (en) Semi-compliant terminals
KR102478092B1 (ko) 피메일 터미널
JP2014232576A (ja) 多接点型雌端子
CN111193126A (zh) 导电端子和电连接器
EP3198684A1 (en) Terminals for electrical connectors
US20180083377A1 (en) Press-fit terminal and board connector
US20180026385A1 (en) Electrical contact pair and connector terminal pair
DE102019208778A1 (de) Einpressanschluss und Substratanordnung
US9293859B2 (en) Grooved connectors with retaining mechanisms
WO2021106546A1 (ja) プレスフィット端子、プレスフィット端子付基板及び機器
EP3051563B1 (en) Spring member for an electrical switching element
US20220294146A1 (en) Electrical Connector
US20170194752A1 (en) Contact structure
US20230299528A1 (en) Connector
KR102338051B1 (ko) 동축 커넥터 및 동축 케이블을 구비한 동축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