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8914A - 기록/재생 장치, 재생 장치 및 기록 장치 (Recording/Playback Device, Playback Device and Recording Device) - Google Patents

기록/재생 장치, 재생 장치 및 기록 장치 (Recording/Playback Device, Playback Device and Record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914A
KR19980018914A KR1019970040166A KR19970040166A KR19980018914A KR 19980018914 A KR19980018914 A KR 19980018914A KR 1019970040166 A KR1019970040166 A KR 1019970040166A KR 19970040166 A KR19970040166 A KR 19970040166A KR 19980018914 A KR19980018914 A KR 19980018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reproduction
recorded
record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5289B1 (ko
Inventor
히라꾸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19980018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2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022Control pane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9Table of cont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 G11B2020/1075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the usage of the buffer being restricted to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0759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the usage of the buffer being restricted to a specific kind of data content data
    • G11B2020/10768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the usage of the buffer being restricted to a specific kind of data content data by pre-caching the initial portion of songs or other recorded or downloaded data for starting playback instant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11B2220/2529Mini-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5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Abstract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재생 프로그램들의 순서를 설정할 수 있으며, 관리 영역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프로그램들의 재생 순서를 기록함으로써 대화식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 영역에 재생할 프로그램 각각에 대한 음량, 페이드-인, 페이드-아웃 및 이퀄리제이션 등과 같은 재생 조건들을 기록함으로써 바람직한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다중 접근 모드에서는 고속 재생이 가능한 프로그램 번호들이 관리 영역에서 관리된다. 따라서, 기록 매체의 설치 직후 관리 영역에서 관리된 고속 재생이 가능하는 프로그램 번호의 시작부를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선택한 직후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기록/재생 장치, 재생 장치 및 기록 장치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음성 데이타 등과 같은 주 데이타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기록 매체에 대응하여 재생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기록 매체 및 기록/재생 장치가 개시되어 있지만, 특히 사용자가 자유 자재로 음성 데이타 등을 기록할 수 있는 공지된 미니디스크(상표명) 시스템들이 보급되어 있다.
미니 디스크 시스템의 경우, 예컨대 사용자가 녹음을 행하는 디스크상의 영역 및 아직 아무것도 기록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관리하기 위하여 음성 등의 주 데이타와는 별도로, 사용자 내용 테이블(이하 U-TOC로 약칭함)이라는 관리 영역이 기록된다.
그 다음, 기록 장치는 U-TOC를 참조하면서 기록을 수행할 수 있는 영역, 즉 자유 영역의 어드레스를 확인하고, 자유 영역에 음성 데이타를 기록해 간다.
또한, 재생 장치는 U-TOC를 사용하여 재생할 음성 정보 등과 함께 기록된 프로그램 어드레스를 파악할 수 있으며, 지정된 재생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즉, 기록된 각 프로그램 등이 U-TOC에서 프로그램 단위로 관리되고, 그 시작 및 종료 어드레스가 열거된다. 또한, 아무것도 녹음되어 있지 않는 기록 가능 영역(자유 영역)에 대한 시작 및 종료 어드레스 등이 기록된다.
또한, 프로그램들을 재생하기 위한 순서 외에, 재생 장치를 위한 재생 모드로서 다양한 재생 모드가 준비되어 있다. 또한, 프로그램 번호 순으로 통상의 재생 동작을 행하는 연속 재생 모드외에, 프로그램 재생 모드, 셔플 재생 모드 및 다중 접근 재생 모드 등이 제공된다.
프로그램 재생 모드는 사용자가 임의로 프로그램 번호들을 설정하고 그 설정 모드 순서로 재생이 행해지는 모드이다.
셔플 재생 모드는 재생 장치 내에서의 난수 생성 동작에 의해 프로그램 번호들이 임의로 선택되고 재생되는 모드이다.
다중 접근 재생 모드는 특정 프로그램들을 위한 재생 동작에 응답하여 재생 음성들이 즉시 출력되는 퀵 스타트 리프로듀싱(Quick Start Repruducing)이라고 불리우는 모드이다. 여기서 말하는『즉시』란, 통상의 프로그램 재생 동작에 필요한 광학 헤드의 개시나 접근에 요하는 시간을 제외한 타이밍을 말하며, 재생 조작과 거의 동시에 재생음이 출력되는 시간이다.
이러한 퀵 스타트 리프로듀싱에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1996년 1월 18일자로 미국 특허 출원 제081588543호를 출원하였다. 또한, 본 출원인은 과거에 관련 미국 특허 제4,539,073호를 출원했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 #1 내지 프로그램 #5가 다중 접근 재생 모드의 동작 대상으로 된다고 하면, 각 프로그램의 선두의 수초분의 음성 데이타를 미리 D-RAM 등의 메모리에 저장시키도록 한다. 그렇게 하면, 예를 들면 프로그램 #3의 재생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우선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3의 선두의 데이타를 판독함으로써, 디스크에 대한 재생 개시가 완료하지 않는 시점에서 재생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로부터의 재생 데이타가 음성으로서 출력되어 있는 동안에 디스크 재생 동작의 개시 및 접근을 완료시켜서, 계속되는 데이타를 판독함으로써 그대로 재생 음성의 출력을 적정하게 계속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다중 접근 재생 모드는, 조작에 따른 즉시 재생음 출력이 행해지기 때문에, 예를 들면 연극, 방송 등에서 이용하는 효과음을 재생시키는 경우 등, 재생 음성의 출력 타이밍이 중요해지는 경우에 유용한 재생 모드로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디스크에 수록되는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제1 프로그램 내지 제n 프로그램까지를, 상기한 바와 같이『프로그램 #1』 내지『프로그램 #n』과 같이 『#』을 붙여 표기한다. 또한, 프로그램 번호로서 단순히『#2』와 같이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프로그램 재생 모드와 다중 접근 재생 모드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미리 프로그램 순서나 대상 프로그램을 설정하게 된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 재생 모드의 동작으로서는, 우선 사용자가 프로그램 재생 순서를 지정해 간다. 그리고 그 프로그램 재생 순서는 재생 장치 내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컴퓨터에 의해서 유지되고, 사용자의 재생 조작에 따라서, 제어기가 지정된 프로그램의 순서대로 디스크의 재생 동작을 행해간다.
또한 다중 접근 재생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대상 프로그램을 지정해 간다. 그리고 그 대상 프로그램 번호는 재생 장치 내의 제어기에 의해서 유지되고, 제어기는 전 대상 프로그램에 대해 선두의 수초분의 음성 데이타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 후 사용자가 어떤 프로그램의 재생 조작을 행함에 따라서, 즉시로 그 프로그램의 음성 출력을 행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프로그램 재생 모드나 다중 접근 재생 모드에서의 동작이 행해진 후, 다른 모드로 전환되거나, 디스크가 배출되거나, 또한 전원 오프로 된 경우 등은 사용자가 설정한 프로그램 재생 순서나 대상 프로그램의 데이타는 손실되게 된다. 따라서, 다시 그 디스크를 장착하여 전회와 마찬가지의 프로그램 재생이나 다중 접근 재생을 행하려고 해도 사용자는 프로그램 순서나 대상 프로그램의 설정을 다시 하지 않으면 안된다. 특히 몇번이나 동일한 프로그램 재생이나 다중 접근 재생을 행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대단히 번거로움을 느끼게 된다.
또한, 종래 실행되어 있던 프로그램 재생 모드나 다중 접근 재생 모드에 있어서는, 단순히 프로그램 순서나 대상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뿐으로, 그 재생시에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한 세밀한 재생 동작 제어에 대해 설정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이 때문에 프로그램 재생 모드나 다중 접근 재생 모드 등의 특수 재생시에, 각 프로그램의 재생에 대해 보다 다양한 동작 제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종 재생 모드에서의 동작 관리를 행할 수 있는 특정 재생 모드 관리 영역을 갖는 기록 매체, 및 그 특정 재생 모드 관리 영역을 이용한 특정한 재생 모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그램들이 기록되는 프로그램 영역, 및 적어도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프로그램들의 기록 위치들을 관리하기 위한 제1 관리 정보와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프로그램들의 재생시에 재생 동작을 규정하는 제2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관리 영역으로 구성된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 재생 순서를 열거하는 기록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요구된 프로그램들을 열거하기 위한 조작부; 상기 조작부에 의해 열거된 프로그램 순서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열거 순서를 기초로 상기 관리 영역의 상기 제2 관리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갱신부를 구비한 기록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그램들이 기록되는 프로그램 영역, 및 적어도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프로그램들의 기록 위치들을 관리하기 위한 제1 관리 정보와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프로그램들의 재생시에 재생 동작을 규정하는 제2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관리 영역으로 구성된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 재생 순서를 열거하는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요구된 프로그램들을 열거하기 위한 제1 조작부; 상기 제1 조작부에 의해 열거된 프로그램 순서를 저장하기 위한 제1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열거 순서를 기초로 상기 관리 영역의 상기 제2 관리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갱신부; 상기 관리 영역의 상기 제2 관리 정보를 참조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열거된 프로그램들의 선두 부분들을 연속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제2 메모리; 상기 열거된 프로그램들의 재생 지정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조작부; 및 상기 제2 조작부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2 조작부의 동작에 대응하는 프로그램들의 선두 부분들을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출력 유닛을 구비한 기록/재생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그램들이 기록되는 프로그램 영역, 및 적어도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프로그램들의 기록 위치들을 관리하기 위한 제1 관리 정보와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프로그램들의 재생시에 재생 동작을 규정하는 제2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관리 영역을 구비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록/재생 장치의 외관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록/재생 장치의 블럭도.
도 3a는 도 2의 메모리(13) 안의 데이타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
도 3b는 도 2의 메모리(13) 안의 다중 접속 영역에 저장된 데이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록 매체의 관리 영역 U-TOC 섹터 0의 데이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링크 조건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록 매체의 관리 영역 U-TOC 섹터 6의 데이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록 매체의 관리 영역 U-TOC 섹터 6의 일 슬롯의 데이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록 매체의 관리 영역 U-TOC 섹터 6의 제1 슬롯 링크 조건들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록 매체의 관리 영역 U-TOC 섹터 6의 제2 슬롯 링크 조건들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0a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b는 프로그램 열거에 의해 실시된 프로그램 순서를 나타내는 이행도.
도 10c는 다중 접근 열거에 의해 실시된 프로그램 순서를 나타내는 이행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관리 영역 U-TOC 섹터 6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2는 프로그램 설정을 실시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3은 프로그램 재생을 실시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4는 다중 접근 설정을 실시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5는 다중 접근 재생을 실시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크
3 : 광학 헤드
11 : 시스템 제어기
13 : 버퍼 메모리
19 : 조작부
20 : 표시부
21 : 디지탈 신호 처리부
27 : 조그 다이얼
39 : 숫자 키
이하, 도 1 내지 도 1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설명이 주어진다. 이 실시예는 기록 매체로서 음성 데이타를 기록 재생할 수 있는 광자기 디스크(미니 디스크)를 예로 들고, 또한 재생 장치로서는 미니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를 예로 든다.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
2. U-TOC 섹터 0
3. U-TOC 섹터 6
4. U-TOC 섹터 6의 관리예 I
5. U-TOC 섹터 6의 관리예 II
6. 프로그램 재생 모드의 동작
7. 다중 접근 재생 모드의 동작
〈1.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
이제, 도 1 내지 도 3에 의해 미니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기록/재생 장치의 외관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 기록/재생 장치의 전방 패널에는 액정 표시 장치 등에 의한 표시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표시부(20)에는 기록/재생하고 있는 디스크의 동작 상태, 프로그램 번호, 기록 시간/재생 시간, 편집 동작 상태, 재생 모드 등이 표시된다. 또한,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서는 디스크에 문자 정보를 기록할 수 있지만, 그 문자 정보가 입력 될 때의 입력 문자의 표시나, 디스크로부터 판독한 문자 정보의 표시 등이 실행된다.
전원키(33)는 기록 재생 장치의 전원 온/오프의 조작을 위해 설치된다.
또한, 전방 패널에는 기록/재생 장치에 디스크를 삽입하고, 또한 배출키(34)의 조작에 따라서 디스크가 착탈되는 디스크 삽입부(22)가 설치된다.
또한, 전방 패널에는 기록/재생에 관한 조작을 위한 각종 조작 수단이 설치된다. 즉, 재생키(24), 일시 정지키(23), 정지키(25), 녹음키(26), 조깅(jogging) 접근 동작을 실행시키는 자동 음악 센서(AMS) 조작 다이얼(27)(이하, 조그 다이얼로 약칭함), 고속 재생 동작을 실행시키는 검색키(28) 등이 설치된다. 이들은 소위 음성의 기록/재생 동작에 관한 기본적인 조작키가 된다. 조그 다이얼(27)은 그 회전 조작에 의해, AMS(조깅 메시지 검색)를 지시하는 조작부로 되지만, 편집 모드의 하나인 문자 입력 모드(디스크명 입력 모드 혹은 프로그램명 입력 모드)에 있어서는, 조그 다이얼(27)의 회전 조작이 문자 선택을 보조하기 위한 증감 조작으로 된다.
또한, 후술하는 편집 모드인 프로그램 설정 모드나 다중 접근 설정 모드에서는 조그 다이얼(27)의 회전 조작이 프로그램 번호 선택시의 증감 조작으로 된다. 또한, 후술하는 프로그램 재생 모드 또는 다중 접근 재생 모드에 있어서는, 리스트의 선택시의 증감 조작에도 이용된다.
또한, 조그 다이얼(27)은 가압 조작 가능하게 되고, 이 가압 조작은 디스크명 입력 모드, 프로그램명 입력 모드, 프로그램 설정 모드, 다중 접근 설정 모드 등에 있어서의 엔터 조작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조그 다이얼(26)의 가압 조작은 재생키(24)의 조작과 마찬가지로 재생 조작을 겸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들 조작 수단과 함께 숫자키(39)가 설치된다.
이 숫자키(39)는 예를 들면『1』 키로부터 『25』키, 및 26 이상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25』키가 설치된다.
숫자키(39)는, 재생시키는 프로그램 번호를 직접 선택하는 경우나, 프로그램 설정 모드, 다중 접근 설정 모드에서의 프로그램 번호 입력, 또한 프로그램 재생 모드, 다중 접근 재생 모드에서의 리스트의 선택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다중 접근 재생 모드에 있어서 재생 대상이 되는 각 프로그램이 각 숫자키에 할당됨으로써, 숫자키가 각 프로그램의 재생키로 된다. 이들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편집 모드의 조작을 위한 키로서 편집키(29), 예스키(30), 캔슬키(31)가 설치된다. 편집키(29)는 각종 편집 모드의 호출 및 종료의 조작을 위해 이용되고, 또한 예스키(30), 캔슬키(31)가 편집 중의 조작에 이용된다.
편집 모드로서, 각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제목 등의 문자를 입력하는 프로그램명 입력 모드, 디스크에 대한 명칭 등의 문자를 입력하는 디스크명 입력 모드, 등록되어 있는 문자 정보를 소거하는 명칭 소거 모드, 1개의 프로그램을 복수의 프로그램으로 분할하는 분할 모드, 복수의 프로그램을 1개의 프로그램으로 결합하는 결합 모드, 프로그램을 소거하는 소거 모드, 프로그램 재생의 등록을 행하는 프로그램 설정 모드, 다중 접근 재생의 등록을 행하는 다중 접근 설정 모드 등이 있다.
재생 모드의 조작을 위한 키로서 연속 재생키(35), 프로그램키(36), 셔플키(37), 및 다중 접근키(38)가 설치된다. 이들 키를 조작함으로써, 재생 모드로서 연속 재생 모드, 프로그램 재생 모드, 셔플 재생 모드, 다중 접근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된다.
또한, 본 예에서는 이들 조작 수단이 기록/재생 장치의 전방 패널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예를 들면 기록/재생 장치를 적외선 등에 의한 원격 제어 유닛에 의해 조작할 수 있도록, 원격 제어 유닛 상에 이들 조작 수단을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의 미니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 2에서 설명한다.
음성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광자기 디스크(1)는 스핀들 모터(2)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광자기 디스크(1)에 대해서는 기록/재생시에 광학 헤드(3)에 의해서 레이저광이 조사된다.
광학 헤드(3)는, 기록시에는 기록 프로그램을 퀴리 온도까지 가열하기 위한 고레벨의 레이저 출력을 행하고, 또한 재생시에 자기 커(Kerr) 효과에 의해 반사광으로부터 데이타를 검출하기 위한 비교적 저레벨의 레이저 출력을 행한다.
이 때문에, 광학 헤드(3)에는 레이저 출력 수단으로서의 레이저 다이오드, 편광빔 분할기 및 대물 렌즈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학계, 및 반사광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가 탑재되어 있다. 대물 렌즈(3a)는 2축 기구(4)에 의해 디스크 반경 방향 및 디스크에 접촉 분리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한, 디스크(1)를 사이에 두고 광학 헤드(3)와 대향하는 위치에 자기 헤드(6a)가 배치되어 있다. 자기 헤드(6a)는 공급된 데이타에 의해 변조된 자계를 광자기 디스크(1)에 인가하는 동작을 행한다.
광학 헤드(3) 및 자기 헤드(6a)의 전체는, 스레드 기구(5)에 의해 디스크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재생 동작의 결과로 광학 헤드(3)에 의해 디스크(1)로부터 검출된 정보는 RF 증폭기(7)에 공급된다. RF 증폭기(7)는 공급된 정보의 연산 처리에 의해, RF 재생 신호, 프로그래밍 에러 신호 TE, 초점 에러 신호 FE 및 그룹 정보〔광자기 디스크(1)에 방어 그루브(워블링 그루브)로서 기록되어 있는 절대 위치 정보〕 GFM 등을 추출한다.
추출된 RF 재생 신호는 엔코더/디코더부(8)에 공급된다. 또한, 프로그래밍 에러 신호 TE, 초점 에러 신호 FE는 서보 회로(9)에 공급되고, 그룹 정보 GFM은 어드레스 디코더(10)에 공급된다.
서보 회로(9)는 공급된 프로그래밍 에러 신호 TE, 초점 에러 신호 FE나,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는 시스템 제어기(11)로부터의 프로그램 점프 및 접근 명령들, 스핀들 모터(2)의 회전 속도 정보 등에 의해 각종 서보 구동 신호를 발생시켜서, 2축 기구(4) 및 스레드 기구(5)를 제어하여 초점 및 프로그래밍 제어를 행하고, 또한 스핀들 모터(2)를 일정 선속도(CLV)로 제어한다.
어드레스 디코더(10)는 공급된 그룹 정보 GFM을 디코딩하여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한다. 이 어드레스 정보는 시스템 제어기(11)에 공급되고, 각종 제어 동작에 이용된다.
또한, 재생 RF 신호에 대해서는 엔코더/디코더부(8)에 있어서 EFM(Eight-Fourteen demodulation coding) 복조, CIRC(Cross-Interleaved Reed-Solomon coding) 등의 디코딩 처리가 행해지지만, 이때 어드레스, 서브 코드 데이타 등도 추출되어 시스템 제어기(11)에 공급된다.
엔코더/디코더부(8)에서 EFM 복조, CIRC 등의 디코딩 처리된 음성 데이타는 메모리 제어기(12)에 의해서 일단 버퍼 메모리(13)에 기록된다. 또, 광학 헤드(3)에 의한 디스크(1)로부터의 데이타의 판독 및 광학 헤드(3)로부터 버퍼 메모리(13)까지의 계통에 있어서의 재생 데이타의 전송은 1.4 Mbit/sec이지만, 간헐적으로 행해진다.
버퍼 메모리(13)에 기록된 데이타는, 재생 데이타의 전송이 0.3 Mbit/sec로 되는 타이밍으로 판독되고, 엔코더/디코더부(14)에 공급된다. 그리고, 음성 압축 처리에 대한 디코딩 처리 등의 재생 신호 처리가 실시되고, 44.1 KHZ 샘플링, 16 비트양자화의 디지탈 음성 신호로 된다. 이 디지탈 음성 신호는 예를 들면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21)에서 이퀄라이징, 반향 및 이득 등의 조정 처리가 행해진 후, D/A 변환기(15)에 의해서 아날로그 신호로 되고, 출력 단자(16)로부터 소정의 증폭 회로부로 공급되어 재생 출력된다. 예를 들면, 좌우 음성 신호로서 출력된다.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는, 소위 DSP(디지탈 신호 처리기) 등으로 형성되고, 각종 다양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종 모드의 음향 설정에서의 이퀄라이징 처리뿐만 아니라, 서서히 이득(출력 음량 레벨)을 변화시킴으로써 페이드-인, 페이드-아웃 등의 처리 등도 가능하다.
또, 이러한 처리부를 D/A 변환기(15)의 후단에 설치하고, 아날로그 처리에 의해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광자기 디스크(1)에 대해 기록 동작이 실행될 때는, 입력 단자(17)에 공급된 기록 신호(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A/D 변환기(18)에 의해서 디지탈 데이타로 된 후 엔코더/디코더부(14)에 공급되고, 음성 압축 엔코딩 처리를 실시한다.
엔코더/디코더부(14)에 의해서 압축된 기록 데이타는 메모리 제어기(12)에 의해서 일단 버퍼 메모리(13)에 기록되고, 또한 소정 타이밍으로 판독되어 엔코더/디코더부(8)로 전송된다. 그리고 엔코더/디코더부(8)에서 CIRC 엔코딩, EFM 변조 등의 엔코딩 처리된 후, 자기 헤드 구동 회로(6)에 공급된다.
자기 헤드 구동 회로(6)는 엔코딩 처리된 기록 데이타에 따라서, 자기 헤드(6a)에 자기 헤드 구동 신호를 공급한다. 즉, 광자기 디스크(1)에 대해 자기 헤드(6a)에 의한 N 또는 S의 자계 인가를 실행시킨다. 또한, 이 때 시스템 제어기(11)는 광학 헤드에 대해 기록 레벨의 레이저광을 출력하도록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도 2는 사용자 조작을 위해 제공되는 부분들을 도시하며, 이것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각종 조작키나 다이얼에 해당한다. 이들 조작키나 다이얼에 의한 조작 정보는 시스템 제어기(11)에 공급되고, 시스템 제어기(11)는 조작 정보에 따른 동작 제어를 실행하게 된다.
또한, 표시부(20)는 도 1과 같이 케이스 상에 설치됨으로써, 이 표시 동작은 시스템 제어기(11)에 의해서 제어된다.
그런데, 디스크(1)에 대해 기록/재생 동작을 행할 때는, 디스크(1)에 기록되어 있는 관리 정보, 즉 P-TOC (Pre-Mastered TOC) 영역 및 U-TOC 영역을 판독할 필요가 있다. 시스템 제어기(11)는 이들 관리 정보에 따라서 디스크(1) 상의 기록하여야 할 영역의 어드레스나, 재생하여야 할 영역의 어드레스를 판별하게 된다.
판독된 관리 정보는 버퍼 메모리(13)에 유지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기(11)는 이들 관리 정보를, 디스크(1)가 장착되었을 때에 관리 정보가 기록된 디스크의 최내측 주변의 재생 동작을 실행시킴에 따라 판독하여 버퍼 메모리(13)에 기억해 놓고, 이후 그 디스크 (1)에 대한 기록/재생 동작시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U-TOC는 데이타의 기록이나 소거에 따라서 편집되어 재기록될 수 있지만, 시스템 제어기(11)는 기록/소거 동작을 할 때마다 이 편집 처리를 버퍼 메모리(13)에 기억된 U-TOC 정보에 대해 행하고, 그 재기록 동작에 따라서 소정의 타이밍으로 디스크(1)의 U-TOC 영역에 대해서도 재기록하도록 하고 있다.
버퍼 메모리(13)는, 예를 들면 도 3a와 같이 영역 설정되고, 상기한 기록 데이타/재생 데이타는 버퍼 영역(13A)에서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또한, 디스크로부터 판독한 P-TOC 및 U-TOC의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해서 TOC 영역(13C)이 준비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중 접근 재생 모드에 있어서 소정 프로그램의 선두 수초(본 예에서는 8초로 함)분의 음성 데이타를 기억할 필요가 있어, 이 때문에 다중 접근 영역(13B)이 준비되어 있다.
상세히 후술하지만, 다중 접근 재생 모드에 있어서 프로그램 #9, #10, #15, #4, #7이 재생 대상 프로그램으로 되는 경우는, 도3b와 같이, 다중 접근(13B)에 프로그램 #9, #10, #15, #4, #7의 각각에 대해 디스크(1)로부터 판독되는 선두 8초분의 음성 데이타가 기억된다.
〈2. U-TOC 섹터 0〉
여기서, 디스크(1)에 있어서 음성 데이타 등의 기록/재생 동작의 관리를 행하는 U-TOC 섹터에 대해 설명해 간다.
또, 디스크(1)에 있어서의 TOC 정보로서는 U-TOC와 P-TOC가 설치되지만, 이 P-TOC는 디스크(1)의 최내주측의 피트(pit) 영역에 형성되는 것으로, 판독 전용의 정보이다. 그리고, P-TOC에 의해서 디스크의 기록 가능 영역(기록 가능 사용자 영역)이나, 판독 영역, U-TOC 영역 등의 위치의 관리 등이 행해진다.
P-TOC 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U-TOC는 1개의 섹터로 1개의 관리 정보 유닛이 형성되어 있고, U-TOC 섹터로서는 섹터 0, 섹터 1, 섹터 2, 섹터 4가 정의되어 있다. 그리고 섹터 0은 디스크(1)의 기록/재생 동작에 반드시 필요한 영역이다. 또한, 섹터 1, 섹터 4는 문자 정보, 섹터 2는 녹음 시간을 기록하는 영역으로 된다.
이들 영역에 덧붙여, 본 예에서는 특히 섹터(6)를 이용하여 새로운 관리 정보 유닛을 설치한다.
문자 정보를 기록하는 섹터 1, 섹터 4, 및 녹음 시간을 기록하는 섹터 2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여기서는, 우선 디스크(1)의 기록/재생 동작에 반드시 필요해지는 U-TOC 섹터 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U-TOC 섹터 0의 포맷을 도시한 것이다.
U-TOC 섹터 0은, 주로 사용자가 녹음을 행하는 프로그램의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데이타 영역, 또는 새로운 프로그램이 녹음 가능한 자유 영역이다.
예를 들면, 디스크(1)에 어떤 프로그램의 녹음을 행하고자 할 때는, 시스템 제어기(11)는, U-TOC 섹터 0으로부터 디스크 상의 자유 영역을 찾아 내고, 여기에 음성 데이타를 기록해 가게 된다. 또한, 재생시에는 재생하여야 할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영역을 U-TOC 섹터 0으로부터 판별하고, 그 영역에 접근하여 재생 동작을 행한다.
U-TOC 섹터 0의 데이타 영역(4바이트×588의 2352바이트)은, 선두 위치에 모두 0 또는 모두 1의 1 바이트 데이타가 나란히 형성되는 동기 패턴이 기록된다.
계속해서 클러스터 어드레스(Cluster H) (Cluster L) 및 섹터 어드레스(Sector)가 되는 어드레스가 이어지고, 모드 정보(M0DE)가 4바이트 부가되며, 이후 헤더가 제공된다.
섹터는 2352바이트의 데이타 단위이며, 36섹터가 1클러스터로 된다. 동기 패턴 및 어드레스에 대해서는 이 U-TOC 섹터 0에 한하지 않고, P-TOC 섹터나, 실제로 음성 데이타가 기록되는 데이타 섹터라도, 그 섹터 단위에 기록되어 있다.
클러스터 어드레스는 상위 어드레스(Cluster H)와 하위 어드레스(Cluster L)의 2바이트로 기록되고, 섹터 어드레스(Sector)는 1바이트로 기록된다.
소정 바이트 위치에, 메이커 코드, 모델 코드, 최초 프로그램 번호(First TN0), 최종 프로그램 번호(Last TN0), 섹터 사용 상황(Used sectors), 디스크 일련 번호, 디스크 ID 등의 데이타가 연속 기록된다.
또한, 사용자가 녹음을 행하여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영역이나 자유 영역 등을 후술하는 관리 테이블에 대응시킴에 따라 식별하기 때문에, 대응 테이블 지시부로서 각종 테이블 포인터(P-DFA, P­EMPTY, P-FRA, P-TN01 내지 P-TN0255)가 기록되는 영역이 준비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블 포인터(P- DFA 내지 P-TN0255)에 대응시키게 되는 관리 테이블부로서 (01h) 내지 (FFh)까지의 255개의 부분 테이블이 설치되고, 각각의 부분 테이블에는 어떤 부분에 대해 기점이 되는 시작 어드레스, 종단이 되는 종료 어드레스, 그 부분의 모드 정보(프로그램 모드)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각 부분 테이블로 표시되는 부분이 다른 부분으로 계속해서 연결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그 연결되는 부분의 시작 어드레스 및 종료 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는 부분 테이블을 도시한 링크 정보가 기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h』를 붙인 수치는 16진수 표기인 것이다. 또한, 부분란 1개의 프로그램 내에서 시간적으로 연속한 데이타가 물리적으로 연속하여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부분의 것을 말한다.
이 종류의 기록/재생 장치에서는, 1개의 프로그램 데이타를 물리적으로 불연속으로, 즉 복수의 부분에 걸쳐 기록되어 있더라도 부분간에서 접근하면서 재생해 감에 따라 재생 동작에 지장은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녹음하는 프로그램 등에 대해서는, 녹음 가능 영역의 효율 사용 등의 목적으로부터, 복수 부분으로 나누어 기록하는 경우도 있다.
그 때문에, 링크 정보가 설치되고, 예를 들면 각 부분 테이블에 부여된 번호(01h) 내지 (FFh)에 의해서, 연결하여야 할 부분 테이블을 지정함으로써 부분 테이블을 연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U-TOC 섹터 0에 있어서의 관리 테이블부에서는, 1개의 부분 테이블은 1개의 부분을 표현하고 있고, 예를 들면 3개의 부분이 연결되어 구성되는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링크 정보에 의해 연결되는 3개의 부분 테이블에 의해서 그 부분 위치의 관리는 이루어진다.
또, 실제로는 링크 정보는 소정의 연산 처리에 의해 U-TOC 섹터 0 내의 바이트 위치로 되는 수치로 표시된다. 즉, 304+(링크 정보) × 8(바이트째)로서 부분 테이블을 지정한다.
U-TOC 섹터 0의 관리 테이블부에서의 (01h) 내지 (FFh)까지의 각 부분 테이블은, 대응 테이블 지시부에서의 테이블 포인터(P-DFA, P-EMPTY, P-FRA, P-TN01 내지 P-TN0255)에 의해서, 이하와 같이 그 부분의 내용이 표시된다.
테이블 포인터 P-DFA는 광자기 디스크(1) 상의 결함 영역에 붙어 도시하고 있고, 상처 등에 의한 결함 영역이 되는 프로그램 부분이 표시된 1개의 부분 테이블 또는 복수의 부분 테이블 내의 선두의 부분 테이블을 지정하고 있다. 즉, 결함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는 테이블 포인터 P-DFA에서 (01h) 내지 (FFh) 중 어느 하나가 기록되어 있고, 그에 상당하는 부분 테이블에는 결함 부분이 시작 및 종료 어드레스에 의해서 도시되어 있다. 또한, 그 외에도 결함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는, 그 부분 테이블에 있어서의 링크 정보로서 다른 부분 테이블이 지정되고, 그 부분 테이블에도 결함 부분이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또 다른 결함 부분이 없는 경우에는 링크 정보는 예를 들면『(00h)』로 되고, 이후 링크 없음으로 된다.
테이블 포인터 P­EMPTY는 관리 테이블부에서의 1 또는 복수의 미사용의 부분 테이블의 선두의 부분 테이블을 도시한 것으로, 미사용의 부분 테이블이 존재하는 경우는 테이블 포인터 P-EMPTY로서, (01h) 내지 (FFh) 중 어느 하나가 기록된다. 미사용의 부분 테이블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는, 테이블 포인터 P­EKPTY에 의해서 지정된 부분 테이블로부터 링크 정보에 의해서 순차 부분 테이블이 지정되어 가고, 모든 미사용의 부분 테이블이 관리 테이블부 상에서 연결된다.
테이블 포인터 P- FRA는 광자기 디스크(1) 상의 데이타의 기록 가능한 자유 영역(소거 영역을 포함)에 대해 도시하고 있고, 자유 영역이 되는 프로그램 부분이 표시된 1 또는 복수의 부분 테이블 내의 선두의 부분 테이블을 지정하고 있다. 즉, 자유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는 테이블 포인터 P- FRA에서 (01h) 내지 (FFh) 중 어느 하나가 기록되어 있고, 그에 상당하는 부분 테이블에는 자유 영역인 부분이 시작 및 종료 어드레스에 의해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부분이 여러개 있고, 즉 부분 테이블이 여러개 있는 경우는 링크 정보에 의해 링크 정보가 『(00h)』가 되는 부분 테이블까지 순차 지정되어 있다.
도 5에 부분 테이블에 의해, 자유 영역이 되는 부분의 관리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이것은 부분 (03h) (18h) (1Fh) (2Bh) (E3h)가 자유 영역으로 되어 있을 때에, 이 상태가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타 P-FRA에 계속해서 부분 테이블(03h1) (18h) (1Fh) (2Bh) (E3h)의 링크에 의해서 표현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 상기한 결함 영역이나 미사용 부분 테이블의 관리 형태도 이것과 마찬가지로 된다.
그런데, 전혀 프로그램 등의 음성 데이타의 기록이 이루어지지 않고 결함도 없는 광자기 디스크라면, 테이블 포인터 P­FRA에 의해서 부분 테이블(01h)이 지정되고, 이것에 의해서 디스크의 기록 가능 사용자 영역의 전체가 자유 영역인 것이 표시된다. 그리고, 이 경우 나머지 (02h) 내지 (FFh)의 부분 테이블은 사용되어 있지 않도록 되기 때문에, 상기한 테이블 포인터 P-EMPTY에 의해서 부분 테이블(02h)이 지정되고, 또한 부분 테이블(02h)의 링크 정보로서 부분 테이블(03h)이 지정되고……, 라고 하는 바와 같이 부분 테이블(FFh)까지 연결된다. 이 경우 부분 테이블(FFh)의 링크 정보는 이후 연결 없음을 도시한『(00h)』로 된다.
또, 이 때 부분 테이블(01h)에 대해서는, 시작 어드레스로서는 기록 가능 사용자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가 기록되고, 또한 종료 어드레스로서는 판독 시작 어드레스 직전의 어드레스가 기록되게 된다.
테이블 포인터 P-TN01 내지 P-TN0255는, 광자기 디스크(1)에 사용자가 기록을 행한 프로그램 등의 프로그램에 대해 도시하고 있고, 예를 들면 테이블 포인터 P-TN01에서는 프로그램 #1의 데이타가 기록된 1 또는 복수의 부분 중 시간적으로 선두가 되는 부분이 표시된 부분 테이블을 지정하고 있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 #1로 된 프로그램이 디스크 상에서 프로그램이 분단되지 않고, 즉 1개의 부분으로 기록되어 있는 경우는, 그 프로그램 #1의 기록 영역은 테이블 포인터 P-TN01에서 나타내는 부분 테이블에 있어서의 시작 및 종료 어드레스로서 기록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프로그램 #2로 된 프로그램이 디스크 상에서 복수의 부분에 이산적으로 기록되어 있는 경우는, 그 프로그램 #2의 기록 위치를 도시하기 위해서 각 부분이 시간적인 순서에 따라 지정된다. 즉, 테이블 포인터 P-TN02에 지정된 부분 테이블로부터, 또한 링크 정보에 의해서 다른 부분 테이블이 순차 시간적인 순서에 따라서 지정되어 링크 정보가 『(00h)』가 되는 부분 테이블까지 연결된다(상기, 도 5와 마찬가지 형태).
이와 같이, 예를 들면 프로그램 #2을 구성하는 데이타가 기록된 전 부분이 1페이지 다음에 지정되어 기록되어 있음으로써, 이 U-TOC 섹터 0의 데이타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2의 재생시나, 그 프로그램 #2가 기록된 영역에의 어드레스 기록을 행할 때에, 광학 헤드(3) 및 자기 헤드(6)를 접근시켜서 이산적인 부분으로부터 연속적인 음성 정보를 추출하거나, 기록 영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한 기록이 가능하게 된다.
각 부분 테이블에 설치되는 프로그램 모드의 정보로서는 그 1바이트의 각 비트에 의해 소정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프로그램 모드의 데이타가 되는 d1 내지 d8의 8비트로서, 예를 들면 d2가 『0』 또는『1』인 것으로 복사 방지의 온/오프 상태가 표시된다. 또한, d4가 『1』인 경우는 그 부분은 음성 데이타라고 식별된다. 또한 d7에 대해서는 모노/ 스테레오의 식별, d8에 대해서는 강세 정보에 이용되고 있다.
〈3. U-TOC 섹터 6〉
본 예에서는, U-TOC 내의 하나의 유닛인 U-TOC 섹터 6으로서의 영역을 이용하여 특정한 재생 모드에 관한 관리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정한 재생 모드는 어떤 것으로 할지는 따로 한정되지 않지만, 본 예에서는 프로그램 재생 모드, 및 다중 접근 재생 모드로 하고, 이들 재생 모드에 관한 관리 정보를 U-TOC 섹터 6에 기록하게 한다. 또, 본 예에서는 U-TOC 섹터 6을 이용하고 있지만, 섹터 7 등의 다른 U-TOC 섹터를 이용하여, 이하 설명하는 포맷의 영역을 설정하여도 좋다.
도 6에 U-TOC 섹터 6의 포맷을 도시한다. 선두의 헤더에는, 다른 섹터와 마찬가지로 동기 패턴, 클러스터 어드레스, 섹터 어드레스, 모드가 기록된다.
이 U-TOC 섹터 6에서는, A 리스트 포인터부와 A 슬롯부에 의한 1개의 관리 영역(이하, A 관리 영역)이 형성되고, 또한 B 리스트 포인터부와 B 슬롯부에 의한 1개의 관리 영역(이하, B 관리 영역)이 형성된다.
본 예에서는, A 리스트 포인터부와 A 슬롯부에 의한 A 관리 영역에서는, 프로그램 재생 모드에 관한 관리 정보를 기록하고, 또한 B 리스트 포인터부와 B 슬롯부에 의한 B 관리 영역에서는, 다중 접근 재생 모드에 관한 관리 정보를 기록하도록 한다.
A 관리 영역에서의 A 리스트 포인터부에는, 128개의 리스트 포인터 P­LST·A1 내지 P-LST·A128이 설치된다.
또한, A 슬롯부에는 각 4바이트로 255단위의 슬롯(A­01h) 내지 (A­FFh)가 설치된다.
각 슬롯(A-01h) 내지 (A­FFh)는 도 7과 같이 구성된다. 즉 1바이트로 프로그램 번호가 기록되고, 2바이트로 프로그램 재생시에 있어서의 그 프로그램의 재생 동작에 관한 각종 정보(이하, 리스트 프로그램 모드)가 기록된다. 또한 1바이트는 링크 정보로 된다.
이와 같은 A 관리 영역에서, 프로그램 재생 모드에 대한 관리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프로그램 재생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그램 순서를 지정해 가게 되지만, 그와 같은 조작으로 형성된 1단위의 프로그램 리스트(사용자의 설정한 프로그램순)의 리스트로서 기록된다. 리스트 포인터 P-LST·A1 내지 P-LST·A128이 준비되어 있음으로써, 최고 128개의 프로그램 리스트를 A 관리 영역 내에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그램 리스트가 등록된 어떤 리스트 포인터 P- LST·A(x)에는, 어떤 슬롯 (A-xxh)가 지정되어 있고, 그 슬롯(A-xxh)에는 그 프로그램 리스트의 최초 프로그램 번호, 리스트 프로그램 모드가 기술된다. 또한 링크 정보에 의해 다른 슬롯으로 링크되고, 그 링크된 슬롯에 다음 프로그램 번호, 리스트 프로그램 모드가 기술된다고 하는 바와 같이 1개의 프로그램 리스트가 관리된다.
또, 슬롯(A-01h) 내지 (A­FFh) 중에 사용되어 있지 않는 슬롯은 슬롯 포인터 P­EMPTY·A에서의 링크에 의해서 관리된다.
B 관리 영역에 있어서의 B 리스트 포인터부에는, 128개의 리스트 포인터 P-LST·B1 내지 P­LST·B128이 설치된다.
또한 B 슬롯부에는 각 4바이트로 255단위의 슬롯(B-01h) 내지 (B-FFh)가 설치된다.
각 슬롯(B-01h) 내지 (B- FFh)도 A 슬롯부와 마찬가지로 도 7과 같이 구성된다.
이와 같은 B 관리 영역에서, 다중 접근 재생 모드에 대한 관리가 행해진다. 다중 접근 재생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대상이 되는 프로그램을 지정해 가도록 되지만, 그와 같은 조작으로 형성된 1단위의 다중 접근 리스트(사용자의 설정한 대상 프로그램군)이 1개의 리스트로서 기록된다.
리스트 포인터 P- LST·B1 내지 P-LST·B128이 준비되어 있음으로써, 최고 128개의 다중 접근 리스트를 B 관리 영역 내에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A 관리 영역과 마찬가지로, 다중 접근 리스트가 등록된 어떤 리스트 포인터 P- LST·B(x)에는, 어떤 슬롯 (B-xxh)가 지정되어 있고, 그 슬롯(B-xxh)에는 그 다중 접근 리스트의 최초 프로그램 번호, 리스트 프로그램 모드가 기술된다. 또한, 링크 정보에 의해 다른 슬롯으로 링크되고, 그 링크된 슬롯에 다음 프로그램 번호, 리스트 프로그램 모드가 기술되는 바와 같이 1개의 다중 접근 리스트가 관리된다.
슬롯(B-01h) 내지 (B-FFh) 중에 사용되어 있지 않는 슬롯은 슬롯 포인터 P ­ EMPTY·B에서의 링크에 의해서 관리된다.
각 슬롯(A­01h) 내지 (A­FFh), (B-01h) 내지 (B­FFh)에 있어서의 2바이트의 리스트 프로그램 모드로서는, 그 2바이트(16비트)를 이용하여 각종 동작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재생시의 이득(음량 레벨), 페이드 인, 페이드 아웃, 뮤트 등의 동작의 지정, 출력 음성의 이퀄라이징, 톤(베이스 부스트 등), 반향 등의 지정을 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재생시에 있어서의 표시하는 정보의 종별이나 문자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의 글꼴, 알파벳/가나 별 등으로 지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프로그램의 일부만을 재생시키기 위한 정보를 기록하도록 하는 것도 고려된다.
이 리스트 프로그램 모드에 의해, 설정된 어떤 프로그램 리스트나 어떤 다중 접근 리스트에 기초하는 동작을 실행할 때의, 각 프로그램의 재생 상태 등을 세밀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예에서는 A 관리 영역에서 프로그램 재생에 관한 관리를 행하고, B 관리 영역에서 다중 접근 재생에 관한 관리를 행하도록 하지만, A 관리 영역, B 관리 영역을 어떠한 재생 모드에 관한 관리에 이용할지는 여러가지로 고려된다. 즉, 프로그램 재생이나 다중 접근 재생 이외의 재생 모드에 관한 관리에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A 관리 영역과 B 관리 영역은 반드시 다른 재생 모드의 관리에 할당하지 않으면 안되고, 예를 들면 A 관리 영역과 B 관리 영역의 양쪽을 프로그램 재생에 관한 관리 정보를 기록하도록 하고, 최고 256개의 프로그램 리스트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등도 고려된다.
또한, 본 예에서는 1개의 U-TOC 섹터 내에서 A 관리 영역과 B 관리 영역의 2개의 관리 영역으로 분할하도록 하였지만, 예를 들면 A 관리 영역, B 관리 영역, C 관리 영역과 같이 다수의 관리 영역 분할을 더욱 행하여도 좋다.
〈4. U-TOC 섹터 6의 관리예 I〉
상기한 바와 같이, U-TOC 섹터 6에 있어서의 A 관리 영역에서 프로그램 재생에 관한 관리를 행하고, B 관리 영역에서 다중 접근 재생에 관한 관리를 행하는경우로서의 관리예를 도 8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다.
도 10a는 어떤 디스크에 수록되어 있는 내용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디스크는 예를 들면 프로그램 #1 내지 #20의 20프로그램이 수록되어 있도록 하고, 각 프로그램으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로그램 A 내지 L의 프로그램이나, 차임 소리, 웃음 소리 등의 각종 효과음이, 각각 소정의 프로그램 번호로 기록되어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디스크에 관해 사용자가 편집 모드의 하나인 프로그램 설정 모드의 조작을 행하고, 예를 들면 도 10b와 같이 재생하는 프로그램 순서를 지정한다.
여기서, 프로그램 재생시 제1 프로그램으로서 프로그램 #2를 지정하고, 계속되는 제2 프로그램으로서 프로그램 #6을 지정하고 있다.
또한 제3 프로그램, 제4 프로그램으로서 각각 프로그램 #8, #1을 지정한다. 즉, 사용자는 프로그램 B, E, G, A를, 이 순서로 재생시키도록 프로그램 설정을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 설정에 의해서 지정된 프로그램순은, U-TOC 섹터 6의 A 관리 영역에 있어서 프로그램 리스트의 하나로서 등록된다. 지금, 이와 같은 프로그램 리스트가 리스트 포인터 P- LST·A1로부터 관리되는 제1 프로그램 리스트로 된다고 하면, 그 관리는 예를 들면 도 8과 같은 형태로 행해지게 된다.
즉, 리스트 포인터 P- LST·A(1)에는, 어떤 슬롯(예를 들면 슬롯(A- 01h))가 지정되고, 그 슬롯(A- 01h)에는, 이 프로그램 리스트의 최초의 프로그램으로 되는 제1 프로그램 번호와 리스트 프로그램 모드가 기술된다. 즉 프로그램 번호『#2』와, 이 프로그램 리스트에 기초하여 재생이 개시되고, 프로그램 #2가 재생될 때에 있어서의 재생 동작 제어(상술한 페이드 인, 이퀄라이징, 이득 등)에 관한 정보가 리스트 프로그램 모드로서 기록된다. 또, 리스트 프로그램 모드에 기록하여야 할 내용은 프로그램 등록시에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하면 좋다.
그리고 슬롯(A­01h)의 링크 정보에는 예를 들면 슬롯(A-02h)이, 섹터 내의바이트 위치 등의 값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고 하면, 슬롯(A-01h)으로부터 슬롯(A ­02h)로 링크되게 되고, 이 슬롯(A­02h)에, 제2 프로그램 번호『#6』과 그 프로그램 #6의 재생시의 동작을 위한 리스트 프로그램 모드가 기술된다.
또한 슬롯(A-02h) 이후, 링크 정보에 의해 예를 들면 슬롯(A-05h)→(A-09h)로 링크되고, 슬롯(A-05h)에 제3 프로그램 번호『#8』과 그 프로그램 #8의 재생시의 동작을 위한 리스트 프로그램 모드가, 슬롯(A-09h)에 제4 프로그램 번호『#1』과 그 프로그램 #1의 재생시의 동작을 위한 리스트 프로그램 모드가, 각각 기록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4 프로그램 밖에 프로그램하지 않았다고 하면, 제5 프로그램 이후는 없고, 따라서 제4 프로그램의 기록을 행하고 있는 슬롯(A- 09h)에서는 링크 정보 『00h』로 되어, 이후 링크되는 슬롯은 없는 것이 표시된다.
이와 같은 형태에서 1개의 프로그램 리스트가 관리되게 된다.
다음에, 도 10a와 같은 디스크에 관해 사용자가 편집 모드의 하나인 다중 접근 설정 모드의 조작을 행하고, 예를 들면 도 10c와 같이 재생 대상이 되는 프로그램을 지정한다.
여기서는 다중 접근 재생 대상으로서, 프로그램 #9(웃음 소리), 프로그램 #10(크랙션), 프로그램 #15(부저 소리), 프로그램 #4(차임 소리), 프로그램 #7의 5 프로그램을 지정한다.
그리고, 다중 접근 재생 모드에 있어서의 조작을 위한 번호로서 프로그램 #9, #10, #15, #4, #7이, 각각 제1 접근 프로그램 내지 제5 접근 프로그램으로서 할당되도록 한다.
제1 접근 프로그램이란, 도 1에 도시한 숫자키(39)에 있어서의 『1』 키에 의해 재생이 행해지는 프로그램이고, 제2 접근 프로그램이란『2』 키에 의해 재생이 행해지는 프로그램이다. 이하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다중 접근 설정을 행한 후, 사용자는 재생 모드를 다중 접근 재생 모드에 셋트하고, 『1』키로부터 『5』 키까지 중 어느 하나를 임의의 타이밍으로 조작함으로써, 그 조작한 키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즉시로 재생되게 된다. 예를 들면 연극이나 방송에서의 효과음으로서 차임 소리를 출력하고 싶은 타이밍이 있는 경우는, 그 타이밍을 적당하게 선택하여『4』키를 누르면, 그 누른 순간에 차임 소리가 출력된다.
이와 같은 다중 접근 설정에 의해서 지정된 프로그램은, U-TOC 섹터 6의 B 관리 영역에 있어서 다중 접근 리스트의 하나로서 등록된다. 지금, 이 도 10c와 같은 다중 접근 리스트가 리스트 포인터 P-LST­B1로부터 관리되는 제1 다중 접근 리스트로 된다고 하면, 그 관리는 예를 들면 도 9와 같은 형태로 행해지게 된다.
즉, 리스트 포인터 P- LST·B(1)에는, 어떤 슬롯(예를 들면 슬롯(B- 01h))가 지정되고, 그 슬롯 (B- 01h)에는, 이 다중 접근 리스트의 제1 접근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번호와 리스트 프로그램 모드가 기술된다. 즉 프로그램 번호『#9』와, 이 다중 접근 리스트에 기초를 둔 다중 접근 재생 모드로 되고, 프로그램 #9가 재생될 때에 있어서의 재생 동작 제어에 관한 정보가 리스트 프로그램 모드로서 기록된다. 또, 이 경우도 리스트 프로그램 모드에 기록하여야 할 내용은, 다중 접근 설정시에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하면 좋다.
그리고 슬롯(B-01h)의 링크 정보에는 예를 들면 슬롯(B-02h)가, 섹터 내의 바이트 위치 등의 값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고 하면, 슬롯(B-01h)으로부터 슬롯(B ­02h)로 링크되게 되고, 이 슬롯(B-02h)에, 제2 접근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번호『#10』과 그 프로그램 #10의 재생시의 동작을 위한 리스트 프로그램 모드가 기술된다.
또한 슬롯 (B-02h) 이후, 링크 정보에 의해 예를 들면 슬롯(B­03h)→(B-07h) →(B-0Ah)로 링크되고, 슬롯(B-03h)에 제3 접근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번호『#15』와 그 프로그램 #15의 재생시의 동작을 위한 리스트 프로그램 모드가, 슬롯(B­07h)에 제4 접근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번호『#4』와 그 프로그램 #4의 재생시의 동작을 위한 리스트 프로그램 모드가, 또한 슬롯(B-0Ah)에 제5 접근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번호『#7』과 그 프로그램 #7의 재생시의 동작을 위한 리스트 프로그램 모드가, 각각 기록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5개의 프로그램을 다중 접근 재생의 대상 프로그램으로 하였다고 하면, 제6 접근 프로그램 이후는 없고, 따라서 제5 프로그램의 기록을 행하고있는 슬롯(B­0Ah)에서는, 링크 정보『00h』로 되고, 이후 링크되는 슬롯은 없는 것이 표시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1개의 다중 접근 리스트가 관리되게 된다.
〈5. U-TOC 섹터 6의 관리예 II〉
U-TOC 섹터 6에 있어서의 A 관리 영역, B 관리 영역에서는 기본적으로는 이상과 같이 프로그램 재생이나 다중 접근 재생에 관한 관리 정보의 기록이 행해지게 되지만, 각 관리 영역에서는 각각 복수의 프로그램 리스트, 다중 접근 리스트가 기록 가능하다. 그리고 후술하지만, 이와 같이 기록된 1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 리스트, 다중 접근 리스트 중에서, 프로그램 재생 모드, 다중 접근 재생 모드시에 선택을 행함에 따라, 그 프로그램 리스트 혹은 다중 접근 리스트에 기초를 둔 프로그램 재생, 다중 접근 재생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복수의 리스트로부터의 선택을 행하는 것을 고려하면, 각 프로그램 리스트, 다중 접근 리스트에, 리스트명을 부가할 수 있으면 편리하게 된다. 즉 프로그램 재생 모드, 다중 접근 재생 모드시에 리스트명을 보아 가며 필요한 리스트를 선택할 수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도 11과 같은 관리 형태를 취하고, 각 프로그램 리스트, 다중 접근 리스트에 리스트명을 부가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이 도 11은, 다중 접근 리스트의 관리 형태예로서의 도 9의 예에, 리스트명을 부가한 경우이다.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스트 포인터 P-LST­B(1)로부터 슬롯(B­01h)→ (B­0211)→(B­03h)→(B­07h)→(B-0Ah)로 링크되고, 제1 내지제5 접근 프로그램으로서의 프로그램 #9, #10, #15, #4, #7이 기록되지만, 제5 접근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슬롯 (B-0Ah)로 링크를 종료시키지 않고, 예를 들면 슬롯(B-0Bh)를 링크 시킨다. 그리고 슬롯(B-0Bh)에 있어서는 프로그램 번호로서 예를 들면『#0』에 상당하는 값을 기록한다. 『#0』은 프로그램 번호로서는 있을 수 없는 수치이고, 예를 들면 이러한 수치를, 이후는 텍스트 데이타(문자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식별자로 설정한다.
그리고 이 슬롯 (B­0Bh)로부터, 입력된 리스트명으로서의 문자수에 필요한만큼의 슬롯수를 링크시켜서, 링크 정보 이외의 각 바이트 위치에 문자 데이타를 기록해 간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리스트명으로서 『EFFECT 1』이라는 명칭을 입력한 경우는, 슬롯 (B-0Bh)로부터 예를 들면 슬롯 (B-0Ch), (B­0Dh)와 2개의 슬롯을 링크시켜서, 슬롯(B­0Bh)으로부터 슬롯(B­0Dh)까지의 소정의 바이트 위치에, 도시하도록 『E』『F』『F』『E』『C』『T』『 』 『1』이라는 데이타를 기록한다.
그리고 슬롯 (B-0Dh)에 있어서는, 링크 정보를 『00h』로 하고, 여기서 링크는 종료하는 것을 나타내도록 한다.
이와 같은 관리 방식을 취함으로써, 프로그램 리스트나 다중 접근 리스트등, U-TOC 섹터 6에서 관리되는 각 리스트에 대해 명칭을 설정할 수 있다.
〈6. 프로그램 재생 모드의 동작〉
본 예의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재생 모드의 하나가 되는 프로그램 재생 모드로서는, 시스템 제어기(11)가 U-TOC 섹터 6의 정보를 판독하고, 그것을 이용하여 동작 제어를 실행하게 된다. 이 때문에 U-TOC 섹터 6의 A 관리 영역에 적어도 1개 이상의 프로그램 리스트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안된다.
이 프로그램 리스트는 사용자가 설정해 가는 것이지만, 이 설정 조작은 편집 모드의 하나인 프로그램 설정 모드에 의해서 행해진다.
우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프로그램 설정 모드로 된 경우의 시스템 제어기(11)의 처리예를 도 12에서 설명해 간다.
프로그램 설정 모드로 되면, 단계 F101에서 시스템 제어기(11)는 우선 변수 n=1에 셋트한다. 그리고 단계 F102에서 표시부(20)에 있어서 프로그램 설정 조작을 위한 필요한 표시를 실행시켜서, 사용자에게 프로그램 번호의 입력을 요구한다. 그리고 단계 F103, F104의 루프로 사용자의 조작을 감시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우선 제1 프로그램으로 되는 프로그램 번호를 입력하게 되지만, 프로그램 번호 입력이 있으면, 단계 F103으로부터 F105로 진행하고, 입력된 프로그램 번호를, 제n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번호로서 저장한다. 변수 n=1이기 때문에 우선 제1 프로그램으로서의 프로그램 번호가 저장되게 된다.
계속해서 단계 F106에서 사용자에게, 그 제1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모드 설정 요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이득, 페이드 인, 페이드 아웃, 이퀄라이징 등의 설정 메뉴 화면을 표시부(20)에 표시시켜서, 그 화면 내에서 각 파라메터의 초기값을 표시시킨다. 그리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이득 등의 각 파라메터에 대한 값이 가변되도록 한다.
프로그램 모드 입력 방식으로서는, 사용자는, 화면 상에서 특별히 필요하면 초기값이 표시된 상태로 엔터 조작을 행하고, 혹은 재생시의 동작에 대해 희망이 있으면, 필요한 파라메터의 설정을 행하고 나서 엔터 조작을 행하도록 하는 조작 방식이 고려된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프로그램 모드 정보의 입력이 행해지면, 시스템 제어기(11)의 처리는 단계 F107로부터 F108로 진행하고, 입력된 프로그램 모드 정보를 제n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모드로서 저장한다. 그리고 단계 F109에서 변수 n을 증분하여 단계 F102로 되돌아가고, 프로그램 번호 입력 요구를 행하여 단계 F103, F104의 조작 감시 루프로 들어 간다.
계속해서 사용자는, 제2번째로 재생시키고 싶은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번호를 입력하게 되지만, 이 때 변수 n=2이므로 사용자가 입력한 프로그램 번호는 단계 F105에서 제2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번호로서 저장된다. 그리고 단계 F106, F107, F108에서 제2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모드의 입력 요구 및 입력된 프로그램 모드 정보를 제2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모드로서의 저장이 행해져서, 단계 F109에서 변수 n이 증분되어 단계 F102로 되돌아간다. 이 후 마찬가지 처리로, 제3 프로그램, 제4 프로그램 등의 설정이 행해져 간다.
사용자는 원하는 프로그램 번호를 원하는 순서로 전부 입력하면, 설정 종료 조작을 행하게 되지만, 그 때의 시스템 제어기(11)의 처리는 단계 F104로부터 F110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그 때까지 저장되어 있는 제1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번호 및 그 프로그램 모드로부터, 제n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번호 및 그 프로그램 모드까지의 데이타에 의해 프로그램 리스트로서의 데이타를 생성한다.
그리고 단계 F111에서, 그 프로그램 리스트가 U-TOC 섹터 6의 어떤 리스트포인터 P­LST·A(x)로부터 관리되는 제(x) 프로그램 리스트가 되도록 U-TOC 섹터 6의 데이타 갱신을 행한다. 즉, 예를 들면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관리가 행해지도록 리스트 포인터 P-LST·A(x) 및 필요수의 슬롯에 프로그램 리스트로서의 데이타가 기록된다.
이 U-TOC 갱신 처리는 우선 버퍼 메모리(13)에 유지되어 있는 U-TOC 데이타에 대해 행해지고, 그 후, 그 버퍼 메모리(13)에 유지되어 있는 U-TOC 데이타가 디스크(1)의 U-TOC 영역에 기록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처리로 프로그램 리스트가 U-TOC 섹터 6 상에 기록됨으로써, 그 후는, 그 프로그램 리스트에 기초하는 프로그램 재생은 그 리스트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가능해져서, 사용자가 매번 동일한 프로그램 등록을 행할 필요는 없어진다.
또, 도 11과 같이 리스트명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단계 F110의 직전의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명칭 입력 요구를 행하여, 입력된 문자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면 좋다.
이상과 같은 처리에서의 프로그램 설정이 행해져서, 1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 리스트가 U-TOC 섹터 6에 기록되어 있는 디스크에 대해서는, 그 프로그램 리스트의 선택에 의한 프로그램 재생 모드 동작이 가능해진다.
프로그램 재생 모드로 된 경우의 시스템 제어기(11)의 처리를 도 13에서 설명해 간다.
디스크(1)가 장착되면, 시스템 제어기(11)는 우선 그 디스크(1)로부터 TOC 데이타를 판독하고, 버퍼 메모리(13)에 저장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서 그 디스크(1)에 대한 기록/재생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프로그램 재생 모드로 하는 조작을 행하면, 시스템 제어기(11)는 도 13의 처리를 개시하고, 우선 단계 F201에서 버퍼 메모리(13)에 유지되어 있는 TOC 정보 중 U-TOC 섹터 6에 있어서의 A 관리 영역의 검색을 행한다.
여기서, 리스트 포인터 P- LST·A1 내지 P- LST·A128의 전부가 『00h』이면, A 관리 영역에는 프로그램 리스트가 1개도 기록되어 있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는 단계 F202에서 프로그램 재생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리스트가 없다고 판단되어 단계 F203으로 진행하고, 사용자에 대해 프로그램 리스트가 존재하지 않다는 뜻의 표시를 행한다.
이와 같은 경우는, 그대로는 프로그램 재생 동작은 실행할 수 없고, 사용자는 도 12에서 상술한 프로그램 설정 모드의 조작에 의해, 적어도 1개의 프로그램 리스트를 등록할 필요가 있다.
A 관리 영역 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프로그램 리스트가 기록되어 있던 경우는, 단계 F202로부터 F204로 진행하고, 사용자에게 프로그램 재생을 실행하여야 할 프로그램 리스트의 선택을 요구한다.
이 선택을 위해서는, 예를 들면 조그 다이얼(27)이나 숫자키(39)의 조작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각 프로그램 리스트의 내용을 표시해 가거나, 혹은 소정수의 프로그램 리스트 단위로 일람 표시하게 하는 방식이 고려된다. 프로그램 리스트의 내용 표시를 위해서는, 그 프로그램 리스트로 재생되는 프로그램 번호순을 표시시키거나(예를 들면 도 8의 예의 프로그램 리스트이면 『2→6→8→1』과 같은 표시를 행함), 혹은 도 11의 예와 같이 리스트명이 부가되어 있는 경우는, 그 리스트명을 표시시키도록 하면 좋다.
사용자가 프로그램 리스트의 선택 조작을 실행하면, 단계 F205로부터 F206으로 진행하고, 그 선택된 프로그램 리스트의 프로그램순으로 재생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설정으로서, 내부 레지스터에의 프로그램 리스트 데이타의 저장 등의 필요한 처리를 행한다.
또 A 관리 영역 내에 프로그램 리스트가 1개밖에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F204, F205의 처리를 생략하여 단계 F206의 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그리고 사용자가 재생 조작을 행하면 단계 F207로부터 F208로 진행하고, 그 프로그램 리스트에 기초를 둔 재생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도 8의 예와 같은 프로그램 리스트가 선택되고, 재생 조작이 행해진 경우는 서보 회로(9)나 광학 헤드(3) 및 인코더/디코더부(8) 등의 재생 처리계에 대해 우선 제1 프로그램인 프로그램 #2의 재생을 실행시킨다. 이 때, 슬롯(A-01h)에 기록되어 있던 리스트 프로그램 모드에 따라서, 디지탈 신호 처리부(21) 등에 대한 제어를 행하고, 예를 들면 음량 레벨(이득) 설정, 페이드 인 등의 특수 처리, 이퀄라이징 등의 필요한 음향 처리도 실행시키게 된다.
그리고 프로그램 #2의 재생이 종료하면, 계속해서 제2 프로그램인 프로그램 #6의 재생을 실행시킨다. 이 때도, 슬롯(A-02h)에 기록되어 있던 리스트 프로그램 모드에 따라서, 디지탈 신호 처리부(21) 등에 대한 제어도 행한다.
그 후, 제3 프로그램인 프로그램 #8, 제4 프로그램인 프로그램 #1과 재생을 실행시켜서 프로그램 재생 동작을 끝내게 된다.
이상과 같이 프로그램 재생 동작이 실행되는 본 예에서는, 프로그램 재생을 위한 프로그램순 등은 사용자가 한번 설정을 행하면, 그 프로그램 리스트는 상기 도 12의 처리로 자동적으로 U-TOC 섹터(6)에 기록된다. 따라서, 그 후의 시점(디스크 교체가 있고 다시 그 디스크가 장착된 경우나, 일단 전원온으로 된 후 등)에서, 또 한번 이전에 설정한 프로그램순으로 프로그램 재생을 실행시키고 싶은 경우에도, 단순히 프로그램 리스트의 선택을 행하는 것만으로 좋고, 매번 프로그램 설정 조작을 행할 필요는 없어진다. 또한 본 예의 경우 최고 128개의 프로그램 리스트를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한번 설정한 프로그램 리스트를 보존한 채로 다른 프로그램 리스트를 작성해 가고, 다양한 프로그램 리스트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황에 따라 프로그램 리스트를 적당하게 사용하여 프로그램 재생을 행한다고 하는 조작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리스트 내에 프로그램 리스트 프로그램 모드로서 프로그램마다 재생 제어 데이타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프로그램 리스트 중 어떤 프로그램만은 작은 음량으로 재생시키거나, 어떤 프로그램에서는 페이드 인에 의해 재생을 개시시키고 싶은 등의 재생 상태 제어 등에 관한 요망이 있는 경우에, 그에 대응한 설정을 행하고, 재생시에 그 요망에 따른 처리를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이상의 설명은 데이타 기록 가능한 광자기 디스크에 대해 행해 왔지만, 미니 디스크 시스템은, 미리 융기된 피트로 음악 데이타 등을 기록한 재생 전용 디스크도 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재생 전용 디스크도 상기 U-TOC 섹터 6과 같은 영역을 P-TOC 섹터의 1개로서 설치하면, 디스크 작성자측이 각종 다양한 프로그램 리스트를 설정해 놓고, 사용자가 그 하나를 선택하여 프로그램 재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7. 다중 접근 재생 모드의 동작〉
다음에, 상기 프로그램 재생 모드와 동시에, 본 예의 기록 재생 장치의 재생 모드의 하나로 되어 있는 다중 접근 재생 모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다중 접근 재생 모드에서도, 시스템 제어기(11)가 U-TOC 섹터 6의 정보를 판독하고, 그것을 이용하여 동작 제어를 실행하게 된다. 그리고 이 때문에는 U-TOC 섹터 6의 B 관리 영역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다중 접근 리스트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안된다.
이 다중 접근 리스트는 사용자가 설정해 가는 것이지만, 이 설정 조작은 편집 모드의 하나인 다중 접근 설정 모드에 의해서 행해진다.
우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다중 접근 설정 모드로 된 경우의 시스템 제어기(11)의 처리예를 도 14에서 설명해 간다.
다중 접근 설정 모드로 되면, 단계 F301에서 시스템 제어기(11)는 우선 변수 n=1에 셋트한다. 그리고 단계 F302에서 표시부(20)에 있어서 다중 접근 설정 조작을 위한 필요한 표시를 실행시켜서, 사용자에게 프로그램번호의 입력을 요구한다. 그리고 단계 F303, F304의 루프로 사용자의 조작을 감시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접근 프로그램으로 하고 싶은 프로그램 번호를 입력하게 되지만, 프로그램 번호 입력이 있으면, 단계 F303으로부터 F305로 진행하고, 입력된 프로그램번호를, 제n 접근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번호로서 저장한다. 변수n=1이기 때문에 우선 제1 접근 프로그램으로서의 프로그램 번호가 저장되게 된다.
계속해서 단계 F306에서 사용자에게, 그 제1 접근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모드 설정 요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이득, 페이드 인, 페이드 아웃, 이퀄라이징 등의 설정 메뉴 화면을 표시부(20)에 표시시켜서, 그 화면 내에서 각 파라메터의 초기값을 표시시킨다. 그리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이득 등의 각 파라메터에 대한 값이 가변되도록 한다. 여기서의 프로그램 모드 입력 방식으로서는, 상기 프로그램 설정시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조작 방식이 고려된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프로그램 모드 정보의 입력이 행해지면, 시스템 제어기(11)의 처리는 단계 F307로부터 F308로 진행하고, 입력된 프로그램 모드 정보를 제n 접근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모드로서 저장한다.
그리고 단계 F309에서 변수 n을 증분시켜 단계 F302로 되돌아가서, 프로그램 번호 입력 요구를 행하여 단계 F303, F304의 조작 감시 루프로 들어 간다.
계속해서 사용자는, 그 외에도 다중 접근 모드에서의 재생 대상으로 하고 싶은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번호를 입력하게 되지만, 이 때 변수 n=2이므로 사용자가 입력한 프로그램 번호는 단계 F305에서 제2 접근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번호로서 저장된다. 그리고 단계 F306, F107, F308에서 제2 접근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모드의 입력 요구 및 입력된 프로그램모드 정보를 제2 접근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모드로서의 저장이 행해져서, 단계 F309에서 변수 n이 인크리멘트되어 단계 F302로 되돌아간다. 이후 마찬가지의 처리로, 제3 접근 프로그램, 제4 접근 프로그램 등의 설정이 행해져 간다.
사용자는 다중 접근 재생의 대상으로 하고 싶은 원하는 프로그램 번호를 전부 입력하면 설정 종료 조작을 행하도록 되지만, 그 때의 시스템 제어기(11)의 처리는 단계 F304로부터 F310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지금까지 저장되고 있는 제1 접근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번호 및 그 프로그램 모드로부터 제n 접근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번호 및 그 프로그램 모드까지의 데이타에 의해 다중 접근 리스트로서의 데이타를 생성한다.
그리고 단계 F311에서, 그 다중 접근 리스트가 U-TOC 섹터 6의 어떤 리스트 포인터 P-LST·B(x)로부터 관리되는 제(x) 다중 접근 리스트가 되도록, U-TOC 섹터 6의 데이타 갱신을 행한다. 즉, 예를 들면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관리가 행해지도록 리스트 포인터 P- LST·B(x) 및 필요수의 슬롯에 다중 접근 리스트로서의 데이타가 기록된다.
이 U-TOC 갱신 처리는 우선 버퍼 메모리(13)에 유지되어 있는 U-TOC 데이타에 대해 행해지고, 그 후, 그 버퍼 메모리(13)에 유지되어 있는 U-TOC 데이타가 디스크(1)의 U-TOC 영역에 기록된다.
이상과 같은 처리에서 다중 접근 리스트가 U-TOC 섹터 6 상에 기록됨으로써, 그 후는 그 다중 접근 리스트에 기초하는 다중 접근 재생은, 그 리스트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실행 가능해져서, 사용자가 매번 동일한 다중 접근 등록을 행할 필요는 없어진다.
또, 이 다중 접근 설정의 경우라도, 도 11과 같이 리스트명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면, 예를 들면 단계 F310의 직전의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명칭 입력 요구를 행하고, 입력된 문자 정보를 받아들이도록 하면 좋다.
이상과 같은 처리에서의 다중 접근 설정이 행해지고, 1 또는 복수의 다중 접근 리스트가 U-TOC 섹터 6에 기록되어 있는 디스크에 대해서는, 그 다중 접근 리스트의 선택에 의한 다중 접근 재생 모드 동작이 가능해진다.
다중 접근 재생 모드로 된 경우의 시스템 제어기(11)의 처리를 도 15에서 설명해 간다.
디스크(1)가 장착되고, 시스템 제어기(11)가 그 디스크(1)로부터 TOC 데이타를 판독하고, 버퍼 메모리(13)에 기억시켜서, 그 디스크(1)에 대한 기록/재생 동작이 가능한 상태가 된 후, 사용자가 다중 접근 재생 모드로 하는 조작을 행하면 시스템 제어기(11)는 도 15의 처리를 개시한다. 우선 단계 F401에서 버퍼 메모리(13)에 유지되어 있는 TOC 정보 중의 U-TOC 섹터 6에 있어서의 B 관리 영역의 검색을 행한다.
여기서, 리스트 포인터 P­LST·B1 내지 P-LST·B128의 전부가『00h』이면, B 관리 영역에는 다중 접근 리스트가 하나도 기록되어 있지 않게 된다.
이 경우는 단계 F402에서 다중 접근 재생을 실행하기 위한 다중 접근 리스트가 없다고 판단되어 단계 F403으로 진행하고, 사용자에 대해 다중 접근 리스트가 존재하지 않다는 뜻의 표시를 행한다.
이와 같은 경우는, 그대로는 다중 접근 재생 동작은 실행할 수 없고, 사용자는 도 14의 다중 접근 설정 모드의 조작에 의해 적어도 1개의 다중 접근 리스트를 등록할 필요가 있다.
B 관리 영역 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다중 접근 리스트가 기록되어 있던 경우는 단계 F402로부터 F404로 진행하고, 사용자에게 다중 접근 재생을 실행하여야 할 다중 접근 리스트의 선택을 요구한다.
이 선택을 위한 처리로서도, 상기 프로그램 리스트 선택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조그 다이얼(27)이나 숫자키(39)의 조작에 따라 순차 각 다중 접근 리스트의 내용을 표시해 가거나, 혹은 소정수의 다중 접근 리스트 단위로 일람 표시하도록 하는 방식이 고려된다. 다중 접근 리스트의 내용 표시를 위해서는, 그 다중 접근 리스트에서 재생 대상이 되는 전 프로그램 번호를 표시시키거나(예를 들면 도 9의 예의 다중 접근 리스트이면 『9, 10, 15, 4, 7』과 같은 표시를 행함), 혹은 도 11의 예와 같이 리스트명이 부가되어 있는 경우는, 그 리스트명을 표시시키도록 한다.
사용자가 다중 접근 리스트의 선택 조작을 실행하면, 단계 F405로부터 F406으로 진행한다. 또, A 관리 영역 내에 다중 접근 리스트가 1개밖에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F404, F405의 처리를 생략하여 단계 F406의 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단계 F406에서는, 선택된 다중 접근 리스트의 프로그램순으로 재생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설정으로서, 내부 레지스터에의 다중 접근 리스트 데이타의 저장, 리스트에 기록되어 있는 각 프로그램의 숫자키에의 할당 등의 필요한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도 9의 예에서 말하면, 숫자키(39)에 있어서의 『1』키에 제1 접근 프로그램인 프로그램 #9를, 『2』키에 제2 접근 프로그램인 프로그램 #10을, 『3』키에 제3 접근 프로그램인 프로그램 #15를, 『4』키에 제4 접근 프로그램인 프로그램 #4를, 『5』키에 제5 접근 프로그램인 프로그램 #7을, 각각 할당하는 처리를 행한다.
계속해서 단계 F407에서, 그 다중 접근 리스트에 포함되는 전 재생 대상 프로그램에 대해 디스크(1)로부터의 선두 8초분의 음성 데이타의 판독을 행하고, 도 3에 도시한 버퍼 메모리(13)의 다중 접근 영역(13)에 저장해간다. 즉, 도 9의 예에서는, 도 3b와 같이 프로그램 #9, #10, #15, #4, #7의 각각에 대해 선두 8초분의 음성 데이타가 저장된다.
여기까지의 처리를 끝낸 시점에서, 다중 접근 재생의 준비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단계 F408, F409에서의 사용자 조작의 감시 루프로 들어간다.
사용자가 숫자키(39)의 하나인『m』 키의 조작을 행하면, 단계 F408로부터 F410으로 진행한다. 『m』키란, 예를 들면 그 다중 접근 리스트 상에서 제5 접근 프로그램까지가 재생 대상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것이면 『1』 키「 5』 키 중 어느 하나이다.
『m』키가 눌러지면 시스템 제어기(11)는, 그 『m』키에 대응하는 제m 접근 프로그램을 즉시로 재생 출력시키게 된다. 이 때문에 제m 접근 프로그램의 선두로부터의 음성 데이타를 버퍼 메모리(13)의 다중 접근 영역(13b)으로부터 판독시켜서, 음성 출력시킨다. 즉『m』키가 눌러진 순간으로부터 8초간은 다중 접근 영역(13b)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에 의해 음성 출력이 행해진다. 이와 함께 단계 F411에서, 디스크(1)에 대한 재생 동작이 개시되고, 접근 그 밖의 필요한 처리를 개시시켜서, 제m 접근 프로그램의 데이타 판독을 개시시킨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선두로부터 8초로 되는 데이타 부분의 방금 전의 데이타로부터 판독을 개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디스크(1)로부터 판독되는 음성 데이타는 버퍼 메모리(13)의 버퍼 영역(13A)에 저장시켜 간다.
만일 제m 접근 프로그램으로 되어 있는 프로그램이 8초 이하의 프로그램이면, 다중 접근 영역(13B)에서의 판독 데이타만으로 재생이 종료된다. 이와 같은 경우는 단계 F412에서 재생 처리를 끝내고, 단계 F408, F409에서의 사용자 조작의 감시 루프로 되돌아간다.
그런데 제m 접근 프로그램으로 되어 있는 프로그램이 8초 이상의 프로그램이면, 다중 접근 영역(13B)에서의 8초분의 음성 데이타 판독이 종료한 시점에서 단계 F413으로부터 F414로 진행하고, 버퍼 메모리(13)로부터의 판독 동작을, 버퍼 영역(13A)에서의 판독 동작으로 전환한다. 즉 디스크(1)로부터 판독되어 저장되어 있던 8초째 이후의 계속의 음성 데이타를 판독해간다. 그리고 이후는 그 프로그램의 재생이 종료할 때까지 버퍼 영역(13A)에서의 판독을 계속한다. 즉 이것은 통상의 재생 동작이다.
또, 단계 F410 이후 출력되는 재생 음성에 대해서는 디지탈 신호 처리부(21)에서의 음향 처리 등을 가할 수 있지만, 이것은 그 제m 접근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기록되어 있는 리스트 프로그램 모드에 따라서 제어가 행해지는 것은 상기 프로그램 재생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재생이 종료하면, 단계 F415로부터 단계 F408, F409에서의 사용자 조작의 감시 루프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은 처리에 의해, 예를 들면 도 9의 예와 같은 다중 접근 리스트가 선택된 경우는, 다음과 같은 동작이 실현된다.
예를 들면『1』키가 눌러지면, 그 순간에 다중 접근 영역(13B)에서의 프로그램#9의 음성 데이타의 출력이 개시된다. 그리고 8초 이후에 대해서는 디스크(1)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9의 음성 데이타에 의한 음성 출력이 행해진다. 이에 의해서 사용자로부터 보면, 키를 누른 순간에 프로그램 #9의 재생이 개시됨과 동시에, 재생이 8초를 지나가더라도, 그대로 통상의 재생시와 마찬가지로 재생 출력이 계속된다.
마찬가지로『2』키가 눌러지면, 그 순간에 다중 접근 영역(13B)에서의 프로그램 #10의 음성 데이타의 출력이 개시되고, 또한 8초 이후에 대해서는 디스크(1)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10의 음성 데이타에 의한 계속한 음성 출력이 행해진다.
즉 임의의 시점에서 『1』키로부터 『5』키 내의 임의의 키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누른 순간에 필요한 음성을 출력시킨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연극이나 방송 등에서 엄밀한 타이밍에서의 효과음의 출력 등에 알맞는 동작으로 된다.
이상과 같이 다중 접근 재생 동작이 실행되는 본 예에서는, 다중 접근 재생의 대상 프로그램은 사용자는 한번 설정을 행하면, 그 다중 접근 리스트는 상기 도 14의 처리로 자동적으로 U-TOC 섹터 6에 기록된다. 따라서, 그 후의 시점에서다시 한번 이전에 설정한 것과 마찬가지의 다중 접근 재생을 실행시키고 싶은 경우에도, 단순히 다중 접근 리스트의 선택을 행하는 것만으로 좋아, 매번 다중 접근 설정 조작을 행할 필요는 없어진다. 또한 본 예의 경우 최고 128개의 다중 접근 리스트를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한번 설정한 다중 접근 리스트를 보존한 채로 다른 다중 접근 리스트를 작성해 가고, 다양한 다중 접근 리스트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황에 따라서 다중 접근 리스트를 적당하게 사용하여 다중 접근 재생을 행한다고 하는 조작도 간단히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다중 접근 리스트 내에 리스트 프로그램 모드로서 프로그램마다 재생 제어 데이타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다중 접근 리스트로 재생 대상으로 되어 있는 어떤 프로그램만은 작은 음량으로 재생시키거나, 어떤 프로그램으로서는 페이드 아웃시키고 싶은 등의 재생 상태 제어 등에 관한 요망이 있는 경우에, 거기에 대응한 설정을 행하고, 재생시에 그 요망에 따른 처리를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프로그램 리스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재생 전용 디스크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고, P-TOC 섹터 내에서의 U-TOC 섹터 6과 대략 동일한 포맷의 영역을 준비하고, 디스크 작성자측이 각종 다양한 다중 접근 리스트를 설정해놓으면, 사용자가 그 중 하나를 선택하여 다중 접근 재생을 행한다고 하는 것이 실현된다.
또 본 예에서는 다중 접근 재생을 위한 각 프로그램의 재생 조작을, 숫자키(39)를 이용하여 행하도록 하였지만, 다중 접근 재생을 위한 전용의 조작키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 상기 예에서는 미니 디스크 및 미니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들었지만, 본 발명은 예를 들면 CD(Compact Disc) 시스템, DVD(Digital Versatile Disc/Digital Video Disc) 시스템 등의 다른 시스템에서의 기록 매체 및 재생 장치로서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의 관리 영역 내의 1개의 관리 정보 유닛 내에, 복수의 특정 재생 모드 관리 영역을 형성하고, 각 특정 재생 모드 관리 영역에는 각각 어떤 특정한 재생 모드에서의 동작에 관한 재생하여야 할 각 프로그램 및 그 각 프로그램에 대한 재생시의 동작 제어 정보를 갖는 리스트 정보를 1 또는 복수개 기록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재생 장치에서는 어떤 특정 재생 모드 관리 영역에서 동작 관리되는 특정 재생 모드의 동작을 실행하는 경우에, 그 특정 재생 모드 관리 영역에 기록된 1 또는 복수의 리스트 정보 중 어떤 리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그 특정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 동작을 실행시킨다.
즉 본 발명에서는, 프로그램 재생이나 다중 접근 재생 등의 특정 재생 모드에 관한 동작 제어 정보를 기록 매체에 있어서 리스트 정보로서 기록해 놓도록 하여 둠으로써, 이들 특정 재생 모드에 대해서 한번 설정한 상태나, 그 재생 동작시의 세밀한 제어 동작을 디스크 상의 관리 정보로서 보존해 놓을 수 있어 특정한 재생 모드의 동작을 실행시킬 때마다 사용자가 동작 설정을 행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의 시간은 대폭 경감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떤 특정 재생 모드에 대해 복수의 리스트를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리스트를 보존해 놓고, 상황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그 특정 재생 모드의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리스트에는 각 프로그램에 대한 재생시의 동작 제어 정보도 기록할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보다 세밀한 재생 동작 상태의 설정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실제의 재생시에는 그 재생 동작 상태에 자동적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재생시의 상황에 따른 다양한 재생 형태의 설정 및 자동 제어를 행할 수 있어, 조작성의 향상, 기록 매체의 사용 형태의 다양화 및 유효 이용, 연극이나 방송 등에 있어서 유효한 음향 효과 재생 등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0)

  1. 프로그램들이 기록되는 프로그램 영역, 및 적어도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프로그램들의 기록 위치들을 관리하기 위한 제1 관리 정보와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프로그램들의 재생시에 재생 동작을 규정하는 제2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관리 영역으로 구성된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 재생 순서를 열거(list)하는 기록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그램들을 열거하기 위한 조작 수단;
    상기 조작 수단에 의해 열거된 프로그램들의 순서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및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프로그램 열거 순서를 기초로 하여 상기 관리 영역의 상기 제2 관리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갱신 수단
    을 포함하는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영역의 상기 제2 관리 정보는 프로그램 번호, 재생 파라미터들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드, 연속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경우에 슬롯 어드레스들에 대응하기 위한 다수의 슬롯, 및 선두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슬롯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대응 지정 포인터를 포함하는 기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모드에 의해 관리되는 상기 재생 파라미터들은 음량(volume), 페이드-인(fade-in), 페이드-아웃(fade-out) 및 이퀄리제이션(equalization) 등과 같은 음성 필드 설정값들인 기록 장치.
  4. 프로그램들이 기록되는 프로그램 영역, 및 적어도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프로그램들의 기록 위치들을 관리하기 위한 제1 관리 정보와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프로그램들의 재생시에 재생 동작을 규정하는 제2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관리 영역으로 구성된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 재생 순서를 열거하는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그램들을 열거하기 위한 제1 조작 수단;
    상기 제1 조작 수단에 의해 열거된 프로그램들의 순서를 저장하기 위한 제1 저장 수단;
    상기 제1 저장 수단에 저장된 프로그램 열거 순서를 기초로 하여 상기 관리 영역의 상기 제2 관리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갱신 수단;
    상기 관리 영역의 상기 제2 관리 정보를 참조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열거된 프로그램들의 선두 부분들을 연속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제2 저장 수단;
    상기 열거된 프로그램들의 재생 지정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조작 수단; 및
    상기 제2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2 조작 수단의 동작에 대응하는 프로그램들의 선두 부분들을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
    을 포함하는 기록/재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영역의 상기 제2 관리 정보는 프로그램 번호, 재생 파라미터들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드, 연속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경우에 슬롯 어드레스들에 대응하기 위한 다수의 슬롯, 및 선두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슬롯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대응 지정 포인터를 포함하는 기록/재생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작 수단에 의해 호출된 프로그램들의 기록 시간과 상기 제2 저장 수단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시작부의 길이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비교 수단에 의한 비교 결과가 상기 제2 조작 수단에 의해 호출된 상기 프로그램의 기록 시간이 상기 제2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프로그램의 시작부의 길이보다 긴 것으로 나타난 경우에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의 재생은 상기 제2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프로그램의 시작부로부터 속행되는 방식으로 계속되는 기록/재생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영역의 상기 제2 관리 정보는 프로그램 번호, 재생 파라미터들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드, 연속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경우에 슬롯 어드레스들에 대응하기 위한 다수의 슬롯, 및 선두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슬롯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대응 지정 포인터를 포함하며, 상기 일련의 프로그램들에 대응하는 제목들이 상기 슬롯들을 사용하여 더 기록되어 있는 기록/재생 장치.
  8. 프로그램들이 기록되는 프로그램 영역; 및
    적어도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프로그램들의 기록 위치들을 관리하기 위한 제1 관리 정보와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프로그램들의 재생시에 재생 동작을 규정하는 제2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관리 영역
    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영역의 상기 제2 관리 정보는 프로그램 번호, 재생 파라미터들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드, 연속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경우에 슬롯 어드레스들에 대응하기 위한 다수의 슬롯, 및 선두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슬롯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대응 지정 포인터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모드에 의해 관리되는 상기 재생 파라미터들은 음량, 페이드-인, 페이드-아웃 및 이퀄리제이션 등과 같은 음성 필드 설정값들인 기록 매체.
KR1019970040166A 1996-08-23 1997-08-22 기록/재생장치,재생장치및기록장치 KR100535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39978A JPH1064244A (ja) 1996-08-23 1996-08-23 記録媒体、再生装置
JP96-239978 1996-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914A true KR19980018914A (ko) 1998-06-05
KR100535289B1 KR100535289B1 (ko) 2006-06-08

Family

ID=17052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166A KR100535289B1 (ko) 1996-08-23 1997-08-22 기록/재생장치,재생장치및기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01119A (ko)
JP (1) JPH1064244A (ko)
KR (1) KR100535289B1 (ko)
CN (1) CN1134785C (ko)
GB (1) GB2317986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2351B1 (ko) * 1998-02-05 2001-06-01 윤종용 편집기능을위한관리정보가기록되는저장매체와관리정보기록방법
KR100605262B1 (ko) * 2004-10-11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재생장치 및 콘텐츠 재생방법
KR100626856B1 (ko) * 1999-03-02 2006-09-20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재생방법, 재생장치, 편집방법 및 편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11999B (en) * 1996-10-16 1997-08-01 Ibm Method of recording media data on recording media, accessing media data and system thereof
US6490235B1 (en) * 1997-08-07 2002-12-03 Sony Corporation Storage and reproduction apparatus with rotary control element for controlling operations
US20090043907A1 (en) * 1997-09-11 2009-02-12 Digital Delivery Networks, Inc. Local portal
US6392964B2 (en) * 1997-09-19 2002-05-21 Sony Corporation Digital sign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remote controlling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program names in a plurality of display fields using different character symbols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thereof
DE19745022A1 (de) * 1997-10-11 1999-04-15 Bosch Gmbh Robert Autoradio
KR100287366B1 (ko) * 1997-11-24 2001-04-16 윤순조 엠피이지 방식을 이용한 휴대용 음향 재생장치 및 방법
JPH11213633A (ja) 1998-01-21 1999-08-06 Pioneer Electron Corp 情報記録装置
JP4016155B2 (ja) 1998-04-10 2007-12-05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再生装置及び方法
JPH11306640A (ja) * 1998-04-21 1999-11-05 Sony Corp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提供媒体、並びに記録媒体
JP2001195825A (ja) 1999-10-29 2001-07-19 Sony Corp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
FR2805699A1 (fr) * 2000-02-25 2001-08-31 Thomson Multimedia Sa Methode de gestion d'une liste d'evenements diffuses et dispositif associe
JP4304888B2 (ja) * 2000-09-04 2009-07-29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編集装置及び編集方法
JP2002100156A (ja) * 2000-09-25 2002-04-05 Sharp Corp 記録再生装置
US7636079B2 (en) * 2000-11-29 2009-12-22 Palm Inc. Application access and activation system and method
JP2002358762A (ja) * 2001-05-29 2002-12-13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記録再生装置
US7120473B1 (en) * 2001-10-14 2006-10-10 Pal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obile device by using a pivoting input switch
JP3707685B2 (ja) * 2002-05-08 2005-10-19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945807B2 (ja) * 2002-05-09 2007-07-18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136539B2 (ja) * 2002-08-23 2008-08-2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この方法、このプログラム、このプログラムを記録する記録媒体、および、再生装置
KR100724836B1 (ko) * 2003-08-25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의 오디오 출력 레벨 조절장치 및방법
KR100724837B1 (ko) 2003-08-25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레벨 정보 기록 관리방법과 디지털 오디오기기에서의 오디오 출력 레벨 조절방법
KR20060004053A (ko) * 2004-07-08 2006-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파일의 재생모드 변경 장치 및 방법
WO2006095324A1 (en) * 2005-03-10 2006-09-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registration of two-dimensional with three-dimensional volume data during interventional procedures
JP4419919B2 (ja) 2005-06-29 2010-02-24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4332804B2 (ja) * 2005-12-09 2009-09-16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20070230290A1 (en) * 2006-03-30 2007-10-04 Inventec Corporation Random play system and method
CN101071110B (zh) 2006-05-08 2011-05-11 清华大学 一种基于螺旋扫描立体成像的货物安全检查方法
US8218947B2 (en) * 2006-12-04 2012-07-10 Victor Company Of Japan, Ltd. Video data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video data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5609A (en) * 1975-03-10 1985-01-22 Digital Recording Corporation Recording and playback system
FR2317726A1 (fr) * 1975-07-09 1977-02-04 Labo Electronique Physique Systeme d'enregistrement et de reproduction d'informations, notamment d'informations sonores
JPS5835707A (ja) * 1981-08-25 1983-03-02 Sony Corp Dadプレ−ヤ
JPS59146468A (ja) * 1983-02-10 1984-08-22 Sony Corp テ−プレコ−ダ
NL8300844A (nl) * 1983-03-09 1984-10-01 Philips Nv Inrichting voor het uitlezen van een optisch gekodeerde schijfvormige registratiedrager.
BR8407062A (pt) * 1983-09-09 1985-08-13 Sony Corp Aparelho para reproduzir sinal de audio
DE3685358D1 (de) * 1985-03-27 1992-06-25 Sony Corp Signalaufnahme- und -wiedergabegeraet fuer eine optomagnetische platte.
JPH07123299B2 (ja) * 1985-10-18 1995-12-25 株式会社東芝 ビデオテ−プレコ−ダのスロ−再生装置
DE3619258A1 (de) * 1986-06-07 1987-12-10 Blaupunkt Werke Gmbh Compact disc (cd)-spieler
JPH065476B2 (ja) * 1986-10-02 1994-01-1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Crtデイスプレイ装置の制御装置
KR910006609B1 (ko) * 1986-12-18 1991-08-29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기가이샤 전자 스틸 카메라
CA1301313C (en) * 1987-02-20 1992-05-19 Lorne A. Parker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n audio magnetic tape recording at high speed from a preselected music library
US5034827A (en) * 1987-06-30 1991-07-23 Canon Kabushiki Kaisha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with memory read/write timing related to horizontal scanning period
JPH0719453B2 (ja) * 1987-08-07 1995-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記録再生装置のトラックアクセス方法
US5014136A (en) * 1987-10-29 1991-05-07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Electronic still camera device
US4984103A (en) * 1987-12-07 1991-01-08 Fujitsu America, Inc. Method for reading/writing for a floppy disc drive with buffer memory
JP3004018B2 (ja) * 1987-12-15 2000-01-31 株式会社東芝 信号記録装置
JPH077573B2 (ja) * 1988-10-07 1995-01-30 シャープ株式会社 記録および再生方法
JP2692901B2 (ja) * 1988-10-31 1997-12-17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
US4929918A (en) * 1989-06-07 1990-05-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tting and dynamically adjusting VCO free-running frequency at system level
CA2020059C (en) * 1989-06-30 1995-05-23 Shigemi Maeda Modular ceramic igniter
US5224089A (en) * 1989-06-30 1993-06-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gital signal information reproduction apparatus
US5212678A (en) * 1989-11-23 1993-05-18 U.S. Philips Corporation System for recording and reading information on a record carrier at a constant scanning speed independent of the bit rate of such information
NL8902895A (nl) * 1989-11-23 1991-06-17 Philips Nv Informatie-opteken- en -uitleessysteem, alsmede een optekeninrichting en uitleesinrichting voor toepassing in een dergelijk systeem.
JP2993052B2 (ja) * 1990-05-30 1999-12-20 ソニー株式会社 デイスクドライブ装置
DK0465053T3 (da) * 1990-06-29 2002-10-07 Sony Corp Plade registrerings/reproduktionsapparatur
JP2881980B2 (ja) * 1990-06-29 1999-04-12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ディスク再生装置
JP2586188B2 (ja) * 1990-07-19 1997-02-26 三菱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JP2995822B2 (ja) * 1990-08-23 1999-12-27 ソニー株式会社 円盤状記録媒体の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3141241B2 (ja) * 1990-08-24 2001-03-05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ディスク再生装置
JP3141242B2 (ja) * 1990-08-24 2001-03-05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装置
CA2054880C (en) * 1990-11-09 1997-07-08 Shigemi Maeda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H04252470A (ja) * 1991-01-28 1992-09-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及びディスク再生装置
JP3622986B2 (ja) * 1991-07-16 2005-02-23 ソニー株式会社 デイスク記録装置
GB2258372B (en) * 1991-08-02 1995-05-31 Sony Corp Apparatus for and methods of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igital data
JPH05217294A (ja) * 1992-02-03 1993-08-27 Pioneer Video Corp ディスク演奏装置
JP3435703B2 (ja) * 1992-05-20 2003-08-11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
JPH06139704A (ja) * 1992-10-29 1994-05-20 Kenwood Corp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3235231B2 (ja) * 1992-11-17 2001-12-04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JP3546432B2 (ja) * 1992-12-04 2004-07-28 ソニー株式会社 編集装置
US5418762A (en) * 1992-12-09 1995-05-23 Sony Corporation Optical disk recording device having a pre-recording mode
JP3141308B2 (ja) * 1993-02-24 2001-03-05 ソニー株式会社 デジタル記録再生装置
JP3453778B2 (ja) * 1993-02-26 2003-10-06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記録再生装置
US5687397A (en) * 1993-02-26 1997-11-11 Sony Corporation System for expansion of data storage medium to store user data
JP3433759B2 (ja) * 1993-04-23 2003-08-04 ソニー株式会社 記録位置取得装置
JP3508168B2 (ja) * 1993-07-07 2004-03-22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
JPH0845246A (ja) * 1994-07-29 1996-02-16 Sony Corp 記録媒体、再生方法、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H08124362A (ja) * 1994-10-27 1996-05-17 Sony Corp 再生装置
SG38892A1 (en) * 1994-12-22 1997-04-17 Sony Corp A recording medium having a first management area for managing a first attribute and a second management area for managing a second attribute of a program recorded in
KR100357087B1 (ko) * 1994-12-23 2003-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자기기록장치의사용자메모방법
ES2237233B1 (es) * 2002-07-18 2006-12-01 Ag Ediciones S.L Prensa para encuadernac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2351B1 (ko) * 1998-02-05 2001-06-01 윤종용 편집기능을위한관리정보가기록되는저장매체와관리정보기록방법
KR100626856B1 (ko) * 1999-03-02 2006-09-20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재생방법, 재생장치, 편집방법 및 편집장치
KR100605262B1 (ko) * 2004-10-11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재생장치 및 콘텐츠 재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717465D0 (en) 1997-10-22
CN1175062A (zh) 1998-03-04
GB2317986B (en) 2000-08-30
GB2317986A (en) 1998-04-08
US5901119A (en) 1999-05-04
JPH1064244A (ja) 1998-03-06
KR100535289B1 (ko) 2006-06-08
CN1134785C (zh) 2004-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5289B1 (ko) 기록/재생장치,재생장치및기록장치
JP3467832B2 (ja) 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US5617383A (en) Optical disk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the whole capacity and the reproduction position on the optical disk
KR100284921B1 (ko) 디스크 기록 및 재생 장치
JPH08315548A (ja) 記録装置
JPH0757436A (ja) ディスク装置
JPH08124362A (ja) 再生装置
JPH06111550A (ja) 再生装置
JP3550769B2 (ja) 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3852473B2 (ja) 記録媒体、再生装置
JP3538858B2 (ja)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JP3551448B2 (ja) 記録装置
JP3541785B2 (ja) 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
JP3711991B2 (ja) 記録装置
JP3476090B2 (ja) 記録装置
JP3612754B2 (ja) 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3735987B2 (ja) 編集装置
JP4058124B2 (ja) 記録再生装置、及び再生装置
JP3584551B2 (ja) 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方法及び再生方法
JP3684601B2 (ja) 記録情報の編集方法及び編集装置
JP3797374B2 (ja)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H1040668A (ja) 表示装置
JPH09147533A (ja) 記録装置
JPH07153239A (ja) 記録装置
JPH09147529A (ja) 管理情報更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