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0340B1 - 유기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유기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0340B1
KR100340340B1 KR1020000037957A KR20000037957A KR100340340B1 KR 100340340 B1 KR100340340 B1 KR 100340340B1 KR 1020000037957 A KR1020000037957 A KR 1020000037957A KR 20000037957 A KR20000037957 A KR 20000037957A KR 100340340 B1 KR100340340 B1 KR 100340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exhaust passage
exhaust
deodorizing
switching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7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9702A (ko
Inventor
고야마히데키
이오쿠가스노리
아사다마사히코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20010039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9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3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Abstract

탈취되어 있지 않은 배기가스가 새어 악취를 발생시키는 일이 없는 유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물을 분해처리하는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로부터의 배기가스를 탈취하는 탈취장치를 거쳐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통로의 탈취장치보다 하류측에 통풍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통풍구멍보다 하류측에 상기 탈취장치로부터의 배기가스와 상기 통풍구멍으로부터의 공기를 흡인해서 외부로 배출시키는 팬을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유기물 처리장치{ORGANIC MATTER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물을 분해 처리하는 유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유기물의 분해 처리시에 발생하는 악취를 포함한 배기가스를 탈취하는 탈취장치를 구비한 유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배기가스중의 악취를 탈취하는 탈취장치를 구비한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0-296216호 공보(B09B 3/00)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처리조로부터의 배기가스의 배기통로에, 히터와 촉매를 사용해서 배기가스를 탈취하는 탈취장치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있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는, 탈취장치의 출구측에 탈취장치와 역 "T"자 형상을 이루도록 희석실이 연결되며, 이 희석실에는 탈취장치와의 연통하는 부분보다도 상류측에 희석용팬이 설치되고, 희석용팬으로부터 송풍되는 외기로서 도중(하류)의 연통부분으로부터 나오는 배기가스를 희석해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장치에 있어서는, 희석용 팬의 하류측에 탈취장치와의 연통부분이 있기 때문에, 희석용팬의 송풍압에 의해 배기통로의 연통부분 등으로부터 악취가 누설되어, 장치주변에 악취가 표류하게 된다는 과제가 생긴다.
또, 상기 종래장치에 있어서는 탈취를 필요로 하지 않는 때(무탈취시)에도 동일한 배기통로를 사용하고, 히터를 OFF로 한 탈취장치 및 역 "T"자 형상의 희석실을 통해 배기가스가 배출되고 있었다.
상기 배기통로에는 히터와 촉매, 및 역 "T"자 형상의 희석실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압력손실이 크고, 따라서 무탈취시의 배기풍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과제가 있었다.
또, 냉각된 탈취장치내를 배기가스가 통과하므로서 결로가 생기거나, 건조한 담체나 유기물의 미분말이 배기가스에 혼합되어 통과하므로서, 촉매가 눈막힘 되기 쉬워, 이들은 탈취장치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탈취되어 있지 않은 배기가스가 새어 악취를 발생시키는 일이 없는 유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무탈취시의 배기풍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또 탈취장치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는 유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관한 유기물 처리장치의 배면측 주요부 단면도.
도 2는 무탈취시의 상면측 주요부 단면도.
도 3은 탈취시의 상면측 주요부 단면도.
도 4는 상기 실시형태의 전환밸브의 확대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관한 유기물 처리장치의 배면측 주요부 단면도.
도 7은 무탈취시의 상면측 주요부 단면도.
도 8은 탈취시의 상면측 주요부 단면도.
도 9는 상기 실시형태의 전환밸브의 확대사시도.
도 10은 상기 실시형태의 유기물 처리장치를 측면측으로부터 본 중앙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처리조, 2. 외장케이스
5. 상부뚜껑, 13. 배기구멍
14. 배기팬, 15. 제1의 배기통로
16. 제2의 배기통부, 17. 전환밸브
17b. 조작손잡이, 18. 탈취장치
19. 히터, 20. 촉매
23, 28. 배기구, 24. 희석팬
26, 27. 통풍구멍, 29, 44. 흡기구
32. 흡기경로, 40. 모터
43. 악취센서, 45. 칸막이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물을 분해 처리하는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로부터의 배기가스를 탈취하는 탈취장치를 거쳐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통로의 탈취장치보다 하류측에 통풍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통풍구멍보다 하류측에 상기 탈취장치로부터의 배기가스와 상기 통풍구멍으로부터의 공기를 흡인해서 외부로 배출시키는 팬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물을 분해 처리하는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로부터의 배기가스를 탈취하는 탈취장치를 거쳐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통로의 탈취장치보다 상류측에 배기팬을 구비하며, 탈취장치보다 하류측에 통풍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통풍구멍보다 하류측에 탈취장치로부터의 배기가스와 상기 통풍구멍으로부터의 공기를 흡인해서 외부로 상기 배기팬보다 큰 풍량으로 배출시키는 희석팬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기통로를 제1의 배기통로로 함과 동시에 상기 처리조로부터의 배기가스를 직접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의 배기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의 배기통로와 제2의 배기통로를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전환수단으로서, 조작부를 갖는 전환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전환수단으로서, 전환밸브와 그 전환밸브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전환수단으로서, 전환밸브와 그 전환밸브를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전환밸브를 제1의 배기통로로 전환한 소정시간 경과 후에 전환밸브를 제2의 배기통로로 전환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 처리조로부터의 배기가스의 악취를 검출하는 악취검출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전환수단으로서 전환밸브와 그 전환밸브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악취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수단을 작동시켜서 전환밸브를 구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탈취장치로서, 배기가스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가열된 배기가스를 통과시키므로서 탈취하는 촉매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탈취장치에 따라 처리조내에 외기를 도입하는 흡기경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 흡기경로에 외기를 도입하는 흡기구를 탈취장치의 하류측에 인접하는 외장케이스에 형성하고, 그 흡기구와 상기 탈취장치보다 하류측의 배기통로에 형성된 통풍구멍 사이에 칸막이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관한 유기물 처리장치의 배면측 주요부단면도, 도 2는 무탈취시의 상면측 주요부 단면도, 도 3은 탈취시의 상면측 주요부단면도, 도 4는 전환밸브의 확대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 유기물 처리장치는, 미생물의 담체(톱밥 등의 목질 미세편)를 수납하고,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물이 투입되는 상면 개방구의 처리조(1)가 상하 2개 부품으로 이루어진 외장케이스(2)내에 수용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외장케이스(2)의 상면은, 처리조(1)의 상면개방구(3)에 대응하여 개방되고 미생물 담체나 음식물 쓰레기 등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4)가 형성되며, 이 투입구(4)의 위쪽에는 힌지 등에 의해 개폐 자유롭게 구성된 상부뚜껑(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처리조(1)내에는 전후벽간에 복수의 교반날개(6)를 구비한 교반축(7)이 정역(正逆)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교반축(7)은 양단측이 처리조(1)의 전후벽의 축받이(8, 9)에 의해 지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후면벽측의 축단(10)이 감속기구(11)를 거쳐서 교반용 모터의 회전축(12)에 연결되고, 교반용 모터의 회전이 감속 전달되어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처리조(1)의 상부 후면벽에는 다수의 배기구멍(13)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류측에 배기팬(14)이 부착되어 있다.
또, 이 배기팬(14)의 하류측에는, 후술하는 탈취장치가 부착된 제1의 배기통로(15)와 배기가스를 직접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의 배기통로(16)를 수동으로 전환 가능한 전환밸브(1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의 배기통로(15)에 부착된 탈취장치(18)는, 상류측에 "U"자 형상의히터(19)가 배치되고, 그 하류측에 세라믹으로 허니콤(honeycomb) 구조로 형성된 촉매(20)가 배치되며, 그들이 내열 및 내부식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통상체(21)내에 수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유입되는 배기가스가 히터(19)에 의해 가열되고, 이 가열된 배기가스가 촉매(20)를 통하므로서 촉매가 가열되어, 배기가스에 포함되는 악취성분의 분해반응이 촉진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탈취장치(18)의 출구측에는, 성형이 용이한 수지로 형성된 에어가이드(22)가 연결되고, 이 에어가이드(22)가 외장케이스(2)의 배면측 하부에 개방되는 배기구(23)에 연결되어 있다.
또, 에어가이드(22)의 배기구(23)측에는, 탈취장치(18)로부터 배출되는 고온배기가스의 온도나 악취를 희석시키기 위해(주로 온도를 내린다) 희석팬(24)이 부착되어 있으며, 탈취장치(18)의 금속통상체(21)와 에어가이드(22)의 연결부(25) 양측에는 희석용의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통풍구멍(26, 27)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의 배기통로(15)의 탈취장치(18) 보다 상류측에 배기팬(14)을 구비하고, 탈취장치(18) 보다 하류측에 통풍구멍(26, 27)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통풍구멍(26, 27) 보다 하류측에 탈취장치(18)로부터의 배기가스와 통풍구멍(26, 27)으로부터의 공기를 흡인해서 외부로 배기팬(14) 보다 큰 풍량으로 배출하는 희석팬(24)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희석팬(24)이 동작하는 때에는, 항상 탈취장치(18)로부터의 배기가스가 흡인되어 배기가스를 확실히 배출시킬 수가 있고, 탈취장치(18)내가 부압이되기 때문에, 배기통로(15)의 연통부분 등으로부터 악취가 새어 장치주변에 악취가 표류한다는 불합리함은 생기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제2의 배기통로(16)는 배기팬(14)의 배면측, 즉, 외장케이스(2)의 배면측에 개방되는 배기구(28)에 연통하고 있다.
또, 외장케이스(2)의 저면측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기를 도입하는 흡기구(29)가 형성되어 있고, 이 흡기구(29)로부터 도입된 외기는 상기 에어가이드(22) 및 탈취장치(18)와 처리조(1) 사이의 공간을 통해 그 상부의 통풍구멍(30)(도 2, 도 3참조)으로부터 처리조(1)의 상부측벽에 형성된 흡기구멍(31)에 이르는 흡기경로(32)를 거쳐 처리조(1)내로 도입된다.
또한, 희석팬(24)의 동작시에는 흡기구(29)로부터 도입된 외기의 일부가 탈취장치(18)와 희석팬(24)의 사이에 형성된 통풍구멍(26, 27)으로부터 제1의 배기통로(15)내로 도입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전환밸브(17)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의 배기통로(15)와 제2의 배기통로(16)의 각 유입구를 개폐하는 단면이 원호상의 밸브체(17a)와, 그 상부의 부채꼴의 중심에 형성되어 회전축을 겸하는 조작손잡이(17b)로 구성되어 있고, 이 조작손잡이(17b)가 외장케이스(2)의 상면에 돌출해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처리조(1)의 저면부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수납된 처리물(퇴비)의 배출구(33)가 서랍식의 셔터(34)에 의해 개폐 자유롭게 덮여 개설되어 있고, 이 배출구(33) 하측의 외장케이스(2)의 저면부에는, 전방으로 향해 경사진 배출슈트(3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셔터(34)를 인출하는 것에 의해 배출슈트(35)를 경유해서 외장케이스(2)의 전면측으로 퇴비화 된 처리물을 빼낼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본 장치의 사용 개시시에는, 미리 일정량의 미생물 담체(톱밥 등의 목질 미세편)를 처리조(1)내에 투입해둔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때에는, 상부뚜껑(5)을 열어 투입구(4)로부터 처리조(1)내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고, 상부뚜껑(5)을 닫는다.
상부뚜껑(5)을 닫으면, 이것을 도시하지 않은 검출수단이 검출하여, 그 출력에 기초해서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진 제어부가 교반용 모터 및 배기팬(14)에 통전한다.
교반용 모터에의 통전제어에 의해, 교반날개(6)가 세워 설치된 교반축(7)이 간헐적으로 정역 회전해서 담체와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 혼합한다.
또, 배기팬(14)에의 통전제어에 의해, 처리조(1)내의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배기가스)를 도 2에 실선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흘려서 배기구(28)로부터 직접 외부로 배출하여, 처리조(1)내가 고습도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처리조(1)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에 수반하여, 도 5, 도 2에 일점 점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장케이스(2) 저부의 흡기구(29), 외장케이스(2) 상부의 통풍구멍(30), 측면벽의 흡기구멍(31)을 거쳐 처리조(1)내에 신선한 외기를 도입하여, 처리조(1)내에 미생물의 활성화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한다.
이와 같이하여, 미생물이 활성화해서 발효처리가 진행되면, 그에 수반해서악취가 발생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악취를 느껴, 전환밸브(17)의 손잡이(17b)를 시계방향으로 조작해서 전환밸브(17)를 도 3에 나타내는 상태로 전환하면, 이 전환밸브(17)의 전환을 도시하지 않은 검출수단이 검출하여, 탈취장치(18)의 히터(19)에 통전함과 동시에 희석팬(24)에 통전하므로서, 처리조(1)로부터의 배기가스가 탈취장치(18)에 있는 제1의 배기통로(15)로 흐르게 되어 있다.
탈취장치(18)의 히터(19)에의 통전에 의해, 상기와 같이 해서 제1의 배기통로(15)에 배출된 배기가스가 250∼300℃의 촉매반응온도로 가열되어 촉매(20)에 공급된다.
촉매(20)내에 공급된 고온의 배기가스는, 촉매(20)를 동일 온도로 가열해서, 그 촉매작용에 의해 촉진된 악취의 산화분해반응에 의해 탈취화되어 감으로서 촉매(20)를 통과하는 동안에 거의 무취화 된다.
무취화 된 배기가스는, 희석팬(24)에 의해 흡인됨과 동시에 통풍구멍(26, 27)을 거쳐 흡인되는 외기로 희석되어 약 60℃ 정도의 온도까지 내려가고, 외장케이스(2)의 배면측 하부에 설치된 배기구(23)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희석팬(24)이 동작하면, 탈취장치(18)로부터의 배기가스가 흡인되어, 배기가스를 확실히 배출시킬 수가 있으며, 탈취장치(18)내가 부압으로 되기 때문에 배기통로(15)의 연통부분 등으로부터 악취가 새어 장치주변에 악취가 표류한다는 불합리함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상기 탈취운전시에 처리조(1)내에 도입되는 외기는, 고온화한탈취장치(18)에 따른 흡기경로(32)를 통하여 따뜻해지기 때문에, 처리조(1)내의 온도가 미생물의 활성화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되어, 발효처리가 촉진된다.
이와 같이해서, 담체에 배양되는 미생물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시켜서 퇴비화한다.
악취가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적어지면, 전환밸브(17)를 도 2의 상태로 복귀시켜 배기구(28)로부터 직접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는, 히터(19) 및 희석팬(24)은 전환밸브(17)와 연동해서 OFF로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처리조(1)로부터의 배기가스를 탈취장치(18)를 거쳐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의 배기통로(15)가, 탈취장치(18) 보다 하류측에 통풍구멍(26, 27)을, 또한 그 하류측에 희석팬(24)을 배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때문에, 역 "T"자 형상의 희석실을 구비한 종래예와 같이 배기통로의 연통하는 부분 등으로부터 악취가 새어, 장치주변에 악취가 표류한다는 불합리함을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제1의 배기통로(15)에 추가해서, 처리조(1)로부터의 배기가스를 직접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의 배기통로를 구비하고, 조작 손잡이(17b)에 의한 간단한 전환밸브(17)에 의해 전환 가능하게 했으므로, 악취가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적은 때에는 제2의 배기통로(16)로부터 배기가스를 직접 외부로 배출시키므로서, 압력손실을 적게하여 원활한 배기가 가능하게 되고,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기화한 수분을 신속히 배출시킬 수가 있다.
또한, 탈취의 유무에 관계없이 배기가스를 항시 탈취장치가 있는 배기통로를통하게 하던 종래의 것에 비해, 히터가 OFF상태의 냉각된 탈취장치내에서의 결로나, 혹은 건조해서 비산하는 미분말의 혼합된 배기가스가 필요 이상으로 촉매(20)를 통과하는 것에 의한 눈막힘 등을 방지할 수가 있어, 탈취장치(18)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관한 유기물 처리장치의 배면측 주요부 단면도, 도 7은 무탈취시의 상면측 주요부 단면도, 도 8은 탈취시의 상면측 주요부단면도, 도 9는 전환밸브의 확대사시도, 도 10은 측면측으로부터 본 중앙부 단면도이며,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환밸브(17)를 모터(40)로 구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즉,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밸브(17)는, 그 하부측에 형성된 부채꼴의 중심부에 모터(40)의 회전축(41)이 연결되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기구멍(13)의 하류측에 악취센서(4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악취센서(43)의 출력은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진 제어부에 입력되고, 제어부에 의해 상기 모터(40)가 제어되어 전환밸브(17)가 전환된다.
즉, 배기가스의 악취가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이 되면, 이것을 악취센서(43)가 검지해서 전환밸브(17)가 모터(40)에 의해 도 8에 나타낸 위치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배기가스를 탈취장치(18)가 있는 제1의 배기통로(15)로 흘려 탈취를 행한다.
또, 악취의 레벨이 설정레벨보다 내려가면, 전환밸브(17)가 도 7에 나타낸위치로 회전하여, 배기가스는 제2의 배기통로(16)로부터 직접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의해 상기 실시형태의 작용효과에 추가해서, 무탈취와 탈취운전의 전환을 자동으로 행할 수 있어, 사용자가 알지 못하는 불필요한 탈취운전 등이 행해지는 일이 없어지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처리의 효율적인 운전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6,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취장치(18)의 하류측에 인접하는 외장케이스(2)의 배면측에 흡기통로(32)에 외기를 도입하는 흡기구(44)가 형성되고, 그 흡기구(44)와 전술한 희석용의 통풍구멍(26, 27) 사이에는 칸막이판(45)이 배치되어 있다.
또,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조(1)내에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위치에 형성된 통풍구멍(30) 및 흡기구멍(31)에 추가해서, 그들의 반대측에도 통풍구멍(30a)과 흡기구멍(3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칸막이판(45)은 흡기구(44)와 통풍구멍(26, 27) 사이를 칸막이함과 동시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취장치(18)와 감속기구(11) 사이를 탈취장치(18)에 따라 올라가 탈취장치(18)의 상부측으로부터 감속기구(19)위를 가로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반대측의 통풍구멍(30a)과 연통하는 위치까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므로서, 외장케이스(2)의 저면측에 형성된 흡기구(29)로부터의 외기는 모두 탈취장치(18)와 희석팬(24)간에 형성된 통풍구멍(26, 27)으로부터 흡인되어 희석용으로서 사용되고, 외장케이스(2)의 배면측에 형성된 흡기구(44)로부터의 외기는 모두, 탈취장치(18)에 따라 형성된 흡기경로(32)를 통해처리조(1)에의 흡기용으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처리조(1)내에의 흡기의 가열과 탈취장치(18)로부터의 배기가스의 희석을 독립해서 효율적으로 행할 수가 있다.
또, 처리조(1)의 상부 양측에 통풍구멍(30, 30a) 및 흡기구멍(31, 31a)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해서 흡기된 외기를 처리조(1)내 전체에 신속히 널리 퍼지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악취센서(43)를 사용했으나, 도시하지 않은 조작부에 탈취 ON/OFF 버튼 등을 설치하여, 이것을 조작하므로서 모터(40)를 정역 회전시켜 전환밸브(17)를 도 7 또는 도 8에 나타내는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상기 제1의 실시형태의 손잡이 조작과 마찬가지로 전환밸브(17)의 전환조작을 확실히 행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손잡이 조작에 비해 탈취의 ON/OFF 조작이 버튼 등의 간단한 조작으로 실현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 이 경우 전환밸브(17)를 제1의 배기통로(15)로 전환하고 나서, 통상의 음식물 쓰레기처리에 있어서 악취가 발생하는 소정시간 경과 후에,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진 제어부에 의해 모터(40)를 제어해서 전환밸브(17)를 제 2의 배기통로(16)로 전환하도록 해도 된다.
즉, 탈취운전 후에, 배기구(23)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악취가 없어져도, 이것이 탈취장치(18)에 의한 것인가 정말로 처리조(1)내의 악취가 적어졌는가의 판단이, 전술한 바와 같은 악취센서(43)가 없는 경우에는 곤란하기 때문에, 통상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있어서 악취가 발생하는 소정시간 경과 후에 자동적으로 탈취를 중지하므로서 전기료의 헛된 낭비를 방지할 수가 있다.
만일, 악취가 아직 있으면 재차 탈취운전을 행하면 된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제1의 배기통로(15)와 제2의 배기통로(16)를 전환하는 전환수단으로서 전환밸브(17)를 사용했으나, 예를들면 상기 각 실시형태의 경우에 있어서, 제2의 배기통로(16)의 배기구(28)에 공기압력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밸브를 설치하여, 탈취시에는 희석팬(24)만을 구동시켜 배기를 행하고, 무탈취시에는 배기팬(14)만을 구동시켜서 배기를 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환밸브(17)의 전환구동원으로서 모터(40)를 사용했으나, 솔레노이드 등에 의해 전환밸브(17)를 구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처리조로부터의 배기가스를 탈취장치를 거쳐서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통로의 탈취장치보다 하류측에 통풍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통풍구멍보다 하류측에 탈취장치로부터의 배기가스와 통풍구멍으로부터의 공기를 흡인해서 외부로 배출시키는 팬을 구비한 것에 의해, 배기통로의 연통하는 부분 등으로부터의 악취가 새어 장치주변에 악취가 표류한다는 불합리함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상기 배기통로의 탈취장치보다 상류측에 배기팬을 구비하고, 탈취장치보다 하류측에 통풍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통풍구멍보다 하류측에 탈취장치로부터의 배기가스와 통풍구멍으로부터의 공기를 흡인해서, 외부로 상기 배기팬보다 큰풍량으로 배출시키는 희석팬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도 배기통로의 연통하는 부분 등으로부터 악취가 새어 장치주변에 악취가 표류한다는 불합리함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배기통로를 제1의 배기통로로 함과 동시에, 처리조로부터의 배기가스를 직접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의 배기통로를 구비하고, 제1의 배기통로와 제2의 배기통로를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한 것에 의해, 상기 효과에 추가해서 탈취가 필요 없는 때에는 배기가스를 제2의 배기통로로부터 직접 외부로 배출시키므로서, 배기풍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처리조내에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물에 함유되는 수분을 신속히 증발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 이때에는 제1의 배기통로의 탈취장치에는 배기가스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결로나 눈막힘 등을 방지해서 탈취장치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전환수단으로서, 조작부를 갖는 전환밸브를 구비하므로서,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히 상기를 실현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전환수단으로서, 전환밸브와 그 전환수단을 구동시키는 모터를 구비하므로서, 모터의 정역회전을 전환하는 전환버튼 등에 의한 간단한 조작으로 상기를 실현할 수 있어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전환수단으로서, 전환밸브와 그 전환밸브를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도, 상기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 상기 전환밸브를 제1의 배기통로로 전환한 소정시간 경과 후에, 전환밸브를 제2의 배기통로로 전환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므로서, 통상의 음식물 쓰레기처리에 있어서 악취가 발생하는 소정시간 경과 후에 자동적으로 탈취를 중지시켜, 전기료의 헛된 낭비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처리조로부터의 배기가스의 악취를 검출하는 악취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환수단으로서 전환밸브와 그 전환밸브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해서, 악취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수단을 작동시켜 전환밸브를 구동시키도록 하므로서, 탈취를 행할 것인가 아닌가의 전환을 자동으로 행할 수가 있어, 사용자가 알지 못한 채 불필요한 탈취운전 등이 행해지는 일이 없어지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물처리의 효율적인 운전을 행할 수가 있다.
또, 상기 탈취장치로서 배기가스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가열된 배기가스를 통과시키므로서 탈취하는 촉매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 탈취장치에 따라 처리조내에 외기를 도입하는 흡기경로를 형성하므로서, 상기 효과에 추가해서 처리조내에 도입되는 외기는, 탈취장치에 따라 흡기경로를 통과해서 따뜻해지므로, 처리조내의 온도가 유기물의 분해처리에 적당한 온도로 되어 분해처리가 촉진된다.
또한, 상기 흡기경로에 외기를 도입하는 흡기구를 탈취장치의 하류측에 인접하는 외장케이스에 형성하고, 그 흡기구와 상기 탈취장치보다 하류측의 배기통로에 형성된 통풍구멍 사이에 칸막이판을 구비하므로서, 처리조내에의 흡기의 가열과 탈취장치로부터의 배기가스의 희석을 독립해서 효율적으로 행할 수가 있다.

Claims (10)

  1.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물을 분해 처리하는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로부터의 배기가스를 탈취하는 탈취장치를 거쳐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배기통로의 탈취장치보다 하류측에 통풍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통풍구멍보다 하류측에 상기 탈취장치로부터의 배기가스와 상기 통풍구멍으로부터의 공기를 흡인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팬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처리장치.
  2.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물을 분해 처리하는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로부터의 배기가스를 탈취하는 탈취장치를 거쳐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배기통로의 탈취장치보다 상류측에 배기팬을 구비하고, 상기 탈취장치보다 하류측에 통풍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통풍구멍보다 하류측에 상기 탈취장치로부터의 배기가스와 상기 통풍구멍으로부터의 공기를 흡인해서 외부로 상기 배기팬보다 큰 풍량으로 배출시키는 희석팬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통로를 제1의 배기통로로 함과 동시에, 상기 처리조로부터의 배기가스를 직접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의 배기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의 배기통로와 상기 제2의 배기통로를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으로서, 조작부를 갖는 전환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으로서, 전환밸브와 그 전환밸브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처리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으로서, 전환밸브와 그 전환밸브를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처리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밸브를 제1의 배기통로로 전환한 소정시간 경과 후에, 전환밸브를 제2의 배기통로로 전환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처리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로부터의 배기가스의 악취를 검출하는 악취검출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전환수단으로서, 전환밸브와 그 전환밸브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악취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수단을 작동시켜 전환밸브를 구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처리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장치로서, 배기가스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가열된 배기가스를 통과시키므로서 탈취하는 촉매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탈취장치에 따라 처리조내에 외기를 도입하는 흡기경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경로에 외기를 도입하는 흡기구를 탈취장치의 하류측에 인접하는 외장케이스에 형성하고, 그 흡기구와 상기 탈취장치보다 하류측의 배기통로에 형성된 통풍구멍 사이에 칸막이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처리장치.
KR1020000037957A 1999-07-16 2000-07-04 유기물 처리장치 KR1003403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02873 1999-07-16
JP20287399A JP3842928B2 (ja) 1999-07-16 1999-07-16 有機物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702A KR20010039702A (ko) 2001-05-15
KR100340340B1 true KR100340340B1 (ko) 2002-06-15

Family

ID=16464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7957A KR100340340B1 (ko) 1999-07-16 2000-07-04 유기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842928B2 (ko)
KR (1) KR100340340B1 (ko)
CN (1) CN1116126C (ko)
TW (1) TW4363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727B1 (ko) * 2004-12-01 2005-07-05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에어커튼
KR100499725B1 (ko) * 2004-12-01 2005-07-05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US8409516B2 (en) 2007-09-18 2013-04-02 Amo Co., Ltd. Monolith, catalyst convertor for purifying exhaust gas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atalyst convertor
KR101010577B1 (ko) * 2008-03-27 2011-01-24 한경희 음식물처리기용 케이스
JP5485557B2 (ja) * 2009-01-26 2014-05-07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株式会社 アイソレータ
CN103008325B (zh) * 2012-11-27 2016-03-30 石晶 一种垃圾分解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702A (ko) 2001-05-15
CN1116126C (zh) 2003-07-30
JP3842928B2 (ja) 2006-11-08
CN1280886A (zh) 2001-01-24
JP2001025751A (ja) 2001-01-30
TW436338B (en) 2001-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0340B1 (ko) 유기물 처리장치
KR10085997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살균 및 소취장치
JP3837353B2 (ja) 有機物処理装置
JP3842930B2 (ja) 有機物処理装置
JP3837352B2 (ja) 有機物処理装置
KR100352391B1 (ko) 유기물 처리장치
JP2729467B2 (ja) 生塵の処理装置
JP2004066196A (ja) 有機物処理装置
JP2001047009A (ja) 有機物処理装置
JP2003001231A (ja) 有機物処理装置
JP2001079520A (ja) 生ごみの処理装置
KR20030088958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3245640A (ja) 生ゴミ処理装置
KR20020033510A (ko) 유기물 처리장치
JP2001054776A (ja) 有機物処理装置
JP3806657B2 (ja) 有機物処理装置
JPH0884975A (ja) 生ごみ処理装置
JP2001054778A (ja) 有機物処理装置
JP2001054777A (ja) 有機物処理装置
JP2003190919A (ja) 生ゴミ分解処理装置
JP2006289318A (ja) 生ゴミ処理機
JP2002126701A (ja) 有機物処理装置
JP2002102830A (ja) 生ゴミ分解処理機の脱臭構造
JPH08290154A (ja) 廃棄物処理装置
KR19980066477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