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0184B1 - 레버식호이스트 - Google Patents

레버식호이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0184B1
KR100310184B1 KR1019970013082A KR19970013082A KR100310184B1 KR 100310184 B1 KR100310184 B1 KR 100310184B1 KR 1019970013082 A KR1019970013082 A KR 1019970013082A KR 19970013082 A KR19970013082 A KR 19970013082A KR 100310184 B1 KR100310184 B1 KR 100310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coil spring
rotation
hydraulic
driv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3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8075A (ko
Inventor
야스히로 사메지마
Original Assignee
니시무라 요우사끼
바이탈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라 요우사끼, 바이탈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시무라 요우사끼
Publication of KR19980018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2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 B66D3/14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lever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32Detent devices
    • B66D5/34Detent devices having la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3Hoi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One-Way And Automatic Clutches, And Combinations Of Different Clutch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Wind Motor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버식 호이스트에 관하여, 특히 자유회전 개시시에 있어서의 조작륜 (操作輪) 의 조작이 불필요하고, 순시에 자유회전동작을 행할 수 있는 레버식 호이스트에 관한 것이며, 기단부가 기어 전동계열을 통하여 로드 시이브 (load sheave) 에 연결되는 구동축과, 이 구동축에 고정되는 수압부재와, 상기 수압부재의 축방향 선단측에, 상기 구동축상을 진퇴가능하게 나사식 결합되어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서 조작핸들에 의해서 회동되는 누름구동부재와, 상기 수압부재와 상기 누름구동부재와의 사이에 장착되어, 감아올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역전방지륜과, 상기 역전방지륜의 양면에 배치되고, 상기 누름구동부재에 의해서 누름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마찰부재를 구비하는 레버식 호이스트에 있어서, 수압부재와 누름구동부재와의 사이에 장착된 코일스프링과, 코일스프링의 기단과 선단에 각각 설치된 기단걸림부 및 선단걸림부와, 수압부재의 선단면에 설치되어, 코일스프링의 기단걸림부를 걸어 수압부재에 대한 코일스프링의 감아올림방향의 회전을 저지하는 제 1 회전저지수단과, 누름구동부재의 기단면에 설치되어, 코일스프링의 선단걸림부를 걸어 코일스프링에 대한 누름구동부재의 감아올림방향의 회전을 저지하는 제 2 회전저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호이스트.

Description

레버식 호이스트
본 발명은 레버식 호이스트에 관하여, 특히 자유회전 개시시에 있어서의 조작륜 (操作輪) 의 조작이 불필요하고, 순간적으로 자유회전동작을 행할 수 있는 레버식 호이스트에 관한 것이다.
자유회전 개시시의 조작륜의 조작이 불필요한 레버식 호이스트로서, 출원인은 먼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7-247096 호에 기재한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 레버식 호이스트는 역회전방지륜 및 그의 양면에 배치된 한 쌍의 마찰부재를 통하여, 구동축에 고정된 수압부재 (受壓部材) 를 누름구동부재로 회전시키는 구성의 호이스트에 있어서, 상기 누름구동부재와, 이 누름구동부재의 축방향 선단측 (先端側) 에 배치되어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제한부재와의 사이에 코일스프링을 끼워서, 수압부재에 대한 누름구동부재의 누름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하고 있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상기 공보의 레버식 호이스트는 코일스프링의 양단부 (兩端部)를 누름구동부재의 돌조와 회전제한부재의 회전제한돌기에 걸어맞추어 조립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조립이 어려웠다.
즉, 구동축에 누름구동부재를 나사식 결합시키고, 코일스프링을 끼운 후, 회전제한부재를 구동축의 스플라인 (spline) 부에 고정할 때, 코일스프링의 양단부를 둘레방향으로 강제적으로 단축시켜서, 각 단부를 누름구동부재의 돌조와 회전제한부재의 회전제한돌기에 걸어주어야 하므로 작업이 곤란했다.
또, 종래의 레버식 호이스트는 구동축에 진퇴가능하게 나사식 결합되어 있는 누름구동부재와, 이 누름구동부재의 축방향 선단측에 있어서 구동축에 스플라인결합되어 있는 회전제한부재와의 사이에 코일스프링을 배치하여 이루어진 구성이었기 때문에, 코일스프링과 누름구동부재나 회전제한부재의 사이에는 약간의 축방향 간극을 필요로 하고, 이 축방향 간극때문에, 회전제한부재가 감아올림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코일스프링과 돌조나 돌기와의 걸림이 풀어질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들 과제를 해결하고, 누름구동부재에 대한 감아내림방향으로 가하고 있는 힘을 확실하게 얻을 수 있고, 무부하 상태에서의 자유회전을 용이하게 하고, 게다가 조립작업에 곤란성이 없어 양산화 (量産化) 에 적합한 레버식 호이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레버식 호이스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레버식 호이스트의 일 실시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레버식 호이스트의 누름구동부재를 축방향 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로드 시이브 (load sheave) 5 : 구동축
5a,5d : 나사부 5c : 스플라인부
6 : 수압부재(受壓部材) 6a : 디스크부
6b : 보스 (boss) 부 6c : 보스구멍
6d : 걸림흠 (제 1 회전저지수단) 7 : 누름구동부재
7a : 고리형상 오목구멍 7b : 제 1 돌조
7c : 제 2 돌조 7f : 둥근고리형상 돌출부
7g : 직경확대 돌기 7h : 경사면
7k : 걸림면 (제 2 회전저지수단) 71 : 스프링 배치구멍
7x : 직경축소 돌기 8, 9 : 마찰부재
10 : 역회전방지륜 13 : 코일스프링
14 : 회전제한부재 14a : 회전제한돌기
15 : 너트 16 : 조작륜
18 : 조작핸들 22 : 회전방향 전환고리
23 : 전환fp버 G1: 피니언 기어
G2∼ G4: 감속 기어 전동계열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레버식 호이스트는 기단부(基端部)가 기어 전동계열을 통하여 로드 시이브 (load sheave) 에 연결되는 구동축과, 이 구동측에 고정되는 수압부재(受壓部材)와, 상기 수압부재의 축방향 선단측에, 상기 구동축상을 진퇴가능하게 나사식 결합되어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서 조작핸들에 의해서 회전운동되는 누름구동부재와, 상기 수압부재와 상기 누름구동부재와의 사이에 끼워져, 감아올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역회전방지륜과, 상기 역회전방지륜의 양면에 배치되고, 상기 누름구동부재에 의해서 누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마찰부재를 구비하는 레버식 호이스트에 있어서, 수압부재와 누름구동부재와의 사이에 끼워진 코일스프링과, 코일스프링의 기단과 선단에 각각 설치된 기단걸림부 및 선단걸림부와, 수압부재의 선단면에 설치되어, 기단걸림부를 걸어 수압부재에 대한 코일스프링의 감아올림방향의 회전을 저지하는 제 1 회전저지수단과, 누름구동부재의 기단면에 설치되어, 선단걸림부를 걸어 누름부재에 대한 코일스프링의 감아내림방향의 회전을 저지하는 제 2 회전저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호이스트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수압부재에 상기 역회전방지륜 및 상기 마찰부재가 밖에서 끼워지는 보스 (boss) 부가 축방향 선단측에 돌출 형성 되고, 이 보스부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기단부가 배치되는 보스구멍이 축방향 선단측에 개구되어 형성되고, 이 보스구멍에는 지름방향의 외향으로 신장하는 걸림홈이 보스부의 축방향 선단측에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누름구동부재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선단부가 배치되는 스프링 배치구멍이 축방향 기단측에 개구되어 형성되고, 이 스프링 배치구멍의 주위에, 감아내림방향으로 갈수록 축방향 선단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이 경사면의 감아내림측 위치에 제 2 회전 저지수단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레버식 호이스트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레버식 호이스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2 는 이 레버식 호이스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에 있어서,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유지된 한쌍의 측판 (1, 2) 의 사이에는, 로드 시이브 (3) 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로드 시이브 (3) 는 베어링 (4, 4) 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로드 시이브 (3) 의 중심부에는 축구멍 (3a) 이 관통되어 있으며, 이 축구멍 (3a) 에는 구동축 (5) 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구동축 (5) 의 양단은 상기 로드 시이브 (3) 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구동축 (5) 의 우측의 돌출부에는 로드 시이브 (3) 를 구동하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 돌출부에는 측판 (2) 에 가까운 쪽을 기단측으로 하고 오른쪽을 선단 방향으로 하여 순서대로, 제 1 나사부 (5a), 축부 (5b), 스플라인부 (5c) 및 제 2 나사부 (5d)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나사부 (5a, 5d) 는 모두 오른나사이다. 한편, 구동축 (5) 의 좌측의 돌출부에는 피니언 기어 (pinion gear ; G1) 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은 감속 기어 전동계열(G2, G3, G4) 을 통하여 로드 시이브 (3) 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각 기어(G1∼ G4) 는 측판 (1) 에 고정되는 커버 (32) 에 의해 덮혀 있다.
구동축 (5) 의 제 1 나사부 (5a) 에는, 측판 (2) 에 가까운 쪽부터, 수압부재 (6) 와 누름구동부재 (7) 가 나사식 결합되어 있고, 수압부재 (6) 는 제 1 나사부 (5a) 의 가장 안쪽까지 나사식 조임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 수압부재 (6) 는 디스크부 (6a) 와 보스부 (6b) 를 가지며, 디스크부 (6a) 는 측판 (2) 에 근접하고, 보스부 (6b) 는 디스크부 (6a) 의 중앙부로부터 축방향 오른쪽으로 (축방향 선단측)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수압부재 (6)의 보스부 (6b) 에는, 코일스프링 (13) 의 외경보다 약간 큰 직경의 보스구멍(6c) 이 축방향 선단측에 개구되어 헝성되어 있다. 또, 보스구멍 (6c) 의 둘레벽의 일부에는 축방향 선단측 단면 (6e) 으로부터 축방향 기단방향으로 걸림홈 (6d ; 제 1 회전저지수단) 이 보스구멍 (6c) 의 저면에 이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스부 (6b) 에는 한 쌍의 마찰부재 (8, 9) 와, 이들 사이에 끼워붙여지는 역회전방지륜 (10) 이 밖에서 끼워져 있다.
역회전방지륜 (10) 은 그 외주에 원주방향의 한쪽으로 경사진 걸림톱니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역회전방지륜 (10) 과 그 양측에 배설된 마찰부재 (8, 9) 는 누름구동부재 (7) 에 의해 눌려지도록 되어 있고, 수압부재 (6) 의 디스크부 (6a) 와 누름구동부재 (7) 의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래칫 (rachet) 발톱 (pawl ; 11) 은 측판 (2) 에 피봇팅되어 있고, 스프링 (12)에 의해 역회전방지륜 (10) 의 외주부에 대하여 눌려지고 있다. 이 래칫 발톱 (11) 은 역회전방지륜 (10) 의 걸림톱니와 맞물려, 역회전방지륜 (10) 을 로드 시이브 (3) 의 감아올림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걸고 있다.
제 1 나사부 (5a) 에 축방향으로 진퇴가능하게 나사식 결합되어 있는 누름구동부재 (7)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해도 되지만,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 (7-1) 와 누름판 (7-2) 으로 나누어 형성해도 된다.
도 3 은 누름구동부재 (7) 의 본체부 (7-1) 를 축방향 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체부 (7-1) 와 누름판 (7-2) 으로 나누어 형성한 경우에는, 본체부 (7-1) 의 보스형상 돌출부 (7f) 에 형성된 직경확대 돌기 (7g) 가 누름판 (7-2)에 형성된 직경축소 돌기 (7x) 의 사이에 배치되어 설치되고, 직경확대 돌기 (7g) 가 직경축소 돌기 (7x) 에 맞닿음으로써, 본체부 (7-1) 와 누름판 (7-2) 이 일체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게다가, 하중에 의해서 누름판 (7-2) 이 마찰부재 (9) 에 물려 들어간 경우에도, 본체부 (7-1) 의 직경확대 돌기 (7g) 가 누름판 (7-2) 의 직경축소 돌기 (7x) 사이에 배치되어, 본체부 (7-1) 와 누름판 (7-2) 이 조금 상대회전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조작핸들 (18) 의 조작에 의해서 본체부 (7-1) 를 회전시켜 누름판 (7-2) 에 충격회전력을 가함으로써, 마찰부재 (9) 등에 대한 누름판 (7-2) 이 가하고 있는 힘 (물려들어감) 을 해제할 수 있다.
누름구동부재 (7) 에는 그 축방향 선단측의 단면에 고리형상 오목구멍 (7a) 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고리형상 오목구멍 (7a) 에는 지름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1돌조 (7b) 와 제 2 돌조 (7c) 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고리형상 오목구멍 (7a) 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각이 서로 크게 다른 2 개의 부분 (7a-1, 7a-2) 으로 구분된다.
누름구동부재 (7) 의 본체부 (7-1) 의 축방향 기단측 단면에는 둥근고리형 상 돌출부 (7f) 가 축방향 기단측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둥근고리형상 돌출부 (7f) 는 본체부 (7-1) 의 직경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나사구멍과 동심 (同心) 에, 둥근고리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둘레벽에는 코일스프링 (13) 의 선단걸림부 (13a) 를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 (7h) 이 일 이상의 곳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3 개의 경사면 (7h) 이 120 도마다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둥근고리형상 돌출부 (7f) 의 내경은, 코일스프링 (13) 의 외경과 거의 맞는 크기의 스프링 배치구멍 (71) 으로 되어 있다.
각 경사면 (7h) 은, 상기 둥근고리형상 돌출부 (7f) 의 축방향 기단측 단면으로부터 축방향 선단측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감아내림방향으로 갈수록 축방향 선단측으로 깊어지도록 형성된다. 이 경사면 (7h) 의 감아내림측 위치에 축방향과 수직인 면 (7j) 이 조금 형성되며, 또한 감아내림방향 위치에 축방향으로 신장하는 걸림면 (제 2 회전저지수단 ; 7k) 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경사면 (7h) 의 축방향의 깊이는 스프링 배치구멍 (7l) 의 바닥면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경사면 (7h) 이 형성된 부분의 둘레측벽은 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직경확대 돌기 (7g) 로 되어 있다.
누름구동부재 (7) 의 누름판 (7-2) 은 짧은 원통형상으로, 내경이 본체부 (7-1) 의 직경확대 돌기 (7g) 의 지름보다도 조금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 누름판 (7-2) 의 내경부에는, 본체부 (7-1) 의 둥근고리형상 돌출부 (7f) 의 기름보다도 직경이 크며 또 직경확대 돌기 (7g) 보다도 직경이 작은 직경축소 돌기 (7x) 가 지름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구동축 (5) 의 스플라인부 (5c) 에는 누름구동부재 (7) 에 인접하여 회전 제한부재 (14) 가 스플라인 결합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회전제한부재 (14) 에는 누름구동부재 (7)를 향하는 단면에 회전제한돌기 (14a) 가 형성되어 있고, 이것과 반대측의 단면에는 축방향 외향으로 보스부 (14b) 가 형성되어 있다.
누름구동부재 (7) 에 대한 회전제한부재 (14) 의 위치결정은, 예를 들면, 누름구동부재 (7) 를 감아올림방향으로 충분히 감아올려 마찰부재를 누른 상태로, 회전제한돌기 (14a) 가 누름구동부재 (7) 의 제 1 돌조 (7b) 에 대하여 감아내림방향으로, 약 30 도의 각도가 되도록 구동축 (5) 의 스플라인부 (5c) 에 끼워맞추어 행해진다. 이와 같이, 회전제한돌기 (14a) 는 큰 쪽의 고리형상 오목구멍 (7a-1) 에 돌출되어 있고, 제 1 돌조 (7b) 가 회전제한돌기 (14a) 에 닿음으로써, 누름구동부재 (7) 가 구동축 (5) 에 대하여 필요 이상으로 회전하지 않으므로, 누름구동부재 (7) 가 불필요하게 축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코일스프링 (13) 은 왼감기의 것이 사용되고, 양단이 지름방향 외향으로 굴곡형성되어, 기단걸림부 (13b), 선단걸림부 (13a) 가 된다. 코일스프링(13) 의 기단걸림부 (13b) 와 선단걸림부 (13a) 와의 개구각 (開口角) 은 적당히 설정되는데, 예를 들면 도시하는 예에서는 60 ∼ 90 도 정도로 되어 있다. 코일스프링 (13) 은 로드 시이브에 부하를 건 상태로 누름구동부재 (7) 을 감아 올리는 경우에는 충분히 가볍게 감아올릴 수 있는 정도의 스프링력의 것을 사용한다.
코일스프링 (13) 은 구동축 (5) 에 헐겁게 끼워져, 기단부 (13c) 가 수압부재 (6) 의 보스구멍 (6c) 에 끼워짐과 동시에, 선단부 (13d) 가 누름구동부재 (7) 의 스프링 배치구멍 (7l) 에 끼워져서 배치된다. 또한, 코일스프링 (13) 은 기단걸림부 (13b) 가 수압부재 (6) 의 걸림홈 (제 1 회전저지수단 ; 6d) 에 걸리는 한편, 선단걸림부 (13a) 가 누름구동부재 (7) 의 경사면 (7h) 의 감아내림방향 위치에 형성된 걸림면 (제 2 회전저지수단 ; 7k) 에 맞닿아서 걸린다.
조립시에는 코일스프링 (13) 의 기단걸림부 (13b) 를 수압부재 (6) 의 걸림홈 (6d) 에 위치시켜서, 코일스프링 (13) 의 일측부를 보스구멍 (6c) 에 끼워서 배치한 상태로, 누름구동부재 (7) 를 구동축 (5) 의 제 1 나사부 (5a) 를 따라서 나사식 전진시킴으로써, 자동적으로 코일스프링 (13) 의 선단걸림부 (13a) 가 누름구동부재 (7) 의 걸림면 (7k) 에 걸려서 행해진다. 즉, 경사면 (7h) 을 따라서 감아내림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깊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누름구동부재(7) 를 감아올림방향으로 나사식 전진시킴으로써 코일스프링 (13) 의 선단걸림부(13a) 가 자동적으로 걸림면 (7k) 으로 유도되는 것이다. 또한, 경사면 (7h) 및 걸림면 (7k) 을 누름구동부재 (7) 에 복수개 형성하면, 누름구동부재를 감아올림방향으로 몇분의 1 회전할 때마다 걸리고, 코일스프링 (13) 과의 걸림이 한층 용이하고, 게다가 코일스프링 (13) 을 최적의 강도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매우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코일스프링 (13) 의 기단걸림부 (13b) 가 걸림홈 (6d) 에 걸리고, 선단걸림부 (13a) 가 걸림면 (7k) 에 걸리고, 누름구동부재 (7) 를 감아올림방향으로 회전하면 코일스프링 (13) 이 변형되어, 누름구동부재 (7) 에는 수압부재 (6) 로부터 축방향 선단측으로 나사식 후퇴하는 방향인 둘레방향으로 가해지고 있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또, 누름구동부재 (7) 에는, 누름구동부재 (7) 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구동축 (5) 을 따라서 누름구동부재 (7) 를 나사식 후퇴시키는 회전력 외에, 수압부재 (6) 에 대하여 누름구동부재 (7) 를 축방향 외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축방향의 힘도 작용하는 것이다.
반대로 마찰부재 등의 마모부품을 교환할 때에는 분해할 필요가 있게 되는데, 분해시에는 누름구동부재 (7) 를 감아내림방향으로 회전하면, 코일스프링 (13) 의 선단걸림부 (13a) 는 걸림면 (7k) 으로부터 떨어져서, 계속해서 당겨져 경사면 (7h) 상을 미끄러지므로, 지장없이 누름구동부재 (7) 를 감아내림방향으로 연속해서 회전할 수 있어 단시간에 분해할 수 있다.
또한,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누름구동부재 (7) 에 경사면 (7h) 을 형성하는 대신에, 수압부재 (6) 의 걸림홈 (6d ; 제 1 회전저지수단) 의 감아내림측으로 연속해서, 걸림흠의 바닥으로부터 감아내림방향으로 갈수록 축방향 선단측으로 높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해도 되지만, 조립시에는, 수압부재에 코일스프링을 장착한 후, 누름구동부재를 돌려조임으로써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도시와 같이 누름구동부재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제한부재 (14) 의 보스부 (14b) 의 외주에는, 조작륜 (16) 이 회전제한부재 (14) 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맞추어져 있다. 이 조작륜 (16) 은 회전제한부재 (14) 의 외주부에 있어서 면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 축방향 선단측에는 오목부 (16c)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조작륜 (16) 의 외주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어, 조작륜 (16) 를 잡거나 돌리기 쉽게 하고 있다.
누름구동부재 (7) 와 대향하는 조작륜 (16) 의 바닥벽에는 누름구동부재 (7) 중 작은 쪽의 고리형상 오목홈 (7a-2) 에 돌출하여 들어가는 누름해제돌기 (16a) 가 형성되어 있다. 누름해제돌기 (16a) 는 누름구동부재 (7) 의 제 2 돌조 (7c) 에 충돌시켜서, 누름구동부재 (7) 의 관성에 의한 회전에 의해, 또는 감아내림방향으로 강제 회전시켜, 누름구동부재 (7) 를 축방향 선단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조작륜 (16) 의 오목부 (16c) 의 안에는, 와셔 (washer ; 17) 가 그 축구멍 (17a) 을 구동축 (5) 에 끼워져서 수용되어 있고, 구동축 (5) 의 제 2 나사부 (5d) 에 나사식 결합되는 너트 (15) 에 의해 조작륜 (16) 의 바닥벽 내면에 고정된다. 와셔 (17) 의 외경은, 조작륜 (16) 의 바닥벽에 형성된 축구멍 (16d)의 지름보다 어느정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륜 (16) 을 외측으로 인장했을 때에도 조작륜 (16) 이 회전제한부재 (14) 로부터 풀어지는 일이 없고, 누름해제돌기 (16a) 와 2 개의 돌조 (7b, 7c) 의 걸림이 풀어질 우려가 없다. 또한, 회전제한부재 (14) 는 보스부 (14b) 의 단면이 조작륜 (16) 의 바닥벽 내면보다도 어느정도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누름구동부재 (7) 의 기어 (7d) 의 부분은 조작핸들 (18) 내에 수납되어 있다.
조작핸들 (18) 은 내측케이스 (18a) 와 외측케이스 (18b) 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측케이스 (18a) 에는 누름구동부재 (7) 의 마찰부재 (9) 측을 둘러싸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케이스 (18b) 에는 조작륜 (16) 의 바닥벽부 (16b) 의 외주를 둘러싸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내측케이스 (18a) 와 외측케이스 (18b) 는, 복수개의 나사 (19, 19, …) 와 너트 (20, 20, …) 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조작핸들 (18) 은 누름구동부재 (7) 의 하측으로 신장함과 동시에, 이 내측에는 회전방향 전환고리 (22) 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방향 전환고리 (22)는 축 (21) 에 의해서 양 핸들케이스 (18a, 18b) 에 대하여 회전운동 자재로 유지되어 있다.
축 (21) 은 조작핸들 (18) 의 외부로 돌출함과 동시에, 이 돌출부에 전환용의 전환레버 (23)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환레버 (23) 를 전환조작함으로써, 회전방향 전환고리 (22) 는 누름구동부재 (7) 를 감아올림 (UP) 방향, 또는 감아내림 (DOWN)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것 이외에,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시키지 않는 중립위치에 유지된다. 회전방향 전환고리 (22) 의 하단부에는, 스프링 (25) 에 의해서 상방으로 힘을 가하고 있는 누름부재 (24) 가 맞닿고, 이에 의해 회전방향 전환고리 (22) 가 소정의 전환위치에서 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양 측판 (1, 2) 의 사이의 상부에는, 상측 후크 (27) 가 연결고리 (26)를 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로드 시이브 (3) 에 감겨진 로드 체인 (28) 의 하단에는 짐 매달기용의 하측 후크 (30) 가 연결고리 (29) 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도면부호 31 은 짐의 이탈방지부로, 하측 후크 (30) 의 상부에 내측으로만 회전가능하게 피봇팅되어 있다. 또한, 도면부호 33 은 복수개의 나사 (35) 와 너트 (36) 에 의해서 측판 (2) 에 설치된 커버이다. 이 커버 (33) 의 중앙부의 통형상 개구는, 내측케이스 (18a) 의 통형상의 개구부 외주에, 조작핸들 (18) 이 왕복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겹쳐져서 결합되어 있다.
내측케이스 (18a) 의 통형상의 개구부 내면에는, 조작핸들 (18) 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단면 「ㄷ」 자 형상의 스토퍼 통부재 (34) 가 끼워넣어져있다. 이 스토퍼 통부재 (34) 에는 예를 들면 강판제의 것이 사용된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레버식 호이스트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유회전동작시키는 경우에는 전환레버 (23) 를 중립위치에 맞추어 행한다.
전환레버 (23) 를 중립위치에 맞추면, 무부하 상태에서는 코일스프링 (13) 이 가하고 있는 힘에 의해서 누름구동부재 (7) 가 순간적으로 감아내림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축 (5) 의 제 1 나사부 (5a) 를 따라서 축방향 선단측으로 이동하고, 마찰부재 (9) 와의 누름을 해제한다. 따라서, 조작륜 (16) 을 조작하여 회전시키지 않아도, 체인 (28) 을 당기면, 그 자리에서 자유회전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누름구동부재 (7) 는 제 1 돌조 (7b) 가 회전제한부재 (14) 의 회전제한돌기 (14a) 에 맞닿음으로써, 그 이상의 축방향 선단측으로의 나사식 후퇴가 방지되고 있다.
한편, 코일스프링 (13) 의 스프링력은 자유회전 동작용으로서 미약하므로, 짐이 걸려있는 부하 상태에는, 짐의 중량에 의해서, 구동측 (5) 은 짐이 내려지는 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는 힘을 받고, 또, 역회전방지륜(10) 의 걸림기어가 래칫 기어의 래칫 발톱 (11) 에 물려져 있으므로, 누름구동부재 (7) 는 감아올림방향으로 회전하고, 마찰부재 (8, 9) 와 역회전방지륜 (10) 을 수압부재 (6) 쪽으로 눌러 브레이크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안전하다.
또한, 화물을 감아올리는 경우에는, 전환레버 (23) 를 감아올림방향 (UP) 으로 전환한 후, 조작핸들 (18) 을 구동축 (5) 을 중심으로 해서 전후로 회전운동시켜 왕복시킴으로써 행한다. 또, 화물을 내리는 경우에는, 전환레버 (23) 를 감아내림방향 (DOWN) 으로 전환한 후, 조작핸들 (18) 을 구동축을 중심으로해서 전후로 회전운동시켜서 왕복운동시킴으로써 행한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레버식 호이스트에 의하면, 수압부재와 누름구동부재의 사이에 배치된 코일스프링은, 누름구동부재를 수압부재로부터 떨어지도록, 누름구동부재에 둘레방향으로 가해지고 있는 힘을 작용시킨다.
따라서, 전환레버를 중립상태로 하는 것만으로, 누름구동부재가 수압부재로부터 자동적으로 또한 연속적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조작륜의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자유회전동작을 할 수 있다.
또, 누름구동부재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구성의 경우는, 누름구동부재를 구동축을 따라서 돌려 조이는 것만으로, 코일스프링을 적정위치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수압부재와 누름구동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된 코일스프링은, 양 부재와의 사이에 간극이 필요없이 배치시킬 수 있으므로, 수압부재의 걸림홈과 누름구동부재의 걸림면에 확실하게 걸리므로, 코일스프링의 걸림이 사용중에 풀어질 염려가없어 안전하다.

Claims (4)

  1. 기단부(基端部)가 기어 전동계열을 통하여 로드 시이브 (load sheave) 에 연결되는 구동축과,
    이 구동축에 고정되는 수압부재(受壓部材)와,
    상기 수압부재의 축방향 선단측에, 상기 구동축상을 진퇴가능하게 나사식 결합되어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서 조작핸들에 의해서 회전운동되는 누름구동부재와,
    상기 수압부재와 상기 누름구동부재와의 사이에 끼워져, 감아올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역회전방지륜과,
    상기 역회전방지륜의 양면에 배치되고, 상기 누름구동부재에 의해서 눌려질 수 있게 설치된 한 쌍의 마찰부재를 구비하는 레버식 호이스트에 있어서,
    수압부재와 누름구동부재와의 사이에 꺼워진 코일스프링과,
    코일스프링의 기단과 선단에 각각 설치된 기단걸림부 및 선단걸림부와,
    수압부재의 선단면에 설치되어, 코일스프링의 기단걸림부를 걸어 수압부재에 대한 코일스프링의 감아올림방향의 회전을 저지하는 제 1 회전저지수단과,
    누름구동부재의 기단면에 설치되어, 코일스프링의 선단걸림부를 걸어 코일스프링에 대한 누름구동부재의 감아올림방향의 회전을 저지하는 제 2 회전저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호이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부재에, 상기 역회전방지륜 및 상기 마찰부재가 외측에 끼워지는 보스 (boss) 부가 축방향 선단측에 돌출형성 되고,
    이 보스부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기단부가 배치되는 보스구멍이 축방향 선단측에 개구되어 형성되고,
    이 보스구멍에는, 지름방향의 외향으로 신장되는 걸림홈이, 보스부의 축방향 선단측에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누름구동부재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선단부가 배치되는 스프링 배치구멍이, 축방향 기단측에 개구되어 형성되고,
    이 스프링 배치구멍의 주위에, 감아내림방향으로 갈수록 축방향 선단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이 경사면의 감아내림측 위치에 제 2 회전저지수단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하는 레버식 호이스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구동부재가 나사식 결합되는 구동축의 나사부는, 오른나사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코일스프링은 왼감기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양단부가 지름방향 외측으로 굴곡형성되어 기단걸림부와 선단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누름구동부재에 형성된 제 2 회전저지수단은 상기 누름구동부재의 경사면의 감아내림측 위치에 축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걸림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압부재의 걸림흠에 코일스프링의 기단걸림부가 걸리고, 상기 누름구동부재의 걸림면에 코일스프링의 선단걸림부가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호이스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구동부재에, 상기 제 2 회전저지수단이 복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호이스트.
KR1019970013082A 1996-08-13 1997-04-09 레버식호이스트 KR1003101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32603 1996-08-13
JP8232603A JP2782061B2 (ja) 1996-08-13 1996-08-13 レバー式捲上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075A KR19980018075A (ko) 1998-06-05
KR100310184B1 true KR100310184B1 (ko) 2001-12-15

Family

ID=16941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3082A KR100310184B1 (ko) 1996-08-13 1997-04-09 레버식호이스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69398A (ko)
JP (1) JP2782061B2 (ko)
KR (1) KR100310184B1 (ko)
CN (1) CN1096415C (ko)
DE (1) DE19723031C2 (ko)
TW (1) TW4864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0315B2 (ja) * 1998-07-07 2002-05-13 バイタル工業株式会社 レバー式捲上機
US6517054B2 (en) * 2001-04-23 2003-02-11 Vital Kogyo Kabushiki Kaisha Lever hoist with overload preventing device
ES2340764T3 (es) * 2002-02-06 2010-06-09 Kito Corporation Maquina de elevacion y arrastre por cabestrante.
JP5172877B2 (ja) * 2009-12-24 2013-03-2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クラッチ機構並びにクラッチ機構を備える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804986B2 (ja) * 2012-03-08 2015-11-04 株式会社キトー 手動巻上牽引装置
JP5827188B2 (ja) * 2012-07-30 2015-12-02 株式会社キトー チェーンブロック
US9610884B1 (en) * 2016-01-11 2017-04-04 Cottrell, Inc. Vehicle and cargo ratcheting tie down apparatus and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7096A (ja) * 1994-03-07 1995-09-26 Baitaru Kogyo Kk レバー式捲上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7697A (ja) * 1982-03-11 1983-09-19 株式会社キト− レバ−式小型巻上兼牽引装置
JPH0633155B2 (ja) * 1990-10-19 1994-05-02 バイタル工業株式会社 レバー式捲上機
JPH0729754B2 (ja) * 1991-07-23 1995-04-05 バイタル工業株式会社 レバー式捲上機
JP2597273B2 (ja) * 1992-08-27 1997-04-02 象印チエンブロック株式会社 捲上牽引機における遊転制御装置
JPH0729756B2 (ja) * 1993-03-17 1995-04-05 株式会社二葉製作所 レバー式牽引巻上機における遊転装置
TW267151B (ko) * 1993-11-11 1996-01-01 Shoin Chain Block K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7096A (ja) * 1994-03-07 1995-09-26 Baitaru Kogyo Kk レバー式捲上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0653A (zh) 1998-05-06
TW486433B (en) 2002-05-11
US5769398A (en) 1998-06-23
JPH1059689A (ja) 1998-03-03
JP2782061B2 (ja) 1998-07-30
DE19723031A1 (de) 1998-02-19
DE19723031C2 (de) 2002-06-27
CN1096415C (zh) 2002-12-18
KR19980018075A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8754A (en) Manual hoist with overload preventer
KR100310184B1 (ko) 레버식호이스트
KR20010049431A (ko) 과부하 방지 장치가 구비된 체인 호이스트
EP0533467B1 (en) Hoist & traction machine
US5156377A (en) Lever-operated hoist
KR100318803B1 (ko) 레버식호이스트
US5641151A (en) Chain lever hoist
JPH0624472U (ja) 魚釣用リ−ルの逆転防止装置
JP3673170B2 (ja) レバー式巻上機
JP3111067B1 (ja) 過負荷防止装置付きレバーホイスト
JPS6316714Y2 (ko)
JPH026666B2 (ko)
JP4518813B2 (ja) 巻上牽引装置
JP2004075241A (ja) 過負荷防止装置付き巻上機
JP4614792B2 (ja) 巻上牽引装置
JPH02270798A (ja) 小型牽引巻上機
JP2002249298A (ja) レバー式巻上機
JPH0711104Y2 (ja) レバー式巻上牽引装置におけるブレーキカバーとレバーとの結合構造
JPH05132293A (ja) 小型牽引巻上機
JP4121883B2 (ja) 牽引装置
JPH0340871Y2 (ko)
JPH07247096A (ja) レバー式捲上機
JPH0729753B2 (ja) レバー式捲上機
JPH11253080A (ja) 魚釣用リ−ル
JP2004299866A (ja) 牽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