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6531B1 - 기록매체의기록및재생장치 - Google Patents

기록매체의기록및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6531B1
KR100346531B1 KR1019950701410A KR19950701410A KR100346531B1 KR 100346531 B1 KR100346531 B1 KR 100346531B1 KR 1019950701410 A KR1019950701410 A KR 1019950701410A KR 19950701410 A KR19950701410 A KR 19950701410A KR 100346531 B1 KR100346531 B1 KR 100346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data
reproducing
recording medium
recor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1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3782A (ko
Inventor
곤도쯔요시
무까와히로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16921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57436A/ja
Priority claimed from JP317531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53239A/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703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3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5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6Manual contro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9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11B2220/2529Mini-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와 함께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에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기록 재생 수단과, 1 개의 데이터의 단락 위치를 지정하는 지정 수단과, 기록 재생 수단에 의한 기록 매체로의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을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하며, 기록 재생 수단에 의한 기록 매체로의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 동작 중에 지정 수단이 조작된 때에는, 지정 수단이 조작된 시점을 단락 위치로 인식하여, 관리정보를 재기록하도록 기록 재생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이다.

Description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광자기 디스크 등의 기록 가능한 디스크 미디어에 있어서는, DAT(Digital Audio Tape)나 콤팩트 카세트테이프 등의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에 비해서 랜덤 액세스가 매우 용이하다. 따라서 디스크 상의 내주 측으로부터 외주 측으로 향해 제1 트랙에서 제 n 트랙까지 차례로 정확하게 기록하여 갈 필요는 없다. 즉, 각 곡이 디스크 상에서는 물리적으로 분산된 위치에 기록되어 있어도, 제 1 트랙에서 제 n 트랙까지의 각 곡이 기록되어 있는 어드레스가 관리되고 있는 한, 정확한 곡 순서대로 재생할 수 있다.
다시 예를 들면, 한 곡의 트랙도 반드시 연속된 세그먼트(또한 세그먼트란 물리적으로 연속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에 기록할 필요는 없고, 디스크 상에서 이산적으로 복수의 세그먼트로 나누어서 기록해도 문제없다.
특히, 광자기 디스크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고속의 전송 속도로 일단 버퍼메모리에 저장하고, 버퍼 메모리로부터 정속(定速) 전송 속도로 판독해서 음성 재생 신호로 복조 처리하는 시스템에서는, 세그먼트 간의 액세스에 의해 일시적으로 광자기 디스크로부터의 데이터 판독이 중단되어도 재생 음성이 중단되지 않고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세그먼트 내의 기록 재생 동작과 고속 액세스 동작, 즉 버퍼 메모리의 기록 속도와 판독 속도의 차에 의해 발생하는 데이터 축적량에 의한 재생 가능 시간 이내에 종료하는 액세스 동작을 반복하면, 1 곡의 트랙이 복수의 세그먼트로 나누어져서 물리적으로 분할되어 있어도 곡의 기록/재생에 지장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곡목이 세그먼트 M1, 제 2 곡목이 세그먼트 M2로서 연속적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제 4 곡목, 5 곡목으로서 세그먼트 M4(1)~ M4(4), M5(1)~ M5(2)로 표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상에 분할해서 기록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도는 어디까지나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실제로는 1 개의 세그먼트 수~수백 바퀴 트랙분 또는 그 이상에 걸쳐 있는 경우가 많다.
광자기 디스크에 대해서 곡의 기록이나 소거가 반복되었을 때, 기록하는 곡의 연주 시간이나 소거된 곡의 연주 시간의 차에 의해 트랙 상의 빈 영역이 불규칙하게 발생해 버린다. 그러나 제 1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산적인 기록을 실행함으로써, 예를 들면 소거한 곡보다도 긴 곡을 그 소거 부분을 활용해서 기록할 수 있게 되고, 기록/소거의 반복에 의해 데이터 기록 영역의 낭비가 생기는 일이 해소된다. 또한, 기록되는 것은 반드시 「곡」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음성 신호라면 어떠한 것도 포함되나, 본 명세서에서는 내용적으로 연속하는 1 단위의 데이터(트랙)로서는 곡이 기록된다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물론 이와 같은 디스크에 대해서는, 기록 시에는 복수의 미기록 영역을 이루는 세그먼트를 액세스하면서 녹음을 계속하여 가고, 또 재생 시에는 1 곡이 정확하게 연속해서 재생되도록 세그먼트가 액세스 되어가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필요한 1 곡 내의 세그먼트, 예를 들면 M4(1)~ M4(4)를 연결하기 위한 데이터나 미기록 영역을 표시하는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 동작이나 소거 동작마다 재기록되는 U-TOC(유저 TOC, 이하 간단히 U-TOC 라고 한다) 정보로서 보존되고 있다. 기록/재생 장치는 이 U-TOC 정보를 입력시켜 헤드의 액세스를 행함으로써 적정하게 기록/재생 동작을 행하도록 제어된다.
이와 같이 디스크에는, 디스크 상에서의 제 1 ~ 제 n 트랙 및 미기록 영역에 대한 어드레스 관리, 및 각 트랙에서의 세그먼트 연결이나 미기록 영역의 연결관리를 하는 U-TOC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가 이것을 참조하여 기록/재생 동작을 행하는 시스템에서는, 트랙의 분할이나 연결 등의 편집이 U-TOC를 재기록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곡목의 도중의 위치에서 분할 조작이 행해진 경우는, 그 어드레스 지점을 제 1 곡목의 엔드 어드레스로 하고 또한 그 지점에서 원래 제 1 곡목의 엔드 어드레스였던 지점까지를 새롭게 발생되는 제 2 곡목의 스타트 어드레스엔드 어드레스로서 관리되도록 U-TOC를 재기록하는 것만으로, 원래의 제 1 곡목이 그 도중의 위치에서 제 1 곡목과 제 2 곡목으로 분할된다.
또, 제 1 곡목과 제 2 곡목의 경계 위치에서 조합 조작이 행해진 경우는, 제 1 곡목의 스타트 어드레스와 제 2 곡목의 엔드 어드레스를, 새로운 제 1 곡목의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로서 관리되도록 U-TOC를 재기록하면, 원래의 제 1 곡목과 제 2 곡목이 연결되어서 새로운 제 1 곡목으로 된다.
이와 같은 편집을 하기 위해, 종래의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재생모드(재생, 재생 포즈, 고속 전진, 고속 후진, 선두 추출 등의 동작 모드), 기록모드(기록, 기록 포즈 등의 동작 모드) 외에, 편집 모드의 동작 기능이 부가되어있다.
편집 모드로서의 동작 처리는 제 2 도와 같이 된다.
예를 들면, 재생 모드 시(F900)에서 편집키가 조작됨으로써(F901→YES), 편집 모드에서의 동작이 선택된다. 편집 기능으로서 조합, 분할, 소거(지정된 트랙이 소거되도록 U-TOC를 재기록하는 기능), 타이틀 입력(지정된 트랙이나 디스크에 대응하고 있는 곡명, 디스크 명 등의 문자 데이터를 U-TOC에 기록 처리)이 존재한다면, 스텝(F902, F903, F904, F905)으로 어떤 처리가 선택되었는가를 판별하고, 선택 조작에 따라 조합 처리(F906), 분할 처리(F907), 소거 처리(F908), 타이틀 입력 처리(F909)가 실행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편집 모드를 준비해서 각종 편집 처리, U-TOC 편집 처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해도, 실제로는 유저가 그 기능을 사용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조합 처리, 분할 처리에 있어서 사용성이 나쁘다.
예를 들면, 트랙 넘버가 증가되는 분할 처리에서는, 실제로 녹음중이나 재생 중에 희망하는 시점에서 유저가 손쉽게 실행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회의 내용을 녹음하고 있는 경우 등, 발언자가 바뀐 시점에서 트랙 마크를 입력하는 분할 처리를 하도록 해 두면, 녹음 종료 후에 일부러 분할 편집을 하지 않더라도, 재생 시에는 희망하는 발언을 곧바로 액세스시켜 재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라디오 방송을 녹음하고 있는 경우도 동일하여, 곡이 끝난 시점 등에서 즉석에서 손쉽게 트랙 마크를 실시하면 재생 시에 편리하다. 또 재생중인 경우 등에서도, 재생 곡 등을 들으면서 그대로 임의의 지점을 선택하여 트랙 마크를 실시하거나 역으로 트랙 마크를 사용해서 곧 조합 처리를 할 수 있으면 편리하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들의 처리는 편집 모드 내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녹음 동안이나, 재생 동안 등의 경우에 손쉽게 행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분할 처리, 조합 처리를 손쉽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데이터와 함께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관리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의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1 도는 디스크의 기록 형태의 설명도.
제 2 도는 분할 및 조합 조작 처리의 흐름도(flowchart).
제 3A 도~제 3D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록 재생 장치의 평면도, 정면도,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
제 4 도는 실시예의 기록 재생 장치에 사용되는 마이크로폰의 평면도.
제 5 도는 실시예의 기록 재생 장치에 사용되는 헤드폰의 설명도.
제 6 도는 실시예의 기록 재생 장치에 사용되는 리모트 코맨더의 평면도.
제 7 도는 실시예의 기록 재생 장치의 요부의 블럭도.
제 8 도는 실시예의 기록 재생 장치에 사용되는 헤드폰의 내부 회로도.
제 9 도는 디스크에 있어서 P-TOC 섹터의 설명도.
제 10 도는 디스크에 있어서 U-TOC 섹터의 설명도.
제 11 도는 디스크에 있어서 U-TOC 섹터의 링크 구조의 설명도.
제 12A 도, 12B 도, 12C 도는 디스크의 에어리어(area) 구조 및 분할/조합편집의 설명도.
제 13 도는 U-TOC에 의한 관리상태의 설명도.
제 14 도는 분할 편집에 의한 U-TOC 재기록 동작의 설명도.
제 15 도는 조합 편집에 의한 U-TOC 재기록 동작의 설명도.
제 16 도는 실시예의 분할 처리의 흐름도.
제 17 도는 실시예의 조합 처리의 흐름도.
제 18 도는 실시예의 분할 몇 조합 처리의 흐름도.
제 19 도는 실시예의 ATN 모드 설정 처리의 흐름도.
제 20 도는 실시예의 ATN 모드 설정 처리 시의 조작 방식의 설명도.
제 21 도는 실시예의 녹음 시의 처리의 흐름도.
제 22 도는 실시예의 ATN 모드 오프에서의 녹음 시의 트랙 관리 상태의 설명도.
제 23 도는 실시예의 5분 간격의 ATN 모드 온에서의 녹음 시의 트랙 관리 상태의 설명도.
제 24 도는 실시예의 10분 간격의 ATN 모드 온에서의 녹음 시의 트랙 관리 상태의 설명도.
제 25 도는 실시예의 녹음 중에 ATN 모드 절환(切換)을 행한 경우의 트랙 관리 상태의 설명도.
제 26 도는 실시예의 녹음 중에 ATN 모드 절환을 행한 경우의 트랙 관리 상태의 설명도.
제 27 도는 실시예의 녹음 중에 시간 간격 설정의 절환을 행한 경우의 트랙 관리 상태의 설명도.
제 28 도는 실시예에서 녹음 키와 ATN 키를 겸용하는 경우의 처리 방식의 흐름도.
본 발명은, 데이터와 함께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에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기록 재생 수단과, 1 개의 데이터의 단락 위치를 지정하는 지정 수단과, 기록 재생 수단에 의한 기록 매체로의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을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하는 동시에, 기록 재생 수단에 의한 기록 매체로의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 동작 중에 지정 수단이조작되었을 때에는, 지정 수단이 조작된 시점을 단락 위치로 인식하여 관리 정보를 재기록하도록 기록 재생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이다.
지정 수단(트랙 마크 조작 수단)을 설치하여 재생 모드 또는 기록 모드 내에서, 즉, 재생 중, 기록 중, 일시 정지 중, 등의 동작 상태에서 트랙 마크의 입력 또는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분할 편집, 조합 편집은 매우 간단한 조작으로 알기 쉽게 되고, 또한 기능으로서도 유용한 것이 된다. 더욱이, 마이크로폰, 헤드폰, 리모트 코맨더 등에 지정 수단(트랙 마크 조작 수단)을 설치하여, 분할 편집, 조합 편집을 원격 조작할 수 있도록 하면, 녹음 시, 재생 시의 처리에 있어서 보다 조작성 및 편리성이 향상된다.
이하, 제 3 도~제 18 도를 사용해서 실시예에 관한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하는 실시예에서는, 광자기 디스크를 기록 매체로서 사용한 기록 재생 장치를 들어 다음의 순서로 설명한다.
1.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
2. P-TOC
3. U-TOC
4. 디스크의 에어리어 구조
5. 분할 및 조합 편집 처리
6. 오토트랙 넘버링 모드 설정 처리
7. 마이크로폰 입력 녹음 시의 처리
8. 녹음 시의 각종 오토트랙 넘버링 동작
9. 오토트랙 넘버링 모드 설정 키의 녹음 키와의 겸용 방식
<1.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
제 3A 도 내지 제 3D 도는 기록 재생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평면도, 정면도,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30)은 기록 재생 장치 본체, (31)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에 의한 표시부이고, 트랙 넘버, 재생 시간, 기록/재생 진행 시간, 타이틀 문자, 동작 모드, 기록/재생 레벨 등의 표시가 행해진다.
(32)는 디스크 삽입 부분이고,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된 광자기 디스크가 삽입되어 내부의 기록/재생 광학 부분에 로딩 된다.
기록 재생 장치 본체(30)에는 조작 입력부로서의 각종의 조작 키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본체 앞면 측에는 녹음 스위치(33), 이젝트 키(34), 편집 스위치 (35)가 설치 된다.
본체 윗면에는 재생 키(36), 일시 정지(포즈) 키(37), 정지 키(38), 선국 키(39), 탐색(search) 키(40), 국명 입력 모드 키(41), 디스크 명 입력 모드 키(42), 날짜 입력 모드, 키(43), 텐 키(44), 엔터 키(45)가 설치되고, 다시 트랙 마크 키로서 마크 온 키(46), 마크 오프 키(47) 및 오토트랙 넘버링 모드(이하 ATN 모드라 함)를 설정하는 ATN 키(46a)가 설치되어 있다.
텐 키(44)의 각 숫자 키에는 각각 3개 또는 2재의 알파벳 또는 스페이스가 대응되고 문자 입력 시에 사용된다.
본체 우측면에는 홀드 스위치(48), 반복/랜덤 재생/프로그램 재생 등을 선택하는 재생 모드 키(49), 저역 보정 스위치(50), 리쥼 스위치(51)가 설치되고, 또 본체 좌측면에는 AGC 스위치(52), 마이크 어테뉴에이터(attenuator) 스위치(53)가 설치된다.
또한, (54)은 볼륨 손잡이, (55)는 녹음 레벨 조정 손잡이이다.
또 본체 측면에는 각종 입출력 단자가 설치된다.
(56)은 마이크 입력 단자이고 제 4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마이크로폰(70)이 접속된다. 마이크로폰(70)의 접속 부분(71)은 예를 들면 제 4 도와 같이 스테레오 플러그 부분(72)과 커넥터 부분(7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마이크 입력 단자(56)는 이와 같은 접속 부분(7))에 적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마이크로폰(70)에는 그 케이스 위에 트랙 마크 키(7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폰(70)의 접속 부분(71) 및 마이크 입력 단자(56)의 형상은 이밖에도 다양하게 고려 될 수 있다.
이 마이크로폰(70)이 접속되는 마이크 입력 단자(56)에는 도시하지 않은 접속 검출 기구 및 회로가 설치되어 있고, 시스템 콘트롤러(11)에 검출 회로로부터의 검출 신호 DJM가 공급된다. 시스템 콘트롤러(11)는 검출 신호 DJM에 기초하여 마이크로폰(70)의 접속 유를 판별한다.
(57)은 헤드폰 출력 단자이고 제 5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헤드폰(80)이 접속된다. 헤드폰(80)의 접속 부분(81)도 제 5 도와 같이 스테레오 플러그 부분(82)과 커넥터 부분(3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헤드폰 출력 단자(57)는 이와 같은 접속 부분(81)에 적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헤드폰(80)에는, 그 코드의 도중에 조작부가 형성되고 헤드폰 출력 레벨을 조정하는 볼륨 손잡이(84)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 재생 키(85), 정지 키(86), 고속 전진/선국 키(87), 고속 후진/선국 키(88), 및 트랙 마크 키(89)가 형성되어 있다.
헤드폰(80)의 접속 부분(81) 및 헤드폰 출력 단자(57)의 형상도 상기 유형 이외의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58)은 입력 단자이고, 광케이블에 의한 디지털 음성 신호의 입력 단자 및 아날로그 음성 신호의 라인 입력 단자로서 겸용되고 있다. 겸용을 위한 단자 기구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 (59)는 출력 단자이고, 광케이블에 의한 디지털 음성 신호의 출력 단자 및 아날로그 음성 신호의 라인 출력 단자로서 겸용되고 있다. 이 입력 단자(58)에도 도시하지 않은 접속 검출 기구 및 회로가 설치되어 있고, 시스템 콘트롤러(11)에 검출 회로로부터의 검출 신호 DJL가 공급된다. 시스템 콘트롤러(11)는 검출 신호 DJL에 기초하여 입력 단자(58)로의 접속 유무를 판별한다.
또한, 기록 재생 장치 본체(30)에는 적외선 수광 부분(60)이 설치되고, 이 수광 부분(60)에서, 제 6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적외선에 의해 코맨드 신호를 송신하는 리모트 코맨더(90)의 코맨드 신호가 수신된다.
리모트 코맨더(90)에는 예를 들면 전원 키(91), 숫자 키(92), 각종 모드 키(93), 기록/재생 조작 키(94) 외에 트랙 마크 키로서 마크 온 키(95), 마크 오프 키(96)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키가 눌려지면, 그것에 대응한 코맨드 신호가 내부의 ROM 또는 RAM으로부터 판독되고 적외선 휘도 변조되어 출력되게 된다.
제 3A 도 내지 제 3C 도의 기록 재생 장치 내부 중 요부의 블럭도를 제 7 도에 도시한다.
제 7 도에서, (1)은 예를 들면 음성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광자기 디스크를 도시하고, 디스크 삽입부(32)로부터 로딩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 광자기 디스크(1)는 스핀들 모터(2)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3)은 광자기 디스크(1)에 대해시 기록/재생 시에 광 빔을 조사하는 광학 헤드이다. 광학 헤드(3)는 기록 시에 기록 트랙을 퀴리 온도까지 가열하기 위한 고 레벨의 광 빔을 출사(出射)하고 또 재생 시에는 자기 카 효과(magnetic Kerr effect)에 의해 반사광으로부터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비교적 저 레벨의 광 빔을 출력한다.
이 때문에, 광학 헤드(3)는 광원으로서의 레이저 다이오드 편광 빔 스플리터나 대물렌즈 등으로 형성되는 광학계, 및 반사광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가 탑재되어져 있다. 대물렌즈(3a)는 액츄에이터(actuator)(4)에 의해 디스크 반경 방향 및 디스크에 착탈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 (6)은 공급된 데이터에 의해 변조된 수직 자계를 광자기 디스크(1)에 부여하는 자기 헤드를 표시하며, 광자기 디스크(1)를 사이에 두고 광학 헤드(3)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어져 있다. 광학 헤드(3) 전체 몇 자기 헤드(6)는 슬레드 기구(sled mechanism)(5)에 의해 디스크 반경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져 있다.
재생 동작에 따라, 광학 헤드(3)에 의해 광자기 디스크 (1)로부터 검출된 정보는 RF 앰프(7)에 공급된다. RF 앰프(7)는 공급된 정보의 연산 처리에 의해 재생 RF 신호, 트랙킹 에러 신호, 포커스 에러 신호, 절대 위치 정보(광자기 디스크 (1)에 프리-그루브(pre-grooves)(워블링 그루브(wobbling grooves))로서 기록되어있는 절대 위치 정보), 어드레스 정보, 포커스 모니터 신호 등을 추출한다. 그래서 추출된 재생 RF 신호는 인코더/디코더부(8)에 공급된다. 또, 트랙킹 에러 신호, 포커스 에러 신호는 서보 회로(9)에 공급되며, 어드레스 정보는 어드레스 디코더(10)에 공급된다. 또한, 절대 위치 정보, 포커스 모니터 신호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되는 시스템 콘트롤러(11)에 공급된다.
서보 회로(9)는 공급된 트랙킹 에러 신호, 포커스 에러 신호나, 시스템 콘트롤러(11)로부터의 트랙 점프 명령, 탐색 명령, 스핀들 모터(2)의 회전 속도 검출정보 등에 의해 각종 서보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각종 서보 신호는 액츄에이터(4) 및 슬레드 기구(5)에 공급되어 포커스 및 트랙킹 제어 등의 제어를 실행하고, 또한 스핀들 모터(2)에 공급되어 일정 각속도(CAV) 또는 일정 선속도(CLV)로 회전하도록 스핀들 모터가 제어된다.
재생 RF 신호는 인코더/디코더부(8)에서 EFM 복조, CIRC 등의 디코딩 처리된 후 메모리 콘트롤러(12)에 의해 일단 버퍼 메모리(13)에 기록된다. 또한 광학헤드(3)에 의한 광자기 디스크(1)로부터의 데이터 판독 및 광학 헤드(3)에서 버퍼메모리(13)까지의 시스템에서 재생 데이터의 전송 속도는 1.4Mbit/sec로 더욱이 간헐적으로 행해진다. 버퍼 메모리(13)는 기억 용량 1MBit 또는 4Mbit의 RAM이 사용된다.
버퍼 메모리(13)에 기록된 데이터는, 재생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0.3Mbit/sec로 되는 타이밍으로 판독되어 인코더/디코더부(14)에 공급된다. 그래서 인코더/디코더에 공급된 데이터는 인코더/디코더부(14)에서 음성 압축 처리에 대한 디코딩 처리 등의 재생 신호 처리가 실시되어서 출력 디지털 신호로 된다.
인코더/디코더부(14)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는, D/A 변환기(15)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스위치(16)를 통해서 출력 단자(59) 또는 헤드폰 출력단자(57)에 공급된다. 또한, 그 디지털 신호가 아날로그 변환되지 아니하고 직접 출력 단자(59)에 공급된다.
즉, 헤드폰 출력 단자(57)에 헤드폰(80)이 접속되어 있을 때, 아날로그 변환된 음성 신호가 헤드폰(80)에 공급된다. 또 출력 단자(59)에 접속 코드(예를 들면 핀 플러그가 설치된 코드)가 접속되어 있을 때는, 아날로그 변환된 음성 신호가 그것의 접속 코드에 의해 다른 오디오 기기에 공급된다.
또한, 출력 단자(59)에 오디오용 광케이블이 접속되어 있을 때는 디지털 데이터로서 다른 기기에 음성 신호가 공급되게 된다.
여기에서, 버퍼 메모리(13)로의 데이터의 기록/판독은 메모리 콘트롤러(12)에 의해 기록 포인터와 판독 포인터의 제어에 의해 어드레스 지정되어 행해진다. 기록 포인터(기록 어드레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1.4Mbit/sec의 타이밍으로 증가되고, 한편 판독 포인터(판독 어드레스)는 0.3Mbit/sec의 타이밍으로 증가되기 때문에, 이 기록과 판독의 비트 레이트의 차이에 의해, 버퍼 메모리(13) 내에는 어느정도 데이터가 축적된다. 버퍼 메모리(13) 내에 메모리의 기억 용량 가득히 데이터가축적된 시점에서 기록 포인터의 증가는 정지되고, 광학 헤드(3)에 의한 광자기 디스크(1)로부터의 데이터 판독 동작도 정지된다. 단, 판독 포인터 R의 증가는 계속해서 실행되고 있기 때문에, 각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재생 신호는 끊어지지 않게 된다.
그 후, 버퍼 메모리(13)로부터 판독 동작만이 계속되어, 어떤 시점에서 버퍼 메모리(13) 내의 데이터 축적량이 소정 양 이하로 되었다면, 다시 광학 헤드(3)에 의한 데이터 판독 동작 및 기록 포인터의 증가가 재개되어 다시 버퍼 메모리(13)의 데이터가 축적된다.
이와 같이 버퍼 메모리(13)를 통해 재생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예를 들면 외란 등으로 트랙킹 서보가 벗어난 경우 등에도 재생 신호의 출력이 중단되어 버리는 일은 없다. 즉, 메모리(13) 내에 데이터가 남아있는 동안, 예를 들어, 자기 디스크(1) 위의 정확한 주사 위치까지 액세스해서 데이터 판독을 재개함으로써, 재생신호의 출력에 영향을 주지 아니하고 동작을 속행할 수 있다. 즉, 내진 기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가 있다.
제 7 도에서, 어드레스 디코더(10)로부터 출력되는 어드레스 정보나 제어동작에 제공되는 서브코드 데이터는 인코더/디코더부(8)를 통해서 시스템 콘트롤러(11)에 공급되어, 각종의 제어 동작에 사용된다.
더욱이, 기록/재생 동작의 비트 클럭을 발생시키는 PLL 회로의 록(lock) 검출 신호, 및 재생 데이터(L, R 채널)의 프레임 동기 신호의 결락 상태(dropped state)를 나타내는 모니터 신호가 시스템 콘트롤러(11)에 공급된다.
또한, 시스템 콘트롤러(11)는 광학 헤드(3)의 레이저 다이오드의 동작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 신호(SLP)를 생성하고, 출력 제어 신호(SLP)를 레이저 다이오드에 공급함으로써, 레이저 다이오드를 온/오프 제어함과 함께, 온 제어 시에는 광 빔의 출력 레벨이 비교적 저 레벨인 재생 시의 출력과 비교적 고 레벨인 기록시의 출력을 절환(switch)한다.
광자기 디스크(1)에 대해서 기록 동작이 실행될 때에는, 입력 단자(58)에 접속된 접속 코드 또는 오디오용 광케이블에 의해, 다른 기기로부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성 신호가 공급된다. 또 마이크 입력 단자(56)에 마이크로폰(70)이 접속되어서 마이크로폰(70)의 출력 신호로서의 음성 신호가 공급된다.
오디오용 광케이블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입력 단자(58)로 전송되어 온 음성 신호는 직접 인코더/디코더부(14)에 공급된다. 또 접속 코드 또는 마이크로 폰(70)에 의해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스위치(17)를 통해서 A/D 변환기(18)에 공급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에 인코더/디코더부(14)에 공급된다.
인코더/디코더부(14)에서는 입력된 디지털 신호에 대해서 음성 압축 인코딩 처리를 실시한다. 인코더/디코더부(14)에 의해 압축된 디지털 데이터는 메모리 콘트롤러(12)에 의해 일단 버퍼 메모리(13)에 기록되고 또 소정의 타이밍으로 판독되어서 인코더/디코더부(8)로 전송된다. 인코더/디코더부(8)에 공급된 디지털 데이터는 인코더/디코더부(8)에서 CIRC 인코딩, EFM 변조 등의 인코딩 처리가 실시된다. 인코더/디코더부(8)로부터 출력된 기록 데이터는 자기 헤드 구동 회로(15)에 공급된다.
자기 헤드 구동 회로(15)는 인코더/디코더부(8)에서 인코딩 처리된 기록 데이터에 의거해서 자기 헤드(6)에 자기 헤드 구동 신호를 공급한다. 즉, 광자기 디스크(1)에 대해서 자기 헤드(6)에 의한 N 또는 S의 수직 자계를 부여한다. 또, 이때 시스템 콘트롤러(11)는 광학 헤드(3)에 대해서 기록 레벨의 광 빔을 출력하도록 출력 제어 신호(SLP)를 공급한다.
(19)는 유저 조작에 제공되는 키가 설치된 조작 입력 부분이고 상술한 (35~53)의 스위치 또는 키가 이에 해당한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되는 마이크로폰(70)에는 트랙킹 마크 키(74)가 설치되어 있고, 이 조작 정보는 접속 부분(71)의 커넥터 부분(73)으로부터 얻어지며, 시스템 콘트롤러(11)는 그것의 조작을 마이크 입력 단자(56)로부터 감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헤드폰(80)에도 조작 키(85~89)가 설치되어져 있으나 이들의 조작 정보는 접속 부분(81)의 커넥터 부분(83)에서 얻어지고 시스템 콘트롤러(11)는 그것의 조작을 헤드폰 출력 단자(57)로부터 감지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70) 및 헤드폰(80)에 설치된 조작 키에 의한 조작 정보의 검출을 헤드폰(80)의 예로 설명한다.
헤드폰(80)의 회로 구성 예를 제 8 도에 도시한다.
접속 부분(81)은 스테레오 플러그 부분(82)과 커넥터 부분(83)을 갖는다. 스테레오 플러그 부분(82)에서 단자(82a)는 L 채널 오디오 신호, 단자(82b)는 R 채널 오디오 신호, 단자(82c)는 접지에 각각 사용된다.
그리고, 기록 재생 장치의 헤드폰 출력 단자(57)에 접속되어 스테레오 플러그 부분(82)에 공급된 L, R의 오디오 신호는, 볼륨 조절 손잡이(84)에 의해 가변되는 가변 저항기(84a)를 통해, 이어(ear) 스피커 부분(80a, 80b)에 공급되어 음성으로 출력된다.
한편, 커넥터 부분(83)에서, 단자(83a)는 +B 전압용, 단자(83b)는 데이터용, 단자(83c)는 입력용, 단자(83d)는 클럭용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단자(83a)로부터의 +B 전압이 저항(R1)을 통해서 재생 키(85)의 접점(85a), 정지 키(86)의 접점(86a), 고속 전진/AMS 키(87)의 접점(87a), 몇 고속후진/AMS 키(88)의 접점(88a), 트랙 마크 키(89)의 접점(89a)에 공급되어 있다.
또한, 접점(85a)의 다른 편의 단자는 직접 입력용 단자(83c)에 접속되고 또 접점(86a)의 다른 편의 단자는 저항, R3, R4를 통해서 입력용 단자(83c)에 접속되어 있다. 접점(87a)의 다른 편의 단자는 저항 R4, R5, R6을 통해서 입력용 단자(83c)에 접속되며 접점(88a)의 다른 편 단자는 저항 R4, R6, R7, R8을 통해서 입력용 단자(83C)에 접속되어 있다. 다시 접점(89a)의 다른 편 단자는 저항 R4, R5, R8R9, R10을 통해서 입력용 단자(83c)에 접속되어 있다.
즉, 접점(85a, 86a, 87a, 88a, 89a) 중 어느 것이 온으로 되느냐에 따라서각 저항 R1~R10및 저항 R2에 의한 분압비가 다르게 된다. 그 결과 입력용 단자(83c)에는 재생 키(85), 정지 키(86), 고속 전진/AMS 키(87), 고속 후진/AMS 키(88), 트랙 마크 키(89) 중의 어느 것이 조작되느냐에 따라 다른 전압 값이 공급된다.
따라서, 기록 재생 장치의 시스템 콘트롤러(11) 측에서는 입력용의 단자(83c)에서 전압 값을 검출하면 헤드폰(80)에서의 각 키(85~89)에 의한 조작 내용을 판별할 수 있다. 이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시스템 콘트롤러(11)는 재생, 정지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마이크로폰(70)에 대해서도, 기본적으로는 동일하게, 트랙 마크 키(74)의 조작에 따라 저항 분할에 의한 전압 상태가 변화하도록 하면, 시스템 콘트롤러(11)에 의해 그 조작을 검출할 수 있다.
또, 제 7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외선 수광 부분(60)에서는 리모트 코맨더(90)로부터의 코맨드 신호를 수신하여 이것을 전기 신호로 광전 변환해서 코맨드 펄스로서 시스템 콘트롤러(11)에 공급한다. 시스템 콘트롤러(11)는 공급된 코맨드 펄스에 기초해서 각종 처리를 함으로써 리모트 코맨더(90)에 의한 원격 조작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런데 디스크(1)에 대해서 기록/재생 동작을 수행할 때에는, 디스크(1)에 기록되어 있는 관리 정보, 즉 P-TOC(프리마스타드 TOC), U-TOC를 판독하여 시스템 콘트롤러(11)는 이들의 관리 정보에 기초해서 디스크(1) 상에 기록해야 할 세그먼트의 어드레스나 재생해야 할 세그먼트의 어드레스를 판별한다. 이 관리 정보는 버퍼 메모리(13)에 보존된다. 이를 위해, 버퍼 메모리(13)는 상술한 기록 또는 재생의 디지털 데이터를 기억하는 에어리어와 이들 관리 정보를 보존하는 에어리어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1)가 장전된 때에 시스템 콘트롤러(11)는 광 헤드(3)를 디스크의 가장 내주 측으로 향하도록 이동시켜서, 이들 관리 정보를 광 헤드(3)에 의해 판독하여 버퍼 메모리(13)에 기억시킨다. 이후 그 디스크(1)에 대한 기록/재생 동작 때에 버퍼 메모리(13)로부터 관리 정보를 판독하여 각종 제어에 사용한다.
또, U-TOC는 데이터의 기록이나 소거에 따라 편집되어 재기록된다. 시스템 콘트롤러(11)는 기록/소거 동작 때마다 U-TOC의 편집 처리를 버퍼 메모리(13)에 기억된 U-TOC 정보에 대해서 행하고, 그의 재기록 동작에 따라 소정의 타이밍으로 디스크(1)의 U-TOC 에어리어에 대해서도 재기록하도록 하고 있다.
<2. P-TOC>
여기서, 디스크(1)에서 섹터 데이터 형태로 기록되는 음성 데이터 섹터 및 음성 데이터의 기록/재생 동작의 관리를 행하는 관리 정보로서, 먼저 P-TOC 섹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P-TOC 정보로서, 디스크의 기록 가능 에어리어(이하, 레코더블 유저 에어리어라 함)등의 에어리어 지정이나 U-TOC 에어리어의 관리 등이 행해진다. 또한, 디스크(1)가 재생 전용의 광 디스크인 경우는, P-TOC에 의해 재기록 불가능한 형태로 디스크(1)에 기록되어 있는 곡의 관리도 할 수 있다.
P-TOC의 포맷을 제 9 도에 도시한다.
제 9 도는 P-TOC용으로 되는 영역(예를 들면 디스크 최내주 측의 ROM 에어리어)에서 반복 기록되는 P-TOC 정보의 1개의 섹터(섹터 0)를 표시하고 있다. 또한, P-TOC 포맷은 섹터(1) 이후는 옵션으로 되어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ROM 에어리어란, 데이터의 재기록 불가능한 기록 에어리어를 지칭하며, 예를 들면 콤팩트디스크의 핏트와 같은 물리적인 요철(凹凸)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P-TOC 섹터의 데이터 영역(4바이트×588=2352바이트)은 선두 위치에 전체 0 또는 전체 1의 1 바이트 데이터에 의해 형성되는 동기 패턴, 및 클러스터 어드레스 및 섹터 어드레스를 표시하는 어드레스 등이 4 바이트 부가되고, 이상에서 헤더가 구성되어 P-TOC의 영역임이 표시된다.
또 헤더에 이어서 소정 어드레스 위치에 『MINI』 라는 문자에 대응하는 아스키코드에 의한 식별 ID가 부가되어 있다.
다시, 이어서 디스크 타입이나 녹음 레벨, 기록되어 있는 최초 곡의 곡번(First TNO), 최후 곡의 곡번(Last TNO), 판독 스타트 어드레스(ROA), 광 헤드로부터의 광 빔의 출력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시험 기록 에어리어 스타트 어드레스(PCA), U-TOC(후술하는 제 10 도의 U-TOC 섹터(0)의 데이터 영역)의 스타트 어드레스(USTA), 레코더블 유저 에어리어의 스타트 어드레스(RSTA) 등이 기록된다.
이어서 기록되어 있는 각 곡 등을 후술하는 관리 테이블부에서 파트 테이블에 대응시키는 테이블 포인터(P-TNO1~P-TNO255)를 갖는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터부가 준비되어 있다.
그리고,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터부에 이어지는 영역에는,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터부에서 테이블 포인터(P-TNO1 ~ P-TNO255)에 대응하여 (01h)~(FFh)까지의 255개의 파트 테이블이 설치된 관리 테이블 부분이 준비된다(본 명세서에서 h를 붙인 수치는 16진 표기임). 각각의 파트 테이블에는 어떤 세그먼트에 대해서 기점이 되는 스타트 어드레스, 종단을 이루는 엔드 어드레스, 및 그것의 세그먼트(트랙)의 모드 정보(트랙 모드)가 기록될 수 있다.
각 파트 테이블에서 트랙 모드 정보는, 그것의 세그먼트가 예를 들면 덮어쓰기(overwrite) 금지나 데이터 복사금지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의 정보나 오디오 정보인지 아닌지 여부, 모노/스테레오의 종별 등이 기록되어 있다.
관리 테이블 부분에서 (01h)~(FFh)까지의 각 파트 테이블은,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터 부분의 테이블 포인터(P-TNOI ~ P-TNO255)에 의해, 그것의 세그먼트의 내용이 표시된다. 즉, 제 1 곡목의 곡에 대해서는 테이블 포인터(P-TNOI)에 대해서 어떤 파트 테이블(예를 들면(01h), 단 실제로 테이블 포인터에는 소정의 연산처리에 의해 P-TOC 섹터(0) 내의 바이트 포지션에서 어떤 파트 테이블을 표시할 수 있는 수치가 기록되어 있음)이 기록되어 있다. 이 경우 파트 테이블(01h)의 스타트 어드레스는 제 1 곡목의 곡의 기록 위치의 스타트 어드레스가 되고, 동일하게 엔드 어드레스는 제 1 곡목의 곡이 기록된 위치의 엔드 어드레스가 된다. 다시, 트랙 모드 정보는 그것의 제 1 곡목에 대한 정보가 된다.
마찬가지로, 제 2 곡목에 대해서, 테이블 포인터(P-TNO2)에 표시되는 파트 테이블(예를 들면(02h)에, 그 제 2 곡목의 기록 위치의 스타트 어드레스, 엔드 어드레스 및 트랙 모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이하 동일하게 테이블 포인터는 P-TNO255까지 준비되어 있기 때문에, P-TOC 위에서는 제 255 곡목까지 관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P-TOC 섹터(0)가 형성됨으로써, 예를 들면 재생 시에 있어서 소정의 곡을 액세스하여 재생시킬 수 있다.
또한, 기록/재생 가능한 광자기 디스크의 경우 물리적인 요철(凹凸), 소위 콤팩트디스크의 핏트에 의해 기록되고 ROM 에어리어가 존재하지 아니하기 때문에 상술한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터부 및 관리 테이블부는 사용되지 아니하고, 따라서 각 바이트는 모두 00h로 되어 있다. 이들은 후술하는 U-TOC에 의해 관리된다.
단, 모든 곡이 소위 핏트로 기록되어 있는 재생 전용의 광 디스크 및 곡 등이 기록되는 에어리어로서 ROM 에어리어와 광자기 에어리어의 양편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타입의 광 디스크에 대해서는, 그의 ROM 에어리어 내의 곡의 관리에 상술한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터부 및 관리 테이블부가 사용된다.
<3. U-TOC>
이어서 U-TOC를 설명한다.
제 10 도는 U-TOC의 1 섹터(섹터 0)의 포맷을 도시하고 있으며, 주로 유저가 녹음한 곡이나 새로운 곡이 녹음 가능한 미기록 에어리어(이하, 프리 에어리어)에 대한 관리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영역으로 된다. 또한 U-TOC도 섹터(1) 이후는 옵션으로 된다.
예를 들면, 디스크(1)에 어떤 곡의 녹음을 하려고 하는 때에, 시스템 콘트롤러(11)는 U-TOC로부터 디스크 상의 프리 에어리어를 찾아내어 찾아낸 프리 에어리어에 기록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제어한다. 또 재생 시에는, 시스템 콘트롤러(11)는 재생해야 할 곡이 기록되어 있는 에어리어를 U-TOC로부터 판별하고 그 에어리어에 액세스하여 재생 동작을 한다.
제 10 도에 도시하는 U-TOC의 섹터(섹터(0))에는 P-TOC와 같이 먼저 헤더가 설치되고 이어서 소정의 어드레스 위치에 메이커 코드, 모델 코드, 최초 곡의 곡번(First TNO), 최후 곡의 곡번(Last TNO), 섹터 사용 상황, 디스크의 시리얼 넘버, 디스크 ID 등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더욱이, U-TOC에는, 유저가 녹음을 하여 기록되어 있는 곡의 영역이나 미기록 영역 등을 후술하는 관리 테이블 부분에 대응시켜 식별하기 위해,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터부로서 각종의 테이블 포인터(P-DFA, P-EMPTY, P-FRA, P-TNO1~P-TNO255)가 기록되는 영역이 준비되어 있다.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터부의 테이블 포인터(P-DFA~P-TNO255)에 대응시키게 되는 관리 테이블부로서 (01h)~(FFh)까지의 255개의 파트 테이블이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파트 테이블에는, 제 9 도의 P-TOC 섹터(0)와 같이 어떠한 세그먼트에 대해서 기점이 되는 스타트 어드레스, 종단을 이루는 엔드 어드레스, 그 세그먼트의 모드 정보(트랙 모드)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이 U-TOC 섹터(0)의 경우, 각 파트 테이블로 표시되는 세그먼트가 다른 세그먼트로 계속해서 연결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그 연결되는 세그먼트의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는 파트 테이블을 표시하는 링크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1 곡의 데이터가 물리적으로 불연속으로, 즉 복수의 세그먼트에 걸쳐서 기록되어 있어도 세그먼트간에서 액세스하면서 재생하므로 재생 동작에 지장은 없다. 이에 의해 유저가 녹음하는 곡 등에 대해서는, 녹음 가능 에어리어의 효율적인 사용 등의 목적에서 복수 세그먼트에 나누어서 기록하는 경우도 있다. 이를 위해, U-TOC에는 링크 정보가 설치되며, 예를 들면 각 파트 테이블에 주어진 넘버(01h)~(FFh)(실제로는 소정의 연산 처리에 의해 U-TOC 섹터(0) 내의 바이트 포지션으로 되는 수치로 표시됨)에 의해, 연결해야 할 파트 테이블을 지정함으로써 파트 테이블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미리 핏트 형태로 기록되는 곡 등에 대해서는 통상 세그먼트 분할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제 9 도와 같이 P-TOC 섹터(0)에서 링크 정보는 모두 『(00h)』 로 되어 있다.
즉, U-TOC 섹터(0)에서 관리 테이블 부분에서는, 1개의 파트 테이블은 1개의 세그먼트를 표현하고 있으며, 예를 들면 3개의 세그먼트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곡에 대해서는 링크 정보에 의해 연결되는 3개의 파트 테이블에 의해 그것의 세그먼트 위치가 관리된다.
U-TOC 섹터(0)의 관리 테이블부에서 (01h)~(FFh)까지의 각 파트 테이블은,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터부에서 테이블 포인터(P-DFA, P-EMPTY, P-FRA, P-TNO1~P-TNO255)에 의해 다음과 같이 그것의 세그먼트의 내용이 표시된다.
테이블 포인터 P-DFA는 광자기 디스크(1) 상의 결함 영역에 할당하여 표시하고 있고, 손상 등에 의한 결함 영역을 이루는 트랙 부분(=세그먼트)이 표시된 1개의 파트 테이블 또는 복수의 파트 테이블 내의 선두의 파트 테이블을 지정하고 있다. 즉, 결함 세그먼트가 존재하는 경우는 테이블 포인터 P-DFA에서 (01h)~(FFh)중 어느 것인가가 기록되어 있고, 그에 해당하는 파트 테이블에는 결함 세그먼트가 스타트 및 엔드 어드레스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또 이외에도 결함 세그먼트가 존재하는 경우는, 그 파트 테이블에서 링크 정보로서 다른 파트 테이블이 지정되고, 그것의 파트 테이블에도 결함 세그먼트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다른 결함 세그먼트가 없는 경우는, 링크 정보는 예를 들면 『(00h)』 로 되고, 이후 링크하는 결함 세그먼트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테이블 포인터 P-EMPTY는 관리 테이블부에서 1 또는 복수의 미사용의 파트 테이블의 선두 파트 테이블을 점유하는 것이고, 미사용의 파트 테이블이 존재하는 경우는 테이블 포인터 P-EMPTY로서 (01h)~(FFh) 중 어느 것인가가 기록된다. 미사용의 파트 테이블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는, 테이블 포인터 P-EMPTY에 의해 지정된 파트 테이블로부터 링크 정보에 의해 차례로 파트 테이블이 지정되어 가고, 모든 미사용의 파트 테이블이 관리 테이블부 상에서 연결된다.
테이블 포인터 P-FRA는 광자기 디스크(1) 상의 데이터의 기록 가능한 프리 에어리어(소거 영역을 포함)에 대해서 표시하고 있으며, 프리 에어리어로 형성되는 트랙 부분(=세그먼트)이 표시된 1 또는 복수의 파트 테이블 내의 선두의 파트 테이블을 지정하고 있다. 즉, 프리 에어리어가 존재하는 경우는 테이블 포인터 P-FRA에서 (01h)~(FFh)의 어떤 것이 기록되어 있고, 그것에 해당하는 파트 테이블에는 프리 에어리어인 세그먼트가 스타트 및 엔드 어드레스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은 세그먼트가 복수 개 있는, 즉 파트 테이블이 복수 개 있는 경우는, 링크 정보에 의해, 링크 정보가 『(00h)』 로 되는 파트 테이블까지 차례로 지정되어 있다.
제 11 도에 파트 테이블에 의해, 프리 에어리어로 되는 세그먼트의 관리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이것은, 세그먼트 (03h)(18h)(1Fh)(2Bh)(E3h)가 프리 에어리어로 되어 있을 때에, 이 상태가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터(P-FRA)에 계속해서 파트 테이블 (03h)(18h)(1Fh)(2Bh)(E3h)의 링크에 의해 표현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결함 영역이나 미사용 파트 테이블의 관리 상태도 이와 마찬가지로 된다.
그런데, 전혀 곡 등의 음성 데이터의 기록이 되어 있지 아니하고 결함도 없는 광자기 디스크라면, 테이블 포인터 P-FRA에 의해 파트 테이블(01h)이 지정되고 이에 의해 디스크의 레코더블 유저 에어리어의 전체가 프리 에어리어인 것이 표시된다. 그리고 이 경우 남는 (02h)~(FFh)의 파트 테이블은 사용되고 있지 않는 것이 되기 때문에, 상술한 테이블 포인터 P-EMPTY에 의해 파트 테이블(02h)이 지정된다. 또 파트 테이블(02h)의 링크 정보로서 파트 테이블(03h)이 지정되고, 파트 테이블(03h)의 링크 정보로서 파트 테이블(04h)이 지정되며, 이와 같이 파트 테이블(FFh)까지 연결된다. 이 경우 파트 테이블(FFh)의 링크 정보는 이후 연결 없음을 표시하는 『(00h)』 로 된다.
또한, 이 때 파트 테이블(01h)에 대해서, 스타트 어드레스로서는 레코더블 유저 에어리어의 스타트 어드레스가 기록되고, 또 엔드 어드레스로서는 판독 스타트 어드레스의 바로 앞의 어드레스가 기록된다.
테이블 포인터 P-TNO1~P-TNO255는 광자기 디스크(1)에 유저가 기록한 곡에대해서 표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테이블 포인터 P-TNO1에서는 1 곡목의 데이터가 기록된 1 또는 복수의 세그먼트 중 시간적으로 선두를 이루는 세그먼트가 표시된 파트 테이블을 지정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제 1 곡목으로 된 곡이 디스크 상에서 트랙이 분단되지 아니하고, 즉, 1 개의 세그먼트에서 기록되어 있는 경우는, 그 제 1 곡목의 기록 영역은 테이블 포인터 P-TON1로 표시되는 파트 테이블에서 스타트 및 엔드 어드레스로서 기록되어 있다.
또, 예를 들면 제 2 곡목으로 된 곡이 디스크 상에서 복수의 세그먼트에 이산적으로 기록되어 있는 경우는, 그 곡의 기록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각 세그먼트가 시간적인 순서에 따라서 지정된다. 즉, 테이블 포인터 P-TNO2에 지정된 파트 테이블로부터, 다시 링크 정보에 의해 다른 파트 테이블이 차례로 시간적인 순서에 따라 지정되어서, 링크 정보가 『(00h)』 로 되는 파트 테이블까지 연결된다(상기한 제 11 도와 같은 형태). 이와 같이, 예를 들면 제 2 곡목을 구성하는 데이터가 기록되고 전체 세그먼트가 차례로 지정되어 기록되어 있다. 그 결과 이 U-TOC 섹터(0)의 데이터를 사용해서, 제 2 곡목의 재생 시나 그 제 2 곡목 영역으로의 덮어쓰기를 행할 때에, 광학 헤드(3) 및 자기 헤드(6)를 액세스시켜 이산적인 세그먼트로부터 연속적인 음악 정보를 추출하거나 기록 에어리어를 효율적으로 사용한 기록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디스크 상의 에어리어 관리는 P-TOC에 의해 행해지고, 또 레코더블 유저 에어리어에서 기록된 곡이나 프리 에어리어 등 U-TOC에 의해 행해진다.
이들의 TOC 정보는 버퍼 메모리(13)에 기록되어 시스템 콘트롤러(11)가 이것을 참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 U-TOC에서 관리할 수 있는 트랙 수, 곡 수는 최대로 255가 된다. 이것은 테이블 포인터 P-TNO1~P-TNO255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1개의 테이블 포인터 P-TNO로부터 2개 이상의 파트 테이블이 링크하는 트랙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파트 테이블의 수가 255이기 때문에 U-TOC로 관리될 수 있는 트랙 수는 255보다도 적어진다.
<4. 디스크의 에어리어 구조>
디스크의 에어리어 구조를 설명한다. 제 12A 도는 디스크의 에어리어 구조를 그것의 반경 방향으로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광자기 디스크의 경우, 크게 나누어서 제 12A 도에 핏트 에어리어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리적인 요철(凹凸)인 핏트에 의해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ROM 에어리어와, 소위 광자기 에어리어로 이루어지고 그루브(groove)가 설치되어 있는 그루브 에어리어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핏트 에어리어로서 상기한 P-TOC가 반복 기록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이 P-TOC에서 U-TOC의 위치가 U-TOC 스타트 어드레스(USTA)로서 표시되어 있다. 또한, 판독 스타트 어드레스(ROA), 레코더블 유저 에어리어의 스타트 어드레스(RSTA), 시험 기록 에어리어 스타트 어드레스(PCA) 등 제 12A 도에 도시하는 각 어드레스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 디스크의 가장 내주 측의 핏트 에어리어에 이어서 그루브(groove) 에어리어가 형성되나, 이 그루브 에어리어 중 P-TOC 내의 판독 스타트 어드레스(ROA)로써 표시되는 어드레스까지의 에어리어가 기록 가능한 레코더블 에어리어로 되고 이후는 판독 에어리어로 되어 있다.
다시 이 레코더블 에어리어 중, 실계로 데이터가 기록되는 레코더블 유저 에어리어는 레코더블 유저 에어리어의 스타트 어드레스(RSTA)로부터 판독 스타트 어드레스(ROA) 직전의 위치까지가 된다.
그리고, 그루브 에어리어 내에서 레코더블 유저 에어리어의 스타트 어드레스(RSTA)보다 앞이 되는 에어리어는, 기록 재생 동작을 위한 관리 에어리어로 되어 상술한 U-TOC 등이 기록되고, 또 시험 기록 에어리어의 스타트 어드레스(PCA)로서 표시되는 위치로부터 1 클러스터만큼이 광학 헤드(3)에서 출력되는 광 빔의 출력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시험 기록 에어리어로 된다.
U-TOC는 이 기록 재생 동작을 위한 관리 에어리어 내에서 U-TOC 스타트 어드레스(USTA)로 표시된 위치로부터 3 클러스터(1클러스터 = 36섹터)만큼 연속해서 기록된다.
그리고, 실제의 음성 데이터는 예를 들면 제 12A 도와 같이, 레코더블 유저 에어리어에 기록된다. 예를 들면, 이 경우 4 곡의 곡 M1~M4에 대해서, 어드레스 A20~A21의 세그먼트에 제 1 곡목의 곡M1이 기록되고, 또 제 2 곡목의 곡 M2는 어드레스 A22~A23의 세그먼트에 기록된 부분 M2(1)과 어드레스 A26~A27의 세그먼트에 기록된 부분 M2(2)으로 나뉘어서 기록되어 있다. 또한, 제 3 곡목의 곡 M3은 어드레스 A24~A25세그먼트에 기록되고, 제 4 곡목의 곡 M4은 어드레스 A28~A29의 세그먼트에 기록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아직 곡이 기록되지 않은 프리 에어리어는 어드레스 A30~A31의 세그먼트가 된다.
예를 들면 이와 같은 기록 상태는 U-TOC 내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블 포인터 P-TNO1~P-TNO4, P-FRA, 및 이에 연결되는 파트 테이블에 의해 관리된다.
이 경우의 관리 상태를 제 13 도에 도시한다. 또한 제 12A 도에서 레코더블 유저 에어리어에 결함은 없는 것으로 하면, 테이블 포인터(P-DFA)는 『00h』로 된다.
테이블 포인터(P-FRA)는 프리 에어리어를 관리하기 위해, 예를 들면 이 경우 테이블 포인터(P-FRA)에 (06h)란 파트 테이블이 표시되어 있다면, 이에 대응해서 파트 테이블(06h)에는 제 12A 도의 프리 에어리어로 되는 세그먼트에서의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즉, 어드레스(A30)가 스타트 어드레스, 어드레스(A31)가 엔드 어드레스로서 표시된다. 또한 이 경우 다른 세그먼트로서의 프리 에어리어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파트 테이블(06h)의 링크 정보는 『00h』 로 된다.
또한, 제 1 곡목 M1에 대해서는 테이블 포인터(P-TNO1)에 표시되는 (01h)의 파트 테이블에서 그 스타트 어드레스(A20) 및 엔드 어드레스(A21)가 표시된다.곡(M1)은 1개의 세그먼트에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파트 테이블(01h)의 링크 정보는 『00h』 로 되어 있다.
제 2 곡목 M2대해서는 테이블 포인터(P-TNO2)에 표시되는 (02h)의 파트 테이블에서 그 스타트 어드레스(A22) 및 엔드 어드레스(A23)가 표시되어 있다. 단 곡(M2)은 2개의 세그먼트(M2(1)와 M2(2))로 나누어져 기록되어 있고, 어드레스(A22) 및 어드레스(A23)는 곡(M2)의 전반부(M2(1))의 세그먼트를 표시할 뿐이다. 거기에서 파트 테이블(02h)의 링크 정보로서 예를 들면 파트 테이블(03h)이 표시되고, 파트 테이블(03h)에는 후반부(M2(2))의 세그먼트를 표시해야 할 스타트 어드레스(A26) 및 엔드 어드레스(A27)가 기록되어 있다. 이후 링크는 불필요하기 때문에 파트 테이블(03h)의 링크 정보는 『00h』로 되어 있다.
제 3 곡목, M3, 제 4 곡목 M4에 대해서도 각각 테이블 포인터(P-TNO3, P-TNO4)를 기점으로 하여 얻어지는 파트 테이블에 의해 그 세그먼트 위치가 관리되어 있다. 또한 4 곡 밖에 녹음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테이블 포인터 (P-TNO5~P-TNO255)까지는 사용되고 있지 않고 『00h』 로 되어 있다.
또한, 사용하고 있지 않는 파트 테이블을 표시하는 테이블 포인터(P-EMPTY)는 이 경우 파트 테이블(07h)을 표시하고 있으며, 파트 테이블(07h)로부터 파트 테이블(FFh)까지의 모든 미사용 파트 테이블이 링크 정보에 의해 링크되어 있다.
<5. 분할 조합 편집 처리>
이와 같이 U-TOC에서 각 곡(트랙)이 관리되고, 이에 기초해서 기록/재생 동작이 행해지므로, U-TOC를 재기록하는 것만으로 곡의 분할(divide), 곡의 연결(combine)이 가능해진다.
이하, 제 12A 도 내지 제 18 도에 의해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분할/조합 편집을 위한 조작 및 그 처리를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 재생 장치 본체(30)에는 트랙 마크 키로서 마크 온 키(46), 마크 오프 키(47)가 설치되고, 또 리모트 코맨더(90)에도 마크 온 키(95), 마크 오프 키(9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폰(70)에는 트랙 마크 키(74)가 설치되어 있고, 또 헤드폰(80)에도 트랙 마크 키(89)가 설치되어 있다. 트랙 마크 키(74, 89)는 마크 온 키와 마크 오프 키를 겸용한 조작 키이다.
이들 조작 키에 의한 조작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 콘트롤러(11)에 공급되지만, 시스템 콘트롤러(11)는 기록 재생 장치 본체(30) 또는 리모트 코맨더(90)에서의 마크 온 키(46, 95)의 조작 입력에 대해서는, 제 16 도의 처리를 하여 분할 처리를 한다.
제 16 도에서 스텝(F100)은, 시스템 콘트롤러(11)가 재생 모드에서 재생 동작을 제어하고 있는 경우, 재생 포즈 동작을 제어하고 있는 경우, 또는 녹음 모드에서 녹음 동작을 제어하고 있는 경우를 표시하고 있다.
또한, 녹음 모드 중에 녹음 포즈 조작이 행해진 경우는, 자동적으로 그 지점에서 트랙 넘버가 증가되는, 즉 분할 처리가 된다. 이 경우 만약 유저가 분할조작을 해도 그것은 불필요하기 때문에 시스템 콘트롤러(11)는 그 조작 정보를 무시한다.
시스템 콘트롤러(11)가 재생, 재생 포즈 또는 녹음 처리를 행하여 기록 재생 장치가 재생 동작, 재생 포즈 동작 또는 녹음 동작을 행하고 있을 때, 유저가 마크 온 키(46 또는 95)를 조작하였다면, 처리는 스텝(F101)으로부터 스템(F103)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그 때의 재생 또는 녹음 진행 지점의 어드레스 또는 재생 포즈를 실행하고 있는 지점의 어드레스가 곡의 중단 부분인가, 즉, 이미 분할 지점으로 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은 그 때의 어드레스가 각 곡의 스타트 어드레스 또는 엔드 어드레스와 일치하는지 또는 매우 가까운 어드레스인지 아닌지 여부로 판별될 수 있다.
그리고, 스텝(F103)에서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즉 어떤 곡의 도중의 위치이므로, 분할 처리에 들어간다(F104). 또한, 녹음 중의 경우는 통상 분할 조작 때의 위치가 이미 분할되어 있는 트랙 변경 지점으로 되는 일은 없기 때문에, 특히 스텝(F103)의 처리는 필요치 않다.
스텝(F104)의 분할 처리에서는, 버퍼 메모리(13)에 기록되어 있는 U-TOC 데이터를 재기록 처리하고 분할 동작의 표시를 행한다. 이 때의 표시로서는, 분할 실행을 나타내는 메시지의 표시나, 표시되어 있는 트랙 넘버의 변경, 곡 진행 시간표시의 제로 리셋 등이 행해진다.
실제의 분할 처리, 즉 U-TOC의 재기록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지금 예를들어, 재생 동작에 의해, 제 12A 도에서 TMON으로 표시하는 곡 M3의 도중 부분의 재생이 행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유저가 마크 온 키(46)를 눌렀다 한다. 그러면 스텝(F104)의 분할 처리에 의해 곡 M3은 제 12B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것의 어드레스 지점을 경계로 하여 곡 M3과 곡 M4으로 분할되게 된다. 이 때, 원래 제 4 곡목으로서 기록되어 있던 제 12A 도에서의 곡 은 제 12B 도와 같이 제 5 곡목의 곡 M5로 변경된다.
이 경우 U-TOC는 제 13 도의 상태로부터 제 14 도와 같이 재기록된다. 도면 중 재기록되는 부분을 빗금으로 표시한다.
즉, 테이블 포인터(P-TNO3)가 표시하고 있던 파트 테이블(04h)은, 스타트 어드레스로서 A24, 엔드 어드레스로서 A25가 기록되어 있었으나, 분할 조작 시의 어드레스가 A32였다면 이것이 새로운 곡 M3에 대한 엔드 어드레스로 되기 때문에 파트 테이블(04h)의 엔드 어드레스가 A25에서 A32로 재기록된다.
또한, 원래 제 4 곡목이었던 곡 M4은 분할 처리에 의해 트랙 넘버가 증가되어 제 5 곡목으로 되기 때문에, 그때까지 테이블 포인터(P-TNO4)에 쓰여 있던 수치가 테이블 포인터(P-TNO5)에 기록되고 테이블 포인터(P-TNO5)에는 파트 테이블(05h)이 표시된다. 즉 파트 테이블(05h)에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로서 표시되어 있던 A28~A29의 세그먼트는 새롭게 제 5 곡목 M5로서 관리된다.
그리고, 분할 처리에 의해 발생하는 새로운 제 4 곡목에 대해서는, 그때까지 사용하지 않았던 파트 테이블(07h)에 의해 표현된다. 즉 파트 테이블(07h)에, 스타트 어드레스로서 분할 지점의 어드레스(A32)의 다음 어드레스인 (A33)가 기록되고, 엔드 어드레스로서는 원래 제 3 곡목의 엔드 어드레스로서 파트 테이블(04h)에 쓰여 있던 (A25)가 기록된다. 그리고 테이블 포인터(P-TNO4)는 파트 테이블(07h)을 지정하도록 재기록된다.
또한, 새로운 제 4 곡목의 관리에 파트 테이블(07h)이 사용되기 때문에, 아파트 테이블(07h)은 테이블 포인터(P-EMPTY)의 링크 구조에서 벗어나, 테이블 포인터(P-EMPTY)는 파트 테이블(08h)을 표시하도록 재기록된다. 또, 파트 테이블(07h)의 링크 정보는 『00h』 로 재기록된다.
이상의 재기록에 의해 분할이 완료하고, 그 후 곡 M3는 A24~A32, 곡 M4는 A33~A25, 곡 M5는 A28~A29로서 관리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재생 중, 재생 포즈 중, 녹음 중에서, 유저가 소정의 필요한 타이밍으로 마크 온 키(46 또는 95)를 누르는 것만으로 분할 편집을 할 수 있다.
그 후 정지 조작이 행해졌으므로 재생, 재생 포즈 또는 녹음 동작은 종료되지만(스텝(F102)→YES), 그 때, 그 시점에서 버퍼 메모리(13)에 보존되어 있는 U-TOC를 실제로 디스크(1)의 U-TOC 에어리어에 기록하고(F105), 동작을 정지시킨다(F106).
시스템 콘트롤러(11)에 대한 기록 재생 장치 본체(30) 또는 리모트 코맨더(90)에서 마크 오프 키(47, 96)의 조작 입력이 행해진 경우의 처리에 대해서는 제 17 도와 같이 조합 처리가 행해진다.
제 17 도에서 스텝(F200)은, 시스템 콘트롤러(11)가 재생 모드에서 재생 동작을 제어하고 있는 경우, 또는 재생 포즈 동작을 제어하고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녹음 모드 중에서는 조합 동작이 행해지는 일은 없기 때문에, 녹음모드 중 마크 오프 키(47, 96)의 조작 입력은 무시된다.
시스템 콘트롤러(11)가 재생 또는 재생 포즈 처리를 행하여 기록 재생 장치가 재생 동작 또는 재생 포즈 동작을 하고 있을 때에, 유저가 마크 오프 키(47 또는 96)의 조작을 하였다면, 처리는 스텝(F201)으로부터 스텝(F203)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이 경우도 그 때의 재생 진행 지점의 어드레스 또는 재생 포즈를 실행하고 있는 지점의 어드레스가 곡의 끊기는 지점인가, 즉 이미 분할 지점으로 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별한다.
스텝(F203)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얻어지면, 즉 어떤 곡(트랙)의 끊기는 점의 분할 위치이므로, 이 분할 상태를 제거해서 곡을 연결하는 조합 처리에 들어간다(F204).
스텝(F204)의 조합 처리에서는, 버퍼 메모리(13)에 입력되어 있는 U-TOC 데이터를 재기록하는 처리 및 조합 동작의 표시를 행한다. 이때의 표시로서는, 조합 실행을 표시하는 메시지의 표시나, 그 후 이어서 표시되어 있는 트랙 넘버의 변경,곡이 연결된 것으로 인한 곡 진행 시간의 단축 등이 행해진다.
실제의 조합 처리, 즉 U-TOC의 재기록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분할 처리가 행해진 제 12B 도의 상태에서, 재생 동작에 의해, TMOFF로 표시하는 곡 M2의 종료 부분(세그먼트 M2(2)의 엔드 어드레스 근처)의 재생이 행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유저가 마크 오프 키(47)를 눌렀다고 한다. 그러면 스텝(F204)의 조합 처리에 의해, 곡 M2와 곡 M3이 제 12C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된다. 이 때, 조합 동작 전에 제 4 곡목, 제 5 곡목으로 되어 있던 제 12B 도에서의 곡, M4, M5은, 제 3 곡목이 제 2 곡목에 연결되어 내장되므로 제 12C 도와 같이 새로운 제 3 곡목, 제 4 곡목의 곡 M3, M4으로 된다.
이 경우 U-TOC는 제 14 도의 상태로부터 제 15 도와 같이 재기록된다. 도면 중 재기록되는 부분을 사선으로 표시한다.
즉, 테이블 포인터(P-TNO3)가 표시하고 있던 파트 테이블(04h)은, 제 3 곡목 M3의 스타트 어드레스로서 A24, 엔드 어드레스로서 A25가 기록되어 있었으나, 이 제 3 곡목의 세그먼트는 제 2 곡목에 내장된다. 이 때문에 파트 테이블(04h)은 테이블 포인터(P-TNO2)를 기점으로 하는 링크에 내장된다. 즉, M2곡 의 세그먼트 M2(2)를 표현하고 있던 파트 테이블(03h)의 링크 정보가 『04h』 로 되고 따라서 테이블 포인터(P-TNO2)로부터 파트 테이블(02h)→(03h)→(04h)이라고 하는 링크 구조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2 곡목과 제 3 곡목은 연결되어서 새로운 1 곡 M2로 관리된다.
또한, 제 12B 도에서 제 4 곡목이었던 곡 M4는 조합 처리에 의해 트랙 넘버가 낮아져 제 3 곡목으로 되기 때문에, 그때까지 테이블 포인터(P-TNO4)에 기록되어 있던 수치가 테이블 포인터(P-TNO3)에 기록되고, 테이블 포인터(P-TNO3)에는 파트 테이블(07h)이 표시된다. 즉 파트 테이블(07h)에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로서 표시되어 있던 A33~A25의 세그먼트는 새로운 제 3 곡목 M3으로서 관리된다.
마찬가지로, 제 12B 도에서 제 5 곡목이었던 곡 M5는 조합 처리에 의해 트랙 넘버가 낮아져 제 4 곡목으로 되기 때문에, 그때까지 테이블 포인터(P-TNO5)에 기록되어 있던 수치가 테이블 포인터(P-TNO4)에 기록되고, 테이블 포인터(P-TNO4)에는 파트 테이블(05h)이 표시된다. 즉, 파트 테이블(05h)에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로서 표시되어 있던 A28~A29의 세그먼트는 새롭게 제 4 곡목 M4로서 관리된다.
그리고, 제 5 곡목은 없어지기 때문에 테이블 포인터(P-TNO5)는 『00h』로 된다.
이상의 재기록에 의해 조합이 완료하고, 그 후 곡 M2는 A22~A23와 A26~A27와 A24~A32의 3개의 세그먼트(M2(1), M2(2), M2(3))에 의해 기록되어 관리되고, 또 곡 M3은 A33~A25, 곡 M4는 A28~A29로 관리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재생 중, 재생 포즈 중에서 유저가 소정 타이밍으로 마크 오프 키(47 또는 96)를 누르는 것만으로 조합 편집을 할 수 있다.
그 후 정지 조작이 행해졌으므로 재생 또는 재생 포즈 동작은 종료되나(스탭(F202)→YES), 그 때에 그 시점에서 버퍼 메모리(13)에 보존되어 있는 U-TOC를 실제로 데이터(1)의 U-TOC 에어리어에 기록하고(F205), 동작을 정지시킨다(F206).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폰(70) 및 헤드폰(80)에도 트랙 마크 키(74, 89)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동일하게 분할 몇 조합 편집을 할 수 있다. 트랙 마크 키(74, 89)는 마크 온 키와 마크 오프 키가 겸용되고 있다. 키를 겸용하여 1개로 함으로써, 마이크로폰이나 헤드폰 등의 일부에 설치할 때에 그다지 배치 공간적 장해는 생기지 아니하며, 또한 사용 시의 장해가 되지 아니하고 적합하게 된다.
트랙 마크 키(74, 89)에 의한 조작 입력에 대해서는, 마크 온/마크 오프 조작에 대해서 키가 겸용되고 있기 때문에, 시스템 콘트롤러(11)는 제 18 도의 처리에 의해 분할/조합을 실행하게 된다.
제 18 도에 있어서 스텝(F300)은, 시스템 콘트롤러(11)가 재생 모드에서 재생 동작을 제어하고 있는 경우, 재생 포즈 동작을 제어하고 있는 경우, 또는 녹음 모드에서 녹음 동작을 제어하고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트랙 마크 키(74 또는 89)의 조작에 대해서, 마크 온 키로서의 분할 조작은 재생 또는 녹음 중 또는 곡의 선두 위치 이외에서의 재생 포즈 동작 중에 실행되고, 또한 곡 선두 위치에서 일시정지가 행해지고 있을 때에 트랙 마크 키(74 또는 89)의 조작이 행해지면 이것은 마크 오프 키로서의 조합 조작으로 판별한다.
재생 포즈 중에 유저가 선곡 키(본체의 선곡 키(39), 헤드폰의 선곡 키(87, 88) 또는 리모트 코맨더(90)의 선곡 키)를 사용해서 곡의 선두 위치에 액세스하는 조작, 소위 곡의 선두추출 조작을 하였다면 처리는 스텝(F301)에서 (F304)로 진행한다. 그리고 선두추출 동작으로서의 트랙 액세스가 실행되어 곡의 선두 위치에서의 재생 포즈 상태가 된다. 이 때에, 재생 조작/녹음 조작이 행해지면, 스텝(F300)으로 되돌아가 소정의 필요한 처리가 행해지고(F306→F300), 또 정지 조작이 행해지면 정지 처리로 들어간다(F307→F311).
그러나, 이와 같은 곡의 선두 위치에서의 재생 포즈 상태에 있을 때에, 트랙 마크 키(74 또는 89)의 조작이 행해졌다면, 처리는 스텝(F305)에서 스텝(F308)으로 진행하여 조합 처리를 한다. 즉, 곡의 선두 위치에서의 재생 포즈 상태에 있는 경우이므로 그 지점은 반드시 분할 지점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유저가 분할 처리를 필요로 하는 일은 없다. 그래서 이것은 조합 조작이라고 판별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조합 편집이 행해지도록 U-TOC를 재기록한다.
또, 재생/재생 포즈/녹음 상태에 있을 때에 트랙 마크 키(74 또는 89)의 조작이 행해진 경우, 처리는 스텝(F302)에서 스텝(F309)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그때의 재생 또는 녹음 진행 지점의 어드레스, 또는 재생 포즈를 실행하고 있는 지점의 어드레스가 곡의 끊기는 곳인지, 즉, 이미 분할 지점으로 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별한다.
그리고, 스텝(F309)에서 부정적인 결과가 얻어지면, 즉 어떤 곡의 도중의 위치이므로, 유저의 조작을 분할 조작이라고 판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분할 편집으로서의 (U-TOC)의 재기록을 하는 분할 처리로 들어간다(F310).
정지 조작이 행해지면, 재생 또는 재생 포즈 또는 녹음 동작을 종료하게 되나(스텝(F303)→YES 또는 (F307→YES), 그 때에 그 시점에서 버퍼 메모리(13)에 보존되어 있는 U-TOC를 실제로 디스크(1)의 U-TOC 에어리어에 기록하고(F311), 동작을 정지시킨다(F312).
이상의 처리에 의해 마크 온/마크 오프가 겸용되고 있는 트랙 마크 키(74, 89)에 의해 분할/조합 처리가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재생 중, 재생 포즈 중, 녹음 중에서 트랙마크 키(74, 89), 또는 마크 온 키(46, 95) 또는 마크 오프 키(47, 96)를 누르는 것만으로, 원하는 분할 또는 조합 편집이 행해진다. 따라서 일부러 편집 모드로 이행시켜서 조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편집 조작성이 매우 좋아진다.
특히 녹음이나 재생을 행하면서 트랙 마킹을 함으로써, 편집 조작뿐만 아니라 그 후의 재생 시의 사용성도 큰 폭으로 향상된다. 또, 녹음, 재생 중에 원하는 지점에서 트랙을 분할/연결하는 조작을 실현함으로써, 분할/조합 편집에 대한 유저의 이해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코맨더(90), 헤드폰(80), 마이크로폰(70)에 있어서 분할/조합조작을 실행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보다 손쉽게 편집할 수 있다. 특히, 마이크로폰(70)을 구비함으로써, 회의 녹음 시 등에 책상 위에 설치한 마이크로폰을 사용하여 발언자가 바뀔 때마다 트랙 마킹을 해두는 것 등의 조작을 용이하게 실현 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분할/조합 편집을 위한 조작 및 그에 따른 처리로는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기록 재생 장치 본체(30)나 리모트 코맨더(90)에서도 마크 온/마크 오프를 겸용한 트랙 마크 키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고 역으로 마이크로폰(70)이나 헤드폰(80)에 마크 온 키, 마크 오프 키를 별도로 설치해도 좋다.
또한, 다른 접속 기기에서 트랙 마크 조작 수단, 마크 온/마크 오프 조작 수단을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 유선에 의한 조작 정보의 입력 수단은 제 8 도에서 설명한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더욱이, 리모트 코맨더로서는 전파 송신 방식의 것이나 유선 접속의 것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착오로 트랙 마크 온/마크 오프 조작을 해 버리는 경우를 고려해서, 예를 들면 마이크로폰이나 헤드폰에 설치되는 트랙 마크 조작부의 조작에 대해서는 녹음 시만 유효하게 처리하도록 해도 좋다.
<6. 오토 트랙 넘버링 모드 설정 처리>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특히 마이크로폰 입력에 의한 녹음 시에 있어서, 오트트랙 넘버링(ATN) 모드의 처리에 의해 소정시간 마다 트랙넘버를 자동적으로 변경해 갈 수 있다. 즉, 시스템 콘트롤러(11)는, 녹음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가 소정의 시점마다 트랙 분할되도록, U-TOC 데이터를 재기록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은 처리는 유저의 조작에 의해 ATN 모드가 온으로 됨으로써, 마이크로폰 입력 녹음 시에 자동적으로 행해지는 것으로, 먼저 ATN 모드 조작에 대해서 제 19 도에서 설명한다.
제 19 도의 흐름도는, 시스템 콘트롤러(11)에서의 처리로서, 소정 시간마다(예를 들면 수 ~ 수백 mscc 마다) 실행되는 인터럽트 처리로서의 루틴을 표시하고 있다. 정지/재생/일시 정지/녹음 등의 각종 동작 중에, 이 인터럽트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시스템 콘트롤러(11)는 유저의 ATN 모드 조작에 의한 ATN 동작을 실행한다.
ATN 모드 설정이란, 녹음 중에 자동적으로 트랙 넘버링을 하는가 하지 않는가의 모드 온/오프를 설정하는 조작과, 모드 온 상태에서 트랙 넘버링(분할)을 하는 시간 간격, 즉 몇 분 간격으로 트랙 넘버를 증가시켜 가는가를 설정하는 조작이 된다. 여기에서는 시간 간격으로서 5분, 10분, 15분, 20분의 각 시간이 준비되어 있다.
유저는 ATN 키(46a)(제 3A 도)를 소정 회수 누르는 것으로 모드 설정을 한다. 제 20 도에 설정 조작예를 도시한다. 화살표는 ATN 키(46a)의 누르는 조작에 해당한다.
즉, ATN 모드 오프 상태로부터, ATN 키(46a)를 누르면 5분 간격의 ATN 모드 온이 되고, 다시 1회 누를 때마다 10분 간격의 ATN 모드 온, 15분 간격의 ATN 모드 온, 20분 간격의 ATN 모드 온으로 설정이 변경되어 간다. 따라서 20분 간격의 ATN 모드 온의 상태에서 다시 ATN 키(46a)를 누르면 ATN 모드 오프로 설정된다.
이와 같은 설정 조작을 실현하기 위해 제 19 도의 처리가 행해진다.
이 제 19 도의 인터럽트 처리의 시점에서 ATN 키(46a)가 조작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F101)으로부터 처리를 종료하지만, 이 인터럽트 처리의 시점에서 ATN 키(46a)가 조작되어 있으면 스텝(F401)으로부터 스탭(F402)으로 진행하며, 먼저 변수(n)를 증가시킨다. 또한 변수(n)는 초기 설정치로서 예를 들면 전원 초기에 n=0으로 된다.
다음에 변수(n)가 정수(N)와 비교된다(F103). 정수(N)란 제 20 도와 같이 토글 조작 상태로 된 ATN 키(46a)의 1 주기 조작 회수에 의해 결정된다. 이 경우 제 20 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ATN 모드 오프로부터 5회 누르면 다시 ATN 모드 오프로 되돌아가는 것이고, ATN 모드 오프 시에 변수 n=0으로 제어되는 것으로 하면 정수 N=4로 된다.
예를 들면 ATN 모드 오프인 때에 1회 ATN 키(46a)를 누르면, 변수 n=1로 되어 n≠N이기 때문에 스텝(F404)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ATN 모드 온으로 설정되고, 이어서 타이머 시간(TㆍTIME)으로서 n×5분, 즉, 이 경우 5분이 설정된다(F405). 결국, 5분 간격의 ATN 모드가 온으로 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표시부(31)에서 ATN 모드가 온으로 된 것 및 5분 간격으로 트랙 분할이 행해지는 것이 표시된다(F406).
또한, 그 후 다시 ATN 키(46a)를 누른 경우는 변수 n=2로 되고, n≠N이기 때문에 스텝(F404)으로 진행하여 동일하게 ATN 모드 온으로 되며, 이어서 타이머 시간(TㆍTIME)으로서 n×5분, 즉 이 경우 10분이 설정된다(F405). 결국, 10분 간격의 ATN 모드가 온으로 된다. 그리고 표시 부분(31)에서 ATN 모드가 온으로 된 것 및10분 간격으로 트랙 분할이 행해지는 것이 표시된다(F406).
다시 ATN 키(46a)가 눌려진 경우도 동일한 처리로, 15분 간격의 ATN 모드 온, 20분 간격의 ATN 모드 온으로 설정되게 된다.
20분 간격의 ATN 모드 온으로 되어 있는 시점에서 다시 ATN 키(46a)가 조작되면, n=4로 되어 스텝(F403)에서 n=N이 된다. 이 때문에 스텝(F407)으로 진행하고 변수 n=0, 타이머 시간 TㆍTIME으로 리셋 된다. 그리고 ATN 모드가 오프로 되고(F408), 이어서 표시 부분(31)에서 실행되고 있던 ATN 모드 온 및 시간 간격의 표시를 소거 한다(F409).
이후에 다시 ATN 키(46a)를 누르면 변수 n=1로 되고 상기한 5분 간격의 ATN모드가 온으로 된다.
즉, 제 19 도의 인터럽트 처리에 의해 ATN 키(46a)의 조작을 감시하고 있으므로, 제 20 도와 같은 토글 형태의 모드 조작이 실현되고, 유저는 표시를 보면서 원하는 모드 상태로 될 때까지 ATN 키(46a)를 계속 누르면 된다.
<7. 마이크로폰 입력 녹음 시의 처리>
이와 같은 모드 조작에 의해 ATN 모드의 온/오프, 및 ATN 모드 온일 때의 트랙 넘버링을 실행해야 할 시간 간격이 설정되지만,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스크(1)에 녹음하는 동작이 개시되면, 이 모드 설정에 기초해서 제 21 도와 같은 처리가 실행되어지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의 녹음 시에만 제 21 도의 ATN 기구 처리가 실행된다고 설명하지만, 아날로그 라인 입력 시에도 실행되도록 해도 좋다.
시스템 콘트롤러(11)는, 마이크로폰 단자(56)에 마이크로폰이 접속되어 있는 것이 감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녹음 키(33)를 눌러 녹음 조작이 행해지면, 제 21 도의 처리를 개시하게 된다.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입력 신호의 녹음이 지시되면, 먼저 최초로 녹음되는 데이터의 트랙 넘버(TNO)로서 U-TOC 섹터(0)에 기록되어 있는 최후의 트랙 넘버(Last TNO)에 1을 더한 값을 설정한다(F501).
즉, 예를 들면 데이터가 전혀 기록되지 않은 디스크이면 트랙 넘버(1)로 되고, 또 이미 3트랙의 음성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디스크를 사용한 경우는 트랙넘버(4)로 된다.
여기에서 ATN 모드가 온으로 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별한다(F502). ATN 모드가 오프이면 스텝(F503)으로 진행하고 통상의 녹음 처리를 행한다. 이 녹음처리는, 정지 키(38)가 조작되거나 또는 디스크에 프리 에어리어가 없어지게 되어 스텝(F504)에서 녹음 종료로 판단될 때까지, 또는 녹음 도중에 유저가 ATN 모드 조작을 행하여 ATN 모드 온으로 된 것이 스텝(F505)에서 검출될 때까지 계속된다.
그리고, 녹음이 종료되면 스텝(F515)에서 그것까지의 녹음 동작에 의해 버퍼 메모리(13) 내에서 U-TOC 데이터가 갱신되고, 이어서 그 갱신된 U-TOC 데이터가 디스크(1)에 기록되어(F516), 처리가 종료된다.
ATN 모드 오프인 상태로 녹음 처리가 종료되면, 디스크에 기록된 음성 데이터는 이 갱신된 U-TOC 의해 그 전부가 1개의 트랙으로서 관리된다.
스텝(F502)에서 ATN 모드 온으로 판단된 경우는, 먼저 타이머를 리셋하고 계수를 개시한다(F506). 이어서, 녹음 처리를 개시한다(F507).
이 녹음 처리 사이에는 타이머 카운트가 실행되고 있기 때문에, 스텝(F510)에서 타임 카운트 값이 타이머 시간(TㆍTIME)에 이르렀는가 아닌가를 감시하고 있다.
타이머 시간(TㆍTIME)은 제 19 도의 ATN 모드 설정 처리에 의해 5분, 10분 등 유저가 지정한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타이머 시간(TㆍTIME=5분)으로 설정되어 있었다면, 이 녹음 처리는 5분 경과한 시점에서 스텝(F511)으로 진행하게 된다. 여기에서 버퍼 메모리(13) 내에 보존되어 있는 U-TOC 데이터가 재기록된다. 즉, 최초 5분의 음성 데이터가 1개의 트랙으로서 관리되도록 그 트랙 넘버(TNO)에 해당하는 테이블 포인터(예를 들면 P-TN01)에 의해 유도된 파트 테이블에,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가 기록된 상태로 된다.
이어서, 트랙 넘버(TNO)가 증가된다(F512). 즉, 이후 녹음되는 음성 데이터는 다음 트랙의 데이터로서 관리된다.
또한, 스텝(F513)에서 트랙 넘버 TNO=255로 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별한다. 이것은 제 10 도의 U-TOC 구조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55 트랙까지 밖에 관리되지 않기 때문이고, 트랙 넘버 TNO=255로 된 경우는 강제적으로 ATN 모드를 오프로 해서(F514), 이후 통상의 녹음 처리로 이동한다(F503). 즉 트랙 넘버(255)의 트랙에 대해서는 녹음 종료까지 트랙 분할되지 않는다.
트랙 넘버(TNO)가 255가 아니면 스텝(F506)으로 되돌아가, 다시 타이머를 리셋/스타트하고, 카운트 값을 확인하면서 녹음 처리를 행하여 간다(F507~F510). 그 후, 5분이 경과되면, 거기에서 트랙이 분할되도록 동일하게 버퍼 메모리(13) 내에서 U-TOC 데이터가 재기록되고, 트랙 넘버(TNO)가 증가된다(F511, F512).
이 스텝(F506~F513)의 루프에 의한 녹음 처리가, 정지 조작 또는 프리 에어리어를 다 사용한 것에 의해, 종료된 스텝(F508)으로부터 스텝(F515)으로 진행하고, 그때까지의 녹음 동작에 의해 버퍼 메모리(13) 내에서 U-TOC 데이터가 갱신되며, 이어서 그 갱신된 U-TOC 데이터가 디스크(1)에 기록되어(F5l6), 처리가 종료된다.
녹음 개시부터 종료까지 예를 들면 5분 간격의 ATN 모드 온 상태였던 경우는, 녹음된 음성 데이터는 5분 간격으로 트랙이 잘려진 상태로 U-TOC에 의해 관리된다.
또한, 녹음하고 있는 도중에, 유저가 ATN 키(46a)를 조작함으로써, 제 19 도의 인터럽트 처리로 ATN 모드의 온/오프나 트랙 분할하는 시간 간격(5분, 10분, 15분, 20분)을 절환시킬 수 있다.
시간 간격으로서의 타이머 시간(TㆍTIME)의 설정이 제 19 도의 스텝(F405)에서 변경되면, 그 시점에서 스텝(F510)의 타이머 카운트 값과의 비교 기준이 변경되어지게 되어, 이후 새로운 설정 시간에 도달한 시점에서 스텝(F510)으로부터 스텝(F511)으로 진행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20분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저가 2회 ATN 키(46a)를 누르면 5분의 설정으로 절환되게 되지만, 이 때, 이미, 타이머 카운트 값이 5분을오버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는(타이머 카운트 값) > (타이머 시간(TㆍTIME)이고 스텝(F510)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그 때의 트랙은 5분 또는 20분의 길이로 되지 않지만, 여기에서 일단 20분으로 트랙이 분할된 후에 5분 간격의 분할로 변경하도록 처리 흐름을 설정해도 좋다. 즉 모든 트랙(단 녹음 종료 시점의 최후트랙을 제외함)은 반드시 소정의 시간 간격(즉, 5분, 10분, 15분, 20분 중 어느 것인가)으로 잘려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녹음 중에 ATN 모드가 오프된 경우는 스텝(F509)으로부터 스텝(F503)으로 진행하여 이후 ATN 동작이 실행되지 않고, 또한 녹음 중에 ATN 모드가 오프에서 온으로 절환이 되면 스텝(F505)으로부터 스텝(F506)으로 진행하여 이후 ATN 동작이 실행되게 된다.
<8. 녹음 시의 각종 오토 트랙 넘버링 동작>
이상의 제 19 도, 제 21 도의 처리에 의해 실현되는 ATN 동작에 대해서 제 22 도~제 28 도에 각종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각 예는 모두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디스크에 대해서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회의 등의 정보 신호를 28분간 녹음한 경우로 표시하고 있다.
제 22 도는 ATN 모드 오프인 채로 녹음한 경우이고, 녹음 개시로부터 녹음 종료까지의 28분간의 음성은 모두 트랙(1)으로 기록된다. 이 경우는 일반의 녹음장치와 같고, 재생 시에 예를 들면 15분의 부분을 듣고자 할 경우는 고속 전진 탐색(search)에 의해 15 분의 부분까지 재생한 곳을 진행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제 23 도는 5분 간격의 ATN 모드를 온으로 한 경우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5분 간격으로 트랙 넘버가 갱신되어 녹음 종료 시점에서 28분간의 음성 데이터는 트랙(1)에서 트랙(6)까지 분할되어 있다.
즉, U-TOC에서는, 테이블 포인터(P-TNO1)에 의해 표시되는 파트 테이블에 0~5 분까지의 데이터가 기록된 부분의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가 기록된다. 동일하게 테이블 포인터(TNO2~TNO6)에 의해 유도되는 파트 테이블에 각각 5~10 분, 10~15 분, 15~20 분, 20~25 분, 25~28 분의 데이터가 기록된 위치의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15분의 곳을 재생시키고자 하는 경우는, 트랙(4)의 선두추출 조작을하면 즉석에서 그 음성을 들을 수 있다.
제 24 도는 10분 간격의 ATN 모드를 온으로 한 경우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10분 간격으로 트랙 넘버가 갱신되어, 녹음 종료 시점에서 28분간의 음성 데이터는 트랙(1)으로부터 트랙(3)까지 분할되어 있다.
제 25 도는 녹음 개시 시점에서는 ATN 모드는 오프로 되어 있었으나, 예를들면 11분의 시점에서 유저가 ATN 키(46a)를 조작해서 5분 간격의 ATN 모드를 온으로 한 경우이다.
이 경우 0~16 분의 부분이 트랙(1)으로 되고, 이후 5분 간격으로 트랙(2), 트랙(3), 트랙(4)으로 분할된다. 또한, 이와 같은 경우는, ATN 모드를 온으로 하고 있던 시점(11 분의 부분)에서도 트랙이 단락되도록 해도 좋다.
제 26 도는 녹음 개시 시점에서는 5분 간격의 ATN 모드가 온으로 되어 있었지만, 예를 들면 18 분의 시점에 유저가 ATN 키(46)를 조작해서 ATN 모드를 오프로한 경우이다.
이 경우 0~15 분의 부분이 트랙(1) 트랙(2), 트랙(3)으로 되지만, 20분의 시점에서 트랙(4)이 분할되기 전에 ATN 모드 오프로 되므로, 15분 부분의 음성 데이터로부터 녹음이 종료되는 28분의 음성 데이터까지가 트랙(4)으로 된다.
제 27 도는 녹음 개시 시점에서는 5분 간격의 ATN 모드가 온으로 되어 있었지만, 예를 들면 14분의 시점에 유저가 ATN 키(46)를 조작해서 ATN 모드를 10분 간격으로 절환한 경우이다.
이 경우 0~10 분까지의 음성 데이터는 트랙(1), 트랙(2)으로 되고, 10~28분의 음성 데이터는 10분 간격으로 트랙(3), 트랙(4)으로 분할된다. 또한 이 경우에도 모드 설정의 절환이 행해진 시점(14분의 시점)에서 트랙이 분할되도록 해도 좋다.
이들의 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녹음 시에 유저의 조작에 따라 ATN 처리가 행해지므로, 재생 시에 원하는 부분을 듣고자 하는 경우에도 선두 추출 조작을 행하여 용이하고 또 신속하게 듣고자 하는 부분을 찾아낼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ATN 키(46a)를 사용해서 ATN 모드의 온/오프 및 트랙 분할의 시간 간격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모드 온/오프의 조작 키와 트랙 분할의 시간 간격의 설정 조작 키를 각각 독립해서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9. 오토트랙 넘버링 모드 설정 키의 녹음 키와의 겸용 방식>
그런데, ATN 모드의 온/오프 및 트랙 분할의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조작 키를 녹음 키(33)와 겸용하고, ATN 키(46a)를 설치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녹음 키의 조작에 대해서, 시스템 콘트롤러(11)는 제 28 도의 판단 처리를 하면 된다.
녹음 키(33)가 조작되면, 처리는 스텝(F601)으로부터 스텝(F602)으로 진행하고 현재의 동작 상태를 판단한다. 이어서, 현재 정지 중, 재생 중, 일시 정지중의 어느 것이면 그 조작은 녹음 조작으로 판단하고, 스텝(F610)에서 녹음 처리를 개시한다.
녹음 동작 중에 녹음 키(33)가 조작된 경우는, 스텝(F602)에서 부정적인 결과가 얻어지고, 또 스텝(F603)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얻어져서 스텝(F604)으로 진행한다.
이 경우 녹음 키(33)의 조작은 녹음을 위한 조작이 아니고, ATN 모드 설정을 위한 조작으로 인식한다.
이후, 스텝(F604)에서는 현재의 ATN 모드상태를 판단한다.
현재 5분 간격의 ATN 모드 온이라면, 스텝(F605)으로 진행하고 10분 간격의 ATN 모드 온 상태로 절환된다.
현재 10분 간격의 ATN 모드 온이라면, 스텝(F606)으로 진행하고 15분 간격의 ATN 모드 온 상태로 절환된다.
현재 15분 간격의 ATN 모드 온이라면, 스텝(F607)으로 진행하고 20분 간격의 ATN 모드 온 상태로 절환된다.
현재 20분 간격의 ATN 모드 온이라면, 스텝(F608)으로 진행하고 ATN 모드를오프로 한다.
현재 ATN 모드 오프라면, 스텝(F609)으로 진행하고, 5분 간격의 ATN 모드 온 상태로 절환된다.
즉, 녹음 중에, 녹음 키(33)는 제 20 도의 토글 형태에 의해 ATN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조작 키로서 기능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시간 간격의 설정은 상기한 예에 한하지 않고 다른 시간 간격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좋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1개의 고정 시간 간격 밖에 설정할 수 없도록 해도 좋다.
또 ATN 키는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한 적외선 등에 의한 리모트 코맨더나 접속되는 헤드폰이나 마이크로폰에 설치되는 리모콘 조작부에 설치되어도 좋다.
더욱이, ATN 동작을 위한 처리 방식은 제 19 도, 제 21 도의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여러 종류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본 발명은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와 함께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관리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의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본원 발명은 랜덤 액세스가 용이한 광자기 디스크 등의 기록 가능한 디스크 미디어에 있어서, 분할 또는 조합 처리를 손쉽게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트랙 넘버가 증가되는 분할 처리에서, 실제로 녹음중이나 재생 중에 희망하는 시점에서 유저가 손쉽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회의 내용을 녹음하고 있는 경우 등, 발언자가 바뀐 시점에서 트랙 마크를 입력하는 분할 처리를 하도록 해 두면, 녹음 종료 후에 일부러 분할 편집을 하지 않더라도, 재생시에는 희망하는 발언을 곧바로 액세스시켜 재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라디오 방송을 녹음하고 있는 경우도 동일하여, 곡이 끝난 시점 등에서 즉석에서 손쉽게 트랙 마크를 실시하면 재생 시에 편리하다. 또 재생중인 경우 등에서도, 재생 곡 등을 들으면서 그대로 임의의 지점을 선택하여 트랙 마크를 실시하거나 역으로 트랙 마크를 사용해서 곧 조합 처리를 할 수 있다.

Claims (21)

  1. 데이터와 함께,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에,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기록 재생 수단과,
    1개의 데이터의 단락 위치를 지정하는 지정 수단과,
    상기 기록 재생 수단에 의한 기록 매체로의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을 상기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하며, 상기 기록 재생 수단에 의한 기록 매체로의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 동작 중에, 상기 지정 수단이 조작된 때에는, 상기 지정수단이 조작된 시점을 단락 위치로 인식하여, 상기 관리 정보를 재기록하도록 상기 기록 재생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기록 매체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 동작 중에 포즈 상태를 설정하는 조작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기록 매체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동작 중에 상기 조작 수단에 의해 포즈 상태가 설정된 때에는, 상기 지정 수단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위치 또는 상기 조작 수단에 의해 포즈 상태가 설정된 위치가 1개의 데이터의 도중 위치인 것이 검출된 때에는, 상기 기록 재생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지정된 위치 또는 상기 포즈 상태가 설정된 위치를 단락 위치로 하여 상기 관리 정보를 재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위치 또는 상기 조작 수단에 의해 포즈 상태가 설정된 위치가 1개의 데이터의 시단(始端), 종단(終端) 또는 시단, 종단의 근처 위치임을 검출하였을 때에는, 상기 관리 정보는 재기록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기록 매체에 대한 데이터의 상기 기록 재생 수단에 의한 재생 상태에서, 상기 기록 재생 수단에 의한 주사 위치가 단락 위치일 때에 상기 지정 수단이 조작된 때에는, 상기 분할 위치를 사이에 두고 시간적으로 전후하는 2개의 데이터를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1개의 데이터로 결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에 접속이 가능하고, 새로운 지정 수단을 갖는 마이크로폰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새로운 지정 수단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상기 제어 수단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에 접속이 가능하고, 새로운 지정 수단을 갖는 헤드폰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새로운 지정 수단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상기 제어 수단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새로운 지정 수단과 상기 장치의 기록 또는 재생 상태를 설정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원격 제어 신호로 변환시켜 송신 출력하는 송신 수단을 갖는 원격 제어 수단과,
    상기 원격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격 제어 수단의 상기 새로운 지정 수단에 기초하는 원격 제어 신호는 상기 수신 수단을 통해 상기 제어 수단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9. 데이터와 함께,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관리정보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에,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수단과,
    1개의 데이터의 단락 위치를 지정하는 지정 수단과,
    상기 기록 재생 수단에 의한 기록 매체로의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을 상기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하며, 상기 기록 재생 수단에 의한 기록 매체에 대한 데이터의 상기 기록 재생 수단에 의한 재생 상태에서, 상기 기록 재생 수단에 의한 주사 위치가 단락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지정 수단이 조작된 때에는, 상기 분할 위치를 사이에 두고 시간적으로 전후하는 2개의 데이터를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1개의 데이터로 결합하도록 상기 관리 정보를 재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기록 매체에 대한 데이터의 재생 동작 중에 포즈 상태를 설정하는 조작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기록 매체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동작 중에 상기 조작 수단에 의해 포즈 상태가 설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지정 수단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에 접속 가능하고, 새로운 지정 수단을 갖는 마이크로폰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새로운 지정 수단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상기 제어 수단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에 접속 가능하고, 새로운 지정 수단을 갖는 헤드폰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새로운 지정 수단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상기 제어 수단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새로운 지정 수단과 상기 장치의 기록 또는 재생 상태를 설정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원격 제어 신호로 변환시켜 송신 출력하는 송신 수단을 갖는 원격 제어 수단과, 상기 원격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격 제어 수단의 상기 새로운 지정 수단에 기초하는 원격 제어 신호는 상기 수신 수단을 통해 상기 제어 수단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14. 데이터와 함께,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관리정보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에,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수단과,
    1개의 데이터의 단락 위치를 지정하는 지정 수단과,
    상기 기록 재생 수단에 의한 기록 매체로의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을 상기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하며, 상기 기록 재생 수단에 의한 기록 매체로의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 동작 중에, 상기 지정 수단이 조작되었을 때에는, 상기 지정 수단이 조작된 시점을 시작점으로 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 중의 데이터를 적어도 2개의 데이터로 분할하는 단락 위치로 인식하여, 상기 관리 정보를 재기록하도록 상기 기록 재생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기록 매체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동작 중에 상기 지정 수단이 조작되었을 때에는, 소정의 데이터 길이마다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데이터가 분할되도록 상기 관리 정보를 재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데이터 길이를 가변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데이터 길이마다 기록 매체에 기록 중인 데이터가 분할되도록 상기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17. 데이터와 함께,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관리정보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에,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수단과,
    1개의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복수의 데이터로 분할하는 분할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수단과,
    상기 기록 재생 수단에 의한 기록 매체로의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을 상기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하며, 상기 기록 재생 수단에 의한 기록 매체로 입력된 데이터의 기록 동작 중에 상기 모드 설정 수단에 의해 분할 모드가 설정되었을 때에는,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가 소정의 데이터 길이마다 대략의 수의 데이터로 분할되도록 상기 관리 정보를 재기록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데이터의 길이는, 상기 모드 설정 수단의 조작 회수에 따라 가변 설정되고, 설정된 데이터 길이가 상기 제어 수단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소정의 데이터의 길이를 설정하는 데이터 길이 설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록 재생 수단에 의한 기록 매체로의 입력된 데이터의 기록 동작 중에 상기 모드 설정 수단에 의해 분할 모드가 설정되어, 분할된 데이터 수가 상기 관리 정보에 의한 관리 가능 한도에 도달한 것을 검지(檢知)하였을 때에는,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분할 모드를 자동적으로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장치.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 수단은, 상기 제어 수단에 입력 신호가 공급되어,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 동작을 개시하게 하는 기록 개시 조작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의 기록 장치.
KR1019950701410A 1993-08-10 1994-08-10 기록매체의기록및재생장치 KR1003465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692193A JPH0757436A (ja) 1993-08-10 1993-08-10 ディスク装置
JP93-216921 1993-08-10
JP93-317531 1993-11-25
JP31753193A JPH07153239A (ja) 1993-11-25 1993-11-25 記録装置
PCT/JP1994/001324 WO1995004990A1 (fr) 1993-08-10 1994-08-10 Enregistreur-lect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3782A KR950703782A (ko) 1995-09-20
KR100346531B1 true KR100346531B1 (ko) 2002-12-05

Family

ID=26521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1410A KR100346531B1 (ko) 1993-08-10 1994-08-10 기록매체의기록및재생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5) US5724322A (ko)
EP (1) EP0666566B1 (ko)
KR (1) KR100346531B1 (ko)
CN (1) CN1086048C (ko)
DE (1) DE69429072T2 (ko)
WO (1) WO19950049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4322A (en) * 1993-08-10 1998-03-03 Sony Corporation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 recording medium with editing function
JP3031241B2 (ja) * 1995-05-23 2000-04-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装置
JP3719758B2 (ja) * 1996-03-19 2005-11-2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
JP3363712B2 (ja) 1996-08-06 2003-01-08 株式会社リコー 光ディスク装置
US6392964B2 (en) * 1997-09-19 2002-05-21 Sony Corporation Digital sign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remote controlling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program names in a plurality of display fields using different character symbols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thereof
EP0911827B1 (en) 1997-10-21 2011-11-30 Sony Corporation Recording and/or reproduction apparatus, file management method and providing medium
DE69841745D1 (de) * 1997-10-21 2010-08-12 Sony Corp Aufzeichnungsgerät, Aufzeichnungsverfahren, Aufzeichnungsmedium
JPH11143500A (ja) * 1997-11-05 1999-05-28 Sony Corp Ic記録再生機
JPH11213633A (ja) 1998-01-21 1999-08-06 Pioneer Electron Corp 情報記録装置
KR100306195B1 (ko) * 1998-08-18 2001-11-30 구자홍 재기록가능기록매체의내비게이션데이터관리방법
JP3073969B2 (ja) * 1998-09-29 2000-08-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3679643B2 (ja) * 1999-02-26 2005-08-03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装置
JP3708362B2 (ja) * 1999-04-27 2005-10-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のピックアップ制御装置
UA81216C2 (en) * 1999-06-01 2007-12-25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myloid disease
JP4341111B2 (ja) * 1999-08-18 2009-10-07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方法
JP3487339B2 (ja) * 1999-10-22 2004-01-19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US6856755B1 (en) * 1999-11-10 2005-02-15 Thomson Licensing S.A.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on a rewriteable disc media
JP2001291373A (ja) * 2000-04-05 2001-10-19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US6970752B1 (en) * 2000-05-17 2005-11-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witch closures
JP2002216419A (ja) * 2001-01-19 2002-08-02 Sony Corp ダビング装置
JP3812674B2 (ja) * 2001-09-28 2006-08-23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ータ蓄積ディスクの再生装置
DE10234066B8 (de) * 2002-07-26 2006-06-22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Mikrofoneinrichtung
KR100503066B1 (ko) * 2002-09-14 2005-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악 파일 저장 및 재생 장치와 그 방법
US20040052166A1 (en) * 2002-09-16 2004-03-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mmand set for removable rewritable computer storage
US20040086261A1 (en) * 2002-11-01 2004-05-06 Hanes David H. Video segment extraction system and method
KR100555551B1 (ko) * 2004-02-02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픽업의 포즈 동작 수행 장치 및 방법
JP4428200B2 (ja) * 2004-11-01 2010-03-1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格納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7788555B2 (en) * 2005-07-22 2010-08-31 Broadcom Corporation Using fractional sectors for mapping defects in disk drives
DE102006009114A1 (de) * 2006-02-24 2007-09-06 Bury Gmbh & Co. Kg Mikrofon mit Bedienelementen zur Fernbedienung einer elektronischen Vorrichtung
US20090000630A1 (en) * 2007-03-05 2009-01-01 Ricardo Alfredo Fuenmayor Aray Instant Face-Lifter
JP4788739B2 (ja) * 2008-06-09 2011-10-05 ソニー株式会社 端末装置、情報送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901B2 (ja) * 1987-03-11 1995-04-10 ソニー株式会社 デイスク記録再生装置
JP2637987B2 (ja) * 1987-08-11 1997-08-06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3033127B2 (ja) * 1990-05-16 2000-04-17 大同特殊鋼株式会社 熱間加工性の良好な希土類磁石合金
JP3239388B2 (ja) * 1991-09-27 2001-12-17 ソニー株式会社 デイスク記録装置、デイスク再生装置及び記録方法
JP3233234B2 (ja) * 1992-09-07 2001-11-26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装置
US5508984A (en) * 1992-10-30 1996-04-16 Kabushiki Kaisha Kenwood Optical disc player having program title display
JP3259264B2 (ja) * 1993-01-06 2002-02-2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編集装置および情報編集方法
US5724322A (en) * 1993-08-10 1998-03-03 Sony Corporation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 recording medium with editing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4516A (zh) 1996-01-03
US5883865A (en) 1999-03-16
US5848031A (en) 1998-12-08
DE69429072T2 (de) 2002-07-18
KR950703782A (ko) 1995-09-20
DE69429072D1 (de) 2001-12-20
EP0666566A1 (en) 1995-08-09
US5818799A (en) 1998-10-06
US5748576A (en) 1998-05-05
CN1086048C (zh) 2002-06-05
WO1995004990A1 (fr) 1995-02-16
US5724322A (en) 1998-03-03
EP0666566B1 (en) 2001-11-14
EP0666566A4 (en) 1996-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6531B1 (ko) 기록매체의기록및재생장치
JP3467832B2 (ja) 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JP3557721B2 (ja) 記録装置
US5638346A (en) Magneto-optical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jog dial track number selector
KR19980018914A (ko) 기록/재생 장치, 재생 장치 및 기록 장치 (Recording/Playback Device, Playback Device and Recording Device)
JPH0757436A (ja) ディスク装置
JP3550769B2 (ja) 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3711991B2 (ja) 記録装置
JP3684601B2 (ja) 記録情報の編集方法及び編集装置
JP3551448B2 (ja) 記録装置
JP3538858B2 (ja)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JP3541785B2 (ja) 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
EP0621598B1 (en) Memory control i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2005327463A (ja) 編集装置
JP3844642B2 (ja) 編集装置、編集方法
JP2001052468A (ja) 再生装置、記録装置
JP3735987B2 (ja) 編集装置
JP3858931B2 (ja) 編集装置
JP3864983B2 (ja) 編集装置
JP3852473B2 (ja) 記録媒体、再生装置
JP2001067843A (ja) マイクロホン装置、ヘッドホン装置
JP3797362B2 (ja) 記録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JPH07153239A (ja) 記録装置
JP2001076467A (ja) 編集装置、編集方法
JP2001057012A (ja) 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