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4337B1 - 터미널 - Google Patents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337B1
KR101234337B1 KR1020110101255A KR20110101255A KR101234337B1 KR 101234337 B1 KR101234337 B1 KR 101234337B1 KR 1020110101255 A KR1020110101255 A KR 1020110101255A KR 20110101255 A KR20110101255 A KR 20110101255A KR 101234337 B1 KR101234337 B1 KR 101234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ar end
cover
hook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1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3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터미널은 몸체부(10)의 일단에 바렐부(12)가 구비되고, 반대쪽에 결합부(18)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18)를 둘러싸서 결합부(18)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커버부(30)가 있는데, 상기 커버부(3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이음선의 선단측과 후단측에 이음선을 기준으로 선단걸이돌편(40)과 후단걸이돌편(42)이 각각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선단걸이돌편(40)과 후단걸이돌편(42)은 상기 결합부(18)의 대응되는 선단과 후단에 형성된 선단걸이홈(28)과 후단걸이홈(28')에 안착되어 선단걸이돌편(40)쌍과 후단걸이돌편(42)쌍 끼리 밀착되어 이음선(33)이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결합부(18)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커버부(30)의 선단 양측에는 삽입고정편(38)을 형성하고 대응되는 결합부(18)에는 삽입슬롯(26)이 형성된다. 커버부(30)의 후단에는 후단 절곡걸이(48)가 형성되고, 이는 상기 결합부(18)의 후단에 인접한 몸체부(10)에 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터미널의 결합부(18)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커버부(30)의 선단과 후단이 상기 결합부(18)의 대응되는 위치에 걸어져 결합되므로 제조가 보다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터미널{terminal}
본 발명은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 터미널과 결합되는 결합부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커버부가 구비되는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터미널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절연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커넥터를 구성한다. 상기 터미널은 서로 결합되는 커넥터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결합됨에 의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따라서, 터미널은 서로 결합되는 커넥터에 구비되는 것이 서로 결합이 가능하게 구성되는데, 일반적으로 암터미널(리셉터클 터미널)과 수터미널(탭터미널)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일종의 암터미널로서 봉형상의 수터미널이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가 원통형상으로 된 것이다.
봉형상의 수터미널의 외면을 둘러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원통형으로 된 결합부에 다수개의 접점브릿지를 형성하는데, 상기 접점브릿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결합부를 길이방향으로 부분부분 절제해 내야 한다. 따라서, 결합부에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한 구성을 형성할 수 없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원통형의 커버부를 더 설치하고 상기 커버부에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한 구조 등을 두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도 역시 원통형상으로 되는데, 금속판을 원통형으로 말아서 그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연결부에서 레이저용접을 하게 된다. 하지만, 레이저용접을 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의 결합부를 감싸는 커버부를 자체의 구조 및 결합부와의 결합을 통해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구비되어 와이어와 결합되는 바렐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구비되고 중앙부분이 내부를 향해 돌출되게 다수개의 접점브릿지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구비되며 상대 터미널이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를 둘러싸고 상기 결합부와 선단과 후단이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의 형상을 유지하며 하우징에의 고정을 위한 구조를 구비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와 커버부는 각각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결합부의 외면에 상기 커버부의 내면이 안착된다.
상기 커버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이음선에 해당되는 부분의 선단과 후단에는 이음선을 중심으로 각각 선단걸이돌편 쌍과 후단걸이돌편 쌍이 형성되고, 상기 선단걸이돌편 쌍과 후단걸이돌편 쌍은 상기 결합부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형성된 선단걸이홈과 후단걸이홈에 안착되어 이음선에서 선단걸이돌편 쌍과 후단걸이돌편 쌍이 각각 밀착된다.
상기 커버부의 이음선 중간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연결돌편과 연결절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돌편이 연결절결부에 안착되어 걸어진다.
상기 연결돌편과 연결절결부는 도브테일 형상이다.
상기 커버부의 선단에는 삽입고정편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 선단에 형성된 삽입슬롯에 삽입되어 걸어지고, 상기 커버부의 후단에는 후단절곡걸이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후단에 인접한 몸체부에 걸어진다.
상기 커버부의 외면을 둘러서는 터미널랜스가 외팔보 형상으로 상기 바렐부를 향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와이어와 결합되는 바렐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선단에서 후단으로 연장되고 중앙부가 내부를 향해 돌출되게 다수개의 접점브릿지가 구비되며 상대 터미널이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접점브릿지와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결합되며 선단과 후단에 선단걸이홈과 후단걸이홈이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선단과 후단에 이음선을 사이에 두고 선단걸이돌편 쌍과 후단걸이돌편 쌍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선단걸이홈과 후단걸이홈에 안착됨에 의해 상기 선단걸이돌편 쌍과 후단걸이돌편 쌍이 각각 밀착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와 커버부는 각각 선단과 후단으로 개방되는 통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결합부의 외면에 상기 커버부의 내면이 안착된다.
상기 커버부의 외면을 둘러서는 터미널랜스가 외팔보 형상으로 상기 바렐부를 향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의 선단에는 삽입고정편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 선단에 형성된 삽입슬롯에 삽입되어 걸어지고, 상기 커버부의 후단에는 후단절곡걸이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후단에 인접한 몸체부에 걸어진다.
상기 커버부의 이음선 중간부 일측에는 연결돌편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타측에는 상기 연결돌편이 걸어지는 연결절결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터미널의 원통형 결합부를 둘러싸는 커버부의 일부를 결합부와 연결되어 결합되도록 하여 커버부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커버부의 제조가 보다 용이하게 되고, 특히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연속적으로 터미널을 만들어 낼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이 매우 높아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버부를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터미널은 일종의 암터미널로서 커넥터의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터미널은 상대 커넥터에 있는 봉형상의 수터미널과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물론, 반드시 상기 수터미널이 별도의 하우징에 설치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터미널은 금속판을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순차적으로 가공하여 만들어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터미널에는 몸체부(10)가 구비된다. 상기 몸체부(10)의 후단에는 바렐부(12)가 구비되고 선단에는 결합부(18)가 일체로 구비된다. 물론, 상기 몸체부(10)가 상기 바렐부(12) 및 결합부(18)와 확연하게 구별되어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몸체부(10)라고 표현하지 않고 터미널의 후단에 바렐부(12)가 있고 이에 일체로 선단에 결합부(18)가 있다고 표현해도 상관없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몸체부(10)를 두었다.
바렐부(12)는 와이어와의 전기적 물리적 결합을 위한 것이다. 상기 바렐부(12)는 와이어의 심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바렐(14)과 와이어의 인슐레이션을 둘러감싸는 인슐레이션 바렐(16)로 구성된다. 이들 와이어바렐(14)과 인슐레이션 바렐(16)은 각각 사각형상의 판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각각 와이어의 심선과 와이어의 인슐레이션의 외면을 둘러 압착된다.
상기 몸체부(10)의 선단에는 원통형상의 결합부(18)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18)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9)이 터미널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8)의 선단과 후단방향으로 개방된다. 상기 내부공간(19)에는 상대 터미널의 선단이 삽입된다. 상기 결합부(18)는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지는데, 사각형의 금속판을 원형으로 만든 것이다. 하지만, 금속판의 양단이 원형으로 만들어지면서 만나는 부분은 결합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부(30)에 의해 결합부(18)의 형상이 유지되기 때문이다.
상기 결합부(18)의 선단과 후단에는 각각 링형상의 선단링(20)과 후단링(22)이 구비된다. 물론, 상기 선단링(20)과 후단링(22)은 별개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하나의 금속판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상기 선단링(20)과 후단링(22)을 연결하도록 접점브릿지(24)가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접점브릿지(24)는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결합부(18)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접점브릿지(24) 사이는 관통된 공간이다. 상기 접점브릿지(24)는 그 중앙부분이 상기 내부공간(19)을 향해 돌출된다. 즉, 상기 접점브릿지(24)는 아치형상으로 된다. 상기 내부공간(19)을 향해 돌출된 중앙부분이 상대 터미널의 외면에 각각 밀착되어 접점브릿지(24)가 탄성변형된 상태로 있게 된다.
상기 결합부(18)의 선단에 해당되는 상기 선단링(20)의 양측에는 삽입슬롯(26)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슬롯(2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부(30)의 삽입고정편(38)이 삽입된다.
상기 결합부(18)의 선단에 해당되는 상기 선단링(20)에는 또한 선단걸이홈(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선단걸이홈(28)은 상기 선단링(20)의 선단부분으로도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부(30)의 선단걸이돌편(40)이 안착되어 걸어진다.
상기 후단링(22)에서 상기 선단걸이홈(28)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후단걸이홈(28')이 형성된다. 상기 후단걸이홈(28')은 상기 후단링(22)의 후단부분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부(30)의 후단걸이돌편(42)이 안착되어 걸어진다. 참고로, 상기 선단걸이홈(28)과 후단걸이홈(28')은 선단링(20)과 후단링(20)의 선단과 후단까지 형성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사각형의 관통부 형태 등 다양한 형상의 관통부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결합부(18)의 형상을 유지하고 터미널 전체가 하우징 내부에서 특정 위치에 있도록 하기 위해 커버부(30)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부(30)는 상기 결합부(18)의 외면을 둘러싸는 원통형상이다. 상기 커버부(30)의 내면에는 상기 결합부(18)의 외면이 밀착되어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커버부(30)의 골격을 커버몸체(32)가 형성한다. 상기 커버몸체(32)는 금속판을 원통형상으로 만든 것이다. 상기 커버몸체(32)를 원통형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금속판의 양단이 서로 만나는 이음선(33)이 존재하게 되는데, 상기 이음선(33)이 형성되는 부분에는 커버몸체(32)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연결돌편(34)과 연결절결부(36)가 있다. 상기 연결돌편(34)은 커버몸체(32)의 이음선(33) 부분에서 돌출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연결절결부(36)는 커버몸체(32)의 이음선(33) 부분에서 대응되는 위치가 만곡되어 있는 것이다. 이들 연결돌편(34)과 연결절결부(36)는 도브테일 구조로 만들어져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커버부(30)의 선단 양측에는 삽입고정편(38)이 구비된다. 상기 삽입고정편(38)은 상기 결합부(18)의 삽입슬롯(26)에 삽입되어 커버부(30)가 결합부(18)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삽입고정편(38)은 상기 커버부(30)의 선단 양측에 형성되어 커버부(30)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고정편(38)은 사각판형상이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상기 삽입슬롯(26)에 삽입되어 걸어질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하여도 좋다.
상기 커버부(30)의 선단에서 상기 이음선(33)의 양측에 서로 나란하게 인접하여 선단걸이돌편(40)이 형성된다. 상기 선단걸이돌편(40)은 상기 이음선(33)을 중심으로 양측에 나란히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부(18)의 선단걸이홈(28)에 안착된다. 상기 2개의 선단걸이돌편(40)의 폭방향 전체 거리는 상기 선단걸이홈(28)의 대응되는 방향의 폭과 같도록 된다. 상기 선단걸이돌편(40)은 선단으로 갈수록 하향 연장되고 선단부에서는 다시 상향연장되어 있다. 상기 선단걸이돌편(40)이 하향 연장되어 있음으로 해서 상기 선단걸이홈(28)에 걸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선단걸이홈(28)에 상기 선단걸이돌편(40)이 안착됨에 의해 이음선(33) 부분에서 벌어지지 않게 된다.
상기 커버부(30)의 후단에서 상기 이음선(33)의 양측에 서로 나란하게 인접하여 후단걸이돌편(42)이 형성된다. 상기 후단걸이돌편(42)은 상기 커버부(3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그 선단부분이 커버부(3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선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상기 후단걸이돌편(42)은 상기 결합부(18)의 후단걸이홈(28')에 안착되어 이음선(33) 부분이 벌어지지 않게 한다. 이를 위해 상기 2개의 후단걸이돌편(42)의 폭방향 전체 거리는 상기 후단걸이홈(28')의 대응되는 방향의 폭과 같도록 된다.
한편, 상기 커버부(30)의 외면을 둘러서는 상기 터미널의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터미널랜스(44)가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랜스(44)는 본 실시예에서는 총 3개가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랜스(44)는 외팔보형상이고 터미널을 후단을 향해 연장되면서 원심방향으로 경사지게 된다. 상기 터미널랜스(44)는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걸어져 본 발명의 터미널이 상대 터미널과의 결합시에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부(30)의 후단에는 상기 후단걸이돌편(42)에 각각 인접한 위치에 스토퍼(4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46)는 상기 후단걸이돌편(42)의 사이에 두고 2개가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46)는 하우징에 터미널이 삽입되는 정도를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스토퍼(46)가 상기 하우징에 터미널이 삽입되는 방향을 결정하는 역할도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30)의 최 후단에는 절곡걸이(48)가 한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곡걸이(48)는 상기 몸체부(10)에 걸어지도록 된 것으로 상기 삽입고정편(38)과 협력하여 커버부(30)가 결합부(18)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터미널에서 상기 결합부(18)가 원통형인데, 원통형으로 만들기 위한 이음선(18')은 상기 커버부(30)의 이음선(33)과는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실제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 1의 우측 부분의 삽입고정편(38)이 있는 부분에서 이음선(18')이 일부 보이고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이 만들어지고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터미널은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만들어진다. 즉, 상기 몸체부(10), 바렐부(12) 및 결합부(18)가 하나의 금속판(물론 띠모양으로 된 금속판의 부분)에서 만들어지고 별도의 금속판(역시 띠모양으로 된 금속판의 부분)에서 상기 커버부(30)가 만들어지면서 상기 결합부(18)를 커버부(30)가 감싸도록 하여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커버부(30)를 사용하여 결합부(18)를 감싸는 것은 상기 결합부(18)의 원통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결합부(18)의 형상의 특성상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한 구성을 만들 수 없기 때문이다. 즉, 상기 커버부(30)에 형성된 터미널랜스(44)와 스토퍼(46)는 상기 결합부(18)에 만들기에는 구조적으로 힘들기 때문이다.
상기 결합부(18)는 원통형상이지만 이음선(18')의 부분에서 서로 결합되어 있지는 않다. 하지만, 상기 커버부(30)에서 연결돌편(34)과 연결절결부(36)사이가 서로 결합되고 선단걸이돌편(40)이 결합부(18)의 선단걸이홈(28)에 걸어지며, 상기 후단걸이돌편(42)이 상기 후단걸이홈(28')에 걸어짐에 의해 상기 커버부(30)의 형상이 원통형으로 유지되면, 커버부(30)에 의해 둘러싸여지게 되는 결합부(18)는 원통형상을 유지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선단걸이돌편(40) 두개가 상기 선단걸이홈(28)에 동시에 걸어지고, 상기 후단걸이돌편(42)이 또한 상기 후단걸이홈(28')에 동시에 걸어짐에 의해 커버부(30)의 선단과 후단의 이음선(33)에서 벌어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삽입고정편(38)이 상기 삽입슬롯(26)에 삽입되고, 또한 상기 후단절곡걸이(48)가 상기 결합부(18)의 후단에 인접하게 몸체부(10)에 걸어짐에 의해 상기 결합부(18)의 길이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이 방지된다. 물론,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결합부(18)에 대해 회전되는 것도 이들 구조에 의해 방지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들어진 본 발명의 터미널은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데, 상기 터미널랜스(44)가 하우징 내부 일측에 걸어짐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에서 후방으로 밀리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46)에 의해 터미널이 하우징 내로 삽입되는 정도가 규제된다.
상기와 같이 터미널이 하우징에 설치된 상태에서, 하우징의 전방에서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이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18)의 내부로 들어간다. 상기 결합부(18)의 내부공간(19)으로 상대 터미널이 삽입되면 상기 접점브릿지(24)들이 각각 상기 상대 터미널의 외면에 밀착되면서 탄성변형된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접점브릿지(24)들이 상대 터미널의 외면에 밀착되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대 터미널이 결합부(18)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커버부(30)에서 연결돌편(34)과 연결절결부(36)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선단걸이돌편(40)과 후단걸이돌편(42)이 상기 결합부(18)에 결합됨에 의해 커버부(30)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면, 없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46)는 터미널의 선단이 하우징 내부의 구조에 의해 삽입되는 것이 규제될 수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커버부(30)에는 반드시 터미널랜스(44)나 스토퍼(46)가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기능을 하는 구조를 하우징 쪽에 둘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30)와 결합부(18)의 형상이 반드시 원통형상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사각통 등 횡단면이 다각형이 통형상으로 될 수도 있다.
10: 몸체부 12: 바렐부
14: 와이어바렐 16: 인슐레이션바렐
18: 결합부 19: 내부공간
20: 선단링 22: 후단링
24: 접점브릿지 26: 삽입슬롯
28: 선단걸이홈 28': 후단걸이홈
30: 커버부 32: 커버몸체
33: 이음선 34: 연결돌편
36: 연결절결부 38: 삽입고정편
40: 선단걸이돌편 42: 후단걸이돌편
44: 터미널랜스 46: 스토퍼
48: 후단걸곡걸이

Claims (12)

  1.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구비되어 와이어와 결합되는 바렐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구비되고 중앙부분이 내부를 향해 돌출되게 다수개의 접점브릿지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구비되며 상대 터미널이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를 둘러싸고 상기 결합부와 선단과 후단이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의 형상을 유지하며 하우징에의 고정을 위한 구조를 구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터미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 커버부는 각각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결합부의 외면에 상기 커버부의 내면이 안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이음선에 해당되는 부분의 선단과 후단에는 이음선을 중심으로 각각 선단걸이돌편 쌍과 후단걸이돌편 쌍이 형성되고, 상기 선단걸이돌편 쌍과 후단걸이돌편 쌍은 상기 결합부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형성된 선단걸이홈과 후단걸이홈에 안착되어 이음선에서 선단걸이돌편 쌍과 후단걸이돌편 쌍이 각각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이음선 중간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연결돌편과 연결절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돌편이 연결절결부에 안착되어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돌편과 연결절결부는 도브테일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선단에는 삽입고정편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 선단에 형성된 삽입슬롯에 삽입되어 걸어지고, 상기 커버부의 후단에는 후단절곡걸이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후단에 인접한 몸체부에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외면을 둘러서는 터미널랜스가 외팔보 형상으로 상기 바렐부를 향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8.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와이어와 결합되는 바렐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선단에서 후단으로 연장되고 중앙부가 내부를 향해 돌출되게 다수개의 접점브릿지가 구비되며 상대 터미널이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접점브릿지와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결합되며 선단과 후단에 선단걸이홈과 후단걸이홈이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선단과 후단에 이음선을 사이에 두고 선단걸이돌편 쌍과 후단걸이돌편 쌍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선단걸이홈과 후단걸이홈에 안착됨에 의해 상기 선단걸이돌편 쌍과 후단걸이돌편 쌍이 각각 밀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터미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 커버부는 각각 선단과 후단으로 개방되는 통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결합부의 외면에 상기 커버부의 내면이 안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외면을 둘러서는 터미널랜스가 외팔보 형상으로 상기 바렐부를 향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선단에는 삽입고정편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 선단에 형성된 삽입슬롯에 삽입되어 걸어지고, 상기 커버부의 후단에는 후단절곡걸이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후단에 인접한 몸체부에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이음선 중간부 일측에는 연결돌편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타측에는 상기 연결돌편이 걸어지는 연결절결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KR1020110101255A 2011-10-05 2011-10-05 터미널 KR101234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255A KR101234337B1 (ko) 2011-10-05 2011-10-05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255A KR101234337B1 (ko) 2011-10-05 2011-10-05 터미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4337B1 true KR101234337B1 (ko) 2013-02-18

Family

ID=47899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255A KR101234337B1 (ko) 2011-10-05 2011-10-05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3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9454B1 (ko) * 2017-03-15 2017-09-18 주식회사 기가레인 연결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블라인드 메이팅 커넥터
DE102018210713B4 (de) 2017-07-03 2023-07-2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rbindungsanschlus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5073A (ja) * 1989-11-14 1991-07-03 Amp Japan Ltd 電気コネクタ用ソケット
JPH1050376A (ja) 1996-08-01 1998-02-20 Sumitomo Wiring Syst Ltd 雌側端子金具
JPH10125378A (ja) * 1996-10-21 1998-05-15 Amp Japan Ltd 雌型端子
KR100347240B1 (ko) * 1994-04-07 2002-11-18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전기터미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5073A (ja) * 1989-11-14 1991-07-03 Amp Japan Ltd 電気コネクタ用ソケット
KR100347240B1 (ko) * 1994-04-07 2002-11-18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전기터미날
JPH1050376A (ja) 1996-08-01 1998-02-20 Sumitomo Wiring Syst Ltd 雌側端子金具
JPH10125378A (ja) * 1996-10-21 1998-05-15 Amp Japan Ltd 雌型端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9454B1 (ko) * 2017-03-15 2017-09-18 주식회사 기가레인 연결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블라인드 메이팅 커넥터
US10276949B2 (en) 2017-03-15 2019-04-30 Gigalane Co., Ltd. Connector and blind mating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DE102018210713B4 (de) 2017-07-03 2023-07-2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rbindungsanschlus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85840B1 (en) Electric connector
US8454395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contact member
JP6126749B2 (ja) 電力コネクタ
KR101552537B1 (ko) 전원 플러그
US20170271813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nsert molded holding members
US10290966B2 (en) Joint connector
US20130210255A1 (en) Terminal fitting
KR102076247B1 (ko) 전기 단자
WO2018110228A1 (ja) コネクタ
US20150180163A1 (en) Connector
KR101234337B1 (ko) 터미널
TWI593187B (zh) 電性連接器
JP2013541824A5 (ko)
KR20170003789U (ko) 단자연결이 용이한 멀티콘센트
US11158972B2 (en) Socket connector assembly
JP6599149B2 (ja) コネクタ
CN103460512A (zh) 连接器
KR100988794B1 (ko) 커넥터
KR101315018B1 (ko) 커넥터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KR101146496B1 (ko) 다접점 터미널
KR200410005Y1 (ko) 커넥터용 리어홀더
CN107431305B (zh) 电连接器
JP6282524B2 (ja) 電気コネクタ
US1760921A (en) Plug connecter
KR100976510B1 (ko) 수직형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