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940B1 -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940B1
KR102483940B1 KR1020200124471A KR20200124471A KR102483940B1 KR 102483940 B1 KR102483940 B1 KR 102483940B1 KR 1020200124471 A KR1020200124471 A KR 1020200124471A KR 20200124471 A KR20200124471 A KR 20200124471A KR 102483940 B1 KR102483940 B1 KR 102483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plug
contact
guide ho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9553A (ko
Inventor
켄타 아시부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69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2Resilient sockets forked sockets having two le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005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requiring successive relative motions to complete the coupling, e.g. bayonet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5)를 서로 감합시킴으로써 각 플러그 컨택트(30)가 각 리셉터클 컨택트(6)와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각 리셉터클 컨택트(6)는, 리셉터클측 기판(3)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각 플러그 컨택트(30)를 삽입 가능한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홀(23)을 갖는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부(20)와,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홀(23)에 각 플러그 컨택트(30)가 삽입됨에 따라 탄성 변형하는 2개의 스프링편(22)을 포함한다. 2개의 스프링편(22)은,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홀(23)에 삽입된 각 플러그 컨택트(30)에 대해서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접촉한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1(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9-129137호)은, 기판 대(對) 기판의 커넥터 조립체를 개시하고 있다. 본원의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허문헌1의 커넥터 조립체는 플러그 커넥터에 설치되는 시그널 핀(100)과,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에 설치되는 터미널(101)을 포함한다. 특허문헌1의 커넥터 조립체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서로 감합(嵌合,끼워맞춤)시키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해서 슬라이딩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시그널 핀(100)의 시그널 접촉부(102)를 터미널(101)의 폭확장부(103)에 삽입한 뒤,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해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해서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9-129137호
상기 특허문헌1의 구성에서는, 가이드부가 존재하지 않아서 견고성이 낮고, 또한 시그널 접촉부(102)를 폭확장부(103)에 삽입한 뒤, 플러그 커넥터를 슬라이드시킬 필요가 있어서 감합 작업이 번잡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판 대 기판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견고성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감합 작업을 간소화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르면,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와, 상기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를 유지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구비하고, 플러그측 기판에 탑재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와,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와,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유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을 구비하고, 리셉터클측 기판에 탑재 가능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서로 감합시킴으로써 각 플러그 컨택트가 각 리셉터클 컨택트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커넥터 조립체이며, 각 리셉터클 컨택트는, 상기 리셉터클측 기판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각 플러그 컨택트를 삽입 가능한 가이드홀을 갖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홀에 각 플러그 컨택트가 삽입됨에 따라 탄성 변형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편(片)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편은,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된 각 플러그 컨택트에 대해서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접촉하는, 커넥터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감함 작업이 실현된다.
본 개시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효과는 아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단지 예시의 방식으로 제공된 첨부 도면으로부터 더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며, 따라서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감합 상태의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이고(제1 실시형태),
도 2는, 감합전의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이고(제1 실시형태),
도 3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고(제1 실시형태),
도 4는, 리셉터클 하우징의 사시도이고(제1 실시형태),
도 5는, 리셉터클 홀드다운의 사시도이고(제1 실시형태),
도 6은, 리셉터클 홀드다운의 단면 사시도이고(제1 실시형태),
도 7은, 리셉터클 컨택트의 사시도이고(제1 실시형태),
도 8은, 리셉터클 컨택트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고(제1 실시형태),
도 9는, 리셉터클 컨택트의 측면도이고(제1 실시형태),
도 10은, 리셉터클 컨택트의 평면도이고(제1 실시형태),
도 11은,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고(제1 실시형태),
도 12는, 플러그 커넥터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고(제1 실시형태),
도 13은, 플러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고(제1 실시형태),
도 14는, 플러그 홀드다운의 사시도이고(제1 실시형태),
도 15는, 플러그 컨택트의 사시도이고(제1 실시형태),
도 16은, 감합 상태의 커넥터 조립체에서의 리셉터클 컨택트 및 플러그 컨택트의 사시도이고(제1 실시형태),
도 17은, 리셉터클 컨택트의 사시도이고(제2 실시형태),
도 18은, 리셉터클 컨택트의 일부 노치(切欠) 사시도이고(제2 실시형태),
도 19는, 리셉터클 컨택트의 사시도이고(제3 실시형태),
도 20은, 리셉터클 컨택트의 일부 노치 사시도이고(제3 실시형태),
도 21은, 리셉터클 컨택트의 사시도이고(제4 실시형태),
도 22은, 리셉터클 컨택트의 일부 노치 사시도이고(제4 실시형태),
도 23은, 특허문헌1의 도24를 간략화 한 도면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조립체(1)는, 플러그측 기판 (2)과 리셉터클측 기판(3)을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이며, 플러그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탑재되는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측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3A)에 탑재되는 리셉터클 커넥터(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5)는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 (6)와,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6)를 유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7)과, 2개의 리셉터클 홀드다운(8)을 포함한다.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6)는, 리셉터클측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3A)에 대해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2열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2개의 리셉터클 홀드다운(8)은 리셉터클 하우징(7)을 리셉터클측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3A)에 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해서, 「삽발(揷拔,꽂거나 빼기)방향」 「피치(pitch)방향」 「폭(幅)방향」을 정의한다. 삽발방향 및 피치방향, 폭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이다.
삽발방향은,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5)에 대해서 꽂거나 빼는 방향이다. 삽발방향은, 플러그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 및, 리셉터클측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3A)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이기도 하다. 따라서, 삽발방향은 플러그 커넥터(4)의 커넥터 높이방향, 또는, 리셉터클 커넥터(5)의 커넥터 높이방향이기도 하다. 삽발방향은, 상방(발거방향) 및 하방(감합방향)을 포함한다. 상방(上方)은,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5)에서 빼내는(拔去) 방향이다. 하방(下方)은,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5)에 끼워맞추는(嵌合) 방향이다. 상방 및 하방은, 단순히 설명의 편의상 사용하는 용어로서, 커넥터 조립체(1)의 사용시의 자세를 한정 해석해서는 안 된다.
피치방향은,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6)가 늘어 놓여지는 방향이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6)가 2열을 구성하는 경우, 피치방향은 2열 중 어느 한 열에 속하는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6)가 늘어 놓여지는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피치방향은 플러그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 및 리셉터클측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3A)에 대해서 평행한 방향이다. 피치방향은, 피치방향 내방(內方,안쪽) 및 피치방향 외방(外方,바깥 쪽)을 포함한다. 피치방향 내방은, 커넥터 조립체(1)의 피치방향에서의 중앙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다. 피치방향 외방은, 커넥터 조립체(1)의 피치방향에서의 중앙에서 멀어지는 방향이다.
폭방향은, 삽발방향 및 피치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이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6)가 2열을 구성하는 경우, 폭방향은 2열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폭방향은, 플러그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 및, 리셉터클측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3A)에 대해서 평행한 방향이다. 폭방향은, 폭방향 내방 및 폭방향 외방을 포함한다. 폭방향 내방은, 커넥터 조립체(1)의 폭방향에서의 중앙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다. 폭방향 외방은, 커넥터 조립체(1)의 폭방향에서의 중앙에서 멀어지는 방향이다.
(리셉터클 커넥터(5))
이하,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해서 리셉터클 커넥터(5)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5)는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6)와,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6)를 유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7)과, 2개의 리셉터클 홀드다운(8)을 포함한다.
(리셉터클 커넥터(5) : 리셉터클 하우징(7))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7)은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의 판체(板體)이며, 피치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7)은, 예를 들면 절연성의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7)은,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6)를 유지하는 리셉터클 컨택트 유지부(10)와, 2개의 리셉터클 홀드다운(8)을 각각 유지하는 2개의 리셉터클 홀드다운 유지부(11)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컨택트 유지부(10)에는,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6)를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 수용홀(12)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 수용홀(12)은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6)와 대응하도록 2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리셉터클 홀드다운 유지부(11)는, 리셉터클 컨택트 유지부(10)에 대해서 피치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2개의 리셉터클 홀드다운 유지부(11)는 피치방향에 있어서 2개의 리셉터클 홀드다운 유지부(11) 사이에 리셉터클 컨택트 유지부(10)가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리셉터클 홀드다운 유지부(11)에는 리셉터클 홀드다운 관통홀(13)과, 2개의 리셉터클 홀드다운 압입홈(14)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리셉터클 홀드다운 압입홈(14)은 폭방향에 있어서 2개의 리셉터클 홀드다운 압입홈(14) 사이에 리셉터클 홀드다운 관통공(13)이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5) : 리셉터클 홀드다운(8))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리셉터클 홀드다운(8)은 리셉터클 하우징(7)을 리셉터클측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3A)에 고정하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리셉터클 홀드다운(8)은 1장의 금속판을 타발(打拔) 가공 및 구부림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금속판은, 일반적으로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이다. 리셉터클 홀드다운(8)은 바람직하게는 타발 가공 및 구부림 가공하기 전에, 또는 타발 가공 및 구부림 가공한 후에, 주석 도금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리셉터클 홀드다운(8)은, 리셉터클 홀드다운 가이드부(15)와, 2개의 리셉터클 홀드다운 압입부(16)와, 리셉터클 홀드다운 납땜 다리부(脚部)(17)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홀드다운 가이드부(15)에는, 판 두께방향이 삽발방향에 평행한 판체이며, 도 4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하우징(7)의 리셉터클 홀드다운 유지부(11)의 리셉터클 홀드다운 관통홀(13)에 대응하는 리셉터클 홀드다운 가이드홀(18)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홀드다운 가이드부(15)는 리셉터클 홀드다운 가이드홀(18) 내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잠금(lock)손톱(19)을 갖는다.
2개의 리셉터클 홀드다운 압입부(16)는, 도 4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하우징(7)의 리셉터클 홀드다운 유지부(11)의 2개의 리셉터클 홀드다운 압입홈(14)에 각각 압입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리셉터클 홀드다운(8)은, 2개의 리셉터클 홀드다운 압입부(16)를 2개의 리셉터클 홀드다운 압입홈(14)에 각각 압입함으로써 리셉터클 하우징(7)에 고정된다. 그러나, 이를 대신하여 리셉터클 홀드다운 (8)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리셉터클 하우징(7)에 고정되어도 좋고, 리셉터클 하우징 (7)에 체결되어도 좋으며, 또 그 밖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리셉터클 홀드다운 납땜 다리부(17)는, 리셉터클 홀드다운 가이드부(15)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납땜 다리부 본체(17A)와, 리셉터클측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3A)에 납땜 가능한 납땜부(17B)를 포함한다. 납땜부(17B)를 리셉터클측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3A)에 납땜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5)는 리셉터클측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3A)에 구현된다.
(리셉터클 커넥터(5) : 리셉터클 컨택트(6))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해서 각 리셉터클 컨택트(6)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리셉터클 컨택트(6)는 1장의 금속판을 타발가공 및 구부림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금속판은, 일반적으로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이다. 각 리셉터클 컨택트(6)는 바람직하게는 타발가공 및 구부림 가공하기 전에, 또는 타발 가공 및 구부림 가공한 뒤에, 주석 도금된다.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리셉터클 컨택트(6)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에 관해서 대칭의 형상이며,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부(20)(가이드부)와, 납땜 다리부(21)와, 2개의 스프링편(22)을, 포함한다.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부(20)는, 판 두께방향이 삽발방향에 평행이며,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의 판체이다.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부(20)는 폭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제1 변(201) 및 제2 변(202)과, 피치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3 변(203) 및 제4 변(204)을 갖는다. 제1 변(201)과 제2 변(202)은 폭방향 내방에서 이 기재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제1 변(201)과 제2 변(202) 사이에는,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홀(23)(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홀(23)은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부(20)를 삽발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이다.
납땜 다리부(21)는, 제1 변(20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납땜 다리부(21)는 납땜 다리부 본체(21A)와, 납땜부(21B)를 포함한다. 납땜 다리부 본체(21A)는 제1 변(20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납땜부(21B)는 납땜 다리부 본체(21A)의 하단에서 폭방향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납땜부(21B)는 리셉터클측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3A)의 도시하지 않은 전극에 납땜되어 있다.
2개의 스프링편(22)은,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부(2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스프링편(22)은,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부(20)에 외팔보(cantilever) 형태로 지지되어 있다. 2개의 스프링편(22)은,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부(20)의 제2 변(202)에서 외팔보 형태로 연장되어 있다. 2개의 스프링편(22)은 피치방향에 있어서 약간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스프링편(22)은, 제1 연장부(24), 만곡부 (25), 제2 연장부(26)를 포함한다.
제1 연장부(24)는,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부(20)의 제2 변(202)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만곡부(25)는, 제1 연장부(24)의 하단에서 폭방향 외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부분이며, 하방을 향해 볼록해지도록 만곡한다. 즉, 만곡부(25)는 상방을 향해서 개구하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연장부(26)는, 만곡부(25)에서 폭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제2 연장부(26)의 하방에는, 각 스프링편(22)이 하방으로 탄성 변형하기 위한 변형 공간(26P)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스프링편(22)은 평면에서 보아폭방향 바깥쪽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연장된다.
2개의 스프링편(22) 중 어느 하나의 스프링편(22)의 제2 연장부(26)는, 다른 쪽 스프링편(22)의 제2 연장부(26)를 향해서 돌출하는 접촉부(26Q)를 갖는다. 다른 쪽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커넥터 조립체(1)의 감합전의 상태에 있어서 2개의 스프링편(22)의 접촉부(26Q) 사이의 피치방향에서의 이격거리(26W)는,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홀(23)의 피치방향에서의 치수(23W)보다도 작다. 따라서, 2개의 스프링편(22)의 제2 연장부(26)의 접촉부(26Q)는, 평면에서 보아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홀(23)을 통해서 눈으로 볼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리셉터클 컨택트(6)는, 리셉터클 하우징(7)의 각 리셉터클 컨택트 수용홀(12)에 압입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를 대신하여, 각 리셉터클 컨택트(6)는, 인서트 성형이나 접착제에 의해 리셉터클 하우징(7)의 각 리셉터클 컨택트 수용홀(12)에 고정되어도 좋고, 리셉터클 컨택트 수용홀(12)에 체결되어도 좋고, 또한 다른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4))
이어서,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해서 플러그 커넥터(4)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4)가 리셉터클 커넥터(5)에 감합한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4)의 리셉터클 커넥터(5)에 대한 자세는 일의적으로 정해지므로, 아래 플러그 커넥터(4)를 설명함에 있어서, 리셉터클측 기판(3)이나 리셉터클 커넥터(5)에 의거해서 정의된 여러 방향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4)는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30)와,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30)를 유지하는 플러그 하우징(31)과, 2개의 플러그 홀드다운(32)을 포함한다.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30)는, 플러그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대해서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2열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2개의 플러그 홀드다운(32)은, 플러그 하우징(31)을 플러그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고정하는 것이다.
(플러그 커넥터(4) : 플러그 하우징(31))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31)은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의 판체이며, 피치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하우징(31)은, 예를 들면 절연성의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 하우징(31)은,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30)를 유지하는 플러그 컨택트 유지부(33)와, 2 개의 플러그 홀드다운(32)을 각각 유지하는 2개의 플러그 홀드다운 유지부(34)를, 포함한다.
플러그 컨택트 유지부(33)에는,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30)를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 수용홀(35)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 수용홀((35)은,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30)와 대응하도록 2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2개의 플러그 홀드다운 유지부(34)는, 플러그 컨택트 유지부(33)에 대해서 피치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2개의 플러그 홀드다운 유지부(34)는, 2개의 플러그 홀드다운 유지부(34) 사이에 플러그 컨택트 유지부(33)가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플러그 홀드다운 유지부(34)에는, 홀드다운 수용 노치(切欠)(36)가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4) : 플러그 홀드다운(32))
전술한 바와 같이, 각 플러그 홀드다운(32)은, 플러그 하우징(31)을 플러그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고정하는 것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플러그 홀드다운(32)은, 1장의 금속판을 타발가공 및 구부림 가공함으로써 형성 되어 있다. 금속판은 일반적으로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이다. 각 플러그 홀드다운(32)은, 바람직하게는 타발가공 및 구부림 가공하기 전에, 또는 타발가공 및 구부림 가공한 뒤에, 주석 도금된다.
각 플러그 홀드다운(32)은, 납땜부(37)와, U자 돌출부(38)와, 자세 안정 부(39)를 포함한다. 납땜부(37)와 U자 돌출부(38), 자세 안정부(39)는, 피치방향 내방을 향해서 이 기재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납땜부(37)는 판 두께방향이 삽발방향에 평행한 판체이며, 플러그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납땜 가능한 부분이다.
U자 돌출부(38)는, 하방을 향해서 볼록해지도록 U자형으로 만곡하는 부분이며, 피치방향 외방을 향한 외측 결합면(係合面)(38A)과, 피치방향 내방을 향한 내측 결합면(38B)을 갖는다. 외측 결합면(38A)에는 잠금손톱 결합 오목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잠금손톱 결합 오목부(40)는, 도 6에 나타내는 잠금손톱(19)이 걸려서 잠금손톱(19)과 함께 서로 작용해서 커넥터 조립체(1)의 감합 상태를 유지하는 잠금 힘을 발휘한다. 내측 결합면(38B)에도 마찬가지로 잠금손톱 결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자세 안정부(39)는, 판 두께 방향이 삽발방향에 평행한 판체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플러그 홀드다운(32)은, 인서트 성형에 의해 플러그 하우징(31)의 각 플러그 홀드다운 유지부(34)의 홀드다운 수용 노치(36)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를 대신하여 각 플러그 홀드다운(32)은, 압입이나 접착제에 의해 플러그 하우징(31)의 각 플러그 홀드다운 유지부(34)의 홀드다운 수용 노치 (36)에 고정되어도 좋고, 플러그 하우징(31)에 체결되어도 좋으며, 또한 기타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4) : 플러그 컨택트(30))
이어서, 도 15을 참조하여 각 플러그 컨택트(3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컨택트(30)는, 1장의 금속판을 타발가공 및 구부림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금속판은, 일반적으로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이다. 각 플러그 컨택트(30)는 바람직하게는 타발가공 및 구부림 가공하기 전에, 또는 타발가공 및 구부림 가공 후에 주석 도금된다.
플러그 컨택트(30)는, 납땜부(45)와, U자 돌출부(46)와, 자세 안정부(47)를 포함한다.
납땜부(45)는, 판 두께방향이 삽발방향에 평행한 판체이며, 플러그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의 도시하지 않은 전극에 납땜된다.
U자 돌출부(46)는, 하방을 향해서 볼록해지도록 U자형상으로 만곡하는 부분이며, 피치방향을 향한 2개의 피치 접촉면(46A)과, 폭방향을 향한 2개의 폭 접촉면(46B)을 갖는다.
2개의 피치 접촉면(46A)의 한쪽은 피치방향 외방을 향하고, 다른 쪽은 피치방향 내방을 향한다.
2개의 폭 접촉면(46B) 중 한쪽은 폭방향 안쪽을 향하고, 다른 쪽은 폭방향 외방을 향한다.
U자 돌출부(46)의 피치방향에서의 치수 46W는, 도 10에 나타내는 이격거리 26W보다 크고, 치수 23W보다 작다.
도 15로 돌아와 자세 안정부(47)는, 판 두께방향이 삽발방향에 평행한 판체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플러그 컨택트(30)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플러그 하우징(31)의 플러그 컨택트 유지부(33)의 각 플러그 컨택트 수용홀(35)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를 대신하여 각 플러그 컨택트(30)는 압입이나 접착제에 의해 각 플러그 컨택트 수용홀(35)에 고정되어도 좋고, 플러그 하우징(31)에 체결되어도 좋고, 또한 기타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커넥터 조립체(1)의 감합동작)
이어서, 커넥터 조립체(1)의 감합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플러그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탑재된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측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3A)에 탑재된 리셉터클 커넥터(5)에 감합하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5)를 삽발방향으로 대향시킨다.
이어서,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5)를 향해서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도 12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4)의 각 플러그 컨택트(30)의 U자 돌출부(46)가 도 2에 나타내는 각 리셉터클 컨택트(6)의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부(20)에 접촉한다. 그와 동시에, 도 12에 나타내는 각 플러그 홀드다운(32)의 U자 돌출부(38)가 도 2에 나타내는 각 리셉터클 홀드다운(8)의 리셉터클 홀드다운 가이드부(15)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5)에 눌러붙이면서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5)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피치방향 및 폭방향으로 흔든다. 그러면, 도 12에 나타내는 각 플러그 컨택트(30)의 U자 돌출부(46)가 도 2에 나타내는 각 리셉터클 컨택트(6)의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부(20)의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홀(23)에 삽입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각 플러그 컨택트(30)의 U자 돌출부(46)가 도 2에 나타내는 각 리셉터클 컨택트(6)의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부(20)의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홀(23)에 삽입되는 방향은, 하방에 일치하고 있다. 그와 동시에, 도 12에 나타내는 각 플러그 홀드다운(32)의 U자 돌출부(38)가 도 2에 나타내는 각 리셉터클 홀드다운(8)의 리셉터클 홀드다운 가이드부(15)의 리셉터클 홀드다운 가이드홀(18)에 삽입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각 플러그 홀드다운(32)의 U자 돌출부(38)가 도 2에 나타내는 각 리셉터클 홀드다운(8)의 리셉터클 홀드다운 가이드부(15)의 리셉터클 홀드다운 가이드홀(18)에 삽입되면, 도 6에 나타내는 각 리셉터클 홀드다운(8)의 2개의 잠금손톱(19)이, 도 14에 나타내는 각 플러그 홀드다운(32)의 2개의 잠금손톱 결합 오목부(40)에 걸린다. 이에 따라, 각 잠금손톱(19)과 각 잠금손톱 결합 오목부(40)는 함께 서로 작용해서 커넥터 조립체(1)의 감합상태를 유지하는 잠금 힘을 발휘하게 된다.
한편, 도 12에 나타내는 각 플러그 컨택트(30)의 U자 돌출부(46)가 도 2에 나타내는 각 리셉터클 컨택트(6)의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부(20)의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홀(23)에 삽입되면, 도 12에 나타내는 각 플러그 컨택트(30)의 U자 돌출부(46)는, 도 10에 나타내는 각 리셉터클 컨택트(6)의 2개의 스프링편(22) 사이에 삽입된다. 도 16에는 각 플러그 컨택트(30)의 U자 돌출부(46)가 각 리셉터클 컨택트(6)의 2개의 스프링편(22) 사이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각 플러그 컨택트(30)의 U자 돌출부(46)가, 도 10에 나타내는 각 리셉터클 컨택트(6)의 2개의 스프링편(22)의 제2 연장부(26) 사이에 삽입되면, 2개의 스프링편(22)은 U자 돌출부(46)에 의해 피치방향으로 밀쳐져, 결과적으로 2개의 스프링편(22)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이 탄성 변형에 기인하는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도 10에 나타내는 2개의 스프링편(22)의 제2 연장부(26)의 접촉부(26Q)가, 도 15에 나타내는 각 플러그 컨택트(30)의 U자 돌출부(46)의 2개의 피치 접촉면(46A)에 각각 접촉한다. 이에 따라, 각 플러그 컨택트(30)와 각 리셉터클 컨택트(6)가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커넥터 조립체(1)의 발거 동작)
이어서, 커넥터 조립체(1)의 발거 동작을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5)에서 발거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잠금 힘을 상회하는 힘으로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5)에서 위쪽으로 잡아빼면 된다.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5)로부터 발거하면, 도 10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컨택트(6)의 2개의 스프링편(22)은, 도시한 무부하 상태로 탄성 복귀하게 된다.
이상에서 제1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상기 제1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도 1 내지 도 3,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조립체(1)는,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30)와,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30)를 유지하는 플러그 하우징(31)을 구비하고, 플러그측 기판(2)에 탑재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4)와,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6)와,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6)를 유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7)을 구비하고, 리셉터클측 기판(3)에 탑재 가능한 리셉터클 커넥터(5)를 구비한다. 도 1 및 도 2,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5)를 서로 감합시킴으로써 각 플러그 컨택트(30)가 각 리셉터클 컨택트(6)와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리셉터클 컨택트(6)는, 리셉터클 측 기판(3)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각 플러그 컨택트(30)를 삽입할 수 있는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홀(23)(가이드홀)을 갖는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부(20)(가이드부)와,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홀(23)에 각 플러그 컨택트(30)가 삽입됨에 따라 탄성 변형하는 2개의 스프링편(22)을 포함한다. 2개의 스프링편(22)은,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홀(23)에 삽입된 각 플러그 컨택트(30)에 대해서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접촉한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간단한 감합 작업이 실현된다. 또한,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부(20)와 2개의 스프링편(22)이 동일한 리셉터클 컨택트(6)에 속해 있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5)가 감합한 상태에서 각 플러그 컨택트(30)가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부(20)에 접촉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부(20)가 금속제이기 때문에, 도 12에 나타내는 각 플러그 컨택트(30)의 U자 돌출부(46)를 도 2에 나타내는 각 리셉터클 컨택트 (6)의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홀(23)에 삽입할 때에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부(20)가 손상되기 어렵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방은, 상기 『리셉터클측 기판(3)에 가까워지는 방향』의 일 구체 예이다. 『리셉터클측 기판(3)에 가까워지는 방향』은, 커넥터 높이방향이나 삽발방향의 일 구체 예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리셉터클 컨택트(6)는, 2개의 스프링편(22)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리셉터클 컨택트(6)는, 예를 들면, 하나 또는 3개 이상의 스프링편(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부(20)와 2개의 스프링편(22)은, 하방(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홀(23)에 각 플러그 컨택트(30)를 삽입하는 삽입방향)에 있어서 이 기재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단적으로 말하면, 2개의 스프링편(22)은,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부(2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리셉터클 커넥터(5)가 리셉터클측 기판(3)에 탑재된 상태에서 2개의 스프링편(22)이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부(20)에 덮여지게 되므로, 커넥터 조립체(1)의 감합 전에 있어서 2개의 스프링편(22)이 보호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스프링편(22)은 외팔보이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2개의 스프링편(22)이 탄성 변형되기 쉽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리셉터클 컨택트(6)는, 하방(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홀(23)에 각 플러그 컨택트(30)를 삽입하는 삽입방향)에 있어서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부(20)에서 돌출하는 2개의 다리부(脚部)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2개의 다리부 중 한쪽은 납땜 다리부(21)의 납땜 다리부 본체(21A)이며, 다른 쪽은 각 스프링편(22)의 제1 연장부(24)이다. 2개의 다리부는, 2개의 다리부 사이에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홀(23)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홀(23)에 각 플러그 컨택트(30)를 삽입할 때에 각 플러그 컨택트(30)가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부(20)에 충돌했을 때의 각 리셉터클 컨택트(6)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각 리셉터클 컨택트(6)는, 하방(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홀(23)에 각 플러그 컨택트(30)를 삽입하는 삽입방향)에 있어서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부(20)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1개의 다리부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홀(23)에 각 플러그 컨택트(30)를 삽입할 때에 각 플러그 컨택트(30)가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부(20)에 충돌했을 때의 각 리셉터클 컨택트(6)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홀(23)에 삽입된 각 플러그 컨택트(30)는, 2개의 스프링편(22) 사이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2개의 스프링편(22)은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홀(23)에 삽입된 각 플러그 컨택트(30)에 대해서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접촉한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2개의 스프링편(22)의 스프링 복원력이 서로 상쇄하도록 각 플러그 컨택트(30)에 작용하기 때문에, 커넥터 조립체(1)의 감합 상태에서의 각 플러그 컨택트(30)의 위치가 안정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부(20)는, 하방(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홀(23)에 각 플러그 컨택트(30)를 삽입하는 삽입방향)에서 보면, 서로 평행해지는 제1 변(201)과 제2 변(202)을 포함한 직사각형이며, 제1 변(201)과 제2 변(202) 사이에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홀(23)이 형성되어 있다. 각 리셉터클 컨택트(6)는, 제1 변(201)에서 하방(삽입방향)으로 연장해서 리셉터클측 기판(3)에 납땜 가능한 납땜부(21B)를 포함한, 납땜 다리부(21)를 더 포함한다. 2개의 스프링편(22)은, 제2 변(202)에서 외팔보 형태로 연장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
이하,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해서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하, 본 실시 형태가 상기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컨택트(6)의 2개의 스프링편(22)은,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부(20)의 제2 변(202)에서 연장되어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리셉터클 컨택트(6)는,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부(20)의 제2 변(202)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 다리부(50)(다리부)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2개의 스프링편(22)은 지지 다리부(50)의 피치방향에서의 2개의 측단(側端)(50A)으로부터 각각 외팔보 형태로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스프링편(22)은, 지지 다리부(50)의 각 측단(50A)에서 폭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제1 만곡부(51)와, 제1 만곡부(51)에서 폭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제2 만곡부(52)를 포함한다.
하나의 스프링편(22)의 제1 만곡부(51)는, 다른 스프링편(22)에서 피치방향에 있어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해지도록 만곡한다. 다른 쪽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하나의 스프링편(22)의 제2 만곡부(52)는, 다른 스프링편(22)에 피치방향에있어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볼록해지도록 만곡한다. 다른 쪽도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각 스프링편(22)은 평면에서 보아 S자 모양으로 구부러져 있다.
(제3 실시형태)
이하,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해서 제3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하, 본 실시형태가 상기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컨택트(6)의 2개의 스프링편(22)은,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부(20)의 제2 변(202)에서 연장되어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2개의 스프링편(22)은,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부(20)의 제3 변(203) 및 제4 변(204)에서 각각 외팔보 형태로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스프링편(22)은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부(20)의 제3 변(203) 또는 제4 변(204)에서 연장되는 제1 연장부(53)와, 제1 연장부(53)에서 연장되는 제1 만곡부(54)와, 제1 만곡부(54)에서 연장되는 제2 만곡부(55)를 포함한다.
각 스프링편(22)의 제1 연장부(53)는,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부(20)의 제3변(203) 또는 제4 변(204)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나의 스프링편(22)의 제1 만곡부(54)는 하방을 향해 볼록해지도록 만곡하면서 다른쪽 스프링편(22)을 향하도록 연장된다. 다른 쪽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하나의 스프링편(22)의 제2 만곡부(55)는, 다른 쪽 스프링편(22)을 향해서 볼록해지도록 만곡하면서 동시에 상방을 향하도록 연장된다. 다른 쪽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리셉터클 컨택트(6)는,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부(20)의 제2 변(202)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 다리부(50)(다리부)를 더 구비하고 있다.
(제4 실시형태)
이하,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해서 제4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하, 본 실시 형태가 상기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컨택트(6)의 2개의 스프링편(22)은,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부(20)의 제2 변(202)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2개의 스프링편(22)은,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납땜 다리부(21)의 납땜 다리부 본체(21A)의 피치방향에서의 2개의 측단(21C)에서 각각 외팔보 형태로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스프링편(22)은 납땜 다리부(21)의 납땜 다리부 본체(21A)의 피치방향에서의 각 측단(21C)에서 폭방향 내방으로 연장되는 제1 만곡부(60)와, 제1 만곡부(60)에서 폭방향 내방으로 연장되는 제2 만곡부(61)를 포함한다.
하나의 스프링편(22)의 제1 만곡부(60)는, 다른 스프링편(22)에서 피치방향에 있어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해지도록 만곡한다. 다른 쪽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하나의 스프링편(22)의 제2 만곡부(61)는, 다른 스프링편(22)에 피치방향에 있어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볼록해지도록 만곡한다. 다른 쪽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각 스프링편(22)은 평면에서 보아 S자 모양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한,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리셉터클 컨택트(6)는,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부(20)의 제2 변(202)에서 하방으로 연장하는 지지 다리부(50)(다리부)를 더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실시형태의 리셉터클 컨택트(6)는, 예를 들면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컨택트 가이드부(20)의 제2 변(202)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 다리부(50)(다리)를 더 구비해도 좋다. 그리고, 2개의 스프링편(22)은 지지 다리부(50)의 하단에서 외팔보 형태로 연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술 된 개시로부터, 본 개시의 실시 예는 많은 방식으로 변경 될 수 있음이 명백 할 것이다. 이러한 변형은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난 것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당업자에게 명백한 모든 그러한 변형은 다음의 청구 범위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9)

  1.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와, 상기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를 유지(保持)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구비하여, 플러그측 기판에 탑재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와,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와,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유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을 구비하여, 리셉터클측 기판에 탑재 가능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서로 감합(嵌合)시킴으로써 각 플러그 컨택트가 각 리셉터클 컨택트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커넥터 조립체이며,
    각 리셉터클 컨택트는, 상기 리셉터클측 기판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각 플러그 컨택트를 삽입할 수 있는 가이드홀을 갖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홀에 각 플러그 컨택트가 삽입됨에 따라 탄성 변형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편(片)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편은,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된 각 플러그 컨택트에 대해서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접촉하고,
    각 리셉터클 컨택트는, 상기 가이드홀에 각 플러그 컨택트를 삽입하는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서 돌출하는 적어도 1개의 다리부(脚部)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편은, 상기 가이드홀에 각 플러그 컨택트를 삽입하는 삽입방향에 있어서 이 기재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편은 외팔보인 커넥터 조립체.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편은 2개의 스프링편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된 각 플러그 컨택트는 상기 2개의 스프링편 사이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스프링편은,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된 각 플러그 컨택트에 대해서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접촉하는, 커넥터 조립체.
  6.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와, 상기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를 유지(保持)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구비하여, 플러그측 기판에 탑재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와,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와,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유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을 구비하여, 리셉터클측 기판에 탑재 가능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서로 감합(嵌合)시킴으로써 각 플러그 컨택트가 각 리셉터클 컨택트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커넥터 조립체이며,
    각 리셉터클 컨택트는, 상기 리셉터클측 기판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각 플러그 컨택트를 삽입할 수 있는 가이드홀을 갖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홀에 각 플러그 컨택트가 삽입됨에 따라 탄성 변형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편(片)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편은,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된 각 플러그 컨택트에 대해서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접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편은 2개의 스프링편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된 각 플러그 컨택트는 상기 2개의 스프링편 사이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스프링편은,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된 각 플러그 컨택트에 대해서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접촉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홀에 각 플러그 컨택트를 삽입하는 삽입방향에서 보면, 서로 평행이 되는 제1 변(邊)과 제2 변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형상이며, 상기 제1 변과 상기 제2 변 사이에 상기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리셉터클 컨택트는, 상기 제1 변에서 상기 삽입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리셉터클측 기판에 납땜 가능한 납땜부를 포함한, 납땜 다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스프링편은, 상기 제2 변에서 외팔보 형태로 연장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
  7.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와, 상기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를 유지(保持)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구비하여, 플러그측 기판에 탑재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와,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와,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유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을 구비하여, 리셉터클측 기판에 탑재 가능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서로 감합(嵌合)시킴으로써 각 플러그 컨택트가 각 리셉터클 컨택트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커넥터 조립체이며,
    각 리셉터클 컨택트는, 상기 리셉터클측 기판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각 플러그 컨택트를 삽입할 수 있는 가이드홀을 갖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홀에 각 플러그 컨택트가 삽입됨에 따라 탄성 변형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편(片)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편은,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된 각 플러그 컨택트에 대해서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접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편은 2개의 스프링편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된 각 플러그 컨택트는 상기 2개의 스프링편 사이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스프링편은,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된 각 플러그 컨택트에 대해서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접촉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홀에 각 플러그 컨택트를 삽입하는 삽입방향에서 보면, 서로 평행이 되는 제1 변과 제2 변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형상이며, 상기 제1 변과 상기 제2 변 사이에 상기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리셉터클 컨택트는,
    상기 제1 변에서 상기 삽입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리셉터클측 기판에 납땜 가능한 납땜부를 포함한, 납땜 다리부와,
    상기 제2 변에서 상기 삽입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다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스프링편은, 상기 지지 다리부에서 외팔보 형태로 연장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
  8.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와, 상기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를 유지(保持)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구비하여, 플러그측 기판에 탑재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와,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와,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유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을 구비하여, 리셉터클측 기판에 탑재 가능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서로 감합(嵌合)시킴으로써 각 플러그 컨택트가 각 리셉터클 컨택트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커넥터 조립체이며,
    각 리셉터클 컨택트는, 상기 리셉터클측 기판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각 플러그 컨택트를 삽입할 수 있는 가이드홀을 갖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홀에 각 플러그 컨택트가 삽입됨에 따라 탄성 변형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편(片)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편은,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된 각 플러그 컨택트에 대해서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접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편은 2개의 스프링편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된 각 플러그 컨택트는 상기 2개의 스프링편 사이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스프링편은,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된 각 플러그 컨택트에 대해서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접촉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홀에 각 플러그 컨택트를 삽입하는 삽입 방향에서 보면, 서로 평행이 되는 제1 변과 제2 변과, 서로 평행이 되는 제3 변과 제 4변을 포함한 직사각형 형상이며, 상기 제1 변과 상기 제2 변 사이에 상기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고,
    각 리셉터클 컨택트는, 상기 제1 변에서 상기 삽입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리셉터클측 기판에 납땜 가능한 납땜부를 포함한, 납땜 다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스프링편은, 상기 제3 변 및 상기 제4 변에서 외팔보 형태로 각각 연장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
  9.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와, 상기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를 유지(保持)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구비하여, 플러그측 기판에 탑재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와,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와,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유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을 구비하여, 리셉터클측 기판에 탑재 가능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서로 감합(嵌合)시킴으로써 각 플러그 컨택트가 각 리셉터클 컨택트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커넥터 조립체이며,
    각 리셉터클 컨택트는, 상기 리셉터클측 기판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각 플러그 컨택트를 삽입할 수 있는 가이드홀을 갖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홀에 각 플러그 컨택트가 삽입됨에 따라 탄성 변형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편(片)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편은,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된 각 플러그 컨택트에 대해서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접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편은 2개의 스프링편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된 각 플러그 컨택트는 상기 2개의 스프링편 사이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스프링편은,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된 각 플러그 컨택트에 대해서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접촉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홀에 각 플러그 컨택트를 삽입하는 삽입방향에서 보면, 서로 평행이 되는 제1 변과 제2 변을 포함한 직사각형 형상이며, 상기 제1 변과 상기 제2 변 사이에 상기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리셉터클 컨택트는, 상기 제1 변에서 상기 삽입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리셉터클측 기판에 납땜 가능한 납땜부를 포함한, 납땜 다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스프링편은, 상기 납땜 다리부에서 외팔보 형태로 연장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200124471A 2019-12-03 2020-09-25 커넥터 조립체 KR1024839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18599A JP7366717B2 (ja) 2019-12-03 2019-12-03 コネクタ組立体
JPJP-P-2019-218599 2019-1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553A KR20210069553A (ko) 2021-06-11
KR102483940B1 true KR102483940B1 (ko) 2023-01-02

Family

ID=74580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471A KR102483940B1 (ko) 2019-12-03 2020-09-25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89838B2 (ko)
JP (1) JP7366717B2 (ko)
KR (1) KR102483940B1 (ko)
CN (1) CN112382874B (ko)
TW (1) TWI7589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51116B2 (ja) * 2019-07-04 2023-09-27 Smk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366717B2 (ja) * 2019-12-03 2023-10-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7458224B2 (ja) * 2020-03-27 2024-03-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6901603B1 (ja) * 2020-03-27 2021-07-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7348131B2 (ja) * 2020-04-28 2023-09-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対基板コネクタ
KR20220022094A (ko) * 2020-08-17 2022-02-24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기판 접속 커넥터
JP2022072172A (ja) 2020-10-29 2022-05-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JP2022072290A (ja) * 2020-10-29 2022-05-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JP2022072291A (ja) * 2020-10-29 2022-05-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KR20220161218A (ko) 2021-05-28 2022-12-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JP7366977B2 (ja) * 2021-10-08 2023-10-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インピーダンス調整方法及び高速伝送用コネクタ
JP7366983B2 (ja) 2021-11-29 2023-10-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接触圧調整方法及び高速伝送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209B2 (ja) * 1977-05-16 1983-02-08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電気回路用スイッチ
US5145386A (en) * 1991-11-18 1992-09-08 Molex Incorporated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CN2612092Y (zh) * 2003-03-12 2004-04-1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二)
JP4241488B2 (ja) * 2004-04-21 2009-03-18 ホシデン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CN101276968A (zh) * 2007-03-30 2008-10-01 3M创新有限公司 接线端子装置、连接器和适配器
JP4688944B2 (ja) * 2009-04-21 2011-05-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KR20110004171A (ko) * 2009-07-07 2011-01-13 케이. 에이. 이 (주) 배터리 커넥터
CN201490385U (zh) * 2009-07-31 2010-05-26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
KR101787067B1 (ko) * 2010-12-29 2017-10-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플러그커넥터, 소켓커넥터 및 그 결합구조
JP2013161578A (ja) * 2012-02-02 2013-08-19 Daiichi Seiko Co Ltd 電気コネクタ
JP2013251093A (ja) * 2012-05-31 2013-12-12 Molex Inc コネクタ
JP5298249B1 (ja) * 2013-01-18 2013-09-25 株式会社竹内技術研究所 基板間コネクタのソケット及び基板間コネクタ
JP6100604B2 (ja) * 2013-05-15 2017-03-2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KR20150004087A (ko) * 2013-07-02 2015-01-1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JP6176848B2 (ja) * 2013-12-20 2017-08-0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雌コネクタ
JP6157347B2 (ja) * 2013-12-27 2017-07-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199220B2 (ja) * 2014-03-26 2017-09-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薄型コネクタ
US9450338B2 (en) * 2014-08-06 2016-09-20 Molex, Llc High speed connector with ruggedized exterior structure and shielding
KR102093694B1 (ko) * 2014-10-06 2020-03-2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리셉터클
CN105655758B (zh) * 2014-11-28 2018-12-04 株式会社竹内技术研究所 基板连接器
JP6806580B2 (ja) 2017-01-30 2021-01-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および電子機器モジュール
JP6338744B2 (ja) * 2017-06-30 2018-06-0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9129137A (ja) 2018-01-19 2019-08-01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相手方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CN110061375B (zh) * 2018-01-19 2020-11-13 莫列斯有限公司 连接器、对接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JP7366717B2 (ja) * 2019-12-03 2023-10-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382874A (zh) 2021-02-19
TWI758905B (zh) 2022-03-21
TW202123544A (zh) 2021-06-16
JP7366717B2 (ja) 2023-10-23
US11289838B2 (en) 2022-03-29
CN112382874B (zh) 2022-03-22
US20210167532A1 (en) 2021-06-03
KR20210069553A (ko) 2021-06-11
JP2021089821A (ja)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3940B1 (ko) 커넥터 조립체
KR101567356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JP3121386U (ja) コネクタガイド部材
US7993146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112071B2 (en) Structure for attaching a terminal to a circuit board
JP4374074B1 (ja)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US9502815B2 (en) Electrical connector
US10404022B2 (en) Terminal of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pring durability
JP6771989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KR20110020727A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US10522929B2 (en) Connector to provide reliable electrical connection
JP7297622B2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US20080020608A1 (en) Connector-mounting configuration
US7261601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7090546B2 (en) Card connector
US10374346B2 (en) Movable connector
US11050174B2 (e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CN114514657A (zh) 连接器及连接器组件
US6244883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roviding floating movement between connectors
KR100536617B1 (ko) 커넥터
CN109980447B (zh) 电路基板用电连接器
JP2020068060A (ja) コネクタ
CN113675638B (zh) 电路基板用电连接器
CN113363748B (zh) 端子连接器以及插座端子
JP6934095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