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392B1 - 피메일 단자 - Google Patents

피메일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5392B1
KR102055392B1 KR1020180119985A KR20180119985A KR102055392B1 KR 102055392 B1 KR102055392 B1 KR 102055392B1 KR 1020180119985 A KR1020180119985 A KR 1020180119985A KR 20180119985 A KR20180119985 A KR 20180119985A KR 102055392 B1 KR102055392 B1 KR 102055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e end
female terminal
bending
exten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호
임수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
Priority to KR1020180119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3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선형의 도체가 접힘 가공되어 형성되는 피메일 단자에 있어서, 제1 측방으로 대향하는 제1,2 측면에 형성된 보이드면에 의해 측부가 개방된 연결공간이 형성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2 측면 사이에 형성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힘부는 절곡되어 형성되는 밴딩부와, 상기 밴딩부의 일 단에서 상기 연결공간의 내부로 연장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서 연장되는 방지부를 포함하여 탄성 변형되도록 형성되는 제1 자유단부;와 상기 밴딩부의 타 탄에서 상기 바디의 외측으로 상기 제1 자유단부와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2 자유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유단부가 탄성 변형되는 경우, 상기 방지부가 상기 바디의 내벽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메일 단자를 개시하여, 보다 향상된 고정력 및 내구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피메일 단자{FEMALE TERMINAL}
본 발명은 단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피메일 단자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전기 커넥터 조합체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고, 이를 양 커넥터는 상호 결합 가능한 전기 단자들을 장착 또는 수납하고 있다. 이때 플러그 커넥터는 단자들이 상호 결합되도록 리셉터클 커넥터 안에 삽입된 형태로 구비되는데, 이러한 단자들은 메일 및 피메일 또는 핀 및 소켓 단자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종래의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피메일 단자는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프링부가 외부로 노출 형성되어 생산 및 하우징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파손 가능성 및 과변형 가능성이 높아 일정 이상의 제품을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부로 노출 형성되는 란스에 의해 조립 라인 내 이동 변형이 발생되어 회로와의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0001)한국등록특허 제10-0845489호(2008.07.04 등록)
(특허문헌 0002)한국등록특허 제10-1224724호(2013.01.15 등록)
(특허문헌 0003)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4456호(2012.12.07 등록)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일정 이상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접힘부의 변형을 방지하여 보다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피메일 단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선형의 도체가 접힘 가공되어 형성되는 피메일 단자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제1 측방으로 대향하는 제1,2 측면에 형성된 보이드면에 의해 측부가 개방된 연결공간이 형성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2 측면 사이에 형성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힘부는 절곡되어 형성되는 밴딩부와, 상기 밴딩부의 일 단에서 상기 연결공간의 내부로 연장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서 연장되는 방지부를 포함하여 탄성 변형되도록 형성되는 제1 자유단부;와 상기 밴딩부의 타 탄에서 상기 바디의 외측으로 상기 제1 자유단부와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2 자유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유단부가 탄성 변형되는 경우, 상기 방지부가 상기 바디의 내벽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자유단부는 상기 제1 측방을 가로지르는 제2 측방으로 서로 대칭되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연결공간의 내부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상기 밴딩부에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방지부는 상기 연결공간의 내부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도록 상기 가이드부에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자유단부는 상기 바디의 일 측에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2 측면에서 이격되어 형성되고, 일 측에서 절곡되어 상기 방지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기울어져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디에는 상기 제2 자유단부보다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보호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유단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방지부의 경계 영역에서 돌출부가 서로 대향하도록 도트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밴딩부는 상기 제1,2 자유단부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의 일 말단에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2 측면에는 상기 밴딩부보다 돌출 형성되는 제2 보호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의 타 측에서 연장되어,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서 연장되어 와이어를 고정하는 고정부로 형성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내측으로 요입된 요입부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는 대향하는 한 쌍으로 형성되되, 굽힘 시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메일 단자는 제1 자유단부는 대향하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일정 이상의 탄성력을 제공하고, 그에 따라 회로와 보다 안정적으로 전기적 연결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제1 자유단부는 연결공간 내측에 형성되고, 회로 삽입 시 바디의 내벽에 접촉되도록 탄성 변형되어 파손 가능성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동시에 과변형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때 바디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제2 자유단부를 피메일 단자의 하우징 삽입 시, 피메일 단자의 이탈을 방지하여 내구성 효과를 증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바디에는 제1 자유단부의 밴딩부를 보호하는 제1 보호부 및 제2 자유단부를 보호하는 제2 보호부가 형성되어, 생산 및 조립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접힘부의 파손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신뢰성 향상 효과를 증대한다.
또한 보이드면에 의해 제1 측방으로 개방된 연결공간이 형성되어, 복수의 피메일 단자와 회로의 전기적 연결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그에 따라 커넥터 생산 시 작업자의 피로도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낮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피메일 단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다른 방향에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Ⅲ-Ⅲ 방향의 단면도.
도 4(a),4(b)는 도 1 및 도 2의 제1 측방에서의 측면도.
도 5는 도 1에 와이어가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Ⅵ-Ⅵ 방향의 단면도.
도 7은 도 6에 회로기판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하기의 구체적인 설명 시, 제1 측방은 도면의 X방향을 의미하고, 제1 측방을 가로지르는 제2 측방은 도면의 Y방향을 의미하며, 연장방향은 도면의 Z방향을 의미하는 것을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피메일 단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른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4(a),4(b)는 도 1 및 도 2의 제1 측방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와이어가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 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 회로기판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선형의 도체가 접힘 가공되어 형성되는 피메일 단자(100)는 제1 측방(X축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1,2 측면(111)에 형성된 보이드면(1111)에 의해 측부가 개방된 연결공간(112)이 형성되는 바디(110) 및 상기 바디(110)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2 측면(111) 사이에 형성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접힘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접힘부(120)는 절곡되어 형성되는 밴딩부(1211)와, 상기 밴딩부(1211)의 일 단에서 상기 연결공간(112)의 내부로 연장되는 가이드부(1212)와, 상기 가이드부(1212)에서 연장되는 방지부(1214)를 포함하여 탄성 변형되도록 형성되는 제1 자유단부(121)와 상기 밴딩부(1211)의 타 탄에서 상기 바디(110)의 외측으로 상기 제1 자유단부(121)와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2 자유단부(12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유단부(121)가 탄성 변형되는 경우, 상기 방지부(1214)가 상기 바디(110)의 내벽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메일 단자(100)는 선형의 도체가 절개된 후 접힙 가공되어 바디(110)와 접힘부(1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연장방향(Z축 방향)의 일 측으로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 측으로는 와이어(200)의 전선부(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와이어(200)와 회로의 전기적인 연결을 중계한다.
이때 피메일 단자(100)는 회로기판(300)에 형성된 회로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로기판(300)측 전용 커넥터를 제외시킴으로서 제품의 소형화 및 생산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솔더링 고정을 삭제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다만, 하기에서는 각 구성의 기능 및 효과를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바디(110)와 접힘부(120)를 구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바디(110)는 회로기판(300)과 와이어(200)가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연장방향(Z축 방향)으로 연통되어 형성되고, 제1 측방(X축 방향)으로 보이드면(1111)이 형성되어 개방된 연결공간(112)이 형성된다. 이때 연장방향(Z축 방향)의 타 측으로 와이어(200)가 안정적으로 안착 고정될 수 있는 연장부(130)와 접힘부(120)를 보호하는 방지내벽(113) 및 제1,2 보호부(114,11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보이드면(1111)은 제1 측방(X축 방향)의 대향하는 제1,2 측면(111)에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연장방향(Z축 방향)의 개구된 일 단과 연결된다. 이때 보이드면(1111)은 제2 측방(Y축 방향)으로 회로기판(300)의 두께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연장방향(Z축 방향)으로는 도트부(1213)와 회로가 접촉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보이드면(1111)은 회로기판(300)의 크기 및 제1 자유단부(121)의 형상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크기로 설계될 수 있다.
연결공간(112)은 대향하는 보이드면(1111)과 바디(110)의 연장방향(Z축 방향)으로 개구된 일 단을 포함하여 바디(110)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공간으로, 제1 측방(X축 방향) 및 연장방향(Z축 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된다. 이때 연결공간(112)의 제2 측방(Y축 방향)으로는 제1 자유단부(121)가 대향하여 형성되어, 바디(110)의 개구된 일 단으로 삽입되는 회로기판(300)과 연결공간(112)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피메일 단자(100)와 회로기판(300)은 회로기판(300)의 삽입만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와이어(200)의 전선부(220)와 회로기판(300)은 솔더링과 같은 별도의 공정없이 피메일 단자(100)의 중계만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복수 개의 피메일 단자(100)와 한번에 연결될 수 있다.
연장부(130)는 바디(110)의 타 측에 형성되고, 안착부(131)와 안착부(131)에서 연장되는 고정부(132)를 포함한다. 안착부(131)는 바디(110)의 타 측에서 연장되어 제1 측방(X축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접힘 가공되어 와이어(200)의 전선부(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안착부(131)의 내측면에는 요입되어 요입부(13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입부(1311)는 와이어(200)의 일 단에 피복부(210)가 탈피되어 형성되는 전선부(220)에 형성되는 산화 피막을 제거하여 접촉 성능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요입부(1311)는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32)는 연장부(130)의 말 단에 형성되고, 절곡되어 와이어(200)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보다 와이어(200)를 보다 안정적으로 피메일 단자(100)에 고정한다. 이때 고정부(132)는 와이어(200) 고정 시 서로 방해되지 않도록, 양 측으로 형성되되 서로 대향되지 않도록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지내벽(113)은 바디(110)의 형상을 유지하는 측면의 내부면으로 회로기판(300) 삽입 시, 제1 자유단부(121)의 방지부(1214)와 접촉되어 제1 자유단부(121)의 과변형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측방(Y축 방향)의 대향하는 측면의 내부면으로, 바디(110)의 제2 측방(Y축 방향)의 측면 중 일 면의 일부로 형성되는 제2 자유단부(122)에 의해 바디(110)의 타 측으로 제1,2 측면(111)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제1,2 보호부(114,115)는 바디(110)의 일 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접힘부(120)를 보호 및 가이드 한다. 제1 보호부(114)는 바디(110)의 일 측에서 제2 자유단부(122)가 기울어진 제2 측방(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자유단부(122)보다 바디(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조립 시 제2 자유단부(122)에 발생할 수 있는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한다.
제2 보호부(115)는 밴딩부(1211)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1,2 측면(111)에서 돌출 형성되어 밴딩부(1211)의 파손을 방지한다. 이때 밴딩부(1211)는 절곡되면서 응력이 집중되므로, 제1,2 측면(111) 각각에 형성되어 밴딩부(1211)의 양 측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자유단부(122)는 밴딩부(1211)의 타 단에서 연장 형성되므로, 제2 자유단부(122)가 형성된 밴딩부(1211)의 일 측에 형성되는 제2 보호부(115)는 제1 보호부(114)와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피메일 단자(100)는 회로기판(300)이 삽입 될 수 있도록 개방된 연결공간(112)에 의해 제품의 소형화 및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를 가지며, 솔더링과 같은 별도의 연결 공정을 삭제하여 초기 투자 비용 및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원발명의 피메일 단자(100)는 결합돌부(116)와 결합돌부(116)가 삽입 고정되는 결합홈(117)이 형성되어, 도체의 접힘 가공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일 예로는 방지내벽(113)의 일 측과 제2 자유단부(122)의 일 측에 결합돌부(116)가 형성되고, 제1 보호부(114)에 결합홈(117)이 형성되어 접힘 가공에 의해 결합홈(117)에 결합돌부(116)가 끼움 결합되어 바디(110)와 접힘부(120)가 일체로 형성된다.
접힘부(120)는 바디(110)에서 연장방향(Z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2 자유단부를 포함하고, 제1,2 측면(111) 사이에 형성되어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연장방향(Z축 방향)으로 따라 연결공간(112)으로 삽입되는 회로기판(300)과 일정 이상의 고정력을 가지며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자유단부(121)는 제1 측방(X축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2 측방(Y축 방향)으로 대칭되는 한 쌍으로, 제1,2 측면(111) 사이에 이격되어 형성되어 제2 측방(Y축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외팔보로 형성된다.
또한 각 제1 자유단부(121)는 바디(110)의 일 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밴딩부(1211)와, 밴딩부(1211)의 일 단에서 연결공간(112)의 내부로 연장되는 가이드부(1212)와, 가이드부(1212)에서 연장되는 방지부(1214)를 포함하여 제2 측방(Y축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구체적으로는 각 제1 자유단부(121)에 형성된 가이드부(1212)는 연결공간(112)의 내부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밴딩부(1211)에서 기울어져 형성되고, 각 제1 자유단부(121)에 형성된 방지부(1214)는 연결공간(112)의 내부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도록 가이드부(1212)에서 절곡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자유단부(121)는 가이드부(1212)와 방지부(1214)의 각 경계면이 가장 가까워지도록 제2 측방(Y축 방향)으로 절곡되어 오목하게 형성되어, 회로기판(300) 삽입시 가이드부(1212)와 방지부(1214)의 각 경계면이 회로기판(300)의 외면과 접촉되면서 탄성 변형된다. 다만, 제1 자유단부(121)가 탄성 변형되는 경우, 방지부(1214)는 바디(110)의 제2 측방(Y축 방향)의 내부면, 즉 방지내벽(113)에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제1 자유단부(121)의 과변형을 방지한다.
이때 가이드부(1212)와 방지부(1214)의 각 경계면에는 곡면의 도트부(1213)가 서로 대향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회로기판(300)이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립 시 발생할 수 있는 제1 자유단부(121) 및 회로기판(300)의 손상을 방지한다.
제2 자유단부(122)는 밴딩부(1211)의 타 단에서 바디(110)의 외측으로 제1 자유단부(121)와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어, 하우징과의 조립 시 피메일 단자(100)의 이탈을 일차적으로 방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자유단부(122)는 바디(110)의 일 측에서 연장되되, 제1,2 측면(111)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제2 측방(Y축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외팔보로 형성된다.
또한 일 측에서 절곡되어 밴딩부(1211)를 통해 연결된 제1 자유단부(121)의 방지부(1214)와 동일 방향으로 기울어져 연장방향(Z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바디(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일 예로 접힘부(120)는 바디(110)의 제2 측방(Y축 방향)으로 형성 일 측면의 일 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밴딩부(1211)에서 연결공간(112)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자유단부(121)와, 바디(110)의 제2 측방(Y축 방향)으로 형성된 타 측면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2 자유단부(122)와 제2 자유단부(122)의 일 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밴딩부(1211)에서 연결공간(112)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자유단부(121)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1 자유단부(121)는 연결공간(112)의 내측으로 대칭하는 한 쌍으로 형성되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1 자유단부(121)는 밴딩부(1211)에 의해 연결공간(112)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제2 자유단부(122)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피메일 단자(100)는 연결공간(112)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자유단부(121)에 의해 일정 이상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조립 시 발생할 수 있는 파손 및 과변형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바디(11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자유단부(122)에 의해 하우징과 결합 시, 피메일 단자(100)의 이탈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회로기판(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가압에 의해 피메일 단자(100)가 하우징으로부터 다시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본원발명의 피메일 단자(1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손상받은 피메일 단자(100)만을 교체 가능하여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해당한다.
100 피메일 단자
110 바디 111 제1,2 측면 1111 보이드면
112 연결공간 113 방지내벽 114 제1 보호부
115 제2 보호부 116 결합돌부 117결합홈
120 접힘부 121 제1 자유단부 1211밴딩부
1212가이드부 1213 도트부 1214 방지부
122 제2 자유단부 130 연장부
131 안착부 1311 요입부 132 고정부
200 와이어 210 피복부 220 전선부
300 회로기판
X 제1 측방 Y 제2 측방 Z 연장방향

Claims (8)

  1. 선형의 도체가 접힘 가공되어 형성되는 피메일 단자에 있어서,
    제1 측방으로 대향하는 제1,2 측면에 형성된 보이드면에 의해 측부가 개방된 연결공간이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2 측면 사이에 형성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자유단부와, 상기 제1 자유단부에서 연결되고 상기 바디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자유단부로 형성되는 접힘부; 및
    상기 제1 자유단부와 상기 제2 자유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방지내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유단부는
    절곡되어 형성되는 밴딩부와, 상기 밴딩부의 일 단에서 상기 연결공간의 내부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기울어져 연장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연결공간의 내부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도록 기울어져 연장되어 상기 제1 자유단부의 탄성 변형 시 상기 방지내벽에 맞닿는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방을 가로지르는 제2 측방으로 대향하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자유단부는
    한 쌍의 상기 밴딩부의 어느 하나의 타 단에서 상기 제1 자유단부와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메일 단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유단부는
    상기 바디의 일 측에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2 측면에서 이격되고, 일 측에서 절곡되어 상기 방지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기울어져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바디에는
    상기 제2 자유단부보다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보호부가 형성되는 것을 징으로 하는 피메일 단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유단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방지부의 경계 영역에서 돌출부가 서로 대향하도록 도트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메일 단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부는
    상기 제1,2 자유단부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의 일 말단에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2 측면에는 상기 밴딩부보다 돌출 형성되는 제2 보호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메일 단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타 측에서 연장되어,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서 연장되어 와이어를 고정하는 고정부로 형성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메일 단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내측으로 요입된 요입부가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메일 단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대향하는 한 쌍으로 형성되되, 굽힘 시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메일 단자.
KR1020180119985A 2018-10-08 2018-10-08 피메일 단자 KR102055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985A KR102055392B1 (ko) 2018-10-08 2018-10-08 피메일 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985A KR102055392B1 (ko) 2018-10-08 2018-10-08 피메일 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5392B1 true KR102055392B1 (ko) 2020-01-22

Family

ID=69368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985A KR102055392B1 (ko) 2018-10-08 2018-10-08 피메일 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392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9362A (ja) * 2004-12-24 2006-07-06 Jst Mfg Co Ltd 接続端子およびそれを備えたコネクタ
KR100607633B1 (ko) * 2002-06-20 2006-08-02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소켓 접점 및 소켓 커넥터
KR100845489B1 (ko) 2000-12-18 2008-07-10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암단자
KR20100001179U (ko) * 2008-07-24 2010-02-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KR101182660B1 (ko) * 2011-04-13 2012-09-1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암단자
KR200464456Y1 (ko) 2011-08-24 2013-01-02 김장춘 여왕벌 격리통
KR101224724B1 (ko) 2005-11-17 2013-01-21 에프씨아이 오토모티브 홀딩 암형 커넥터 단자
KR101780363B1 (ko) * 2016-04-18 2017-09-26 (주)우주일렉트로닉스 기판 접속용 커넥터
KR20180039936A (ko) * 2016-10-11 2018-04-19 (주)우주일렉트로닉스 기판 접속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489B1 (ko) 2000-12-18 2008-07-10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암단자
KR100607633B1 (ko) * 2002-06-20 2006-08-02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소켓 접점 및 소켓 커넥터
JP2006179362A (ja) * 2004-12-24 2006-07-06 Jst Mfg Co Ltd 接続端子およびそれを備えたコネクタ
KR101224724B1 (ko) 2005-11-17 2013-01-21 에프씨아이 오토모티브 홀딩 암형 커넥터 단자
KR20100001179U (ko) * 2008-07-24 2010-02-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KR101182660B1 (ko) * 2011-04-13 2012-09-1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암단자
KR200464456Y1 (ko) 2011-08-24 2013-01-02 김장춘 여왕벌 격리통
KR101780363B1 (ko) * 2016-04-18 2017-09-26 (주)우주일렉트로닉스 기판 접속용 커넥터
KR20180039936A (ko) * 2016-10-11 2018-04-19 (주)우주일렉트로닉스 기판 접속용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3704B1 (ko) 접촉 신뢰성을 갖는 커넥터
JP6051242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9502815B2 (en) Electrical connector
JP6325505B2 (ja) コネクタ
JPH11345645A (ja) リセプタクル電気端子
KR20080110570A (ko) 메이팅 커넥터에 축적된 정전하에 대한 보호부를 구비한 커넥터
KR100532003B1 (ko) 로크 부분을 구비한 차폐 외피를 가지는 커넥터
JP2010157368A (ja) 電気コネクタ
JP5444285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CN112186418B (zh) 连接器组件
CN112909608B (zh) 端子零件
JP7442308B2 (ja) 可動コネクタ、及びシールドの製造方法
US5690517A (en) Receptacle contact
US11158972B2 (en) Socket connector assembly
KR102055392B1 (ko) 피메일 단자
JP2010157367A (ja) 電気コネクタ
US7556530B2 (en) Connector in which defectiv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plurality of shell components is suppressed
JP2020187896A (ja) コネクタ
WO1998018182A1 (en) Female terminal with protective sleeve
KR102085949B1 (ko) 피메일 단자
US10862236B2 (en) Connector
JP7002437B2 (ja) コネクタ
KR100907541B1 (ko) 리셉터클 터미널
KR102106925B1 (ko)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커넥터
KR20190055576A (ko) 피메일 단자 스프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