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6946B1 - 회로차단기 - Google Patents

회로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6946B1
KR100336946B1 KR1019970707836A KR19970707836A KR100336946B1 KR 100336946 B1 KR100336946 B1 KR 100336946B1 KR 1019970707836 A KR1019970707836 A KR 1019970707836A KR 19970707836 A KR19970707836 A KR 19970707836A KR 100336946 B1 KR100336946 B1 KR 100336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ntact
movable contact
circuit breaker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7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8310A (ko
Inventor
하루히사 도다
코헤이 구라타
신사쿠 야마사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08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01Means for breaking welded contacts; Indicating contact welding or other malfunction of the circuit break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01H71/52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comprising a cradle-mechanism
    • H01H71/525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comprising a cradle-mechanism comprising a toggle between cradle and contact arm and mechanism spring acting between handle and toggle knee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가동접점(44a)과 고정접점(43a)이 용착한 경우에 핸들(62)을 개로위치까지 이동할 수 없게 하는 동시에 핸들암(59)을 소형으로 한 회로 차단기를 얻는다.
토글링크기구(58)의 핸들측 링크(54)에 캠부(54a)를 설치하고, 접점 용착시에 핸들(62)을 개로위치로 이동하고저 하면 캠부(54a)가 핸들암(59)의 구부림걸림부(59a)에 걸어 맞춰서 핸들(62)이 개로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Description

회로 차단기
본 발명은 회로 차단기의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이 용착된 경우에 핸들을 개로위치까지 이동할 수 없도록 한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제 11 도는 일본국 실공평 1-42286 호 공보에 기재된 종래의 회로 차단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1은 커버, 2는 베이스로서, 어느 것이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3은 상기 커버(1)과 베이스(2)로 되는 광체, 4는 베이스(2)에 고정된 고정접촉자이며, 일단에 외부도체(도시않음)가 접속되도록 단자부(5)가 있고 타단의 상면에는 고정접점(6)을 갖고 있다.
7은 이 고정접점(6)에 대향하는 가동접점(8)을 갖는 가동접촉자, 9는 이 가동접촉자(7)를 지지핀(10)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가동접촉자암, 11은 이 가동접촉자 암(9)과 가동접촉자(7) 사이에 설치되어 가동접촉자(7)를 고정접점(6) 방향으로 상시 작동하는 접압스프링, 12는 모든 극에 병설된 각각의 가동접촉자 암(9)의 일단을 연결한 절연물로 된 크로스바이다.
13은 상기 양 접점(6)(8)간에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하는 소호장치이고, 한쌍의 소호측판(14)의 내측에 소호용 자성판(15)을 여러개 배열하고 있다.
16은 일단이 가동접촉자 암(9)에 축(17)에 의해 회동자재로 지지된 하부링크, 18은 일단이 하부링크(16)의 타단에, 타단이 크레들(19)에 각각 축(20)(21)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상부링크이다.
22는 하부링크(16) 상부링크(18) 및 축(20)에 의해 구성되고, 축(20)이 팔꿈치부가 되는 토글링크기구이다.
23은 이 토글링크기구(22)에 대해 소정의 관계위치로 회동이 자유롭게 일단(도시않음)이 지지된 핸들암, 24는 일단이 스프링걸이판(25)을 통해서 핸들암(23)에, 타단이 축(20)에 각각 걸쳐진 토글 스프링, 26은 커버(1)의 외부로 부터 조작이 될 수 있고 합성수지로 형성된 핸들이며 핸들암(23)과 연동된다.
27은 가동접촉자(7)에 접촉된 바이메탈, 28은 이 바이메탈(27)에 고착된 고정철심, 29는 이 고정철심(28)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가동철심, 30은 이 가동철심(29)이 고착된 회동이 자유로운 트립바, 31은 일단이 크레들(19)에 타단이 트립바(30)에 각각 평상시에는 걸려있는 회동이 자유로운 래치, 32는 크래들(19)을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크레들축, 33을 트립시에 크레들(19)을 걸게하는 스토퍼이고, 프레임(34)에 걸어 맞춰서 고정되어 있다.
또, 프레임(34)은 상술한 크레들축(32)의 위치결정 및 래치(31)의 회동을 위한 지지점도 지지하고 있다.
다음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접점이 개로상태가 되어있는 제 12 도에서 크레들(19)이 래치(31)에 걸린 상태로 핸들(26)을 폐로위치(우측경사)으로 눕히면 토글링크기구(22)가 신장되어 가동접점(8)이 고정접점(6)에 접촉되고 제 11 도에 표시하는 폐로상태가 된다.
다음에 핸들(26)을 개로위치(좌측경사)로 눕히면 토글링크기구(22)가 굴곡되고 가동접점(8)이 고정접점(6)으로부터 개리되어 도 12에 표시하는 개로상태가 된다.
한편 도 11에 표시하는 상기 폐로상태에서 회로에 과전류가 흐르면 바이메탈(27) 또는 가동철심(29)이 작동하여 크레들(19)과 래치(31)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기 때문에(도 13을 참조해서), 크레들 축(3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크레들(19)이 회동된다.
따라서 크레들(19)과 상부링크(18)의 연결점 즉, 축(21)의 점이 토글 스프링(24)의 작용선을 넘기 때문에 토글 스프링(24)의 스프링력에 의해 토글링크기구(22)가 굴곡되게 되어 크로스바(12)에 의해 각극 연동해서 모든 극이 함께 가동접점(8)을 고정접점(6)으로부터 개리하고 도 13에 표시한 트립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회로 차단기에서는 이상전류에 의해 가동접촉자(7)가 폐로상태에서 용착해서 개로할 수 없는 상태가 만일에 발생한 경우에는 도 1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26)을 폐로측으로 이동하면 토글 스프링(24)을 보통 이상으로 신장시켜서 핸들(26)을 개로위치에 이동,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핸들(26)의 개로표시 위치와 실제의 가동접촉자(7)의 폐로위치가 일치하지 않게 된다.
또, 종래예로서 일본국 특공평 1-39176 호 공보에 표시된 회로 차단기가 있으나 이는 접점간이 용착시에 개폐레버(핸들암에 상당하는 것)와 가동접촉자 장치가 걸어 맞춰서 핸들이 개로위치로 이동할 수 없게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회로 차단기에서는 이상전류에 의해 가동접촉자가 폐로상태에서 용착되었을때에 핸들이 개로위치에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나 핸들암을 가동접촉자 장치에 직접 걸어 맞추게 하였으므로 핸들암이 대형화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이 용착한 경우에 핸들을 개로위치까지 이동할 수 없도록 하는 동시에 핸들암을 비교적 소형으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이 용착한 경우에 핸들을 개로위치까지 이동할 수 없게 하는 동시에 핸들암을 비교적 소형으로 하고 또 견고한 기구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 관한 회로 차단기에서는 베이스와 커버로 된 절연광체의 내부에 고정접촉자와, 이 고정접촉자에 대향해서 접리하는 가동접촉자와, 이 가동접촉자를 구동하는 토글링크기구와, 이 토글링크기구에 대해 소정의 관계위치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핸들암과, 과전류에 응동해서 토글링크 기구를 작동시키는 트립장치를 수납한 회로 차단기에서 토글링크기구에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이 용착시에 핸들암에 걸어 맞춰서 핸들이 개로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저지부를 설치한 것이다.
이로써 핸들이 개로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동시에 핸들암을 비교적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저지부는 토글링크기구의 핸들측 링크에 설치되고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이 용착되었을 때 핸들암에 걸어 맞춰서 핸들이 개로위치에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캠부이다.
이로써 핸들이 개로위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동시에 핸들암이 비교적 소형으로 된다.
또, 토글링크기구의 핸들측 링크의 핸들암과 걸어 맞추는 저지부를 핸들측 링크의 지지점을 중심으로 한 원호상의 캠부로 형성한 것이다.
핸들측 링크의 지지점과 캠부의 중심을 일치시킴으로써 핸들측 링크가 회전하나 핸들이 캠부와의 걸어 맞춤 위치보다 그 이상으로 개로위치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으므로 접점용착의 표시가 명확해진다.
또, 핸들측 링크의 핸들암과 걸어 맞추는 캠부를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이 용착시에 핸들을 개로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 이동과정의 전기(前期)에 상기 핸들암에 걸어 맞추는 제 2의 캠부와 상기 이동과정의 후기에 상기 핸들암에 걸어 맞추는 제 1의 캠부로 형성한 것이다.
이로써 회로 차단기가 폐로상태에서 개로상태로 핸들을 반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핸들암의 구부림걸림부가 핸들측 링크의 제 2의 캠부에 걸어 맞춰서 핸들측 링크와 가동접촉자측 링크의 연결부를 빨리 굴곡 시키므로 개로동작이 보다 확실해진다.
그리고 접점의 용착상태가 작은 경우에는 시계방향으로 작동하는 모멘트에 의해 가동접촉자를 끌어 올리고 접점을 개리하는 작용이 있다.
또, 이동해서 제 1의 캠부에 걸어맞춤으로써 핸들이 이 이상 개로위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또, 핸들측 링크의 핸들암과 걸어 맞추는 캠부를 핸들측 링크의 지지점을 중심으로한 원호상의 제 1의 캠부와 핸들측 링크의 지지점에서 가동접촉자측 링크측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의 제 2의 캠부로 형성한 것이다.
이로써 회로 차단기가 폐로상태로부터 개로상태로 핸들을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핸들암의 구부린 걸림부가 핸들측 링크의 제 2의 캠부에 걸어 맞춰서 핸들측 링크와 가동접촉자측 링크의 연결부를 신속하게 굴곡 시키므로 개로동작이 보다 확실해진다.
그리고 접점의 용착상태가 작은 경우에는 시계방향으로 작동하는 모멘트에 의해 가동접촉자를 끌어 올리고 접점을 개리하는 작용이 있다.
또, 이동해서 제 1의 캠부에 걸어맞춤으로써 핸들이 이 이상 개로위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또, 베이스와 커버로 된 절연광체의 내부에 고정첩촉자와, 이 고정접촉자에 대향해서 접리하는 가동접촉자와, 이 가동접촉자의 일단을 연결한 크로스바와 가동접촉자를 구동하는 토글링크기구와, 이 토글링크기구에 대해 소정의 관계위치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핸들암과 이 핸들암에 연동하는 핸들과 과전류에 응동해서 토글링크기구를 작동시키는 트립장치를 장착한 회로 차단기에서, 크로스바와 핸들암 사이에 고정접촉자의 고정접점과 가동접촉자의 가동접점이 용착시에 크로스바 및 핸들암과의 상호간에 걸어 맞춰서 핸들이 개로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설치한 것이다.
이로써 핸들이 개로위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동시에 핸들암을 비교적 소형으로 할 수 있고, 또 스토퍼를 견고한 크로스바에 되도록 하였으므로 다소 무리한 힘이 작용해도 파괴되는 일 없이 기구가 견고하게 된다.
또, 스토퍼를 상시 핸들암에 걸어 맞추는 비틀림 스프링을 설치한 것이다. 이로써 상시 핸들암을 시계방향으로 작동함으로써 핸들의 폐로방향으로의 이동을 확실하게 하고 회로 차단기의 접점위치와 핸들의 표시상태가 확실하게 연계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인 회로 차단기를 표시하는 측단면도이고 폐로상태를 표시한다.
도 2는 도 1의 회로 차단기가 개로상태일때를 표시하는 요부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회로 차단기가 트립상태일때를 표시하는 요부 측단면도
도 4는 도 1의 회로 차단기의 접점이 용착된 상태에서 핸들을 개로위치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표시하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인 회로 차단기를 표시하는 측단면도
도 6은 도 5의 회로 차단기의 접점이 용착된 상태에서 핸들을 개로위치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표시하는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7은 도 6의 상태로부터 토글링크 기구가 이동한 상태를 표시하는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인 회로 차단기를 표시하는 측단면도이고 폐로상태를 표시한다.
도 9는 도 8의 회로 차단기의 접점이 용착된 상태에서 핸들을 개로위치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표시하는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인 회로 차단기를 표시하는 측단면도
도 11은 종래의 회로 차단기를 표시하는 측단면도이고, 폐로상태를 표시한다.
도 12는 종래의 회로 차단기를 표시하는 측단면도이고, 개로상태를 표시한다.
도 13은 종래의 회로 차단기를 표시하는 측단면도이고, 트립상태를 표시한다.
도 14는 종래의 회로 차단기를 표시하는 측단면도이고, 접점이 용착상태이고 핸들이 개로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표시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인 회로 차단기의 일부를 도려내서 내부를 표시한 측단면도이고, 폐로상태를 표시한다. 도 2는 도 1의 회로 차단기가 개로상태일때를 표시하는 요부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회로 차단기가 트립 상태일 때를 표시하는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면에서 40은 커버, 41은 베이스이고, 모두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42는 상기 커버(40)와 베이스(41)로 된 광체, 43은 베이스(41)에 고정된 고정접촉자이고, 고정접점(43a)을 갖고 있다.
44는 이 고정접점(43a)에 대향하는 가동접점(44a)를 갖는 가동접촉자이고, 지지핀(45)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46은 모든 극에 병설된 각각의 가동접촉자(44)의 일단을 연결한 절연물로 된 크로스바이다.
47은 가동접촉자(44)와 크로스바(46)사이에 설치되어 가동접촉자(44)를 고정접점(43a)방향으로 상시 작동하는 접압스프링이다.
48은 가요도체이고 일단은 가동접촉자(44)에, 타단은 트립장치(도시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49는 양접점(43a)(44a)간에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하는 소호장치이고, 한쌍의 소호측판(50)의 내측에 소호용 자성판(51)을 여러개 배열하고 있다.
52는 일단이 크로스바(46)에 축(53)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가동접촉자측 링크(이하, 하부링크라함) 54는 일단이 하부링크(52)의 타단에, 타단이 크레들(55)에 각각 축(56)(57)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핸들측 링크(이하 상부링크라 함)이고, 이 상부링크(54)에 저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저지부는 구체적으로 상부링크(54)의 지지점이 되는 축(57)의 중심점을 중심으로한 반경 R의 원호상의 캠부(54a)로 형성되어 있다.
58은 하부링크(52), 상부링크(54) 및 축(56)으로 구성되고 축(56)이 팔굼치부가 되는 토글링크기구이다.
59는 핸들암이고, 구부림걸림부(59a)을 가지며 토글링크기구(58)에 대해 소정의 관계위치로 회동이 자유롭게, 일단(59b)이 회동 지지점이 되고 도시하지 않은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다.
60은 일단이 스프링 걸림핀(61)을 통해서 핸들암(59)에, 타단이 축(56)에 각각 걸려있는 토글스프링이다.
62는 커버(40)의 외부에서 조작이 될 수 있고 합성수지로 형성된 핸들이며 핸들암(59)과 연동한다.
63은 걸쇠이고 크레들(55)과 걸어 맞추는 걸쇠 걸림부(63a), 걸쇠 지지축(64)이 끼워지는 요부(63b)를 갖고 트립장치(도시않음)에 걸어 맞춰서 걸쇠 지지축(64)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한다.
65는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에 지지된 크레들 지지축, 66은 상부링크(54) 및 가동접촉자(44)의 스토퍼 핀이다.
다음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접점이 개로상태로 되어 있는 도 2에서 크레들(55)이 걸쇠(63)에 걸려있는 상태에서 핸들(62)을 폐로위치(우측경사)로 하면 토글링크기구(58)가 신장되고 가동접점(44a)이 고정접점(43a)에 접촉해서 도 1에 표시하는 폐로상태가 된다.
다음에 핸들(62)을 개로위치(좌측경사)로 할때 토글스프링(60)의 축선이 축(56)과 축(57)을 연결하는 작용선(데드 포인트)을 넘으면 토글링크기구(58)가 굴곡되어서 하부링크(52)를 잡아올려 가동접점(44a)의 고정접점(43a)로부터 개리되고 도 2에 표시한 개로상태가 된다.
한편, 도 1에 표시하는 상기 폐로상태에서 회로에 과전류가 흐르면 트립 장치가 작동해서 크레들(55)과 걸쇠(63)의 걸림이 해제되므로(도 3을 참조해서)크레들 지지축(65)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크레들(55)이 회동한다.
따라서, 크레들(55)과 상부링크(54)에서, 즉, 축(57)의 토글스프링(60)의 작용선을 초과하기 때문에 토글스프링(60)의 스프링력에 의해 토글링크기구(58)가 굴곡되므로 크로스바(46)에 의해 각극 연동해서 모든 극이 함께 가동접점(44a)을 고정접점(43a)로부터 개리하여 도 3에 표시하는 트립상태가 된다.
도 4는 예를 들면 폐로상태에서 펄스상의 대전류가 흘러서 크레들(55)과 걸쇠(63)의 걸림이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접점(43a)과 가동접점(44a)사이에 용착현상이 생겨서 가동접점(44a)이 개리되지 않은 경우를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는 토글링크기구(58)는 폐로상태의 위치로 보존되어 있고, 도 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보수점검 등의 필요에서 개로상태로 하기위해 핸들(62)을 개로측에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면 토글스프링(60)이 신장해서 핸들암(59)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개로위치 방향으로 움직여진다.
그러나 핸들(62)이 반시계 방향으로 동작하는 도중에 핸들암(59)의 구부림걸림부(59a)가 폐로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토글링크기구(58)의 상부 링크(54)의 캠부(54a)에 충돌해서 걸어 맞추고 핸들암(59)을 이 이상 개로위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또, 핸들암(59)의 구부림 걸림부(59a)가 폐로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토글링크기구(58)의 하부링크에 충돌해서 걸어 맞추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토글링크기구(58)에 저지부 구체적으로는 캠(54a)과 핸들암(59)의 구부림 걸림부(59a)가 충돌해서 걸어맞추므로, 종래와 같이 가동접촉자 장치와 핸들암이 충돌해서 걸어맞추는 것보다 핸들암이 소형이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인 회로 차단기를 1부를 도려내서 내부를 표시하는 측단면도이고, 회로 차단기의 접점이 용착된 상태에서 핸들을 개로위치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표시한다.
도 6은 도 5의 회로 차단기의 접점이 용착된 상태에서 핸들을 개로위치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표시하는 요부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면에서 100은 상부링크이고 핸들암(59)의 구부림 걸림부(59a)와 걸어 맞추는 캠부의 형상이 축(57)의 중심점(C1)을 중심으로 해서 반경 R1으로 형성되는 제 1의 캠부(100a)와 축(57)의 중심점(C1)으로부터 치수 L만큼 하부링크(52)측으로 떨어진 임의의 위치를 중심점(C2)로 하고, 이를 중심으로 해서 반경 R2로 형성되는 제 2의 캠부(100b)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40A(암페어) 프레임의 회로 차단기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중심점(C2)의 위치는 L=2.5∼3mm의 범위, 중심점(C1)과 축(56)의 중심점(C3)을 연결한 1점쇄선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θ=약 20도 회전한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도 5의 상태에서는 예를 들면 폐로상태에서 펄스상의 대전류가 흘러서 크레들(55)과 걸쇠(63)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접점(43a)과 가동접점(44a)사이에 용착형상이 생겨서 가동접점(44a)이 개리하지 않은 경우를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는 도 6의 상세한 요부 확대 측단면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보수 점검등의 필요에서 개로상태로 하기 위해 핸들(62)을 개로측에 반시계 방향으로움직이면 토글 스프링(60)이 신장해서 핸들암(59)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개로위치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나 핸들이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중, 즉 핸들(62)을 개로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의 전기에서 핸들암(59)이 구부림걸림부(59a)가 상부 링크(100)의 제 2의 캠부(100b)에 걸어 맞춘다.
이때 제 2의 캠부(100b)와 핸들암(59)이 구부림걸림부(59a)의 접촉점에는 중심점(C2)으로 향해서 누르는 힘 F2가 적용한다.
이 F2의 방향은 중심점(C2)의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상부 링크(100)에는 축(57)의 중심점(C1)을 지지점으르 해서 시계방향의 모멘트 M=F2xL가 작용해서 상부링크(100)와 하부링크(52)를 연결하는 축(56)을 화살표 D방향으로 회동시키고 도 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링크(52)를 화살표 E방향으로 끌어 올리며 가동접촉자(44)를 고정접촉자(43)로부터 개리시키려 하나 접점이 용착되어 있기 때문에 갭G(도 6 참조) 만큼 이동해서 정지한다.
축(56) 부분이 굴곡함으로써 핸들암(59)의 구부림걸림부(59a)는 제 1의 캠부(100a)에 걸어 맞추는 위치까지 이동하고, 이때 즉 핸들(62)을 개로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의 후기에 제 1의 캠부(100a)와의 접촉점에는 중심점(C1)으로 향해 누르는 힘 F1이 작용하므로 핸들암(59)을 이 이상 개로위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이 실시의 형태 2에 의하면 회로 차단기가 폐로상태로 부터 개로상태로 핸들(62)을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핸들암(59)의 구부림걸림부(59a)가 상부링크(100)의 제 2의 캠부(100b)에 걸어 맞춰서 상부링크(100)와 하부링크(52)의 연결부를 신속하게 굴곡시키므로 개로동작이 보다 확실하게 된다.
또, 접점의 용착상태가 작은 경우에는 시계방향의 모멘트 M=F2xL에 의해 가동접촉자(44)를 들어올려 접점을 개리하는 작용이 있다.
또 상부링크(100)가 굴곡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1의 캠부(100a)와 핸들암(59)의 구부림걸림부(59a)가 걸어 맞춤으로써 상부링크(100)는 가동접촉자(44)를 끌어올리는 상태까지 회전하나 핸들(62)은 캠부(100a)에 걸린 위치로 부터 개로위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도 8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인 회로 차단기를 일부 도려내어서 내부를 표시하는 측단면도이고, 폐로상태를 표시한다.
도면에서 1∼66은 상기 실시의 형태 1과 같은 것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70은 스토퍼이고, 크레들(55)의 스토퍼 지지축(65)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일단에 암부(70a)가 형성되며, 타단에 핸들암(59)의 구부림걸림부(59a)와 걸어 맞추는 스토퍼축(71)이 고착되어 있다.
도 9는 예를 들어 폐로상태에서 펄스 상의 대전류가 흘러서 크레들(55)과 걸쇠(63)의 걸림이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접점(43a)과 가동접점(44a)사이에 용착현상이 생겨서 가동접점(44a)이 개리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접점용착 상태에서는 보수점검등의 필요에서 개로상태로 하기 위해 도 8의 상태에서 핸들(62)을 개로측에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면 토글 스프링(60)이 신장되어 핸들암(59)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개로위치 방향으로 움직여진다(도 9참조). 그러나 핸들(62)이 반시계 방향으로 동작하는 도중에 핸들암(59)의 구부림걸림부(59a)에 맞닿여 있는 축(71)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스토퍼(70)의 암부(70a)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해서 구조로서 견고한 크로스바(46)의 돌기부(46a)에 충돌해서 걸어 맞추고, 도 9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핸들암(59)을 이 이상 개로위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종래와 같이 가동접촉자 장치와 핸들암이 충돌해서 걸어 맞추는 것 보다 핸들암이 소형으로 된다.
도 10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4를 표시하는 회로 차단기의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72는 비틀림 스프링이고 스토퍼 축(71)에 걸어 맞춰서 스토퍼축(71)을 상시 핸들암(59)의 구부림걸림부(59a)에 맞닿게 하며 스토퍼(70)을 상시 시계방향으로 작동시키고 있다.
이 실시의 형태 4에 의하면 비틀림 스프링(72)의 스토퍼(70)에 대한 작동력은 핸들암(59)과 핸들(62)의 시계방향의 작동력이 된다.

Claims (3)

  1. 베이스(41)와 커버(40)로 되는 절연광체(42)의 내부에 고정접촉자(43)와, 이 고정접촉자(43)에 대향해서 접리하는 가동접촉자(44)와;, 이 가동접촉자(44)를 구동하는 토글링크기구(58)와; 이 토글링크기구(58)에 대해 소정의 관계위치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핸들암(59)과; 이 핸들암(59)에 연동하는 핸들(62)과; 과전류에 응동해서 상기 토글링크기구(58)를 작동시키는 트립장치를 장착하고,
    상기 가동접촉자(44)의 가동접점(44a)이 용착시에 상기 핸들(62)이 개로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토글링크기구(58)에 상기 고정접촉자(43)의 고정접점(43a)과 상기 가동접촉자(44)의 가동접점(44a)이 용착시에, 상기 핸들암(59)의 구부림 걸림부(59a)와,
    상기 토글링크기구(58)의 작용선에서 보아 상기 고정접촉자(43)의 고정접점(43a)이나 상기 가동접촉자(44)의 가동접점(44a)측에서 걸어맞춰서, 상기 핸들(62)이 개로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저지부(54a)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저지부(54a)는 핸들측 링크(54)에 설치되고, 고정접점(43a)과 가동접점(44a)이 용착시에 핸들(62)를 개로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 있어서,
    이 이동과정의 전기(前期)에 핸들암(59)에 걸어맞추고, 상기 핸들측 링크(54)의 지지점으로 부터 가동접촉자측 링크(52)측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의 제2의 캠부(100b)와, 상기 이동과정의 후기(後期)에 상기 핸들암(59)에 걸어맞추고 상기 핸들측 링크의 지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의 제1의 캠부(100a)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3. 제 1 에 있어서,
    구부림 걸림부(59a)는, 토글링크기구(58)의 작용선에서 보아 고정접촉자(43)의 고정접점(43a)이나 가동접촉자(44)의 가동접점(44a)측에 차폐하는 면을 갖도록 핸들암(59)의 회동면으로 부터 구부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KR1019970707836A 1996-03-15 1996-03-15 회로차단기 KR1003369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6/000670 WO1997035333A1 (fr) 1996-03-15 1996-03-15 Disjonct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310A KR19990008310A (ko) 1999-01-25
KR100336946B1 true KR100336946B1 (ko) 2002-10-25

Family

ID=14153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7836A KR100336946B1 (ko) 1996-03-15 1996-03-15 회로차단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827173B1 (ko)
JP (1) JP3814671B2 (ko)
KR (1) KR100336946B1 (ko)
DE (1) DE69636639T2 (ko)
TW (1) TW353756B (ko)
WO (1) WO19970353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7155B2 (ja) * 1998-08-07 2000-06-26 寺崎電気産業株式会社 回路遮断器
US6166344A (en) * 1999-03-23 2000-12-26 General Electric Company Circuit breaker handle block
DE60033632T2 (de) * 2000-04-07 2007-10-31 Hager Electro S.A.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lektrisches Gerät vom Schutzschalter Typ
KR100618607B1 (ko) * 2004-12-07 2006-09-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메카니즘 구조
JP4552655B2 (ja) * 2005-01-12 2010-09-29 富士電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回路遮断器
KR200419048Y1 (ko) * 2006-03-17 2006-06-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JP4857881B2 (ja) * 2006-04-14 2012-01-18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回路遮断器
JP5595827B2 (ja) * 2010-08-06 2014-09-24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回路遮断器
JP2016033892A (ja) * 2014-07-31 2016-03-10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回路遮断器
JP6395676B2 (ja) * 2015-07-31 2018-09-26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
CN106206193B (zh) * 2016-08-29 2019-05-21 苏州未来电器股份有限公司 断路器的快速脱扣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16445A2 (en) * 1991-05-29 1992-12-02 Eaton Corporation Circuit breaker with interlock for welded contact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1221A (ja) * 1982-05-20 1983-11-24 寺崎電気産業株式会社 電気開閉器
JPS58201222A (ja) * 1982-05-20 1983-11-24 寺崎電気産業株式会社 電気開閉器
JPS58201223A (ja) * 1982-05-20 1983-11-24 寺崎電気産業株式会社 電気開閉器
ZA898764B (en) * 1988-12-08 1990-08-29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ctrical circuit breaker handle locking apparatus
US5200724A (en) * 1989-03-30 1993-04-06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ctrical circuit breaker operating handle block
US5142112A (en) * 1990-04-03 1992-08-25 Westinghouse Electric Corp. Circuit breaker positive off interlock
US5213206A (en) * 1991-05-29 1993-05-25 Westinghouse Electric Corp. Circuit breaker with positive on/off interlock
DE9401785U1 (de) * 1994-02-03 1995-07-20 Kloeckner Moeller Gmbh Schaltschloß mit einem Sperrmechanismus
JPH07302534A (ja) * 1994-05-10 1995-11-14 Fuji Electric Co Ltd 回路遮断器の開閉機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16445A2 (en) * 1991-05-29 1992-12-02 Eaton Corporation Circuit breaker with interlock for welded conta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36639D1 (de) 2006-11-30
EP0827173A1 (en) 1998-03-04
EP0827173B1 (en) 2006-10-18
WO1997035333A1 (fr) 1997-09-25
DE69636639T2 (de) 2007-08-23
TW353756B (en) 1999-03-01
KR19990008310A (ko) 1999-01-25
JP3814671B2 (ja) 2006-08-30
EP0827173A4 (en) 2000-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6664A (en) Circuit breaker with positive off protection
JP4237832B2 (ja) 短絡に際して離脱可能のロックシステムを有する回路遮断器の作動機構
JPH05182577A (ja) 接点が閉位置で溶着した状態に応答できる回路遮断器
KR100336946B1 (ko) 회로차단기
JPS63271841A (ja) 配線用遮断器
JPH0828180B2 (ja) 回路遮断器
EP0918348A2 (en) Circuit breaker with automatic catch to prevent rebound of blow open contact arm
JPH05198241A (ja) 接点の溶着状態に対応するインターロック手段を有する回路遮断器
US5272291A (en) Dual switch actuator mechanism with Geneva drive plate and follower plates detent assembly
EP0978860B1 (en) Circuit breaker
EP1515351A2 (en) Circuit breaker handle block
JPH0512976A (ja) 配線用遮断器の多極クロスバー組立体
NZ260684A (en) Circuit breaker with welded contacts break open mechanism
JPH0697591B2 (ja) 回路遮断器の開閉機構
US5931289A (en) Circuit breaker with quick closing mechanism
US6495781B2 (en) Handle position indicator
EP1206789B1 (en) Blocking apparatus for circuit breaker contact structure
US4137433A (en) Bolted pressure switch with side operator mechanism and door assembly interlock
US5990434A (en) Switching mechanism for circuit breaker
JP2006196242A (ja) 回路遮断器
JP3794200B2 (ja) 回路遮断器
JP2738773B2 (ja) 回路遮断器
JPH0139178B2 (ko)
CN1174456C (zh) 电气保护设备的操纵器及配有该操纵器的电路断路器
US4350965A (en) Multi-pole circuit break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