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0727A -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0727A
KR20110020727A KR1020100076324A KR20100076324A KR20110020727A KR 20110020727 A KR20110020727 A KR 20110020727A KR 1020100076324 A KR1020100076324 A KR 1020100076324A KR 20100076324 A KR20100076324 A KR 20100076324A KR 20110020727 A KR20110020727 A KR 20110020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or
terminal
side wall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4021B1 (ko
Inventor
데츠야 오오이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20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과제
커넥터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함과 함께, 단자의 접속부와 대응 회로부의 땜납 접속 부분의 접속 상태 그리고 대응 회로부에 있어서의 전기적 도통 상태를 확보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단자 (20) 는 수용 오목부 (13) 의 2 개의 오목부 측면의 각각을 따라 위치하는 접촉 아암부 (21A) 및 걸림 아암부 (21B) 가 연결되어 형성된 U 자 형상부 (21) 와, U 자 형상부 (21) 의 걸림 아암부 (21B) 로부터 연장되는 이행부 (22) 를 거쳐 하우징 (10) 의 측벽 외면을 따라 회로 기판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 (23) 와, 연장부 (23) 와 연속해서 형성되고 회로 기판 상의 대응 회로부에 접속되는 접속부 (24) 를 갖는 커넥터 (1) 에 있어서, U 자 형상부 (21) 의 양 아암부는, 그것들의 일부에서 상기 오목부 내면에 대해 고정되는 피고정부 (21A-2, 21B-2) 를 갖고 있음과 함께 다른 부분에서 탄성 변위될 수 있고, 연장부 (23) 는 상기 측벽 외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여 연장되어 있다.

Description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은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그 특허문헌 1 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가 상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하우징 (절연 본체) 에 의해 복수의 단자가 유지된 전기 커넥터이다. 그 하우징의 오목부 중앙부에는 바닥벽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섬 형상의 벽부로서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오목부는 상방에서 보아, 상기 볼록부를 둘러싸는 고리형을 이루고 있다. 상기 복수의 단자가 상기 볼록부에 대해 양측에서 대칭인 자세로 하우징의 측벽부를 따라 배열되어 있다.
상기 단자는 평면을 유지하여 타발 가공에 의해 누운 S 자 형상으로 만들어져 있다. 그 단자는 상기 오목부 내에서 상기 볼록부의 벽면을 따라 연장되는 접촉 아암부와, 하우징의 측벽부 상부에 걸쳐 하방으로 연장되는 2 개의 레그부를 갖는 역 U 자 형상의 유지 아암과, 오목부 내에서 접촉 아암부의 하단과 유지 아암의 일방의 레그부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부와, 그 오목부 밖에서 유지 아암의 타방의 레그부의 하단에서부터 바깥쪽을 향해 연장되는 접속부 (납땜부) 를 갖고 있다. 그 특허문헌 1 의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접속부에서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와 땜납 접속된다.
상기 측벽부를 사이에 두고 하방으로 연장되는 유지 아암의 2 개의 레그부에는, 그 측벽부의 내면 및 외면을 향해 돌출되는 돌자 (突刺)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단자는 유지 아암의 2 개의 레그부 사이에 측벽부가 압입되도록 하여 상방으로부터 하우징에 장착되고, 유지 아암이 그 측벽부를 사이에 끼움과 함께 상기 돌자가 그 측벽부의 면에 파고든다.
일본 실용 신안 등록 제3108400호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는 소형화가 요구되는 경우가 많고, 그 때문에 예를 들어 하우징의 측벽부의 두께 치수를 작게 하거나 하는 방책이 채용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의 전기 커넥터는, 측벽부가 유지 아암 사이에 끼워져 있고, 그 측벽부의 내면 및 외면의 양방이 유지 아암의 돌자에 의해 눌려 있어, 그 측벽부가 그 유지 아암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측벽부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그 측벽부의 두께 치수를 크게 해 둘 필요가 있다.
또, 유지 아암에는 상기 돌자를 형성함과 함께, 그 돌자에 의해 상기 측벽부를 누름으로써 발생하는 그 측벽부로부터의 반력에 대한 그 유지 아암의 강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 유지 아암의 폭 치수를 크게 할 필요도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의 측벽부의 두께 치수 및 단자의 유지 아암의 폭 치수를 크게 함으로써 전기 커넥터가 대형화된다.
또, 단자의 접속부가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와 땜납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대 커넥터에서의 비틀림 등에 의해 전기 커넥터에 예상치 못한 외력이 가해졌을 때, 측벽부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는 유지 아암의 레그부에 그 외력이 전달된다. 그 결과, 그 외력이 접속부와 대응 회로부의 땜납 접속 부분에 전달되어, 그 접속 부분에 전기적 접속 불량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또, 하우징에 단자를 장착할 때에 있어서, 단자의 유지 아암의 양 레그부 사이에 측벽부를 압입시킬 때, 그 양 레그부의 돌자에 의해 측벽부의 면이 깎이고, 그 깎임 찌꺼기가 측벽부에 잔존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커넥터의 사용시에 있어서, 이 깎임 찌꺼기가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 상으로 낙하 부착되어 그 대응 회로부에 있어서의 전기적 도통 상태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커넥터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함과 함께, 단자의 접속부와 대응 회로부의 땜납 접속 부분의 양호한 접속 상태 그리고 대응 회로부에 있어서의 양호한 전기적 도통 상태를 확보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오목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그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부에 유지되는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하우징의 수용 오목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 보아, 그 수용 오목부의 오목부 내면이, 서로 대향하여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오목부 측면을 갖고, 상기 단자는, 상기 수용 오목부의 상기 2 개의 오목부 측면의 각각을 따라 위치하는 2 개의 아암부가 연결되어 그 수용 오목부의 개구측을 향해 열린 형상을 형성하고 있는 U 자 형상부와, 그 U 자 형상부의 2 개의 아암부 중 일방의 아암부로부터 수용 오목부의 바깥쪽을 향해 연장되는 이행부를 거쳐 하우징의 측벽 외면을 따라 회로 기판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와, 그 연장부와 연속해서 형성되고 회로 기판 상의 대응 회로부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있다.
이러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U 자 형상부의 양 아암부는, 그들의 일부에서 수용 오목부의 오목부 내면에 대해 고정되는 피고정부를 갖고 있음과 함께 다른 부분에서 탄성 변위될 수 있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벽 외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여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단자는 U 자 형상부의 양 아암부에 각각 형성된 피고정부에서 수용 오목부의 오목부 내면에 대해 고정되어 있고, 그 단자의 연장부는 하우징의 측벽 외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하우징의 측벽부는 단자 사이에 끼이지 않는다. 따라서, 그 측벽부의 내면 및 외면의 양방에 단자로부터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가 없어, 그 측벽부에 가해지는 압력이 저감되기 때문에, 그만큼 그 측벽부의 강도를 높게 확보할 필요가 없어져, 그 측벽부의 두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연장부가 하우징의 측벽 외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전술한 종래의 커넥터와 같이 단자가 하우징의 측벽부를 사이에 끼우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단자의 연장부에 하우징의 측벽부를 누르기 위한 돌자를 형성하거나, 그 측벽부로부터의 반력에 대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연장부의 폭 치수를 크게 하거나 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측벽부의 두께 치수나 단자의 폭 치수를 크게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만큼 커넥터가 소형화된다.
또, 단자의 연장부가 하우징의 측벽 외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전기 커넥터에 예기치 않은 외력이 가해져 하우징의 측벽부가 연장부를 향해 휘어져 변형되어도, 그 측벽부와 연장부 사이에 간극이 있는 만큼 그 측벽부가 연장부에 맞닿기 어렵다. 따라서, 연장부에 연속해서 형성된 접속부에 외력이 잘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그 접속부와 대응 회로부의 접속 부분에 작용하는 외력이 충분히 억제된다.
또, 단자의 U 자 형상부의 일방의 아암부와 연장부 사이의 간격은, 하우징에 단자가 장착된 상태에서 연장부와 측벽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정도의 거리이며, 그 측벽부의 두께 치수보다 크다. 따라서, 단자의 장착시에, 하우징의 측벽부는 접압 (接壓) 을 발생시키지 않고 상기 일방의 아암부와 연장부 사이에 진입하기 때문에, 하우징의 측벽부가 깎여 깎임 찌꺼기가 발생하는 경우가 없고, 그 깎임 찌꺼기가 측벽부의 외면에 잔존하는 경우도 없다. 이 결과, 커넥터의 사용시에 있어서, 회로 기판 상의 대응 회로부에 깎임 찌꺼기가 낙하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그 대응 회로부에 있어서의 전기적 도통 상태가 유지된다.
단자의 U 자 형상부는, 타방의 아암부의 자유단(端)이 상기 수용 오목부의 개구측에 위치하고, 그 자유단 근처 위치에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U 자 형상부의 피고정부가 하우징의 수용 오목부의 바닥부 근처에 위치하여, 수용 오목부의 오목부 내면에서 서로 대향하는 오목부 측면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자가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 그리고 전기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단자의 U 자 형상부에 있어서의 일방의 아암부의 피고정부가, 그 일방의 아암부를 따라 연장되어 수용 오목부의 오목부 내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측벽부의 내면을 가압하면, 그 측벽부는 상기 피고정부를 통해 힘을 받아, 그 측벽부에는 굽힘 모멘트가 작용한다. 그 굽힘 모멘트의 크기는, 피고정부가 측벽부의 내면을 가압하는 위치와 그 측벽부의 기부가 되는 상기 수용 오목부의 바닥부 위치 사이의 거리에 의존한다. 상기 아암부에 있어서 피고정부가 하우징의 수용 오목부의 바닥부 근처에 위치하면 상기 거리가 작고, 그만큼 상기 하우징의 측벽부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가 작아지기 때문에, 하우징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단자의 U 자 형상부의 타방의 아암부에 있어서, 접촉부가 타방의 아암부의 자유단 근처, 즉 수용 오목부의 개구측에 위치하고 있음과 함께, 피고정부가 수용 오목부의 바닥부측에 위치하고 있어, 그 접촉부와 그 피고정부 사이에 충분한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타방의 아암부에 있어서 탄성 변위될 수 있는 부위의 길이가 크게 확보되고, 그만큼 커넥터 끼워맞춤시에 있어서의 그 타방의 아암부의 탄성 변위량도 커진다. 따라서, 충분히 큰 접압으로 상기 접촉부를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시킬 수 있다.
단자의 U 자 형상부의 양 아암부의 적어도 한쪽의 피고정부는, 수용 오목부의 오목부 측면에 파고드는 돌출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피고정부가 수용 오목부의 오목부 내면에 파고듦으로써 단자가 하우징으로부터 잘 빠지지 않게 된다.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그 상대 커넥터로부터의 힘에 의해, 단자의 U 자 형상부의 일방의 아암부를 따라 연장되고 그 일방의 아암부의 피고정부를 고정시키는 하우징의 측벽부가 그 일방의 아암부에 가압되어 연장부를 향해 탄성 변위될 수 있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U 자 형상부의 양 아암부에 형성된 피고정부에서 단자가 수용 오목부의 오목부 내면에 대해 고정되고, 그 단자의 연장부와 하우징의 측벽 외면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의 측벽부가 내면 및 외면의 양방에서 단자로부터 압력이 가해지지 않아, 측벽부의 강도를 크게 확보할 필요가 없어지는 만큼 그 측벽부의 두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연장부에 하우징의 측벽부를 누르기 위한 돌자를 형성하거나, 그 측벽부로부터의 반력에 대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연장부의 폭 치수를 크게 하거나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만큼 그 연장부의 폭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그 측벽부의 두께 치수나 단자의 폭 치수를 작게 하여 전기 커넥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단자의 연장부와 하우징의 측벽부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에 예기치 않은 외력이 가해져 상기 측벽부가 연장부를 향해 휘어져 변형되어도 그 측벽부가 그 연장부에 맞닿기 어렵다. 따라서, 접속부와 대응 회로부의 접속 부분에 힘이 잘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그 접속 부분에서의 양호한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단자의 U 자 형상부의 일방의 아암부와 연장부 사이의 간격은, 하우징에 단자가 장착된 상태에서 연장부와 측벽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정도의 거리이며, 단자의 장착시에 있어서, 하우징의 측벽부는 접압을 발생시키지 않고 U 자 형상부의 일방의 아암부와 연장부 사이에 진입하기 때문에, 측벽부의 면이 그 연장부에 의해 깎이지 않아, 깎임 찌꺼기가 발생하지도 않는다. 따라서, 그 깎임 찌꺼기가 측벽부의 외면에 잔존하지 않기 때문에, 커넥터 사용시에 있어서, 회로 기판 상의 대응 회로부에 깎임 찌꺼기가 낙하 부착되지 않아, 그 대응 회로부에 있어서의 양호한 전기적 도통 상태가 유지된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커넥터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A) 는 하우징에 대한 단자의 장착 도중, 도 2(B) 는 단자 장착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상대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커넥터를 끼워맞추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A) 는 커넥터 끼워맞춤 전, 도 4(B) 는 커넥터 끼워맞춤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 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커넥터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A) 는 하우징에 대한 단자의 장착 도중, 도 2(B) 는 단자의 장착 후의 상태를 도 1 의 Ⅱ-Ⅱ 단면, 즉 하우징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도 1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1) (이하, 간단히 「커넥터 (1)」 라고 함) 는, 회로 기판 (도시하지 않음) 상에 장착된 커넥터로서, 대략 직육면체 외형을 이루는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 (10) 과, 그 하우징 (10) 에 배열 유지되는 금속판제의 복수의 단자 (20) 를 갖고 있다.
상기 하우징 (10) 은 상방으로 개구된 수용 오목부 (13) 를 갖고 있고, 그 수용 오목부 (13) 에 의해 후술하는 상대 커넥터를 상방으로부터 수용하게 되어 있다. 상기 수용 오목부 (13) 는 하우징 (10) 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측벽부 (11) 및 그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인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2 개의 측벽부 (11) 의 단부 (端部) 끼리를 연결하는 2 개의 단(端)벽부 (12) 로 이루어지는 주벽 (周壁) 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고, 그 수용 오목부 (13) 의 중앙부에는 바닥벽부 (17) 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벽부 (14) 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용 오목부 (13) 는 상방에서 보아, 중앙 벽부 (14) 를 둘러싼 고리형을 이루고 있다.
도 2(A), 2(B) 에서 잘 볼 수 있듯이, 상기 수용 오목부 (13) 는 상기 길이 방향 (동일 도면에서의 지면과 직각인 방향) 에서 보아, 중앙 벽부 (14) 에 대해 좌우 대칭인 형상을 이루고 있다. 좌우 각각의 수용 오목부 (13) 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 보아, 그 오목부 내면이 U 자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오목부 내면이 오목부 저면 및 그 오목부 저면의 양측에 위치하는 오목부 측면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 개의 오목부 측면 중, 중앙 벽부 (14) 의 벽면을 이루는 면을 「오목부 안쪽 측면」, 측벽부 (11) 의 벽면을 이루는 면을 「오목부 바깥쪽 측면」이라고 한다.
상기 하우징 (10) 에는 도 1 에서 잘 볼 수 있듯이, 단자 (20) 를 유지하기 위한 단자 유지 홈 (15) 이 그 하우징 (10) 의 길이 방향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그 단자 유지 홈 (15) 은 도 2(A) 및 도 2(B) 에서 잘 볼 수 있듯이, 상기 길이 방향에서 보아, U 자 형상을 이루는 수용 오목부 (13) 의 오목부 내면 (오목부 안쪽 측면, 저면 및 오목부 바깥쪽 측면) 으로부터 그 수용 오목부 (13) 밖에서 측벽부 (11) 의 상면 및 외면에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 단자 유지 홈 (15) 은, 상기 길이 방향에서 보아, 중앙 벽부 (14) 에 대해 좌우 대칭을 이루고 있다.
측벽부 (11) 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 인접하는 단자 유지 홈 (15) 들 사이의 주측벽부 (11A) 와, 그 길이 방향에서의 단자 유지 홈 (15) 위치에 있는 부측벽부 (11B) 를 갖고 있다. 그 부측벽부 (11B) 는 그 외면, 상면 및 내면에 의해 상기 단자 유지 홈 (15) 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 중앙 벽부 (14) 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 인접하는 단자 유지 홈 (15) 들 사이의 주중앙 벽부 (14A) 와, 그 길이 방향에서의 단자 유지 홈 (15) 위치에 있는 부중앙 벽부 (14B) 를 갖고 있다.
도 1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의 길이 방향의 양단 영역에는, 수용 오목부 (13) 의 개구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어 수용 오목부 (13) 로부터 상방을 향함에 따라 넓어지는 경사진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다. 그 테이퍼면은 커넥터 끼워맞춤 조작시에 상대 커넥터를 수용 오목부 (13) 내로 유도하기 위한 안내면 (16) 을 이루고 있다. 그 안내면 (16) 은 상기 길이 방향에서 경사지도록 단벽부 (12) 의 범위에 형성된 안내면 (16A) 과, 하우징 (10) 의 폭 방향에서 경사지도록 측벽부 (11) 의 범위에 형성된 안내면 (16B) 과, 양자를 연결하는 안내면 (16C) 을 갖고 있다.
단자 (20) 는, 도 1 에서 볼 수 있듯이, 2 열을 이루어 하우징 (10) 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고 그 하우징 (10) 에 유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자 (20) 는, 평면을 유지하며 금속판을 S 자 형상으로 타발 가공하여 만들어져 있다. 도 2(B) 에서 볼 수 있듯이, 그 단자 (20) 는 누운 S 자 형상을 이룬 자세로, 상기 길이 방향 (도 2(B) 의 지면과 직각인 방향) 에서 보았을 때에 중앙 벽부 (14) 에 대해 좌우 대칭을 이루어 유지되고 있다.
그 단자 (20) 는 수용 오목부 (13) 의 오목부 내면을 따라 위치하고 그 수용 오목부 (13) 의 개구측, 즉 상방을 향해 열린 형상의 U 자 형상부 (21) 와, 부측벽부 (11B) 의 외면을 따라 위치하는 연장부 (23) 와, 그 U 자 형상부 (21) 를 이루는 2 개의 아암부 중 부측벽부 (11B) 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는 후술하는 걸림 아암부 (21B) 로부터 상기 연장부 (23) 로 이행되는 이행부 (22) 와, 상기 연장부 (23) 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고 회로 기판 상의 대응 회로부 (도시하지 않음) 와 땜납 접속되는 접속부 (24) 를 갖고 있다.
상기 이행부 (22) 는, 상기 부측벽부 (11B) 의 상방에서 수용 오목부 (13) 의 바깥쪽, 즉 도 2(B) 에서의 좌우 방향에서 부중앙 벽부 (14B)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연장부 (23) 는 그 이행부 (22) 로부터 상기 부측벽부 (11B) 의 외면을 따라 회로 기판 (도시하지 않음) 을 향해, 즉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상기 접속부 (24) 는 연장부 (23) 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부측벽부 (11B)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커넥터 바깥쪽) 으로 연장되어 상기 대응 회로부 상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U 자 형상부 (21) 는, 단자 유지 홈 (15) 내에 거의 전체가 수용되어 있어, 부중앙 벽부 (14B) 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의 접촉 아암부 (21A) 와, 부측벽부 (11B) 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 아암부 (21B) 와, 하우징 (10) 의 바닥벽부 (17) 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접촉 아암부 (21A) 및 걸림 아암부 (21B) 의 하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 (21C) 를 갖고 있다.
상기 접촉 아암부 (21A) 는 상방을 향함에 따라 단자 유지 홈 (15) 내에서 부중앙 벽부 (14B) 로부터 멀어지도록, 즉 수용 오목부 (13) 측으로 약간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그 접촉 아암부 (21A) 의 자유단인 상단은 수용 오목부 (13) 의 개구측에 위치하고, 그 상단에는 그 수용 오목부 (13) 내를 향해 돌출되는 접촉 돌출부 (21A-1) 가 형성되어 있다. 또, 그 접촉 아암부 (21A) 는 연결부 (21C) 와의 경계 위치에서, 도 2(B) 에서의 좌우 방향에서 부중앙 벽부 (14B) 측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 형상의 피고정부 (21A-2) 를 갖고 있다.
상기 걸림 아암부 (21B) 는 수용 오목부 (13) 내를 향해 돌출되고 후술하는 상대 커넥터 단자의 피걸림부와 걸어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 돌출부 (21B-1) 를 그 걸림 아암부 (21B) 의 상단에 갖고, 도 2(B) 에서의 좌우 방향에서 부측벽부 (11B) 측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 형상의 피고정부 (21B-2) 를 상하 방향에서 바닥벽부 (17) 근처 위치에 갖고 있다.
상기 연장부 (23) 는 상기 U 자 형상부 (21) 의 걸림 아암부 (21B) 와 거의 평행하게, 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연장부 (23) 와 걸림 아암부 (21B) 의 간격은 부측벽부 (11B) 의 두께 치수보다 크게 되어, 그 연장부 (23) 와 그 부측벽부 (11B) 의 외면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부 (24) 는 그 접속부 (24) 의 하측 가장자리부가 회로 기판의 상면과 거의 동일한 레벨로 위치하고 있고, 그 하측 가장자리부에서 회로 기판 상의 대응 회로부와 땜납 접속된다.
커넥터 (1) 는 복수의 단자 (20) 가 하우징 (10) 의 단자 유지 홈 (15) 내에 장착됨으로써 조립된다. 그 단자 (20) 는 그 단자 (20) 의 U 자 형상부 (21) 가 그 피고정부 (21A-2, 21B-2) 에서 하우징 (10) 의 수용 오목부 (13) 내로 상방으로부터 압입됨과 함께, 상기 걸림 아암부 (21B), 이행부 (22) 그리고 연장부 (23) 가 하우징 (10) 의 부측벽부 (11B) 에 대해 상방으로부터 걸치도록 그 하우징 (10) 에 대해 상방으로부터 장착된다. 즉, 단자 (20) 에서 보면, 그 단자 (20) 의 걸림 아암부 (21B) 와 연장부 (23) 사이에 상기 부측벽부 (11B) 가 하방으로부터 진입한다.
도 2(B)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자 (20) 가 하우징 (10) 의 단자 유지 홈 (15)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그 단자 (20) 는 U 자 형상부 (21) 의 접촉 아암부 (21A) 의 피고정부 (21A-2) 및 걸림 아암부 (21B) 의 피고정부 (21B-2) 가 수용 오목부 (13) 의 내면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접촉 아암부 (21A) 의 피고정부 (21A-2) 가 수용 오목부 (13) 의 오목부 안쪽 측면, 즉 부중앙 벽부 (14B) 의 벽면에 그리고 상기 걸림 아암부 (21B) 의 피고정부 (21B-2) 가 수용 오목부 (13) 의 오목부 바깥쪽 측면, 즉 부측벽부 (11B) 의 내면으로 수용 오목부 (13) 의 바닥부 근처 위치에서 파고들고 있다. 도 2(B)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접촉 아암부 (21A) 는 그 접촉 아암부 (21A) 의 하단 근처 위치 이외의 부분, 즉 상하 방향에서 피고정부 (21A -2) 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 이외의 부분이 부중앙 벽부 (14B) 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며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그 접촉 아암부 (21A) 는 도 2(B) 에서의 좌우 방향에서 탄성 변위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피고정부 (21A-2, 21B-2) 는 단자 유지 홈 (15) 의 내면, 즉 수용 오목부 (13) 의 오목부 측면에 파고드는 돌출부로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우징 (10) 에 장착된 단자 (20) 는 그 하우징 (10) 으로부터 잘 빠지지 않는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U 자 형상부 (21) 의 걸림 아암부 (21B) 와 연장부 (23) 사이의 간격은 하우징 (10) 의 부측벽부 (11B) 의 두께 치수보다 크기 때문에, 도 2(B) 에서 잘 볼 수 있듯이, 그 연장부 (23) 와 그 부측벽부 (13B) 의 외면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 (10) 에 대한 단자 (20) 의 장착시에, 상기 부측벽부 (11B) 는 연장부 (23) 와의 사이에서 접압을 발생시키지 않고 그 연장부 (23) 와 걸림 아암부 (21B) 사이에 진입한다. 이 결과, 상기 부측벽부 (11B) 의 외면이 연장부 (23) 에 의해 깎이지 않아 깎임 찌꺼기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그 깎임 찌꺼기가 부측벽부 (11B) 의 외면에 잔존하지도 않는다. 따라서, 커넥터 (1) 의 사용시에 있어서, 회로 기판 상의 대응 회로부에 깎임 찌꺼기가 낙하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그 대응 회로부에 있어서의 전기적 도통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 (10) 은 바닥벽부 (17) 를 갖고 있기 때문에, 수용 오목부 (13) 내에 위치하는 단자 (20) 의 U 자 형상부 (21) 와 회로 기판이 그 바닥벽부 (17) 에 의해 떨어져 있다. 따라서, 단자 (20) 의 연결부 (21C) 와의 단락을 염려하지 않고, 회로 기판 상에서의 U 자 형상부 (21) 의 하방 위치에 회로부를 형성할 수 있게 되어, 회로 기판 상의 면적의 유효한 이용 그리고 회로부의 설계상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한, 바닥벽부 (17) 는 필수는 아니며, 상기 U 자 형상부 (21) 의 하방 위치에 회로부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하우징 (10) 에 바닥벽부 (17) 를 형성하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부로서의 수용 구멍부를 수용 오목부 (13) 대신에 형성해도 된다.
도 3 은 커넥터 (1) 와 끼워맞춰지는 상대 커넥터 (2) 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커넥터 (1) 와 상대 커넥터 (2) 를 끼워맞추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자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4(A) 는 커넥터 끼워맞춤 전, 도 4(B) 는 커넥터 끼워맞춤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과 도 4(A) 를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도 3 은 끼워맞춤시에 있어서의 자세를 상하 반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대 커넥터 (2) 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3 에서는 상방이 끼워맞춤 방향 전방으로 되어 있다.
상기 상대 커넥터 (2) 도 커넥터 (1) 와 마찬가지로, 회로 기판 (도시하지 않음) 상에 장착되는 커넥터로서, 도 3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는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 (30) 과, 그 하우징 (30) 에 배열 유지되는 금속제의 복수의 단자 (40) 를 갖고 있다. 이하, 단자 (40) 를 커넥터 (1) 의 단자 (20) 와 구별하기 위해 「상대 단자 (40)」 라고 한다.
하우징 (30) 은 도 3 에 도시되는 상태에서 상방 (도 4(A) 및 도 4(B) 에서는 하방) 으로 개구된 수용 오목부 (33) 가 형성되어 있고, 그 수용 오목부 (33) 에 의해 커넥터 (1) 의 중앙 벽부 (14) 를 수용하게 되어 있다. 그 수용 오목부 (33) 는 하우징 (30) 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측벽부 (31) 및 그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인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2 개의 측벽부 (31) 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2 개의 단벽부 (32) 로 이루어지는 주벽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그 하우징 (30) 의 주벽은 커넥터 (1) 의 수용 오목부 (13) 와 적합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커넥터의 끼워맞춤시에 있어서, 그 주벽은 그 커넥터 (1) 의 길이 방향과 상대 커넥터 (2) 의 길이 방향이 일치한 자세로 상기 수용 오목부 (13) 내에 끼워넣어진다.
상대 단자 (40) 는 띠 형상의 금속판을 판 두께 방향에서 굴곡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 (30) 과 일체로 몰드 성형됨으로써, 도 4(A) 및 도 4(B) 에서 좌우 대칭으로 그리고 그 하우징 (30) 의 길이 방향에서 간격을 두고 양측벽부 (31) 에 배열 유지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 에서 잘 볼 수 있듯이, 그 상대 단자 (40) 는 측벽부 (31) 의 외면, 하면 및 내면을 따라 U 자 형상을 이루어 연장되는 끼워넣음부 (41) 와, 끼워넣음부 (41) 의 2 개의 아암부 중 수용 오목부 (33) 측에 위치하는 대응 접촉 아암부 (41C) 의 상부로부터 연장되고 도 4(A) 및 도 4(B) 에서의 좌우 방향에서 수용 오목부 (33)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커넥터 바깥쪽) 을 향해 굴곡되는 굴곡부 (42) 와, 그 굴곡부 (42) 에 연속해서 측벽부 (31) 로부터 커넥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접속부 (43) 를 갖고 있다.
도 4(A) 및 도 4(B) 에서 잘 볼 수 있듯이, 상대 단자 (40) 는 끼워넣음부 (41) 및 굴곡부 (42) 가 하우징 (30) 과의 일체 성형에 의해 그 하우징 (30) 에 유지되어 있고, 끼워넣음부 (41) 의 반대 측벽부 (31) 측의 면 그리고 접속부 (43) 의 전체면이 하우징 (30) 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상기 끼워넣음부 (41) 는 도 4(A) 에서 측벽부 (31) 의 커넥터 바깥쪽 근처에 위치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걸림 아암부 (41A) 와, 그 피걸림 아암부 (41A) 의 하단부에 연속적으로 수용 오목부 (33) 측을 향해 만곡되어 연장되는 이행부 (41B) 와, 그 이행부 (41B) 에 연속적으로 수용 오목부 (33) 근처 위치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대응 접촉 아암부 (41C) 를 갖고 있다. 상기 피걸림 아암부 (41A) 는 상단 근처 위치 (도 3 에서의 하단 근처 위치) 의 노출면에 피걸림 오목부 (41A-1) 가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피걸림 오목부 (41A-1) 는,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커넥터 (1) 의 단자 (20) 의 걸림 돌출부 (21B-1) 와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도 4(A) 및 도 4(B) 에서의 상하 방향) 에서 걸려 고정된다. 상기 대응 접촉 아암부 (41C) 는, 수용 오목부 (33) 측을 향해 노출되는 면이 전역에 걸쳐 평탄면을 이루고 있어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이 노출면에서 커넥터 (1) 의 접촉 돌출부 (21A-1) 와 접촉한다. 또한, 대응 접촉 아암부 (41C) 가 전역에 걸쳐 평탄면을 이루고 있는 것은 필수는 아니며, 예를 들어, 접촉 돌출부 (21A-1) 와의 접촉 위치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4(A)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동일 도면의 좌우 방향에서의 상기 피걸림 아암부 (41A) 의 노출면과 그 대응 접촉 아암부 (41C) 의 노출면 사이의 거리 (R) 는, 동일 방향에서의 커넥터 (1) 의 단자 (20) 의 접촉 돌출부 (21A-1) 와 걸림 돌출부 (21B-1) 사이의 거리 (S) 보다 크게 되어 있다.
상기 접속부 (43) 의 상면 (도 3 에서의 하면) 은, 하우징 (30) 의 상면 (도 3 에서의 하면) 과 거의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고 있고, 그 접속부 (43) 의 상면이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 (도시하지 않음) 와 땜납 접속되게 되어 있다.
이하, 도 4(A) 및 도 4(B) 를 참조하여 커넥터 (1) 와 상대 커넥터 (2) 의 끼워맞춤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커넥터 (1) 및 상대 커넥터 (2) 를 각각 대응하는 회로 기판 (도시하지 않음) 의 대응 회로부에 땜납 접속시켜 그 회로 기판에 장착시킨다. 다음으로, 도 4(A)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넥터 (1) 의 상방에 있어서, 상대 커넥터 (2) 의 주벽이 커넥터 (1) 의 수용 오목부 (13) 와 그리고 상대 커넥터 (2) 의 수용 오목부 (33) 가 그 커넥터 (1) 의 중앙 벽부 (14) 와 상하 방향에서 대향하는 정규 위치에 상대 커넥터 (2) 를 오게 한다.
다음으로, 상대 커넥터 (2) 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그 상대 커넥터 (2) 를 커넥터 (1) 와 끼워 맞춘다. 구체적으로는 상대 커넥터 (2) 의 주벽을 커넥터 (1) 의 수용 오목부 (13) 에 상방으로부터 끼워넣음과 함께 커넥터 (1) 의 중앙 벽부 (14) 를 상대 커넥터 (2) 의 수용 오목부 (33) 에 하방으로부터 끼워넣는다. 만일, 도 4(A) 에 도시되는 커넥터 끼워맞춤 전 상태에서, 커넥터 (1) 와 상대 커넥터 (2) 의 위치가 상기 정규 위치로부터 다소 어긋나 있어도, 상대 커넥터 (2) 의 주벽의 하측 가장자리부가 커넥터 (1) 의 하우징 (10) 의 안내면 (16) 에 맞닿아 그 하우징 (10) 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안내되어, 상대 커넥터 (2) 는 끼워 맞출 수 있는 위치로 오게 된다.
커넥터 (1) 의 수용 오목부 (13) 로의 상대 커넥터 (2) 의 주벽의 끼워 넣음이 개시되면, 상대 커넥터 (2) 의 단자 (40) 의 끼워넣음부 (41) 가, 커넥터 (1) 의 단자 (20) 의 접촉 돌출부 (21A-1) 및 걸림 돌출부 (21B-1) 에 맞닿은 후, 그 접촉 돌출부 (21A-1) 와 걸림 돌출부 (21B-1) 사이를 가압하여 넓히면서 수용 오목부 (13) 내로 진입한다. 구체적으로는, 상대 커넥터 (2) 의 상기 끼워넣음부 (41) 의 대응 접촉 아암부 (41C) 가 커넥터 (1) 의 상기 접촉 돌출부 (21A-1) 를 단자 유지 홈 (15) 내를 향해 부중앙 벽부 (14B) 로 가까워지도록 탄성 변위시킨다. 또, 상기 끼워넣음부 (41) 의 피걸림 아암부 (41A) 가 커넥터 (1) 의 상기 걸림 돌출부 (21B-1) 를 부측벽부 (11B) 를 향해 가압하여 이 방향으로 약간 탄성 변위시킨다. 또, 상기 상대 커넥터 (2) 의 주벽의 끼워넣음의 개시와 거의 동시에, 그 상대 커넥터 (2) 의 수용 오목부 (33) 로의 커넥터 (1) 의 중앙 벽부 (14) 의 끼워넣음을 개시한다.
또한, 상대 커넥터 (2) 의 끼워넣음이 진행되어, 도 4(B)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넥터 (1) 의 중앙 벽부 (14) 의 상면이 상대 커넥터 (2) 의 수용 오목부 (33) 의 저면, 즉 상측 내면에 맞닿음으로써 커넥터 끼워맞춤이 완료된다.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단자 (20) 의 접촉 돌출부 (21A-1) 가 상대 단자 (40) 의 대응 접촉 아암부 (41C) 에 가압되어 단자 유지 홈 (15) 내를 향해 탄성 변위되고 그 대응 접촉 아암부 (41C) 와 소정 접압에 의해 접촉된 상태가 유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촉 돌출부 (21A-1) 가 그 접촉 아암부 (21A) 의 상단에 위치하고, 피고정부 (21A-2) 가 그 접촉 아암부 (21A) 의 하단 근처에 위치하고 있어, 그 접촉 돌출부 (21A-1) 와 그 피고정부 (21A-2) 사이에 충분한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 아암부 (21A) 에 있어서 탄성 변위될 수 있는 부위의 길이 (아암 길이) 가 크게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그만큼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의 그 접촉 돌출부 (21A-1) 의 탄성 변위량도 커진다. 이 결과, 충분히 큰 접압에 의해 상기 접촉 돌출부 (21A-1) 를 상대 단자 (40) 의 대응 접촉 아암부 (41C) 와 접촉시킬 수 있다.
또,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도 4(B)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1) 의 단자 (20) 의 걸림 돌출부 (21B-1) 가 상대 단자 (40) 의 피걸림 오목부 (41A-1) 와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상하 방향) 에서 걸려 잠금 기능을 한다. 이로써, 예기치 않은 외력에 의해 커넥터끼리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걸림 돌출부 (21B-1) 는 상대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촉부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걸림 돌출부 (21B-1) 와 피걸림 오목부 (41A-1) 는 접압에 의해 접촉되어 있고, 그 걸림 돌출부 (21B-1) 가 그 피걸림 오목부 (41A-1) 로부터 받는 커넥터 바깥쪽으로의 힘은, 단자 (20) 의 걸림 아암부 (21B) 의 피고정부 (21B-2) 로부터 하우징 (10) 의 부측벽부 (11B) 로 전달된다. 상기 힘을 받은 그 부측벽부 (11B) 는, 도 4(B)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바깥쪽으로, 즉 연장부 (23) 를 향해 약간 탄성 변위된다.
도 4(A)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끼워맞춤 전에 단자 (20) 의 연장부 (23) 와 그 부측벽부 (11B) 의 외면 사이에 충분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부측벽부 (11B) 가 연장부 (23) 를 향해 탄성 변위되었을 때, 도 4(B)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간극이 작아지지만 그 부측벽부 (11B) 가 연장부 (23) 에 맞닿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힘이 연장부 (23) 에 전달되지는 않기 때문에, 접속부 (24) 와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의 땜납 접속 부분에 힘이 작용하지도 않는다. 이 결과, 커넥터 끼워맞춤 전에, 상기 땜납 접속 부분에서 손상이 발생하지 않아 그 땜납 접속 부분에서의 양호한 접속 상태가 유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도 하우징 (10) 의 부측벽부 (11B) 와 단자 (20) 의 연장부 (23)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상대 커넥터 (2) 의 비틀림 등에 의해 커넥터 (1) 에 예기치 않은 외력이 가해져 상기 부측벽부 (11B) 가 연장부 (23) 를 향해 더욱 휘어져 변형되어도, 그 부측벽부 (11B) 는 연장부 (23) 에 맞닿지 않기 때문에 그 연장부 (23) 에 상기 외력이 전달되지 않거나, 또는 맞닿았다고 해도 그 맞닿은 정도는 매우 작아 연장부 (23) 에 전달되는 상기 외력은 매우 작다. 이 결과, 접속부 (24) 와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의 땜납 접속 부분에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거나, 또는 작용했다고 해도 그 외력은 매우 작기 때문에,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땜납 접속 부분에서 손상이 발생하지 않아 그 땜납 접속 부분에서의 접속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걸림 아암부 (21B) 에서 피고정부 (21B-2) 가 하단 근처 위치, 즉 수용 오목부 (13) 의 바닥부 근처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피고정부 (21B-2) 가 부측벽부 (11B) 를 가압하는 위치와 상기 수용 오목부 (13) 의 바닥부 위치 사이의 상하 방향에서의 거리가 작다. 그 거리가 작을수록 상기 부측벽부 (11B) 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가 작아지기 때문에, 하우징 (10) 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 (20) 의 연장부 (23) 와 하우징 (10) 의 부측벽부 (11B) 외면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어, 그 부측벽부 (11B) 는 단자 (20) 사이에 끼이지 않는다. 따라서, 그 부측벽부 (11B) 의 내면 및 외면의 양방에 단자 (20) 로부터의 압력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커넥터와 같이 하우징의 측벽부가 내면 및 외면의 양방이 단자에 의해 눌리는 경우와 비교하여, 그 부측벽부 (11B) 에 가해지는 압력이 저감된다. 따라서, 그 압력이 저감되는 만큼 그 부측벽부 (11B) 의 강도를 높게 확보할 필요가 없어져, 그 부측벽부 (11B) 의 두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연장부 (23) 에 부측벽부 (11B) 를 누르기 위한 돌자를 형성하거나, 그 부측벽부 (11B) 로부터의 반력에 대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연장부 (23) 의 폭 치수를 크게 하거나 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하우징 (10) 의 부측벽부 (11B) 의 두께 치수나 상기 단자 (20) 의 연장부 (23) 의 폭 치수를 크게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만큼 커넥터 (1) 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의 수용 오목부의 중앙에 중앙 벽부가 있어 단자 배열 방향에서 보았을 때 그 중앙 벽부에 대해 대칭인 형태의 커넥터에 대해 본 발명을 적용하는 형태를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서의 커넥터를 그 커넥터의 폭 방향 중앙에서 2 개로 분할한 것 중 일방에 의해 형성되는 형태의 커넥터, 즉 하우징의 수용 오목부 내에 중앙 벽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단자가 일렬을 이루어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그 하우징에 유지되어 있는 형태의 커넥터에 적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걸림 돌출부 (21B-1) 와 피걸림 오목부 (41A-1) 가 접압에 의해 접촉되는 것으로 하였는데, 이와 같이 접압에 의해 접촉되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즉,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피걸림 오목부 (41A-1) 내에 걸림 돌출부 (21B-1) 가 진입하여 그 피걸림 오목부 (41A-1) 와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서 걸려 고정되어 있는 것이면, 예를 들어, 피걸림 오목부 (41A-1) 와 걸림 돌출부 (21B-1) 가 접압을 발생시키지 않고 접촉되어 있어도 되고, 또는 접촉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대 커넥터 (2) 에 예기치 않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걸림 돌출부 (21B-1) 가 피걸림 돌출부 (41A-1) 로부터 커넥터 바깥쪽으로의 힘을 받지 않기 때문에, 부측벽부 (11B) 는 연장부측으로 거의 탄성 변위되지 않는다.
<제 2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는, 단자의 걸림 아암부의 피고정부가 돌기 형상을 이루고 있지 않은 점에서, 걸림 아암부의 피고정부가 돌기 형상을 이루는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와 구성이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기본적인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부분에는 제 1 실시형태에서의 부호에 100 을 더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제 1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01) 의 단면도이다. 도 5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걸림 아암부 (121B) 는, 부측벽부 (111B) 의 내면 (오목부 바깥쪽 측면) 과 대향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장자리부가 곧은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가장자리부의 하반부가 상기 오목부 바깥쪽 측면과 접압에 의해 접촉되는 피고정부 (121B-2) 로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 (101) 는 접촉 아암부 (121A) 의 피고정부 (121A-2) 와 걸림 아암부 (121B) 의 피고정부 (121B-2) 에 의해 단자 유지 홈 (115) 내에서 유지되어 있다.
<제 3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는, 단자의 접촉 아암부의 피고정부가 돌기 형상을 이루고 있지 않은 점에서, 접촉 아암부의 피고정부가 돌기 형상을 이루는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와 구성이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기본적인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부분에는 제 1 실시형태에서의 부호에 200 을 더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제 1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201) 의 단면도이다. 도 6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접촉 아암부 (221A) 는, 부중앙 벽부 (214B) 의 벽면 (오목부 안쪽 측면) 과 대향하는 가장자리부의 하반부가 매끄럽게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고, 그 하반부가 상기 오목부 안쪽 측면과 접압에 의해 접촉되는 피고정부 (221A-2) 로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 (201) 는 접촉 아암부 (221A) 의 피고정부 (221A-2) 와 걸림 아암부 (221B) 의 피고정부 (221B-2) 에 의해 단자 유지 홈 (215) 내에서 유지되어 있다.
<제 4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는, 띠 형상의 금속판을 판 두께 방향에서 굽힘 가공하여 단자가 만들어져 있는 점에서, 평면을 유지하며 금속판을 타발 가공하여 단자가 만들어져 있는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와 구성이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기본적인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부분에는 제 1 실시형태에서의 부호에 300 을 더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제 1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301) 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자 (320) 는 띠 형상의 금속판을 판 두께 방향에서 누운 S 자 형상으로 굽힘 가공함으로써 만들어져 있고, 제 1 실시형태에서의 단자 (20) 와 마찬가지로, U 자 형상부 (321), 이행부 (322), 연장부 (323) 및 접속부 (324) 를 갖고 있다.
상기 단자 (320) 의 U 자 형상부 (321) 의 접촉 아암부 (321A) 는, 그 자유단인 상단측 부분이 수용 오목부 (313) 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만곡되어 있고, 이 만곡된 부분이 접촉부 (321A-1) 를 이루고 있다. 또, 접촉 아암부 (321A) 는 그 하단 근처 위치, 즉 수용 오목부 (313) 의 바닥부 근처 위치에 부중앙 벽부 (314B) 를 향해 돌출되는 피고정부 (321A-2) 를 갖고 있다. 그 피고정부 (321A-2) 는 접촉 아암부 (321A) 의 판면에 엠보싱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도 7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부중앙 벽부 (314B) 의 벽면, 즉 오목부 안쪽 측면에 파고들고 있다.
상기 U 자 형상부 (321) 에 있어서 부측벽부 (311B) 를 따라 연장되는 아암부, 즉 제 1 실시형태에서의 걸림 아암부 (21B) 에 대응하는 탄압 (彈壓) 아암부 (321B) 는, 돌기 형상의 걸림 돌출부 및 피고정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상기 걸림 아암부 (21B) 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탄압 아암부 (321B) 는 상방을 향함에 따라 부측벽부 (311B) 로부터 멀어지도록, 즉 수용 오목부 (313) 측으로 약간 경사져 연장되어 있고, 그 탄압 아암부 (321B) 의 상단측 부분에 수용 오목부 (313) 를 향해 볼록하게 만곡되는 탄압부 (321B-1) 가 형성되어 있어, 그 탄압부 (321B-1) 와 상대 단자 (도시하지 않음) 와 접압에 의해 접촉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탄압부 (321B-1) 와 상대 커넥터 (도시하지 않음) 의 단자의 접압에 의한 접촉에 의해 그 상대 커넥터가 예기치 않게 빠지는 것이 억제되고 있다.
또, 상기 탄압 아암부 (321B) 는 하단측 부분이 부측벽부 (311B) 의 내면, 즉 오목부 바깥쪽 측면을 향하면서 약간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고, 이 볼록하게 만곡된 부분이 오목부 바깥쪽 측면과 접압에 의해 접하는 피고정부 (321B-2) 로서 형성되어 있다. 단자 (320) 는 접촉 아암부 (321A) 의 피고정부 (321A-2) 와 상기 탄압 아암부 (321B) 의 피고정부 (321B-2) 에 의해 단자 유지 홈 (315) 내에서 유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피고정부 (321A-1, 321B-2) 에 의해 단자 (320) 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 커넥터의 발출시에 있어서 그 상대 커넥터가 비틀어져도, 하우징 (310) 으로부터 상기 단자 (320) 가 예기치 않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탄압 아암부의 탄압부 및 피고정부는 그 탄압 아암부를 판 두께 방향에서 볼록하게 만곡시킴으로써 형성되었는데, 그 탄압부 및 피고정부에는, 예를 들어, 그 탄압 아암부의 판면에 엠보싱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그 탄압부의 돌출부는 수용 오목부를 향해, 피고정부의 돌출부는 부측벽부를 향해 돌출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1 : 커넥터
2 : 상대 커넥터
10 : 하우징
11 : 측벽부
12 : 단벽부
13 : 수용 오목부
20 : 단자
21 : U 자 형상부
21A : 접촉 아암부
21A-1 : 접촉 돌출부 (접촉부)
21A-2 : 피고정부
21B : 걸림 아암부
21B-2 : 피고정부
22 : 이행부
23 : 연장부
24 : 접속부

Claims (4)

  1.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오목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그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부에 유지되는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하우징의 수용 오목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 보아, 그 수용 오목부의 오목부 내면이, 서로 대향되어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오목부 측면을 갖고, 상기 단자는, 상기 수용 오목부의 상기 2 개의 오목부 측면의 각각을 따라 위치하는 2 개의 아암부가 연결되어 그 수용 오목부의 개구측을 향해 열린 형상을 형성하고 있는 U 자 형상부와, 그 U 자 형상부의 2 개의 아암부 중 일방의 아암부로부터 수용 오목부의 바깥쪽을 향해 연장되는 이행부를 거쳐 하우징의 측벽 외면을 따라 회로 기판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와, 그 연장부와 연속해서 형성되고 회로 기판 상의 대응 회로부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U 자 형상부의 양 아암부는, 그것들의 일부에서 수용 오목부의 오목부 내면에 대해 고정되는 피고정부를 갖고 있음과 함께 다른 부분에서 탄성 변위될 수 있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벽 외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여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단자의 U 자 형상부는, 타방의 아암부의 자유단이 상기 수용 오목부의 개구측에 위치하고, 그 자유단 근처 위치에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U 자 형상부의 피고정부가 하우징의 수용 오목부의 바닥부 근처에 위치하여, 수용 오목부의 오목부 내면에서 서로 대향하는 오목부 측면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단자의 U 자 형상부의 양 아암부의 적어도 한쪽의 피고정부는, 수용 오목부의 오목부 측면에 파고드는 돌출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그 상대 커넥터로부터의 힘에 의해, 단자의 U 자 형상부의 일방의 아암부를 따라 연장되고 그 일방의 아암부의 피고정부를 고정시키는 하우징의 측벽부가 그 일방의 아암부에 가압되어 연장부를 향해 탄성 변위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20100076324A 2009-08-18 2010-08-09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14640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89151 2009-08-18
JP2009189151A JP4911735B2 (ja) 2009-08-18 2009-08-18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727A true KR20110020727A (ko) 2011-03-03
KR101464021B1 KR101464021B1 (ko) 2014-11-20

Family

ID=43605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324A KR101464021B1 (ko) 2009-08-18 2010-08-09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82272B2 (ko)
JP (1) JP4911735B2 (ko)
KR (1) KR101464021B1 (ko)
CN (1) CN101997192B (ko)
TW (1) TWI4581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63447B2 (ja) * 2011-06-29 2015-08-12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3199358A (zh) * 2012-01-09 2013-07-10 苏州中兴联精密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及其组合端子
US8858239B2 (en) * 2012-06-19 2014-10-14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blind mating for board to board use
JP5700026B2 (ja) 2012-11-28 2015-04-15 株式会社デンソー 電装品機器の端子装置
US8888506B2 (en) * 2013-01-29 2014-11-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JP6241712B2 (ja) * 2013-06-25 2017-12-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JP6128435B2 (ja) * 2013-06-25 2017-05-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056835B2 (ja) * 2014-11-14 2017-01-11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及び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JP6513509B2 (ja) * 2015-07-01 2019-05-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対基板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
JP6591251B2 (ja) * 2015-10-01 2019-10-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16009841A1 (de) * 2016-08-16 2018-02-22 Tdk-Micronas Gmbh Kontaktiervorrichtung
JP6727074B2 (ja) * 2016-08-29 2020-07-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CN107437688B (zh) * 2017-07-10 2019-06-18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JP7142425B2 (ja) * 2017-10-23 2022-09-27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インタポーザ組立体
JP7086620B2 (ja) * 2018-01-31 2022-06-2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システム
CN109103697B (zh) * 2018-08-06 2020-03-17 唐虞企业股份有限公司 插座连接器及电连接器总成
CN209822934U (zh) * 2019-03-28 2019-12-20 东莞富强电子有限公司 弹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2333Y2 (ja) * 1990-02-23 1996-10-02 富彌 吉松 ロ―タリ―式吸殻処理装置
JPH09213432A (ja) * 1996-02-05 1997-08-15 Amp Japan Ltd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電気コネクタ
JP3228460B2 (ja) * 1996-08-08 2001-11-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電気コネクタ
US6394833B1 (en) * 2001-04-25 2002-05-28 Miraco, Inc. Flat flexible cable connector
TWI275206B (en) 2004-03-09 2007-03-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2006185851A (ja) 2004-12-28 2006-07-13 Taiko Denki Co Ltd コネクタの端子構造
JP4526428B2 (ja) * 2005-04-18 2010-08-1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2007035291A (ja) * 2005-07-22 2007-02-08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JP4545062B2 (ja) * 2005-08-03 2010-09-1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4207952B2 (ja) * 2005-12-15 2009-01-1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7328961A (ja) * 2006-06-06 2007-12-20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装置
JP4454651B2 (ja) * 2007-07-25 2010-04-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574692B2 (ja) * 2008-02-29 2010-11-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4021B1 (ko) 2014-11-20
JP4911735B2 (ja) 2012-04-04
US8182272B2 (en) 2012-05-22
CN101997192A (zh) 2011-03-30
TW201108518A (en) 2011-03-01
CN101997192B (zh) 2014-06-11
US20110045708A1 (en) 2011-02-24
JP2011040342A (ja) 2011-02-24
TWI458180B (zh) 2014-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20727A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2483940B1 (ko) 커넥터 조립체
JP6407391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374074B1 (ja)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5553502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4207952B2 (ja) コネクタ
KR101383455B1 (ko) 전기 커넥터
KR101450401B1 (ko) 전기 커넥터
KR101700058B1 (ko) 암형 단자
US9033743B2 (en) Electric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US9033722B2 (en) Electric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JP2009283357A (ja) 基板間接続用コネクタ構造
KR102054810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20090072963A (ko) 콘택트 부재 및 전기 커넥터
JP2016058399A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2010015948A (ja) 接続端子及び接続端子の取り付け方法
JP2015076215A (ja) コネクタ
JP2016207252A (ja) 雌端子構造
JP2005332734A (ja) 圧接端子とそれを備えた圧接コネクタ
JP2007250396A (ja) 電気コネクタのマウン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